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 정책 수립, 연구 개발, 정보 통신 산업 진흥 등을 담당하는 대한민국의 중앙 행정 기관이다. 1948년 체신부로 시작하여 정보통신부, 미래창조과학부를 거쳐 2017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업무는 과학기술, 정보 통신, 방송 통신, 우편 사업 관련 사항을 포괄하며, 우정사업본부, 국립전파연구원 등의 소속 기관과 여러 자문 위원회를 두고 있다. 조직은 장관, 2명의 차관, 과학기술혁신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산은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 분야에 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천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한민국의 선거를 관리하는 독립 헌법기관으로,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공직선거, 정당 및 정치자금 관리, 민주시민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선거 중립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 과천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법무부
대한민국 법무부는 검찰, 형 집행, 인권 옹호, 출입국 관리 등 법무 행정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1948년 설치되었으며 검찰 사무, 사면, 인권옹호, 법령 자문, 출입국·외국인정책 사무 등의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2017년 설립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국무회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 조직 관리, 정부혁신, 전자정부 구축, 지방자치 지원, 재난안전관리 등을 수행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내무부와 총무처의 통합 및 국민안전처 흡수를 거쳐 현재 명칭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다. - 2017년 설립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자 표기 | 科學技術情報通信部 |
로마자 표기 | Gwahak Gisul Jeongbo Tongsin-bu |
설립일 | 2017년 7월 26일 |
전신 | 과학기술처(1967–2008) 교육과학기술부(2008–2013) 미래창조과학부(2013–2017) |
관할 | 대한민국 정부 |
본부 | 세종특별자치시 |
직원 수 | 2,007명 (우정사업본부 제외) |
장관 | 유상임 |
제1차관 (연구개발 정책) | 이창윤 |
제2차관 (정보통신방송) | 강도현 |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류광준 |
웹사이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영문) |
주요 산하 기관 | |
산하 기관 | 한국항공우주청 |
2. 소관 사무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정책의 수립·총괄·조정·평가, 과학기술의 연구개발·협력·진흥, 과학기술인력 양성, 원자력 연구·개발·생산·이용, 국가정보화 기획ㆍ정보보호·정보문화, 방송·통신의 융합·진흥 및 전파관리, 정보통신산업, 우편·우편환 및 우편대체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1948년 7월 17일 체신부가 설치되었다.[7] 1961년 10월 2일 전파관리국을 외국으로 분리하였다.[8] 1967년 3월 30일 경제기획원 기술관리국을 과학기술처로 분리하였다.[9] 1982년 1월 1일 전파관리국을 체신부 내국으로 통합하였다.[10] 1994년 12월 23일 체신부를 정보통신부로 개편하였다.[11] 1998년 2월 28일 과학기술처를 과학기술부로 개편하였다.[12]
3. 연혁
2008년 2월 29일 과학기술부와 교육인적자원부를 통합하여 교육과학기술부를 설치하고, 산업자원부로부터 산업기술인력 양성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았으며, 정보통신부를 방송통신위원회로 개편하였다.[13] 2013년 3월 23일 교육과학기술부를 미래창조과학부와 교육부로 분리하고,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디지털콘텐츠에 관한 사무를, 지식경제부로부터 정보통신산업과 우편·우편환 및 우편대체에 관한 사무를,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방송·통신의 융합·진흥 및 전파관리와 정보통신,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소관사무를 이관받았다.[14]
2017년 7월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개편하면서 기술창업활성화 관련 창조경제 진흥에 관한 사무를 중소벤처기업부에 이관하였다.[15] 2023년 3월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였다.
4. 조직
실·국 정책관·심의관실 담당관실·과 장관 산하 하부조직 대변인실 홍보담당관실ㆍ디지털소통팀[16] 감사관실[17] 감사담당관실 장관정책보좌관실[18] 제1차관 산하 하부조직 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실 기획재정담당관실ㆍ혁신행정담당관실ㆍ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ㆍ정보화담당관실[17]ㆍ정보보호담당관실 국제협력관실 국제협력총괄담당관실ㆍ미주아시아협력담당관실ㆍ구주아프리카협력담당관실[17]ㆍ다자협력담당관실 비상안전기획관실 colspan=2 | 운영지원과 연구개발정책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실 연구개발정책과ㆍ기초연구진흥과ㆍ원천기술과ㆍ생명기술과ㆍ첨단바이오기술과[17]ㆍ융합기술과 거대공공연구정책관실 거대공공연구정책과ㆍ우주기술과ㆍ원자력연구개발과ㆍ거대공공연구협력과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실[17] 연구성과일자리정책과ㆍ연구산업진흥과[17]ㆍ지역과학기술진흥과ㆍ연구기관지원팀[19] 미래인재정책국 미래인재정책과ㆍ미래인재양성과ㆍ과학기술문화과ㆍ과학기술안전기반팀[19] 제2차관 산하 하부조직 정보통신정책실 정보통신정책관실 정보통신정책총괄과ㆍ디지털사회기획과ㆍ디지털신산업제도과ㆍ디지털포용정책팀[19] 인공지능기반정책관실 인공지능기반정책과ㆍ데이터진흥과ㆍ인터넷진흥과ㆍ디지털인재양성팀[19] 소프트웨어정책관실 소프트웨어정책과ㆍ소프트웨어산업과ㆍ디지털콘텐츠과 정보통신산업정책관실 정보통신산업정책과ㆍ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ㆍ정보통신산업기반과 네트워크정책실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실 네트워크정책과ㆍ디지털기반안전과ㆍ정보보호기획과ㆍ정보보호산업과[17]ㆍ사이버침해대응과 통신정책관실 통신정책기획과ㆍ통신경쟁정책과ㆍ통신이용제도과ㆍ통신자원정책과 방송진흥정책관실 방송진흥기획과ㆍ뉴미디어정책과ㆍ디지털방송정책과 전파정책국 전파정책기획과ㆍ전파방송관리과ㆍ주파수정책과ㆍ전파기반과 과학기술혁신본부 산하 하부조직 과학기술혁신조정관실 과학기술정책국 과학기술정책과ㆍ과학기술전략과ㆍ과학기술정책조정과ㆍ성장동력기획과 연구개발투자심의국 연구예산총괄과ㆍ연구개발투자기획과ㆍ공공에너지조정과ㆍ기계정보통신조정과ㆍ생명기초조정과 성과평가정책국 성과평가정책과ㆍ연구평가혁신과ㆍ연구제도혁신과[17]ㆍ연구윤리권익보호과ㆍ과학기술정보분석과ㆍ연구개발타당성심사팀[20]
4. 1. 장관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장관은 장관 직속으로 대변인실, 감사관실, 그리고 장관정책보좌관실을 두고 있다.[16][17][18] 대변인실은 홍보담당관실과 디지털소통팀으로,[16] 감사관실은 감사담당관실로 구성되어 있다.[17]
4. 2. 제1차관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기획조정실, 연구개발정책실, 미래인재정책국 등을 담당한다.[17][19]4. 3. 제2차관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정보통신정책실, 네트워크정책실, 전파정책국을 관할한다.[16][17][18][19][20]
정보통신정책실은 정보통신정책관실, 인공지능기반정책관실, 소프트웨어정책관실, 정보통신산업정책관실로 구성된다. 네트워크정책실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실, 통신정책관실, 방송진흥정책관실을 산하에 두고 있다. 전파정책국은 전파정책기획과, 전파방송관리과, 주파수정책과, 전파기반과로 구성된다.
4. 4. 과학기술혁신본부
과학기술혁신본부 산하에는 과학기술혁신조정관실, 과학기술정책국, 연구개발투자심의국, 성과평가정책국이 있다.[20]
과학기술정책국은 과학기술정책과, 과학기술전략과, 과학기술정책조정과, 성장동력기획과를 두고 있다.[20]
연구개발투자심의국은 연구예산총괄과, 연구개발투자기획과, 공공에너지조정과, 기계정보통신조정과, 생명기초조정과를 두고 있다.[20]
성과평가정책국은 성과평가정책과, 연구평가혁신과, 연구제도혁신과[17], 연구윤리권익보호과, 과학기술정보분석과, 연구개발타당성심사팀[20]을 두고 있다.
5. 소속기관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소속기관으로는 우정사업본부, 국립전파연구원, 중앙전파관리소가 있으며, 장관의 관장 사무를 지원하는 책임운영기관으로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이 있다.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이 설립될 예정이다.
6. 소속 자문위원회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자문위원회는 다음과 같다.
위원회명 | 설치근거 | 비고 |
---|---|---|
간접비산출위원회 | 국가연구개발사업의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13조, 제13조제1항 | |
공익성심사위원회 | 전기통신사업법 제10조 | |
국가연구개발정보관리위원회 | 국가연구개발사업의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13조 | |
국가정보화정책조정협의회 | 국가정보화기본법 시행령 제5조 | |
국가초고성능컴퓨팅위원회 | 국가초고성능컴퓨터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7조 | |
국가핵융합위원회 | 핵융합에너지 개발진흥법 제6조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5조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협의회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7조 | |
기술사제도발전심의위원회 | 기술사법 제3조의2 | |
디지털방송활성화추진위원회 | 디지털전환특별법 제4조 | |
방송통신발전기금운용심의회 |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제27조 | |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 생명공학육성법 제6조 | |
성과지표심의위원회 | 국가연구개발사업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 제6조 | |
여성과학기술인육성위원회 | 여성과학기술인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조 | |
연구개발특구위원회 |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7조 | |
외부평가위원회 | 한국연구재단법 제15조 | |
우정사업운영위원회 | 우정사업운영에 관한 특례법 제4조 | |
우체국보험분쟁조정위원회 |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 제48조2 | |
인터넷주소정책심의위원회 |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 제6조 | |
정보통신진흥기금운용심의회 |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시행령 제26조 | |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 과학기술기본법 제9조의10 | |
천체관측장비설치심의회 | 천문법 시행령 제4조 | |
핵융합에너지연구협의회 | 핵융합에너지 개발진흥법 시행령 제17조 |
7. 역대 장관
wikitext
대 | 성명 | 재임 기간 | 비고 |
---|---|---|---|
초 | 이상목 | 2013년 3월 25일 ~ 2013년 4월 16일 | 박근혜 정부 |
2 | 최문기 | 2013년 4월 17일 ~ 2014년 7월 15일 | |
3 | 최양희 | 2014년 7월 16일 ~ 2017년 7월 10일 |
대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4 | 유영민 | 2017년 7월 11일 ~ 2019년 9월 8일 | 문재인 정부 |
5 | 최기영 | 2019년 9월 9일 ~ 2021년 5월 13일 | 문재인 정부 |
6 | 임혜숙 | 2021년 5월 14일 ~ 2022년 5월 9일 | 문재인 정부 |
7 | 이종호 | 2022년 5월 10일 ~ 2024년 8월 16일 | 윤석열 정부 |
8 | 유상임 | 2024년 8월 16일 ~ 현재 | 윤석열 정부 |
7. 1.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대 | 성명 | 재임 기간 | 비고 |
---|---|---|---|
초 | 이상목/이상목한국어 | 2013년 3월 25일 ~ 2013년 4월 16일 | 박근혜 정부 |
2 | 최문기/최문기한국어 | 2013년 4월 17일 ~ 2014년 7월 15일 | |
3 | 최양희/최양희한국어 | 2014년 7월 16일 ~ 2017년 7월 10일 |
7.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장으로서, 국무위원으로 보한다.대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4 | 유영민 | 2017년 7월 11일 ~ 2019년 9월 8일 | 문재인 정부 |
5 | 최기영 | 2019년 9월 9일 ~ 2021년 5월 13일 | 문재인 정부 |
6 | 임혜숙 | 2021년 5월 14일 ~ 2022년 5월 9일 | 문재인 정부 |
7 | 이종호 | 2022년 5월 10일 ~ 2024년 8월 16일 | 윤석열 정부 |
8 | 유상임 | 2024년 8월 16일 ~ 현재 | 윤석열 정부 |
8. 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4]
9. 재정
2023년 총수입은 9조 4289억 54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1.31% 증가했다.[5][6] 세입 예산은 일반회계 3303억 6700만 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101억 4900만 원, 우편사업특별회계 3조 2672억 8700만 원, 우체국예금특별회계 2조 2823억 1700만 원, 우체국보험특별회계 1조 407억 8400만 원 등이다.
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일반회계 | 3303억 6700만 원 | +1.13% | |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 101억 4900만 원 | +9.38% | |
우편사업특별회계 | 3조 2672억 8700만 원 | +1.67% | |
우체국예금특별회계 | 2조 2823억 1700만 원 | +3.14% | |
우체국보험특별회계 | 1조 407억 8400만 원 | +1.2% | |
책임운영기관특별회계 | 69억 9900만 원 | +4.52% | |
국립중앙과학관 | 19억 8200만 원 | +0.78% | |
국립과천과학관 | 50억 17만 원 | +2.24% | |
과학기술진흥기금 | 118억 9800만 원 | +20% | |
방송통신발전기금 | 1조 481억 4500만 원 | +53.36% | |
원자력기금 | 3336억 300만 원 | -0.76% | |
정보통신진흥기금 | 1조 974억 500만 원 | +70.41% | |
합계 | 9조 4289억 5400만 원 | +11.31% |
2023년 총지출은 18조 8733억 93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69% 증가했다.[5][6] 세출 예산은 일반회계 8조 6467억 700만 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6144억 3900만 원, 우편사업특별회계 4조 384억 6500만 원, 우체국예금특별회계 1조 4383억 300만 원, 우체국보험특별회계 2958억 3500만 원 등이다.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일반회계 | 8조 6467억 700만 원 | +5.15% | ||
국정운영 | 37억 500만 원 | +32.32% | ||
정부자원관리 | 2025억 7300만 원 | +4.44% | ||
고등교육 | 1910억 4900만 원 | +1.37% | ||
평생·직업교육 | 0원 | -100% | ||
교육일반 | 36억 7500만 원 | +4.64% | ||
문화예술 | 850억 9000만 원 | +3.41% | ||
산업혁신지원 | 388억 7600만 원 | +12.93% | ||
방송통신 | 1861억 4700만 원 | +8.47% | ||
정보통신 | 7215억 5900만 원 | +19.01% | ||
과학기술연구지원 | 3조 2282억 8000만 원 | +3.43% | ||
과학기술일반 | 1112억 7600만 원 | +8.93% | ||
과학기술인력 및 문화 | 2110억 3900만 원 | +8.28% | ||
과학기술연구개발 | 3조 6634억 3800만 만 원 | +4.61% | ||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 6144억 3900만 원 | +22.84% | ||
평생·직업교육 | 625억 2000만 원 | +32.04% | ||
산업혁신지원 | 290억 1800만 원 | -18.36% | ||
방송통신 | 14억 5000만 원 | 순증 | ||
정보통신 | 2060억 2700만 원 | +145.3% | ||
과학기술연구지원 | 1519억 7600만 원 | -6.21% | ||
과학기술연구개발 | 1634억 4800만 원 | -4.56% | ||
우편사업특별회계 | 우정 | 4조 384억 6500만 원 | +3.37% | |
우체국예금특별회계 | 우정 | 1조 4383억 300만 원 | +14.75% | |
우체국보험특별회계 | 우정 | 2958억 3500만 원 | -0.28% | |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 과학기술연구지원 | 4457억 5900만 원 | +3.85% | |
책임운영기관특별회계 | 693억 6900만 원 | +3.2% | ||
국립중앙과학관 | 과학기술인력 및 문화 | 352억 7900만 원 | +5.89% | |
국립과천과학관 | 과학기술인력 및 문화 | 340억 9000만 원 | +0.56% | |
소재·부품·장비경쟁력강화특별회계 | 4322억 3000만 원 | -3.07% | ||
정보통신 | 188억 4800만 원 | -28.24% | ||
과학기술연구지원 | 1238억 7700만 원 | +0.35% | ||
과학기술인력 및 문화 | 89억 8000만 원 | -2.18% | ||
과학기술연구개발 | 2805억 2500만 원 | -2.26% | ||
과학기술진흥기금 | 1109억 5900만 원 | +6.41% | ||
과학기술인력 및 문화 | 971억 7800만 원 | +1.66% | ||
과학기술연구개발 | 137억 8100만 원 | +58.75% | ||
방송통신발전기금 | 1조 1282억 6100만 원 | -10.02% | ||
문화예술 | 4223억 8900만 원 | +3.32% | ||
방송통신 | 857억 6500만 원 | -41% | ||
정보통신 | 6201억 700만 원 | -11.38% | ||
원자력기금 | 과학기술연구개발 | 3328억 4300만 원 | +1.95% | |
정보통신진흥기금 | 1조 3202억 2300만 원 | -24.7% | ||
문화예술 | 68억 3200만 원 | -16.8% | ||
방송통신 | 148억 4100만 원 | +24.53% | ||
정보통신 | 1조 2985억 5000만 원 | -25.07% | ||
합계 | 18조 8733억 9300만 원 | +1.69% |
참조
[1]
간행물
Article 36 and 37, Decree on the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its Constituents
Presidential Decree No.29568
2019-02-26
[2]
간행물
Article 27 and 28, Enforcement Rule of the Decree on the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its Constituents
Ordinance of the Minister of Science and ICT No. 23
2019-02-26
[3]
웹사이트
Two ministries moving to Sejong in 2019
https://www.koreatim[...]
2018-02-02
[4]
간행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2 및 별표 5제4호·제7호·제8호"
[5]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2-12-31
[6]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2-12-31
[7]
법률
법률 제1호
[8]
법률
법률 제734호
[9]
법률
법률 제1947호
[10]
법령
대통령령 제10579호
[11]
법률
법률 제4831호
[12]
법률
법률 제5529호
[13]
법률
법률 제8852호
[14]
법률
법률 제11690호
[15]
법률
법률 제14839호
[16]
문서
2023년 9월 26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7]
문서
개방형 직위.
[18]
문서
2명을 두며 1명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별정직공무원으로, 나머지 1명은 3급 또는 4급 상당 별정직공무원으로 보한다.
[19]
문서
2023년 9월 1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0]
문서
2024년 5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1]
문서
한시정원 3명 포함.
[22]
문서
한시정원 1명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