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동조합은 근로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 향상을 목표로 하는 자주적인 단체 또는 연합체이다. 법률상으로 노동조합은 노동자의 자주적인 단결체로 인정받으며, 노동 조건 유지 및 개선을 위해 조직된다. 노동조합은 조직 대상, 가입 유형, 특수 정체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직능별, 산업별, 기업별, 일반 노동조합 등으로 구분된다. 가입 유형에 따라서는 클로즈드 숍, 유니온 숍, 에이전시 숍, 오픈 숍 등이 있다. 또한 이주노동자, 청년 노동자 등을 위한 노동조합도 존재한다. 국제적으로는 국제노동조합연맹(ITUC)과 세계노동조합연맹(WFTU) 등의 연대 기구가 있으며, 대한민국에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노총)이 주요 연맹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동조합 - 파업
파업은 노동자들이 요구 관철을 위해 벌이는 단체 행동으로, 고대부터 역사가 깊으며, 목적, 방법, 주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사회적 기능과 비용을 함께 발생시킨다. - 노동조합 - 노동운동
노동운동은 산업 혁명 이후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자본가와 공권력에 저항하며 시작되었으며,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국제적인 연대를 통해 노동자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 노동에 관한 - 노동당
노동당은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활동하며, 국가별 정치·경제·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이념과 정책, 그리고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다. - 노동에 관한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노동관계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노동관계 - 피케팅
피케팅은 노동쟁의, 사회적 또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피켓을 들고 특정 장소에서 집회하는 시위의 한 형태로, 목적과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합법성은 국가별 법률 및 판례에 따라 다르지만, 폭력이나 불법 행위를 수반하는 경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노동조합 | |
---|---|
기본 정보 | |
개요 | |
정의 | 공동의 목표를 가진 노동자들의 조직 |
영어 명칭 | trade union, labor union, workers union |
관련 주제 | 노동운동 노동 기본권 노동쟁의 단체 교섭 파업 노동경제학 노동법 |
역사 | |
기원 | 산업혁명 시기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결집 |
발전 | 19세기 말, 20세기 초 급격한 성장 노동조합의 조직화 및 정치적 영향력 증대 |
유형 | |
산업별 노동조합 | 동일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로 구성 |
직종별 노동조합 | 동일 직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로 구성 |
기업별 노동조합 | 특정 기업에 소속된 노동자들로 구성 |
국가별 노동조합 | 각 국가의 노동 관련 법률 및 정책에 따라 조직 |
기능 | |
단체 교섭 | 사용자측과 임금, 노동 조건 등을 협상 |
조합원 권익 보호 | 부당해고, 임금 체불 등 노동자의 권리 보호 |
파업 | 노동 조건 개선을 위한 단체 행동 |
정치 활동 | 노동자 권익을 위한 법률 제정 및 정책 추진 |
국제 노동조합 | |
국제 노동조합 총연맹 | ITUC |
국제노동자협회 | IWA |
세계노동조합연맹 | WFTU |
한국의 노동조합 | |
주요 조직 | 한국노총 민주노총 전국연합 |
기타 | |
관련 용어 | 노사 관계 노동법 노동 경제학 노동 운동 |
2. 법률상 정의
노동조합의 법적 지위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대부분 노동자의 자주적 단결체로서 노동자의 이익 향상을 위한 조직으로 정의된다. 대한민국의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과 일본의 노동조합법은 모두 노동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노동 조건 개선 및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해 조직하는 단체로 정의하고 있다.[2]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노동조합을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근로조건의 유지·개선 기타 근로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조직하는 단체 또는 그 연합단체"로 정의한다.2. 2. 일본
일본 노동조합법은 노동조합을 "노동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노동 조건의 유지 개선 그 외 경제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조직 하는 단체 또는 그 연합 단체"로 정의한다.[2]3. 역사
노동은 선사시대 이래 계속되었으나, 산업화 이후 임금 노동자 계급이 출현하면서 기업가와 함께 산업사회의 주요 사회 집단이 되었다. 그러나 노동자들은 기업가에 비해 매우 불리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자본가와 국가에 맞서 집단적인 조직체를 통해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시키고자 하였다.[118]
시드니 웹에 따르면, 노동조합은 "노동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노동 조건의 유지, 개선 기타 경제적, 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조직하는 단체 또는 그 연합 단체"이다.[119] 노동조합은 노동운동의 조직적 기초이며, 직업·기업·산업별로 조직된다. 대부분의 노동조합은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 질서를 인정하면서 협상을 통해 노동자의 삶을 개선하고자 하지만, 마르크스주의 등에서는 노동조합을 자본가와 대립하는 노동자 진영의 주요 조직으로 본다.[120]
노동조합의 역사는 18세기 산업혁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여성, 아동, 농민 노동자, 이민 노동자가 다수 노동 시장에 참여하면서, 이들 비숙련 노동자들의 집단이 자주적으로 조직을 편성한 것이 노동조합의 기원이다.[95]
1820년대 영국은 18세기에 제정된 노동조합 금지 법률(단결엄금법)을 폐지하였고, 이후 유럽과 미국 등 산업화된 국가에서 노동조합 운동이 계속되었다. 1890년 무렵에는 서구 열강 대부분의 국가에서 노동조합이 합법화되었으며, 같은 해 5월 1일 프랑스 파리에서 첫 노동절 기념집회가 개최되어 노동조합의 달라진 위상을 보여주었다.[126]
산업화가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일본에서는 1912년 일본 노동운동 역사상 최초의 노동조합인 우애회(友愛會)가 설립되었고, 1925년에는 457개 노동조합에 25만여 명의 조합원이 가입되어 있었다.[127]
가톨릭교회는 19세기 말 교황 레오 13세가 회칙 「레룸 노바룸」을 통해 노동자 착취 문제에 대처하고 노동자가 타당한 권리와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사회에 요구하면서 노동조합을 승인했다.[97]
20세기에 들어 영국의 노동당, 독일의 사회민주당과 같이 노동조합의 지지를 기반으로 하는 정당들이 생겨나면서 노동조합의 영향력 역시 증대되었다. 1924년 영국에서는 노동당이 총선에서 승리하여 램지 맥도널드는 최초의 노동조합 출신 영국 총리가 되었다.[132] 1919년 국제노동기구가 설립되어 국제적인 노동 인권 문제를 다루기 시작하였다.[133]
1930년대 나치 독일이 사회민주당과 노동조합의 활동을 전면 금지하는 등, 독일에서는 노동조합 운동에 큰 위기가 있기도 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에서 나치가 패망한 이후 다시 활동을 시작하였다.[134]
3. 1. 초기 노동조합
산업혁명 이후 기계에 밀려 직조공과 같은 숙련 기술자들이 사라진 대신 비숙련 노동자들이 노동인구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초기 노동조합은 자본가와 국가의 탄압을 받았으며 법률적으로 엄금되었다. 최초의 노동조합은 17세기 영국에서 노동자들이 결성한 우애조합, 공제조합 등이었다. 영국 의회는 1799년 단결금지법을 제정하여 노동조합의 결성을 금지하였기 때문에 이들 조직은 비밀 결사의 형태를 띠었다. 초기 노동조합의 주요 활동은 일정한 조합비를 걷었다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지급하는 일종의 상호부조였다.[121]아카드의 사르곤(Sargon of Akkad)이 기원전 2334년경 아시리아와 수메르의 도시 국가들을 통합하여 단일 제국을 건설한 후, 사르곤의 손자인 나람신(Naram-Sin of Akkad)(기원전 2254~2218년경)은 각 도시의 장인 조합에서 사용하는 길이, 면적, 부피, 무게, 시간에 대한 공통 메소포타미아 표준을 공포했으며, 이는 세켈에도 적용되었다.[5]
함무라비 법전은 조선업자와 선주 간의 고용 계약, 용선자와 선장 간의 용선 계약에서 각각의 경우에 따른 일반 임금과 운임을 규정했다.[6][7][8][9][10]
1816년, 오스만 제국의 에얄레트(Eyalet)에 속한 이집트 미냐에서의 고고학 발굴에서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시대의 판이 발견되었다. 이 판은 약 133년경 하드리아누스 (117~138년) 통치 시대에 라누비움에 설립된 장례 조합 ''콜레기움''의 규칙과 회원비를 규정하고 있다.[11]
''콜레기움''은 고대 로마에서 법인으로 활동한 모든 협회를 의미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기원전 49~44년) 통치 시대에 제정된 ''율리아 법률''과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기원전 27년~서기 14년) 통치 시대의 재확인에 따라 ''콜레기움''은 법인으로 인정받으려면 로마 원로원이나 로마 황제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12]
2011년 9월, 로마의 인공 항구 포르투스 유적지에서의 고고학 조사에서 트라야누스 (98~117년) 통치 시대에 건설된 조선소에서 발견된 비문은 조선업자 조합의 존재를 보여주었다.[14] 로마의 라 오스티아 항에는 상선 선원들의 ''콜레기움''인 ''코르푸스 나비쿨라리움''을 위한 조합 건물이 있었다.[15]
3. 2. 미국 노동운동
산업혁명 이후 미국에서는 19세기 여러 단위 노동조합들이 만들어졌다. 자본가들은 노동조합 간부를 청부살인하는 등 악랄하고 극심한 탄압을 하였으나 노동운동은 계속 발전하였다.[122] 1869년 결성된 노동자 기사단은 후일 세계산업노동자로 개칭되었으며, 이 단체의 마더 존스와 같은 노동운동가들은 미국 노동운동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3. 2. 1. 탄압의 역사
산업혁명 이후, 노동조합은 자본가와 국가로부터 극심한 탄압을 받았다. 초기 노동조합은 법적으로 금지되었기 때문에 비밀 결사 형태로 운영되었다. 미국에서는 자본가들이 노동조합 간부를 청부살인하는 등의 극단적인 탄압을 자행하기도 했다.[122]

역사적으로 많은 (Anti-union violence) 사례가 기록되었고, 일부는 사망으로 이어지기도 했다.[38]
3. 2. 2. 8시간 노동제 쟁취
1886년 5월 1일 미국 시카고에서는 8만 명의 노동자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8시간 노동제를 요구하며 미시건 거리에서 파업 집회를 가졌다. 19세기 미국 노동자들은 10-12시간의 장시간 노동, 저임금, 임금 삭감으로 노동 인권을 존중받지 못하고 있었다. 석유 사업 및 탄광 사업가인 록펠러가 고용주인 슈일킬 탄광의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생존권과 관련된 문제인 임금 삭감에 항의하다가 주동자들이 교수형으로 처형되는 일도 있었다.[123] 즉, 8시간 노동제를 요구하는 파업은 노동자들이 노동 인권을 존중받기 위한 단결이었다. 이 날 노동자들은 평화적인 시위를 하였으나 경찰은 이들을 폭도로 몰아 탄압하였다. 이 과정에서 발포가 있었고 다수의 노동자들이 희생되었다. 당시 미국의 보수 언론들도 미국 정부의 노동운동 탄압을 정당화하기 위해 공산주의 딱지를 붙였다.[124] 이후 제2 인터네셔널은 이날을 노동절로 기념하게 되었고, 한국에서도 5월 1일을 노동절로 기념하고 있다. 이 사건은 큰 사회적 반향을 가져왔고 결국 노동자의 기본적 권리인 8시간 노동제가 실현되는 계기가 되었다.[125]3. 3. 유럽 노동운동
1820년대 영국은 노동조합을 금지하는 법률(단결엄금법, 18세기 제정)을 폐지하였고 노동조합 활동이 합법화되었다.[126] 이후 유럽과 미국 등 산업화된 국가에서 노동조합 운동이 계속되어 1890년 무렵에는 서구 열강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노동조합이 합법화되었다.[126] 1890년 5월 1일 첫 노동절 기념집회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어 노동조합의 달라진 위상을 보여주었다.[126]3. 4. 일본의 노동운동
산업화가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노동운동 역시 파급되었다. 동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산업화를 겪은 일본에서는 1912년 일본 노동운동 역사상 최초의 노동조합인 우애회(友愛會)가 설립되었고, 1925년 무렵에는 457개 노동조합에 25만여 명의 조합원이 가입되어 있었다.[127]3. 5. 한국의 노동운동
한국의 노동운동은 일제강점기부터 민주화 운동 시기까지 억압적인 환경 속에서도 노동자의 권익 신장을 위해 꾸준히 투쟁해왔다.일제강점기에는 1924년 조선노동총연맹이 출범하여 노동인권 쟁취와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1929년 원산총파업과 1930년 고무공장 노동자들의 파업 등 노동자들의 투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128][129][130]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여성노동자들을 중심으로 노동 인권 개선을 위한 노동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당시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단결함으로써, 시간외 수당 또는 초과노동수당을 주지 않는 착취 근절, 어용노조 폐지, 임금인상 투쟁 등을 실천하였다. 하지만, 2003년 1월 두산중공업의 노동자 배달호 열사가 분신자살을 하는 등 헌법에서 보장된 노동자의 기본적 권리인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이 자본에 의해 탄압되는 등 노동조합은 해결할 과제가 많이 있다.[131]
3. 5. 1. 일제강점기
1920년대 한국에서는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노동친목회, 노동회, 노우회와 같은 지역합동 노동조합이 생겨났다. 또한 인쇄공과 같은 숙련노동자들은 직업별 노동조합을 세웠다. 이러한 노동운동의 성장을 바탕으로 1924년 4월 조선노동총연맹이 출범하였다.[128]한국의 노동조합은 노동인권 쟁취를 위한 단결투쟁과 함께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 운동을 벌였다. 일제강점기 노동계에서는 부두에서 짐을 배로 실어나르는 노동자들이 임금삭감에 항의하여 파업투쟁을 하는 등 노동자들이 노동 인권을 쟁취하기 위한 투쟁이 활발하였다. 이러한 투쟁은 노동자들이 단결투쟁만이 노동 인권을 쟁취하는 수단임을 깨닫는 아주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28]
3. 5. 2. 원산투쟁
1929년 원산총파업은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노동운동으로,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저항의 성격을 띠었다.[129] 일제강점기 노동계에서는 부두에서 짐을 배로 실어나르는 노동자들이 임금 삭감에 항의하여 파업 투쟁을 하는 등 노동자들이 노동 인권을 쟁취하기 위한 투쟁이 활발하였다. 이러한 투쟁은 노동자들이 단결 투쟁만이 노동 인권을 쟁취하는 수단임을 깨닫는 아주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28]3. 5. 3. 고무공장 노동자들의 투쟁
1930년 고무공장 노동자들은 주주들이 15~20%의 배당이익을 챙기면서도 노동자 임금 10% 삭감을 결의하여 노동자들에게 희생을 강요한 것에 반발하며 파업투쟁을 하였다. 당시 노동자들은 130원의 저임금을 받아 3~4명의 가족을 부양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므로, 사용자들의 임금삭감은 곧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것이었다. 고무노조(위원장 김유창)는 단체교섭을 시도하였으나 거절당하자 파업투쟁으로써 단결투쟁을 하였다. 평양 고무공장 노동자들은 1930년 8월 7일 국제고무공장을 시작으로 11개 공장 1천800명의 노동자가 동맹파업투쟁에 들어갔다.[130]당시 사용자들과 경찰은 대체인력 투입, 빨갱이 딱지 붙이기, 활동가 체포, 용역 불량배를 통한 폭력으로써 노동자들의 생존권 투쟁을 방해하고 탄압했으나, 노동자들은 현장복귀 거부와 선전전으로써 저항하였다. 또한 강주룡은 모든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의미로 고공농성을 벌이기도 하였다.[130]
3. 5. 4. 1970년대-80년대
1970년대 노동자 특히 여성노동자들은 노동인권을 존중받지 못하였으므로,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단결함으로써 노동운동을 하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여성노동자들은 노동인권을 쟁취하여 갔다.[131]1980년대 노동자들도 단결하여 자신들의 권리를 쟁취하여 갔다. 당시 노동자들은 단결함으로써, 시간외 수당 또는 초과노동수당을 주지 않는 착취 근절, 어용노조 폐지(현대중공업), 한진중공업 노동자들의 불량도시락 거부투쟁(1986년), 임금인상 투쟁(현대중공업)등을 실천하였다. 하지만 노동조합 활동가에 대해 노무관리라는 구실로 회사에서 감시, 가압류, 임금에서의 불이익, 회유를 하였고, 2003년 1월 두산중공업의 노동자 배달호 열사가 분신자살을 하는 등 헌법에서 보장된 노동자의 기본적 권리인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이 자본에 의해 탄압되는 등 노동조합은 해결할 과제가 많이 있다.[131]
3. 6. 노동자의 정치참여
20세기에 들어 영국의 노동당, 독일의 사회민주당과 같이 노동조합의 지지를 기반으로 하는 정당들이 생겨나면서 노동조합의 영향력 역시 증대되었다. 1924년 영국에서는 노동당이 총선에서 승리하여 램지 맥도널드는 최초의 노동조합 출신 영국 총리가 되었다.[132] 1919년 국제노동기구가 설립되어 국제적인 노동 인권 문제를 다루기 시작하였다.[133]1930년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 독일이 사회민주당과 노동조합의 활동을 전면 금지하는 등, 독일에서는 노동조합 운동에 큰 위기가 있기도 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에서 나치가 패망한 이후 다시 활동을 시작하였다.[134]
노동조합과 정당의 관계는 다양하다. 많은 국가에서 노동조합은 좌파, 사회주의, 또는 사회민주주의 정당과 같이 노동 계급의 이익을 대표하기 위한 정당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거나 심지어 지도부를 공유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기독교 노조를 포함하여 많은 예외가 있다.[1] 미국에서는 노동조합이 민주당과 연합되어 있지만, 국제 팀스터 형제단이 여러 차례 공화당 후보를 지지하거나 전문 항공 교통 관제사 조직(PATCO)이 1980년 로널드 레이건을 지지하는 등 몇 가지 예외도 있다. 영국 노동조합 운동과 노동당의 관계는 노동조합이 노동자의 이익에 반한다고 보는 민영화 계획을 당 지도부가 시작하면서 악화되기도 했다. 그러나 노조의 표를 확보한 에드가 그의 형 데이비드 밀리밴드를 누르고 당 대표가 된 후 다시 강화되었다. 과거에는 우익 보수당 정책에 공감하지만 노동조합원이었던 사람들로 구성된 보수 노동조합원(CTU)이라는 단체가 있었다.
4. 유형
노동조합은 조직 대상, 가입 유형, 특수 정체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노동조합은 조직 대상을 기준으로 기업별 노동조합과 산업별 노동조합(산별노조)으로 나뉜다. 기업별 노동조합은 특정 기업의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결성되며, 현대중공업 노동조합[139]이 대표적이다. 산업별 노동조합은 동일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인권을 존중받기 위해 결성하며, 해당 산업 분야에서 일하거나 구직 중인 노동자, 관련 공부를 하는 노동자까지 가입할 수 있다.
조합원 가입 방식에 따라 클로즈드 숍, 유니온 숍, 에이전시 숍, 오픈 숍으로 구분된다. 각 유형별 특징은 아래 표와 같다.
유형 | 설명 |
---|---|
클로즈드 숍 | 노동조합 조합원 자격이 고용 조건이 되는 조직 형태. 영국은 이를 산업 종류에 관계없이 인정하지만, 미국은 테프트-하틀리 법에 의해 금지. 대한민국에서는 항운노조연맹이 클로즈드 숍으로 운영.[141][142] |
유니온 숍 | 채용된 노동자가 일정 기간 안에 노동조합에 가입해야 하는 형태. |
에이전시 숍 | 노동조합 가입은 자유지만, 조합원이 아닌 노동자도 조합비를 납부해야 하는 형태. |
오픈 숍 | 노동조합 가입 및 조합비 납부가 노동자의 자유 의사에 따라 결정되는 형태. 대부분의 노동조합이 이 형태로 운영.[140] |
대한민국에서는 이주노동자나 청년유니온과 같이 특정 집단의 권익 보호를 위한 노동조합도 존재한다. 민주노총 이주노동자 지회는 차별과 열악한 노동환경에 놓인 이주노동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활동하며, 청년유니온은 고용 형태나 소속 기업에 관계없이 가입할 수 있는 청년 노동자들의 조직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군대에도 노동조합이 있으며, 주로 병사와 부사관 위주로 구성된다. 쿠바혁명군의 풀헨시오 바티스타는 군인 노동조합 위원장이라는 직함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쿠바의 대통령이 되기도 했다. 군인 노동조합은 시위나 집회 때 무기를 지참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4. 1. 조직 대상에 따른 구분
노동조합은 조직 대상을 기준으로 여러 형태로 구분된다.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다.'''직능별 노동조합'''(craft union)은 노동조합의 초기 형태로, '''같은 직종의 숙련공'''들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이들은 숙련 노동력의 독점을 통해 노동 조건을 개선하려 했다. 초기에는 조합원 간 합의를 통해 노동 조건을 정하고,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노동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산업 발전에 따라 미숙련공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전략은 한계에 직면했다.[104] 오늘날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단체교섭과 쟁의행위를 통해 노동 조건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일반 노동조합'''(general union)은 직종이나 산업에 관계없이 모든 노동자를 조직 대상으로 한다.[103] 19세기 말 이후 영국에서 비숙련공을 조직하기 위해 발전했으며, 일본에서는 영세기업 노동자, 파트타임 노동자, 파견 노동자, 관리직 등 기업별 노동조합에서 소외된 노동자들을 조직하는 형태를 취한다.[104]
이 외에도, 현대중공업 노동조합[139]과 같이 산업별 노동조합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기업별 노동조합'''이 존재한다.
4. 1. 1. 산업별 노조
산업별 노조는 산별노조라고도 불리며, 동일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노동 인권을 존중받기 위해 만든 노조이다. 해당 산업 분야에서 일하거나 구직 중인 노동자, 또는 관련 공부를 하는 노동자까지 가입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산업별 노조는 직종에 관계없이 동일 산업에 속하는 노동자들을 모두 조직 대상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오늘날 서구 여러 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조직 형태이며, 단체교섭과 쟁의행위를 통해 노동 조건을 개선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단체교섭은 주로 산업별 노조와 사용자 단체 간에 이루어지며, 합의된 내용은 해당 산업에서 법규범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일본에서는 전일본해원조합이 대표적인 산업별 노조로 꼽히지만, 일본에서 산업별 노조는 흔하지 않은 형태이다.
4. 1. 2. 기업별 노조
기업별 노조는 특정 기업에 소속된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노동조합이다. 사업장 또는 기업을 단위로 하여, 직종에 관계없이 거기에 속하는 노동자를 일괄적으로 조직하는 형태이다.[103]현대중공업 노동조합[139]과 같이 산업별 노동조합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노동조합은 기업별 노동조합이 된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사용자가 노조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한 기업별 조직(황색노조)과의 투쟁이라는 역사 때문에 기업별 노조는 거의 볼 수 없다.[104] 산업별 노조와 비교하면, 해당 기업의 실태에 맞는 노사협상이 이루어지는 반면, 단체협상의 성과가 해당 기업 내에만 머무르기 때문에, 협상에 기업 간 경쟁을 촉진하는 힘이 약하다. 노조가 기업 의식에 지배되기 쉽고,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다른 노동조합과 연대하여 행동하기보다는 사용자와 협력하여 기업의 번영에 힘쓰는 행동을 취하기 쉽다. 그 결과, 노동 조건의 평준화라는 노조 본래의 기능 발휘에 있어 큰 한계를 갖게 된다. 또한, 기업별 노조에서는 실업자를 포함한 산업 분야의 노동자 전체에 대한 관심이 희박해진다.[105]
일본의 기업별 노조에서는 조합원의 자격을 해당 기업의 종업원(특히, 정규직이고 일정 이상의 직책자가 아닌 것)으로 제한하는 것(소위 '''역제한 조항''' 또는 '''역규정 조항''')을 규약으로 정하는 노조가 많다.[106]
제임스 아베그렌은 저서 『일본의 경영』(1958년)에서 기업별 노동조합을 종신고용, 연공서열과 함께 「일본식 경영의 삼종신기」라고 제시했다.
4. 1. 3. 일반 노조
일반노동조합(general union)은 직종이나 산업에 관계없이 모든 노동자를 조직 대상으로 한다.[103]19세기 말 이후 영국에서 비숙련공을 조직하기 위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일본에서는 영세기업에 분산되어 있는 노동자나, 파트타임 노동자·파견 노동자·관리직 등 기업별 노동조합에서 사실상 배제되어 있는 노동자를 조직하기 위해 취하는 형태이다.[104]
4. 2. 가입 유형에 따른 구분
노동조합은 조직 형태, 즉 조합원 가입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노동조합과 사용자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숍(shop)"은 노사 간의 다양한 약정과 합의를 맺는 "협약"을 의미한다.[103]유형 | 설명 |
---|---|
클로즈드 숍 | 노동조합 조합원 자격이 고용 조건이 되는 조직 형태이다. |
유니온 숍 | 채용된 노동자가 일정 기간 안에 노동조합에 가입해야 하는 형태이다. |
에이전시 숍 | 노동조합 가입은 자유지만, 조합원이 아닌 노동자도 조합비를 납부해야 하는 형태이다. |
오픈 숍 | 노동조합 가입 및 조합비 납부가 노동자의 자유 의사에 따라 결정되는 형태이다. |
일본에서는 사업장에서 조직된 노동조합이 해당 사업장 노동자 과반수를 대표하는 경우, 조합원임을 고용 조건으로 하는 단체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노동조합법 제7조 제1호 단서).
4. 2. 1. 클로즈드 숍
노동조합 조합원 자격이 고용 조건이 되는 조직 형태이다. 조합원 자격을 상실할 경우 고용 계약도 해지된다.[140] 이러한 제도는 산업별 노동조합이 존재하는 국가에서 주로 나타난다.[108]영국은 산업 종류에 관계없이 클로즈드 숍을 인정한다. 반면 미국은 1935년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와그너 법을 제정하여 클로즈드 숍을 인정하였으나, 1947년 테프트-하틀리 법에 의해 금지되었다.[141] 대한민국에서는 항운노조연맹이 클로즈드 숍으로 운영되고 있다.[141][142]
4. 2. 2. 유니온 숍
유니온 숍은 채용된 노동자가 일정 기간 이내에 노동조합에 가입하는 것이 의무적인 형태의 노동조합이다.[140] 유니온 숍 협정은 사용자가 노동자를 고용할 때, 노동조합 조합원이든 아니든 상관하지 않지만, 노동자는 입사 후 노동조합 규약에서 정한 기간 내에 조합원이 되어야 하는 제도이다. 이 기간 내에 조합원이 되지 않거나, 조합원 자격을 상실하면 사용자는 그 노동자를 해고해야 한다.[109]일본의 대기업에서 주로 유니온 숍 형태를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니온 숍은 해당 노동조합을 노동자의 유일한 교섭 대표로 인정하는 “유일 교섭 단체 조항”과 함께 체결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해당 노동조합은 사용자에 의해, 모든 노동자가 당연히 가입하는 해당 기업의 유일한 노동조합으로서 지위를 인정받는다.[109] 그러나 실제로는 조합원 자격을 잃더라도 고용에 대해서는 별도로 노사 간에 협의하여 결정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노동조합을 탈퇴했다고 해서 반드시 퇴직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 판례에서는 유니언 숍 협정 하에서 노동조합을 탈퇴한 경우, 노동자의 노동조합 선택의 자유 및 다른 노동조합의 단결권을 침해한다면 사용자의 해고 의무는 공서양속에 위반되어 무효이며, 다른 노동조합에 가입한 노동자는 해고되지 않는다고 본다.[110] 또한 과거에 노동조합을 탈퇴하지 않겠다는 특별한 합의가 있었더라도 “조합원은 탈퇴의 자유를 가진다”고 판시하였다.[111]
미국에서는 주에 따라 노동권법(Right-to-work law)을 적용하여 유니언 숍 제도를 금지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EU 지령이 발효되기 이전, 1980년대 대처 정부에 의해 유니언 숍 제도가 규제되었다.
4. 2. 3. 에이전시 숍
에이전시 숍은 노동조합 가입은 강제되지 않지만, 단체 교섭 당사자인 노동조합이 조합원이 아닌 노동자에게서도 조합비를 징수할 수 있는 형태의 노동조합이다.[140] 노동조합 가입은 노동자의 의사에 따르지만, 조합원이 아닌 사람도 단체교섭 비용과 고충 처리 비용은 회비로 지불해야 한다. 다만, 조합원이 아닌 사람은 그 외의 비용(예: 로비 활동 비용, 조합원에게만 주어지는 특권 비용)은 지불할 필요가 없다.4. 2. 4. 오픈 숍
노동조합 가입 여부와 조합비 납부가 노동자의 의사에 따라 이루어지는 형태의 노동조합이다.[140] 노동조합 조합원 여부를 고용 조건으로 하지 않으며, 기본적으로 조합원과 비조합원 간의 근로조건 등 처우에 차이가 없다.거의 대부분 노동조합은 오픈 숍 형태로 운영된다.[140] 일본에서는 국가공무원·지방공무원의 직원단체(민간 기업의 노동조합에 상당)에 대해서 오픈 숍이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국가공무원법 제108조의 5 제2항, 지방공무원법 제55조 제2항)
4. 3. 특수 정체성에 따른 노동조합
대한민국에서는 이주노동자나 청년유니온과 같이 특정 집단의 권익 보호를 위한 노동조합도 존재한다.[103] 이들은 차별, 열악한 노동환경 등 특수한 어려움에 직면하여, 자신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노동조합을 결성한다.4. 3. 1. 이주노동자 노조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은 노동자, 이른바 이주노동자들은 차별, 열악한 노동환경, 대한민국 정부의 출입국 정책 등으로 노동 인권을 존중받지 못하므로 민주노총 이주노동자 지회를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다.4. 3. 2. 청년유니온
대한민국에는 조합원 노동자의 연령에 일부 제한을 두는 대신, 고용 형태나 소속 기업과 관계없이 가입할 수 있는 노동조합이 있다. 대표적인 조직으로 청년유니온이 있다. 청년유니온은 상급단체를 두지 않고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노동조합이다.4. 4. 특이한 노동조합
일부 국가에서는 군대에도 노동조합이 있다. 군대 노동조합은 주로 병사와 부사관 위주로 구성되며, 장교는 가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군인 노동조합 위원장은 주로 중사나 상사 급의 군인이 맡는다.[1] 쿠바혁명군의 풀헨시오 바티스타는 '중사'라는 낮은 계급에도 불구하고 쿠바혁명군 노동조합 위원장이라는 직함 덕분에 쿠데타를 일으켜 헤라르도 마차도 당시 쿠바 대통령을 몰아내고 쿠바의 대통령이 될 수 있었다.[1] 군인 노동조합은 시위나 집회 때 개인화기, 공용화기, 군사 장비를 지참하지 않도록 규정한다. 무기를 지참하지 않아야 시위나 집회이며, 무기를 지참하면 쿠데타이기 때문이다.[1]4. 4. 1. 군인 노동조합
일부 국가에서는 군대에도 노동조합이 존재한다. 군대 노동조합은 주로 병사와 부사관 위주로 구성되며, 장교는 어지간하면 가입하지 않는다. 그래서 군인 노동조합 위원장은 주로 중사 내지는 상사 급의 군인이 맡는다.[1]쿠바혁명군의 풀헨시오 바티스타는 '중사'라는 매우 낮은 계급임에도 불구하고 쿠바혁명군 노동조합 위원장이라는 직함이 있었기 때문에 쿠데타를 일으켜서 헤라르도 마차도 당시 쿠바 대통령을 몰아내고 쿠바의 대통령이 될 수 있었다.[1]
군인 노동조합에서는 시위나 집회 때 개인화기 및 공용화기, 군사 장비는 일절 지참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아무 무기도 없이 시위나 집회를 하기 때문에 시위나 집회인 것이며, 무기를 지참했다면 시위나 집회가 아니라 쿠데타이다.[1]
5. 국제 연대
전 세계 노동조합은 국제 연대 기구를 통해 협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국제 노동조합 연대 기구로는 국제 노동조합 연맹(ITUC)과 세계 노동조합 연맹(WFTU)이 있다.[1]
5. 1. 국제노동조합총연맹 (ITUC)
2006년 11월 국제 자유 노동조합 연맹(ICFTU)과 세계 노동 연맹(WCL)이 합병하여 국제 노동조합 연맹(ITUC)이 결성되었다. 국제 노동조합 연맹은 151개국에서 305개의 국가별 노동조합과 1억 7,500만 명의 노동자가 가입하고 있는 전 세계 최대 노동조합 연대 기구이다. 또 다른 노동조합 국제 연대 기구로는 세계 노동조합 연맹(WFTU)이 있다.5. 2. 세계노동조합연맹 (WFTU)
세계노동조합연맹(WFTU)은 또 다른 노동조합 국제 연대 기구이다.6. 대한민국의 노동조합 연맹체
대한민국에는 노동운동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온 다양한 노동조합 연맹체가 존재해왔다. 과거에는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대한노총), 한국노동조합협의회(한노협),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 한국노동조합연맹(한노련) 등이 있었다. 현재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등이 활동하고 있다.
6. 1. 과거에 존재했던 노조 연맹
6. 2. 현재 존재하는 노조 연맹
대한민국에는 현재 다음과 같은 노동조합 연맹이 존재한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민노총, 민주노총)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한노총, 한국노총)
참조
[1]
서적
Industrial Relations: Origins and Patterns of National Diversity
Routledge
[2]
웹사이트
Industrial relations
https://ilostat.ilo.[...]
ILOSTAT
2018-10-09
[3]
논문
The Marxist View of the Labor Unions: Complex and Critical
https://onlinelibrar[...]
2013-00-00
[4]
웹사이트
Trade Union Census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1-07-27
[5]
서적
Civilizations of the Ancient Near East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6]
논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rchive.org/[...]
Records of the Past Exploration Society
2021-06-20
[7]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oll-resour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6-20
[8]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valon.law.y[...]
Yale Law School
2021-06-20
[9]
논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rchive.org/[...]
Records of the Past Exploration Society
2021-06-20
[10]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oll-resour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6-20
[11]
서적
The Documentary History of Insurance, 1000 B.C.–1875 A.D.
https://archive.org/[...]
Prudential Press
2021-06-15
[12]
학술지
D. 47,22, 1, pr.-1 and the Formation of Semi-Public "Collegia"
https://www.jstor.or[...]
2001
[13]
학술지
Roman military clubs and their social functions
[14]
뉴스
Huge Ancient Roman Shipyard Unearthed in Italy
http://www.livescien[...]
Future
2011-09-23
[15]
서적
Wage Labor and Guilds in Medieval Europ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6]
서적
The Constitution of the Roman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A History of Trade Unionism in the United States
MacMillan
[18]
웹사이트
Strike: Strikes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infoplea[...]
2023-08-09
[19]
서적
Through the prism of slavery : labor, capital, and world economy
https://www.worldcat[...]
Rowman & Littlefield
2004
[20]
학술지
Application of the Sherman Anti-Trust Act to Unions since the Apex Case
https://scholar.smu.[...]
1948-01
[21]
논문
Restraint of Trade. Sherman Anti-Trust Law. Liability of Labor Unions
1908
[22]
뉴스
The Guild and the Trade Union
https://news.google.[...]
1928-03-03
[23]
논문
Trades Unions and Socialism
http://www.marxists.[...]
2011-07-27
[24]
논문
"Let But One of Them Come before Me, and I'll Commit Him": Trade Unions, Magistrates, and the Law in Mid-Nineteenth-Century Staffordshire
2005-01
[25]
서적
History of Trade Unionism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26]
웹사이트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http://www.efm.bris.[...]
2014-11-06
[27]
논문
John Stuart Mill and the Economic Rationale for Organized Labor
https://www.jstor.or[...]
2011
[28]
백과사전
Trade union
http://www.britannic[...]
2024-03-13
[29]
논문
Trade union recognition legislation – Britain and America compared
1981
[30]
논문
Statutory Union Recognition in North America and the UK: Lessons for Australia?
2007
[31]
논문
Labour Law and Union Recognition in Canada: A Historical-Institutionalist Perspective
2013
[32]
뉴스
Why trade unions are declining
https://www.economis[...]
2021-05-11
[33]
웹사이트
Industrial relations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2018-10-09
[34]
웹사이트
Trade Union
https://stats.oecd.o[...]
2021-05-11
[35]
서적
Trade unions in Sweden: still high union density, but widening gaps by social category and national origin
https://portal.resea[...]
Peter Lang and Etui
2023
[36]
간행물
The Nordic Model of Industrial Relations: comparing Denmark, Finland, Norway and Sweden
https://lucris.lub.l[...]
Department of Sociology, Lund University and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tudy of Societies, Cologne
2023
[37]
웹사이트
The 10 Biggest Strikes in American History
https://web.archive.[...]
Fox Business
2011-08-09
[38]
보고서
Amnesty International report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5-09-23
[39]
논문
Trade Union Transformation and Informal Sector Organising in Uganda: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Promoting Labour-led Development
https://mulpress.mcm[...]
2024-07-24
[40]
웹사이트
See the website of the Danish discount union "Det faglige Hus"
http://www.detfaglig[...]
Danish
[41]
웹사이트
The economic and social processes that led to the revolt of the Polish workers in the early eighties
http://www.marxist.c[...]
2005-07-18
[42]
뉴스
Solidarność popiera Kaczyńskiego jak kiedyś Wałęsę
http://news.money.pl[...]
[43]
논문
Democracy or Oligarchy? Models of Union Governance in the UK, Germany and US
https://papers.ssrn.[...]
2017
[44]
웹사이트
Australian Centre for Industrial Relations Research and Training report
https://web.archive.[...]
Acirrt.com
2011-07-27
[45]
웹사이트
WFTU » History
http://www.wftucentr[...]
2014-01-21
[46]
웹사이트
International Trade Union Confederation
https://www.ituc-csi[...]
[47]
간행물
The role of German trade unions in the national and European standardisation process
https://web.archive.[...]
2004-06
[48]
서적
The Social Dimension – Employment Policy in the European Community
Macmillan Publishing
1993
[49]
서적
Industrial Relations and the Social Dimension of European Integration: Before and after Maastricht
Basil Blackwell Publishing
1994
[50]
서적
Module 3, Maritime & Port Wages, Benefits, Labour Relations. International Maritime Human Resource Management
2010
[51]
웹사이트
Freedom of Association/Trade Union Freedom
https://web.archive.[...]
2012-03-03
[52]
웹사이트
ECHR rules against Danish closed-shop agreements
http://www.eurofound[...]
Eurofound website
[53]
뉴스
How Elba Makes a Living Wage
https://web.archive.[...]
2023-07-07
[54]
논문
Labor Unions,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Economic Inequality
http://www.escholars[...]
2017
[55]
논문
Unions and Inequality over the Twentieth Century: New Evidence from Survey Data*
2021
[56]
논문
Unions and the Great Compression of wage inequality in the US at mid-century: evidence from local labour markets
2019
[57]
웹사이트
Unions and American Income Inequality at Mid-Century
https://web.archive.[...]
2019-02-12
[58]
서적
What Unions No Longer Do
Harvard University
[59]
논문
Unions, Norms, and the Rise in U.S. Wage Inequality
https://web.archive.[...]
2011-08
[60]
뉴스
Jake Rosenfeld explores the sharp decline of union membership, influence
http://www.washingto[...]
UW Today
2015-03-06
[61]
뉴스
As the Rich Get Richer, Unions Are Poised for Comeback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5-02-20
[62]
서적
The Price of Inequality: How Today's Divided Society Endangers Our Future
Norton
2012-06-04
[63]
간행물
Estimates of Union Density by State
Monthly Labor Review
2001-07-01
[64]
논문
The Right to Work, Power Resources, and Economic Inequality
https://www.journals[...]
2020-03-01
[65]
논문
Unions, Norms, and the Rise in U.S. Wage Inequality
https://doi.org/10.1[...]
2011-08-01
[66]
웹사이트
The Decline Of Unions Is Good News
https://www.hoover.o[...]
2023-08-14
[67]
논문
Union Density Effects on Productivity and Wages
https://academic.oup[...]
2020-10-16
[68]
논문
Employee workplace representation in Belgium: Effects on firm performance
[69]
논문
What do unions do for economic performance?
[70]
논문
The economic effects of labor unions revisited
[71]
논문
Union retreat and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the UK in the 1990s
https://www.research[...]
2003-02-17
[72]
논문
Union Retreat and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The UK Experience
https://www.tandfonl[...]
2007-03-15
[73]
간행물
Union wage effects
IZA World of Labor
2014
[74]
웹사이트
Will Automation Replace Jobs? Port Workers May Strike Over It.
https://www.nytimes.[...]
2024-09-02
[75]
웹사이트
Outsourcing, Unions, and Wages: Evidence from data matching imports, firms, and workers
http://www.eco.uc3m.[...]
2007-01-22
[76]
서적
Myth and measurement: The new economics of the minimum w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77]
서적
Price theory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78]
논문
Hayek on labor unions and restraint of trade
[79]
보고서
Seniority Rules and the Gains from Union Organization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80]
논문
After Citizens United: How outside spending shapes American democracy
2020-10-01
[81]
논문
Labor Unions and White Democratic Partisanship
https://doi.org/10.1[...]
2020-06-25
[82]
논문
Policy Feedback as Political Weapon: Conservative Advocacy and the Demobilization of the Public Sector Labor Movement
2018
[83]
논문
Reducing Unequal Representation: The Impact of Labor Unions on Legislative Responsiveness in the U.S. Congress
https://www.cambridg[...]
2020
[84]
논문
When Do Unions Matter to Social Policy? Organized Labor and Leave Legislation in US States
2020
[85]
논문
Who passes restrictive labour policy? A view from the States
https://www.cambridg[...]
2020
[86]
논문
Reducing Unequal Representation: The Impact of Labor Unions on Legislative Responsiveness in the U.S. Congress
2020
[87]
논문
When Do Unions Matter to Social Policy? Organized Labor and Leave Legislation in US States
2020
[88]
논문
Labor Unions and White Racial Politics
https://onlinelibrar[...]
[89]
논문
How Labor Unions Increase Political Knowledge: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https://doi.org/10.1[...]
2019-04-29
[90]
웹사이트
Why Unions Are Good — But Not Good Enough
https://jacobin.com/[...]
2023-08-14
[91]
논문
Public Sector Unions and the Costs of Government
https://escholarship[...]
2015
[92]
논문
Solidarity and disparity: Declining labor union density and changing racial and educational mortality inequities in the United States
2020
[93]
논문
Does 'right to work' imperil the right to health? The effect of labour unions on workplace fatalities
https://oem.bmj.com/[...]
2022-01-31
[94]
논문
労働組合論・労働組合政策についての一考察
1965-01
[95]
서적
History of Trade Unionism
Longmans and Co. London
[96]
간행물
OECD Employment Outlook 2018
OECD
[97]
웹사이트
Rerum Novarum: Encyclical of Pope Leo XIII on Capital and Labor
http://www.vatican.v[...]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1-07-27
[98]
법률
[99]
웹사이트
Trade Union
https://stats.oecd.o[...]
OECD
2021-05-11
[100]
뉴스
Why trade unions are declining
https://www.economis[...]
2021-05-11
[101]
간행물
OECD Employment Outlook 2017
OECD
2017
[102]
웹사이트
WFTU » History
http://www.wftucentr[...]
2022-01-25
[103]
판례
横浜地裁平成元年9月26日判決
[104]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05]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06]
법률문서
쇼와 32년 10월 8일 효고현 상공노동부장 앞 노동성 노정국 노동법규과장 통지
[107]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08]
법률문서
쇼와 22년 10월 13일 도토리현 교육민생부장 앞 노동성 노정국 노정과장 통지
[109]
웹사이트
平成27年 労使間の交渉等に関する実態調査 結果の概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10]
판례
「삼井창고항운사건」최고재판소 제1소법정 1989년 12월 14일 판결 노동판례 552호 6면
[111]
판례
「東芝労働組合小向支部事件」 最高裁判所第2小法廷2007年2月2日判決
2007-02-02
[112]
보고서
OECD/AIAS ICTWSS database
https://www.oecd.org[...]
OECD
2021-02
[113]
뉴스
Why America Needs Unions But Not the Kind It Has Now
http://www.businessw[...]
1994-05-23
[114]
서적
Myth and measurement: The new economics of the minimum w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115]
서적
Price theory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16]
간행물
給料はなぜ上がらない−−6つの仮説を読み解く【下】
http://www.toyokeiza[...]
2008-03-30
[117]
서적
資本主義と自由
日経BP社
2008
[118]
서적
산업사회학
경문사
1998
[119]
서적
History of Trade Unionism
Longmans and Co
1920
[120]
서적
산업사회학
경문사
1998
[121]
서적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
책과함께
2007
[122]
서적
마더 존스, 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여성
도서출판 녹두
[123]
서적
교실밖의 세계사
사계절
[124]
서적
교실밖의 세계사
사계절
[125]
서적
메이데이 100년의 역사
서해문집
2004
[126]
서적
세계사 이야기 2
가람기획
2003
[127]
서적
민주주의의 확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3
[128]
서적
교실밖의 국사여행
사계절
[129]
서적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사
서해문집
2004
[130]
뉴스
1930년 평양 고무공장 동맹파업
http://www.labortoda[...]
레이버투데이
[131]
뉴스
10일 찾은 두산중공업 노동자 분신 현장-`그는 우리에게 다시 일어서라 한다`
http://www.labortoda[...]
레이버투데이
2003-01-19
[132]
서적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
책과함께
2007
[133]
웹사이트
Origins and history
http://www.ilo.org/g[...]
[134]
서적
세계사 100장면
실천문학사
1998
[135]
일반
[136]
일반
[137]
웹인용
민주노총 금속노조 동부지회 누리집
https://web.archive.[...]
2011-06-05
[13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1-06-05
[139]
웹사이트
현대중공업 노동조합
http://www.hhiun.or.[...]
[140]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41]
서적
노동경제학
경문사
[142]
서적
노동경제학
교보문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