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 기상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 기상청은 대한민국의 기상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환경부 소속의 외청이다. 1904년 인천에 설치된 관측소를 전신으로 하여, 1948년 중앙관상대로 출범, 1990년 기상청으로 개편되었다. 기상 예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슈퍼컴퓨터를 도입하고, 정지궤도 기상 위성인 천리안을 발사하는 등 기상 관측 및 예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낮은 일기 예보 정확도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날씨에 관한 - 한파
    한파는 북극 또는 남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내려와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며, 북극진동과 남극진동의 기압 차이에 따라 빈도가 달라지고, 가축과 야생 동물 피해, 수도관 동파, 인명 피해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 날씨에 관한 - 온대
    온대는 최한월 평균 기온 -3°C 이상 18°C 미만, 최난월 평균 기온 10°C 이상, 건조 한계 이상의 연평균 강수량을 가지며 뚜렷한 사계절과 다양한 동식물상, 높은 농업 생산성을 보이는 기후대로, 북위·남위 23.5도에서 66.5도 사이에 분포하며 세계 인구의 대부분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 대한민국 기상청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 대한민국 기상청 - 대전지방기상청
    대전지방기상청은 충청남도,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의 기상업무를 총괄하는 기상청 산하 지방기상청으로, 기상 예보 및 특보 발표, 기상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청주기상지청과 홍성기상대 등을 관할한다.
  • 대전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특허법원
    대한민국 특허법원은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종자 관련 사건을 전담하는 고등법원급 법원으로서 특허청과 농림수산식품부 소관 사건을 전속 관할하며, 특허심판원 또는 품종보호심판위원회의 심결에 대한 불복 소송을 통해 특허 관련 소송을 2심제로 운영한다.
  • 대전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대전지방법원
    대전지방법원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를 관할하는 지방법원으로, 1895년 공주재판소로 설치되어 1938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본원은 대전 서구 둔산동에 위치하고 5개의 지원과 여러 시·군법원 및 등기소를 두며 2031년 세종지방법원이 분리 신설될 예정이다.
대한민국 기상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한민국 기상청 로고
대한민국 기상청 로고 (가로형)
명칭기상청
로마자 표기Gisangcheong
영어 명칭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설립일1990년 12월 27일
전신중앙기상대,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Service)
관할대한민국
본부 위치대전광역시 서구
예산세입: 81억 3300만 원
세출: 4696억 7200만 원
모토신속하고 정확하며 가치있는 기상서비스 실현
기관장 직책청장
기관장 이름유희동
차장 직책차장
차장 이름장동언
상급 기관환경부
웹사이트기상청 공식 웹사이트
조직
소속 기관(별도 항목 참조) # TODO: 상세 조직 정보가 없어 추후 업데이트 필요
관련 법률
설립 근거정부조직법 제40조 제2항

2. 역사

대한제국 농상공부 소속 관측소가 기상청의 전신이다. 러일 전쟁 당시 일본의 필요로 인천광역시에 설치되어 중앙관상대 역할을 수행했다. 1912년 내무부 학무국 소관이 되었다가 해방 후 문교부 소관이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며, 1948년 3월 1일 중앙관상대가 서울로 이전했다.[17][18] 다만, 근거 법령은 1949년 8월 18일에 제정되었다.

2. 1. 근대 이전

조선 시대에는 '관상감'(觀象監)이라는 기관에서 천문, 지리, 측후 등을 담당했다. 이 기관은 천체 현상을 관찰하고 백성에게 알리는 역할을 했다.[19]

2. 2. 일제 강점기

1904년 러일 전쟁 당시, 일본군의 필요에 의해 부산, 목포, 인천 등에 임시 관측소가 설치되었다.[8][6][5][4] 1907년 2월 대한제국 농상공부에 관측소 관제가 시행되고, 경성, 평양, 대구 세 곳에 관측소를 설치했으나,[5][4] 사업 감독은 통감부 관측소에 위탁했다.[4] 같은 해 3월 임시 관측소 관제가 폐지되고,[4] 통감부 관측소 관제가 정해져,[5] 기상 관측 사업이 통감부로 이관되었다.[6][5]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이후에는 조선총독부 체신국으로 이관되었다가,[9] 1912년 4월 내무부 학무국으로 이관되었다.[10]

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문교부 소속 국립중앙관상대로 발족하였다.[23] 초기에는 관상대라고 불렀는데 이는 조선 시대의 '관상감'(觀象監)이라는 직책에서 유래했다. 천문·지리·책력·측후 등을 관장한 기관으로 천체 현상을 관찰해 백성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했다.[19] 1948년 3월 1일 중앙관상대가 서울로 이전하였고,[17][18] 근거 법령은 1949년 8월 18일에 제정되었다.

1956년 3월 16일에는 미국 국무부의 도움을 받아 세계기상기구에 정식 가입했다.[20] 1962년에는 교통부 소속으로,[24] 1967년에는 과학기술처로 이관되었다.[26]

1981년에는 중앙기상대로 이름을 바꿨다가[27] 1990년에 지금과 같은 기상청으로 개편되었다.[28] 이는 기상 업무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전문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21]

2013년에는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기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기상청을 기상기후청으로 개편하는 안을 검토하기도 했다. 기상관측뿐만이 아니라 기후변화 예측·감시 업무까지 수행하는데 이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깊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다만, 새 정부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포함되지 않아 자연스럽게 사장되었다.[22]

2022년 2월 정부대전청사로 이전했다.[31]

날짜내용
1949년 8월 18일문교부 소속으로 국립중앙관상대 설치.[23]
1962년 7월 16일교통부 소속으로 변경.[24]
1963년 2월 12일중앙관상대로 개편.[25]
1967년 3월 30일과학기술처 소속으로 변경.[26]
1981년 12월 31일중앙기상대로 개편.[27]
1990년 12월 27일기상청으로 개편.[28]
1998년 2월 28일과학기술부의 외청으로 소속 변경.[29]
2008년 2월 29일환경부의 외청으로 소속 변경.[30]
2022년 2월정부대전청사로 일부 이전.[31]


3. 조직

대한민국 기상청은 청장과 차장을 중심으로 여러 하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장 산하에는 대변인실이 있고, 차장 산하에는 기획조정관실, 예보국, 관측기반국, 기후과학국, 기상서비스진흥국, 지진화산국 등이 있다.

각 국의 하부 조직은 다음과 같다.

담당관실·과
기획조정관실기획재정담당관실, 혁신행정담당관실, 연구개발담당관실, 국제협력담당관실
예보국총괄예보관[33], 예보정책과, 예보기술과, 국가태풍센터, 재해기상대응팀[34], 영향예보지원팀[35]
관측기반국관측정책과, 계측표준협력과, 정보통신기술과[32],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정보보호팀[36]
기후과학국기후정책과, 기후예측과, 해양기상과[32], 기후변화감시과, 수문기상팀[37]
기상서비스진흥국기상서비스정책과, 국가기후데이터센터, 기상융합서비스과
지진화산국지진화산정책과, 지진화산감시과, 지진화산연구과, 지진화산기술팀[34]


3. 1. 간부

청장 (차관급)

  • 대변인

차장

3. 2. 하부조직

담당관실·과
차장 산하 하부조직
기획조정관실기획재정담당관실ㆍ혁신행정담당관실ㆍ연구개발담당관실ㆍ국제협력담당관실
감사담당관실[32]ㆍ운영지원과
예보국총괄예보관[33]ㆍ예보정책과ㆍ예보기술과ㆍ국가태풍센터ㆍ재해기상대응팀[34]ㆍ영향예보지원팀[35]
관측기반국관측정책과ㆍ계측표준협력과ㆍ정보통신기술과[32]ㆍ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ㆍ정보보호팀[36]
기후과학국기후정책과ㆍ기후예측과ㆍ해양기상과[32]ㆍ기후변화감시과ㆍ수문기상팀[37]
기상서비스진흥국기상서비스정책과ㆍ국가기후데이터센터ㆍ기상융합서비스과
지진화산국지진화산정책과ㆍ지진화산감시과ㆍ지진화산연구과ㆍ지진화산기술팀[34]


3. 3. 소속기관

기상청장의 관장 사무를 지원하는 기관으로는 수치모델링센터, 기상기후인재개발원, 국가기상위성센터, 기상레이더센터가 있다.

또한, 청장의 소관 사무를 분장하는 기관으로 지방기상청이 있으며, 청장의 관장 사무를 지원하는 책임운영기관으로 국립기상과학원항공기상청이 있다.[2][3]

3. 3. 1. 지방 기상청 및 기상대

지방기상청은 수원, 강릉, 대전, 광주, 제주, 부산의 6곳에 설치되어 있다. 지방기상청에서는 관할 지역의 광역 예보와 주간 예보를 할 수 있으며, 기상대보다 많은 기상 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기상대는 7개소가 있으며,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 기상청에 속해 있다. 기상대에서는 관할 지역의 국지 예보를 한다.

3. 3. 2. 항공기상청 소속기관


  • 김포항공기상대
  • 제주항공기상대
  • 무안항공기상대
  • 울산항공기상대
  • 김해항공기상대
  • 여수항공기상실
  • 양양항공기상실

3. 4. 소속 자문위원회

위원회명설치 근거비고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기상관측표준화법 제20조
지진 및 지진해일관측기관협의회지진재해대책법 제9조


4. 주요 사업

기상 (지상 및 수상을 포함한다)에 관한 사무를 주 사업으로 한다.

5. 기상 관측 장비

종관 기상 관측 장비(ASOS)는 기압, 기온, 풍향, 풍속, 습도, 강수량, 강우 유무, 일사량, 일조 시간, 지면 온도, 첫서리 온도 등을 자동 관측하고, 날씨, 시정, 운량, 운형, 증발량, 지중 온도 등은 1시간마다 수동 관측하는 장비이다. 적설량은 자동 적설 관측 장비 또는 적설판(또는 눈금자)으로 관측한다. ASOS는 각 기상 관서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 기상 관측 장비의 일종이지만 더 많은 기상 요소를 관측한다.[12]

자동 기상 관측 장비(AWS, Automatic Weather System)는 기상 관서가 없는 지역을 위해 대한민국 각 시·군·구에 500개소가 설치되어 운영된다. AWS에서 관측하는 기상 요소는 기본적으로 강수 유무·강수량, 기온, 풍향·풍속 3가지이다. 기상 관서 간의 공백이 큰 지역에서는 기압, 습도, 적설량계, 운고·운량계, 시정계 등도 추가로 관측한다. 관측 데이터는 1분마다 전송되며, 기상청에서 각 AWS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활용한다. 숫자로 된 원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제공[12]되며, 대한민국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분포도는 AWS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5분마다 자동 갱신되어 제공[13]된다.

AWS 관측소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장비관측 방식
강수 유무접촉 회로의 임피던스를 감지한다. 강수가 있으면 전압이 발생하여 강수를 감지한다.
강수량전도형 우량계로 관측하며, 관측 단위는 0.5mm이다.
기온전기식 온도계로 관측한다. 백금의 전기 저항 변화를 이용한 백금선 저항 온도계를 사용한다.
풍향·풍속풍차식 풍속계로 관측한다. 풍향은 전위차계에서 감지되는 전압으로, 풍속은 풍차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주파수로 관측한다.
기압기압에 의해 실리콘 격막이 굽혀지고 전극판 사이 간극이 변화하여 정전 용량이 변화한다. 이 변화량을 측정하여 기압으로 변환한다.
습도물 분자가 고분자 물질에 흡착됨으로써 유전율이나 정전 용량이 변화한다. 이 변화량을 측정하여 습도로 변환한다.



기상 레이더는 강수 현상을 관측하는 장비이다. 관악산, 구덕산, 오성산, 면봉산, 광덕산, 강릉, 백령도, 진도, 성산, 고산에 위치한 기상 레이더를 운영한다. 2013년에는 미국 엔터프라이즈 일렉트로닉스 코퍼레이션이 기상청에 11대의 S 밴드 클라이스트론 이중 편파 도플러 기상 레이더 시스템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여 전국에 설치되었다.

기상 위성은 통신해양기상위성(COMS)를 통해 한반도 및 주변 지역 기상 현상을 관측한다.

6. 기상용 슈퍼컴퓨터

대한민국 기상청은 1999년 예보를 위해 기상 슈퍼컴퓨터를 도입했다.[1] 2000년 9월 슈퍼컴퓨터 1호기를 도입한 이후, 2005년 8월 2호기, 2010년 12월 3호기, 2015년 12월 4호기를 도입하였다. 2020년 12월에는 5호기를 도입할 예정이었다. 2021년 11월 기준으로 슈퍼컴퓨터 '구루'와 '마루'는 각각 세계 TOP500에서 27위와 28위를 기록했다.[1]

7. 비판

2016년 여름철 장마와 폭염 예보가 빗나가면서 '양치기 기상청'이라는 비판을 받았다.[38][39][40][41] 예보관이 자주 교체되어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7. 1. 예보 정확도 관련 논란

대한민국 기상청의 일기 예보 정확도가 낮다는 이유로 비판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회 등에서는 기상청 담당자가 소환되어 질책을 받는 사태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2016년 여름철에는 장마와 폭염에 대해 오보를 계속 내어 비판을 받았다. 7월에는 소나기 예보를 내린 날에는 해가 뜨고, 그렇지 않은 날에는 오히려 소나기가 내려 '양치기 기상청'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8월 11일부터 14일까지 '폭염이 절정에 달할 것'이라고 예보했으나 19일이 되어도 폭염은 수그러들지 않은 채, 최고 기온을 갱신했다.[38][39] 이후에도 폭염이 꺾이는 시점에 대한 보도를 16일, 22일, 24일로 계속해서 미루었는데, 이에 대해 기상청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공기 흐름이 정체되어 있어 폭염이 끝날 줄 알았으나 계속 이어진다는 등 대기 예측이 매우 어려웠다고 해명했다.[40][41] 한편, 기상청이 날씨를 예측하는 것은 슈퍼컴퓨터를 통한 자료를 예보관들이 분석함으로써 알려주는 것인데, 오보가 나올 때마다 예보관을 교체해서 해당 분야에 유능한 인재가 머물기 힘들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op500 List - Supercomputer Sites: November 2021 https://www.top500.o[...]
[2] 문서 Joint offices for Meteorological observation established by collaborative work between KMA and province offices.
[3] 문서 Order of Ministry of Environment(Revised in 2008.10.22)- KMA and organization set-up
[4] 서적 中央気象台一覧 https://books.google[...] 中央気象台 1932
[5] 서적 京城府史 第二巻 https://books.google[...] 京城府 1936
[6] 서적 施政三十年史 https://books.google[...] 朝鮮総督府 1940
[7] 서적 第二次韓国施政年報 https://books.google[...] 統監府 1908
[8] 서적 朝鮮森林視察復命書 https://books.google[...] 農商務省山林局 1913
[9] 서적 朝鮮総督府施政年報: 明治四十三年 https://books.google[...] 朝鮮総督府 1912
[10] 서적 朝鮮総督府施政年報: 明治四十五年・大正元年 https://books.google[...] 朝鮮総督府 1914
[11] 서적 施政二十五年史 https://books.google[...] 朝鮮総督府 1935
[12] 웹사이트 http://www.kma.go.kr[...]
[13] 웹사이트 http://www.kma.go.kr[...]
[14] 문서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2
[15]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1-24
[16]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1-24
[17] 뉴스 仁川中央氣象台 三月一日서울에移轉 http://newslibrary.n[...] 1948-02-26
[18] 뉴스 [책갈피 속의 오늘]1990년 기상청 독립 https://news.naver.c[...] 2004-12-27
[19] 뉴스 [여적]기상청장, 직책의 무거움 http://news.khan.co.[...] 2011-02-13
[20] 뉴스 16日字로加入 世界氣象機構 http://newslibrary.n[...] 1956-03-21
[21] 뉴스 기상대 기상청으로 오늘 출범 https://news.naver.c[...] 1990-12-28
[22] 뉴스 '기상청→기상기후청' 23년만에 명칭변경 추진 https://news.naver.c[...] 2013-02-04
[23] 법률 대통령령 제165호
[24] 법률 각령 제887호
[25] 법률 각령 제1208호
[26] 법률 법률 제1947호
[27] 법률 법률 제3518호
[28] 법률 법률 제4268호
[29] 법률 법률 제5529호
[30] 법률 법률 제8852호
[31] 뉴스 기상청, 대전이전 본격 시작…27일까지 정책부서 이전 마무리 https://newsis.com/v[...] 2022-02-18
[32] 문서 개방형 직위.
[33] 문서 4명을 둔다.
[34] 문서 2024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35] 문서 2026년 3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36] 문서 2025년 3월 29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37] 문서 2025년 4월 30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38] 뉴스 기상청 장마에 이어 폭염도 오보…하루만에 기존 예보 뒤집어 http://www.joongang.[...] 2016-08-21
[39] 뉴스 하루만에 또 바뀐 '오보 기상청' http://news.hankyung[...] 2016-08-21
[40] 뉴스 이틀마다 "곧 폭염 끝난다"… 양치기 기상청 http://news.chosun.c[...] 2016-08-21
[41] 뉴스 [사설] '오보청' 오명 벗도록 날씨 예보 신뢰도 높여야 http://www.hankookil[...] 2016-08-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