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환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환역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1905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된다. 4면 6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 무궁화호와 누리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이 정차한다. 인근에는 남서울대학교, 성환버스터미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안시의 전철역 - 쌍용역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쌍용역은 2008년 개업한 지상 고가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주변에 대형 쇼핑 시설, 교육 기관, 관공서 등이 위치해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승차 인원 회복세를 보이고 봉명역과 천안아산역 사이에 있다. - 천안시의 전철역 - 봉명역
봉명역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및 완행 열차가 정차하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경부선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경부선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웅천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에 위치한 웅천역은 1931년 영업을 시작해 2021년 장항선 직선화로 고가역이 되었으며, 현재 무궁화호, ITX-새마을이 정차하는 2면 4선의 철도역이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논산역
논산역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영업을 시작하여 1965년 재건되었으며, 1988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성환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성환 (남서울대) |
로마자 표기 | Seonghwan (Namseoul Univ.) |
역 번호 | P166 |
한국어 표기 | 성환역 |
한자 표기 | 歡 |
로마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 | Seonghwan-yeok |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237-5 (성환리 449-128) |
좌표 | 36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 한국철도공사: 400명 수도권 전철 1호선: 9,944명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승강장 | 4개 |
선로 | 6개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 | 2005년 1월 20일 |
역 구조 |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역 간 거리 (서울 기점) | 84.4 km |
역 간 거리 (소요산 기점) | 135.1 km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경부선 |
전철 노선 | 경부전철선 |
이전 역 | 평택 |
다음 역 | 직산 |
역간 거리 (평택 방면) | 9.4 km |
역간 거리 (직산 방면) | 5.4 km |
이미지 | |
![]() | |
![]() | |
운행 계통 | |
노선 |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
등급 | 무궁화호 |
이전 역 (무궁화호) | 평택 |
이전 방향 (무궁화호) | 서울, 용산 |
다음 역 (무궁화호) | 천안 |
다음 방향 (무궁화호) | 부산, 광주, 여수엑스포 |
노선 (수도권 전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이전 역 (수도권 전철) | P165 평택 |
이전 방향 (수도권 전철) | 광운대 |
다음 역 (수도권 전철) | P167 직산 |
다음 방향 (수도권 전철) | 신창 |
등급 (급행A) | 경부선 급행A |
이전 역 (급행A) | P165 평택 |
이전 방향 (급행A) | 청량리 |
다음 역 (급행A) | P168 두정 |
다음 방향 (급행A) | 신창 |
등급 (급행B) | 경부선 급행B |
이전 역 (급행B) | P165 평택 |
이전 방향 (급행B) | 서울 |
다음 역 (급행B) | P168 두정 |
다음 방향 (급행B) | 신창 |
2. 역사
경부선이 최초 개통했을 때, 통감부 철도관리국은 청일 전쟁 당시 일본군이 승전한 성환 전투의 격전지가 성환역 일대였기 때문에 성환역 역장을 임명할 때 보통역장보다 조금 더 높은 직위의 인사를 임명했다.[10]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5]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통일호와 비둘기호만 정차하는 작은 역이었다. 역 북쪽의 군사 전용선은 여객 영업을 하지 않는다.
2. 1. 한국 철도 개통 초기
경부선이 최초 개통했을 때, 통감부 철도관리국은 성환역 역장을 임명할 때 보통역장보다 조금 더 높은 직위의 인사를 임명했는데, 이는 청일 전쟁 당시 일본군이 승전한 성환 전투의 격전지가 성환역 일대였기 때문이다.[10]1905년 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5]
2.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처음에는 완행열차인 통일호와 비둘기호만 정차하는 작은 역이었으나,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이 시작되면서 무궁화호와 누리로도 정차하게 되었다. 역 북쪽에서 북동쪽으로 분기하는 단선 비전철 노선은 군사용 전용선으로 여객 영업은 하지 않는다.[5]일제강점기 경부선 개통 당시, 일본 당국은 청일 전쟁의 성환 전투 격전지가 이 역 주변이라는 이유로 다른 역장보다 지위가 높은 인물을 성환역장으로 임명했다.[5]
성환역은 평택역까지 9.4km 떨어져 있으며, KORAIL 공항철도를 제외한 수도권 전철에서 역간 거리가 가장 길다.
연도 | 내용 |
---|---|
1992년 6월 10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1992년 12월 14일 | 군사 전용선 설치 |
2001년 6월 1일 | 장항선 특정통일호 승차권 발매 중단 및 전 통일호 열차 전산화 |
2003년 11월 6일 | 현재의 역사 신축 |
2005년 1월 20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개시, 경부고속선 연장 개통 (병점역~천안역 간 47.9km) |
2006년 9월 1일 | 부역명 남서울대 제정. 남서울대학교는 3년간 부역명 사용을 위해 3500만원을 지불했다.[7] |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신창간) 복선 전철화 개통 |
2009년 6월 1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개시 |
2010년 9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8][11] |
2017년 (추정)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20년 3월 2일 | 호남선 누리로 운행 중지 |
성환역은 부역명으로 '''남서울대'''를 사용하며, 남서울대학교가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과거에는 비둘기호와 통일호만 정차하는 작은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2005년 1월 20일부터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 개통되어 전철도 운행하고 있다. 역 북서쪽에서 분기하여 북동쪽(학정리)으로 가는 단선 비전철화 철도는 군 전용선으로, 여객 영업과는 관련이 없다.
3. 역 구조
출구는 1번(역 동측)과 2번(역 서측) 두 곳이 있다.
3. 1. 승강장
4면 6선의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2 | 경부선 | 1호선 | 두정 · 천안 · 아산 · 신창 방면 |
---|---|---|---|
3·4 | 무궁화호 | 대전 · 부산 · 목포 · 광주 · 여수엑스포 방면 | |
5·6 | 무궁화호 | 평택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용산 · 서울 방면 | |
7·8 | 1호선 | 수원 · 구로 · 서울 · 광운대 방면 |
바깥쪽 두 개의 승강장은 경부전철선이 사용하고, 안쪽 두 개의 승강장은 경부선이 사용한다. 2번선과 3번선, 6번선과 7번선은 경부전철선과 경부선이 선로를 같이 쓴다.
4. 열차 정보
경부선 선로를 운행하는 무궁화호와 누리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이 이 역에 정차한다.
승강장 | 방향 | 노선 | 목적지 |
---|---|---|---|
1・2 | ●경부전철선 (하행) | 두정, 천안, 아산, 신창 방면 | |
3・4 | 경부선 (하행) | 동해선 직통 (부전 경유) | 동대구, 부산, 부전, 신해운대 방면 |
대구선・중앙선・동해남부선 직통 | 동대구, 경주, 태화강, 포항 방면 | ||
경전선 직통 (밀양 경유) | 대전, 동대구, 마산, 진주 방면 | ||
충북선・중앙선 직통 | 조치원, 제천, 영주, 안동 방면 | ||
호남선・광주선 직통 | 서대전, 광주송정, 목포, 광주 방면 | ||
전라선・경전선 직통 (순천 경유) | 서대전, 순천, 여수, 진주 방면 | ||
장항선 직통 | 천안, 온양온천, 홍성, 장항 방면 | ||
5・6 | 경부선 (상행) | 수원, 영등포, 용산, 서울 방면 | |
7・8 | ●경부전철선 (상행) | 수원, 구로, 서울역 지하, 청량리 방면 |
4. 1. 수도권 전철 1호선
이 역에는 경부선 선로를 운행하는 무궁화호와 누리로, 그리고 경부전철선(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이 다른 노선으로 직통 운행한다. 경부전철선의 역 번호는 P166이다.4. 2. 일반 열차 (무궁화호, 누리로)
성환역은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다. 주중에 정차하는 무궁화호와 주말에 정차하는 무궁화호가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연장 개통 이전에는 통일호와 피들기호만 정차했었다.[5]구분 | 상행 | 하행 |
---|---|---|
주중 | 1426 (광주발 용산행), 1512 (여수엑스포발 용산행) | 1311 (서울발 대전행), 1313 (서울발 대전행) |
주말 | 1302 (동대구발 서울행), 1316 (대전발 서울행), 1426 (광주발 용산행), 1512 (여수엑스포발 용산행) | 1401 (용산발 목포행), 1421 (용산발 광주행), 1301 (서울발 동대구행) |
5. 이용 현황
2006년 6월 부기역명 입찰에서 남서울대학교가 3년간 부기역명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3500만원을 지불하였다.[12]
5. 1. 수도권 전철
2006년 6월 부기역명 입찰에서 남서울대학교가 3년간 부기역명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사용료 3500만원을 지불하여 입찰하였다.[12]최근 1일 평균 승차 인원 추이는 다음과 같다.
노선 | 승차 인원 | 주 석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경부전철선 | 3004 | 3430 | 3555 | 3893 | 4234 | 4512 | 4869 | 4980 | [6] |
5. 2. 일반 열차
2006년 6월 부기역명 입찰에서 남서울대학교가 3년간 부기역명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사용료 3500만원을 지불하여 낙찰받았다.[12]
6. 역 주변
부역명은 '''남서울대'''로, 인근에 남서울대학교가 있다. 과거에는 비둘기호, 통일호만 정차하는 작은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보통역이며, 2005년 1월 20일부터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 개통되어 전철도 정차한다. 이 역의 북서쪽에서 분기하여 고가를 따라 북동쪽(학정리)으로 가는 단선 비전철화 철도가 있는데, 이는 군 전용선으로 여객 영업과는 관련이 없다.[1]
역 주변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7. 인접한 역
용산 방면
광주·여수엑스포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