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정역은 1979년 신호장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승격된 역이다. 경부선과 천안직결선이 지나며, 천안직결선의 기점이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1, 4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두정역은 천안 시가지 북단에 위치하며, 인근에 여러 대학교와 편의 시설이 있다. 과거 부기역명 입찰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안시의 전철역 - 성환역
성환역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1905년 개업 후 청일전쟁 격전지라는 역사적 배경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및 KTX 정차를 통해 교통 편의성이 향상되었으나, 시설 노후화 및 부역명 관련 논란이 있다. - 천안시의 전철역 - 쌍용역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쌍용역은 2008년 개업한 지상 고가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주변에 대형 쇼핑 시설, 교육 기관, 관공서 등이 위치해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승차 인원 회복세를 보이고 봉명역과 천안아산역 사이에 있다. - 1979년 개업한 철도역 - 나루세역
나루세역은 요코하마 선 상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역으로, 복선화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역 주변은 공공시설, 교육기관, 상업시설이 밀집한 미나미나루세 지역의 중심지이다. - 1979년 개업한 철도역 - 니시카사이역
도쿄도 에도가와구 니시카사이에 위치한 니시카사이역은 1979년 개업한 도쿄 지하철 도자이선의 역으로, 상업 지구와 주택 단지 주변에 있으며 하루 평균 94,293명이 이용하고 승강장 확장 및 편의 시설이 확충되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두정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두정로 289 (두정동 84-1) |
이용객 수 (일일) | 14,054명 (2012년 1월-12월 기준, 1호선)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승강장 | 2개 |
선로 | 4개 |
구조 | 지상 |
개업 | 1979년 6월 15일 2005년 1월 20일 (1호선) |
노선 정보 | |
노선 | 경부선(수도권 전철 1호선) |
역 번호 | P168 |
이전 역 | 직산역 (P167) |
다음 역 | 천안역 (P169) |
역간 거리 | 직산역: 3.8km 천안역: 3.0km |
영업 거리 | 서울역 기점 93.6km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전보 약호 |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한국어 표기 | 한글: 두정역 한자: 斗井驛 로마자 표기: Dujeong-yeok |
2. 역사
1979년 6월 15일 신호장으로 영업을 시작했다.[10] 1987년 7월 1일 천안역 관리에 지정되었다.[10]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10]
2. 1. 개요
두정역 인근에는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캠퍼스,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백석대학교, 호서대학교 천안캠퍼스 등 여러 대학교가 분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용객 대다수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통학생들이다. 실제로 주중, 학기 중 승차량은 1일 9000명 수준으로 매우 높지만, 방학 기간이나 주말에는 1일 4000명 정도로 낮아진다. 이는 승차량 비교 데이터[8]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2010년대 들어 역 개통의 영향으로 주변에 주거 지구가 들어섰고, 근처의 천안1공단까지도 주거 지구로 전환되어 아파트 단지들이 공사 중이다.
2. 2. 연혁
- 1979년 6월 15일 : 신호장으로 영업 개시[10]
- 1987년 7월 1일 : 천안역 관리로 지정[10]
- 2005년 1월 20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 보통역으로 승격[10]
- 2008년 11월 1일 : 경부선 측 역의 화물 취급 개시[10]
- 2019년 12월 30일 : 두정역 북부출입구 신설 착공
- 2023년 5월 18일 : 북부역사 완공 및 개통
3. 역명 유래
역명은 마을 앞에 큰 우물이 있어 물이 말로 쏟아져 나온다고 하여 말우물, 또는 두정이라고 하는 데서 유래되었다.[9]
4. 역 구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1, 4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에 3선의 통과선이 있다. 출구는 2개이다.[1]
4. 1. 개요
두정역은 섬식 승강장 2면 4선 사이에 통과선 3선이 있는 총 2면 7선의 지상역으로, 교상역사를 갖추고 있다. 출구는 1곳이다.4. 2.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1, 4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에 3선의 통과선이 있다.[1]
원래 이 역은 내선인 2, 3번 승강장에 1호선 열차가 정차하였으나 2012년부터 외선인 1, 4번 승강장으로 타는 곳이 변경되어서 지금까지 1, 4번 승강장에만 정차하고 있다. 스크린도어 또한 1, 4번 승강장에만 설치되었다.[1]
4. 3. 배선도
두정역과 천안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두정역에서 천안직결선을 통해 장항선 열차가 합류 및 분기한다.[1]섬식 승강장 2면 4선 사이에 통과선 3선이 있는 총 2면 7선의 지상역으로 교상역사를 갖추고 있다.[1]
5. 노선
선로 명칭상 경부선과 천안직결선 2개 노선이며, 천안직결선은 당역이 기점이다.
천안직결선은 당역의 남쪽에서 경부선에서 분기하여, 인접한 천안역에서 장항선에 접속하는 경부선의 지선으로, 장항선에 직통하는 모든 열차가 이 직결선을 경유한다.
당역에는 전철선을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만이 정차한다. 역 번호는 P168이다.
6. 역 주변
두정역 주변에는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제2캠퍼스,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백석대학교, 호서대학교 천안캠퍼스 등 여러 대학교가 있어 수도권 통학생들이 주로 이용한다. 주중, 학기 중에는 하루 평균 9,000명 정도가 이용하지만, 방학이나 주말에는 하루 평균 4,000명 정도로 이용객 수가 줄어든다.[8] 2010년대 이후 두정역 개통으로 주변 지역에 주거 지구가 조성되었고, 인근 천안1공단도 주거 지구로 바뀌면서 아파트 단지 공사가 진행 중이다.
주요 시설 |
---|
6. 1. 개요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캠퍼스,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백석대학교, 호서대학교 천안캠퍼스 등 여러 대학교가 두정역 인근에 있다. 이 때문에 수도권에 거주하는 통학생들이 주로 두정역을 이용한다. 주중, 학기 중에는 하루 평균 9,000명 정도가 이용하지만, 방학이나 주말에는 하루 평균 4,000명 정도로 이용객 수가 줄어든다.[8]2010년대 이후 두정역 개통으로 주변 지역에 주거 지구가 조성되었고, 인근 천안1공단도 주거 지구로 바뀌면서 아파트 단지 공사가 진행 중이다. 두정역은 천안시 북쪽 끝에 있다.
6. 2. 시설
두정역은 천안의 중심 시가지 북단에 위치한다.주요 시설 |
---|
7. 승차량 변동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