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클로로메테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클로로메테인(DCM)은 산업적으로 클로로메테인 또는 메테인과 염소를 반응시켜 생산되는 유기 염소 화합물이다. 휘발성이 강하고 다양한 유기 화합물을 녹이는 용매로 널리 사용되며, 페인트 제거제, 접착제 제거제, 식품 산업의 디카페인 공정, 에어로졸 분사제, 폴리우레탄 폼 발포제 등으로 활용된다. 일부 바닷말과 화산, 습지 등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산업 활동으로 인해 배출된다. 다이클로로메테인은 중추신경 억제, 발암성, 심장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여러 국가에서 규제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체 용매 연구와 사용 제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로로알케인 -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은 화학식 CHCl3을 갖는 무색의 휘발성 액체 유기 화합물로, 마취 효과가 있어 과거에 마취제로 사용되었으나 독성 문제로 현재는 냉매 생산, 유기 용매 등으로 사용되며, 발암 가능성과 유독 물질 생성 위험으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고 사용을 줄이는 추세이다. - 클로로알케인 - 클로로에테인
클로로에테인은 화학식 C2H5Cl를 갖는 할로젠화 알킬로, 과거 테트라에틸납 생산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에틸 셀룰로스 합성, 국소 마취제, 오락용 흡입제 등으로 사용되며 폭발성과 마취 작용의 위험이 있다. - 오존층 파괴 -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CFC)는 냉매, 발포제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규제되어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수소염화불화탄소(HCFC), 수소불화탄소(HFC) 등의 대체 물질이 개발되었다. - 오존층 파괴 - 몬트리올 의정서
몬트리올 의정서는 오존층 파괴 물질의 생산과 소비를 규제하여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 협약으로, 프레온, 할론 등의 규제 강화 및 대체 물질 사용 장려를 목표로 하며, 런던, 코펜하겐, 몬트리올, 베이징, 키갈리 개정을 통해 규제 대상 물질을 확대해왔다. - 할로메테인 -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은 화학식 CHCl3을 갖는 무색의 휘발성 액체 유기 화합물로, 마취 효과가 있어 과거에 마취제로 사용되었으나 독성 문제로 현재는 냉매 생산, 유기 용매 등으로 사용되며, 발암 가능성과 유독 물질 생성 위험으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고 사용을 줄이는 추세이다. - 할로메테인 -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CFC)는 냉매, 발포제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규제되어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수소염화불화탄소(HCFC), 수소불화탄소(HFC) 등의 대체 물질이 개발되었다.
다이클로로메테인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IUPAC 명칭 | 다이클로로메테인 |
다른 이름 | 염화 메틸렌 이염화 메탄 메틸렌 클로라이드 나르코틸 아에로텐 MM 솔메틴 솔라에스틴 메틸렌 다이클로라이드 다이클로 프레온 30 R-30 DCM UN 1593 MDC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75-09-2 |
EINECS 번호 | 200-838-9 |
PubChem CID | 6344 |
日化辞 번호 | J2.389B |
ChemSpider ID | 6104 |
UNII | 588X2YUY0A |
ChEMBL | 45967 |
ChEBI | 15767 |
KEGG | D02330 |
RTECS 번호 | PA8050000 |
SMILES | ClCCl |
InChI | 1S/CH2Cl2/c2-1-3/h1H2 |
InChIKey | YMWUJEATGCHHMB-UHFFFAOYAG |
물성 | |
분자식 | CH2Cl2 |
몰 질량 | 84.93 g/mol |
외관 | 무색 액체 |
냄새 | 클로로폼 유사 |
밀도 | 1.3266 g/cm³ (20 °C) |
녹는점 | -96.7 °C (176.5 K) |
끓는점 | 39.6 °C (312.8 K) |
용해도 (물) | 25.6 g/L (15 °C) |
증기압 | 57.3 kPa (25 °C) |
굴절률 | 1.4244 (20 °C) |
점성 | 0.43 cP (20 °C) |
헨리 상수 | 3.25 L·atm/mol |
자화율 | -46.6·10−6 cm³/mol |
LogP | 1.19 |
쌍극자 모멘트 | 1.6 D |
열화학 | |
열용량 | 102.3 J/(mol·K) |
엔트로피 | 174.5 J/(mol·K) |
생성 엔탈피 | -124.3 kJ/mol |
연소열 | -454.0 kJ/mol |
유해성 | |
GHS 그림 문자 | ' ' |
신호어 | 경고 |
H 문구 | H315, H319, H335, H336, H351, H373 |
P 문구 | P261, P281, P305+P351+P338 |
NFPA 704 | 건강: 2 화재: 1 반응성: 0 |
인화점 | 없음 (약 100 °C 이상에서 가연성 증기-공기 혼합물 형성 가능) |
자연 발화점 | 556 °C |
노출 기준 (PEL) | 25 ppm (8시간 시간 가중 평균), 125 ppm (15분 단시간 노출 기준) |
즉시 생명 및 건강에 위험한 농도 (IDLH) | Ca [2300 ppm] |
권장 노출 기준 (REL) | Ca |
LD50 (쥐, 경구) | 1.25 g/kg |
LD50 (토끼, 경구) | 2 g/kg |
폭발 한계 | 13%-23% |
눈 자극 | 자극성 |
LC50 (쥐, 30분) | 24,929 ppm |
LC50 (생쥐, 7시간) | 14,400 ppm |
LCLo (기니피그, 2시간) | 5000 ppm |
LCLo (토끼, 7시간) | 10,000 ppm |
LCLo (고양이, 4.5시간) | 12,295 ppm |
LCLo (개, 7시간) | 14,108 ppm |
법적 규제 현황 | |
브라질 | B1 |
브라질 설명 | Anvisa의 RDC Nº 784 - 특별 통제 하에 있는 마약, 향정신성, 전구 물질 및 기타 물질 목록 |
2. 제조
클로로메테인 또는 메테인과 염소 기체(Cl2)를 400–500°C의 고열에서 반응시켜 다이클로로메테인을 얻는다. 이 온도에서 아래와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61]
:CH4 + Cl2 → CH3Cl + HCl
:CH3Cl + Cl2 → CH2Cl2 + HCl
:CH2Cl2 + Cl2 → CHCl3 + HCl
:CHCl3 + Cl2 → CCl4 + HCl
반응 결과물은 클로로메테인, 다이클로로메테인, 클로로포름, 사염화 탄소가 섞인 혼합물과 HCl이다. 이 물질들은 상대 휘발도의 차이를 이용한 증류를 거쳐 분리한다.
1993년 기준으로 미국, 유럽, 일본에서 연간 400000ton의 다이클로로메테인을 생산하였다.[61] 2016년 일본의 다이클로로메테인 국내 생산량은 51874ton, 산업 소비량은 7759ton이다.
2. 1. 역사
다이클로로메테인은 1839년 프랑스 화학자 앙리 빅토르 레뇨(1810–1878)가 염화메탄과 염소의 혼합물을 햇빛에 노출시켜 처음으로 분리하였다.[12]2. 2. 자연 발생
일부 바닷말에는 다이클로로메테인이 자연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화산 인근과 습지에서도 채집된다.[63] 다이클로로메테인의 자연적 발생원으로는 해양, 대형 조류, 습지, 화산 등이 있다.[11] 하지만 환경에 존재하는 다이클로로메테인의 대부분은 산업 배출의 결과이다.[63][11]3. 이용
다이클로로메테인은 여러 유기 화합물을 녹이는 성질과 휘발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다이클로로메테인은 이세레늄화 탄소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65]
오존층 파괴 문제로 일부 프레온류가 제조 금지된 이후, 금속 기기 세척제의 대체 물질로서 금속 가공업을 중심으로 대량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PRTR법 규제 물질로서 대량 사용자는 구매량, 폐기량 및 환경 방출량 보고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대기 중 방출량은 줄일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맞춰, 대체 용매(초임계 이산화 탄소, 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등)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환경 대책, 염소 프리 관점에서, 대학, 기업, 연구 기관 등은 자율적으로 다이클로로메테인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가능한 한, 다른 용매를 사용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업자를 통해 사용된 다이클로로메테인의 회수·재활용·재이용도 이루어지고 있다.[47]
3. 1. 용매
다이클로로메테인은 휘발성이 강하고 다양한 유기 화합물을 녹일 수 있어서 여러 화학 공정에서 용매로 쓰인다.[61] 산성 조건에서도 안정하여 프리델-크래프츠 반응 등 루이스 산을 사용하는 반응, 산 염화물을 사용하는 아실화 반응, 스와온 산화 등의 산화 반응에도 자주 사용된다.페인트 제거제나 접착제 제거제[66], 부품 세척제로 널리 쓰이며,[67] 식품 산업에서는 커피와 차의 디카페인 공정에 사용되고,[68] 맥주의 원료인 홉의 향미를 뽑아낼 때도 용매로 쓰인다.[69]
DIY에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를 용착할 때 접착제로 사용된다.[48]
3. 2. 식품 산업
커피와 차의 디카페인 공정과 맥주의 원료인 홉의 향미를 추출하는 데 용매로 쓰인다.[68][69][13][14]3. 3. 기타 응용
다이클로로메테인은 낮은 끓는점을 이용하여 "물 먹는 새"와 같은 열기관 장난감에 사용된다.[15] 플라스틱 접합에도 쓰이는데, 특히 전기 계량기 케이스를 밀봉하는 데 사용된다. 모형 제작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도 플라스틱 부품 접합에 널리 사용한다.[48]토목공학에서는 아스팔트나 매캐덤 도로 재료 시험에 사용된다. 아스팔트나 매캐덤에서 역청질 재료의 골재로부터 바인더를 분리하는 용매로 사용되어 재료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16]
에어로졸 분사제 및 폴리우레탄 폼의 발포제로도 사용된다.[10] 의류 인쇄 산업에서는 열접착 의류 전사 제거에 사용된다.
4. 화학 반응
다이클로로메테인은 비교적 불활성이지만, 특정 강한 친핵체와 반응하기도 한다. tert-뷰틸리튬은 다이클로로메테인(DCM)을 탈양성자화한다.[18]
메틸리튬은 염화 메틸렌과 반응하여 클로로카벤을 생성한다.
DCM은 유기 화학 실험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매이며 불활성으로 간주되지만, 일부 아민 및 트리아졸과 반응한다.[19] 3급 아민은 DCM과 반응하여 멘슈트킨 반응을 통해 4급 클로로메틸 염화물 염을 형성할 수 있다.[20] 2급 아민은 DCM과 반응하여 이민 염화물과 클로로메틸 염화물의 평형을 생성하며, 이는 2급 아민의 두 번째 당량과 반응하여 아미날을 형성할 수 있다.[21] 온도가 상승하면 피리딘, DMAP을 포함하여, DCM과 반응하여 메틸렌 비스피리디늄 디클로라이드를 형성한다.[22]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과 펩타이드 결합에 사용되는 관련 시약은 트리에틸아민 존재 하에서 DCM과 반응하여 아세탈을 형성한다.[23]
5. 독성 및 규제
다이클로로메테인은 중추신경 억제, 피부 자극, 간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간 노출 시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른 관리 물질로 규정하고 노출기준을 설정하고 있다.[73]
유럽 연합 직업 노출 한계 값에 대한 과학 위원회(SCOEL)는 다이클로로메테인에 대해 100ppm(8시간 시간 가중 평균)의 직업 노출 한계와 15분 동안 200ppm의 단기 노출 한계를 권장한다.[35] 유럽 의회는 2009년에 소비자 및 많은 전문가를 위한 페인트 제거제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 사용을 금지하였고,[36] 2010년 12월에 발효되었다.[37]
미국 직업 안전 보건청(OSHA)과 국립 직업 안전 보건 연구소는 2000년 이후 최소 14명의 욕조 재마감 작업자가 다이클로로메테인 노출로 사망했다고 경고했다.[38][26][39] OSHA는 이후 다이클로로메테인 표준을 발표했다.[40] 2019년 3월 15일, 미국 환경 보호국(EPA)은 소비자용 페인트 제거제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의 제조, 가공 및 유통을 금지하는 최종 규칙을 발표했다.[41] 2023년 4월 20일, EPA는 군사 및 산업 용도를 위한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 생산에 대한 광범위한 금지를 제안했다.[41] 2024년 4월 30일, EPA는 대부분의 상업적 용도에 대한 다이클로로메테인 사용 금지를 확정했다.[42]
일본에서는 PRTR법에 의해 사용과 폐기가 감시되는 물질이며, 작업 환경의 관리 농도는 50ppm이며, 그 기록은 30년간 보존해야 한다.
5. 1. 독성
다이클로로메테인은 먹거나 호흡할 경우 중추신경의 기능을 저하시켜 급성 독성 반응을 일으킨다.[62] 피부에 닿으면 자극과 함께 지방이 녹는 탈지 작용이 일어난다.[62] 피부나 눈에 닿으면 즉시 많은 물로 씻어야 하고, 흡입한 경우에는 맑은 공기를 쐬며 안정을 취해야 한다.[62] 흡입 후 어지러움증이 계속되면 의학적 조치를 받아야 하고, 먹었을 경우에는 즉시 토하게 하고 의학적 조치를 받아야 한다.[62]다이클로로메테인은 독성이 적은 클로로탄화수소 중 하나이지만, 높은 휘발성 때문에 흡입 위험이 있으며,[24][25] 피부를 통해서도 흡수될 수 있다.[27][26] 급성 과다 노출 시 집중 곤란, 현기증, 피로, 메스꺼움, 두통, 무감각, 쇠약, 상기도 및 눈의 자극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질식, 의식 상실,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다.[27][26]
또한, 다이클로로메테인은 체내에서 일산화 탄소로 대사되어 일산화 탄소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28] 급성 노출은 시신경병증[29] 및 간염을 유발할 수 있다.[30] 장기간 피부에 접촉하면 피부의 지방 조직을 용해시켜 피부 자극이나 화학적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31]
다이클로로메테인은 폐암, 간암, 췌장암과 관련이 있어 발암 물질일 가능성이 있으며,[32] 다른 동물 연구에서는 유방암과 타액선 암을 보였다.[32] IARC 발암성 위험 평가에서도 2014년에 Group2B(사람에 대한 발암성이 의심됨)에서 Group2A(사람에 대한 발암성이 아마 있을)로 승격되었다.[51]
기존에 심장 문제가 있는 사람은 다이클로로메테인 노출로 부정맥 및/또는 심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과다 노출의 다른 증상 없이 나타나기도 한다.[26] 간, 신경계, 피부 문제가 있는 사람은 염화 메틸렌 노출 후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38]
2012년 일본의 한 인쇄 기업 종업원들에게서 담관암이 다수 발생했는데,[49] 해당 직장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과 1,2-다이클로로프로판을 대량 사용했기 때문에 관련 여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후생노동성은 2013년 3월, 담관암이 다이클로로메테인 또는 1,2-다이클로로프로판에 장기간, 고농도로 노출되어 발병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49] 보고 사례에서는 1,2-다이클로로프로판이 중시되었지만, 다이클로로메테인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담관암에 대해서도 산재가 인정되었다.[50]
이러한 이유로 노동안전보건법의 제2류 물질 특별 유기 용제 등으로 지정되어 있다.
5. 2. 규제
대한민국에서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른 관리 물질로 규정하고 노출기준을 설정하고 있다.[73]미국에서는 2013년 직업 안전 보건청(OSHA)과 국립 직업 안전 보건 연구소가 2000년 이후 최소 14명의 욕조 재마감 작업자가 다이클로로메테인 노출로 사망했다고 경고했다.[38][26][39] 이들은 통풍이 잘 안 되는 욕실에서 부적절하거나 호흡 보호 장비 없이, 다이클로로메테인의 위험에 대한 교육도 받지 않고 혼자 작업했다.[38][26][39] OSHA는 이후 다이클로로메테인 표준을 발표했다.[40] 2019년 3월 15일, 미국 환경 보호국(EPA)은 소비자용 모든 페인트 제거제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의 제조(수입 및 수출 포함), 가공 및 유통을 금지하는 최종 규칙을 발표했으며, 180일 후에 발효되었다.[41] 2023년 4월 20일, EPA는 군사 및 산업 용도를 위한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 생산에 대한 광범위한 금지를 제안했다.[41] 2024년 4월 30일, EPA는 대부분의 상업적 용도에 대한 다이클로로메테인 금지를 확정했는데, 이는 주로 페인트 제거 및 표면 탈지 용도로의 사용을 금지했지만 화학 물질 생산과 같은 일부 남아있는 상업적 용도는 허용했다.[42]
유럽 연합에서 직업 노출 한계 값에 대한 과학 위원회(SCOEL)는 다이클로로메테인에 대해 100ppm(8시간 시간 가중 평균)의 직업 노출 한계와 15분 동안 200ppm의 단기 노출 한계를 권장한다.[35] 유럽 의회는 2009년에 소비자 및 많은 전문가를 위한 페인트 제거제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 사용을 금지하는 투표를 실시했으며,[36] 금지 조치는 2010년 12월에 발효되었다.[37] 유럽의 직업상 유해물질 노출 규제에 대한 과학위원회는 다이클로로메테인의 1일 8시간당 노출 허용량을 기존의 200ppm에서 100ppm으로 조정하여 규제를 강화하였다.[79]
일본에서는 PRTR법에 의해 사용과 폐기가 감시되는 물질이며, 작업 환경의 관리 농도는 50ppm이며, 그 기록의 보존은 30년이다. 또한, 노동안전보건법의 제2류 물질 특별 유기 용제 등으로 지정되어 있다.
6. 환경 영향
다이클로로메테인은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오존 파괴 물질로 분류되지 않으며,[43] 미국의 청정 대기법에서도 오존층 파괴 물질로 규제하지 않습니다.[44] 다이클로로메테인은 수명이 매우 짧은 물질(VSLS)로 분류됩니다. 대기 중 수명이 0.5년 미만으로 짧지만, VSLS는 성층권 오존층 파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성층권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지역에서 배출될 경우 영향이 더 큽니다.[45] 최근 몇 년 동안 다이클로로메테인의 대기 중 농도는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참조
[1]
RubberBible
[2]
웹사이트
Properties of Dichloromethane
http://chemister.ru/[...]
[3]
nist
2014-05-26
[4]
PubChemLink
[5]
웹사이트
Dichloromethane_msds
https://www.chemsrc.[...]
[6]
Sigma-Aldrich
2014-05-26
[7]
웹사이트
Real time measurement of dichloromethane containing mixtures
http://www.hse.gov.u[...]
Health & Safety Laboratory
2015-08-05
[8]
IDLH
[9]
웹사이트
RDC Nº 784 - Listas de Substâncias Entorpecentes, Psicotrópicas, Precursoras e Outras sob Controle Especial
https://www.in.gov.b[...]
Diário Oficial da União
2023-03-31
[10]
서적
Chlorinated Hydrocarbons
Wiley-VCH, Weinheim
[11]
서적
Naturally Occurring Organohalogen Compounds
Springer
2009
[12]
간행물
"De l'action du chlore sur les éthers hydrochloriques de l'alcool et de l'esprit de bois, et de plusieurs points de la théorie des éthers"
https://archive.toda[...]
[13]
웹사이트
Dichloromethane
http://oehha.ca.gov/[...]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0-09
[14]
웹사이트
Dichloromethane
https://www.chemistr[...]
[15]
서적
Physics for Entertainment
https://archive.org/[...]
Hyperion Books
1972
[16]
서적
The Shell Bitumen Handbook
https://books.google[...]
Thomas Telford
2003-09-25
[17]
논문
Identification of bioactives from the red seaweed Asparagopsis taxiformis that promote antimethanogenic activity in vitro
[18]
논문
Homologation of boronic esters to .alpha.-chloro boronic esters
[19]
논문
The Reaction of Amines with Methylene Chloride. A Brief Review
http://www.tandfonli[...]
1984
[20]
논문
Reaction of N , N -Dimethyltryptamine with Dichloromethane Under Common Experimental Conditions
2018-05-31
[21]
논문
Reaction of amines with methylene chloride. Evidence for rapid aminal formation from N-methylenepyrrolidinium chloride and pyrrolidine
https://pubs.acs.org[...]
1987
[22]
논문
Reaction of Dichloromethane with Pyridine Derivatives under Ambient Conditions
https://pubs.acs.org[...]
2010-06-18
[23]
논문
Studies on the reactions of HOBt, HOOBt, HOSu with dichloroalkane solvents
https://linkinghub.e[...]
1998
[24]
논문
Methylene chloride poisoning: a paradigmatic review
[25]
논문
Fatal Exposure to Methylene Chloride Among Bathtub Refinishers — United States, 2000–2011
https://www.cdc.gov/[...]
[26]
웹사이트
Dangers of Bathtub Refinishing
http://blogs.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3-02-04
[27]
PGCH
[28]
논문
Carbon monoxide poisoning secondary to inhaling methylene chloride
[29]
논문
Severe optic neuropathy caused by dichloromethane inhalation
[30]
논문
Chemically induced hepatitis after inhaling organic solvents
[31]
논문
Methylene chloride burns
[32]
웹사이트
Toxicological Profile for Methylene Chloride
http://www.atsdr.cdc[...]
2006-09-10
[33]
논문
Methylene chloride exposure and birthweight in Monroe County, New York
[34]
웹사이트
Summary of Regulations Controlling Air Emissions from Paint Stripping and Miscellaneous Surface Coating Operations
http://www.epa.gov/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8-04
[35]
보고서
Recommendation from the Scientific Committee on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for methylene chloride (dichloromethane)
https://echa.europa.[...]
2023-09-07
[36]
웹사이트
EU Banning Most DCM Paint Strippers
https://www.paintsqu[...]
2012-03-09
[37]
웹사이트
COMMISSION REGULATION (EU) No 276/2010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L 86/7)
http://eur-lex.europ[...]
2010-04-01
[38]
웹사이트
Methylene Chloride Hazards for Bathtub Refinishers
http://www.osha.gov/[...]
OSHA and NIOSH
[39]
뉴스
OSHA QuickTakes
OSHA QuickTakes
2013-02-01
[40]
웹사이트
Methylene Chloride
https://www.osha.gov[...]
[41]
웹사이트
EPA Proposes Ban on All Consumer, Most Industrial and Commercial Uses of Methylene Chloride to Protect Public Health
https://www.epa.gov/[...]
2023-04-20
[42]
웹사이트
Biden-Harris Administration Finalizes Ban on Most Uses of Methylene Chloride, Protecting Workers and Communities from Fatal Exposure
https://www.epa.gov/[...]
2024-04-30
[43]
웹사이트
Ozone-Depleting Substances
https://www.epa.gov/[...]
2015-07-17
[44]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on Ozone-Depleting Solvents and Their Substitutes
https://nepis.epa.go[...]
1995-10
[45]
웹사이트
Scientific Assessment of Ozone Depletion: 2018
https://public-old.w[...]
2020-04-15
[46]
문서
経済産業省生産動態統計年報 化学工業統計編
https://www.meti.go.[...]
[47]
문서
溶剤リサイクル工業会
http://www.solvent-r[...]
[48]
웹사이트
アクリサンデー接着剤
https://www.acrysund[...]
アクリサンデー株式会社
2022-11-29
[49]
문서
"印刷事業場で発生した胆管がんの業務上外に関する検討会」の報告書及び今後の対応について 厚生労働省 平成25年3月14日
https://www.mhlw.go.[...]
[50]
문서
つなごう医療 中日メディカルサイト
http://iryou.chunich[...]
[51]
문서
Carcinogenicity of perfluorooctanoic acid, tetrafluoroethylene, dichloromethane, 1,2-dichloropropane, and 1,3-propane sultone
http://www.thelancet[...]
[52]
문서
'{{PGCH|0414}}'
[53]
문서
'{{RubberBible92nd|page=3.164}}'
[54]
문서
Properties of Dichloromethane
http://chemister.ru/[...]
[55]
문서
'{{nist|name=Methylene chloride|id=C75092|accessdate=2014-05-26|mask=FFFF|units=SI}}'
[56]
문서
'{{PubChemLink|6344}}'
[57]
웹인용
Dichloromethane_msds
https://www.chemsrc.[...]
[58]
문서
'{{Sigma-Aldrich|id=644501|name=Dichloromethane|accessdate=2014-05-26}}'
[59]
웹인용
Real time measurement of dichloromethane containing mixtures
http://www.hse.gov.u[...]
Health & Safety Laboratory
[60]
문서
'{{IDLH|75092|methylene chloride}}'
[61]
논문
Chlorinated Hydrocarbons
Wiley-VCH, Weinheim
2006
[62]
문서
다이클로로메테인 물질안전보건자료
https://sciex.com/Do[...]
[63]
서적
Naturally Occurring Organohalogen Compounds
Springer
2009
[64]
저널
"De l'action du chlore sur les éthers hydrochloriques de l'alcool et de l'esprit de bois, et de plusieurs points de la théorie des éthers"
https://archive.toda[...]
1839
[65]
서적
Inorganic Syntheses
1982
[66]
뉴스
무심코 쓴 '접착제 제거제' 위험할 수도…고농도 유해물질 검출
https://www.msn.com/[...]
연합뉴스
2018-11-08
[67]
웹인용
Dangers of Bathtub Refinishing
http://blogs.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3-02-04
[68]
뉴스
디카페인 커피의 원리 "이염화메탄 이용해 커피를 씻어…완전 신기"
매일신문
2013-10-28
[69]
문서
쌀맥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쌀맥주
https://patents.goog[...]
[70]
서적
Physics for Entertainment
https://archive.org/[...]
1972
[71]
서적
The Shell Bitumen Handbook
https://books.google[...]
2003-09-25
[72]
웹사이트
디클로로메탄
http://water.nier.go[...]
2019-04-19
[73]
웹사이트
디클로로메탄
https://msds.kosha.o[...]
[74]
웹인용
Methylene Chloride Hazards for Bathtub Refinishers
http://www.osha.gov/[...]
OSHA and NIOSH
2015-01-22
[75]
뉴스
OSHA QuickTakes
http://www.osha.gov/[...]
2013-02-01
[76]
웹사이트
Methylene Chloride
https://www.osha.gov[...]
[77]
뉴스
EU Banning Most DCM Paint Strippers,
http://www.paintsqua[...]
2014-01-05
[78]
웹인용
COMMISSION REGULATION (EU) No 276/2010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L 86/7)
http://eur-lex.europ[...]
2012-02-07
[79]
웹인용
SCOEL recommendations
http://ec.europa.eu/[...]
2011-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