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랠프 애버내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랠프 애버내시는 미국의 침례교 목사이자 시민 운동가로,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함께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조직하고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를 결성하여 민권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킹 목사 암살 이후 SCLC 회장직을 승계했으며, 가난한 사람들의 캠페인과 같은 활동을 펼쳤다. 1970년대에는 정치 활동과 경제 개발을 위한 재단을 설립했으며, 1990년 사망할 때까지 미국 자유 연합의 부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 로자 파크스
    로자 파크스는 1955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촉발시킨 버스에서의 용기 있는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의 핵심 인물이 된 미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 동문 - 로자 파크스
    로자 파크스는 1955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촉발시킨 버스에서의 용기 있는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의 핵심 인물이 된 미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 동문 - 제프 세션스
    제퍼슨 보레가드 세션스 3세는 앨라배마주 연방 상원 의원(1997~2017)과 제84대 미국 법무부 장관(2017~2018)을 역임한 보수 성향의 정치인으로, 이민 및 국가 안보 정책에 관여했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초기 지지자였으나, 러시아 스캔들 관련 조사 문제로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겪고 사임했다.
  • 셀마 몽고메리 행진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셀마 몽고메리 행진 -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는 1960년 미국에서 설립된 시민권 운동 단체로, 비폭력 시위와 보이콧, 유권자 등록 운동 등에 참여하며 인종차별에 저항했으나, 내부 갈등과 외부 압력으로 1970년대 초 해체되었다.
랠프 애버내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8년의 랠프 애버내시
1968년의 애버내시
출생 이름데이비드 애버내시
출생일1926년 3월 11일
출생지미국 앨라배마주 린던
사망일1990년 4월 17일
사망지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직업성직자, 활동가
알려진 이유민권 운동
평화 운동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가장 친한 친구이자 멘토
배우자주아니타 존스 애버내시
자녀5명 (랠프 데이비드 애버내시 3세, 돈잘레이 애버내시 포함)
경력
소속 정당민주당
종교침례교
복무미국 육군
참전제2차 세계 대전
계급소대장
직책
직책 1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 2대 회장
임기 시작 11968년
임기 종료 11977년
이전마틴 루터 킹 주니어
이후조지프 로우리

2. 어린 시절과 교육

랠프 데이비드 애버내시는 1926년 3월 11일 앨라배마주 린던에서 윌리엄 애버내시와 루이버리 애버내시 부부의 열 번째 자녀로 태어났다.[54][3][4][5] 그의 가족은 독실한 침례교 신자였으며, 아버지는 지역 사회에서 존경받는 농부이자 흑인 공동체의 지도자였다. 어린 시절 애버내시는 농장일을 도우며 가족의 사랑과 신앙 속에서 성장했다. 그의 이름은 원래 데이비드였으나, 12살 때 누이가 존경하던 스승의 이름을 따 랠프 데이비드로 부르기 시작하면서 랠프 데이비드 애버내시로 알려지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랠프의 세 형이 군 복무를 위해 집을 떠났다. 애버내시 역시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소대 상사까지 진급했다.[54][7] 전역 후에는 G.I. 법안에 따른 혜택으로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에 입학했다.[8] 그는 2학년 때 학생회장으로 선출되어 캠퍼스 식당의 음식 질 개선을 위한 단식 투쟁을 성공적으로 이끌기도 했다.[8] 대학생 시절, 애버내시는 목회자의 소명을 발표하고 1948년에 침례교 목사 안수를 받았다.[4] 1950년에는 수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4] 같은 해 여름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의 백인 라디오 방송국에서 최초의 흑인 디스크 자키로 활동하기도 했다.[9] 이후 애틀랜타 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8][4]

2. 1. 가정 환경

앨라배마주 린던에서 태어난 애버내시는 윌리엄과 루이버리 애버내시 부부의 10번째 자녀였다.[54][3][4][5] 그의 아버지는 엄격하고 근면한 사람이었고, 흑인으로서는 드물게 500acre 규모의 농장을 소유할 정도로 지역 사회에서 상당한 재산을 모았다.[54][3][4][5] 윌리엄 애버내시는 호프웰 침례 교회의 집사이자 흑인 고등학교를 위한 학교부에서 근무했으며, 군에서 대배심을 지낸 첫 흑인이기도 했다. 린던에서 애버내시 가족은 대부분의 백인 가족들보다 더 나은 생활을 했다.

어머니 루이버리는 친절하고 사랑이 많았으며, 하나님과 가족에게 헌신적인 여성이었다. 그녀는 자녀들에게 사랑과 책임을 가르쳤고, 랠프 애버내시가 목사가 되는 꿈을 꾸는 데 영향을 주었다.

대공황 시기에도 애버내시 가족은 농장에서 식량을 자급자족할 수 있었기에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 면화 같은 환금 작물들은 다른 필요한 사람들과 거래하거나 판매할 수 있었다.

애버내시 가족은 매우 신앙심이 깊었고, 정규적으로 예배와 주일 학교에 참석하였다. 랠프 애버내시는 어릴 때부터 성경 이야기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에 관심을 가졌으며, 7세 때 종교적 체험을 하기도 했다.

농장 생활은 온 가족에게 힘든 노동을 요구했지만, 애버내시 가족은 행복하게 함께 식사 시간을 즐겼다. 랠프 애버내시는 집안일을 돕고 동생들을 돌보았으며, 자유 시간에는 책을 읽거나 누이와 공놀이를 했다.

랠프 애버내시가 10대 시절, 그의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쓰러졌고, 그의 조부는 슬픔을 극복하지 못하고 몇 년 후 세상을 떠났다.

2. 2. 신앙적 성장

앨라배마주 린던의 독실한 가정에서 태어난 애버내시는 어릴 때부터 성경 이야기와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54][3][4][5] 그는 가족과 함께 정기적으로 예배와 주일 학교에 참석하며 신앙심을 키웠다. 어린 나이에 목사가 되는 꿈을 꾸기 시작했으며,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경험을 갈망했다. 어머니의 가르침에 따라 단식과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경험하고, 이후 목회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2. 3. 인종 차별 경험

랠프는 어린 시절 인종 차별 경험이 적었고 백인과의 접촉도 적었지만, 그의 아버지는 백인 아이들과 어울리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번은 랠프가 백인 남성에게 위협을 당할 뻔했으나, 아버지를 아는 가게 주인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했다.[54]

2. 4.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4년 4월 랠프 애버내시는 육군 신체검사를 위해 조지아주 포트베닝에 보고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8세였던 그는 현역 근무로 불려 기초 훈련을 위해 다른 신병들과 함께 매사추세츠주 포트디븐스로 보내졌다. 애버내시는 최선을 다했고, 중사로 진급하여 곧 자신의 소대와 함께 프랑스로 떠나는 군함에 탔다. 그들이 도착했을 무렵 유럽에서 전쟁이 끝나갔지만, 그들은 소탕 복무를 위해 대륙을 돌아다녔다. 랠프는 전쟁이 도시들에 가져온 황폐와 양쪽 국민들이 겪은 고통을 처음으로 보았다.[54]

비가 내리는 한밤에 애버내시 상사는 깊은 구멍을 파라는 명령을 받은 자신의 부하 2명의 처벌을 감독하였다. 자신의 부대 나머지가 남태평양으로 보내질 때 그는 그들과 함께하기에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모국으로 보내졌다. 훗날 그는 자신의 부대에서 자신과 다른 1명의 군인만이 전쟁에서 살아남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54]

2. 5. 대학교육과 목회 활동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애버내시는 G.I. 법안의 혜택을 받아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에 입학하여 1950년 수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8] 2학년 때 그는 학생회 회장으로 선출되었고, 캠퍼스 식당의 음식 질 개선을 위한 단식 투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8] 그는 투표가 흑인에게 가질 권력을 설명한 시정학 교수의 영향을 받아 몽고메리 법원에서 투표를 위한 학생 단체 등록을 이끌었으나, 동료들은 실패했지만 애버내시는 성공하여 투표 등록 카드를 받았다.

대학생 시절 애버내시는 독실한 침례교 신자 집안에서 자라면서 어릴 때부터 품어왔던 목회자의 소명을 발표하였다. 1948년 그는 침례교 목사로 안수를 받았고, 돌아가신 어머니를 기리는 어머니날에 첫 설교를 했다.[4] 1950년 여름 동안 애버내시는 라디오 쇼를 진행했으며,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의 백인 라디오 방송국에서 최초의 흑인 디스크 자키가 되었다.[9] 그해 가을, 그는 애틀랜타 대학교에 입학하여 1951년에 우등으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8][4]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애버내시는 카파 알파 사이 형제단에 가입했다.

1951년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의 학생처장으로 임명되면서 전문적인 경력을 시작했다.[10] 같은 해 말에 그는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에서 가장 큰 흑인 교회였던 제일 침례교회의 담임 목사가 되었으며, 10년 동안 이 자리에 있었다.[4][10][11]

3. 민권 운동

1955년 로자 파크스가 버스 뒷좌석으로 옮기는 것을 거부하면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이 시작되었다. 애버내시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함께 이 보이콧을 조직하고 주도했다. 1년 후, 미국 대법원은 버스 내 인종 분리가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리면서 보이콧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19]

보이콧 직후, 애버내시와 킹 목사는 다른 아프리카계 미국인 목사들과 함께 남부기독교지도회의(SCLC)를 결성하여 남부 전역에서 흑인 인권 신장을 위한 평화적인 시위와 행진을 주도했다. 킹 목사는 회장, 애버내시는 비서관을 맡아 인종 분리 철폐와 공민권 법률 제정을 위해 노력했다.[24][25][26]

1957년 킹 목사는 애틀랜타의 에비니저 침례 교회로, 이후 애버내시는 웨스트 헌터 스트리트 침례 교회로 자리를 옮기면서, 두 사람은 애틀랜타에서도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갔다.

3. 1.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1955년 로자 파크스버스 뒷좌석으로 옮기는 것을 거부하여 체포된 후, 애버내시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협력하여 몽고메리 개선 협회를 설립하고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조직했다.[54][4][16][17] 그는 동료 영어 교수 조 앤 로빈슨과 함께 몽고메리의 흑인 시민들에게 버스 탑승을 거부하도록 요구하는 전단을 배포했다.[18] 이 보이콧은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고, 1956년 12월 17일 미국 연방 대법원은 ''Browder v. Gayle'' 사건에서 버스 내 인종 차별이 위헌이라는 이전 지방 법원의 결정을 지지했다.[19] 이로써 "짐 크로" 차별법에 도전한 381일간의 대중교통 보이콧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20] 보이콧은 1956년 12월 20일에 종료되었다.[21]

보이콧 이후 애버내시의 집과 교회는 폭탄 공격을 받았다. 그의 가족은 간신히 집에서 탈출했지만 다치지 않았다. 애버내시의 교회인 마운트 올리브 교회, 벨 스트리트 교회, 그리고 로버트 그레이츠의 집도 그날 저녁 폭탄 공격을 받았는데, 당시 킹, 애버내시, 그리고 남부 출신의 다른 58명의 흑인 지도자들은 애틀랜타에서 열린 교통 및 비폭력 통합에 관한 남부 흑인 지도자 회의에 참석하고 있었다.[22][69][23][4]

3. 2. 남부기독교지도회의(SCLC) 결성

1957년 마틴 루터 킹 목사 등과 함께 남부기독교지도회의(SCLC)를 결성하고, 재정 담당 서기 겸 부회장을 맡았다.[24][25][26] SCLC는 남부에서 흑인들의 공민권 확보를 위한 평화적인 행진과 항의를 조직하는 단체였다. 킹 목사가 회장으로 임명되었고, 애버내시는 비서관이 되었다. SCLC의 주요 목표는 인종 분리 정책을 종식시키고, 공민권 관련 법률 제정을 이끌어내는 것이었다.

1957년 8월 8일, SCLC는 몽고메리에서 첫 회의를 열었다.[27] 이 회의에서 단체의 이름을 최종적으로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로 변경하고, 남부 전역의 흑인들을 위한 유권자 등록 운동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27][28]

3. 3. 버밍햄 캠페인

1963년 봄, 남부기독교지도회의(SCLC)는 앨라배마주버밍햄에서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한 대규모 운동을 조직하였다. 전국 대중매체는 버밍햄의 공동 전 기획부장 유진 코너가 아프리카계 미국인 시위자들을 가혹하게 다룬 것에 주목하였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랠프 애버내시는 체포되어, 도시의 인종 차별 상황에 항의한 다른 3,000명의 사람들과 함께 투옥되었다.[3] 이 시위들은 남부 250개 도시에서 인종 차별 철폐 운동을 시작하게 할 정도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처음으로 모든 인종에게 수천 개의 학교와 다른 공공 및 사립 시설을 개방하는 계기가 되었다.[3]

3. 4. 워싱턴 행진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D. C.에서 열린 대행진에 250,000명 이상이 참여하여,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미국 의회에 공민권 법안을 보내는 데 힘을 실어주었다.[3] 이 행진에서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는 "I have a dream"이라는 유명한 연설을 했으며,[3] 애버내시는 성령이 그날 킹 목사의 연설을 이끌었다고 강조했다.[3]

3. 5. 셀마 몽고메리 행진

1965년 애버내시는 마틴 루터 킹 목사와 함께 앨라배마주 셀마 몽고메리 행진을 이끌었다. 이 행진은 흑인 투표권에 대한 전국적인 지지를 얻는 데 기여했다.[3]

3. 6. 킹 목사 암살

1968년 4월 4일, 애버내시는 테네시주 멤피스의 로레인 모텔에서 킹 목사와 함께 306호 방을 쓰고 있었다.[7] 애버내시가 방 안에서 향수를 뿌리고 있던 오후 6시 1분, 킹 목사는 발코니 밖에 서 있다가 총에 맞았다.[7][37][38] 총성이 울린 후 애버내시는 발코니로 달려가 의식을 잃은 킹 목사를 팔에 안았다.[7][37][38] 애버내시는 총격 15분 만에 킹 목사와 함께 세인트 조셉 병원으로 갔다.[39] 의사들은 응급 수술을 했지만, 킹 목사는 의식을 회복하지 못했다.[40] 킹 목사는 39세의 나이로 오후 7시 5분에 사망 선고를 받았다.[41]

킹 목사가 암살되기 전날 밤, 애버내시는 메이슨 사원에서 킹 목사가 마지막으로 대중 연설을 하기 전에 그를 소개했다. 킹 목사는 "나는 산꼭대기에 올랐다" 연설의 시작 부분에서 "랄프 애버내시는 내가 세상에서 가장 친한 친구이다."라고 말했다.[36]

4. 킹 사후 활동과 리더십

1968년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흑인 청소부들이 파업을 시작했을 때, 마틴 루터 킹 목사와 애버내시는 함께 했다. 킹 목사가 암살되던 날, 애버내시는 로레인 모텔 307호 방을 함께 쓰고 있었고, 총격 직후 킹 목사의 곁을 지켰다.[42] 킹 목사 암살 사건 이후, 애버내시는 멤피스에서 파업 중인 청소부들을 지원하기 위한 행진을 계속 이끌었다.[43] 킹의 사망 후, 애버내시는 남부기독교지도회의(SCLC)의 회장직을 이어받았다.[4][69]

1971년에는 유엔에서 세계 평화에 관한 연설을 하기도 했다. 1977년 애버내시는 SCLC 회장직에서 사임하고, 조지아주의 의석을 위해 출마했지만 실패했다. SCLC는 킹 목사 사후 이전만큼의 추진력을 얻지 못했다.[52]

1980년 애버내시는 호지어 윌리엄스, 찰스 에버스와 더불어 로널드 레이건을 지지한 가장 두드러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다. 그러나 후에 레이건 행정부의 공민권 정책에 크게 실망하여 1984년 재선에서는 그를 지지하지 않았다.

1980년대에 애버내시는 로버트 그랜트와 함께 미국 자유 연합을 공동 창립했다. 미국 자유 연합은 문선명의 통일교로부터 주요 자금 지원을 받았으며, 애버내시는 1990년 사망할 때까지 이 단체의 부회장을 역임했다.

앤드루 영은 애버내시의 사망 소식을 듣고 "애버내시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헌신한 명랑하고, 깊고, 사랑이 넘치는 설교자였다"고 말했다.

4. 1. 가난한 사람들의 캠페인

1968년 5월, 애버내시는 워싱턴 D.C.에서 가난한 사람들의 캠페인을 이끌었다.[44] 그는 국가의 가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수도에 오두막을 건설했고, 이는 경찰과의 충돌을 야기했다. 이 정착촌은 "부활의 도시"로 명명되었다. 애버내시는 캠페인 기간 동안 호텔에서 머물렀다. 6월 19일 그는 링컨 기념관에서 수만 명의 백인과 흑인 시민들 앞에서 연설을 하였다.

6월 24일, 연방 정부는 시위대를 강제로 해산시켰다. 애버내시는 불법 집회 혐의로 3주 가까이 투옥되었다.[44]

4. 2. NASA 항의 시위

1969년 7월 15일, 아폴로 11호 발사를 하루 앞두고 애버내시는 수백 명의 가난한 사람들의 캠페인 회원들과 함께 케네디 우주 센터가 있는 케ープ 커내버럴에 도착했다. 이들은 많은 미국인들이 빈곤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정부가 우주 탐사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것에 항의했다.[45]

애버내시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관리자인 토머스 O. 페인을 만나, 극심한 고통 앞에서 우주 비행은 비인간적인 우선순위이며, 그 예산은 "굶주린 사람들을 먹이고, 옷을 입히고, 병든 사람들을 돌보고, 집 없는 사람들에게 집을 제공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6]

이에 대해 페인은 애버내시에게 우주 탐사의 발전은 애버내시가 언급한 사회의 "엄청나게 어려운 인간 문제"에 비하면 "아이들의 놀이"에 불과하다고 답했다.[46]

애버내시는 발사에 반대하면서도, "나는 우주에서의 국가적 성과와 달을 향해 출발하는 세 명의 영웅적인 인물에 깊이 감동했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우리가 우주와 탐험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굶주린 사람들을 위해서도 해줄 것을 요구한다"고 덧붙이며, 빈곤 문제 해결에 대한 정부의 노력을 촉구했다.[47]

4. 3. 찰스턴 병원 노동자 파업 지원

Martin Luther King, Jr.영어 목사가 암살된 후, 애버내시는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 회장직을 맡았다.[4]

4. 4. 운디드 니 사건 중재

1973년, 애버내시는 사우스다코타주 운디드 니에서 발생한 아메리카 원주민 운동(AIM) 점거 농성 사태 해결을 위해 연방수사국과 AIM 지도자인 러셀 민스와 데니스 뱅크스 사이의 평화 협정을 성사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49][50][51]

4. 5. SCLC 회장직 사임

1977년 애버내시는 남부기독교지도회의(SCLC) 회장직에서 물러나 명예 회장으로 추대되었다.[4] 마틴 루터 킹 목사 사후 SCLC는 이전만큼의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으며,[52] 애버내시의 리더십은 킹 목사가 이끌던 때만큼 상상력이 풍부하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았다.[53] SCLC는 부채에 시달렸다.[53]

5. 정치 활동과 말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가 암살된 후, 애버내시는 남부기독교지도회의 회장직을 이어받았다. 킹 목사 암살 1주기 전에 멤피스에서 파업 중인 청소 노동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행진을 이끌었다.[54] 1969년 5월에는 제시 잭슨 등과 함께 워싱턴 D. C.에서 가난한 사람들의 캠페인을 조직하여, 국가의 빈곤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그는 수도에 "부활의 도시"라고 불리는 오두막촌을 건설하여 경찰과 충돌하기도 했다. 애버내시는 캠페인 기간 동안 호텔에서 머물렀으며, 6월 19일에는 링컨 기념관에서 수만 명의 흑인과 백인 시민들 앞에서 연설했다. 6월 24일, 연방 정부는 시위대를 강제 해산시켰고, 애버내시는 불법 집회 혐의로 3주 가까이 투옥되었다.[55]

가난한 사람들의 캠페인 이후에도 애버내시는 남부기독교지도회의를 계속 이끌었지만, 킹 목사가 이끌던 시절만큼의 추진력을 얻지는 못했다. 1977년 남부기독교지도회의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1971년 국제 연합에서 세계 평화에 관한 연설을 하였다.[54]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비폭력 사회 변화 센터 이사회의 일원이었다.[55]

1980년대에 애버내시는 투표권법 연장을 요구하는 의회 청문회에서 증언했다.[61] 2017년 기밀 해제된 문서에 따르면, 애버내시는 연방 수사국(FBI)이 시민권 운동을 혐오했기 때문에 국가 안보국 감시 명단에 올라 있었다.[62]

5. 1. 연방 하원의원 선거 출마

1977년 애버내시는 조지아주 제5선거구 하원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와이치 파울러에게 패해 낙선했다.[56]

5. 2. 경제 기업 개발 재단 설립

애버내시는 소외된 흑인들에게 관리 및 기술 교육을 제공하고, 일자리 창출, 소득 증대, 사업 및 무역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비영리 단체인 경제 기업 개발 재단(FEED)을 설립했다.[3]

5. 3. 로널드 레이건 지지 논란

1980년 애버내시는 호지어 윌리엄스, 찰스 에버스와 더불어 로널드 레이건을 지지하는 가장 두드러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다.[58] 1979년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의 미국 대통령 후보 지지를 선언했으나,[57] 1980년 11월 선거 몇 주 전에는 지미 카터 대신 공화당로널드 레이건을 지지하여 비판을 받았다.[58] 애버내시는 "공화당은 오랫동안 우리를 무시해 왔고 민주당은 우리를 당연하게 여겼기 때문에, 동료들과 여러 지역의 사람들이 민주당을 지지하는 상황에서, 저는 로널드 레이건을 지지해야 한다고 느꼈습니다."라고 말했다.[59] 그러나 1984년 레이건 행정부의 시민권 및 기타 분야에 대한 실망감을 이유로 지지를 철회했다.[60]

5. 4. 통일교 연관 활동

1980년대에 랠프 애버내시는 로버트 그랜트와 함께 미국 자유 연합을 공동 창립하였다.[66][67] 미국 자유 연합은 문선명의 통일교로부터 주요 기금을 받고 워싱턴 타임스와 다른 통일교 계열 단체로부터 업무를 지원받았다. 애버내시는 1990년 4월 17일 애틀랜타에서 사망할 때까지 미국 자유 연합의 부회장을 지냈다.[68] 통일교는 애버내시를 대변인으로 고용하여 언론이 "무니"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항의했는데, 이는 그들이 "흑인"이라는 단어와 비교한 것이었다.

5. 5. 사망

1990년 4월 17일 아침, 애버내시는 에모리 크로포드 롱 메모리얼 병원에서 64세의 나이로 심장과 폐에 혈전이 이동하여 사망했다.[69] 사망 후,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조지 H. W. 부시는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다.

> 바바라 부시와 저는 모든 미국인들과 함께 모든 미국인의 시민권 쟁취를 위한 위대한 지도자이자 정의를 위해 끊임없이 헌신한 랠프 애버내시 목사의 서거를 애도합니다.[69]

애버내시는 애틀랜타의 링컨 묘지 채플 묘에 안장되었다.[70] 그의 유언에 따라 묘에는 "나는 노력했다"라는 간단한 비문이 새겨져 있다.[64]

6. 유산

애버내시는 뉴욕주 롱아일랜드 대학교, 애틀랜타 모어하우스 칼리지, 미시간주 캘러마주 칼리지와 자신의 모교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71][72] 애틀랜타에서 20번 주간 고속도로 랠프 데이비드 애버내시 로드는 그의 명예에 이름을 땄다. 그의 유산은 남부기독교지도회의와 공민권 입법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노력한 모든 이들의 지속적인 업무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71]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 캠퍼스에 있는 랠프 데이비드 애버내티 자택, 몽고메리


애버내시는 생전에 5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포함하여 300개 이상의 상과 표창을 받았다.[72]

수여 기관학위 종류
모어하우스 칼리지신학 박사
칼라마주 칼리지신학 박사
앨런 대학교법학 박사
롱아일랜드 대학교법학 박사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법학 박사


  • 앨라배마 주립 대학교의 랠프 D. 애버내티 홀은 그를 기리기 위해 헌정되었으며, 입구에 그의 흉상이 있다.[73]
  • 20번 주간 고속도로 랠프 데이비드 애버내티 프리웨이,[74] 애버내티 로드,[75] 그리고 애틀랜타의 랠프 데이비드 애버내티 대로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6]


애버내시는 여러 영화와 드라마에서 다양한 배우들에 의해 묘사되었다.

작품명방영/개봉 연도배우
1978년어니 리 뱅크스
보이콧2001년테렌스 하워드
셀마2014년콜먼 도밍고
올 더 웨이2016년돈 노우드
지니어스휴버트 포인트-듀 주르


참조

[1] 웹사이트 How Did Ralph Abernathy Work Alongside MLK During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www.thoughtc[...] 2021-04-15
[2] 웹사이트 Abernathy, Ralph David https://doi.org/10.1[...]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8-22
[3] 웹사이트 Abernathy, Ralph David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2017-04-18
[4] encyclopedia Abernathy, Ralph David https://archive.org/[...]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5] 서적 Who Was Who in America, with World Notables, v. 10: 1989–1993 Marquis Who's Who
[6] 웹사이트 Ralph Abernathy Biography http://www.notablebi[...] Advameg, Inc. 2015-03-13
[7] 뉴스 Rev. Ralph Abernathy: Martin Luther King Jr.'s Overlooked 'Civil Rights Twin' http://www.huffingto[...] 2015-01-19
[8] 서적 The Human Tradition in the New Sout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9] 서적 And the Walls Came Tumbling Down: An Autobiography Harper & Row
[10] 웹사이트 American National Biography Online: Abernathy, Ralph David http://www.anb.org/a[...] 2000-02
[11] 웹사이트 Ralph Abernathy https://www.pbs.org/[...] PBS 2015-03-13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ivil Rights: Walk of Fame — Juanita Abernathy http://www.nps.gov/f[...] National Park Service 2015-03-13
[13] 서적 The Human Tradition in the New Sout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4] 웹사이트 The Hero that Micah Abernathy Never Met https://www.vikings.[...] 2022-08-30
[15] 웹사이트 Ralph D. Abernathy Biography http://www.biography[...] Bio 2015-03-13
[16] 서적 Pacifism in the Twentieth Century Syracuse University Press
[17] 뉴스 Ralph Abernathy's widow says march anniversary overlooks her husband's role https://www.washingt[...] 2013-08-31
[18] 웹사이트 Leaflet, "Don't Ride the Bus" http://mlk-kpp01.sta[...] Stanford University 1955-12-02
[19] 서적 The Papers of Martin Luther King Jr: Threshold of a new decade, January 1959 – December 196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뉴스 50th Anniversary of Montgomery Bus Boycott http://www.democracy[...] 2005-12-01
[21] 웹사이트 Montgomery Bus Boycott (1955–56) http://www.blackpast[...] BlackPast.org 2007-11-24
[22] 서적 African-American Religious Leaders, Rev. ed.
[23] 웹사이트 The Martin Luther King Jr. Papers Project: From Ralph Abernathy http://mlk-kpp01.sta[...] Stanford University 1958-05-28
[24] 간행물 A Statement to the South and Nation http://www.thekingce[...] Southern Leaders Conference on Transportation and Non-violent Integration 1957-01-11
[25]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clcnational.[...]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2015-03-17
[26] encyclopedia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SCLC) http://www.encyclope[...] 2009-01-12
[27] 서적 The Papers of Martin Luther King Jr: Threshold of a new decade, January 1959 – December 196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8] 서적 The New South, 1945–1980 https://books.google[...] LSU Press
[29] 웹사이트 Mobs in Montgomery AL http://www.crmvet.or[...] Tougaloo College 2015-03-17
[30] 웹사이트 The Montgomery Improvement Association Salutes the "Freedom Riders" http://www.usmarshal[...] The United States Marshals Service 1961-05-21
[31] 웹사이트 Ralph Abernathy — Freedom Rider https://www.pbs.org/[...] WGBH 2015-03-17
[32] 웹사이트 On This Day: First Baptist Church Under Siege https://lcrm.lib.unc[...] Special Collections Library of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012-05-21
[33] encyclopedia Ralph David Abernathy http://www.encyclope[...] 2007-03-14
[34] 웹사이트 Assistant Attorney General Thomas E. Perez Speaks at the All People's Program Honoring the Freedom Riders https://www.justice.[...]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2011-05-24
[35] 웹사이트 An Emergency Call to Montgomery http://www.usmarshal[...] The United States Marshals Service 2015-03-17
[36] 웹사이트 I've Been to the Mountaintop http://mlk-kpp01.sta[...] Stanford University 1968-04-03
[37] 서적 The Human Tradition in the New Sout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
[38] 뉴스 Ralph David Abernathy embraces legacy https://www.espn.com[...] ESPN 2012-02-29
[39] 서적 Breaking White Supremacy: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White Social Gospel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8-01-10
[40] 웹사이트 Society in Civil Rights Movement: "Black Power" Era https://www.shmoop.c[...] 2008-11-11
[41] 웹사이트 Findings on MLK Assassination https://www.archives[...] 2016-08-15
[42] 서적 Encyclopedia of the Sixties: A Decade of Culture and Counter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
[43] 뉴스 "'I Am a Man': The ugly Memphis sanitation workers' strike that led to MLK's assassination" https://www.washingt[...] 2018-02-12
[44] 뉴스 Poor People's Campaign: A Dream Unfulfilled https://www.npr.org/[...]
[45] 간행물 The Rocket and the Tarot: The Apollo Moon Landings and American Culture at the Dawn of the Seventies https://repositorie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0-08
[46] 서적 Fool Me Twice: Fighting the Assault on Science in America https://books.google[...] Rodale 2011-10-11
[47] 웹사이트 Why Civil Rights Activists Protested the Moon Landing https://www.history.[...] 2020-12-28
[48] 웹사이트 A Movement Gains Momentum · The Charleston Hospital Workers Movement, 1968–1969 · Lowcountry Digital History Initiative http://ldhi.library.[...]
[49] 뉴스 Leader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www.cbsnews.[...] 2018-04-04
[50] 서적 Power, Politics, and the Decline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A Fragile Coalition, 1967–1973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7-29
[51] 서적 Hippies, Indians, and the Fight for Red Pow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5-03
[52] 웹사이트 Ralph Abernathy Biography – life, family, children, mother, son, book, information, born, college, time http://www.notablebi[...] 2018-04-03
[53] 뉴스 Ralph David Abernathy, Rights Pioneer, Is Dead at 64 https://archive.nyti[...] 2018-04-03
[54] 웹사이트 Ralph Abernathy: King's Right Hand Man http://www.legacy.co[...] Legacy.com 2015-03-13
[55] 웹사이트 1965 Annual Board Meeting for SCLC http://www.thekingce[...] The Martin Luther King Jr. Center for Nonviolent Social Change 1965-04-02
[56] 뉴스 A Free-for-All Race for Young's Seat https://www.washingt[...] 1977-02-15
[57] 뉴스 Abernathy Endorses Reagan, Raps Carter 'Empty Promises' https://www.washingt[...] 1980-10-17
[58] 뉴스 Abernathy Tells Blacks: Reconsider Carter Vote https://news.google.[...] 1980-10-17
[59] Video And the Walls Came Tumbling Down http://www.booknotes[...] 2018-02-17
[60] 웹사이트 Walls Tumbling, Oct 23 1989 https://www.c-span.o[...]
[61] 서적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Race, Voting, and Redistrict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31
[62] 뉴스 National Security Agency Tracking of U.S. Citizens – "Questionable Practices" from 1960s & 1970s https://nsarchive.gw[...] National Security Archive 2017-09-25
[63] 뉴스 A Bitter Battle Erupts Over the Last Hours of Martin Luther King http://www.people.co[...] 2015-03-21
[64] 뉴스 Ralph Abernathy's Judgment Day With His Autobiography, He Hoped To Secure His Place In Civil-rights History. But Two Pages Of The Book Proved To Be His Undoing — And Earned Him The Label Of Judas. http://articles.phil[...] 2015-03-21
[65] 서적 Bad Moon Rising https://archive.org/[...] PoliPointPress
[66] 뉴스 Inside Moon's Washington — The private side of public relations improving the image, looking for clout 1989-10-15
[67] 뉴스 Church seeks new image 1989-08-10
[68] 뉴스 Unification Church funnels millions to U.S. conservatives The Dallas Morning News Company 1987-12-20
[69] 뉴스 Ralph David Abernathy, Rights Pioneer, Is Dead at 64 https://www.nytimes.[...] 2010-08-01
[70] 문서 Resting Places: The Burial Places of 14,000 Famous Persons
[71] 서적 Black History: More Than Just a Mont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3
[72] 서적 Why I Am so Proud to Be a Black Man: The Many Reasons to Uplift and Celebrate Our Uniqueness in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3-03-07
[73] 웹사이트 Ralph David Abernathy Hall – College of Education - Alabama State University - pwba-architects.com http://www.pwba-arch[...] 2018-02-17
[74] 뉴스 Section Of I-20 Named In Honor Of Rights Leader https://www.orlandos[...] 2018-02-17
[75] 웹사이트 Man With a Mission https://www.citybeat[...] 2018-02-17
[76] 웹사이트 International Civil Rights: Walk of Fame – Ralph David Abernathy, Sr. https://www.nps.gov/[...] 2018-02-17
[7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frican American Televis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4-10-03
[78] 뉴스 How Accurate Is Selma? http://www.slate.com[...] 2018-02-17
[79] 웹사이트 All The Way – Ralph Abernathy https://www.hbo.com/[...] 2018-02-17
[80] 웹사이트 ‘Genius: MLK/X’ Adds Ron Cephas Jones, Gary Carr, Hubert Point-Du Jour In Lead Roles, 5 More Cast https://deadline.com[...] 2024-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