네르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르바는 96년부터 98년까지 로마 황제였다. 로마에서 태어나 칼리굴라 치세에 집정관을 지낸 아버지와 플라비우스 왕조의 창시자 베스파시아누스처럼 이탈리아 귀족 출신이었다. 65년 법무관으로 선출되었고, 네로 황제의 고문으로 활동하며 피소 음모를 폭로하는 데 기여했다. 도미티아누스 암살 후 원로원의 추대로 황제가 되었으나, 군대의 지지가 부족하여 트라야누스를 양자로 삼고 후계자로 지명했다. 98년 뇌졸중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짧은 통치 기간은 로마 경제의 어려움과 군대의 불만을 초래했지만, 트라야누스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케이우스 씨족 -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법학자)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는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소설 등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등장하거나 언급되는 인물이다. - 코케이우스 씨족 -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기원전 36년 집정관)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는 로마 공화정 시대에 기원전 36년 집정관을 지낸 인물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지지하고 옥타비아누스와 화해에 기여했으며 아시아 속주 총독, 신사 수행 15인 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그의 후손 중에는 티베리우스 황제의 측근과 로마 황제 네르바가 있다. - 30년 출생 - 포파이아 사비나
포파이아 사비나는 폼페이 출신으로 뛰어난 미모와 정치적 야망을 가진 로마 황후였으며, 네로의 두 번째 아내가 되어 클라우디아 옥타비아를 제거하고 황후 자리에 올랐으나, 사치스러운 생활과 유대교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고, 임신 중 사망 원인에 대한 여러 주장이 존재하며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30년 출생 - 가규 (후한)
가규는 후한 시대의 학자이자 천문학자로, 《춘추좌씨전》에 정통했으며 고문학 연구를 통해 유학 발전에 기여했고, 《후한서》 편찬 참여, 경전 강의, 역법 연구, 유교 경전 주석 및 시 저술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98년 사망 - 바르메나
- 98년 사망 - 카스페리우스 아일리아누스
네르바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
로마자 표기법 | Marcus Cocceius Nerva |
즉위명 | 임페라토르 네르바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
로마자 표기법 | Imperator Nerva Caesar Augustus |
출생일 | 30년 11월 8일 |
출생지 | 나르니, 이탈리아, 로마 제국 |
사망일 | 98년 1월 27일 |
사망 장소 | 살루스티우스 정원, 로마, 이탈리아, 로마 제국 |
매장 장소 | 아우구스투스 영묘, 로마 |
통치 | |
직책 | 로마 황제 |
재위 기간 | 96년 9월 18일 – 98년 1월 27일 |
선임자 | 도미티아누스 |
후임자 | 트라야누스 |
가족 관계 | |
왕조 |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
아버지 |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
어머니 | 세르기아 플라우틸라 |
자녀 | 트라야누스 (양자) |
2. 어린 시절
네르바는 이탈리아 반도의 나르니에서 태어났으며,[69] 출생 시기는 서기 30년에서 35년 사이로 추정된다.[70] 그의 가문인 코케이우스 씨족은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의 가문처럼 이탈리아 출신의 부유한 가문이었으나, 로마의 전통적인 최고 명문가는 아니었다.[71] 그럼에도 코케이우스 가문은 제정 시대에 걸쳐 영향력 있는 가문으로 성장했으며, 네르바의 증조부, 조부(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아버지(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는 모두 집정관을 역임했다.[72] 그의 여동생 코케이아는 오토 황제의 형제인 루키우스 살비우스 오토 티티아누스와 결혼하여, 유력 가문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69] 또한 모계를 통해서는 외삼촌인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라이나스가 티베리우스 황제의 증손녀 루벨리아 바사와 결혼하여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와도 연결되었다.[71]
2. 1. 가정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는 이탈리아의 나르니라는 마을에서 태어났다. 이곳은 로마에서 북쪽으로 약 50km 떨어져 있다.[129][2][69] 그의 아버지는 칼리굴라 황제(재위 37년~41년) 시기에 보좌 집정관을 지낸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였고, 어머니는 세르기아 플라우틸라(Sergia Plautillala)였다.[129][2] 네르바의 출생 연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고대 기록에 따르면 서기 30년 또는 35년으로 추정된다.[130][4][70] 일부 기록은 그가 11월 8일에 태어났다고 전한다.[3] 네르바에게는 코케이아(Cocceiala)라는 이름의 여동생이 최소한 한 명 있었는데, 그녀는 오토 황제의 형제인 루키우스 살비우스 오토 티티아누스와 결혼했다.[129][2][69]플라비우스 왕조를 세운 베스파시아누스처럼, 네르바는 로마의 전통적인 파트리키 귀족 가문 출신이 아니라 이탈리아 본토 출신의 신흥 귀족 가문, 즉 플레베이에서 유래한 계층에 속했다.[131][5][71]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케이우스 가문은 공화정 말기와 제정 초기에 매우 존경받고 영향력 있는 정치 가문 중 하나였으며, 여러 세대에 걸쳐 집정관직을 배출했다.[132][6] 네르바의 아버지 쪽 직계 조상들은 아우구스투스 황제(재위 기원전 27년~서기 14년) 시대부터 황실과 관계를 맺어왔다.[132][7]
관계 | 이름 | 주요 경력 | 비고 |
---|---|---|---|
증조부 |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 기원전 36년 집정관, 아시아 총독[132][7] | |
조부 |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 서기 21년 또는 22년 보좌 집정관, 티베리우스 측근[132][7][72] | 카프리섬 은거 동행, 법학자로도 알려짐 |
아버지 |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 서기 40년 보좌 집정관[132][72] | 칼리굴라 황제 시기 |
또한 코케이우스 가문은 네르바 어머니 세르기아 플라우틸라의 형제인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라이나스가 티베리우스 황제의 증손녀인 루벨리아 바사와 결혼하면서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와도 혈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131][5][71]
2. 2. 즉위 이전
동명의 아버지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와 세르기아 플라우틸라 사이에서 이탈리아 반도의 나르니에서 태어났다.[69] 출생 시기는 서기 30년에서 35년 사이로 추정된다.[70] 그의 가문인 코케이우스 씨족은 이탈리아 출신의 부유한 가문이었으나, 로마의 최상류층은 아니었다.[71] 그럼에도 코케이우스 가문은 제정 시대에 두각을 나타내, 네르바의 증조부는 기원전 36년에 집정관을 지냈고, 조부는 21년에 보충 집정관을 역임했으며, 아버지 역시 칼리굴라 황제 때인 40년에 보충 집정관으로 임명되었다.[72] 네르바의 여동생 코케이아는 오토 황제의 형제인 루키우스 살비우스 오토 티티아누스와 결혼하여, 두 가문은 친족 관계를 맺었다.[69] 또한 모계 쪽으로는 티베리우스 황제의 증손녀 루벨리아 바사와 결혼한 외삼촌 옥타비우스 라에나스가 있었다.[71]네르바의 초기 생애나 경력에 대해서는 기록이 많지 않으며, 쿠르수스 호노룸이나 군 경력을 거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69][2] 그는 서기 65년에 법무관으로 선출되면서 역사 기록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조상들처럼 외교와 전략에 능했던 그는 황제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네로 황제의 조언가 역할을 수행했다.[129][2] 특히 65년에 발생한 피소 음모를 사전에 감지하고 밝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구체적인 기여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그 공로로 네로의 친위대 사령관 티겔리누스와 동등한 수준의 보상을 받았다. 이는 보통 군사적 승리자에게 주어지는 개선식의 영예를 포함했으며, 궁정 곳곳에 그의 조각상을 세울 수 있는 권한도 얻었다.[129][2]
동시대 시인 마르티알리스는 네르바의 문학적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우리 시대의 티불루스"라고 칭송했다.[133][8] 네로의 측근 중에는 40년대에 군사적 공로를 세운 노련한 장군 베스파시아누스도 있었는데, 네르바는 황제의 조언가 시절 베스파시아누스와 친분을 쌓은 것으로 보인다. 67년 유대 전쟁에 파견될 때 베스파시아누스가 자신의 막내아들 도미티아누스의 양육을 네르바에게 부탁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134][73]
68년 6월 9일 네로의 자살로 율리우스-클라우디아스 왕조가 끝나고, 로마는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 황제가 차례로 등장하고 몰락하는 혼란스러운 네 명의 황제의 해를 맞이했다. 이 기간 동안 네르바의 행적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매부가 오토 황제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플라비우스 왕조를 열게 될 베스파시아누스의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135][75]
69년 12월 21일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로 즉위한 후, 네르바는 71년에 집정관직을 수여받았다. 구체적인 공로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는 플라비우스 왕조 초기 정권에서 받은 상당한 영예였다. 특히 덜 영예로운 보충 집정관이 아닌 정규 집정관직이었으며, 플라비우스 가문 외 인물로서 이러한 영예를 받은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였다.[135][10] 71년 이후 네르바는 다시 역사 기록에서 사라지는데, 베스파시아누스(69–79년)와 그의 아들들인 티투스(79–81년), 도미티아누스(81–96년) 치하에서 눈에 띄지 않는 조언가 역할을 계속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네르바는 89년 사투르니누스의 반란 때 다시 역사에 등장한다. 89년 1월 1일,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총독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사투르니누스는 마인츠에 주둔한 게미나 제14군단과 라팍스 제21군단을 이끌고 카티족의 지원을 받아 로마 제국에 반란을 일으켰다.[136][11]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총독 라피우스 막시무스는 라이티아의 프로쿠라토르 티투스 플라비우스 노르바누스의 도움을 받아 신속하게 반란을 진압했다. 24일 만에 반란은 진압되었고, 관련자들은 처벌받았으며 반란 군단은 일리리쿰 국경으로 보내졌다.[137][12]
반란이 진압된 다음 해인 90년, 도미티아누스 황제는 네르바와 함께 집정관직을 수행했다. 이는 네르바가 과거 피소 음모 때처럼 사투르니누스 반란의 음모를 밝혀내는 데 기여했기 때문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도미티아누스가 자신의 정권 안정과 현상 유지를 강조하기 위해 존경받는 원로인 네르바를 동료 집정관으로 선택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35][10]
3. 재위 시절
96년 9월 18일,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궁전에서 암살된 후,[78] 로마 원로원은 같은 날 만장일치로 네르바를 다음 황제로 선포했다.[79] 당시 65세의 고령이었고 직계 후계자가 없었으며, 정치 경력상 두드러진 인물이 아니었기에[80][81] 이는 다소 예상 밖의 결정으로 여겨졌다. 일부 역사가들은 네르바가 암살 계획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80][81][82][83] 이러한 배경 속에서 네르바의 지지 기반은 취약했으며,[84] 원로원은 그를 과도기적 인물로 간주했을 수 있다.[85] 네 황제의 해를 경험했던 네르바는 정치적 공백이 초래할 내전의 위험을 인지하고 황제직을 수락한 것으로 보인다.[86] 즉위 후, 네르바는 원로원의 결정에 따라 도미티아누스에 대한 기록말살형을 승인했다.[87][88]
3. 1. 즉위

96년 9월 18일, 도미티아누스는 궁중 관리들이 꾸민 궁정 음모[138][13] 또는 반황제파 귀족들[78]에 의해 암살되었다. 오스티아의 달력 ''파스티 오스티엔세스''는 같은 날 로마 원로원이 만장일치로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를 황제로 선포했다고 기록했다.[139][14][79] 이는 이전 황제의 유언이나 군대의 추대를 단순히 승인하는 것이 아니라, 로마 원로원이 직접 새로운 황제를 선택한 최초의 사례였다.[15]
네르바의 정치 경력에도 불구하고 이는 예상 밖의 선택이었다. 그는 당시 65세로 고령이었고 자녀가 없었으며, 경력 대부분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공직에서 보냈다.[140][16][80] 이러한 이유로 고대 및 현대의 역사가들은 그가 도미티아누스 암살에 어느 정도 관여했는지에 대해 여러 추측을 제기해왔다.[140][141][17][80][81]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음모 가담자들은 암살 계획 실행 전에 네르바를 잠재적 후계자로 염두에 두고 접촉했으며, 이는 네르바가 최소한 계획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142][143][18][19][82][83] 반면, 수에토니우스는 네르바의 역할을 언급하지 않았는데, 이는 그의 저서가 네르바의 직계 후계자인 트라야누스와 하드리아누스 치세에 출판되었기 때문에,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의 시작이 암살과 연관되었다는 사실을 기록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민감했을 수 있다는 추측을 낳는다.[142][18][82]
네르바는 제국 전체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는 인물은 아니었고, 플라비우스 왕조의 충신으로 알려진 그의 과거 경력은 오히려 암살 음모자들이 그를 꺼리게 만들었을 수도 있다.[20][84] 정확한 사실 관계는 역사 속에서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144][20][84] 현대 역사가들은 도미티아누스 암살 소식이 전해진 지 불과 몇 시간 만에 원로원의 주도로 네르바가 황제로 추대되었다고 보고 있다.[139][14][79]
네르바는 고령과 병약함 때문에 황제 후보로서는 다소 부적합해 보일 수 있었으나, 오히려 나이가 많고 자녀가 없다는 점 때문에 특정 세력에 치우치지 않는 안전한 선택으로 여겨졌다.[145][21][85] 또한 그는 플라비우스 왕조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원로원의 상당수로부터 존경을 받고 있었다.[21] 네로 황제 사후의 극심한 혼란기였던 네 황제의 해를 직접 겪었던 네르바는, 잠시의 정치적 공백이 또 다른 내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인지하고 황제직 수락을 결심했다.[146][22][86] 이 결정은 내전을 피하기 위해 서둘러 내려졌을 가능성이 크며, 원로원이나 네르바 본인이 도미티아누스 암살 음모에 직접적으로 가담했다는 명확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147][23]

네르바가 황제로 즉위한 직후, 원로원은 도미티아누스에 대한 다므나티오 메모리아에를 가결했다. 이에 따라 도미티아누스의 조각상들은 녹여지고, 그의 아치들은 철거되었으며, 모든 공공 기록물에서 그의 이름이 삭제되었다.[148][149][24][25][87][88] 일부 도미티아누스의 초상 조각은 파괴되지 않고 네르바의 얼굴로 다시 조각되어 재활용되기도 했다. 이는 칸첼레리아 부조 등에서 확인되며, 새로운 황제의 이미지를 신속하게 보급하고 기존 재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이었다.[150][26][89] 또한, 도미티아누스가 팔라티노 언덕에 건설했던 거대한 플라비우스 궁전은 "민중의 집"(Domus Populi)[27] 또는 시민의 집[90]으로 개명되었고, 네르바 자신은 살루스티우스 정원에 위치한 옛 베스파시아누스의 빌라를 거처로 삼았다.[151][27][90]
3. 2. 통치

정권 교체는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 아래 가혹하게 박해받았던 원로원 의원들에게 특히 환영받았다. 네르바는 원로원에 대한 호의의 표시로, 재임 중에는 어떠한 원로원 의원도 사형에 처하지 않겠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했다.[28][91] 그는 반역죄를 근거로 한 재판을 중단시키고, 이 혐의로 투옥되었던 이들을 석방했으며, 추방당했던 많은 이들에게 사면을 베풀어 귀국을 허락했다.[25][88] 도미티아누스가 압류했던 모든 사유재산은 원래 소유주 가문들에게 반환되었다.[25][88]
네르바는 자신의 통치에 원로원을 참여시키려 했으나 완전한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는 개인적으로 알고 신뢰하는 친구와 조언자들에게 크게 의존했으며, 원로원 내 친(親)도미티아누스 세력과도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이는 일부 원로원 의원들의 반감을 사기도 했으며, 최소 한 차례 이상 그의 목숨을 노린 음모의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9][30][92][93]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도미티아누스의 죽음에 대한 민중의 반응은 미온적이었기에, 네르바는 로마 민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여러 조치를 취해야 했다. 당시 관례에 따라 황제 교체 시에는 민중과 군대에 대한 선물이 기대되었는데, 네르바는 시민들에게 1인당 75 데나리우스의 ''콩기아리움(Congiarium)''을 지급했고, 근위대 병사들에게는 1인당 최대 5,000 데나리우스에 달하는 ''도나티붐(Donativum)''을 하사했다.[31][94]
이어서 가장 가난한 로마 시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여러 경제 개혁이 시행되었다.[32][95] 네르바는 빈곤층에게 최대 6천만 세스테르티우스 상당의 토지를 분배해주었다.[28][91] 그는 부모와 자녀 간 상속에 대해 5%의 상속세를 면제해주었으며, 이탈리아 지주들에게 낮은 이자(5%)로 국가 기금을 대출해주고 그 이자로 빈곤 가정의 아동 양육을 지원하는 알리멘타(Alimenta) 제도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이후 트라야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시대에 더욱 확대되었다.[33][96] 또한, 여러 세금이 면제되었고 로마 속주들에게 특권이 부여되었다.[31] 특히, 제국 전역의 유대인들에게 부과되던 추가 세금인 피스쿠스 유다이쿠스(Fiscus Iudaicus)의 악용을 폐지했으며, 당시 발행된 일부 주화에는 FISCI IUDAICI CALUMNIA SUBLATA (유대인 세금에 대한 악의적 기소 폐지)라는 문구가 새겨졌다.[25][88] 주화들은 또한 네르바가 넵투누스 신을 기리며 대경기장에 새로운 경기를 추가했음을 시사하며, 공정함, 정의, 자유 등 도미티아누스 시대와 대조되는 제국의 이상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러한 지출은 곧 로마 재정에 부담을 주었다.[34][97] 네르바는 지출을 대폭 삭감하기 위한 특별 경제 위원회를 구성해야 했다.[35][98] 불필요하다고 여겨진 종교 제물, 검투사 경기, 경마 등이 폐지되었고, 도미티아누스가 소유했던 배, 부동산, 가구 등을 경매에 부쳐 새로운 수입원을 마련했다.[28][91] 특히 도미티아누스의 은과 금 조각상들을 녹여 상당한 재정을 확보했으며, 네르바 자신을 위한 유사한 조각상 제작은 금지했다.[25][88]
네르바의 통치 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그의 공공 사업은 많지 않았고, 주로 플라비우스 왕조 시기에 시작된 사업들을 완료하는 데 집중했다. 여기에는 로마의 도로 시스템에 대한 광범위한 보수와 수도교 확장이 포함되었다.[99][160] 수도교 사업은 전직 집정관이자 뛰어난 기술자였던 섹스투스 율리우스 프론티누스가 책임졌는데, 그는 수도 공급 시스템의 남용을 막는 데 기여했으며 훗날 로마 상수도에 관한 중요한 저서인 ''De Aquaeductu Urbis Romae'' (로마 시의 수도관에 관하여)를 저술했다.[36][100][161] 네르바 시대에 건설된 주요 건축물로는 곡물 창고인 ''호레아 네르바이''(Horrea Nervae)[37][101][162]와 도미티아누스 시대에 착공하여 아우구스투스 포룸과 평화의 신전을 연결하는 작은 황제들의 포룸인 네르바 포룸이 있다.[38][102][163] 네르바 포룸의 유적은 오늘날 비아 데이 포리 임페리알리 도로 건설로 인해 많이 남아있지 않다.
원로원과 민중의 지지를 얻으려 노력했지만, 네르바는 군대, 특히 근위대로부터는 충분한 지지를 확보하지 못했다. 근위대는 플라비우스 왕조에 대한 충성심이 강했으며, 도미티아누스 암살 직후 그를 신격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87] 네르바는 근위대를 달래기 위해 암살에 가담했던 근위대장 티투스 페트로니우스 세쿤두스를 해임하고 전임 근위대장 카스페리우스 아엘리아누스를 복직시켰다.[103] 그러나 근위대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페트로니우스 등의 처형을 요구했고, 네르바는 이를 거부했다.[104] 이 사건은 그의 통치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네르바는 내전의 위기는 막았지만, 자신의 약한 권력 기반과 온화한 성격으로 인해 점차 국정 운영에서 결단력을 보이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즉위 시 약속과 달리 원로원의 고발자 처벌을 허용하면서 정치적 혼란이 야기되기도 했다. 그의 심복이었던 섹스투스 율리우스 프론티누스는 "이래서는 도미티아누스의 강권 통치가 네르바 황제의 무질서보다 나았다고 말해도 어쩔 수 없을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88] 서기 97년에는 원로원 의원이 연루된 암살 미수 사건까지 발생했지만, 네르바는 관련자 처형을 거부했다.[105][106]
고령과 건강 문제로 네르바의 리더십은 더욱 약화되었다.[107] 자녀가 없었고 마땅한 친족 후계자도 없었기에, 네르바는 결국 양자를 들여 후계자로 삼기로 결정했다. 처음에는 시리아 속주 총독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니그리누스 쿠리아티우스 마테르누스를 고려했던 것으로 보이나,[107] 군단들의 지지를 등에 업은 근위대는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총독 트라야누스(마르쿠스 울피우스 트라야누스)를 강력히 추천했다.
결국 97년 10월, 근위대장 카스페리우스 아엘리아누스는 근위대를 이끌고 황궁을 포위하여 네르바를 사실상 감금했다.[93] 근위대의 압력에 굴복한 네르바는 도미티아누스 암살 관련자들의 처형에 동의해야 했으며, 심지어 카스페리우스의 행동을 칭찬하는 연설까지 강요당하는 굴욕을 겪었다.[108] 이 사건으로 네르바의 권위는 크게 실추되었고,[93] 그는 군대의 지지 없이는 황위를 유지할 수 없다는 현실을 깨달았다.[103][109] 반란 직후, 네르바는 트라야누스를 양자로 입양하고 후계자로 공식 지명했다.[93] 이 결정은 사실상 네르바의 정치적 영향력 종식을 의미했으며, 퇴위에 가까운 상태로 만들었다.[110][111]
트라야누스는 네르바 가문의 상속자이자 공동 황제, 공동 집정관으로 임명되었다.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는 네르바가 제국의 내란을 막기 위해 출신(트라야누스는 이탈리아 본토 출신이 아니었음)이나 가문 내 다른 잠재적 후계자 문제를 제쳐두고 실력자인 트라야누스를 선택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12]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후대의 미화된 측면이 있으며, 실제로는 네르바가 군대의 압력에 의해 후계자 선택권을 박탈당하고 트라야누스를 지명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현대 역사학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103] 후대에 에드워드 기번 등이 주장한 오현제 시대의 이상적인 이미지는 이러한 복잡한 정치적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113]
3. 3. 계승 위기


원로원과 로마 민중의 지지를 얻으려는 네르바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미티아누스에 대한 충성심은 군부, 특히 친위대 내에 강하게 남아있었다. 이들은 도미티아누스 암살 직후 그의 신격화를 요구하기도 했다.[148][24][87] 네르바는 친위대를 달래기 위해 암살 공모자 중 하나였던 친위대 사령관 티투스 페트로니우스 세쿤두스를 해임하고, 전임 사령관이었던 카스페리우스 아일리아누스를 복직시켰다.[164][39][103] 또한 즉위 후 병사들에게 관대한 ''도나티붐''(특별 하사금)을 지급했지만,[40] 친위대는 여전히 불만을 품고 도미티아누스 암살자들의 처형을 요구했다. 네르바가 이를 거부하면서[165][104] 그의 통치 기반은 더욱 흔들렸다.
도미티아누스 사후 신속한 권력 이양으로 내전은 피했지만, 네르바의 황제로서의 지위는 매우 불안정했다. 그의 온화한 성품은 권위를 세우는 데 어려움을 겪게 했다. 그는 반역 재판을 중단시켰지만, 원로원의 밀고자 기소를 허용하면서 혼란을 야기했다. 각자가 사적인 복수를 위해 고발을 남발하자, 집정관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는 "도미티아누스의 폭정이 네르바의 무질서보다 나았다"고 비판할 정도였다.[149][25][88] 97년 초에는 원로원 의원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크라수스 프루기 리키니아누스가 주도한 암살 음모가 발각되었으나, 네르바는 또다시 공모자 처형을 거부하여 원로원의 불만을 샀다.[166][167][41][42][105][106]

네르바의 고령과 건강 문제,[168][43][107] 그리고 명확한 후계자가 없다는 사실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그는 친자식이 없었고,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친척도 없었다. 후계자는 제국의 총독이나 장군 중에서 선택해야 했다. 97년경 네르바는 강력한 시리아 총독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니그리누스 쿠리아티우스 마테르누스를 입양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나,[169][44][107] 이는 게르마니아 국경에서 군대를 지휘하며 더 인기가 높았던 마르쿠스 울피우스 트라야누스를 지지하는 세력의 반대에 부딪혔다.[169][44]
결국 97년 10월, 친위대 사령관 카스페리우스 아일리아누스가 이끄는 친위대가 황궁을 포위하고 네르바를 인질로 잡는 사태가 벌어졌다.[154][30][93] 네르바는 굴복하여 도미티아누스 암살 책임자인 티투스 페트로니우스 세쿤두스와 파르테니우스를 넘겨주었고, 이들은 살해당했다. 심지어 네르바는 반란을 일으킨 친위대를 칭찬하는 연설까지 해야 하는 굴욕을 겪었다.[170][45][108] 이 사건으로 네르바의 권위는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되었다.[154][30][93] (후에 트라야누스는 이 반란을 주도한 친위대 지휘관들을 처형했다.)
네르바는 군대와 민중의 지지를 받는 후계자 없이는 자신의 지위를 유지할 수 없음을 깨달았다.[164][171][39][46][103][109]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트라야누스를 후계자로 입양한다고 발표했는데,[154][30][93] 이는 사실상 퇴위나 다름없는 결정이었다.[172][173][47][48][110][111] 트라야누스는 공식적으로 카이사르 칭호를 받고 98년 네르바와 함께 집정관직을 공유했다.
카시우스 디오는 네르바가 가문 관계보다 국가의 안정을 우선시하여, 비록 트라야누스가 이탈리아 출신이 아닌 스페인 출신(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능력을 보고 후계자로 삼았다고 기록했다.[174][49][112] 그러나 현대 역사가들은 당시 네르바가 심각한 위기 속에서 자신의 손상된 권위를 회복시켜 줄 강력한 인물의 지지가 절실했고, 군사적 경험, 유력 가문 배경, 폭넓은 인맥을 모두 갖춘 유일한 후보가 트라야누스였기에 사실상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본다.[171][164][46][39][103] 에드워드 기번이 주장한 것처럼 네르바가 오현제 시대의 입양 계승 전통을 확립했다는 견해도 현대 학계에서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75][50][113]

4. 사망과 유산
98년 1월 1일, 네 번째 집정관직을 시작할 무렵 네르바는 사적인 접견 중 뇌졸중을 겪었다.[51] 이후 열병에 걸려 1월 27일 살루스투스 정원의 자신의 별장에서 사망했다.[52][53][54][55] 그는 로마 원로원에 의해 신격화되었고,[57] 그의 유골은 아우구스투스의 영묘에 안치되었다.[58] 네르바는 그곳에 매장된 마지막 로마 황제였다.
네르바의 사망 후, 그의 양자 트라야누스가 황제 자리를 문제없이 물려받았고, 로마 시민들은 이를 열렬히 환영했다.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트라야누스는 네르바를 기리기 위해 사원을 건립했다고 하지만,[59] 그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신격화된 네르바를 기념하는 주화 역시 그의 사후 10년이 지나서야 발행되었다. 그러나 카시우스 디오는 트라야누스가 즉위한 후, 네르바에 대한 반란을 주도했던 근위대 대장 카스페리우스 엘리아누스를 해임했다고 기록했다.[60]
네르바의 삶과 통치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여 많은 부분이 불분명하다. 주요 자료는 3세기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의 『로마사』와 4세기 역사가 아우렐리우스 빅토르의 『황제 연대기』 축약본 등이다. 당대 역사가 타키투스의 『역사』는 네르바 시대를 다루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해당 부분이 소실되었다. 다만, 타키투스는 아그리콜라 전기 서문에서 네르바의 통치를 "가장 행복한 시대의 새벽"이라 칭하며, 그가 "한때 화해할 수 없었던 주권과 자유를 결합시켰다"고 높이 평가했다.[61] 현존하는 고대 역사 기록들은 네르바의 짧은 통치를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그의 지혜와 온건함을 강조하지만,[28][62] 구체적인 정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부족하다. 특히 카시우스 디오는 트라야누스를 후계자로 삼은 결정을 높이 평가했다.[49]
이러한 긍정적인 평가는 18세기 역사가 에드워드 기번이 그의 저서 『로마제국의 흥망사』에서 네르바를 5현제 중 첫 번째 황제로 꼽으면서 널리 알려졌다. 기번은 네르바부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까지 이어지는 다섯 황제의 시대를 로마 제국이 "지혜와 미덕의 인도 아래 절대 권력으로 통치"된 시기로 보았다. 그러나 기번조차 네르바가 통치에 필요한 강력한 지도력은 부족했을 수 있다고 지적하며, 그의 온화한 성품이 타락한 로마 사회를 다스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고 평가했다.[63]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네르바를 선량했지만 로마 군대에 대한 장악력이 부족하고 국가 재정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던, 다소 약하고 비효율적인 통치자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31] 원로원은 그의 치세 아래 자유를 누렸지만, 그의 권위는 불안정했다. 카스페리우스 엘리아누스가 이끈 프라이토리아니의 반란은 비록 쿠데타는 아니었지만, 황제의 권위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트라야누스를 후계자로 입양하도록 압박하는 결과를 낳았다.[39] 트라야누스의 입양은 네르바 자신의 권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현실적인 선택이었다는 해석도 있다. 역사가 찰스 레슬리 멀슨은 네르바가 뛰어난 조정자였을지는 몰라도, 최고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강력한 행정 능력은 부족했으며, 그의 황제 즉위는 피터 원리의 사례에 해당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64]
결론적으로 네르바의 통치는 플라비우스 왕조 이후 혼란을 수습하고, 트라야누스와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로 이어지는 안정적인 시대를 여는 과도기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21] 그가 완공한 유일한 주요 공공 건축물인 네르바 광장이 '포룸 트란시토리움'(Forum Transitorium, 통과하는 광장)으로 불리게 된 것은 그의 과도기적 역할을 상징하는 듯하다.[65] 네르바를 기념하는 현대 조각상으로는 그의 이름을 딴 영국 글로스터의 기마상과 그의 출생지로 추정되는 이탈리아 나르니의 조각상이 있다.[66][67]
5. 대중 문화에서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문서
Grainger (2003), p. 29
[3]
웹사이트
Part 3.
https://www.tertulli[...]
[4]
문서
Tacitus
Oxford University Press
[5]
문서
Syme (1982), p. 83
[6]
문서
Grainger (2003), p. 28
[7]
문서
Grainger (2003), p. 28
[8]
문서
Murison (2003), p. 148
[9]
문서
Murison (2003), p. 149
[10]
문서
Murison (2003), p. 150
[11]
문서
Jones (1992), p. 144
[12]
문서
Jones (1992), p. 149
[13]
문서
Jones (1992), p. 193
[14]
문서
Murison (2003), p. 153
[15]
서적
Governmental Forms and Economic Development: From Medieval to Modern Times – Google Knih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1-08-12
[16]
문서
Murison (2003), p. 151
[17]
문서
Grainger (2003), pp. 4–27
[18]
문서
Jones (1992), p. 194
[19]
웹사이트
Roman History LXVII.15
https://penelope.uch[...]
[20]
학술지
Domitian: The Last Years
[21]
문서
Jones (1992), p. 195
[22]
문서
Murison, p. 156
[23]
문서
Jones (1992), p. 196
[24]
웹사이트
The Lives of Twelve Caesars, Life of Domitian 23
https://penelope.uch[...]
[25]
웹사이트
Roman History LXVIII.1
https://penelope.uch[...]
[26]
학술지
On the Flavian Reliefs from the Palazzo della Cancelleria
[27]
문서
Panegyricus 47.4
[28]
웹사이트
Roman History LXVIII.2
https://penelope.uch[...]
[29]
웹사이트
Nerva (96–98 A.D.)
http://www.roman-emp[...]
2007-09-23
[30]
웹사이트
Roman History LXVIII.3
https://penelope.uch[...]
[31]
문서
Syme (1930), pp. 63–65
[32]
서적
Les Revers Monétaires de l'Empereur Nerva
http://www.inumis.co[...]
2007-08-14
[33]
학술지
The 'Alimenta' of Nerva and His Successors
https://zenodo.org/r[...]
[34]
학술지
The State of the Imperial Treasury at the Death of Domitian
[35]
문서
Syme (1930), p. 61
[36]
서적
Syme (1930)
[37]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9-22
[38]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39]
웹사이트
Casperius Aelianus
https://web.archive.[...]
2007-09-22
[40]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41]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42]
문서
Crassus was exiled to Taranto and later executed under emperor Hadrian.
[43]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44]
웹사이트
Pliny, Nerva and Trajan
https://web.archive.[...]
2007-08-13
[45]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46]
서적
Syme (1930)
[47]
서적
Panygericus
[48]
논문
Guard Prefects of Trajan and Hadrian
[49]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50]
논문
Second Thoughts on the Imperial Succession from Nerva to Commodus
[51]
웹사이트
Roman Emperors
https://www.roman-em[...]
2023-09-07
[52]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53]
서적
Stromata
https://books.google[...]
[54]
서적
To Autolycus
wikisource:Page:Ante[...]
[55]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56]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57]
서적
Chronicle
[58]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59]
서적
Panegyricus
[60]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61]
서적
Agricola
s:Agricola#3
[62]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63]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Vol. 1
https://web.archive.[...]
Fred de Fau and Co
2007-08-13
[64]
서적
Murison
[65]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Forum Nervae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9-22
[66]
웹사이트
The Nerva Statue
http://www.glouceste[...]
2007-09-30
[67]
웹사이트
Narnia italy
http://www.narnia.it[...]
2008-02-02
[68]
문서
고전 라틴어에서는 “MARCVS COCCEIVS NERVA CAESAR AVGVSTVS”라고 표기한다.
[69]
서적
Grainger (2003)
[70]
문서
아우렐리우스 빅토르는 연도를 35년으로 기록하고, 카시우스 디오는 30년으로 기록했다. 후자가 더 널리 받아들여졌다 (Wend, n. 2). 로널드 시메는 네르바의 후임직의 날짜가 35년과 더 일치한다고 생각했다. {{cite book |last=Syme |first=Ronald |title=Tacitus |location=Oxford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year=1958 |isbn=0-19-814327-3 |pages=653}} 참조
Oxford University Press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84]
논문
Domitian: The Last Years
[85]
서적
[86]
서적
[87]
웹사이트
The Lives of Twelve Caesars, Life of Domitian
https://penelope.uch[...]
[88]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89]
논문
On the Flavian Reliefs from the Palazzo della Cancelleria
http://www.jstor.org[...]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Roman Studies
2008-06-08
[90]
서적
Panegyricus
[91]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92]
웹사이트
Nerva (96?98 A.D.)
http://www.roman-emp[...]
2007-09-23
[93]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94]
서적
[95]
서적
Les Revers Monetaires de l'Empereur Nerva
http://www.inumis.co[...]
2007-08-14
[96]
논문
The 'Alimenta' of Nerva and His Successors
[97]
논문
The State of the Imperial Treasury at the Death of Domitian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Roman Studies
2007-09-22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9-22
[102]
웹사이트
The Lives of Twelve Caesars, Life of Domitian
https://penelope.uch[...]
[103]
웹사이트
Casperius Aelianus
http://www.livius.or[...]
livius.org
2007-09-22
[104]
웹사이트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105]
웹사이트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106]
문서
Crassus was exiled to Tarentum and later executed under emperor Hadrian.
[107]
웹사이트
Dio, LXVIII.1.3
https://penelope.uch[...]
[108]
웹사이트
Epitome de Caesaribus 12.8
http://www.roman-emp[...]
[109]
서적
Syme (1930)
[110]
문서
Pliny the Younger, Panygericus 7.4
[111]
논문
Guard Prefects of Trajan and Hadrian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Roman Studies
2007-09-23
[112]
웹사이트
Cassius Dio, Roman History LXVIII.4
https://penelope.uch[...]
[113]
논문
Second Thoughts on the Imperial Succession from Nerva to Commodu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4]
웹사이트
Epitome de Caesaribus 12.10
http://www.roman-emp[...]
[115]
서적
Jerome, Chronicle, Romans
[116]
웹사이트
Epitome de Caesaribus 12.11
http://www.roman-emp[...]
[117]
웹사이트
Epitome de Caesaribus 12.12
http://www.roman-emp[...]
[118]
문서
Pliny the Younger, Panegyricus 11.1
[119]
웹사이트
Cassius Dio, Roman History LXVIII.5
https://penelope.uch[...]
[120]
웹사이트
http://www.livius.or[...]
[121]
위키소스
Tacitus, Agricola 3
wikisource:Agricola#[...]
[122]
웹사이트
Epitome de Caesaribus 11.15
http://www.roman-emp[...]
[123]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Vol. 1
http://oll.libertyfu[...]
Fred de Fau and Co
2007-08-13
[124]
서적
Murison
[125]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Forum Nervae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9-22
[126]
웹사이트
The Nerva Statue
http://www.glouceste[...]
gloucester.gov.uk
2007-09-30
[127]
웹사이트
Narnia italy
http://www.narnia.it[...]
narnia.it
2008-02-02
[128]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https://books.google[...]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29]
서적
Grainger (2003)
[130]
웹사이트
n. 2
http://www.roman-emp[...]
[131]
서적
Syme (1982)
[132]
서적
Grainger (2003)
[133]
서적
Murison (1003)
[134]
서적
Murison (2003)
[135]
서적
Murison (2003)
[136]
서적
Jones (1992)
[137]
서적
Jones (1992)
[138]
서적
Jones (1992)
[139]
서적
Murison (2003)
[140]
서적
Murison (2003)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
[144]
저널
Domitian: The Last Years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penelope.uchi[...]
[149]
서적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
[150]
저널
On the Flavian Reliefs from the Palazzo della Cancelleria
[151]
서적
Panegyricus
[152]
서적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
[153]
웹사이트
Nerva (96–98 A.D.)
http://www.roman-emp[...]
2007-09-23
[154]
서적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
[155]
서적
[156]
서적
Les Revers Monétaires de l'Empereur Nerva
http://www.inumis.co[...]
2007-08-14
[157]
저널
The 'Alimenta' of Nerva and His Successors
https://zenodo.org/r[...]
[158]
저널
The State of the Imperial Treasury at the Death of Domitian
[159]
서적
[160]
서적
[161]
서적
[162]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penelope.uchi[...]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7-09-22
[163]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penelope.uchi[...]
[164]
웹사이트
Casperius Aelianus
https://www.livius.o[...]
2007-09-22
[165]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166]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167]
문서
크라수스는 타란토로 추방당했고 이후 하드리아누스 때 처형당했다.
[168]
서적
네르바가 자신의 음식들을 토해냈다고 묘사
http://penelope.uchi[...]
[169]
웹사이트
Pliny, Nerva and Trajan
https://www.livius.o[...]
2007-08-13
[170]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171]
서적
[172]
서적
Panygericus
[173]
저널
Guard Prefects of Trajan and Hadrian
[174]
서적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
[175]
저널
Second Thoughts on the Imperial Succession from Nerva to Commodus
[176]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177]
서적
Chronicle
[178]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179]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180]
서적
Panegyricus
[181]
서적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
[182]
서적
Agricola
[183]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184]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Vol. 1
http://oll.libertyfu[...]
Fred de Fau and Co
2007-08-13
[185]
서적
[186]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Forum Nervae
http://penelope.uchi[...]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7-09-22
[187]
웹인용
The Nerva Statue
http://www.glouceste[...]
2007-09-30
[188]
웹인용
Narnia italy
http://www.narnia.it[...]
2008-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