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쿄도 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도 전차(도덴)는 1882년 일본 최초의 마차 철도로 시작하여, 1903년 전기 동력으로 전환된 후 도쿄 시내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발전했다. 1911년 도쿄 시가 인수하여 도쿄시 전기국으로 운영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과 관동 대지진을 거치며 노선 확장과 혼잡 문제를 겪었다. 1943년 도쿄도제 시행으로 도쿄도 교통국으로 이관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 지하철과의 경쟁과 도로 정비로 인해 노선이 대폭 축소되었다. 현재는 아라카와선(도쿄 사쿠라 트램)만이 운행 중이며, 8500형, 9000형, 8800형, 8900형, 7700형 등 5가지 차량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도 교통국 - 도에이 버스
    도에이 버스는 도쿄도 교통국에서 운영하며, 도쿄 시덴 대체 수단으로 시작되어 다마 지역 확장, 노선 재편 등을 거치며 변화했고, 서비스 개선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 도쿄도 교통국 - 도덴 아라카와선
    도덴 아라카와선은 도쿄 도에 있는 유일한 노면전차 노선으로, 미노와바시 정류장에서 와세다 정류장까지 운행하며 '도덴' 또는 '오지 전차'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존폐 위기를 극복하고 복고풍 관광 노선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 일본의 노면전차 - 구마모토시 교통국
    구마모토시 교통국은 구마모토시에서 노면 전차와 버스를 운영했던 공영 교통 기관으로, 기술 혁신을 이루었으며 버스 사업은 민간에 이관되었고 현재는 노면 전차를 운영하며 노선 연장 등이 논의되고 있다.
  • 일본의 노면전차 - 나가사키 전기 궤도
    나가사키 전기 궤도는 1914년 설립되어 5개 노선, 11.5km 구간을 운행하며, 원자 폭탄 피해를 극복하고 일본 최초의 차체 광고 전차 도입 및 세계 최초의 논스텝 단차 운행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현재 성인 140엔의 요금으로 이용 가능하다.
도쿄도 전차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도덴 차량 건널목
도덴 차량 건널목
노선 종류노면 전차
노선 수1
노선아라카와 선
운영 기관도쿄도 교통국
웹사이트https://www.kotsu.metro.tokyo.jp
운영 정보
개업1903년
노선 길이12.2 km
정류장 수30개
일일 승객 수47,504명 (2018년)
전력 방식직류 600V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40 km/h
차량 정보
차량7700계
8500계
8800계
8900계
9000계

2. 역사

1872년(메이지 5년)경 일본 최초의 철도 개업과 거의 동시에 합승 마차(엔타로 마차)와 인력거가 등장했다. 1876년(메이지 9년)에는 합승 마차가 170대, 인력거가 2만 4000대 이상 활약했다.

도쿄 인구는 1873년(메이지 6년) 60만 명에서 1881년(메이지 14년)에는 114만 명으로 증가했다.. 대량 수송에 적합한 교통 기관으로 마차 철도 계획이 제기되었고, 1880년 (메이지 13년) 2월, 전 사쓰마 번사 타니모토 미치유키, 타네다 세이이치 등에 의해 신바시에서 니혼바시 혼초, 우에노, 아사쿠사를 거쳐 다시 혼초에 이르는 총 길이 10마일(약 16km)의 순환선 부설이 출원되었다.. 같은 해 12월 28일 인가되었고, 일본 최초의 사철이 되는 '''도쿄 마차 철도 주식회사''' (자본금 30만 엔, 본사 시바구시오도메쵸 2초메)가 설립되었다.

마차 철도의 영업은 1년 반 후인 1882년 (메이지 15년) 6월 25일에 먼저 신바시 - 니혼바시 구간에서 시작되었고, 같은 해 10월 1일에는 순환선이 전선 개업했다.. 개업 초에는 인력거부들의 반대 운동에 부딪혔지만, 도쿄 시의 인구 증가와 우에노・아사쿠사 방면으로의 유람 수송을 배경으로 마차 철도는 큰 성공을 거두어 개업 20년째인 1902년 (메이지 35년)에는 연수입 140만 엔, 객차 300량과 마필 2000두를 보유하고, 다객 시에는 1시간에 60-70대나 되는 고빈도 운전을 할 정도로 성황을 이루었다.. 1897년 (메이지 30년) 12월에는 시나가와・야쓰야마시타 - 신바시 사이에 '''시나가와 마차 철도'''가 개업했지만, 1899년 (메이지 32년)에 도쿄 마차 철도에 흡수 합병되었다.

도쿄 명소 니혼바시 교바시 사이 철도 마차 왕복 그림


마차 철도는 도쿄 시민의 생활을 편리하게 한 반면, 과제도 적지 않았다. 경영적으로는 말 사육에 막대한 비용이 드는 것, 승객의 증가에 대해 운행 횟수가 한계에 달해 더 이상의 수요 확대를 대응할 수 없는 것이 과제였다.. 또한 말의 굽에 의해 노면이 손상되고, 말똥이 섞인 먼지가 흩날리는 것에 대한 연선 주민들의 불만은 끊이지 않았다.

1889년 (메이지 22년), 오쿠라 기하치로, 후지오카 시스케 등 도쿄 전등 관계자와 다치카와 유지로 등의 실업가들이 정부에 전차 부설 계획을 출원했다. 그러나 당시 전기 철도 기술은 초기 단계였고, 시기상조로 여겨져 인가되지 않았다.. 1890년 (메이지 23년) 우에노 공원에서 열린 제3회 내국 권업 박람회에서 도쿄 전등이 미국에서 구입한 전차의 데모 운전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여, 전차 부설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1895년 (메이지 28년) 교토 전기 철도[3]를 시작으로 전국 각지에서 전기 철도가 개업했다.

1893년 (메이지 26년)부터 1899년 (메이지 32년)까지 도쿄에서는 35개 회사와 출원이 잇따라 특허권 획득을 둘러싼 대립이 발생했다. 도쿄 마차 철도, 아마미야 게이지로 등의 도쿄 전차 철도, 후지야마 라이타 등의 도쿄 전기 철도, 미쓰히카리 쓰루마쓰 등의 도쿄 자동 철도 4사의 대립이 격렬했고, 자유당과 진보당의 정쟁, 전차의 민영/시영 논쟁 등으로 혼란이 발생했다. 도쿄 시구 개정 위원회의 개입도 혼란을 가중시켰다.

1900년 (메이지 33년), 내무성은 도쿄 시가이 철도, 오카다 하루에타 등이 설립한 가와사키 전기 철도, 그리고 도쿄 마차 철도 3사에 특허를 부여했다.

1903년 (메이지 36년)

  • '''8월 22일:''' 마차 철도의 '''도쿄 마차 철도'''가 동력을 에서 전기로 바꾸면서 탄생한 '''도쿄 전차 철도'''(통칭: 전차, 동전, 전철)가 시나가와 - 신바시 간을 전철화하여 개업했다.
  • '''9월 15일:''' '''도쿄 시가이 철도'''(통칭: 거리 철)가 스키야바시 - 간다바시 간에서 개업했다.
  • 1904년 (메이지 37년) 12월 8일, 가와사키 전기 철도에서 개칭한 '''도쿄 전기 철도'''(통칭: 외호선, 전기)가 도바시 - 오차노미즈바시 간에서 개업했다.


3개 회사에 의해 별도로 정비된 노면 전차는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했고, 운임 공통화 요구가 커졌다. 1906년 (메이지 39년) 9월 11일, 3사는 합병하여 '''도쿄 철도'''(통칭: 동철)를 설립하고, 다음날 운임을 4전 균일로 인상했다. 이는 격렬한 반대 운동을 야기했고, 히비야 공원에서 집회 참가자들이 전차에 투석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전차 사업의 공익성이 의식되기 시작하면서, 도쿄에서도 전차의 시유 시영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졌다. 도쿄시오자키 유키오시장의 주도로 도쿄 철도의 시유화를 추진했으나, 매수 가격 문제와 정부의 반대로 난항을 겪었다. 1909년 (메이지 42년) 체신 대신 고토 신페이의 중재와 1911년 (메이지 44년) 히라타 도스케내무대신의 권고로 매수 교섭이 재개되어, 7월 6일 매수 가격 6416만 5518엔[14]으로 합의되었다. 1911년 8월 1일, 도쿄 시내의 노면 전차는 '''도쿄시 전기국'''에 인계되어 '''도쿄시전'''이 탄생했다.

1911년 도쿄 시(Tokyo City)가 도쿄 철도를 매입하고 전기국을 설립하여 도쿄 시 노면전차(東京市電) 시스템을 개시했다. 도쿄 시전 발족 후, 도쿄시 전기국은 노선망의 대규모 확충을 도모하여, 1913년 (다이쇼 2년)부터 1916년 (다이쇼 5년)까지 4년 동안 총 1317만 6000엔을 투입하여 미완성선 128.7km를 정비하는 제1차 계속 사업 계획에 착수했다. 도쿄 시전은 발족 시점에 이미 영업 킬로미터 98.8km (궤도 연장 192.4 km), 국원 7861명, 차량 1054량, 하루 승객 수 약 51만 명이라는 규모를 가지고 있었지만, 도쿄 철도 시대에 특허권을 취득하여 개업에 이르지 못한 미완성선도 180km 정도를 인계받았으며, 시유화로 전차 정비가 진행되면서 시민들로부터 큰 기대를 받았다.

적극적인 확대 방침에 따라, 도쿄 시전의 영업 킬로미터는 시유화 이후 1914년 (다이쇼 3년) 말까지 5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30km 이상 늘어 128.0 km (궤도 연장 255.3 km)가 되었으며, 시내뿐만 아니라 메구로, 시부야, 신주쿠, 오쓰카, 스가모 등 당시 아직 도쿄시 외의 군부였던 지역에도 전차가 개통되었다. 그러나 1914년 8월에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금융 시장의 혼란으로 시채 발행에 의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일본 국내에서는 대전 경기라고 불리는 호황으로 물가가 현저하게 폭등하여 노선 정비에도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다.

1915년 (다이쇼 4년) 2월에는 시회의 의결을 얻어 수정 예산안과 사업 기간의 2년 연장을 결정했지만, 1915년도의 신규 개업은 불과 0.4 km, 1916년 (다이쇼 5년)도는 전무에 그쳐, 대규모 신선 건설은 시유화 후 수년간 추진된 것만으로 좌절되고 말았다. 운임도 물가 상승에 따라 1916년 7월에는 편도 4전에서 5전(왕복 9전), 1920년 (다이쇼 9년) 6월에는 7전(왕복 14전)으로 인상되었다.

한편, 호황으로 교통 수요도 현저하게 증가하여, 하루 승객 수는 1916년도의 약 72만 명에서 1919년 (다이쇼 8년)도에는 약 108만 명, 1922년 (다이쇼 11년)도에는 약 131만 4000명으로 6년 남짓한 기간에 약 1.8배 증가했다. 이로 인해 영업 계수 34.3 을 기록한 1917년 (다이쇼 6년)경부터 경영 상황이 호전되어, 이후에도 1921년 (다이쇼 10년)도, 1922년도에는 감채 기금의 적립 및 시 경제에의 전입을 행하여도 400만 엔 이상의 잉여금을 계상하는 등 대폭적인 흑자 경영으로 전환했다. 이 시기의 도쿄 시전은 거의 유일한 근대적 교통 기관으로서 시내 교통의 8할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1910년대 후반부터 20년대 전반에 걸친 시기는 바로 도쿄 시전의 "황금기"였다.

하지만, 승객이 늘어나도 이를 수송할 노선이나 전차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아, 황금기의 시전에서는 만성적인 혼잡이 큰 문제가 되었다. 특히 1910년대부터 등장한 통근 러시 시간대의 혼잡은 심각하여, 승차까지 30분에서 1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나, 다 타지 못한 승객이 차 외부에까지 매달리는 현상이 상시화되어, "도쿄 명물 만원 전차"로 당시의 그림 엽서나 속요 (도쿄절)의 소재로 사용될 정도였다.

다이쇼 시대의 엽서. 1910년대 후반부터 20년대 초반에 걸쳐, 도쿄 시전은 유행가(파이노파이노파이)에 "도쿄의 명물 만원전차 언제까지 기다려도 탈 수 없네"라고 노래될 정도로 혼잡을 나타냈다.


이러한 상황에 시 전기국은 일본의 노면 전차 차량으로는 최초로 3도어 전차 1653형 200량을 제조한 외에 단차라고 불리는 소형 전차의 2량 연결 운전을 하는 등의 대책을 취했지만,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1920년도부터 새롭게 제2차 계속 사업 계획에 착수했다. 제2차 계속 사업 계획은 총 사업비 1억 3230만 엔을 투입하여 미완성선 약 80km의 건설과 차량 2050량의 신조 및 개조, 차고 15곳과 변전소 20곳의 신설, 더 나아가 기존선의 가선 및 궤도의 개량도 실시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였지만, 결국 관동 대지진의 발생으로 재검토를 불가피하게 되었다.

1923년 9월 1일, 관동 대지진이 발생하자, 도쿄시 전차는 전력 설비 기능 정지로 인해 전 노선 운행이 불가능해졌다. 지진 후 대화재로 전기국 본청사, 영업소 4곳, 차고 5곳, 차량 공장 등이 불탔으며, 소실된 전차는 779량에 달했다. 궤도 152km, 가선 66km, 교량 26곳 등 설비 피해가 발생했으며, 피해 총액은 시전차만 2500만 엔, 전기국 전체로는 4000만 엔이었다.[16]

전기국은 임시 본부를 설치하고, 오사카시 전기국 등의 협력으로 복구에 착수했다. 피해가 적었던 야마노테 방면부터 복구하여, 9월 6일 신메이초 차고 앞 - 우에노 미쓰바시 구간, 9월 8일 아오야마 6초메 - 사쿠라다몬, 요츠야 시오초 - 센가쿠지 앞 구간 운행을 재개했다. 시타마치 방면도 10월 20일 야나기시마 - 가메자와초 구간 운행 재개를 시작으로, 1924년 6월 12일 전 노선 복구가 완료되었다. 1924년 1월 18일부터는 도영 버스의 전신인 도쿄 시영 버스 운행이 시작되어, 시전차 복구 후에도 시민들의 교통 수단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관동 대지진 이후, 도쿄 시전 이용자 수는 1924년 1일 평균 136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여, 1934년에는 약 78.8만 명까지 줄었다. 이는 자동차의 유용성이 널리 인식되면서 일본 국내 모터리제이션이 시작되었고,[17] 노선 버스 및 택시 사업자와의 경쟁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다.[18] 또한, 성전철과 사철이 교외로 노선망을 확장한 반면, 시전은 기존 시가지에만 노선을 가지고 있어 교통 수요 변화에 대응하지 못했다.

1935년에는 시채 상환 부담이 커져, 승객 감소와 함께 시채 비용이 운임 수입의 96%까지 증가했다.[19]

1943년(쇼와 18년) 7월 1일 도쿄도제 시행으로 시 전기국은 도쿄도 교통국으로 개편되었다. 이에 따라 '''도쿄도 전차'''(도덴)가 되었으나, 실제로는 잠시 동안 "시전차"로 불렸다.[28]

1944년(쇼와 19년) 5월 4일에는 전시 체제 하에서 불요불급 노선으로 간주된 아래 9개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었다.[28]

  • 덴겐지바시 - 에비스초자마루 간
  • 야라이시타 - 에도가와바시
  • 시오도메 - 미하라바시 간
  • 도쿄역 (마루노우치 출구) 남쪽 출구 - (마루노우치 파크 빌딩 맞은편) - 도청 앞 (현・미쓰비시 UFJ 은행 본점 앞)
  • 닌교초 - 료고쿠 (니혼바시 료고쿠) 간
  • 도쿄항 입구 - 시바우라 2초메 (선로교 앞) 간 (철거하지 않고, 1969년 제4차 도덴 철거 시까지 차량 공장 인입선으로 존속)
  • 스키야바시 - 도바시 간
  • 오차노미즈 - 니시키초 가시 간
  • 스이텐구마에 - 도슈바시 (현・도쿄 시티 에어 터미널 앞) 간


1945년 일본 점령 기간 동안 도쿄도 전차(도덴) 네트워크는 천천히 발전했다.[28][29] 1952년에는 히가시-아라카와역과 이마이바시역 사이의 이마이선 구간이 트롤리 버스로 대체되었다.[28][29]

1959년 1월 24일, 도 교통국은 "노면 전차는 폐지해서는 안 된다"는 공식 견해를 발표하고, 국가공안위원회와 경시청에 궤도 내 자동차 운행 단속 강화 요청을 했다. 그러나 같은 해 1월 29일, 경시청은 札の辻 (札의 辻) - 아카바네바시 간의 궤도 철거를 요청했고, 6월 12일에는 경시청 통달에 의해 궤도 부지 내 자동차 진입이 실시되었다.

1961년 3월 17일, 긴자통 연합회의 "긴자 거리 노면 전차 철폐에 대해" 청원은 도의회에서 부결되었다. 그러나 7월에는 수도권 정비 사업 계획에 따라 도덴과 요코하마 시전 철거가 지시되었고, 9월에는 수도권 정비 심의회가 도덴 스기나미선 철거를 권고했다.

1962년 6월, 정부는 도덴 이이다바시선 및 아오야마선의 일부 철거 방침을 결정하고 도에 대해 실시를 강력히 요청했다.

1963년 10월 1일,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에 따른 도로 정비를 위해 기타아오야마 1초메 – 미야케자카 간 및 한조몬구단시타 간이 폐지되었다. 12월 1일에는 영단 지하철 오기쿠보선과의 경쟁으로 인해 스기나미선 신주쿠역 앞 - 오기쿠보역 앞 간이 폐지되었다.

1967년 1월 1일, 교통국은 재정 재건 단체로 지정되었다. 같은 해 12월 10일부터 1972년 11월 12일까지 재정 재건 계획에 따라 7단계에 걸쳐 도덴 철거가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노선이 폐지되고, 와세다 - 오지(오지 역 앞) - 미노와바시 구간만 남게 되었다.

1974년(쇼와 49년)10월 1일, 잔존 구간 철거 계획이 철회되고 영구화가 결정되면서 운행 계통이 단일화되고 "아라카와선"이라는 명칭이 채택되었다.[31]

1977년(쇼와 52년)10월 1일, 일부 차량에서 원맨화가 시작되었다.[31] 1978년(쇼와 53년)10월 1일에는 전 차량이 원맨화되었다.

1990년(헤이세이 2년)4월, 28년 만의 신형 차량인 8500형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3년(헤이세이 5년)11월 11일에는 선불 카드(T카드)가 도입되었고, 1994년(헤이세이 6년)10월 1일에는 버스 공통 카드 사용이 시작되었다.

2000년(헤이세이 12년)11월 11일, 아라카와 1초메 정류장이 신설되었다.

2007년(헤이세이 19년)에는

  • 3월 18일: PASMO 사용 시작 (동시에 Suica로 승차 가능).
  • 5월 27일: 9000형 운행 시작. 동시에 아라카와 전차 영업소 내에 구형 차량(5500형・7500형) 전시 시설이 설치됨.


2009년(헤이세이 21년)4월 26일, 8800형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5년(헤이세이 27년)9월 18일, 8900형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6년(헤이세이 28년)5월 30일, 7700형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7년(헤이세이 29년)4월 28일, 아라카와선의 애칭이 "도쿄 사쿠라 트램"으로 결정되었다.[32]

2. 1. 탄생과 발전 (1882년 ~ 1943년)

1872년(메이지 5년)경 일본 최초의 철도 개업과 거의 동시에 합승 마차(엔타로 마차)와 인력거가 등장했다. 1876년(메이지 9년)에는 합승 마차가 170대, 인력거가 2만 4000대 이상 활약했다.

도쿄 인구는 1873년(메이지 6년) 60만 명에서 1881년(메이지 14년)에는 114만 명으로 증가했다.. 대량 수송에 적합한 교통 기관으로 마차 철도 계획이 제기되었고, 1880년 (메이지 13년) 2월, 전 사쓰마 번사 타니모토 미치유키, 타네다 세이이치 등에 의해 신바시에서 니혼바시 혼초, 우에노, 아사쿠사를 거쳐 다시 혼초에 이르는 총 길이 10마일(약 16km)의 순환선 부설이 출원되었다.. 같은 해 12월 28일 인가되었고, 일본 최초의 사철이 되는 '''도쿄 마차 철도 주식회사''' (자본금 30만 엔, 본사 시바구시오도메쵸 2초메)가 설립되었다.

마차 철도의 영업은 1년 반 후인 1882년 (메이지 15년) 6월 25일에 먼저 신바시 - 니혼바시 구간에서 시작되었고, 같은 해 10월 1일에는 순환선이 전선 개업했다.. 개업 초에는 인력거부들의 반대 운동에 부딪혔지만, 도쿄 시의 인구 증가와 우에노・아사쿠사 방면으로의 유람 수송을 배경으로 마차 철도는 큰 성공을 거두어 개업 20년째인 1902년 (메이지 35년)에는 연수입 140만 엔, 객차 300량과 마필 2000두를 보유하고, 다객 시에는 1시간에 60-70대나 되는 고빈도 운전을 할 정도로 성황을 이루었다.. 1897년 (메이지 30년) 12월에는 시나가와・야쓰야마시타 - 신바시 사이에 '''시나가와 마차 철도'''가 개업했지만, 1899년 (메이지 32년)에 도쿄 마차 철도에 흡수 합병되었다.

마차 철도는 도쿄 시민의 생활을 편리하게 한 반면, 과제도 적지 않았다. 경영적으로는 말 사육에 막대한 비용이 드는 것, 승객의 증가에 대해 운행 횟수가 한계에 달해 더 이상의 수요 확대를 대응할 수 없는 것이 과제였다.. 또한 말의 굽에 의해 노면이 손상되고, 말똥이 섞인 먼지가 흩날리는 것에 대한 연선 주민들의 불만은 끊이지 않았다.

1903년 (메이지 36년)

  • '''8월 22일:''' 마차 철도의 '''도쿄 마차 철도'''가 동력을 에서 전기로 바꾸면서 탄생한 '''도쿄 전차 철도''' (전철)가 시나가와 - 신바시 구간을 개통.
  • '''9월 15일:''' '''도쿄 시가이 철도''' (가이테츠)가 스키야바시 - 간다바시 구간을 개통[20]

2. 1. 1. 마차 철도 시대 (1882년 ~ 1903년)

1872년(메이지 5년)경 일본 최초의 철도 개업과 거의 동시에 합승 마차(엔타로 마차)와 인력거가 등장했다. 1876년(메이지 9년)에는 합승 마차가 170대, 인력거가 2만 4000대 이상 활약했다.

도쿄 인구는 1873년(메이지 6년) 60만 명에서 1881년(메이지 14년)에는 114만 명으로 증가했다.. 대량 수송에 적합한 교통 기관으로 마차 철도 계획이 제기되었고, 1880년 (메이지 13년) 2월, 전 사쓰마 번사 타니모토 미치유키, 타네다 세이이치 등에 의해 신바시에서 니혼바시 혼초, 우에노, 아사쿠사를 거쳐 다시 혼초에 이르는 총 길이 10마일(약 16km)의 순환선 부설이 출원되었다.. 같은 해 12월 28일 인가되었고, 일본 최초의 사철이 되는 '''도쿄 마차 철도 주식회사''' (자본금 30만 엔, 본사 시바구시오도메쵸 2초메)가 설립되었다.

마차 철도의 영업은 1년 반 후인 1882년 (메이지 15년) 6월 25일에 먼저 신바시 - 니혼바시 구간에서 시작되었고, 같은 해 10월 1일에는 순환선이 전선 개업했다.. 개업 초에는 인력거부들의 반대 운동에 부딪혔지만, 도쿄 시의 인구 증가와 우에노・아사쿠사 방면으로의 유람 수송을 배경으로 마차 철도는 큰 성공을 거두어 개업 20년째인 1902년 (메이지 35년)에는 연수입 140만 엔, 객차 300량과 마필 2000두를 보유하고, 다객 시에는 1시간에 60-70대나 되는 고빈도 운전을 할 정도로 성황을 이루었다.. 1897년 (메이지 30년) 12월에는 시나가와・야쓰야마시타 - 신바시 사이에 '''시나가와 마차 철도'''가 개업했지만, 1899년 (메이지 32년)에 도쿄 마차 철도에 흡수 합병되었다.

마차 철도는 도쿄 시민의 생활을 편리하게 한 반면, 과제도 적지 않았다. 경영적으로는 말 사육에 막대한 비용이 드는 것, 승객의 증가에 대해 운행 횟수가 한계에 달해 더 이상의 수요 확대를 대응할 수 없는 것이 과제였다.. 또한 말의 굽에 의해 노면이 손상되고, 말똥이 섞인 먼지가 흩날리는 것에 대한 연선 주민들의 불만은 끊이지 않았다.

  • 1903년 (메이지 36년)
  • '''8월 22일:''' 마차 철도의 '''도쿄 마차 철도'''가 동력을 에서 전기로 바꾸면서 탄생한 '''도쿄 전차 철도''' (전철)가 시나가와 - 신바시 구간을 개통.
  • '''9월 15일:''' '''도쿄 시가이 철도''' (가이테츠)가 스키야바시 - 간다바시 구간을 개통[20]

2. 1. 2. 전차 시대의 개막과 경쟁 (1903년 ~ 1911년)

1889년 (메이지 22년), 오쿠라 기하치로, 후지오카 시스케 등 도쿄 전등 관계자와 다치카와 유지로 등의 실업가들이 정부에 전차 부설 계획을 출원했다. 그러나 당시 전기 철도 기술은 초기 단계였고, 시기상조로 여겨져 인가되지 않았다. 1890년 (메이지 23년) 우에노 공원에서 열린 제3회 내국 권업 박람회에서 도쿄 전등이 미국에서 구입한 전차의 데모 운전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여, 전차 부설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1895년 (메이지 28년) 교토 전기 철도[3]를 시작으로 전국 각지에서 전기 철도가 개업했다.

1893년 (메이지 26년)부터 1899년 (메이지 32년)까지 도쿄에서는 35개 회사와 출원이 잇따라 특허권 획득을 둘러싼 대립이 발생했다. 도쿄 마차 철도, 아마미야 게이지로 등의 도쿄 전차 철도, 후지야마 라이타 등의 도쿄 전기 철도, 미쓰히카리 쓰루마쓰 등의 도쿄 자동 철도 4사의 대립이 격렬했고, 자유당과 진보당의 정쟁, 전차의 민영/시영 논쟁 등으로 혼란이 발생했다. 도쿄 시구 개정 위원회의 개입도 혼란을 가중시켰다.

1900년 (메이지 33년), 내무성은 도쿄 시가이 철도, 오카다 하루에타 등이 설립한 가와사키 전기 철도, 그리고 도쿄 마차 철도 3사에 특허를 부여했다.

1903년 (메이지 36년) 8월 22일, 도쿄 마차 철도에서 개칭한 '''도쿄 전차 철도'''(통칭: 전차, 동전, 전철)가 시나가와 - 신바시 간을 전철화하여 개업했다. 같은 해 9월 15일, '''도쿄 시가이 철도'''(통칭: 거리 철)가 스키야바시 - 간다바시 간에서 개업했다. 1904년 (메이지 37년) 12월 8일, 가와사키 전기 철도에서 개칭한 '''도쿄 전기 철도'''(통칭: 외호선, 전기)가 도바시 - 오차노미즈바시 간에서 개업했다.

3개 회사에 의해 별도로 정비된 노면 전차는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했고, 운임 공통화 요구가 커졌다. 1906년 (메이지 39년) 9월 11일, 3사는 합병하여 '''도쿄 철도'''(통칭: 동철)를 설립하고, 다음날 운임을 4전 균일로 인상했다. 이는 격렬한 반대 운동을 야기했고, 히비야 공원에서 집회 참가자들이 전차에 투석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전차 사업의 공익성이 의식되기 시작하면서, 도쿄에서도 전차의 시유 시영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졌다. 도쿄시오자키 유키오시장의 주도로 도쿄 철도의 시유화를 추진했으나, 매수 가격 문제와 정부의 반대로 난항을 겪었다. 1909년 (메이지 42년) 체신 대신 고토 신페이의 중재와 1911년 (메이지 44년) 히라타 도스케내무대신의 권고로 매수 교섭이 재개되어, 7월 6일 매수 가격 6416만 5518엔[14]으로 합의되었다. 1911년 8월 1일, 도쿄 시내의 노면 전차는 '''도쿄시 전기국'''에 인계되어 '''도쿄시전'''이 탄생했다.

2. 1. 3. 제1차 세계 대전과 시전 황금기 (1911년 ~ 1923년)

1911년 도쿄 시(Tokyo City)가 도쿄 철도를 매입하고 전기국을 설립하여 도쿄 시 노면전차(東京市電) 시스템을 개시했다. 도쿄 시전 발족 후, 도쿄시 전기국은 노선망의 대규모 확충을 도모하여, 1913년 (다이쇼 2년)부터 1916년 (다이쇼 5년)까지 4년 동안 총 1317만 6000엔을 투입하여 미완성선 128.7km를 정비하는 제1차 계속 사업 계획에 착수했다. 도쿄 시전은 발족 시점에 이미 영업 킬로미터 98.8km (궤도 연장 192.4 km), 국원 7861명, 차량 1054량, 하루 승객 수 약 51만 명이라는 규모를 가지고 있었지만, 도쿄 철도 시대에 특허권을 취득하여 개업에 이르지 못한 미완성선도 180km 정도를 인계받았으며, 시유화로 전차 정비가 진행되면서 시민들로부터 큰 기대를 받았다.

적극적인 확대 방침에 따라, 도쿄 시전의 영업 킬로미터는 시유화 이후 1914년 (다이쇼 3년) 말까지 5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30km 이상 늘어 128.0 km (궤도 연장 255.3 km)가 되었으며, 시내뿐만 아니라 메구로, 시부야, 신주쿠, 오쓰카, 스가모 등 당시 아직 도쿄시 외의 군부였던 지역에도 전차가 개통되었다. 그러나 1914년 8월에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금융 시장의 혼란으로 시채 발행에 의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일본 국내에서는 대전 경기라고 불리는 호황으로 물가가 현저하게 폭등하여 노선 정비에도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다.

1915년 (다이쇼 4년) 2월에는 시회의 의결을 얻어 수정 예산안과 사업 기간의 2년 연장을 결정했지만, 1915년도의 신규 개업은 불과 0.4 km, 1916년 (다이쇼 5년)도는 전무에 그쳐, 대규모 신선 건설은 시유화 후 수년간 추진된 것만으로 좌절되고 말았다. 운임도 물가 상승에 따라 1916년 7월에는 편도 4전에서 5전(왕복 9전), 1920년 (다이쇼 9년) 6월에는 7전(왕복 14전)으로 인상되었다.

한편, 호황으로 교통 수요도 현저하게 증가하여, 하루 승객 수는 1916년도의 약 72만 명에서 1919년 (다이쇼 8년)도에는 약 108만 명, 1922년 (다이쇼 11년)도에는 약 131만 4000명으로 6년 남짓한 기간에 약 1.8배 증가했다. 이로 인해 영업 계수 34.3 을 기록한 1917년 (다이쇼 6년)경부터 경영 상황이 호전되어, 이후에도 1921년 (다이쇼 10년)도, 1922년도에는 감채 기금의 적립 및 시 경제에의 전입을 행하여도 400만 엔 이상의 잉여금을 계상하는 등 대폭적인 흑자 경영으로 전환했다. 이 시기의 도쿄 시전은 거의 유일한 근대적 교통 기관으로서 시내 교통의 8할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1910년대 후반부터 20년대 전반에 걸친 시기는 바로 도쿄 시전의 "황금기"였다.

하지만, 승객이 늘어나도 이를 수송할 노선이나 전차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아, 황금기의 시전에서는 만성적인 혼잡이 큰 문제가 되었다. 특히 1910년대부터 등장한 통근 러시 시간대의 혼잡은 심각하여, 승차까지 30분에서 1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나, 다 타지 못한 승객이 차 외부에까지 매달리는 현상이 상시화되어, "도쿄 명물 만원 전차"로 당시의 그림 엽서나 속요 (도쿄절)의 소재로 사용될 정도였다.

이러한 상황에 시 전기국은 일본의 노면 전차 차량으로는 최초로 3도어 전차 1653형 200량을 제조한 외에 단차라고 불리는 소형 전차의 2량 연결 운전을 하는 등의 대책을 취했지만,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1920년도부터 새롭게 제2차 계속 사업 계획에 착수했다. 제2차 계속 사업 계획은 총 사업비 1억 3230만 엔을 투입하여 미완성선 약 80km의 건설과 차량 2050량의 신조 및 개조, 차고 15곳과 변전소 20곳의 신설, 더 나아가 기존선의 가선 및 궤도의 개량도 실시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였지만, 결국 관동 대지진의 발생으로 재검토를 불가피하게 되었다.

2. 1. 4. 관동 대지진과 복구 (1923년 ~ 1943년)

1923년 9월 1일, 관동 대지진이 발생하자, 도쿄시 전차는 전력 설비 기능 정지로 인해 전 노선 운행이 불가능해졌다. 지진 후 대화재로 전기국 본청사, 영업소 4곳, 차고 5곳, 차량 공장 등이 불탔으며, 소실된 전차는 779량에 달했다. 궤도 152km, 가선 66km, 교량 26곳 등 설비 피해가 발생했으며, 피해 총액은 시전차만 2500만 엔, 전기국 전체로는 4000만 엔이었다.[16]

전기국은 임시 본부를 설치하고, 오사카시 전기국 등의 협력으로 복구에 착수했다. 피해가 적었던 야마노테 방면부터 복구하여, 9월 6일 신메이초 차고 앞 - 우에노 미쓰바시 구간, 9월 8일 아오야마 6초메 - 사쿠라다몬, 요츠야 시오초 - 센가쿠지 앞 구간 운행을 재개했다. 시타마치 방면도 10월 20일 야나기시마 - 가메자와초 구간 운행 재개를 시작으로, 1924년 6월 12일 전 노선 복구가 완료되었다. 1924년 1월 18일부터는 도영 버스의 전신인 도쿄 시영 버스 운행이 시작되어, 시전차 복구 후에도 시민들의 교통 수단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관동 대지진 이후, 도쿄 시전 이용자 수는 1924년 1일 평균 136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여, 1934년에는 약 78.8만 명까지 줄었다. 이는 자동차의 유용성이 널리 인식되면서 일본 국내 모터리제이션이 시작되었고,[17] 노선 버스 및 택시 사업자와의 경쟁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다.[18] 또한, 성전철과 사철이 교외로 노선망을 확장한 반면, 시전은 기존 시가지에만 노선을 가지고 있어 교통 수요 변화에 대응하지 못했다.

1935년에는 시채 상환 부담이 커져, 승객 감소와 함께 시채 비용이 운임 수입의 96%까지 증가했다.[19]

2. 2. 도쿄도 전차 시대 (1943년 ~ 현재)

1943년(쇼와 18년) 7월 1일 도쿄도제 시행으로 시 전기국은 도쿄도 교통국으로 개편되었다. 이에 따라 '''도쿄도 전차'''(도덴)가 되었으나, 실제로는 잠시 동안 "시전차"로 불렸다.[28]

1944년(쇼와 19년) 5월 4일에는 전시 체제 하에서 불요불급 노선으로 간주된 아래 9개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었다.[28]

  • 덴겐지바시 - 에비스초자마루 간
  • 야라이시타 - 에도가와바시
  • 시오도메 - 미하라바시 간
  • 도쿄역 (마루노우치 출구) 남쪽 출구 - (마루노우치 파크 빌딩 맞은편) - 도청 앞 (현・미쓰비시 UFJ 은행 본점 앞)
  • 닌교초 - 료고쿠 (니혼바시 료고쿠) 간
  • 도쿄항 입구 - 시바우라 2초메 (선로교 앞) 간 (철거하지 않고, 1969년 제4차 도덴 철거 시까지 차량 공장 인입선으로 존속)
  • 스키야바시 - 도바시 간
  • 오차노미즈 - 니시키초 가시 간
  • 스이텐구마에 - 도슈바시 (현・도쿄 시티 에어 터미널 앞) 간


1945년 일본 점령 기간 동안 도쿄도 전차(도덴) 네트워크는 천천히 발전했다.[28][29] 1952년에는 히가시-아라카와역과 이마이바시역 사이의 이마이선 구간이 트롤리 버스로 대체되었다.[28][29]

1959년 1월 24일, 도 교통국은 "노면 전차는 폐지해서는 안 된다"는 공식 견해를 발표하고, 국가공안위원회와 경시청에 궤도 내 자동차 운행 단속 강화 요청을 했다. 그러나 같은 해 1월 29일, 경시청은 札の辻 (札의 辻) - 아카바네바시 간의 궤도 철거를 요청했고, 6월 12일에는 경시청 통달에 의해 궤도 부지 내 자동차 진입이 실시되었다.

1961년 3월 17일, 긴자통 연합회의 "긴자 거리 노면 전차 철폐에 대해" 청원은 도의회에서 부결되었다. 그러나 7월에는 수도권 정비 사업 계획에 따라 도덴과 요코하마 시전 철거가 지시되었고, 9월에는 수도권 정비 심의회가 도덴 스기나미선 철거를 권고했다.

1962년 6월, 정부는 도덴 이이다바시선 및 아오야마선의 일부 철거 방침을 결정하고 도에 대해 실시를 강력히 요청했다.

1963년 10월 1일,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에 따른 도로 정비를 위해 기타아오야마 1초메 – 미야케자카 간 및 한조몬구단시타 간이 폐지되었다. 12월 1일에는 영단 지하철 오기쿠보선과의 경쟁으로 인해 스기나미선 신주쿠역 앞 - 오기쿠보역 앞 간이 폐지되었다.

1967년 1월 1일, 교통국은 재정 재건 단체로 지정되었다.

1974년 10월 1일, 남은 궤도를 폐지하는 계획이 취소되었다. 남은 노선은 아라카와선이라는 단일 노선으로 통합되었다.

1978년: 1인 운전이 시작되었다.

1990년: 8500계 차량이 도입되었다. 28년 만에 처음으로 새로운 디자인이다.

2000년: 두 기존 역 사이에 새로운 역인 가 개통되었다.

2007년: 9000계 차량이 도입될 예정이었다.

2. 2. 1. 도제 시행과 전시 체제 (1943년 ~ 1945년)

1943년(쇼와 18년) 7월 1일 도쿄도제 시행으로 시 전기국은 도쿄도 교통국으로 개편되었다. 이에 따라 '''도쿄도 전차'''(도덴)가 되었으나, 실제로는 잠시 동안 "시전차"로 불렸다.[28]

1944년(쇼와 19년) 5월 4일에는 전시 체제 하에서 불요불급 노선으로 간주된 아래 9개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었다.[28]

  • 덴겐지바시 - 에비스초자마루 간
  • 야라이시타 - 에도가와바시
  • 시오도메 - 미하라바시 간
  • 도쿄역 (마루노우치 출구) 남쪽 출구 - (마루노우치 파크 빌딩 맞은편) - 도청 앞 (현・미쓰비시 UFJ 은행 본점 앞)
  • 닌교초 - 료고쿠 (니혼바시 료고쿠) 간
  • 도쿄항 입구 - 시바우라 2초메 (선로교 앞) 간 (철거하지 않고, 1969년 제4차 도덴 철거 시까지 차량 공장 인입선으로 존속)
  • 스키야바시 - 도바시 간
  • 오차노미즈 - 니시키초 가시 간
  • 스이텐구마에 - 도슈바시 (현・도쿄 시티 에어 터미널 앞) 간

2. 2. 2. 전후 부흥과 쇠퇴 (1945년 ~ 1972년)

1945년 일본 점령 기간 동안 도쿄도 전차(도덴) 네트워크는 천천히 발전했다.[28][29] 1952년에는 히가시-아라카와역과 이마이바시역 사이의 이마이선 구간이 트롤리 버스로 대체되었다.[28][29]

1959년 1월 24일, 도 교통국은 "노면 전차는 폐지해서는 안 된다"는 공식 견해를 발표하고, 국가공안위원회와 경시청에 궤도 내 자동차 운행 단속 강화 요청을 했다. 그러나 같은 해 1월 29일, 경시청은 札の辻 (札의 辻) - 아카바네바시 간의 궤도 철거를 요청했고, 6월 12일에는 경시청 통달에 의해 궤도 부지 내 자동차 진입이 실시되었다.

1961년 3월 17일, 긴자통 연합회의 "긴자 거리 노면 전차 철폐에 대해" 청원은 도의회에서 부결되었다. 그러나 7월에는 수도권 정비 사업 계획에 따라 도덴과 요코하마 시전 철거가 지시되었고, 9월에는 수도권 정비 심의회가 도덴 스기나미선 철거를 권고했다.

1962년 6월, 정부는 도덴 이이다바시선 및 아오야마선의 일부 철거 방침을 결정하고 도에 대해 실시를 강력히 요청했다.

1963년 10월 1일,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에 따른 도로 정비를 위해 기타아오야마 1초메 – 미야케자카 간 및 한조몬구단시타 간이 폐지되었다. 12월 1일에는 영단 지하철 오기쿠보선과의 경쟁으로 인해 스기나미선 신주쿠역 앞 - 오기쿠보역 앞 간이 폐지되었다.

1967년 1월 1일, 교통국은 재정 재건 단체로 지정되었다. 같은 해 12월 10일부터 1972년 11월 12일까지 재정 재건 계획에 따라 7단계에 걸쳐 도덴 철거가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노선이 폐지되고, 와세다 - 오지(오지 역 앞) - 미노와바시 구간만 남게 되었다.

2. 2. 3. 아라카와선 시대 (1974년 ~ 현재)

1974년(쇼와 49년)10월 1일, 잔존 구간 철거 계획이 철회되고 영구화가 결정되면서 운행 계통이 단일화되고 "아라카와선"이라는 명칭이 채택되었다.[31]

1977년(쇼와 52년)10월 1일, 일부 차량에서 원맨화가 시작되었다.[31] 1978년(쇼와 53년)10월 1일에는 전 차량이 원맨화되었다.

1990년(헤이세이 2년)4월, 28년 만의 신형 차량인 8500형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3년(헤이세이 5년)11월 11일에는 선불 카드(T카드)가 도입되었고, 1994년(헤이세이 6년)10월 1일에는 버스 공통 카드 사용이 시작되었다.

2000년(헤이세이 12년)11월 11일, 아라카와 1초메 정류장이 신설되었다.

2007년(헤이세이 19년)에는

  • 3월 18일: PASMO 사용 시작 (동시에 Suica로 승차 가능).
  • 5월 27일: 9000형 운행 시작. 동시에 아라카와 전차 영업소 내에 구형 차량(5500형・7500형) 전시 시설이 설치됨.


2009년(헤이세이 21년)4월 26일, 8800형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5년(헤이세이 27년)9월 18일, 8900형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6년(헤이세이 28년)5월 30일, 7700형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7년(헤이세이 29년)4월 28일, 아라카와선의 애칭이 "도쿄 사쿠라 트램"으로 결정되었다.[32]

3. 노선

아오야마 - (롯폰기 선) - 롯폰기 - (카스미초 선) - 다메이케 - (타메이케 선) - 도라노몬 - (토라노몬 선) - 사쿠라다몬으로 경로 변경.

|-

| 1967년 12월 10일부터 카스미초 선·타메이케 선의 철거에 따라 아오야마 - 사쿠라다몬 간을,
아오야마 - (롯폰기 선) - 가미야초 - (토라노몬 선) - 사쿠라다몬으로 경로 변경.

|-

! rowspan="2"| 10계통

| 시부야 역 앞 - (아오야마 선) - 미야케자카 - (한조몬 선) - 한조몬 - (반초 선) - 구단시타 - (쿠단 선) - 오가와마치 - (료고쿠바시 선) - 스다초

|-

| 1963년 10월 1일부터 아오야마 - 미야케자카 간과 반초 선의 철거에 따라 아오야마 - 구단 상 간을,
아오야마 - (시나노마치 선) - 요츠야 산초메 - (신주쿠 선) - 요쓰야 - (우시고메 선) - 이치가야 - (이치가야 선) - 구단 상으로 경로 변경.

|-

! rowspan="2"| 11계통

| 신주쿠 역 앞 - (신주쿠 선) - 한조몬 - (한조몬 선) - 히비야 공원 - (츠키지 선) - 쓰키지 - (캇토키바시) - 쓰키시마 (일부 신쓰쿠다지마까지 연장)

|-

| 11계통은 13m급의 대형차 운행이 가능한 노선이었기 때문에 2501형, 5000형이 운행한 실적이 있었다.

|-

! rowspan="2"| 12계통

| 신주쿠 역 앞 - (신주쿠 선) - 요쓰야 - (우시고메 선) - 이치가야 - (이치가야 선) - 구단 상 - (쿠단 선) - 오가와마치 - (료고쿠바시 선) - 료고쿠 - (료고쿠 역 인입선) - 료고쿠 역 앞

|-

| 12계통은 13m급의 대형차 운행이 가능한 노선이었기 때문에 2501형, 5000형이 운행한 실적이 있었다. 1968년 3월 31일부터 운행 구간을 신주쿠 역 앞 - 이와모토초 간으로 단축.

|-

! rowspan="2"| 13계통

| 신주쿠 역 앞 - (신주쿠 선) - 요쓰야 - (츠노즈 선) - 이이다바시 - (오차노미즈 선) - 아키하바라 역 동쪽 출구 - (이즈미바시 선) - 스이텐구마에

|-

| 1968년 3월 31일부터 운행 구간을 신주쿠 역 앞 - 이와모토초 간으로 단축.

|-

! 14계통
(스기나미 선)

| 신주쿠 역 앞 - (고엔지 선) - 고엔지 - (오기쿠보 선) - 오기쿠보 역 앞

|-

! 15계통

| 다카다노바바 역 앞 - (토츠카 선) - 오모카게바시 - (와세다 선) - 와세다 - (에도가와 선) - 구단시타 - (쿠단 선) - 오가와마치 - (칸다바시 선) - 오테마치 - (지요다바시 선) - 가야바초 (일부 스자키까지 연장)

|-

! 16계통

| 오츠카 역 앞 - (오츠카 선) - 덴쓰인 - (토미자카 선) - 분쿄구청 앞 - (키리도시 선) - 우에노 - (우마야바시) - 혼조 - (토요 선) - 이시와라초 - (이시하라 선) - 긴시초 역 앞

|-

! rowspan="2"| 17계통

| 이케부쿠로 역 앞 - (이케부쿠로 선) - 고코쿠지 - (고코쿠지 선) - 오쓰카 - (오츠카 선) - 덴쓰인 - (토미자카 선) - 분쿄구청 앞 - (스이도바시 선) - 신토키와바시 - (

3. 1. 현존 노선

아라카와선(도쿄 사쿠라 트램)이 현재 운행 중이다.

3. 2. 폐지 노선

나리히라바시 – 아사쿠사에키마에 (현재의 도부 나리히라바시역.)c. 19051972료고쿠바시선 오가와마치 – 료고쿠니초메19031972신주쿠선 한조몬 – 신주쿠에키마에19031970스자키선 에이타이바시 – 도요코엔마에
후쿠시마바시 (에이타이니초메) – 가메즈미초 (후카가와잇초메)c. 19041972도라노몬선 사쿠라다몬 – 가미야초
도라노몬 – 레이난자카c. 19051968쓰키지선 히비야코엔 – 가야바초 ( – 닌교초)19031971우마야바시선 우에노히로코지 – 혼조잇초메c. 19051971도쿄 전기 철도(소토보리선) 노선도바시선신토키와바시 – 신바시에키키타구치c. 19041968히로오선아오야마잇초메 – 텐겐지바시c. 19051969호라이바시선미하라바시 – 도라노몬c. 19051967니시키초선오차노미즈 – 신토키와바시c. 19041944오차노미즈선 이이다바시 – 아키하바라에키히가시구치c. 19051971시나노마치선 요쓰야산초메 – 기타아오야마잇초메c. 19051969다메이케선 도라노몬 – 요쓰야미쓰케c. 19051967우시고메선 요쓰야미쓰케 – 이이다바시c. 19051970도쿄 철도 노선후루카와선 텐겐지바시 – 가나스기바시c. 19101969노선은 이치노하시 근처의 중앙 분리대에 있었다.하쿠산선 분쿄구야쿠쇼마에 – 하쿠산우에c. 19101968이즈미바시선 도슈바시 – 우에노에키마에c. 19101970노선은 우에노역 근처의 쇼와 거리 중앙 분리대에 있었다.미노와선 c. 19101969오쓰카선 덴즈인마에 – 오쓰카에키마에c. 19101971센주선고마가타니초메 – 미나미센주c. 19101971스가모선 하쿠산우에 – 스가모샤코마에c. 19101968스이도바시선 신토키와바시 – 분쿄구야쿠쇼마에c. 19101968다카하시선몬젠나카초 – 미도리초잇초메c. 19101972도미사카선 오마가리 – 분쿄구야쿠쇼마에c. 19101971오지 전기 궤도 노선아카바네선오지에키마에 – 아카바네19261972아라카와선 구마노마에 – 오지에키마에1913여전히 운행 중현재의 아라카와선미카와시마선미노와바시 – 구마노마에1913여전히 운행 중현재의 아라카와선다키노가와선오지에키마에 – 오쓰카에키마에1911여전히 운행 중현재의 아라카와선와세다선오쓰카에키마에 – 와세다1925여전히 운행 중현재의 아라카와선조토 전기 궤도 노선이치노에선히가시아라카와 – 이마이바시19251952일반적으로 이마이선이라고 불림; 네트워크 내 다른 노선과의 연결역이 없는 고립된 노선고마쓰가와선 긴시보리 – 니시아라카와19171972노선은 가메이도역 근처 게이요 가도의 중앙 분리대에 있었다.스나마치선 스이진모리 – 스자키19211972다마가와 전기 철도 노선나카메구로선시부야바시 – 나카메구로19271967텐겐지바시선 시부야에키마에 – 텐겐지바시19211969과거 세이부 철도 노선고엔지선신주쿠에키마에 – 고엔지잇초메19211963일반적으로 스기나미선이라고 불림오기쿠보선고엔지잇초메 – 오기쿠보에키마에19211963일반적으로 스기나미선이라고 불림기타아스카야마선고마고메에키마에 – 아스카야마c. 19201971아와지마치선아와지마치 – 소토칸다산초메c. 19201967도자카선 우에노코엔 – 센고쿠잇초메1910년대 후반1971시노바즈 연못 옆, 우에노코엔마에와 네즈잇초메 사이의 사유지에비스선텐겐지바시 – 에비스초자마루19131944도요사와선 또는 텐겐지선이라고도 불림후다노쓰지선 이이쿠라잇초메 – 후다노쓰지c. 19121967고코쿠지선 센고쿠잇초메 – 고코쿠지마에c. 19201971고탄다선세이쇼코마에 – 고탄다에키마에1920년대 후반1967핫초보리선바바사키몬 – 에이타이바시c. 19201967이케부쿠로선고코쿠지마에 – 이케부쿠로에키마에1930년대 초1969이사라고선 후루카와바시 – 센가쿠지c. 19121969이시와라선이시와라초잇초메 – 긴시초에키마에 (기타구치)
다이헤이초산초메 – 가메이도텐진바시1920년대 후반1971이타바시선 스가모샤코마에 – 이타바시에키마에1920년대 후반1966때때로 시무라선에 포함됨가치도키바시선쓰키지 – 쓰키시마19471968가사이바시선사카이가와 – 가사이바시1940년대 초1972가스미초선다메이케 – 미나미아오야마고초메1910년대 후반1967기타센주선센주오하시 – 센주욘초메1920년대 후반1968고마고메선무코가오카니초메 – 고마고메에키마에1910년대 후반1971마루노우치선 마루노우치잇초메 – 도초마에c. 19201969메구로선 교란자카시타 – 메구로에키마에c. 19121967무코지마선혼조아즈마바시 – 히가시무코지마니초메1920년대 후반1969오토와선고코쿠지마에 – 야라이시타1920년대 후반1971롯폰기선 하마마쓰초잇초메 – 기타아오야마잇초메19121969료고쿠역 리딩선료고쿠니초메 – 료고쿠에키마에19231968사루에선 긴시초에키마에 (미나미구치) – 도요코엔마에1920년대 후반1972센조쿠선구라마에잇초메 – 미노와샤코마에c. 19201969시바우라선도쿄코구치 – 시바우라니초메19101969여객 서비스는 1920년대에 시작됨시무라선 이타바시에키마에 – 시무라바시1940년대 초1966신오하시선 가야바초 – 스미요시초니초메c. 19121971도쓰카선다카다노바바에키마에 – 오모카게바시?1968개통 연도 미상쓰키시마선몬젠나카초 – 쓰키시마c. 19201972쓰노하즈선이이다바시 – 요쓰야산코초c. 19121970



1962년 기준 운행 계통은 41개였으며, 이는 도쿄도 전차 시스템의 최대치였다.

도덴은 도로상을 운행했기 때문에 폐선 부지는 대부분 도로에 묻혀 현존하지 않지만, 일부 전용 궤도 등은 폐선 부지로 남아있다. 미나토구 시바우라 2초메에 있던 도덴 차량 공장으로 연결되는 전용 다리인 후나지로바시는 21세기 초까지 남아 있던 몇 안 되는 도덴 폐선 부지였다. 반대편 공장 부지에는 난민이나 노숙자 수용 시설이 세워지기도 했으나, 시바우라 아일랜드 재개발로 철거되었다. 2007년 5월 28일, 같은 장소에 새로운 후나지로바시가 보행자 전용 다리로 건설되었으며, 다리 위에는 유래에 맞춰 타일로 레일을 본뜬 장식이 설치되어 있다.

4. 운임

도쿄도 전차의 운임은 1916년 7월 5전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인상되었다. 1943년 6월에는 10전, 1945년 12월에는 20전으로 인상되었다. 1947년에는 2월 50전, 6월 1엔, 9월 2엔으로 세 차례나 인상되었고, 1948년 6월에는 3엔 50전, 8월에는 6엔으로 올랐다.

이후에도 운임 인상은 계속되어 1949년 6월 8엔, 1951년 12월 10엔, 1956년 2월 13엔, 1961년 7월 15엔, 1967년 10월 20엔, 1973년 1월 30엔, 1974년 10월 50엔, 1977년 5월 70엔, 1978년 10월 90엔, 1980년 5월 120엔, 1984년 7월 130엔, 1985년 4월 140엔, 1995년 3월 160엔, 2014년 4월 170엔으로 인상되었다.

5. 차량

5. 1. 현행 차량

2020년 4월 현재, 도덴의 차량은 다음 5가지 형식이 사용되고 있다. 모두 원맨 차량이며, 냉방차이고 1량으로 운행된다.

노면 전차이지만, 현재 운행되고 있는 아라카와선에는 노면 정류장이 없고, 각 정류장의 승강장을 차량 바닥과 같은 높이까지 높여놨기 때문에, 다른 사업자에서 볼 수 있는 초저상 전동차는 도입되지 않았다. 또한, 현존하는 아라카와 차량기지를 포함한 대부분의 차량기지가 부지 사정상 차량 이동에 트래버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장은 13m로 제한되어 있다.

5. 2. 과거 차량

노선 폐지에 따라 발생한 여유 차량은 대부분 해체되었지만, 86량은 다른 교통 기관, 지방 자치 단체, 학교, 기업 등에 양도되었다. 하코다테시에는 7000형 10량, 나가사키 전기 궤도에는 2000형 6량이 영업용으로 양도되었고, 1000형 1량은 세이부 토코로자와 차량 공장에서 객차로 개조되어 우고 교통 욧소선에서 사용되었다. 5501은 우에노 공원에 전시되었다가 현재는 도덴 추억 광장에서 보존 중이다. 이외에도 가쓰시구, 후추시, 이타바시구, 도시마구, 오타구 등지의 공원과 기업, 유치원, 초등학교 등에 기증되었다. 지바현은 단지 아동 대책으로 15량을 양도받았다. 그러나 양도된 차량 중 현존하는 것은 극히 일부이며, 영업용 차량은 노후화로 인해 이미 전폐되었고, 보존 차량도 황폐화나 시설 개수 등으로 인해 많은 수가 철거되었다.

도덴은 일본 최대 규모의 노면 전차였던 만큼, 타사에서 도덴 차량과 유사한 사양의 차량을 제조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인 형식으로는 3000형, 6000형, 7000형, 8000형 등이 있다.

다음은 과거 도쿄도 전차에서 운행했던 차량 목록이다. '*' 표시는 양도 또는 보존 차량이 현존하는 차종을 나타낸다.

;도쿄 전차 철도가 도입한 차량

:*1형(초대)(전철 1형, 통칭 요토형)*

:*1101형(전철 251형, 통칭 호토형)

;도쿄 시가이 철도가 도입한 전차

:*251형(시철 1형, 통칭 요시형)

:*1001형(시철 1001형, 통칭 호시형)

;도쿄 전기 철도가 도입한 전차

:*821형(외호선 1형, 통칭 요소로쿠, 요소하치형)

;도쿄 철도가 도입한 전차

:*750형(통칭 요테형)

:*1121형(통칭 호헤팔형)

;도쿄시 전기국이 도입한 전차

:*1371형(통칭 호헤구형)

:*1471형(통칭 호헤사형)

:*1653형(통칭 호헤중형)

:*1854형(통칭 호헤사형)

:*1954형(통칭 호헤사형)

:*2200형

:*2500형(전 한신 전기 철도 1형)

:*1형(2대)

:*400형

:*3000형

:*4000형, 4100형, 4200형

:*5000형*

:*1000형

:*1200형

:*700형

;조토 전기 궤도가 도입한 차량

:*1형(3대)(조토 1형)

:*10형(조토 80형)

:*20형(조토 50형)

:*30형(조토 60형, 70형)

;오지 전기 궤도가 도입한 차량

:*100형(왕전 400형)

:*120형(왕전 300형)

:*150형, 160형, 170형(왕전 200형)*

;세이부 궤도 및 세이부 철도가 도입한 차량

:*200형(세이부 S21형, S23형, S28형)

:*250형(세이부 S33형, S41형)

;도쿄도 교통국이 도입한 차량

:*800형

:*6000형*

:*2000형(스기나미선용)

:*5500형*

:*6500형

:*1300형

:*8000형*

:*2500형(스기나미선용)

:*1500형

:*7500형*

:*7000형*

6. 영업소 및 차고

1960년(쇼와 35년) 도덴의 대규모 철거가 시작되기 전에는 도덴의 영업소는 17곳, 차고는 16곳, 파출소가 1곳 존재했다. 그 후 도덴 철거의 진척에 맞춰 영업소, 차고가 순차적으로 폐지되어 1972년 (쇼와 47년) 11월 12일에 야나기시마[柳島] 전차 영업소·야나기시마[柳島] 전차 차고 및 킨시보리[錦糸堀] 전차 영업소·킨시보리[錦糸堀] 전차 차고가 폐지된 이후에는 아라카와[荒川] 전차 영업소와 아라카와[荒川] 전차 차고 1곳씩만 남게 되었다.


1924년(다이쇼 13년) 오덴[王電]의 후나카타[船方] 차고로 개설되었고, 1942년 (쇼와 17년) 2월 1일에 오덴[王電]이 도덴에 통합되면서 아라카와[荒川] 전차 영업소로 개칭되었다. 1981년 (쇼와 56년)에는 시무라[志村] 차량 공장 정비계와 아라카와[荒川] 전차 차고가 통합되어 아라카와[荒川] 차량 검수소가 발족, 도덴에 더해 우에노 모노레일의 차량 검수도 담당하게 되었다. 2007년 (헤이세이 19년) 5월 26일부터는 부지 내에 설치된 "도덴 추억 광장"에 5000형 5501호와 7500형 7504호 2량이 보존되어 있다.

과거에는 전차 차량 공장과 시바우라 창고도 존재하였다. 전차 차량 공장은 1911년(메이지 44년) 개설되어 원래는 도쿄 전차 철도의 수리 공장이었으며, 1903년(메이지 36년) 개업 시 전신인 도쿄 마차 철도의 수리장을 정비, 확충하여 만들어졌다. 1920년(다이쇼 9년) 10월에는 시바우라 지장, 1921년(다이쇼 10년) 8월에는 당시의 혼조 차고 내에 혼조 가설 공장을 개설했지만, 1923년(다이쇼 12년)의 간토 대지진으로 하마마쓰초, 혼조 양 공장이 소실되어 지진 이후 시바우라 지장에 모든 기능이 집약되었다. 전차의 수선・개량 외에 신성능차의 개발 및 도영 트롤리 버스(都営トロリーバス) 차량의 정비도 실시했지만, 1969년(쇼와 44년) 6월에 폐지되었다. 시바우라 창고는 시바 구 신시바초(후에 미나토 구 니시시바우라 1초메를 거쳐 시바우라(芝浦) 3초메)에 위치했으며, 시전・도전의 자재 보관 장소가 있었다. 1942년 부지의 일부가 미나토 구립 시바우라 초등학교(港区立芝浦小学校)가 되었으며, 1967년도에 미나토 구에 양도되어 폐지되었다.

6. 1. 현존

6. 2. 폐지

도쿄도 전차의 각 영업소는 1962년(쇼와 37년) 기준으로 각각 다른 운행 계통을 담당했다.

7. 도덴이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東京都地方公営企業の設置等に関する条例 https://www.waterwor[...]
[2] 웹사이트 東京都電車条例 https://www.reiki.me[...]
[3] 문서 1895년(明治28년)開業。1918년(大正8년)京都시전에 편입.
[4] 문서 1898년(明治31년)開業。후의 나고야시전 및 현재의 나고야철도의 전신.
[5] 문서 1899년(明治32년)開業。경함급행전철의 전신으로 현재의 경급다이시선.
[6] 문서 1900년(明治33년)開業。현재의 오다큐하코네의 전신.
[7] 웹사이트 横浜市立図書館デジタルアーカイブ、京浜実業家名鑑 http://www.lib.city.[...]
[8] 문서 1903년(明治36년) 8월 2일開業。후의 미에교통 신토선.
[9] 뉴스 時事新報
[10] 뉴스 中外商業新報
[11] 문서 옛날 도내를 흘렀던 汐留川에 걸려있던 다리 중 하나로, 오늘날의 도쿄고속도로 土橋입구가 있는 위치에 존재했다.
[12] 문서 당시의 운임은 각사 모두 전선 3전이었고 같은 회사의 전차끼리의 환승은 무료였지만, 다른 회사의 전차로 갈아탈 경우 다시 운임을 지불해야 했다.
[13] 문서 특히 통행세는 운임에 더해 과세되어, 납세자는 철도회사였지만 실제로 세금을 부담하고 있는 것은 전차를 이용하는 시민이었다.
[14] 문서 이 금액은 1911년 5월 1일 시점의 평가를 기준으로 한 협정가격으로, 실제 매수액은 6458만 엔을 넘었다.
[15] 문서 영업계수는 영업수입 100엔당 영업비용의 비율로, 이 경우 수입 100엔당 비용이 34엔 30전이었음을 의미한다. 영업계수가 100을 밑돌면 영업흑자, 넘으면 영업적자이며, 숫자가 작을수록 영업효율이 좋다고 할 수 있다.
[16] 문서 1922년도의 도쿄시 전기국의 세입 총액은 약 6367만 엔, 세출 총액은 약 6016만 엔이다.
[17] 문서 1925년에는 포드 모터(일본 포드)가 요코하마에, 1927년에는 제너럴 모터스(일본 제너럴 모터스)가 오사카에 제조 거점을 설치했다. 포드사가 일본 진출을 결정한 것은, 도쿄시가 시영버스를 위해 T형 포드 800대를 주문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18] 문서 도쿄시내의 노선버스는 지진 전에는 도쿄승합자동차 등 수개사 정도였지만, 지진 후인 1933년에는 시영이나 철도회사의 겸영이 아닌 버스 전업 사업자만 41개사에 달했다. 또 택시는 1922년에는 1200대 정도였지만, 1929년에는 1만대 이상으로 증가했다.
[19] 문서 시채 중에는 직접 시전의 수익과 연결되지 않는 목적으로 발행된 것도 많았고, 이것도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었다. 1934년도의 시채 잔고 2억 7822만 엔 중 47%는 지진 복구, 도로 확장, 도쿄철도의 매수 등을 위해 발행된 것이었다.
[20] 간행물 東京市街鉄道開業 {{NDLDC|1920426/80}} 中外商業 1903-09-16
[21] 뉴스 電車車掌運転手罷業 : 東京の大晦日愈大混雑 : 大通筋の交通殆ど停止 : [東京市電車掌運転手罷業事件 (二)] {{新聞記事文庫|url|0100161[...] 東京時事新報 1912-01-01
[22] 간행물 鉄道省鉄道統計資料. 大正10年度 {{NDLDC|974244/474}}
[23] 간행물 鉄道省鉄道統計資料. 大正11年度 {{NDLDC|974246/502}}
[24] 서적 大正ニュース事典第7巻 大正14年-大正15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25] 서적 大正ニュース事典第7巻 大正14年-大正15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26] 간행물 鉄道統計資料. 昭和11年度 第3編 監督 {{NDLDC|1073718/106}[...]
[27] 서적 昭和ニュース事典第7巻 昭和14年-昭和16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28] 뉴스 10日より志村-志村橋新線開業 朝日新聞 1955-06-02
[29] 간행물 都電志村線開通 花火あげ盛大な祝賀 板橋区役所 1955-06-25
[30] 뉴스 都電・都バス 停留所名が大幅変更 日本経済新聞 1965-09-15
[31] 뉴스 都電荒川線 一部ワンマン化 交通協力会 1977-09-30
[32]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の愛称を決定しました! https://www.metro.to[...] 東京都交通局 2017-04-28
[33] 문서 이때부터 PASMO나 Suica같은 IC카드 승차권으로 운임을 지불하는 경우, 표기된 운임보다 수엔 정도 저렴한 IC운임을 도입하고 있으며, 2014년 4월~ 165엔, 2019년(레이와 원년) 10월~ 168엔이 적용되고 있다.
[34] 웹사이트 都電が走らなかったのは練馬区とどこ? 青空の下を一直線にひた走る56年前「杉並線」 https://dot.asahi.co[...] AERA dot. 2019-11-02
[35] 간행물 新橋上野間電車今日開通 {{NDLDC|1920426/94}} 日本新聞 1903-11-25
[36] 뉴스 馬車鉄の馬も徴発 NDLDC:1920426/123 東京朝日新聞 1904-02-25
[37] 간행물 東京市告示第48号 東京市公報 1914-04-14
[38]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추정) (날짜 정보 없음)
[39] 간행물 東京市告示第21号 東京市公報 1915-03-14
[40] 간행물 電気事業成績調書. 大正11年度(第12回) NDLDC:976115/32 (추정) (날짜 정보 없음)
[41] 간행물 東京市告示第80号 東京市公報 1918-06-29
[42] 뉴스 外堀線延長開業 NDLDC:1920426/232 東京朝日新聞 1905-05-06
[43] 간행물 電気事業成績調書. 大正13年度(第14回) NDLDC:976117/36 (추정) (날짜 정보 없음)
[44] 간행물 東京市告示第268号 東京市公報 1924-06-21
[45] 간행물 東京市告示第92号 東京市公報 1923-04-21
[46] 간행물 東京市告示第99号 東京市公報 1920-06-09
[47] 간행물 東京市告示第40号 東京市公報 1914-03-15
[48] 웹사이트 都電時代の「最も短い区間」はどこ? 70年前傷みながらも戦後東京を支えた木造車両(2/3ページ) https://dot.asahi.co[...] 2020-10-17
[49] 간행물 東京市告示第218号 東京市公報 1922-12-13
[50] 간행물 東京市告示第139号 東京市公報 1922-08-02
[51] 간행물 東京市告示第58号 東京市公報 1915-05-28
[52] 간행물 東京市告示第125号 東京市公報 1919-10-01
[53] 간행물 東京市告示第63号 東京市公報 1914-05-17
[54] 간행물 東京市告示第124号 東京市公報 1914-09-13
[55] 간행물 電気事業成績調書. 大正14年度(第15回) NDLDC:1077012/43 (추정) (날짜 정보 없음)
[56] 간행물 東京市告示第40号 東京市公報 1922-03-25
[57] 간행물 東京市告示第59号 東京市公報 1917-06-09
[58] 간행물 電気事業成績調書. 大正12年度(第13回) NDLDC:976116/36 (추정) (날짜 정보 없음)
[59] 간행물 東京市告示第188号 東京市公報 1923-04-15
[60] 간행물 東京市告示第67号 東京市公報 1917-08-01
[61] 간행물 東京市告示第57号 東京市公報 1921-09-20
[62] 간행물 東京市告示第4号 東京市公報 1922-01-11
[63] 간행물 東京市告示第24号 東京市公報 1922-02-25
[64] 간행물 東京市告示第268号 東京市公報 1924-07-16
[65] 간행물 東京市告示第130号 東京市公報 1921-08-17
[66] 간행물 東京市告示第192号 東京市公報 1923-08-04
[67] 간행물 東京市告示第99号 東京市公報 1926-03-27
[68] 간행물 東京市告示第268号 東京市公報 1927-08-16
[69] 간행물 電気事業成績調書. 昭和2年度(第17回) NDLDC:1077035/47 (추정) (날짜 정보 없음)
[70] 간행물 電気事業成績調書. 昭和8年度(第23回) NDLDC:1077082/10 (추정) (날짜 정보 없음)
[71] 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電気事業成績調書. 昭和3年度(第18回)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72] 文書 巣鴨車庫前・志村橋間の軌道事業廃止許可申請 1966-02-15
[73] 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電気事業成績調書. 昭和4年度(第19回)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74] 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電気事業成績調書. 昭和5年度(第20回)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75] 公報 東京市告示第399号 東京市公報 1930-09-06
[76] 公報 東京都告示第470号 東京都公報 1944-05-01
[77] 官報 軌道特許状下付 https://dl.ndl.go.jp[...] 官報 1925-03-09
[78] 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軌道敷設権譲渡 https://dl.ndl.go.jp[...] 官報 1938-11-25
[79] 잡지 東京市電の池袋接続と武蔵野鉄道
[80] 公報 東京都告示第1300号 東京都公報 1944-12-28
[81] 문서 都電百景百話
[82] 서적 茶の湯連翹抄 思文閣出版 2005-12
[83] 웹사이트 お茶の水橋都電レール保存会【公式】 https://ochatoden.ho[...] 2020-02-15
[84] 뉴스 お茶の水橋アスファルト5センチ下から出現、戦中に消えた都電 錦町線 の線路跡 https://tetsudo-ch.c[...] 2020-01-29
[85] 뉴스 舗装の下に都電レール 東京・お茶の水橋 戦中に廃止、工事で地上に https://www.tokyo-np[...] 2020-01-28
[86] 웹사이트 路面電車がみつめた50年前のTOKYO 神田川がぐぐっと曲がる「大曲」54年前”橋の上”停留所の都電 歴史的発見「お茶の水橋」と共通点? (3/3ページ) https://dot.asahi.co[...] 2022-02-26
[87] 보도자료 神田川白鳥橋で発見された都電の遺構を公開します https://www.metro.to[...] 東京都報道発表資料 2024-09-27
[88] 뉴스 東海道線止る 四年ぶり都電に除雪車 1951-02-15
[89] PDF 港区立港勤労福祉会館、港区立商工会館の臨時休館及び施設予約の休止について https://gikai2.city.[...] 港区 2021-07-16
[90] 웹사이트 「港区新型コロナワクチン接種センター」を開設しました! https://www.city.min[...] 港区 2022-05-06
[91] 웹사이트 令和5年5月8日(月曜)から、高齢者などを対象にした新型コロナウイルスワクチンの「令和5年春開始接種」を実施します https://www.city.min[...] 港区 2023-03-10
[92] 서적 伊勢丹百年史 株式会社伊勢丹広報担当社史編纂事務局 1990
[93] 공보 東京都電車の運転系統の名称及び区間の一部改正 東京都公報 1966-05-26
[94] 웹사이트 カメリア会について ごあいさつ http://camellia-kai.[...]
[95] 문서
[96] 잡지 『東京ゲージ』をめぐる鉄道史 古今書院 1996-11
[97] 서적 地図で解明! 東京の鉄道発達史 https://books.google[...] JTBパブリッシング 2016-03
[98] 서적 人物と事件でつづる私鉄百年史 鉄道図書刊行会 1991
[99] 문서
[100] 서적 おもいでの都電 保育社 1986
[101] 서적 東京都電風土記 伸光社 1984
[102] 서적 東京都電風土記 伸光社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