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제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제학은 조선 시대에 학문을 관장하던 고위 관직이다. 시대별로 대제학을 역임한 인물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세종 시대에는 집현전 설치와 함께 학문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대제학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재상 - 문하시중
    문하시중은 고려 시대에 설치된 최고 관직 중 하나로, 시대에 따라 명칭과 역할이 변화하며 고려 후기 왕권 강화와 정치 개혁, 권력 다툼의 중심에 있었고, 조선 건국 후 정승으로 개칭되어 조선 정치 체제의 기반이 되었다.
  • 한국의 재상 - 의정부
    의정부는 조선시대 삼정승이 국가의 중요 정사를 논의하고 결정하던 최고 의사결정 기구였으나, 육조 직계제 시행으로 기능이 축소되기도 하고 비변사 설치 이후 역할이 줄어들었으며, 1907년 내각 개편으로 폐지되었고, 현재 그 터는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으로 조성되어 있다.
  • 고려의 관직과 칭호 - 현감
    현감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각 현을 다스리던 지방관을 지칭하며, 조선 시대에는 종6품의 외관직으로 사법, 행정,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
  • 고려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조선의 관직과 칭호 - 현감
    현감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각 현을 다스리던 지방관을 지칭하며, 조선 시대에는 종6품의 외관직으로 사법, 행정,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
  • 조선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대제학
기본 정보
한자大提學
로마자 표기Daejehak
영어Grand Scholar
정의 및 역사
직위문형의 최고위 관직
역할국왕의 자문에 응하고, 문형에 관한 업무 총괄
역사적 기원고려 시대 초기부터 존재, 조선 시대에 정비
지위정2품 고위 관직
관직 특징
관할홍문관, 예문관, 규장각 등 학술 기관
선발학문적 능력과 인품이 뛰어난 자를 선발
특징문신 관료의 최고위 관직
역할국왕의 자문, 왕명 초안 작성, 학술 연구 주관 등
임명 과정
절차국왕의 재가를 거쳐 임명
임명 시기통상적으로 중요한 국가 행사나 왕의 즉위 후
관직 변화
고려 시대학문을 관장하는 최고위 관직
조선 시대집현전 설치 후 기능 강화, 문신 최고 관직
대한제국규장각과 함께 기능 약화
현대역사적 용어로만 사용
관련 인물
대표적인 인물정인지
신숙주
서거정
이황
이이
채제공
기타
참고대제학은 문신으로서 최고의 영예

2. 조선 초기 (태조 ~ 세조)

조선 초기 대제학은 주로 고려 말의 학풍을 이어받은 유학자들이 임명되었으며, 새로운 왕조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태종 대에는 권근, 변계량 등이, 세종 대에는 변계량, 맹사성 등이 대제학을 역임했다. 특히 세종 시대에는 집현전이 설치되어 학문 연구가 활발해졌고, 대제학은 이러한 학문적 분위기를 주도했다. 세조 대에는 서거정이 대제학을 역임했다.

2. 1. 태조

심효생

2. 2. 태종

이문화, 이지, 이첨, 권근, 이직, 남재, 조박, 류양, 유창, 이래, 류관, 성석인, 이행, 정이오, 김한로, 조용, 정역, 변계량

2. 3. 세종

세종 시대에는 집현전이 설치되어 학문 연구가 활발해졌고, 대제학은 이러한 학문적 분위기를 주도했다.

이름재임 기간
류관[1]-
맹사성-
변계량[1]1422년 10월 28일 ~ 1426년 6월 21일
정역-
이수1426년 6월 21일 ~ 1426년 12월 7일
오승1426년 12월 7일 ~ 1428년 11월 7일
류사눌1428년 11월 7일 ~ 1429년 7월 5일
이수1429년 7월 5일 ~ 1429년 9월 30일
이맹균1429년 9월 30일 ~ 1430년 4월 26일
하연1431년 2월 1일 ~
김규-



특히 변계량세종의 총애를 받으며 집현전 대제학을 역임, 훈민정음 창제에도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4. 세조

서거정은 세조의 왕권 강화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된다.[1]

3. 조선 중기 (예종 ~ 숙종)

조선 중기 대제학은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정치적 역할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성종 때 어세겸[1] 이후 여러 대제학들이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거나 당파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3. 1. 성종

어세겸[1]

4. 조선 후기 (경종 ~ 순종)

조선 후기 대제학은 세도 정치 시기에도 학문적 권위를 유지하며 왕실의 교육과 학술 활동을 지원하였다. 경종 대에는 이광좌, 조태억이 대제학을 역임했다.[1][2] 영조 대에는 이재, 이병상, 이의현, 윤순, 조문명, 이진망, 이덕수, 오원, 이광덕, 조관빈, 윤봉조, 남유용, 김양택 등이 대제학을 역임하였다.

4. 1. 경종

경종 2년(1722) 4월 11일에 이광좌가 대제학에 임명되었고,[1] 같은 해 8월 29일에는 조태억이 대제학에 임명되었다.[2]

임명일이름
경종 2년(1722) 4월 11일이광좌
경종 2년(1722) 8월 29일조태억


4. 2. 영조

이름재임 기간
이재1725년 5월 6일 ~
이병상1725년 6월 9일 ~
이의현1725년 6월 21일 ~
이병상1726년 4월 13일 ~
이재1726년 6월 24일 ~
이의현1726년 9월 6일 ~
윤순1727년 9월 13일 ~
조문명1729년 6월 1일 ~
이진망1730년 11월 19일 ~
이덕수1731년 10월 2일 ~
윤순1734년 9월 2일 ~
윤순1736년 1월 1일 ~
이덕수1736년 12월 1일 ~
이덕수1737년 3월 6일 ~
이덕수1740년 1월 15일 ~
오원? ~ ?
이광덕1741년 3월 27일 ~
이병상1742년 3월 13일 ~
조관빈1749년 5월 23일 ~
오원? ~ ?
조관빈1753년 7월 27일 ~
윤봉조1757년 10월 3일 ~
남유용1758년 5월 25일 ~
김양택1758년 11월 13일 ~
김양택1759년 11월 24일 ~
김양택1760년 4월 14일 ~
김양택1761년 2월 23일[2] ~


4. 3. 순종

(이전 단계에서 원문 소스가 비어있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 내용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참조

[1]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세종 2년 3월 16일 기사
[2]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