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검은 고대부터 사용된 짧은 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와 시대에 걸쳐 제작되고 사용되었다. 신석기 시대에는 부싯돌, 상아, 뼈 등으로 만들어졌으며, 청동기 시대에는 구리, 이후에는 철로 제작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금으로 된 단검이 왕족의 상징이었으며, 로마 시대에는 군단병들이 '푸지오'라는 단검을 사용했다. 중세 시대에는 '기사 단검'으로 불리며 십자 자루 형태가 발전했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호신용 무기로 널리 사용되었다. 1,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참호전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군사용보다는 개인 장비나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단검은 용맹함과 배신, 암살 등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며, 법적으로 소지 규제를 받기도 한다.

2. 역사

이란 루리스탄에서 발견된 청동 단검, 기원전 2600~2350년


이란 쿠르디스탄 사난다지 박물관 소장 청동기 시대 칼


단검의 역사는 매우 길다. 최초의 단검은 신석기 시대부싯돌, 상아, 등으로 만들어졌다. 이후 금속을 다루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청동기 시대 초기인 기원전 3천년기에 구리 단검이 처음 등장했다.[12] 고대 이집트에서는 구리나 청동으로 단검을 만들었으며, 왕족은 금으로 된 단검을 소유하기도 했다. 기원전 1200년 이전에는 이집트에서 철광석이 발견되지 않아 철 단검은 매우 희귀하여 금 단검과 거의 동등한 가치를 지녔다.[16]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기원전 5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그리스, 카르타고, 페니키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철제 단검과 검이 제작되었다.[21][22] 이베리아인들은 뛰어난 철 제련 기술을 바탕으로 우수한 품질의 양날 무기를 생산했으며, 한니발과 그의 카르타고 군대도 이베리아 단검을 사용했다.[21] 로마 제국 시대에는 군단병들이 ''푸지오''라는 양날 철제 단검을 지급받았는데, 이는 이베리아 단검에서 디자인을 가져온 것이다.[21]

중세 시대에는 기사들이 단검을 보조 무기로 사용했으며, 14세기 아쟁쿠르 전투에서 궁수들이 낙마한 기사를 공격하는 데 단검을 사용하기도 했다.[33] 르네상스 시대에는 단검이 일상복의 일부가 되었고 평민들도 단검을 소지했다.[38] 17세기와 18세기 스페인에서는 펜싱과 호신용 무기로 단검('daga' 또는 'puñal')이 널리 사용되었다.[37]

근대에는 제1차 세계 대전참호전에서 단검이 다시 주목받아 좁은 공간에서 효과적인 전투용 칼로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페어베언-사이크스 전투 칼과 같은 특수 단검이 개발되어 특공대 부대에서 사용되었다.[5][40] 현대에는 대부분 단검을 옷 속에 숨겨 휴대하며, 부츠 나이프와 같은 특수한 형태도 등장했다.[45]

2. 1. 고대

가장 초기의 단검은 신석기 시대부싯돌, 상아, 또는 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다.

구리 단검은 기원전 3천년기에 초기 청동기 시대에 처음 등장했으며,[12] 크노소스에서 초기 미노아 III기(기원전 2400–2000년)의 구리 단검이 발견되었다.[13]

고대 단검의 일종인 아키나케스의 부조. 페르세폴리스에 있는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의 경비병이 착용하고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 단검은 보통 구리나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왕족은 금으로 된 무기를 소유했다. 최소한 선왕조 이집트 시대부터[14] 단검은 금으로 된 자루를 가진 의례용 무기로 장식되었고, 이후에는 더욱 화려하고 다양한 구조로 발전했다. 초기 은 단검 중 하나는 중앙 늑골 디자인으로 발견되었다. 1924년 투탕카멘의 미라 무덤이 열렸을 때 금 칼날과 용융된 철로 만든 두 개의 단검이 발견되었다. 제11왕조의 미라들은 청동 칼과 함께 매장되었고, 투트모세 3세(제18왕조)의 청동 단검, 그리고 메르넵타 2세(제19왕조)의 청동 갑옷, 검 및 단검이 있다.[15]

고대 철 생산은 기원전 1200년까지 시작되지 않았고, 이집트에서는 철광석이 발견되지 않아 철 단검은 희귀했으며, 그 정황상 철 단검은 의례용 금 단검과 동등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여겨졌다.[16] 이러한 사실과 단검의 성분은 오랫동안 유성 기원을 시사해 왔지만,[17] 투탕카멘의 철 단검 칼날의 유성 기원에 대한 증거는 2016년 6월 X선 형광 분광법을 사용하여 연구자들이 이 지역에서 발견된 운석에서 유사한 금속 비율(철 10%, 니켈 10%, 코발트 0.6%)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결정적이지 않았다.[18][19]

용융된 철로 만들어진 가장 초기의 물건 중 하나는 기원전 2000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단검으로, 매우 귀중한 장식물로 취급되었음을 시사하는 문맥에서 발견되었다. 북부 아나톨리아의 알라자 회유크에서 기원전 2500년경에 제작된 하티 왕족의 무덤에서 발견된 이 단검은 용융된 철 칼날과 금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20]

현재 스페인 남부와 프랑스 남서부 지역인 이베리아의 장인과 대장장이들은 기원전 5세기에서 3세기까지 그리스, 푸닉(카르타고), 페니키아 문화의 영향을 받은 장식과 패턴으로 고품질의 다양한 철제 단검과 검을 제작했다.[21][22] 이베리아인의 뛰어난 순도의 철과 냉간 단조를 포함한 정교한 단조 기술은 뛰어난 품질의 양날 무기를 생산했다.[21] 많은 제2 이베리아 철기 시대 화장 매장 유물 또는 스페인 및 지중해 전역의 로마 제국 발굴 현장에서 녹슨 접이식 칼과 같은 기술적으로 진보된 디자인을 찾을 수 있다.[23] 이베리아 보병들은 여러 종류의 철제 단검을 휴대했는데, 대부분 양날 검의 단축형이었지만, 진정한 이베리아 단검은 삼각형 모양의 칼날을 가지고 있었다. 이베리아 단검과 검은 나중에 한니발과 그의 카르타고 군대에 의해 채택되었다.[21] 루시타니족, 이베리아 서쪽(오늘날의 포르투갈과 에스트레마두라 대부분)을 지배했던 켈트 이전의 민족은 이베리아 패턴을 본뜬 철제 단검과 짧은 을 포함한 다양한 혁신적인 전술과 경무기로 로마 제국을 수년 동안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로마 제국 시대에 군단병들은 약 17.78cm~약 30.48cm 칼날을 가진 양날 철제 자루 단검인 ''푸지오''(라틴어 pugnōla, "싸움"에서 유래)를 지급받았다. ''푸지오''의 디자인과 제작은 이베리아 단검과 짧은 검에서 직접 가져온 것이었고, 로마인들은 심지어 ''파라조니움''이라고 불리는 삼각형 칼날의 이베리아 단검까지 채택했다.[21] ''글라디우스''와 마찬가지로, ''푸지오''는 주로 찌르는 무기로 사용되었다. 극심한 근접 전투 무기로서, ''푸지오''는 로마 군인의 최후 방어선이었다. 전투가 아닐 때는 ''푸지오''는 편리한 실용 칼 역할을 했다.[24]

양날의 칼 자체는 구석기 시대부터 발견되었으며, 사냥 등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단검이라 불리는 칼의 등장은 청동이나 강철의 발견을 기다려야 했다.

이베리아 단검 (기원전 450 - 200년)

2. 2. 중세

"단검"이라는 용어는 후기 중세 시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는 고대 시대에는 단검이 알려져 있었지만 초기 중세 시대에는 사라지고 베는 칼 또는 색스로 대체되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25][26]

한스 탈호퍼 (1467)의 단검(''degen'')을 사용한 전투 묘사


단검은 12세기경 "기사 단검"으로 다시 등장했는데, 정확히는 십자 자루 또는 퀼론 단검[27]으로, 중세 시대 후기에 민간인이 사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무기이자 도구로 발전했다.[28]

중세 시대 단검의 현대 복제품. 왼쪽부터: 볼록 단검, 론델 단검, 퀼론 단검


십자 자루 단검의 가장 초기의 묘사는 취리히그로스뮌스터 내부에 있는 소위 "귀도 부조"(1120년경)이다.[29] 완전히 발전된 십자 자루 단검의 많은 묘사가 모건 성경(1240년경)에서 발견된다. 이 십자 자루 단검 중 다수는 당시의 검과 매우 유사한 십자 자루와 손잡이를 가지고 있어 소형 검과 유사하다.[30] 하지만 다른 것들은 알려진 검의 디자인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부르고뉴 문장 단검"이라고 불리는 것에 손잡이 덮개, 크고 속이 빈 별 모양 손잡이 또는 할슈타트 시대의 단검을 연상시키는 안테나 스타일의 십자 자루와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31] 십자 자루 유형은 르네상스 시대까지 지속되었다.[32]

고대 프랑스어 용어 ''dague''는 ''poignal'' 및 ''바질라드''와 같은 다른 용어와 함께 13세기에 이러한 무기를 지칭했던 것으로 보인다. 중세 영어의 "dagger"는 1380년대부터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단검은 종종 보조 방어 무기의 역할을 하여 근접 전투에 사용되었다. 기사 단검은 14세기에 더 큰 바젤라드 칼로 진화했다. 14세기 동안 기사가 보병 방어선을 강화하기 위해 도보로 전투하는 것이 꽤 흔해졌다. 이로 인해 단검의 사용이 더 필요해졌다. 아쟁쿠르 전투(1415)에서 궁수들은 헬멧 통풍구 및 기타 구멍을 통해 좁은 칼날을 찔러 낙마한 기사를 처치하는 데 사용했다.[33] 바젤라드는 짧은 검과 긴 단검의 중간으로 여겨졌으며, 민간인 무기로도 인기를 얻었다. 슬론 MS. 2593(1400년경)에는 지나치게 큰 바젤라드 칼을 패션 액세서리로 사용하는 것을 풍자하는 노래가 기록되어 있다.[34] 이러한 종류의 무기인 ''아넬레이스''는 큰 단검과 짧은 검의 중간 정도였으며, 14세기 잉글랜드에서 민간인의 장비로 많이 사용되어 "고리에서 허리에 매달아" 사용되었다.[35]

후기 중세 시대에는 스틸레토와 같이 찌르기 공격을 강조하는 칼날 디자인의 칼이 점점 인기를 얻었으며, '단검'이라고 흔히 불리는 일부 찌르기 칼은 절삭 날이 없어졌다. 이는 사슬 갑옷과 판금 갑옷과 같은 중장갑의 배치에 대한 대응이었는데, 절삭 공격은 효과가 없었고, 좁은 칼날로 찌르기를 하여 갑옷의 틈새나 갑옷판의 교차점(또는 헬멧 바이저의 눈 구멍)을 노리는 데 집중했다. 이러한 후기 중세 시대의 찌르기 무기는 자루의 모양에 따라 론델 단검, 볼록 단검, 이어 단검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단검"이라는 용어는 이 시대에 만들어졌으며, 초기 근대 독일어의 동등한 용어인 ''돌치''(''tolch'')와 ''데겐''(''tegen'')도 마찬가지이다. 독일 검술 학파에서 요하네스 리히테나워(Ms. 3227a)와 그의 후계자들(특히 Cod. 44 A 8의 안드레스 린지저)은 단검으로 싸우는 법을 가르쳤다.[36]

이러한 기술은 어떤 면에서는 현대의 칼 싸움과 유사하지만, 베기와 자르기보다는 찌르기 공격을 주로 강조했다. 공격적으로 사용될 때, 표준 공격은 종종 역 또는 아이스픽 그립을 사용하여 칼날을 아래로 찔러 찌르기 및 관통력을 증가시켰다. 이는 주로 칼날 끝이 적의 강철 사슬 갑옷 또는 판금 갑옷을 관통하거나 밀어내어 부상을 입혀야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세 시대의 단검을 사용하는 것의 단점은 다양한 기술로 쉽게 막을 수 있다는 점이었는데, 특히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팔로 막는 동시에 오른손에 든 무기로 공격하는 것이 가장 두드러졌다. 또 다른 단점은 역 그립을 사용할 때 효과적인 칼날의 사거리가 줄어든다는 것이었다. 갑옷 착용이 유행에서 벗어나면서, 단검 싸움 기술은 일반적인 또는 정방향 그립으로 단검을 사용하는 것을 강조하도록 진화하기 시작했으며, 역 또는 아이스픽 그립은 암살과 같이 방심한 상대를 뒤에서 공격할 때 유지되었다.

2. 3. 르네상스 시대와 근대

무굴 단검, 칸자르, 루브르 박물관.


''동물 형상을 한 자루가 있는 단검'' (데칸 술탄국 추정),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Dagger_with_Zoomorphic_Hilt_MET_DP253146.jpg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17세기와 18세기 스페인에서 단검은 펜싱과 호신용 무기로 매우 인기가 많았으며, 'daga' 또는 'puñal'이라고 불렸다.[37] 르네상스 시대에는 일상복의 일부로 사용되었고, 평민들이 소지할 수 있었던 유일한 무기였다.[38]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 영어에서는 'poniard'와 '다트'라는 용어가 차용되었는데, 후자는 'dork', 'durk'로 표기되었다. 이는 저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또는 스칸디나비아어 'dolk, dolch'를 거쳐, 궁극적으로 서슬라브어 'tulich'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 철자 'dirk'는 18세기 스코틀랜드어에서 유래되었다.

17세기부터 플러그 베이요넷과 이후 소켓 베이요넷의 또 다른 형태의 단검이 머스켓과 기타 장총을 총신에 장착하여 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었다. 단검은 식사, 부츠 수선, 집 수리, 농장 일 등 다양한 작업에도 사용되었다. 또한, 남자의 개인적인 의복을 돋보이게 하는 과시적인 수단이자 모든 남자가 소지하도록 규정하는 패션의 일부였다.[39]

페어베언-사이크스 전투 나이프


근대에는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다루기 쉽고 휴대하기 편리하여 초기의 연사력이 낮은 총기를 사용하는 총병도 소지했으며, 이는 이후의 총검으로 발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기의 참호전에서는 좁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참호 나이프 혹은 그 보조로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기에는 단검의 일종인 페어베언-사이크스 전투 나이프가 영국에서 채용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 등에서도 사용되었다.

20세기의 단검

2. 4. 현대



제1차 세계 대전의 참호전은 단검과 전투 칼의 부활을 가져왔다. 참호전에는 장교들이 착용하던 칼이 너무 길고 부적합했기 때문에 단검으로 대체되었다. 단검은 최전선 복무의 상징으로 여겨져 자부심을 가지고 착용했다.

20세기에는 무솔리니이탈리아히틀러독일과 같은 파시스트 독재 정권에서 단검이 장식용 제복 장신구로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제복 단검은 일본을 포함한 다른 여러 국가에서도 사용되었지만, 파시스트 독재 정권에서만큼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많은 보병과 특공대 부대가 전투 장비로 단검을 휴대했다. 영국 특공대와 다른 정예 부대는 윌리엄 E. 페어베언과 에릭 A. 사이크스가 상하이 시립 경찰에서 복무하며 얻은 실제 근접 전투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한 페어베언-사이크스 전투 칼을 지급받았다.[5][40] 이 단검은 특히 경비병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여 특공대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다. 태평양 지역의 해병대 레이더스 일부 부대는 미국 해병대 레이더 스틸레토라는 유사한 전투 단검을 지급받았지만,[41] 이 단검은 열악한 재료와 제조 기술을 사용했기 때문에 태평양 전역에서 벌어진 실제 칼 전투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42][43][44]

베트남 전쟁 동안에는 거버 마크 II가 인기 있는 전투 칼이었다. 이 칼은 미 육군 대위 버드 홀즈먼과 알 마가 디자인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많은 미군 병사와 해병대가 사적으로 구입했다.

군대 밖에서는 대부분의 단검이 더 이상 공개적으로 휴대되지 않고 옷 속에 숨겨진다. 숨길 수 있는 단검 중 가장 인기 있는 형태는 ''부츠 나이프''이다. 부츠 나이프는 부츠나 기타 신발에 클립이나 끈으로 고정된 칼집에 넣어 하반신에 착용할 수 있을 만큼 작고 짧은 단검이다.[45]

미 육군 특수 작전 사령부 부대 패치, 단검이 있는 미 육군 문장


많은 국가에서 단검 형태의 총검을 사용한다.[52] 단검은 미 육군 특수 작전 사령부, 미 육군 특수 부대, 영국 전군 특공대 과정을 수료한 사람들을 위한 특공대 단검 패치와 같이 엘리트 군부대나 특수 부대의 휘장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3. 종류

단검은 찌르기와 던지기에 적합하며, 작기 때문에 인체의 급소를 정확하게 노리지 않으면 치명상을 입히기 어렵다. 무기로서의 절대적인 위력은 크지 않지만, 중세 유럽의 플레이트 아머로 완전히 장갑된 기사에게는 투핸디드 소드나 파이크보다 상대를 쓰러뜨리고 장갑 틈새로 단검을 찔러 넣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다.[56]

중장 기병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하기 위해 진화한 단검이 스티레토이다. 전장에서 치명상을 입은 부상병에게 자비를 베풀기 위해 사용된 단검은 "미제리코르디아(라틴어 Misericordia: 최후의 단검, 자비의 단검)"라고도 불린다. 왼손용 단검 중에는 상대의 검을 받아내기 쉬운 삼지창 형태의 날을 가진 것과, 칼자루가 검을 받아내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단검은 대인 무기로 제작된 것을 가리키며, 나이프는 일반적으로 다목적 절단 도구이다. 현대에는 대인 전투를 주된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양날이 별로 의미가 없으므로, 일상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나이프의 대부분은 날이 한쪽 면에만 있다.

하지만 단검형 나이프는 한쪽에 다른 을 세워, 날카로운 한쪽으로 섬세한 작업을 하고 거친 연마면으로 로프를 긁어 자르는 등, 1개로 2가지 종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이버스 나이프(다이빙 나이프)에는 단검형도 보이며, 특히 전문가가 사용하는 도구의 경우에는 미리 한쪽이 톱날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57] 또한, 긴급 시에는 날의 방향을 확인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절단용 칼날로서는 하나의 칼날에 2개의 날을 붙이는 구조상, 날이 한쪽 면에만 있는 칼날과 비교하여 좁은 공간에 칼날을 세워야 하기 때문에, 예각으로 날을 세우기 어렵고 날카로운 날을 만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날카로움을 확보하면서 양날형 칼날을 제작하려면 칼날의 표면에 따라 각도를 주지 않거나(소위 베타 연마), 폭이 넓은 대형 칼날로 만들어야 한다. 그 때문에 연마에 의해 소모가 빨라지거나, 대형이 됨으로써 범용 칼날로서 사용하기 어려워지지만, 대형이 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특수 부대용으로 마체테로도 사용할 수 있는 스마체트라는 양날형 대형 나이프가 개발되었다.

단검은 좌우 대칭과 관련하여 관상용 또는 소장용 나이프의 소재로도 선택된다. 이러한 관상용 또는 소장용 나이프는 실용성보다 장식성을 중시하지만, 그러한 나이프도 나이프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거나 그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각국의 전통적인 칼날은 단검 형태인 경우가 많다.

3. 1. 형태에 따른 분류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 국가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에서는 단검을 호신, 장식, 식사용 도구로 사용했다. 당시에는 음식을 칼이나 단검으로 잘라 손으로 집거나 찔러 먹는 방식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단검을 허리나 부츠에 차고 다니는 것이 유행했다.[1]

근세 유럽 검술 중에는 주 손에 레이피어 같은 경검을, 다른 손에는 단검을 들고 상대의 검을 막거나 쳐내는 방식이 있었다. 이러한 검술은 스페인과 프랑스에서 특히 발달했다. 방어용 단검은 망고슈, 패링 대거 등으로 불렸으며, 상대의 검을 꺾는 소드 브레이커도 이러한 단검의 발전된 형태이다.[1]

인도 단검과 칼집. 이슬람 디자인 (18세기)


3. 2. 용도에 따른 분류

제1차 세계 대전참호전은 단검과 전투 칼의 부활을 가져왔다. 참호전에 너무 길고 부적합했던 장교들이 착용하는 칼을 대체했으며, 최전선 복무의 상징으로 자부심을 가지고 착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 특공대와 다른 정예 부대는 윌리엄 E. 페어베언과 에릭 A. 사이크스가 상하이 시립 경찰에서 복무하면서 얻은 실제 근접 전투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한 페어베언-사이크스 전투 칼을 지급받았다.[5][40] 이 단검은 주로 경비병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어 특공대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다. 태평양 지역의 해병대 레이더스 일부 부대는 유사한 전투 단검인 미국 해병대 레이더 스틸레토를 지급받았지만,[41] 열악한 재료와 제조 기술을 사용했기 때문에 태평양 전역에서 발생한 유형의 칼 전투에서 성공적이지 못했다.[42][43][44]

베트남 전쟁 동안 거버 마크 II는 미 육군 대위 버드 홀즈먼과 알 마가 디자인한 인기 있는 전투 칼이었으며, 많은 미군 병사와 해병대가 사적으로 구입했다.

군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단검은 더 이상 공개적으로 휴대하지 않고 옷 속에 숨겨 휴대한다. 가장 인기 있는 형태 중 하나는 ''부츠 나이프''이다. 부츠 나이프는 부츠나 기타 신발에 클립이나 끈으로 고정된 칼집을 사용하여 하반신에 착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고 짧은 단검이다.

많은 국가에서 단검 형태의 총검을 사용한다.[52] 단검은 미 육군 특수 작전 사령부, 미 육군 특수 부대, 영국 전군 특공대 과정 수료자를 위한 특공대 단검 패치와 같이 엘리트 군부대나 특수 부대의 휘장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근대에는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다루기 쉽고 휴대하기 편리하여 초기의 연사력이 낮은 총기를 사용하는 총병도 소지했으며, 이것이 이후의 총검으로 발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기의 참호전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좁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참호 나이프 혹은 그 보조로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기에는 페어베언-사이크스 전투 나이프가 영국에서 채용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 등에서도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다양한 무기의 발달로 인해, 본래의 군사적인 용도에서는 각 병사의 개인 장비로 사용되는 데 그치며, 미술·관상용이나 다이버 나이프의 한 형태로 여겨지게 되었다.

4. 문화적 상징성

단검은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성을 가진다. 어떤 문화와 군사 조직에서는 전투에서의 용기와 대담함을 상징하기도 한다.[46]

그러나 단검은 쉽게 숨길 수 있고, 방심한 희생자에게 기습 공격을 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만이나 배신과 연관되기도 한다. 실제로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을 포함한 많은 암살이 단검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47] 암약은 기만적이고 배신적이며 은밀한 적의 공격을 의미한다.[48] 영국 문학에서는 단검과 왕조 계승 사이의 남근적인 연관성을 지적하기도 한다.[49]

유럽 미술에서 단검은 때때로 마법의 고대 그리스 여신인 헤카테와 연관되었다.[50]

단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기원전 4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부터 20세기 초 미국의 검은 손이 스틸레토 단검을 사용한 사건에 이르기까지, 단검이 범죄와 살인에 주기적으로 사용된 데서 비롯되었다.[51] 결과적으로 단검은 범죄자와 살인자들이 방심한 피해자를 찌르는 기습 공격용 무기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52] 오늘날까지 많은 국가와 일부 미국 주에서는 단검 소지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2]

5. 법적 규제

단검은 대인 살상에 유효하다는 점 때문에 여러 국가에서 법적 규제를 받는다. 특히 2008년 6월 8일 일본 아키하바라 무차별 살상 사건을 계기로, 일본에서는 단검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다.

총기 규제가 엄격한 일본이지만, 칼날 판매 및 단독 소지 규제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느슨한 편이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버터플라이 나이프 등의 판매를 규제하지만, 일본에서는 유해 완구로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에 의해 미성년자 판매·소지 규제만 있을 뿐이었다.

하지만 아키하바라 사건 이후, 일본에서는 칼날 길이 5.5cm 이상의 칼을 소지 금지 대상으로 하는 총도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 섹션을 참고하라.

5. 1. 일본

일본에서는 일본도가 발달하기 이전 청동기 시대 청동검에서 양날 검이 발견된다. 청동은 무른 금속이기에 검으로 길게 만들 수 없어, 짧은 켈트 단검과 같은 형태도 발견되었다. 그러나 철기단조 기술 발달로 무겁고 길며 부러지기 어려운 일본도가 주류가 되면서, 지방의 세공용 칼이나 특수 공구, 신사 등에 헌납 목적으로 제작되는 도검을 제외하고 양날 단검은 쇠퇴했다. 따라서 일본에서 단검은 주로 서양 양식의 도검이나 나이프로 간주된다.

과거 산카가 "우메가이"라는 양날 단도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산카와 우메가이의 실존 여부는 의문시된다. 다만, 법규제 전까지 레플리카로 추정되는 것이 제작, 판매되기도 했다. 갑옷 틈새를 찌르는 무기로는 요로이도오시라는 한쪽 날의 소도가 사용되었다.

단검은 대인 살상에 유효하며, 2008년 6월 8일 아키하바라 무차별 살상 사건을 계기로 살상성이 높은 단검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다. 같은 해 11월 28일, 칼날 길이 5.5cm 이상의 칼 소지를 금지하는 총도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었다.[60]

2009년 1월 5일, 총포 도검류 소지 등 단속법 개정으로 칼날 길이 5.5cm 이상 단검의 소지가 원칙적으로 금지되었다.[61] 2009년 7월 5일까지 수출 또는 폐기해야 했으며, 회수 및 폐기된 단검은 1만 1천 개를 넘었다. 규제 대상 외였지만 자진 제출된 나이프도 19,500개에 달했다.[62]

이 개정으로 양봉용 밀칼, 굴 가공용 칼 등 산업용 나이프도 규제 대상이 되어 제출되는 사태가 발생했다.[64] 홋카이도 경찰은 2009년 7월 23일, 규제 대상 양날 칼 1,367개를 회수했는데, 과반수인 735개가 식품 가공용 산업용 나이프였다.[65][66]

다이버스 나이프도 형태에 따라 규제될 수 있어, 끝이 날카롭지 않은 다이버스 나이프가 판매되기도 한다.[68] 제조·제작은 해외 수출용에 한해 당국 허가를 받으면 가능하여, 해외 제조사 제품 OEM 생산, 커스텀 나이프 제작 등은 현재도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법률 State v. Martin, 633 S.W.2d 80 (Mo. 1982)
[2] 법률 California Penal Code 12020(a)(24)
[3] 간행물 Knives For Fighting Men Popular Science 1944-07
[4] 서적 Legal Medicine and Toxicology D. Appleton & Co. 1909
[5] 서적 The Complete Book Of Knife Fighting 1997
[6] 서적 A Text-book of Legal Medicine W.B. Saunders & Co. 1905
[7] 서적 Criminal Investigation: A Practical Textbook for Magistrates, Police Officers and Lawyers Sweet & Maxwell 1949
[8] 서적 Weapons: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from 5000 B.C. to 2000 A.D. St. Martin's Press/Macmillan 1990
[9] 서적 The Wonder of Knifemaking Krause Publications 2011
[10] 서적 The New Werner Twentieth Century edition of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The Werner Co. 1907
[11] 웹사이트 Dagger Law & Legal Definition http://definitions.u[...]
[12] 간행물 A Beaker Period Copper Dagger Blade from the Silees River near Ross Lough, Co. Fermanagh 1993
[13] 웹사이트 Knossos fieldnotes http://www.themodern[...] 2007
[14] 문서 Iorwerth Eiddon Stephen Edwards, Cyril John Gad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Hammond, 1970
[15] 서적 The Book of the Sword https://archive.org/[...] London Chatto & Windus 1884
[16] 서적 Tutankhamun's armies: battle and conquest during ancient Egypt's late eighteenth dynasty John Wiley and Sons
[17] 웹사이트 King Tutankhamun's Dagger http://www.incose-cc[...] INCOSE Chesapeake Chapter 2010-03-01
[18] 논문 The meteoritic origin of Tutankhamun's iron dagger blade Wiley Online
[19] 뉴스 King Tut's dagger made from an ancient meteorite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6-06-02
[20] 서적 Out of the fiery furnace: the impact of metals on the history of mankind https://archive.org/[...] Penn State Press
[21] 서적 Armies of the Carthaginian Wars, 265–146 BC Osprey Publishing Ltd. 1982
[22] 웹사이트 Phoenicians, Carthaginians and Romans in Southern Iberia http://www.swanhelle[...] 2011-06-30
[23] 웹사이트 Bandolero Blades 2010-09
[24]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s://archive.org/[...] Murray
[25] 서적 Anglo-Saxon Weapons and Warfare Tempus 1999
[26] 서적 The Seax Oxbow 1989
[27] 문서
[28] 서적 Knight Penguin
[29] 문서 Das Grossmünster in Zürich 1983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서적 Daggers and Bayonets https://archive.org/[...] Spellmount ltd. 1999
[34] 문서
[35] 서적 A Catalogue of the Antiquities and Works of Art, Volume 1 https://books.google[...] Harrison and sons
[36] 서적 Schools and Masters of Fencing: From the Middle Ages to the Eighteenth Century Courier Dover Publications
[37] 서적 Blade's Guide to Knives & Their Values Krause Publications
[38] 서적 Medieval and Renaissance Dagger Combat Paladin Press
[39] 서적 Daggers and Bayonets https://archive.org/[...] Spellmount ltd. 1999
[40] 간행물 OSS Training in the National Parks and Service Abroad in World War II U.S. National Park Service 2008
[41] 서적 Battle Blades: A Professional's Guide to Combat/Fighting Knives Paladin Press 1993
[42] 서적 Edson's Raiders: The 1st Marine Raider Battalion in World War II Naval Institute Press 2001
[43] 서적 With The Old Breed: At Peleleiu and Okinawa Presidio Press 2007
[44] 뉴스 WWII Marine Raider Stiletto Reborn U.S. Marine Raider Association 2008
[45] 논문 Boot Knife Fighting Active Interest Media, Inc.
[4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military insignia of the 20th century: a comprehensive A-Z guide to the badges, patches, and embellishments of the world's armed forces Stanley Paul
[47] 서적 The History That Was Never Spoken Lulu
[48] 서적 Barnaby Rudge: A Tale of the Riots of 'Eighty Chapman & Hall
[49] 서적 Ready to Teach: Macbeth: A compendium of subject knowledge, resources and pedagogy https://books.google[...] John Catt Educational 2020-10-23
[50] 서적 A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Mythology, Religion, Literature and Art https://archive.org/[...] William Swan Sonnenschein 1901
[51] 간행물 The Big Stunts of Great Detectives: The Scrapbook Frank A. Munsey 1907-12
[52] 서적 Daggers and Bayonets https://archive.org/[...] Spellmount ltd. 1999
[53] 논문 Images of Steel
[54] 웹사이트 ABS Testing Rules and Guidelines for the Master Smith Rating http://www.americanb[...] 2011-03-12
[55] 웹사이트 Difference between knife and dagger https://finalscope.c[...] 2019-05-12
[56] 서적 続・中世ヨーロッパの武術 新紀元社 2013-09
[57] 문서 『ナイフマガジン』1993年10月号特集『ダイバーズ・ナイフ』
[58] 웹사이트 Buying and carrying knives: the law - GOV.UK https://www.gov.uk/b[...] 2016-05-03
[59] 웹사이트 【秋葉原通り魔事件】町村長官、早期にダガーナイフ規制 - MSN産経ニュース http://sankei.jp.msn[...] 2008-07-08
[60] 웹사이트 ダガーナイフなど所持禁止 警察庁、銃刀法改正案を提出へ (1/2ページ) - MSN産経ニュース http://sankei.jp.msn[...] 2008-07-17
[61] 웹사이트 銃刀刀剣類所持等取締法の改正内容について(平成21年1月5日分)施行分 http://www.npa.go.jp[...] 警察庁 2009-01-05
[62] 웹사이트 毎日新聞記事 http://mainichi.jp/p[...] 2009-07-23
[63] 웹사이트 asahi.com(朝日新聞社):ダガーナイフ1万1千本回収 所持禁止の猶予期間終わる - 社会 http://www.asahi.com[...] 2009-07-23
[64] 웹사이트 和歌山放送ニュース: 銃刀法改正・ダガーナイフなどの刀剣類7月5日から所持が違法に http://wbs-news.net/[...]
[65] 웹사이트 カキ用ナイフ735本回収…ダガーナイフなど規制で:社会:スポーツ報知 http://hochi.yomiuri[...] 2009-07-23
[66] 웹사이트 毎日新聞記事 http://mainichi.jp/h[...] 2009-07-24
[67] 웹사이트 改正銃刀法:「カキ殻むきナイフ」一部規制対象 県警、確認呼び掛け /徳島 - 毎日jp(毎日新聞) http://mainichi.jp/a[...] 2009-07-17
[68] 웹사이트 毎日新聞記事 http://mainichi.jp/a[...] 2009-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