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두천중앙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두천중앙역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의 전철역이다. 1955년 어수동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동두천역을 거쳐 2006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급행과 완행 열차가 모두 정차하며, 인근에 동두천시청, 신한대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2014년 탈선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으며, 인접한 역으로는 보산역, 동두천역, 지행역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두천시의 전철역 - 소요산역
    소요산역은 경원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지나는 동두천시 소요동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공사로 고가역으로 재건설되었으며 소요산과 인접하여 등산객 이용이 많고 수도권 전철 개통 이후 이용객이 증가했다.
  • 동두천시의 전철역 - 동두천역
    동두천역은 1912년 개업하여 일제강점기부터 운영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의 전철역으로, 한때 경원선 남한 구간의 종착역이었으며, 현재는 섬식 승강장 3면 6선의 지상역으로 소요산역, 연천역과 함께 DMZ-train의 발착역으로 이용되었고, 주변에는 동양대학교 북서울캠퍼스, 주한미군 2사단, 동두천일반산업단지 등이 위치한다.
  • 1955년 개업한 철도역 - 춘양역
    춘양역은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에 위치한 영동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와 백두대간협곡열차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며, '억지춘양'이라는 관용구의 유래와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
  • 1955년 개업한 철도역 - 용동역
    용동역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했던 호남선의 역으로, 개업 후 여러 변경을 거쳐 화물과 여객 취급 중지 후 2006년 폐역되었으며, 단선과 섬식 승강장을 갖춘 2면 3선의 지상역으로 강경역과 함열역 사이에 있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동두천중앙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 이름동두천중앙역
한자 표기
로마자 표기Dongducheon Jungang
다른 이름어수동
주소경기도 동두천시 동두천로 228 (생연동 682) South Korea
개업일1955년 2월 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2006년 12월 15일
역 구조지상역
노선경원선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승강장2면 4선
선로4선
역 등급3급
역 번호103
월간 승객 수 (2012년 기준, 1호선)8,793명
2018년 승차 인원3,840명
2018년 승강 인원7,551명
노선 정보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인접 역이전 역: 보산
다음 역: 지행
거리 정보보산역까지: 1.4km
지행역까지: 1.0km
광역전철이전 역: 동두천
다음 역: 지행
지도 정보
이미지 정보
동두천중앙역 역사 전경

2. 역명

개업 당시에는 어수동역(御水洞驛)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84년부터는 동두천역(東豆川驛)으로 역명을 변경하여 사용했다. 이후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소요산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현재의 역명인 동두천중앙역으로 변경되었다. 기존의 동두천역이라는 이름은, 1984년 이전에 동두천역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던 동안역이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

3. 역사

4. 역 구조

출구는 4개이다.

4. 1.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동두천-광운대 간 급행열차가 정차하며, 출근 시간대에는 동두천 방면 2회, 인천 방면 3회 급행열차가 정차한다.

승강장노선종류목적지
1・2-- 경원선완행・급행광운대역서울역구로역인천역 방면
3・4-- 경원선완행・급행보산역동두천역소요산역 방면


5. 이용객 변동

200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6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7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6]

노선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출처
-- 경원선승차 인원미개통2,6613,3093,7073,841[6]
하차 인원2,9013,3983,7543,822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출처
-- 경원선승차 인원3,9894,3724,4334,5424,5414,1174,0374,0203,8403,823[6]
하차 인원3,9314,3024,3594,4784,4374,0023,8883,8543,7113,710
노선2020년2021년2022년colspan="8" |출처
-- 경원선승차 인원2,6472,6692,924colspan="8" |[6]
하차 인원2,5892,6172,855colspan="8" |


6. 역 주변



출구별 주변 시설
출구 번호주요 시설
1번 출구생연우체국, 버스터미널, 사동초등학교, 어사우사거리, 동두천시보건소, 장안재래시장, 중앙동 행정복지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2번 출구주차장
3번 출구동두천시청, 동두천기상대, 동두천중학교, 동두천고등학교, 생연근린공원, 생연초등학교, 동두천여자중학교
4번 출구주차장


7. 사고

2014년 3월 16일 오전 9시 22분경 소요산역을 출발하여 동두천중앙역으로 향하던 전동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열차는 동두천중앙역에 진입하기 100m 전 지점에서 앞쪽 두 번째 칸의 왼쪽 뒷바퀴 하나가 선로를 벗어나면서 사고가 났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차량은 당일 낮 12시 47분에 복구되어 차량기지로 옮겨졌다. 이 사고로 인해 복구 작업과 선로 점검이 진행되는 동안 동두천역~동두천중앙역~지행역까지의 6.5km 구간 상행선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약 4시간 동안 해당 구간 열차는 하행선 선로를 이용하여 운행되었다.[13]

8. 인접한 역

(연천 방면)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지행
(인천 방면)동두천
(동두천 방면)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지행
(인천·광운대 방면)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2]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406호 대한민국관보 1955-01-29
[3] 웹사이트 동두천중앙역 http://terms.naver.c[...] KRIC 2015-09-10
[4]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49호 대한민국관보 1969-09-24
[5] 간행물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523호 대한민국관보 2006-12-11
[6] 웹사이트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7] 웹사이트 경원선덕정동두천간에어수동역원배치간이역설치진전에관한건(철도청 교시 제295호) http://contents.arch[...]
[8]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406호 대한민국관보 1955-01-29
[9]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49호 대한민국관보 1969-09-24
[10] 블로그 멋스러운 기와지붕의 한옥역사 - 경원선 동두천역 (동두천중앙역) http://blog.naver.co[...]
[11] 간행물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523호 대한민국관보 2006-12-11
[12]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1-09
[13] 뉴스 지하철 1호선 오전 9시께 동두천 중앙역서 탈선사고(종합)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2014-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