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베그 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델베그 칸은 1412년 오이라트부의 추대로 북원 황제가 된 인물이다. 그는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의 아들로 알려져 있으나, 출생 및 가계에 대한 여러 설이 존재한다. 델베그 칸은 오이라트부의 지지를 받았지만, 몽골 동부와 중부 지역에서는 아수드부의 아룩타이에게 영향력을 빼앗겼다. 그는 명나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1415년 아자이 칸 또는 오이라트부 바툴라에게 암살당했다. 델베그 칸의 사후 북원은 더욱 혼란에 빠졌으며, 그의 통치는 북원의 쇠퇴를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5년 출생 - 프라 안젤리코
프라 안젤리코는 르네상스 초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도미니크 수도회 수사로, 고딕 양식과 르네상스 양식의 특징을 아우르는 섬세한 색채, 고요한 분위기, 깊은 신앙심을 보여주는 종교화를 다수 제작하여 가톨릭 예술가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 1395년 출생 - 피사넬로
피사넬로는 15세기 초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메달 제작가로서, 젠틸레 다 파브리아노의 영향을 받아 섬세하고 우아한 화풍을 확립하여 궁정풍 고딕 양식을 대표하면서도 르네상스 미술의 선구자적 면모를 보였으며, 특히 초상 메달 분야에서 독창적인 업적을 남겼다. - 몽골의 칸 - 알탄 칸
알탄 칸은 16세기 몽골의 지배자로서 투메트부를 다스리고 명나라와 교역을 시도하다 베이징을 공격하고 화의를 맺었으며, 티베트 불교를 몽골에 부흥시키고 후허하오터를 건설하는 등 몽골의 종교적,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다. - 몽골의 칸 - 복드 칸
복드 칸은 몽골의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로, 1911년 몽골 독립 후 칸으로 추대되어 1924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으며 그의 사후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1415년 사망 - 오와인 글린두르
오와인 글린두르는 1400년 웨일스 공을 자칭하며 잉글랜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웨일스의 앵글로-웨일스 젠트리 가문 출신 인물로,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잉글랜드의 군사력에 밀려 실패했으나 웨일스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며 국민 영웅으로 기억되고 있다. - 1415년 사망 - 설미수
설미수는 원나라 고창 출신으로 고려 말과 조선 초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조선 건국 후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적 역할을 수행하고 둔전제 실시를 건의하며 호조, 공조, 예조 판서를 역임하다 1415년에 사망한 문신이다.
델베그 칸 | |
---|---|
기본 정보 | |
이름 | 델베그 |
다른 이름 | 다리바 (答里巴) |
칭호 | |
직함 | 몽골 제국의 제24대 황제 (카안) |
칭호 | 북원의 카안 |
통치 | |
재위 기간 | 1412년 – 1415년 |
즉위 | 1412년 |
생애 | |
출생일 | 1395년 |
출생지 | 몽골 고원 |
사망일 | 1415년 |
사망지 | 몽골 고원 |
가문 | |
왕가 | 보르지긴 가문 |
왕조 | 북원 |
아버지 | 부냐시리 |
어머니 | 알려지지 않음 |
후계자 | 오이라다이 |
2. 생애
1395년에 올제이 테무르 칸의 아들로 태어났다. 델베그의 가계는 불분명하여 여러 설이 존재하는데, 《몽골원류》에 의하면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의 아들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다른 몽골 사서인 《전기지우》(傳記之友)에 따르면 아리크 부케의 후손이었다고 하며, 또 다른 설에 의하면 엘베그 니굴세그치 칸의 아들이었고,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의 동생이었다고도 한다. 《명사》와 《명실록》에 의하면 델베그는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의 동생이며, 《신원사》 세계표에는 델베그가 굴리치 울루그테무르 칸의 아들이라고 한다.
1410년, 명나라의 영락제는 직접 대군을 이끌고 몽골 고원을 공격하여 오논 강가에서 올제이 테무르 칸의 몽골군을 격파했고, 올제이 테무르 칸은 오이라트로 도망쳤다. 1412년, 오이라트의 마흐무드는 올제이 테무르 칸을 살해하고 델베그를 17세의 나이로 칸위에 앉혔다. 델베그 칸은 서몽골의 지지를 받았으나, 동몽골 부족 대부분은 그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오이라트부의 꼭두각시 대칸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1414년, 영락제는 다시 군대를 이끌고 몽골 고원을 공격하여 헨티 산 중의 울란 호슌(붉은 산 코)에서 델베그 칸과 마흐무드의 오이라트 군을 격파했다.
1415년, 델베그 칸은 21세의 나이로 붕어했고, 오이라다이 칸이 뒤를 이어 즉위했다. 같은 해, 명나라 군대가 철수하자 동몽골 아수드부의 아룩타이는 오이라트 군대를 크게 격파하고, 델베그 칸과 오이라트부 지지자들을 살해했다.
2. 1. 북원 황제 즉위 이전
델베그는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의 아들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델베그의 가계는 불분명하여 여러 설이 존재한다. 《몽골원류》에 의하면 델베그는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의 아들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다른 몽골 사서인 《전기지우》(傳記之友)에 따르면 그는 아리크 부케의 후손이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엘베그 니굴세그치 칸의 아들이었고,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의 동생이었다고도 한다. 《명사》와 《명실록》에 의하면 델베그는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의 동생이었다. 《신원사》 세계표에는 델베그가 굴리치 울루그테무르 칸의 아들이라고 한다. 델베그라는 이름은 몽골어로 꽃잎이라는 뜻이며, 페르시아어 문헌에는 타부지 카안(Табэлз хаан)으로 나타난다.[7] 델베그의 초기 행적은 알려진 것이 없다.2. 2. 북원 황제 즉위
1412년 오이라트부의 수장 바툴라(마흐무드)가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을 암살한 후, 델베그를 새로운 칸으로 추대했다.[1] 델베그 칸은 서몽골의 지지를 받았고, 바툴라를 태사로 임명했으나, 동몽골 부족 대부분은 그를 인정하지 않았다.[1] 그는 오이라트부의 꼭두각시 대칸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 델베그 칸은 아리크 부케의 직계 후손으로서 서몽골 지역의 지지를 얻었으나, 실질적인 영향력은 몽골 영토의 3분의 1 미만인 서부 지역에 국한되었다.[1] 몽골 동부와 중부는 아수드부 수장 아룩타이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1]2. 3. 명나라와의 관계
명나라(영락제)와의 관계에서 델베그 칸은 명나라에 투항한 몽골 장수의 송환을 요구했으나, 이는 영락제의 몽골 원정으로 이어졌다. 1413년 영락제가 쳐들어오자, 델베그 칸은 오이라트부와 함께 케룰렌강변에서 명군과 교전했다. 1414년 영락제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몽골을 침공, 우란 호슨에서 델베그 칸과 오이라트군은 참패하였다.2. 4. 아룩타이와의 대립
1412년, 오이라트의 마흐무드는 올제이 테무르 칸을 살해하고 델베그를 17세의 나이로 칸위에 앉혔다. 동몽골의 지도자 아수드부의 아룩타이는 델베그를 대칸으로 인정하지 않고,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다. 1412년부터 아룩타이와 교전하여 1414년에 그를 케룰렌강 밖으로 몰아내기도 했으나, 몽골 중부와 동부 지역을 차지하는 데는 실패했다. 1415년 명나라 군대가 철수하자, 아룩타이는 오이라트군을 크게 격파하고 델베그 칸과 오이라트부 지지자들을 살해했다. 아룩타이는 델베그 칸의 정당성을 부정하고, 친명 정책을 펼치며 북원의 분열을 심화시켰다.2. 5. 최후
1415년 영락제가 보낸 명나라 군대가 몽골 서부 지역을 침공하자 델베그 칸은 바툴라(마흐무드, 바하무), 볼라드 등과 함께 명나라 군대에 맞서 싸웠으나, 툴 강변 전투에서 크게 패했다.[8] 그러나 명나라 군대 역시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퇴각했고[9], 델베그 칸 등은 북쪽으로 후퇴했다.명나라 군대가 물러나자, 아자이 칸은 델베그 칸이 허수아비 칸이라며 정당성을 비난하며 몽골의 동부와 중부 지방에서 지지자를 모아 델베그 칸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 1415년 명나라 군대가 철수하자 동몽골 아수드부의 아룩타이는 오이라트 군대를 크게 격파했다. 그해 델베그 칸과 오이라트부 지지자들은 아자이에 의해 살해되었다. 일설에는 오이라트부 바툴라 칭상에게 암살됐다는 설도 있다.
일설에는 오이라트의 바툴라(마하무)가 패망한 직후 동몽골로 귀순했다가, 1423년 아룩타이에 의해 살해됐다는 설이 있다.
3. 사후
델베그 칸의 별칭은 '투글루민 카안'(тоглоомын хаан)이었는데, 이는 '꼭두각시 대칸'이라는 뜻이었다.[1] 그의 시신이 어디에 묻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몽골어식 존호가 있었는지도 확실하지 않다.[1]
델베그 칸이 죽은 후, 오이라트부의 지도자 바툴라(마흐무드, 바하무)의 아들 토곤 타이시가 오이라다이를 대칸으로 추대했다.[1] 에세크 칸 오이라다이는 델베그 칸의 아들이라는 설, 오이라트부의 수장 우게치 카스카의 아들이라는 설, 아리크부카의 또 다른 후손이라는 설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1] 에세크 칸이 델베그 칸의 아들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1] 동몽골에서는 아수드부 아룩타이와 그가 추대한 아다이가 1425년까지 대립했다.[1]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 | 엘베그 니굴세그치 칸의 아들이라는 설, 아리크부카의 후손이라는 설도 있음 |
어머니 | 미상 | 친정 부족명 미상 |
형제 |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 | 델베그가 부냐시리 울제이 테무르 칸의 동생이라는 설 존재 |
참조
[1]
서적
Altan Tobchi
[2]
간행물
Chinggis bogdoos Ligden khutaghtu hurtel (khaad)
[3]
논문
15世紀中葉前的北元可汗世系及政局 (Genealogy and political situation of the Northern Yuan Khans of the mid-15th century)
2000
[4]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5]
문서
1973
[6]
문서
2004
[7]
간행물
Chinggis bogdoos Ligden khutaghtuhurel (khaad)
[8]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9]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