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곶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곶역은 2012년 6월 30일 수인선 오이도 ~ 송도 구간 재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2020년 9월 12일 수인분당선이 개통되어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역번호가 K260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안쪽 2개 선로만 사용하며, 바깥쪽 2개 선로는 수도권 전철 4호선 회차 선로로 사용되다가 장래에는 경강선이 사용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흥시의 전철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 시흥시의 전철역 - 신현역
신현역은 2018년 서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신현동 행정복지센터 등과 인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 2012년 개업한 철도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2012년 개업한 철도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월곶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월곶역 |
로마자 표기 | Wolgot-yeok |
한자 표기 | 月串驛 |
역 번호 | K260 |
구글 지도 검색어 | 월곶역 |
![]() | |
위치 | |
주소 | 경기도 시흥시 월곶중앙로14번길 56 (월곶동 992-8) |
좌표 | 37.391846, 126.742702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KORAIL) |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해당 없음 |
승강장 | 2면 4선식 |
구조 | 고가역 |
개업일 | 2012년 6월 30일 |
전보 약호 | 해당 없음 |
수송 통계 | |
2015년 승차 인원 | 2,370명 |
2015년 승강 인원 | 4,567명 |
노선 정보 | |
이전 역 | K259 달월역 |
다음 역 | 소래포구역 K261 |
역간 거리 (달월역) | 1.5km |
역간 거리 (소래포구역) | 1.3km |
영업 거리 (기점) | 청량리역 기점 90.6 km |
기타 정보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 |
2. 역사
2012년 6월 30일 수인선 오이도~송도 구간 재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3][1] 2020년 5월 29일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라 기점 및 거리가 수정되었다. (수원 기점 35.3km)[4] 2020년 9월 12일 수인분당선이 개통되어 역번호가 K260으로 변경되었고,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였다.[1]
2. 1. 개통과 재개통
- 2012년 6월 30일 : 수인선 오이도 ~ 송도 구간 재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3][1]
- 2020년 5월 29일 :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른 기점 및 거리 수정. (수원 기점 35.3km)[4]
- 2020년 9월 12일 :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역번호가 K260으로 변경. 수원 - 오이도 구간 개통으로 분당선과 직결 운행.[1]
2. 2. 연혁
- 2012년 6월 30일 : 수인선 오이도~송도 구간 재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3][1]
- 2020년 5월 29일 :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른 기점 및 거리 수정. (수원 기점 35.3km)[4]
- 2020년 9월 12일 : 수원-오이도 구간 개통으로 분당선과 직결 운행,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역번호가 K260으로 변경.
3. 역 구조
월곶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오이도역 방향으로 시흥차량사업소로 들어가는 인입 선로가 있지만, 현재는 사용하지 않으며 입출고 열차는 오이도역의 4호선 입출고선을 사용한다. 현재 안쪽 2선만 사용하고 있으며, 바깥쪽 2선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회차 선로로 사용되고 있다. 장래에는 이 선로를 경강선이 사용할 예정이다.
L2: 승강장 | ||
---|---|---|
통과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이 역에 정차하지 않음) | ||
섬식 승강장, 왼쪽 문 열림 | ||
동쪽 방면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인천 방면 (소래포구역) | |
서쪽 방면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왕십리역, 청량리역 방면 (달월역) | |
섬식 승강장, 왼쪽 문 열림 | ||
통과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이 역에 정차하지 않음) | ||
L1: 대합실 | ||
로비: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인출기 | ||
G | 지상층: 출구 |
3. 1. 승강장 구조
월곶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오이도역 방향으로 시흥차량사업소로 들어가는 인입 선로가 있지만, 현재는 사용하지 않으며 입출고 열차는 오이도역의 4호선 입출고선을 사용한다.현재 안쪽 2선만 사용하고 있으며, 바깥쪽 2선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회차 선로로 사용되고 있다. 장래에는 이 선로를 경강선이 사용할 예정이다.
1 | 수도권 전철 4호선 차량 회차 전용 (장래 경강선 사용 예정) | |
---|---|---|
2 | -- 수인·분당선 | 소래포구 · 송도 · 인천 방면 |
3 | -- 수인·분당선 | 오이도 · 수원 · 왕십리 방면 |
4 | 수도권 전철 4호선 차량 회차 전용 (장래 경강선 사용 예정) |
3. 2. 배선도
월곶역은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고가역으로, 현재 안쪽 2선만 사용하고 있다. 바깥쪽 2선은 장래에 경강선이 사용할 예정이지만, 현재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회차 선로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객용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1 | 수도권 전철 4호선 차량 회차 전용 (장래 경강선 사용 예정) | |
---|---|---|
2 | -- 수인·분당선 | 소래포구 · 송도 · 인천 방면 |
3 | -- 수인·분당선 | 오이도 · 수원 · 왕십리 방면 |
4 | 수도권 전철 4호선 차량 회차 전용 (장래 경강선 사용 예정) |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수인선 | 승차 | 1,508 | 1,924 | 2,282 | 2,370 | 2,652 | 2,783 | 2,641 | 2,592 | 1,932 | 2,176 | 2,584 | 2,712 | [5] |
하차 | 1,365 | 1,705 | 2,075 | 2,197 | 2,461 | 2,606 | 2,488 | 2,437 | 1,826 | 2,065 | 2,413 | 2,516 |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2년 6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5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6. 인접한 역
참조
[1]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327호
대한민국관보
2012-06-22
[2]
웹사이트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3]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327호
대한민국관보
2012-06-22
[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414호
2020-05-29
[5]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