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광주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구 (광주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주시 동구·북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이다. 동구 일원을 관할 구역으로 하였으며, 20대 총선을 앞두고 동구의 인구 감소로 인해 남구 선거구 일부를 편입하여 동구·남구 을 선거구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신기하, 이영일, 김경천, 양형일, 박주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동구 (광주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동구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광주광역시 |
연도 | 1988 |
폐지 | 2016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광주시 동구·북구 |
이후 선거구 | 동구·남구 을 |
의원수 | 1인 |
2. 역사
광주 동구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주시 동구·북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동구의 인구가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10만 명 이하로 감소하여 하한선에 미달하였다. 이에 남구 선거구에서 양림동, 방림동, 사직동, 백운동을 넘겨받아 동구·남구 을 선거구를 형성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주시 동구·북구 선거구에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동구의 인구 수가 도심 공동화로 10만 명 이하로 떨어져 하한선에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남구 선거구에서 양림동, 방림동, 사직동, 백운동을 넘겨받아 동구·남구 을 선거구를 형성하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2. 2. 선거구 폐지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주시 동구·북구 선거구에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동구의 인구 수가 도심 공동화로 10만 명 이하로 떨어져 하한선에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남구 선거구에서 양림동, 방림동, 사직동, 백운동을 넘겨받아 동구·남구 을 선거구를 형성하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관할 구역
동구 일원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정당 | 의원 | |
---|---|---|---|
1988년 | 평화민주당 | 신기하 | |
1992년 | 민주당 | ||
1996년 | 새정치국민회의 | ||
1997년 | 새정치국민회의 | 이영일 |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 김경천 | |
2004년 | 열린우리당 | 양형일 | |
2008년 | 통합민주당 | 박주선 | |
2012년 | 무소속 |
4.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선거 | 정당 | 의원 |
---|---|---|
1988년 | 평화민주당 | 신기하 |
1992년 | 민주당 | 신기하 |
1996년 | 새정치국민회의 | 신기하 |
1997년 | 새정치국민회의 | 이영일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 김경천 |
2004년 | 열린우리당 | 양형일 |
2008년 | 통합민주당 | 박주선 |
2012년 | 무소속 | 박주선 |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 | 당선인 | 정당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신기하 | 평화민주당 | 88.05%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신기하 | 민주당 | 62.74%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신기하 | 새정치국민회의 | 89.90% |
199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이영일 | 새정치국민회의 | 무투표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김경천 | 새천년민주당 | 55.75%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양형일 | 열린우리당 | 51.75%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박주선 | 통합민주당 | 88.73%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박주선 | 무소속 | 31.55% |
- 신기하 의원은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로 사망하였다.
5.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신기하 후보가 88.0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정의당 고귀남 후보는 10.72%, 신민주공화당 안광양 후보는 1.22%를 득표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신기하 | 평화민주당 | 78,093 | 88.05% |
고귀남 | 민주정의당 | 9,512 | 10.72% |
안광양 | 신민주공화당 | 1,086 | 1.22% |
합계 | 88,691 | 100% | |
유권자 수 | 115,994 |
5.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신기하 | 민주당 | 51,804 | 62.74 |
이문옥 | 무소속 | 22,731 | 27.53 |
조규범 | 민주자유당 | 4,043 | 4.89 |
윤재걸 | 통일국민당 | 2,712 | 3.28 |
황광우 | 민중당 | 1,267 | 1.53 |
합계 | 82,557 | 100 |
5.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5. 4. 1997년 재보궐선거
신기하 의원이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로 사망하면서, 199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이영일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5. 5.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광주광역시 동구 | |||||||||||||||||||||||||||||||||||||||||||||||
---|---|---|---|---|---|---|---|---|---|---|---|---|---|---|---|---|---|---|---|---|---|---|---|---|---|---|---|---|---|---|---|---|---|---|---|---|---|---|---|---|---|---|---|---|---|---|---|
{{lang|ko|유권자 수:|} | } 93,191명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주선 | 무소속 | 15,372 | 31.55 |
양형일 | 무소속 | 14,916 | 30.61 |
이병훈 | 무소속 | 9,177 | 18.83 |
김관희 | 통합진보당 | 5,039 | 10.34 |
박현 | 무소속 | 1,717 | 3.52 |
김강열 | 무소속 | 1,329 | 2.72 |
박동수 | 무소속 | 647 | 1.32 |
구봉우 | 자유선진당 | 518 | 1.06 |
합계 | 48,715 | 100.00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주광역시 동구 선거구는 총 89,255명의 유권자가 있었으며, 이 중 48,71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무소속 박주선 후보가 15,372표(31.55%)를 얻어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