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이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카는 645년 고토쿠 천황 즉위와 함께 제정된 일본 최초의 연호이다. 중국 연호 시스템에서 파생되었으며, '크게 교화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다이카 연호 사용은 일본이 동아시아 문화권에 편입되었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일본이 독자적인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제 사회에서 위상을 높이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다이카 시기에는 잇시 사건, 다이카 개신, 수도 천도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으며, 650년 하쿠치로 개원되었다.

2. 연호 제정

고교쿠 천황 4년(645년) 6월 19일(율리우스력 7월 17일) 고토쿠 천황 즉위에 맞춰 일본 최초의 연호인 '다이카'가 실시되었다.[1] 이는 중국 연호 시스템(연호)에서 파생된 것이다.[2]

일본서기』에는 "아메토요타카라시게히타라시히메노스메라미코토(天豊財重日足姫天皇)(고교쿠 천황) 4년을 고쳐 다이카(大化) 원년으로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다이카 연호의 시행 날짜는 사서에 따라 다르게 기술되어 있어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다. 『일본서기』에는 고교쿠 천황 4년 음력 6월 19일 (율리우스력 645년 7월 17일, 고토쿠 천황 즉위 5일 후) 이후 30일 이전에 공포되어, 다이카 원년 음력 7월 1일 (율리우스력 7월 29일)부터 시행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부상략기』나 『제왕편년기』에서는 "7월", 『겐코샤쿠쇼』에서는 "정월"(7월에 공포)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이카 6년 음력 2월 15일 (율리우스력 650년 3월 22일)에는 하쿠치로 개원되었다.

2. 1. 출전

서경 〈대고(大誥)〉편의 "肆予'''大化'''誘我友邦君"(사여대화유아우방군)에서 유래했다.[1] 이는 "크게 교화한다"는 뜻이다. 『한서』 권56에는 "백성이 이미 '''대화'''된 후에는 천하에 항상 한 사람의 옥사도 없었다"라는 구절이, 『송서』 권20에는 "신무(神武)가 굳세게 떨치고, '''대화'''가 모두 빛나다"라는 구절이 있다.

2. 2. 연호 사용의 의의

고교쿠 천황 4년(645년) 6월 19일(율리우스력 7월 17일) 고토쿠 천황 즉위에 맞춰 일본 최초의 연호인 '다이카(大化)'가 실시되었다.[1] 이는 중국 연호 시스템(연호)에서 파생된 것이다.[2]일본서기』에는 "아메토요타카라시게히타라시히메노스메라미코토(天豊財重日足姫天皇)(고교쿠 천황) 4년을 고쳐 다이카(大化) 원년으로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이카 연호의 시행 날짜는 사서에 따라 다르게 기술되어 있어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다. 『일본서기』에는 고교쿠 천황 4년 음력 6월 19일 (율리우스력 645년 7월 17일, 고토쿠 천황 즉위 5일 후) 이후 30일 이전에 공포되어, 다이카 원년 음력 7월 1일 (율리우스력 7월 29일)부터 시행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부상략기』나 『제왕편년기』에서는 "7월", 『겐코샤쿠쇼』에서는 "정월"(7월에 공포)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연호 사용은 일본이 독자적인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제 사회에서 위상을 높이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다이카라는 연호가 어느 범위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었는지, 그것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라는 지적도 있다.[13]

다이카 6년 음력 2월 15일 (율리우스력 650년 3월 22일)에는 하쿠치로 개원되었다.

3. 다이카 시기의 주요 사건

645년 나카노오에 황자소가노 이루카를 살해한 잇시 사건이 발생하고, 나니와나가라노토요사키노미야(難波長柄豊碕宮)로 천도하였다. 646년에는 개신을 위한 조칙을 공포하고, 다카무코노겐리를 신라에 파견하여 신라로부터 임나에 대한 조세를 폐지하게 하였다. 647년에는 7색 13계의 관위를 제정하고, 648년에는 이와후네노키(磐舟柵)를 축조하였다. 649년에는 관위 19계를 제정하고, 소가씨의 소가노 구라노야마다노이시카와노마로(蘇我倉山田石川麻呂)가 모반의 누명을 쓰고 야마다데라(山田寺)에서 가족과 함께 자결하였다.

3. 1. 다이카 개신 (645년)

나카노오에 황자소가노 이루카를 살해한 을사의 변(잇시 사건)을 계기로, 고토쿠 천황은 다이카 개신을 단행했다.[4] 개혁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645년(다이카 원년)'''
  • * 나니와나가라노토요사키노미야(나니와나가라노토요사키 궁)로 천도했다.[6]
  • * 동국 등의 고쿠시에게 호적 작성, 밭의 조사를 명령했다.
  • '''646년(다이카 2년)'''
  • * 개신의 조(다이카 개신의 조), 박장령을 발표했다.
  • * 개신을 위한 조칙을 공포했다.[5]
  • * 율령의 아이디어와 목표는 천황의 인가를 공식적으로 받은 일련의 조항에 기록되었다.[5]
  • * 일본을 8개의 주로 공식적으로 분할했다.[5]
  • * 정부 관리들의 직급을 19가지 종류의 공식 모자 또는 캡으로 구별하여 규제했다.[5]
  • * 조정에 정기적인 달력을 제정하여 특정 날짜에만 주요 조회를 개최하도록 했다.[5]
  • * 사법 지구를 만들고, 주요 도로에 경비 초소를 설치하고, 우편 릴레이 시스템을 마련하고, 산과 강이 만든 자연 경계를 따라 국가를 다스릴 수 있는 단위로 나누고, 각 주에 지사를 임명했다.[5]
  • * 운송인들이 부과할 수 있는 금액을 정했다.[5]
  • * 지구와 마을의 촌장을 임명했고, 처음으로 각 지역의 가구 수와 인구, 각 지역에서 징수할 세금, 그리고 전국 각지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제품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5]
  • * 백 가구마다 한 명의 아름다운 젊은 여성을 궁궐에 보내 봉사하도록 명령했다.[5]
  • * 매년 중앙 조정에서 한 명의 관리를 각 주에 보내 지사와 그들의 정부의 행위를 검토하도록 준비했다.[5]
  • * 국가 군대 또는 민병대의 필요를 충족시킬 창고와 무기고를 건설할 계획을 시작했다.[5]
  • * 우다이진 소가 야마다 이시카와 마로는 정부의 실수로 인한 모든 잘못이 발생하지 않도록, 또는 완화될 수 있도록 계획하는 임무를 특별히 맡았다.[7]
  • * 조정의 예절과 관습의 대부분이 수정되거나 만들어진 시기였다.[7]
  • * 나카노 오에-신노(신노케의 황족)와 셋쇼 나카토미노 카마타리는 일본을 더 좋고 강한 나라로 만들려는 의도로 이러한 조치와 기타 조치를 조언했다.[7]
  • '''647년(다이카 3년)'''
  • * 칠색 십삼계의 관위가 제정됨.
  • '''648년(다이카 4년)'''
  • * 이와후네노키(磐舟柵)를 축조하였다.[5]
  • '''649년(다이카 5년)'''
  • * 관위 십구계가 제정됨.
  • * 소가씨의 소가노 구라노야마다노이시카와노마로(蘇我倉山田石川麻呂일본어)가 모반의 누명을 덮어쓰고 야마다데라(山田寺)에서 가족과 함께 자살하였다.[7]
  • * 8개의 성과 100개의 국으로 구성된 새로운 정부 시스템(핫쇼 효칸)의 설립을 칙령으로 발표했다.[9]


다이카 개신은 일본 고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개혁의 내용과 실제 시행 정도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3. 2. 수도 천도 (645년)

고토쿠 천황645년 수도를 아스카(飛鳥)에서 나니와나가라노토요사키노미야(難波長柄豊碕宮)로 옮겼다.[6] 이는 다이카 개신 추진의 일환으로, 나니와는 오사카 만 근처에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고 국제적인 교류에도 유리한 곳이었기에 새로운 정치 중심지를 건설하여 왕권 강화를 꾀한 것으로 보인다.[6] 고토쿠 천황은 이곳에 새로 지은 나니와나가라노토요사키노미야(難波長柄豊碕宮)에서 정무를 보았다.[6]

3. 3. 외교

646년, 高向玄理|다카무코노 겐리일본어신라에 파견하여 신라로부터 임나에 대한 조공을 폐지하게 했다.[10] 이는 당시 신라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외교적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3. 4. 기타 사건


  • 647년: 누타리사쿠가 건설되었다.
  • 648년: 이와후네사쿠가 건설되었다.
  • 649년: 소가노 구라노야마다노이시카와노마로(蘇我倉山田石川麻呂일본어)가 모반 혐의로 야마다데라(山田寺)에서 가족과 함께 자결하였다.[5]

4. 다이카 연간 사망한 주요 인물


  • 원년
  • 9월 12일 - 고후토노오에노오지
  • 5년
  • 3월 17일 - 아베노우치마로
  • 3월 25일 - 소가노쿠라야마다노이시카와마로

5. 연표

다이카원년2년3년4년5년6년
서기645년646년647년648년649년650년
간지을사병오정미무신기유경술

참조

[1]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2]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3] 서적 Eccentric Spaces, Hidden Histories: Narrative, Ritual, and Royal Authority from the Chronicles of Japan to the Tale of the Heike https://books.google[...] 2007
[4] 서적 Jinnō Shōtōki 1980
[5] 웹사이트 p. 48. https://books.google[...]
[6] 웹사이트 Osaka, history http://www.city.osak[...] Osaka City 1979
[7]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8] 문서
[9]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11] 간행물 即位改元について http://www.kyotofu-m[...] 京都府埋蔵文化財調査研究センター 2010-12
[12] 간행물 年号制の成立と古代天皇制 https://hdl.handle.n[...] 明治大学史学地理学会 2016-02-29
[13] 간행물 日本の暦法と年号制 http://id.nii.ac.jp/[...] 津山工業高等専門学校 1982-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