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토미노 카마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카토미노 카마타리는 7세기 일본의 정치가로, 645년 나카노오에노미코와 함께 소가노 이루카를 암살하고 소가노 에미시를 자살하게 한 을사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그는 군사 지휘권을 얻었으며, 다이카 개신을 추진했다. 《만요슈》에 와카가 수록되어 있으며, 묘소는 나라현 단잔 신사에 있다. 카마타리는 덴지 천황으로부터 우네메를 하사받았으며, 아부야마 고분에서 그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이 발견되기도 했다. 그는 후지와라 씨의 시조이며, 다양한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14년 출생 - 설인귀
설인귀는 당나라 초기의 무장으로, 태종의 고구려 원정에서 시작해 고종 때까지 활약하며 공을 세웠고, 고구려 멸망 후 안동도호부 책임자가 되어 유민을 다스렸으나, 토번과의 전투 패배와 모함으로 유배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그의 용맹함과 지략은 후대에 널리 알려져 민간 설화와 연극의 소재가 되었고 한국에서는 감악산 산신으로 숭배받기도 한다. - 나카토미씨 - 가시마 신궁
가시마 신궁은 다케미카즈치노오오카미를 모시는 이바라키현 가시마시의 신궁으로, 고대부터 조정과 후지와라 씨의 숭배를 받았으며 가토리 신궁과 함께 군사적·교통상 요충지로 중시되어 왔고, 에도 시대 도쿠가와 쇼군가의 재건과 더불어 중요 문화재와 사적, 천연기념물, 요석, 미타라이케 등이 경내에 자리하고 있다. - 나카토미씨 - 조에
조에는 백제에서 당나라로 유학하여 신태 법사에게 가르침을 받고 일본으로 귀국했으나 그 해에 사망한 승려이다. - 669년 사망 - 대하굴가
당나라에 투항한 거란족 추장 대하굴가는 당 태종으로부터 이씨 성을 받아 이굴가로 개명하고 송막도독부 도독 겸 무극현 남작에 임명되어 당나라의 고구려 전쟁에 참전했으며, 그의 손자 이진충 또한 당나라에서 활약했다. - 669년 사망 - 쿰메네우스 알부스
쿰메네우스 알부스는 7세기 아이오나 수도원의 수도원장으로, 《더로 서》 제작에 관여하고 게일 교회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 콜룸바의 미덕에 관하여"를 저술하여 아돔난에게 영향을 주었다.
나카토미노 카마타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나카토미노 가마타리 |
출생 | 614년 |
사망 | 669년 11월 14일 |
사망 원인 | 알 수 없음 |
묻힌 곳 | 아부산 고분 대직관 신사 담산 신사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업적 | 후지와라 씨 창시, 645년 나카노 오에(후의 덴지 천황)와 함께 다이카 개신 시작 |
대표 작품 | 만요슈 및 가쿄 효시키의 시 |
배우자 | 가가미노 오키미(거울 왕녀) |
자녀 | 조에, 후지와라노 후히토, 히카미노 오토지, 오하라노 오토지, 미미노 토지 |
부모 | 나카토미노 미케코 |
친척 | 알 수 없음 |
관직 정보 | |
관위 | 대직관내대신 |
주군 | 고토쿠 천황 → 사이메이 천황 → 덴지 천황 |
가문 정보 | |
씨족 | 나카토미 씨, 후지와라 씨 |
아버지 | 나카토미노 미케코 |
형제자매 | 히사후토, 타레메 |
기타 정보 | |
개명 | 나카토미노 가마코 → 가마타리 →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
신호 | 담산 권현, 담산 대명신 |
묘소 | 아부야마 고분, 담산 신사 |
2. 약력
나카토미 우지(中臣氏) 출신으로, 선조는 아마노 코야네노 미코토(天兒屋命)이다. 아버지 나카토미노 미케코(中臣御食子)는 스이코 천황(推古天皇) 사후 다무라노 미코(田村皇子)를 추대하였고, 신지백(神祇伯)이라는 제관 관직을 맡았다. 나카토미 씨는 전통적으로 신토(神道) 제사를 담당하는 제관 가문이었으나, 소가 씨(蘇我氏)가 불교를 도입하면서 갈등을 겪었다.[58]
미나부치노 쇼안(南淵請安)에게 유학을 배우며 소가 씨 타도의 뜻을 품고, 나카노오에노미코(中大兄皇子, 훗날의 덴지 천황)의 측근이 되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호코지(法興寺)에서 여러 왕자들이 축국을 하던 중 나카노오에노미코가 신을 잃어버렸는데, 카마타리가 이를 주워 바치면서 두 사람이 친해졌다고 한다.
645년 을사의 변으로 소가노 이루카(蘇我入鹿)를 살해하고 소가 씨 정권을 무너뜨린 후, 우치노오미(內臣)에 임명되어 군사 지휘권을 쥐고 다이카 개신(大化改신)을 주도했다. 647년 새로운 관위 제도에서 다이킨칸(大錦冠)을, 649년 아베노 쿠라하시마로(阿部倉梯麻呂)와 소가노 구라야마다노 이시카와마로(蘇我倉山田石川麻呂)가 사망하거나 실각한 뒤 654년경에는 다이시칸(大紫冠)으로 승격했다.
669년, 덴지 천황으로부터 다이지쿠칸(大織冠)을 하사받고 우치노오오오미(內大臣)에 임명되었으며, 후지와라(藤原)라는 성을 받았다. 덴지 천황에게 "살아서 군국에 보탬된 것이 없었다"며 한탄했다고 전해지는데, 이는 백촌강 전투에서의 패배에 대한 책임감을 느꼈기 때문으로 보인다.[54]
2. 1. 을사의 변 (645년)
645년 나카노오에노미코와 소가노 쿠라야마다노 이시카와마로 등과 협력해 아스카(飛鳥) 이타부키노미야(板蓋宮) 태극전(太極殿)에서 삼한(三韓) 사신을 접대하던 소가노 이루카를 살해하고, 이루카의 아버지 소가노 에미시를 자살하게 했다(을사의 변).[58] 이후 소가씨가 오오키미(천황)로 옹립하려던 후루히토노오에노미코토(古人大兄皇子)를 밀어내고 나카노오에노미코의 아버지 가루노 미코(經皇子)를 오오키미(천황)로 즉위시켰다. 나카토미노 카마타리는 이 공로로 우치노오미(內臣)에 임명되었고, 소가노 쿠라야마다노 이시카와마로의 지원을 받아 군사 지휘권을 장악했다. (우치노오미는 정식 관직이 아닌 총신이나 참모를 의미한다.)당시 일본 정계는 소가 씨가 장악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한반도 국가, 특히 백제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는 소가 씨가 백제계 도래인이라는 설과도 관련이 있다. 나카토미노 카마타리는 소가 씨의 친백제적 성향에 반감을 품고, 한반도 국가와의 관계 재정립 및 일본 중심의 독자적 외교 노선을 추구했다. 나카노오에노미코와 함께 소가노 이루카를 암살하고 소가 씨 정권을 무너뜨린 을사의 변은 이러한 배경에서 발생했다.
2. 2. 다이카 개신 (645년 ~ 649년)
645년, 나카노오에노미코(훗날 덴지 천황)와 소가노 쿠라야마다노 이시카와마로 등과 협력하여 아스카(飛鳥) 이타부키노미야(板蓋宮) 태극전(太極殿)에서 당시 삼한의 사신을 접대하고 있던 소가노 이루카(蘇我入鹿)를 살해하고, 이루카의 아버지 에미시를 자살하게 하였다(을사의 변).[54] 이후 소가씨(蘇我)가 오오키미(천황)로 만들려던 후루히토노오에노미코토(古人大兄皇子)를 후보에서 끌어내리고 나카노오에노미코의 아버지 가루노 미코(經皇子)를 오오키미(천황)으로 옹립하였다. 그 공적으로 카마타리는 우치노오미(內臣)에 임명되었고, 소가노 쿠라야마다노 이시카와마로의 지원을 받아 군사지휘권을 쥐게 되었다.[54] (우치노오미는 총신이나 참모를 의미하는 정식 관직은 아니다.)그 뒤 다이카 개신을 추진하는 나카노오에노미코 측근으로서 보수파 좌대신(左大臣) 아베노 쿠라다마로(阿部倉梯麻呂), 우대신(右大臣) 소가노 구라야마다노 이시카와마로와 대립했다. 나카노오에노미코가 덴지 천황이 되어 다이카(大和)라는 일본 연호를 발표하였다. 647년의 새로 정해진 관위제도에서는 카마타리에게 다이킨칸(大錦冠)이 수여되었다. 649년에 쿠라하시마로와 이시카와마로가 각각 사망하거나 실각한 뒤 세력을 넓혀, 654년경에는 다이시칸(大紫冠)으로 승격했다.
2. 3. 백제와의 관계
660년 백제가 멸망한 후, 나카토미노 카마타리는 백제 유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정책을 펼쳤다. 663년 백강 전투(白江戦闘)에서 백제 부흥군을 지원하기 위해 파병했으나, 나·당 연합군에 패배하였다.[54] 이후 덴지 천황은 백제 유민들을 대거 일본으로 이주시키고, 그들에게 관직과 토지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백제 유민 수용 정책은 일본의 문화, 기술 발전에 기여했지만, 한편으로는 백제 유민 세력과 기존 일본 귀족 세력 간의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3. 와카(和歌)
《만요슈(万葉集)》에는 카마타리가 지은 와카 두 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나라 시대(奈良時代)의 후지와라노 하마나리(藤原浜成)가 지은 일본 최고(最古)의 와카 평론서 《가쿄효시키(歌経標式)》에도 카마타리가 지은 와카 한 수가 실려 있다.[5][6] 《만요슈》에 실린 와카는 카마타리 자신의 정실 가가미노 오키미(鏡王女)에게 보낸 것과, 우네메(采女) 야스히코(安見児)를 얻은 것을 기뻐하며 노래한 것이다.
> 나는 야스히코를 얻었도다 모두가 손에 넣지 못하리라 하던 저 야스히코를 얻었도다(われはもや安見児得たり皆人の得難にすとふ安見児得たり)
우네메(采女)란 야마토 각지의 호족들이 여관(女官)으로서 천황(天皇)에게 바친 여자로 알려져 있다. 천황의 아내가 될 자격을 지녔으며 신하의 신분으로 우네메를 부인으로 하는 것은 목숨을 건 금기 행위였는데, 카마타리의 경우는 당시 정권을 휘어잡던 소가씨를 기적적으로 살해하고 나카노오오에노미코를 덴지 천황으로 옹립하였기 때문에 덴지 천황으로부터 특별히 우네메를 하사받은 듯 하다. 노래에는 천황이 자신에게만 내린 특별한 허가에 대한 명예를 알리는 것이다.[7]
4. 묘소 및 제사
사후 카마타리는 지금의 나라현사쿠라이시 도우노미네(多武峯)의 단잔 신사(談山神社)에 모셔졌다. 또한 오사카부시조나와테시의 시노부가오카 신사(忍陵神社)의 제신(祭神)이기도 하다.[55]
《다무봉연기회권(多武峯縁起絵巻)》이라는 문헌에 따르면 카마타리가 처음 태어났을 때 어디선가 낫을 입에 문 흰 여우가 나타나 막 태어난 카마타리의 발 밑에 놓아두었으므로 아이의 이름을 「가마코(鎌子)」라고 짓게 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이 일화와 관련해 현재 단잔 신사에서는 낫을 입에 문 흰 여우의 그림이 그려진 부적을 판매하고 있다.
카마타리의 무덤은 확실하지 않은데,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実録)》 덴난(天安) 2년(858년)조에는 「도노 봉우리의 무덤을 카마타리의 무덤으로서 십릉사묘(十陵四墓)의 반열에 넣는다」는 기술이 있다.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중반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는 《다무봉략기(多武峯略記)》 등에는 「처음에는 셋쓰 국(摂津国)의 아이(安威, 지금의 오사카부 이바라키시 대직관 신사大織冠神社)에 묻었는데, 나중에 야마토 국(大和国)의 도노 봉우리로 이장되었다」는 기술이 있다.
1934년(쇼와 9년)에 오사카 부 이바라키 시 오지아이(大字安威)의 아부야마 고분(阿武山古墳) 발굴 중에 확인된 인골이 후지와라노 카마타리의 것이라는 설도 있다. 이 설에 따르면, 미라화된 인물은 강한 골격과 운동적인 체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골프 엘보를 가지고 있었다. 사망 원인은 말이나 높은 곳에서 떨어져 입은 척추와 요추 부상의 합병증으로, 폐렴 또는 요로 감염과 같은 2차 합병증을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10]
한편으로 《도지 가전》의 기술에 따라 지금의 교토시야마시나구의 어딘가에 카마타리의 무덤이 있다는 설도 존재한다. 그 설에 따르면 야마나시의 「오오쓰카(大塚)」라는 지명이 붙은 땅은 희미하게 솟아오른 지형으로서 그곳이 자연 언덕이 아닌 인공의 봉분, 즉 카마타리의 무덤이 소재해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5. 계보
中臣御食子|나카토미노 미케코일본어를 아버지로, 大伴智仙娘|오토모노 지센노 이라쓰메일본어(오토모노 쿠이코의 딸)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났다. 카마타리의 자(字)는 '두 번째 아들'이라는 뜻의 '仲郞|주로일본어'인데, 사료에 이름이 빠진 형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56]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나카토미노 미케코 | |
어머니 | 오토모노 지센노 이라쓰메 | 오토모노 쿠이코의 딸. 오토모 부인이라고도 불림. |
정실 | 가가미노 오키미(鏡王女) | ? ~ 683년, 처음에는 나카노오에노 미코의 비(妃)였음. |
부인 | 車持与志古娘|요시코노 이라쓰메일본어 | 車持国子|쿠루마모치노 쿠니코일본어의 딸. |
장남 | 조에(定惠) | 644년~665년, 승려로 출가. 속명(俗名)은 中臣眞人|나카토미노 마히토일본어. |
차남 | 후히토(不比等) | 659년~720년, 《尊卑分脈|손피빈먀쿠일본어》에는 요시코노 이라쓰메, 《興福寺縁起|고후쿠지 연기일본어》에는 가가미노 오키미 소생으로 되어 있음. |
딸 | 氷上娘|히카미노 이라쓰메일본어 | ?~682년, 덴무 천황의 부인. 但馬皇女|다지마노 히메미코일본어를 낳음. 《日本書紀|일본서기일본어》 天武紀|덴무키일본어에 의해 다른 자매인 五百重娘|이오에노 이라쓰메일본어보다는 언니임이 밝혀짐. |
딸 | 五百重娘|이오에노 이라쓰메일본어 | 덴무 천황의 부인. 니이타베 친왕의 어머니이며, 후에 후히토의 아내가 되어 후지와라노 마로를 낳음. |
딸 | 耳面刀自|미미모토지일본어 | 고분 천황의 부인. 壹志姫王|이치시히메노 오키미일본어를 낳음. |
딸 | 斗売娘|도메노 이라쓰메일본어 | 中臣意美麻呂|나카토미노 오미마로일본어의 부인. 中臣東人|나카토미노 아즈마히토일본어를 낳음. |
6. 대중문화 속 후지와라노 카마타리
참조
[1]
서적
World Encyclopedia
Heibonsha
[2]
서적
Japan Encyclopedia
[3]
백과사전
Fujiwara no Kamatari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10-27
[4]
백과사전
藤原 鎌足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10-27
[5]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Nakatomi," Nobiliare du Japon
Kelly & Walsh
[6]
서적
Encyclopedia Nipponica
http://worldcat.org/[...]
Shōgakkan
[7]
서적
The History of the Fujiwara House
Renaissance Books
[8]
Google books
[9]
웹사이트
藤原鎌足の墓説さらに強まる 阿武山古墳に最高級の冠帽
http://digital.asahi[...]
2013-12-14
[10]
웹사이트
中臣鎌足(藤原鎌足)
http://archives.pref[...]
2022-05-26
[11]
웹사이트
鎌足の隠居伝説を補強か 大阪の遺跡でゆかりの「れんが」
https://www.nikkei.c[...]
2022-05-26
[12]
서적
A History of the Japanese Peopl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Meiji Era
http://www.worldcat.[...]
Encyclopædia Britannica
[13]
서적
A topical history of Japan
Sub-Committee on Far Eastern Language Instruction of the Committee on Institutional Cooperation
1966
[1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15]
서적
平城宮兵部省跡
奈良文化財研究所
2005
[16]
서적
仲麻呂政権と藤原永手・八束(真楯)・千尋(御楯)
Hanawa Shobō (塙書房)
2006
[17]
서적
The Book of the Great Practice: The Life of the Mt. Fuji Ascetic Kakugyō Tōbutsu Kū
http://nirc.nanzan-u[...]
[18]
서적
藤原摂関家の誕生
吉川弘文館
2002
[19]
서적
Takashina Shoten
[20]
서적
藤原式家官人の考察
高科書店
1998
[21]
서적
日本史の影の主役藤原氏の正体: 鎌足から続く1400年の歴史
PHP研究所
2013
[22]
웹사이트
http://www.asahi-net[...]
[23]
서적
http://www.koshien-c[...]
Ohfu
[24]
간행물
[25]
서적
Japan Encyclopedia
[26]
서적
校倉書房
[27]
서적
吉川弘文館
[28]
서적
中公文庫
[29]
서적
吉川弘文館
[30]
서적
吉川弘文館
[31]
서적
吉川弘文館
[32]
서적
"Japan Encyclopedia."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al dictionary of Japan.
Tokyo: Librarie Sansaisha.
[34]
서적
"Gukanshō: The Future and the Past."
https://books.googl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5]
서적
Japanese Culture. Fourth Edition.
Honolulu, HI: University of Hawai'i Press.
[36]
서적
The University of Nagoya Press
[37]
서적
日本史諸家系図人名辞典
Kodansha
[38]
서적
大日本史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Stanford University Press
[42]
문서
The World Turned Upside Down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尊卑分脈
吉川弘文館
[46]
서적
尊卑分脈
吉川弘文館
[47]
서적
尊卑分脈
吉川弘文館
[48]
서적
大乗院日記目録
[49]
서적
尊卑分脈
吉川弘文館
[50]
웹사이트
http://nekhet.ddo.jp[...]
2007-09-09
[51]
웹사이트
http://nekhet.ddo.jp[...]
2007-08-18
[52]
서적
日本架空・伝承人名事典
平凡社
[53]
서적
大鏡
[54]
서적
藤氏家伝を読む
吉川弘文館
[55]
뉴스
藤原鎌足の墓説さらに強まる 阿武山古墳に最高級の冠帽
http://www.asahi.com[...]
2013-12-10
[56]
서적
大化改新―六四五年六月の宮廷革命―
中央公論社
[57]
문서
興福寺縁起
[58]
문서
실제로 그러한 관직에 있었다고 직접적으로 기재한 기록은 없지만 고쿄쿠 천황 3년([[644년]]) 아들 카마타리가 신지백에 취임하는 것을 사퇴한 것으로 보아 미카코도 생전에 그러한 관직을 맡았을 가능성이 있다.
[59]
문서
지금의 나라현 가시하라시
[60]
문서
지금의 나라 현 아스카무라(明日香村)
[61]
문서
지금의 이바라키현 가시마시
[62]
문서
《도지 가전》에는 오카모토노 스메라미코토(崗本天皇, [[조메이 천황]])가 즉위한 때([[629년]])로 되어 있지만 《일본서기》 ・ 《도지 가전》 모두가 잘못 기록해서 노치노오카모토노 스메라미코토(後崗本天皇, 고쿄쿠 천황)가 즉위한 때(642년)로 적었다는 설도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