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이 네크라소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알렉세예비치 네크라소프는 1821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1878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한 러시아의 시인이다. 그는 농노제와 전제 정치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아 사회 변혁을 추구하는 작품들을 썼으며, 혁명적 민주주의 사상을 가진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농민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사회 부조리를 풍자하는 특징을 보이며, 주요 작품으로는 시집, 《누가 러시아에서 행복한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편집자 - 니콜라이 체르니솁스키
니콜라이 체르니솁스키는 러시아의 혁명적 민주주의자이자 유물론 철학자, 사회주의 이론가, 문학 비평가로서, 농노 해방 문제에 대한 급진적인 입장과 사회주의적 이상을 제시하며 러시아 인텔리겐치아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사상은 나로드니즘과 농업 사회주의의 토대가 되었다. - 니콜라이 네크라소프 - 코로베이니키
코로베이니키는 러시아 혁명 이전 보부상을 지칭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의 시에 곡을 붙인 러시아 민요로 테트리스 게임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어 세계적으로 알려지고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니콜라이 네크라소프 - 러시아에서는 누가 행복한가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의 미완성 서사시 '러시아에서는 누가 행복한가'는 농노 해방 후 러시아 사회의 모순과 민중의 고통을 비판적으로 묘사하며, 민속 요소를 활용하여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아 러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문학 평론가 - 니콜라이 도브롤류보프
니콜라이 도브롤류보프는 러시아의 혁명적 민주주의 사상가이자 문학 평론가로서, 문학 작품을 통해 사회 비판을 전개하며 러시아 사회 변혁 운동과 한국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문학 평론가 - 안드레이 벨리
안드레이 벨리는 러시아 상징주의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로, 소설 《페테르부르크》 등을 저술하고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등과 교류하며,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심취했다.
니콜라이 네크라소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니콜라이 알렉세예비치 네크라소프 |
출생 | 구력 1821년 11월 28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포돌리아 군 네미리우 |
사망 | 구력 1877년 12월 27일 (향년 56세) |
사망지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
직업 | 시인, 출판업자 |
국적 | 러시아 |
언어 | 러시아어 |
배우자 | 표클라 빅토로바 |
![]() | |
관련 정보 | |
로마자 표기 | Nikolai Alexeyevich Nekrasov |
2. 생애
니콜라이 네크라소프는 어린 시절 볼가강 연안의 세습 영지에서 성장했으며, 아버지의 강압적인 성격과 농노 학대 목격은 훗날 그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40년 첫 시집 《꿈과 울림》을 출간했으나 비사리온 벨린스키에게 낭만주의 모방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벨린스키와의 교류를 통해 러시아 현실의 혹독함에 눈을 뜨게 되었고, 1846년에는 농노제를 비판한 시 〈여행에서〉를 발표하여 벨린스키와 헤르첸의 극찬을 받았다.
1847년 파나예프와 함께 푸시킨이 창간한 잡지 《소브레멘니크(현대인)》를 인수하여 혁명적 민주주의 기관지로 만들었다. 《소브레멘니크》는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 니콜라이 도브롤류보프 등을 편집진으로 하여 비사리온 벨린스키를 비롯한 19세기 러시아 문학의 거장·비평가 대부분을 규합했다. 이반 투르게네프, 레프 톨스토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와 같은 작가들의 작품이 이 잡지를 통해 발표되었다. 1866년 《소브레멘니크》가 발행 금지되자, 1868년 살티코프셰드린과 함께 문학 잡지 《오테체스트벤니예 자피스키(조국의 수기)》를 인수하여 편집, 발행 활동을 이어갔다.
네크라소프는 1842년 아브도탸 파나예바를 만나 사랑에 빠졌고, 몇 년간의 기다림 끝에 1847년 그녀와 함께 살게 되었다. 파나예바는 이미 결혼한 상태였기 때문에, 이들의 관계는 당시 사회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파나예바는 네크라소프의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두 사람은 함께 소설을 쓰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의 관계는 순탄치 않았고, 잦은 갈등과 이별을 겪었다. 네크라소프는 파나예바에게 헌정하는 시를 많이 남겼는데, 이 시들은 그의 "파나예바 연작"으로 알려져 있다.
1863년 네크라소프는 프랑스 여배우 셀린 르프레스네와 연인 관계를 맺었고, 1870년에는 시골 소녀 피오클라 아니시모브나 빅토로바(지나이다 니콜라예브나)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지나이다는 네크라소프의 문학 비서 역할을 했으며, 1877년 네크라소프는 죽기 직전 그녀와 결혼했다.
말년에 네크라소프는 투르게네프, 톨스토이 등 자유주의자와 헤르첸 같은 혁명적 민주주의자, 체르니셰프스키처럼 사회주의에 접근한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난 의견 불일치로 고뇌했다. 1878년 1월 8일, 네크라소프는 장암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장례식에는 수천 명의 추모객이 모여들어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는 네크라소프를 알렉산드르 푸시킨, 미하일 레르몬토프 이후 가장 위대한 러시아 시인이라고 칭송했다.
2. 1. 초기 생애
니콜라이 네크라소프는 1821년 12월 10일 러시아 제국 포돌리아현 네미로프(현재의 우크라이나 빈니차주 네미리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지주 귀족 출신의 러시아 제국 육군 장교였으며, 어린 시절 볼가강 연안의 세습 영지에서 성장했다.[4]1832년 야로슬라블 김나지움에 입학했지만 중퇴하고, 1838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청강생으로 공부하며 극심한 빈곤 속에서 글을 썼다.[3] 그의 아버지 알렉세이 세르게예비치 네크라소프는 아들이 군인이 되기를 원했지만, 네크라소프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청강생으로 공부했다. 이 소식을 들은 아버지는 아들에 대한 송금을 끊었고, 네크라소프는 대학교를 중퇴하고 글을 쓰게 되었다.[3]
아버지의 강압적인 성격과 농노 학대 목격은 훗날 그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5]
2. 2. 문학 활동과 잡지 편집
니콜라이 네크라소프는 1840년 자신의 첫 시집인 《꿈과 울림》(Mechty i Zvuki)을 출간했다.[16] 그러나 이 시집은 낭만주의를 모방했다는 이유로 비사리온 벨린스키에게 비판받았다.[16] 하지만 벨린스키와의 만남은 네크라소프의 문학적 방향을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벨린스키는 네크라소프의 시에 나타난 사회 비판 의식과 사실주의적 묘사에 주목했고, 특히 1846년에 발표된 농노제를 비판한 시 〈여행에서〉(В дороге)는 벨린스키와 헤르첸의 극찬을 받았다.1843년 이후 여러 문집의 편집과 출판 경영을 시작하여 점차 성공을 거두었고, 1847년에는 파나예프와 함께 푸시킨이 창간한 잡지 《소브레멘니크(Sovremennik, 현대인)》의 발행인이 되어 혁명적 민주주의 기관지로 만들었다. 《소브레멘니크》는 체르니셰프스키, 도브롤류보프 등을 편집 동인으로 하여 벨린스키를 비롯한 19세기 러시아 문학의 거장·비평가 대부분을 규합했다. 이반 투르게네프, 레프 톨스토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와 같은 작가들의 작품이 이 잡지를 통해 발표되었다.[4]

1855년 네크라소프는 그의 첫 번째 시집 작업을 시작했고 1856년 10월 15일 ''N. 넥라소프의 시''가 출판되어 대중과 비평가들의 큰 찬사를 받았다.[4] 체르니셰프스키는 "열광은 보편적이다. 푸슈킨의 첫 시나 ''검찰관''이나 ''죽은 영혼''이 당신의 책만큼 성공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라고 당시 해외에서 치료를 받고 있던 넥라소프에게 편지를 썼을 정도였다.[19]
그러나 1866년 알렉산드르 2세 황제 암살 시도 사건을 계기로 《소브레멘니크》는 발행 금지 처분을 받았다.[12] 1868년, 네크라소프는 살티코프셰드린과 함께 문학 잡지 《오테체스트벤니예 자피스키(Otechestvennye Zapiski, 조국의 수기)》를 인수하여 편집, 발행 활동을 이어갔다.[4] 말년에는 투르게네프나 톨스토이 등의 자유주의자와 헤르첸과 같은 혁명적 민주주의자, 체르니셰프스키와 같이 사회주의에 접근한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난 의견 불일치를 겪기도 했다.
1861년 농노 해방령에 대해서는 "그것이 자유인가? 농민을 조롱하는 가짜에 가깝다"라고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21] 그의 시 〈자유〉("나는 안다, 그들은 오래된 그물 대신 새로운 그물을 발명했다...")[21]와 ''코로베이니키''(1861)는 이러한 그의 관점을 잘 보여준다.
2. 3. 투르게네프, 톨스토이와의 관계
1847년 푸시킨이 창간한 잡지 《동시대인》(Современник)의 발행인이 되어 혁명적 민주주의 기관지로 만들었다. 《동시대인》은 체르니셰프스키, 도브롤류보프 등을 편집 동인으로 하여 벨린스키를 비롯한 19세기 러시아 문학의 거장·비평가 대부분을 규합했으며, 투르게네프, 톨스토이도 여기에 포함되었다.[1]1866년 이 잡지가 발행 금지되자 1868년 《조국의 기록》(Отечественные записки)지의 발행권을 매입하여 죽을 때까지 편집·발행에 종사하며 진보 사상 운동의 합법적인 기관으로 삼았다. 말년에는 투르게네프, 톨스토이 등 자유주의자와 헤르첸 같은 혁명적 민주주의자, 체르니셰프스키처럼 사회주의에 접근한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난 의견 불일치로 고뇌했다.[1]
2. 4. 말년과 죽음
니콜라이 네크라소프는 수년 동안 만성적인 인후 질환을 앓았다.[9] 1876년 4월, 심한 통증으로 수개월 동안 불면증에 시달렸다. 당시 병의 정체를 확신하지 못했던 세르게이 보트킨 의사는 네크라소프에게 크림 반도로 가라고 권했다. 1876년 9월, 그는 얄타에 도착하여 《누가 러시아에서 행복한가》의 마지막 부분인 "온 세상을 위한 향연"을 계속 집필했다. 이미 1875년에 니콜라이 스클리포소프스키가 이끄는 저명한 의료회의에서 장암 진단을 내렸다.[22]1877년 2월, 전국 각지에서 급진적인 학생들이 죽어가는 그에게 도덕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얄타로 모여들기 시작했다. 화가 이반 크람스코이는 머물면서 시인의 초상화를 작업했다. 네크라소프가 만난 마지막 사람들 중 한 명은 수년간의 격렬한 불화 끝에 화해하기 위해 온 이반 투르게네프였다.[12] 1877년 4월 12일, 빈에서 초대한 테오도어 빌로트가 시행한 수술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지만 오래가지 않았다.[12]
니콜라이 알렉세예비치 네크라소프는 1878년 1월 8일에 사망했다. 장례식에는 4,000명이 참석했고, 노보데비치 묘지로 향하는 행렬은 정치 집회로 변했다.[12]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는 주요 조사를 맡아 네크라소프를 알렉산드르 푸시킨과 미하일 레르몬토프 이후 가장 위대한 러시아 시인이라고 불렀다. 군중 중 한 부분,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추종자들은 "아니, 그는 더 위대했다!"라고 외쳤다.[24] 토지와 자유 회원들과 다른 급진적인 단체들도 참석했다. 그의 장례식은 러시아 작가에게 주어진 가장 인상적인 인기 시위 중 하나였다.[25]
3. 사상과 작품 세계
네크라소프는 벨린스키에게 "밋밋하고 평범하다"는 혹평을 받은 첫 시집 『꿈과 소리』(Мечты и звуки)를 발표했지만,[5] 이후 벨린스키는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격찬했다.[13][33] 초기 시 "나는 어두운 밤거리를 달리는가…"는 파탄난 가정과 죽은 아기, 생계를 위해 몸을 파는 아내의 비극을 다뤄 투르게네프를 감동시켰고,[34] 그리고리예프와 로자노프는 이 시를 단순한 시 이상으로 평가했다.[7]
1856년 출판된 『N. 네크라소프의 시집』은 실제 사람들의 삶, '인민의 적' 풍자, '진짜와 가짜 인민의 친구' 비판, 사랑과 우정 등 다양한 주제를 정교하게 다루어 그를 유명하게 만들었다.[4] 1855년부터 1862년까지는 그의 문학적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로,[36] "정문 앞에서의 사색"은 러시아에서 금지되었으나 헤르첸의 『콜로콜』에 실렸고,[12] "예레무슈카를 위한 노래"는 혁명적 찬가로 불렸다.[4]
코로베이니키는 민요로 발전했으며,[4] "농민 아이들", "한 시간 동안의 기사" 등도 널리 알려졌다.[37] "붉은 코의 할아버지 서리"는 러시아 민족성을 찬양한 시로, 당시 러시아 지식인들의 일반적인 분위기와는 달랐다.[4]
1860년대 후반, 네크라소프는 떠오르는 러시아 자본주의와 그 부도덕한 추종자들을 비판하는 풍자시 『동시대인들』을 발표했고,[4] 살티코프-셰드린은 이 시의 힘과 현실성을 칭찬했다.[39] 1867년부터 1873년까지는 『러시아 어린이들을 위한 시』 연작을 발표했는데, "마자이 할아버지와 토끼들"과 "톱티긴 장군"은 현재까지도 러시아 어린이들에게 사랑받고 있다.[4]
1870년대에는 데카브리스트 봉기를 다룬 "할아버지"와 "러시아 여성" 2부작을 발표했다.[4][12] 1870년대 그의 시는 전반적으로 변화하여, 시인을 "진리, 사랑, 아름다움의 왕좌"를 섬기는 사제로 묘사하는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등장했고,[40] 블록의 선구자처럼 보인다는 평가도 있다.[4]
그의 마지막 미완성 서사시 『누가 러시아에서 행복한가?』는 일곱 농민이 행복을 찾아 러시아를 여행하는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그의 걸작으로 여겨진다.[4][9]
네크라소프는 농민에 대한 깊은 애정을 바탕으로 사회 비판적인 시를 썼으며, 그의 작품은 나로드니키를 비롯한 러시아 혁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보로딘, 무소르그스키 등이 그의 시에 곡을 붙이기도 했다.
3. 1. 혁명적 민주주의 사상
네크라소프는 19세기 러시아 사회를 지배했던 농노제와 전제 정치에 대한 비판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1850년대와 1860년대에 그는 젊은 혁명 동지인 체르니셰프스키와 도브롤류보프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 시에 정치적이고 사회 정의 지향적인 경향을 이끌었으며, 이는 젊은 급진적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4] 혁명가 시인 모로조프는 "러시아 학생들이 '대중과 합류'하려는 경향을 불러일으킨 것은 서구 사회주의가 아니라 젊은이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 있었던 네크라소프의 나로드니키(Narodnik) 관련 시였다"고 주장했다.[42]1860년, 소위 '네크라소프 학파'가 러시아 시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여 미나예프, 도브롤류보프, 니키틴, 쿠로치킨 등의 사실주의 시인들을 하나로 묶었다. 체르니셰프스키는 네크라소프가 "러시아 시의 역사에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칭찬했다.[4]
도스토예프스키의 첫 번째 편집자이자, 오랫동안 ''소브레멘니크(Sovremennik)''의 편집자 겸 출판인이었던 네크라소프는 ''소브레멘니크(Sovremennik)''를 통해 당시 러시아의 주요 문학 출판물로 만들어 창시자인 푸시킨의 유산을 계승했다.[7]
그러나 그의 동시대인들 중 보수주의자들은 그를 위험한 정치적 선동가로 여겼다. 불가린은 1846년 러시아 비밀 경찰 책임자에게 보낸 편지에 "네크라소프는 노골적인 공산주의자이다... 그는 공개적으로 혁명을 외치고 있다"라고 보고했다.[44]
우익과 중도우익의 공격에도 불구하고, 네크라소프의 명성은 더욱 강화되었고, 추코프스키가 주장했듯이 "급진적인 젊은이들의 정신적 지도자로서의 그의 위치를 더욱 강화했다".[49]
현대 러시아 학자들은 네크라소프를 19세기 러시아 시의 개척자로 여기며, 특히 러시아 모더니스트들에게 새로운 길을 열었다고 평가한다.[4] 마야콥스키는 1920년대 초에 '만능의 천재'로서 네크라소프가 새로운 소비에트 시에 완벽하게 어울릴 것이라고 제안했다.[55]
레닌은 그를 "위대한 러시아 사회주의자"[57]로 여겼고, 그의 유산을 인용하여 좌우의 적들을 비난했다. 소비에트 시대에 학자들은 '억압받는 자들을 위해 싸우고 부자들을 증오했던' '사회 민주주의 시인'으로 네크라소프를 찬양했다.[58]
그러나 네크라소프는 정교회 기독교와 '전통적인 러시아 민족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는 점에서, 사회주의자들과는 다른 면모를 보였다. 그의 시는 사회주의자들뿐만 아니라 자유주의자, 군주주의자, 민족주의자들도 감탄하고 많이 인용했다. 그의 여러 구절은 러시아에서 일반적인 금언이 되었다.[59]
3. 2. 농민에 대한 애정과 사실주의적 묘사
네크라소프는 러시아 농민들의 삶과 고통을 깊은 애정으로 관찰했으며, 이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농민을 단순한 연민의 대상이 아니라, 강인한 생명력과 도덕성을 지닌 주체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푸시킨에게서도 나타나는 농민에 대한 친근감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었다. 또한, 시인의 사회적 책임감을 강조하여 현실의 부정에 항의하는 형식의 시를 많이 창작했다. 그의 작품은 나로드니키에게 가장 사랑받았으며, 러시아 혁명가들의 정서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평가받았다. 마야코프스키, 예프투셴코와 같은 후대 시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60]3. 3. 여성 문제에 대한 관심
네크라소프는 러시아 사상의 변혁과 모순에 고뇌하며, 자신의 시에서 푸시킨에게도 있던 농민들에 대한 친근감을 더욱 예리하게 표현하고 시인의 사회적 책임감을 뚜렷하게 드러냈다.[1] 또한 현실의 부정에 항의하고 논쟁을 제기하는 형식을 많이 사용했다.[1] 그는 나로드니키에게 가장 사랑받는 시인이자 러시아 혁명가들의 정서를 대표하는 시인이었으며, 마야코프스키와 예프투셴코 등 후대 시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1]3. 4. 풍자와 비판
네크라소프는 러시아 사상의 변혁과 모순에 고뇌하며, 그의 시에서는 푸시킨에게도 있던 농민들에 대한 친근감을 더욱 예리하게 하고 시인의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뚜렷하게 했다. 논쟁을 걸고 현실의 부정에 항의하는 형식이 많은 것도 그 때문이다. 나로드니키에게 가장 사랑받고 러시아 혁명가들의 정서를 대표하는 시인이며, 후의 마야콥스키, 예프투셴코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사회에 대한 비판을 노래한 그의 시에는 보로딘(「저기 사는 놈들은」), 무소르그스키(「칼리스토라트」, 「예리오무시카의 자장가」) 등이 곡을 붙여 현재도 불려지고 있다.4. 주요 작품
- 고향(1846년)
- 《큰 현관 거리에서의 명상》(1858년)
- 철도(1864년)
- 《코가 빨개지는 추위》(1863년)
- 《병사의 어머니 오리나》(1863년)
- 러시아는 누구에게 살기 좋은가?(1863년 ~ 1876년)
- 러시아의 아내들(1872년 ~ 1873년)
참조
[1]
웹사이트
Nikolay Alekseyevich Nekrasov
https://www.britanni[...]
[2]
서적
History of Nineteenth-Century Russian Literature
Vanderbilt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Nekrasov
http://az.lib.ru/n/n[...]
Molodaya Gvardiya Publishers. ЖЗЛ (The Lives of Distinguished People) series
1971-01-13
[4]
웹사이트
Nekrasov, Nikolai Alekseyevich
http://az.lib.ru/n/n[...]
Russian Writers. Biobibliographical Dictionary. Vol. 2. Ed. P.A.Nikolayev. Moscow. Prosveshchenye Publishers.
2014-05-01
[5]
웹사이트
Nikolai Nekrasov. His Life and Works
http://az.lib.ru/j/j[...]
Florenty Pavlenkov’s Library of Biographies
2014-01-13
[6]
문서
Yakubovich's Dismissal of the Kidnapping Notion
[7]
웹사이트
Nekrasov, N.A. The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from Ancient Times to 1925. (Russian translation by R.Zernova)
http://az.lib.ru/n/n[...]
London: Overseas Publications Interchange Ltd, 1992.
2014-05-01
[8]
서적
Nekrasov N.A. Materials for Biography
The Works by N.A.Nekrasov in 8 vol.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Moscow. 1967.
[9]
웹사이트
Nekrasov, Nikolai Alexeyevich
http://www.rulex.ru/[...]
Russian Biographical Dictionary
1911
[10]
서적
The Works by A. Skabichevsky
Saint Petersburg
[11]
서적
Commentaries to N.A.Nekrasov's Autobiography. The Works by N.A.Nekrasov in 8 vol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Moscow
[12]
서적
N.A.Nekrasov's biography. Timeline. The Works by N.A.Nekrasov in 8 vol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Moscow. 1967.
[13]
서적
Literary Memoirs
Leningrad
[14]
문서
Definition of "Physiology" in 19th Century Literature
[15]
서적
[16]
문서
Panayev's Donation and Grigory Tolstoy's Unfulfilled Promise
[17]
서적
An Encyclopedia of Continental Women Writers, Volume 1
Taylor & Francis
[18]
서적
Nekrasov in The Whistle. Literary Heritage
The USSR Academy of Science
[19]
서적
The Complete N.Chernyshevsky
[20]
서적
The Complete Works by I.Turgenev in 28 volumes. Letters
[21]
서적
[22]
웹사이트
Nekrasov Nikolay Alekseevich. Literary Encyclopedia. Tome 7. (Ed.) Lunacharsky, A. V.
https://www.feb-web.[...]
OGIZ RSFSR, Encyclopedia of the Soviet Union
2023-04-16
[23]
서적
The Diary of a Writer
Russian Classics, Moscow
[24]
서적
The Diary of a Writer
Russian Classics, Moscow
[25]
웹사이트
Nekrasov, N.A. The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from Ancient Times to 1925
https://books.google[...]
(curtailed version) London: Overseas Publications Interchange Ltd
[26]
서적
The Life and Works of N. A. Nekrasov
[27]
서적
The Most Scandalous Triangles of the Russian History
Moscow, Astrel Publishers
[28]
서적
Russian Poetry in Music
Moscow
[29]
서적
N. A. Nekrasov and A. Y. Panayeva
[30]
문서
Poem excerpt
[31]
웹사이트
Nekrasov and Celine Lefresne-Potcher
http://www.newruslit[...]
Nauka Publishers, Saint Petersburg
2018-07-00
[32]
웹사이트
Fyokla Anisimovna Viktorova, alias Zinaida Nikolayevna Nekrasova
http://nekrasov.niv.[...]
Molodaya Gvardiya. The Lives of Distinguished People series.
[33]
서적
The Works by N.A.Nekrasov in 8 vol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Moscow
[34]
서적
Letters in 13 volumes
Moscow-Leningrad
[35]
서적
Notes to the Works by N.A.Nekrasov in 8 vol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Moscow
[36]
서적
Teachers and Precursors. Gogol
[37]
서적
Poems and Memoirs
1912
[38]
서적
The Complete N.A. Nekrasov
1952
[39]
문서
[40]
서적
Nekrasov. Contemporaries and Followers// Современники и продолжатели
[41]
서적
A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42]
서적
Stories of My Life // Повести моей жизни
1955
[43]
서적
[44]
간행물
One Episode in the Life of V.G. Belinsky. Days of the Past
1906
[45]
간행물
Moskvityanin
[46]
간행물
Moskvityanin
1855
[47]
간행물
Moskvityanin
1852
[48]
간행물
Otechestvennye Zapiski
1861
[49]
서적
Nekrasov the Master. The Works by Korney Chukovsky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1966
[50]
간행물
Otechestvennye Zapiski
1878
[51]
간행물
Slovo
1878
[52]
서적
Iskusstvo i Literatura //Art and Literature
1848
[53]
간행물
Novoye Vremya
1916
[54]
서적
Nekrasov and Pushkin. The Works by Korney Chukovsky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Publishers
1966
[55]
서적
[56]
웹사이트
Nekrasov's Enigma (The Arithmetics of Love collection)
http://az.lib.ru/g/g[...]
Rostok
2003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women composers
https://www.worldcat[...]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