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중국 관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중국 관계는 로마 제국과 중국 간의 지리적 인식, 외교, 무역, 그리고 인적 교류에 대한 역사적 관계를 포괄한다. 로마의 지리학자들은 중국을 '세레스' 또는 '시나이'로 지칭하며 비단 생산지로 묘사했고, 중국의 역사 기록에서는 로마를 '대진' 또는 '불림'으로 칭하며 지리적 정보와 외교 사절단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양국 간에는 직접적인 외교적 만남은 드물었지만, 로마는 중국 비단을, 중국은 로마의 유리 제품 등을 수입하며 무역 관계를 맺었다. 또한, 고고학적 발견과 DNA 분석을 통해 로마와 중국 간의 인적 교류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군사적 접촉에 대한 가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제국의 대외 관계 - 책봉체제
책봉체제는 중국 중심의 국제 질서 유지를 위해 조공과 책봉을 통해 국가 간 위계질서를 형성하고 평화와 교역을 유지하는 체제를 의미한다. - 중국 제국의 대외 관계 - 고려-중국 관계
고려-중국 관계는 고려 시대에 고려가 중국 대륙의 여러 왕조와 맺은 외교 관계를 의미하며, 초기 명나라와 갈등을 겪었으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고 원나라의 지배를 받으며 조공을 바치기도 했으며, 이는 오늘날 한국 외교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 로마-한나라 관계 - 대진 (국가)
대진은 중국에서 로마 제국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중국 역사 기록에 묘사되며 기독교와도 관련이 있다. - 로마-한나라 관계 - 세리카
세리카는 고대 그리스-로마 문헌에서 비단 생산지로 묘사된 극동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나 현재의 중국, 특히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추정되며, 로마와의 교류에 대한 정보는 여러 기록과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고대 로마의 대외 관계 - 라티움 동맹
라티움 동맹은 기원전 7세기경 라티움 지역 도시들이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로마와 상호 방위 조약을 맺었으나 로마의 세력 확장에 따라 라티움 전쟁 후 해체되어 로마 제국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 고대 로마의 대외 관계 - 프톨레마이오스의 세계 지도
프톨레마이오스의 세계 지도는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 수록된 지도로, 당시 지리 정보를 바탕으로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를 묘사하고 경위도 체계를 사용했으나, 부정확한 경도 측정과 제한적인 정보로 오류와 한계를 지니며 르네상스 시대에 재발견되어 유럽 지도 제작에 영향을 미치고 역사적, 지도학적 연구 대상이 되었다.
로마-중국 관계 | |
---|---|
개요 | |
![]() | |
![]() | |
관계 역사 | |
시기 | 기원전 1세기 ~ 1453년 |
안토니누스 피우스 재위 | 138년 ~ 161년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재위 | 161년 ~ 180년 |
수 문제 재위 | 581년 ~ 604년 |
명칭 | |
중국어 | zh (푸린) |
2. 지리적 기록 및 지도 제작
기원전 1세기 베르길리우스, 호라티우스, 스트라보 등 로마 역사가들은 중국과 비단을 생산하는 극동의 세레스 민족에 대해 모호한 기록을 남겼다.[3][2] 폼포니우스 멜라는 세레스의 땅이 동쪽 바다 해안의 중심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3] 플로루스는 세레스를 인도의 민족과 혼동하기도 했다.[3] 로마 작가들은 세레스의 위치에 대해 혼란스러워했다.[4]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세레스의 땅이 바우티스 강(아마도 황하) 주변의 "높은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고 기록했다.[3]
로마 지도 제작자들은 중국의 존재를 알았지만, 이해는 불확실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은 육상 실크로드의 종착지인 비단 나라(''세리카'')를 해상으로 도달하는 진 (''시나이'')과 구분한다.[5] 시나이는 거대 만의 북쪽 해안, 황금 반도(말레이시아) 동쪽에 위치한다.
스트라보나 대 플리니우스 같은 고전 지리학자들은 새로운 정보를 늦게 반영했고, 상인과 그들의 지형 설명에 편견을 가진 듯했다.[9] 반면 프톨레마이오스는 상인들의 설명을 적극 수용하여 벵골만 지도를 정확하게 작성할 수 있었다.[9]
사마천의 ''사기''(기원전 145–86년경)에는 중앙 아시아와 서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묘사가 있다. 반고와 반소가 쓴 ''한서''에는 더 구체적인 내용이 있는데, 반초 장군의 서역 원정(서기 102년 귀환) 기록이 반영되었다.[101] 범엽의 ''후한서''는 이후 다친(로마) 기록의 기초가 되었으며, 주로 레반트, 특히 시리아 지역을 다룬다.[101][24]
에드윈 G. 풀리블랭크는 중국 역사가들이 다친을 세계 반대편의 "반(反) 중국"으로 간주했다고 설명한다.[25][26]
2. 1. 로마의 지리
로마 역사가들은 중국과 비단을 생산하는 극동의 세레스 민족에 대해 모호한 기록만을 제공했다.[3][2] 폼포니우스 멜라는 세레스의 땅이 동쪽 바다 해안의 중심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3] 플로루스는 세레스를 인도의 민족과 혼동하기도 했다.[3] 로마 작가들은 세레스의 위치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는 것 같다.[4]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세레스의 땅이 바우티스 강(아마도 황하) 주변의 "높은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고 기록했다.[3]
로마 지도 제작자들은 중국의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그들의 이해는 확실하지 않았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은 육상 실크로드의 종착지인 비단 나라(''세리카'')를 해상으로 도달하는 진 (''시나이'')의 땅과 구분한다.[5] 시나이는 거대 만의 북쪽 해안, 황금 반도(말레이시아) 동쪽에 위치해 있다. 카티가라는 하부 메콩 삼각주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150] 거대 만은 통킹만과 남중국해 역할을 했다.[6][7]
스트라보나 대 플리니우스와 같은 고전 지리학자들은 새로운 정보를 자신의 저서에 통합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9] 반면 프톨레마이오스는 상인들의 설명을 기꺼이 받아들였으며, 그들의 도움 없이는 벵골만을 그렇게 정확하게 지도화할 수 없었을 것이다.[9] 에리트라해 항해기에서, 익명의 로마 이집트 상인은 동부 무역 도시들에 대한 생생한 설명을 제공한다.[10] 여기에는 아라비아, 파키스탄, 인도의 지명이 포함되며, 강과 마을의 이동 시간, 닻을 내리는 곳, 왕실의 위치, 현지인의 생활 방식 및 시장에서 발견되는 상품 등이 포함된다.[10]
''항해기''는 티나에(또는 ''시나이'')라고 불리는 큰 내륙 도시를 언급하며, 이 도시는 카스피해까지 뻗어 있는 ''이것''이라는 나라에 있었다.[55][54] 이 텍스트는 그곳에서 생산된 비단이 갠지스강을 통해 인도, 육로를 통해 박트리아로 이동했다고 기록한다.[55] 마리누스와 프톨레마이오스는 카티가라(아마도 베트남 옥 에오)에 도달하는 방법에 대해 알렉산더라는 그리스인 선원의 증언에 의존했다.[150][151] 알렉산더는 로마 상인들의 주요 종착역이 말레이 반도 북서쪽에 있는 타말라라는 버마 도시였으며, 인도 상인들이 크라 지협을 가로질러 페리물릭 만(태국 만)에 도달했다고 언급했다.[11] 알렉산드로스는 태국에서 베트남 남부에 있는 "자비아"라는 항구까지 항해하는 데 20일이 걸린다고 주장했다.[11][12]
2. 2. 중국의 지리
중국 역사서에는 로마 제국의 동쪽 영토에 대한 지리적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만, 핵심 영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사마천의 ''사기''에는 중앙 아시아와 서아시아 국가에 대한 묘사가, 반고와 반소 남매가 저술한 ''한서''에는 더 구체적인 내용이 담겨 있다. 특히 반소는 반초 장군의 동생으로, 서기 102년 중국으로 돌아오기 전 중앙 아시아에서 군사적 업적을 세웠다.[101] 범엽이 편찬한 ''후한서''는 이후 다친(로마)에 대한 거의 모든 기록의 기초가 되었으며, 주로 레반트, 특히 시리아 지역에 대한 묘사에 국한되었다.[101][24]역사 언어학자 에드윈 G. 풀리블랭크는 중국 역사가들이 다친을 자신들이 아는 세계 반대편의 "반(反) 중국"으로 간주했다고 설명한다.[25][26] 풀리블랭크에 따르면, "다친에 대한 중국의 개념은 처음부터 서쪽에 대한 고대 신화적 개념과 혼동되었다."[85][26] 크리스티나 호팔은 중국의 시각에서 로마 제국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신비로운 나라"로 여겨졌다고 평가했다.[27]
중국 역사 기록은 다친과 리젠(또는 "리칸")을 동일한 국가로 보았다. 율, D. D. 레슬리, K. H. G. 가디너는 ''사기''의 리젠을 헬레니즘 시대의 셀레우코스 제국으로 보았지만,[28][29][30] 풀리블랭크는 ''사기''의 탸오즈(條支|조지중국어)가 셀레우코스 제국이며, 리젠은 이란의 히르카니아 또는 알렉산드리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31]
위환의 ''위략''은 지중해와 로마 세계 동쪽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101] 로마 이집트에 대해 알렉산드리아의 위치, 나일강 이동 거리, 나일 삼각주, 헵타노미스, 테바이드의 삼분할 등을 설명한다.[101][94] 송나라 시대 취안저우 세관 감독관 자오루구아는 ''제번지''에서 고대 알렉산드리아 등대를 묘사했다.[32] ''후한서''와 ''위략''은 로마 아나톨리아의 토교마에 있는 유프라테스강 위 "날아다니는" 부교(飛橋|비교중국어)를 언급한다.[101][34] ''위략''은 로마 제국의 종속 봉신 국가를 나열하고, 여행 방향과 거리(중국 리)를 제공했다.[101][94] 프리드리히 히르트는 ''위략''에 언급된 위치를 식별했으나, 일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33] 히르트는 시푸(汜復|사복중국어)를 에메사로 보았지만,[101] 존 E. 힐은 페트라로 비정했다.[34]
''구당서''와 ''신당서''는 초기 무슬림 정복 당시 아랍인("다스"大食|대식중국어) 지휘관 모이(摩拽|마예중국어, 병음: ''Móyè'', 무아위야 1세)가 비잔틴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위하고 조공을 강요했다고 기록한다.[101] 또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강력한 화강암 벽과 황금 조각상이 있는 자동시계를 갖춘 도시로 묘사했다.[101][35][36] 헨리 율은 비잔틴 협상가 "옌요"(귀족 존 피치거데스)를 언급했다.[37] ''신당서''와 ''문헌통고''는 누비아를 말라리아가 만연한 사막으로 묘사하고, 원주민을 흑인으로, 대추야자를 섭취한다고 기록했다.[101] ''문헌통고''는 다친 종교와 무슬림 아랍인의 안식일을 언급하고,[101] 신당서는 동로마 외과적 관행인 개두술을 언급한다.[101] ''문헌통고''의 누비아와 아프리카의 뿔 묘사는 두환의 ''경행기''에서 파생되었으며,[38] 두유의 ''통전''에 보존된 ''경행기''는 에티오피아 (''라오보사'')와 에리트레아 (''몰린'')를 묘사하는 최초의 중국 자료이다.[39]
3. 외교 사절단 및 여행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중앙아시아 원정과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처럼 중국과 비교적 가까운 곳에 헬레니즘 왕국이 세워지면서, 기원전 3세기 말 헬레니즘 그리스와 진나라 사이에 접촉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 시황제 (기원전 221-210년 재위)의 무덤 발굴 결과, 테라코타 군대를 포함하여 그곳에서 발견된 일부 예술 작품에서 그리스 예술의 양식과 기술적 영향이 나타났다.[41][42]
중국의 한나라와 유목민 월지의 통치하에 있던 헬레니즘 그리스 문명의 잔재 사이의 무역 및 외교 관계는 한나라 사절 장건 (기원전 113년 사망)의 중앙 아시아 여행으로 시작되었다. 장건은 한 무제에게 페르가나 계곡의 대원과 박트리아의 대하에 대한 보고서를 가져왔다.[44]
후한의 장군 반초 (32–102년)는 서역을 다시 중국의 통제와 종주권 아래 두었다. 그는 서기 90년에 대월지를, 서기 91년에는 흉노를 격파하여 쿠차, 투르판, 호탄, 카슈가르, 카라샤르를 굴복시켰다.[56][57][58] 파르티아 제국에서 보낸 사절단은 서기 89년과 101년에 한나라 궁정에 도착하여 타조와 같은 이국적인 선물을 가져왔다.[59]
감영은 로마 제국 (대진)에 대한 기록을 남겼는데, 이는 그가 방문한 항구의 선원들에게서 얻은 정보에 의존한 것으로 보인다. ''후한서''는 로마 제국을 "해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고 했다.[101][72] ''후한서''는 로마 제품으로 해견, 유리, 호박, 주사, 석면 천 등을 언급했다.[94][70]
3. 1. 아우구스투스 시기의 외교 관계
플로루스는 아우구스투스 황제 재임 기간 동안 로마를 방문한 여러 사절단에 대해 언급했는데, 그 중 "세레스"에서 왔다는 사신이 있었다고 한다.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 (재위 기원전 27년 ~ 서기 14년)의 궁정을 방문한 많은 사절들 중에 "세리카"(아마도 중국인)의 방문을 묘사했다.하지만, 로마 문학 및 로마 역사 기록에서 로마인과 세레스인 간의 직접적인 외교적 만남은 찾기 어렵다.[53] 중국 기록에 따르면 간영이 서기 97년에 티아오즈(條支중국어; 메소포타미아)까지 서쪽으로 간 최초의 중국인이기 때문에, 플로루스가 언급한 세레스 인들은 외교관이 아니라 상인일 가능성이 있다.[53]
3. 2. 감영의 방문 기록
서기 97년, 반초가 파견한 중국 사절 감영은 타림 분지에서 파르티아를 거쳐 페르시아만에 도착했다.[60] 감영은 메소포타미아 지역 너머까지는 가지 못했는데, 파르티아 사람들로부터 서쪽으로 가는 여정이 2년 이상 걸리는 험난한 길이라는 정보를 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그는 서방 국가들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기고 귀국했다.[63]감영은 항구의 선원들에게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로마 제국(대진국)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후한서는 로마의 위치를 "해서"(西海), 즉 "서쪽 바다"로 추정했는데, 이는 로마 이집트를 의미하며, 여기서의 바다는 페르시아 만, 아라비아 해, 홍해를 통틀어 이르는 에리트라이온 해를 뜻한다.[101][72][64]
후한서는 로마의 영토, 식생, 도시 구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66]
후한서는 로마의 정치 체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67]
이는 당시 중국이 로마 제국을 서방을 주도하는 경제 대국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범엽은 후한서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71]
3. 3. 미얀마와 중국의 로마 그리스인

120년, "바다 서쪽" (후한서에 대진 제국으로 언급된 로마 이집트)에서 왔다고 주장하는 그리스 곡예사 집단이 미얀마의 한 왕에 의해 한 안제에게 보내졌을 가능성이 있다.[73][74][75] 헬레니즘 시대 이후에도 아시아의 파르티아 제국과 쿠샨 제국에서 민족 그리스인들이 음악가와 운동선수로 계속 고용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76][77] ''후한서''에는 안제가 이 연예인들을 시골 저택에서 수도 뤄양으로 옮겨 궁정에서 공연을 하도록 하고 금, 은, 기타 선물로 보상했다는 기록이 있다.[78]
이 연예인들의 기원에 대해 라울 맥러플린은 로마인들이 노예를 팔아 이들이 미얀마로 보내졌고, 미얀마 통치자가 이들을 중국의 안제에게 보냈다고 추측한다.[79][80] 한편, 시리아 곡예사들은 서양 고전 문학에서 유명했으며,[81]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2세기까지의 중국 기록에도 언급되는 것으로 보인다.[89]
3. 4. 최초의 로마 사절단
후한서에 따르면 166년에 "안둔"(; 황제 안토니누스 피우스 또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대진"(로마)의 왕이 환제에게 사절단을 보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로마에서 중국으로 파견된 최초의 사절단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다.[90][82]其王常欲通使於漢,而安息欲以漢繒彩與之交市,故遮閡不得自達。至桓帝延熹九年,大秦王安敦遣使自日南徼外獻象牙、犀角、瑇瑁,始乃一通焉。其所表貢,並無珍異,疑傳者過焉。|... 이 국가의 왕은 항상 한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고 싶어했다. 그러나 파르티아 ("안시")는 한나라의 비단으로 그들과 무역하고 싶어했고, 그래서 그들은 직접적인 관계를 맺을 수 없도록 방해했다 [한나라와]. 이는 환제 (桓)의 연희 (延熹) 연간 9년 (서기 166년)까지 계속되었으며, 대진의 안둔 (安敦) 왕은 일남 (日南) 변경 너머에서 사신을 보내 코끼리 상아, 코뿔소 뿔, 거북이 껍질을 바쳤다. 그때서야 처음으로 두 국가 간의 소통이 이루어졌다.|“서역전” (후한서) (제88권)[83]중국어
안토니누스 피우스는 161년에 사망하고 제국을 양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에게 물려주었고, 사절단이 166년에 도착했기 때문에[84] 두 황제 모두 "안토니누스"라는 이름을 사용했기 때문에 누가 사절단을 보냈는지에 대한 혼란이 남아있다.[85][86] 로마 사절단은 남쪽에서 왔으며(따라서 아마도 해로), 일남 또는 통킹(현재의 베트남)의 변경을 통해 중국에 들어왔다. 이들은 코뿔소 뿔, 상아, 거북이 껍질의 선물을 가져왔는데, 아마도 남아시아에서 얻었을 것이다.[86][87] 이 기록은 양국 간의 직접적인 접촉은 처음이었다고 명시하고 있다.[86]
역사가 레이프 드 크레스피니, 피터 피비거 뱅, 워릭 볼은 이것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보낸 공식 외교관보다는 로마 상인의 그룹일 가능성이 높다고 믿는다.[89][90][91]
3. 5. 기타 로마 사절단

'''위략'''과 '''양서'''는 226년에 로마 제국(대진)에서 온 상인 진론(秦論)이 교주(베트남 북부)에 도착했다고 기록하고 있다.[150][94][89] 교지 태수 오묘는 진론을 남경에 있는 손중모(삼국 시대 동오의 통치자)의 궁정으로 보냈다.[150][89] 손권은 진론에게 그의 고국과 백성에 대한 보고서를 요청했다.[101][94] 손권은 진론을 돌려보내기 위해 10명의 여성과 10명의 남성 "검은색 난쟁이"를 호기심으로 요청했고, 중국 장교 유현(절강성)이 동행했지만 도중에 사망했다.[101][94][95] ''위략''과 ''양서''에 따르면 로마 상인들은 캄보디아와 베트남에서 활동했으며, 이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 고대 지중해 물품이 발견된 현대 고고학적 발견으로 뒷받침된다.[150][101][94]
3세기 초, 대진의 통치자가 조위(220–266 AD)의 북중국 궁정에 다색 유리를 포함한 선물을 보냈다고 율은 언급한다.[96] 몇 년 후, 대진의 장인이 중국인에게 "불을 이용하여 부싯돌을 수정으로 만드는 방법"을 보여주어 중국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96]
대진의 또 다른 사절단이 중국 서진(266–420 AD)에 조공을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89][97] 이는 진 무제(266–290 AD) 통치 기간인 284년에 일어났으며, ''진서''와 ''문헌통고''에 기록되어 있다.[101][89] 이 사절단은 카루스(282–283 AD) 황제가 사산 제국과의 짧은 통치 기간 동안 파견했을 가능성이 높다.[98]
3. 6. 불림: 동로마 사절단
당나라 (618–907) 역사 기록에는 "불림"(拂菻|fúlǐn중국어), 즉 동로마 제국을 가리키는 새로운 이름으로 상인들과의 교류가 기록되어 있다.[101][99][100] 최초의 공식적인 외교 접촉은 콘스탄스 2세 (641–668)와 당 태종 (626–649)의 통치 시기인 643년에 이루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01] ''구당서''와 ''신당서''는 콘스탄스 2세를 "파돌리"(波多力|bōduōlì중국어)라고 표기했는데, 이는 '콘스탄티노스 포고나토스', 즉 "수염 난 콘스탄티누스"를 음역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에게 왕 (王 ''wáng'')의 칭호를 부여했다.[101] 다른 해석으로는 총대주교 또는 귀족에서 유래한 것으로, 13세의 비잔틴 군주를 대신했던 섭정 중 한 명을 가리킬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103] 당나라 역사 기록에는 콘스탄스 2세가 정관() 연간 17년(643년)에 붉은 유리와 녹색 보석을 선물로 바치는 사절단을 보냈다고 기록되어 있다.[101]당나라 시대에 불림 사절단은 711년, 719년에 추가로 도착했으며, 742년에는 네스토리우스파 수도사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06] ''구당서''에 기록된 불림과의 공식 외교 접촉은 643년, 667년, 701년, 719년으로 기록되어 있다.[107] 유스티니아누스 2세 (재위 685–695, 705–711)의 통치 기간에도 불림 외교 사절단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711년 황제의 사망 해[109] 또는 701년 레온티오스의 찬탈과 황제의 크림반도 망명 중에 일어났을 수 있다.[110]
719년의 불림 사절단은 레오 3세 (재위 717–741)가 당 현종 (재위 712–756)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111] 중국 연대기에는 "개원() 연간 7년 정월 [719년]에 그들의 군주 [拂菻王, "불림 왕"]가 투후로(, 토하라)의 대수령 [높은 지위의 장교]을 보내 사자와 령양 [영양], 각 두 마리씩을 바쳤다. 몇 달 후, 그는 다시 대덕승 [위대한 덕을 가진 사제]을 보내 조공을 바쳤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13]
불림과의 마지막 외교 접촉은 11세기에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단림 (1245–1322)이 저술한 ''문헌통고''와 ''송사''에는 비잔틴 황제 미카엘 7세 파라피나케스 카이사르 (滅力沙靈改撒|miè lì shā líng gǎi sā중국어)가 1081년에 송 신종 (재위 1067–1085)에게 사절단을 보냈다는 내용이 있다.[101][119] ''송사''는 비잔틴 사절단이 바친 조공과 비잔틴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묘사했다. 또한 "깃털 자루"에 넣어 바다에 던지는 사형과 같은 비잔틴 법에서 사용된 처벌에 대해서도 설명했는데,[101] 아마도 로마-비잔틴의 ''포에나 쿨레이'' (라틴어 '자루의 형벌'에서 유래) 관행이었을 것이다.[120] 마지막으로 기록된 사절단은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재위 1081–1118)의 치세인 1091년에 도착했으며, 이 사건은 간략하게 언급만 되어 있다.[121]
''원사''는 쿠빌라이 칸의 궁정에서 천문학자이자 의사가 된 아이시에(조슈아 또는 조셉의 음역)라는 비잔틴 남성에 대한 전기를 제공한다.[122] 그는 불림왕 (拂菻王|Fúlǐn wáng중국어)의 칭호를 받았으며, 그의 자녀들은 중국 이름으로 열거되었는데, 이는 기독교 이름인 엘리아스, 루크, 안토니의 음역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122] 쿠빌라이 칸은 또한 네스토리우스 수도사인 라반 바르 사우마를 비잔틴 통치자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재위 1282–1328)의 궁정으로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123]
마단림은 당나라 역사가들이 "대진"과 "불림"을 동일한 국가로 간주했지만, 지리적 설명의 불일치와 기타 문제로 인해 이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명사''는 명나라 (1368–1644)의 창시자인 홍무제가 불림의 상인 "니에구룬"(捏古倫|niēgǔlún중국어)을 그의 모국으로 돌려보내 명나라 건국을 알리는 편지를 보냈다고 설명한다.[101][129][130] 이 상인은 칸발리크의 전직 대주교인 니콜라우스 데 벤트라(이 직책에 대해 몬테코르비노의 요한을 계승)로 추정된다.[101][131] ''명사''는 이 시점 이후 중국과 불림 간의 접촉이 중단되었고, 1582년에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가 마카오에 도착하기 전까지 서해(지중해)의 사절이 다시 중국에 나타나지 않았다고 설명한다.[101][132]
4. 무역 관계
고대 로마와 중국 간의 무역은 주로 비단, 유리, 호박, 바다 비단 등 사치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로마는 중국에 고품질 유리를 수출했고, 중국에서는 광저우, 난징, 뤄양, 경주 등지에서 로마 유리 제품이 발견되었다.[137][27][138][139][140] 중국은 로마로부터 금실로 수놓은 카펫, 금색 천, 호박, 석면 천, 바다 비단 등을 수입했다.[101][142][143][144]
인도양과 남중국해를 통한 해상 무역은 기원전 2세기 후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 의해 확립되었으며, 계절풍을 이용한 항해술 발달로 더욱 활발해졌다.[133] 2세기경에는 중국 자오즈 (현재 베트남)와 푸난 왕국을 잇는 해상 무역로가 열렸고, 오크 에오에서는 로마 금화와 유리 구슬, 팔찌 등이 발견되었다.[149][146][149][150][168]
로마는 중국 비단을 수입했으며, 비단은 로마에서 매우 귀한 사치품으로 여겨졌다. 대 플리니우스는 비단 수입으로 인한 로마 경제의 금 유출을 개탄했고,[160] 대 세네카는 비단 옷을 퇴폐적이라고 비판했다.[162] 파르티아와 쿠샨 제국이 중개 무역을 통해 이익을 얻었기 때문에 로마와 중국 간의 직접적인 무역은 제한적이었다.[157][158]
4. 1. 중국에 대한 로마 수출품
알렉산드리아와 시리아의 로마 제조업체에서 생산된 고품질 유리는 한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여러 지역으로 수출되었다.[137][27] 중국에서 발견된 최초의 로마 유리 제품은 기원전 1세기 초의 청색 소다 석회 유리 그릇으로, 광저우의 서한 묘에서 발굴되었으며, 이는 인도양과 남중국해를 거쳐 그곳에 도착했을 것이다.[138] 다른 로마 유리 품목으로는 67년에 제작된 난징 근처 왕자 무덤에서 발견된 모자이크 유리 그릇과 뤄양의 동한 묘에서 발견된 불투명한 흰색 줄무늬가 있는 유리 병이 있다.[139] 로마 및 페르시아 유리 제품은 중국 동부에 위치한 고대 신라의 수도인 경주의 5세기 무덤에서 발견되었다.[140] 로마 유리 구슬은 5세기의 고분 시대 교토 근처 우츠쿠시 매장 구덩이 내부의 일본에서도 발견되었다.[141]
중국 측 자료에 따르면 금실로 수놓은 카펫과 금색 천, 호박, 석면 천, 바다 비단과 같은 로마 사치품들도 중국인들에게 존경받았다. 바다 비단은 지중해 조개인 ''Pinna nobilis''의 비단과 같은 털로 만든 천이었다.[101][142][143][144] 기원전 3~2세기에 중국 전역에서 발견된 은 및 청동 제품은 셀레우코스 제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기원후 2~3세기에 제작된 로마 금박 은 접시가 간쑤성 징위안 현에서 발견되었는데, 중앙에는 고대 그리스-로마 신인 디오니소스가 고양이과 동물 위에 기대어 있는 부조 이미지가 새겨져 있다.[145]
2세기경에는 중국이 지배하는 자오즈(현재 베트남에 위치)와 크메르족 푸난 왕국과 해상 무역로가 열렸다.[149][146] 메콩 삼각주의 호치민 시 근처 오크 에오에서는 로마 동전을 포함한 장거리 무역의 흔적들이 발견되었다.[149] 여기에는 안토니누스 피우스와 그의 후계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통치 시대의 로마 금 메달이 포함된다.[150][168] 또한, 그곳에서 로마 상품과 안토니누스 로마 동전을 모방한 토착 보석, 고대 로마 유리 구슬과 팔찌도 발견되었다.[151][152][168]
4. 2. 로마 제국의 중국 비단
로마 제국에서 비단은 기원전 1세기에 처음 알려졌으며, 처음에는 코스에서 생산되는 야생 비단(코아 베스티스)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로마인들은 파미르 사리콜 왕국에서 생산된 비단과의 연관성을 처음에는 알지 못했다.[156] 경쟁 관계였던 파르티아와 쿠샨이 무역 중개 역할을 했기 때문에 로마와 한나라 사이의 직접적인 교역은 거의 없었다.[157][158]기원전 1세기에는 비단이 희귀했지만, 서기 1세기에는 널리 유통되었다.[159] 대 플리니우스는 ''박물지(77–79 AD)''에서 로마의 "여성"과 인도, 아라비아, 극동의 세레스(Seres, 중국)로부터의 사치품 구매로 인해 로마 경제에서 연간 약 1억 세스테르티우스의 금화가 유출된다고 개탄했다.[160] 그는 비단 옷을 얻기 위해 세레스로 여행을 떠나고, 홍해에서 진주 채취를 한다고 주장했다.[161][144] 그러나 워릭 볼은 인도산 향신료 구매가 로마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167]
서기 14년, 로마 원로원은 남자가 비단을 입는 것을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지만, 비단은 계속 로마로 유입되었다.[159] 대 세네카는 비단 옷을 퇴폐적이고 부도덕한 것으로 간주했다.[162]
향신료와 비단 같은 교역 품목은 로마 금화로 지불해야 했다. 중국에서는 로마 유리에 대한 수요가 있었고, 한나라도 유리를 생산했다.[163][159] 중국에서 생산된 유리 제품은 서한 시대(기원전 202년 – 서기 9년)로 거슬러 올라간다.[164]
4. 3. 중국에서 발견된 로마 화폐
발레리 한센은 2012년에 중국에서 로마 공화국 (기원전 509–27년) 또는 원수정 (기원전 27년 – 서기 284년) 시대의 로마 제국 동전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기록했다.[166] 그럼에도 불구하고, 워릭 볼 (2016)은 1978년의 두 연구를 인용하여 중국 시안 (한나라 수도 장안)에서 티베리우스 (서기 14–37년)부터 아우렐리아누스 (서기 270–275년)까지의 16개의 로마 동전이 발견되었다고 밝혔다.[167] 중국이 지배하던 교주 근처 베트남의 옥 에오에서 발견된 로마 동전은 서기 2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50][168] 통킹에서도 막시미아누스(재위 서기 286–305년)의 동전이 발견되었다.[154] 서기 3~4세기의 로마 동전은 일본 우루마시의 가쓰렌 성 (서기 12~15세기 건축)에서도 발굴되었다.[169]
중앙아시아와 중국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된 로마 주화와 비잔틴 주화의 소량은 소그드인과의 직접적인 무역이 제한적이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고대 로마인들이 한나라의 중국 비단을 수입했고,[173] 동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유물을 통해 한나라가 로마 유리를 수입했음을 알 수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발생했다.[174]
중국에서 발견된 동로마 제국의 가장 초기의 금화인 솔리두스는 비잔틴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 (재위 서기 408–450년) 시대의 것으로, 총 48개가 발견되었으며,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중국의 나머지 지역에서 1300개의 은화가 발견되었다.[166] 투르판에서 은화의 사용은 당나라의 고창 정벌과 640년 중국의 정복 이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었으며, 서기 7세기에는 점차적으로 고대 중국 주화가 사용되었다.[166] 한센은 이 동로마 동전들이 거의 항상 사산 페르시아 은화와 함께 발견되었으며, 동로마 금화는 부적과 같은 의식용 물건으로 더 많이 사용되었고, 이는 중앙아시아의 중국 실크로드 상업에서 대이란의 우위를 확인해준다고 주장했다.[175] 발터 샤이델은 중국인들이 비잔틴 동전을 이국적인 보석으로 간주했으며,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에는 청동 주화를, 송나라와 명나라 시대에는 지폐를 선호했으며, 은 괴가 풍부하게 유통되는 상황에서도 그러했다고 언급한다.[176] 볼은 로마와 비잔틴 동전이 중국에서 희소하고 인도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는 사실은 로마인들이 구매한 중국 비단의 대부분이 이란을 경유하는 육로 실크로드 무역을 크게 우회하여 해상 인도를 통해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고 적고 있다.[167]
서기 6세기부터 비잔틴에서 비단을 생산하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비단은 여전히 더 높은 품질로 여겨졌다.[178] 이 이론은 1953년 산시성의 수나라 무덤에서 발견된 유스티누스 2세 시대에 주조된 비잔틴 솔리두스와 다양한 유적지에서 발견된 다른 비잔틴 동전들에 의해 뒷받침된다.[178] 중국의 역사서는 로마와 비잔틴 동전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위략》, 《후한서》, 《진서》, 그리고 후대의 《문헌통고》는 고대 로마 은화 10개가 로마 금화 1개의 가치가 있다고 언급했다.[101][94][68][179] 로마의 금화 아우레우스는 은화 데나리우스 25개 정도의 가치가 있었다.[180] 후기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은화 밀리아레시온 12개가 금화 노미스마 1개와 같았다.[181] 《송사》는 비잔틴인들이 금이나 은으로 동전을 만들었으며, 가운데 구멍이 없고, 왕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101] 또한 비잔틴인들이 위조 동전 생산을 금지했다고 주장한다.[101]
5. 인적 유해
2010년,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한 연구 결과, 이탈리아 바냐리에 있는 서기 1~2세기 로마 묘지에서 발견된 부분 골격이 어머니 쪽에서 동아시아 혈통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사람은 원래 이탈리아 출신은 아니며, 이 지역의 노예나 노동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82][183] 그러나 이 유골은 유라시아인과의 접촉 사례이기는 하지만, 중국인이 아니라 고대 시베리아 계통이었다.[184]
2016년, 로마 제국 브리타니아의 고대 로마 도시 론디니움이 있던 런던 사우스워크에서 발굴된 유물 분석 결과, 서기 2~4세기 사이의 22개 골격 표본 중 2~3개가 아시아 혈통, 아마도 중국계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 주장은 법의학적 증거와 골격의 안면 특징 분석("중국인처럼 보임" 방식)에 근거한다. 런던 박물관의 인류 골상학 큐레이터인 레베카 레드펀 박사가 이 발견을 발표했다.[185][186] 하지만 아직 DNA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용 가능한 두개골과 치아 표본은 단편적인 증거만 제공하며, 사용된 표본은 고대 인구가 아닌 현대 인구의 형태와 비교되었다.[187]
6. 군사적 접촉 가설
역사학자 호머 H. 덥스(Homer H. Dubs)는 1941년에 파르티아 제국의 동부 국경으로 이송된 로마 전쟁 포로들이 나중에 그곳에서 한나라 군대와 충돌했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188]
기원전 53년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가 지휘하는 로마 군대가 카르해 전투에서 결정적으로 패배한 후, 약 10,000명의 로마 포로가 국경을 지키기 위해 파르티아인들에 의해 마르기아나로 보내졌다. 얼마 후 유목 민족인 흉노의 수장 지즈지는 오늘날의 타라즈 근처인 탈라스 계곡에 더 동쪽에 국가를 세웠다. 덥스는 반고(Ban Gu)가 기록한 중국 기록에서 지즈지가 지휘하는 약 "백 명"의 병사들이 기원전 36년 지즈 전투에서 한나라 군대에 맞서 지즈지의 나무 울타리 요새를 방어하기 위해 소위 "물고기 비늘 대형"으로 싸웠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것이 로마의 테스투도 대형일 수 있으며, 중국에 사로잡힌 이들이 융창 현의 리첸 마을(Li-chien, 아마도 "legio"에서 유래)을 세웠다고 주장했다.[189][190]
중국-로마 연결을 관광을 위해 홍보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로마 및 중국 자료에 대한 덥스의 종합은 증거가 부족하여 너무 많은 결론에 도달한다는 이유로 역사가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91][192] 2005년의 족보 DNA 검사는 현대 리첸 주민 중 소수의 인도유럽어족 조상을 확인했다. 이는 고대 시대에 간쑤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월지와 우순과 같은 인도유럽어족과의 이민족 결혼으로 설명될 수 있다.[193][194] 2007년에 200명 이상의 남성 주민에 대한 훨씬 더 포괄적인 DNA 분석은 한족 인구와의 밀접한 유전적 관계와 코카서스 인종 유전자 풀과의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195] 연구자들은 리첸 사람들이 아마도 한족 출신이라고 결론 내렸다.[195] 이 지역에는 동전, 도자기, 무기, 건축물 등과 같은 로마의 흔적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다.[193][194]
참조
[1]
웹사이트
Detailed record for Harley 7182
https://www.bl.uk/ca[...]
British Library
2017-02-21
[2]
서적
2007
[3]
서적
2007
[4]
서적
1915
[5]
서적
1915
[6]
서적
2010
[7]
서적
1999
[8]
서적
Encyclopaedia Britannica
2000
[9]
서적
2008
[10]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depts.washing[...]
2004
[11]
서적
2014
[12]
서적
1999
[13]
논문
Hellenes and Romans in Ancient China
https://www.sinoptic[...]
2021-08
[14]
서적
1915
[15]
서적
1915
[16]
서적
2009
[17]
서적
2009
[18]
서적
1915
[19]
서적
1915
[20]
서적
1915
[21]
서적
2006
[22]
서적
1946
[23]
서적
1915
[24]
서적
2000
[25]
서적
1999
[26]
서적
2007
[27]
논문
Chinese Historical Records and Sino-Roman Relations: A Critical Approach to Understand Problems on the Chinese Reception of the Roman Empire
2019
[28]
서적
1915
[29]
서적
1999
[30]
웹사이트
The Western Regions according to the Hou Hanshu: The Xiyu juan, "Chapter on the Western Regions", from Hou Hanshu 88, Second Edition (Extensively revised with additional notes and appendices): Section 11 – The Kingdom of Daqin 大秦 (the Roman Empire)
https://depts.washin[...]
2003-09
[31]
서적
1999
[32]
서적
1971
[33]
웹사이트
From the Wei-lio (written before 429 C.E.), for 220–264 C.E.
http://sourcebooks.f[...]
2000
[34]
웹사이트
The Peoples of the West from the Weilue'' 魏略 ''by Yu Huan'' 魚豢'': A Third Century Chinese Account Composed between 239 and 265, Quoted in zhuan 30 of the Sanguozhi, Published in 429 CE: Section 11 – Da Qin (Roman territory/Rome)
http://depts.washing[...]
2004-09
[35]
서적
1915
[36]
서적
2016
[37]
서적
1915
[38]
서적
2003
[39]
웹사이트
China’s long history in Africa
http://newafricanmag[...]
2017-08-02
[40]
서적
2012-08
[41]
뉴스
BBC Western contact with China began long before Marco Polo, experts say
https://www.bbc.com/[...]
2016-10-12
[42]
뉴스
The Mausoleum of China's First Emperor Partners with the BBC and National Geographic Channel to Reveal Groundbreaking Evidence That China Was in Contact with the West During the Reign of the First Emperor
http://www.businessw[...]
Business Wire
2016-10-12
[43]
서적
2009-07
[44]
간행물
Hellenistic Information in China
http://nrs.harvard.e[...]
2014
[45]
서적
1956
[46]
서적
1956
[47]
문서
Tashkurgan ("Stone Tower")
[48]
서적
2009
[49]
서적
1907
[50]
서적
1933
[51]
서적
null
[52]
서적
Epitome
[53]
서적
1915
[54]
서적
1915
[55]
웹사이트
http://depts.washing[...]
2004
[56]
서적
2007
[57]
서적
2007
[58]
서적
1915
[59]
서적
2007
[60]
서적
2007
[61]
서적
2009
[62]
서적
1999
[63]
서적
2009
[64]
서적
2009
[65]
서적
2009
[66]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67]
웹사이트
Book of the Later Han
[68]
서적
1915
[69]
서적
2005
[70]
서적
2009
[71]
서적
Through the Jade Gate: China to Rome
[72]
웹사이트
The Western Regions according to the Hou Hanshu: The Xiyu juan, "Chapter on the Western Regions", from Hou Hanshu 88, Second Edition (Extensively revised with additional notes and appendices)
https://depts.washin[...]
2003-09-26
[73]
서적
後漢書
Zhonghua Publishing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논문
China and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A Survey of Ancient Chinese Sources
[84]
웹사이트
The First Contact Between Rome and China - Silk-Road.com
http://www.silk-road[...]
2021-06-29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웹사이트
The Peoples of the West from the Weilue 魏略 by Yu Huan 魚豢: A Third Century Chinese Account Composed between 239 and 265, Quoted in zhuan 30 of the Sanguozhi, Published in 429 AD
https://web.archive.[...]
2004-09-17
[95]
서적
[96]
서적
[97]
웹사이트
晉書/卷097
https://zh.wikisourc[...]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웹사이트
East Asian History Sourcebook: Chinese Accounts of Rome, Byzantium and the Middle East, c. 91 B.C.E. – 1643 C.E.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16-09-10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The Hu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1-19
[113]
서적
China and the Roman Orient: Researches into their Ancient and Mediaeval Relations as Represented in Old Chinese Records
https://depts.washin[...]
1885
[114]
서적
Islam and Tibet – Interactions along the Musk Routes
[115]
서적
New Light on Khingal, Turk and Hindu Shahis
http://journals.uop.[...]
Brepols
2002
[116]
서적
Hunnic Peoples in Central and South Asia: Sources for their Origin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Barkhuis
2020-03-12
[117]
논문
FROMO KESARO. Echi del prestigio di Bisanzio in Asia Centrale
https://www.academia[...]
Centro italiano di Studi sull’Alto Medioevo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Wenxian Tongkao
2016-09-10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웹사이트
1,500 Years of Contact between Korea and the Middle East
http://www.mei.edu/c[...]
Middle East Institute
2016-09-27
[141]
뉴스
Japanese Tomb Found To House Rare Artifacts From Roman Empire
https://www.huffingt[...]
2016-09-26
[142]
논문
Thorley (1971)
[143]
논문
Hill (2009)
[144]
논문
Lewis (2007)
[145]
논문
Harper (2002)
[146]
논문
Hill (2009)
[147]
서적
China
Berlin
1877
[148]
논문
Suárez (1999)
[149]
논문
Osborne (2006)
[150]
논문
Young (2001)
[151]
논문
Mawer (2013)
[152]
논문
Mawer (2013)
[153]
논문
Young (2001)
[154]
논문
Ball (2016)
[155]
논문
A Han-dated 'hydra'-type nephrite scabbard slide found in Chatalka (Bulgaria)
2014
[156]
논문
Schoff (1915)
[157]
논문
Thorley (1979)
[158]
논문
Thorley (1971)
[159]
논문
Whitfield (1999)
[160]
서적
Natural History
[161]
서적
Natural History
[162]
논문
Seneca (1974)
[163]
논문
Ball (2016)
[164]
논문
An (2002)
[165]
논문
Ball (2016)
[166]
논문
Hansen (2012)
[167]
논문
Ball (2016)
[168]
논문
O'Reilly (2007)
[169]
뉴스
Ancient Roman coins unearthed from castle ruins in Okinawa
http://www.japantime[...]
2016-09-26
[170]
논문
Howard (2012)
[171]
논문
Liu (2001)
[172]
논문
Dresden (1981)
[173]
논문
Brosius (2006)
[174]
논문
An (2002)
[175]
논문
Hansen (2012)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학술지
Stable isotope and mtDNA evidence for geographic origins at the site of Vagnari, South Italy
https://www.research[...]
2010
[183]
학술지
DNA testing on 2,000-year-old bones in Italy reveal East Asian ancestry
https://phys.org/new[...]
2010
[184]
학술지
Buscando el origen de los ancestros de los dos individuos de ascendencia asiático oriental enterrados en la Italia romana [Searching for the origin of the ancestors of the two individuals of East Asian descent buried in Roman Italy]
https://doi.org/10.5[...]
2024
[185]
뉴스
Skeleton find could rewrite Roman history
https://www.bbc.com/[...]
2016-09-23
[186]
학술지
Going south of the river: A multidisciplinary analysis of ancestry, mobility and diet in a population from Roman Southwark, London
http://dro.dur.ac.uk[...]
[187]
웹사이트
Chinese Skeletons In Roman Britain? Not So Fast
https://www.forbes.c[...]
2016-09-25
[188]
서적
[189]
웹사이트
Romans in China?
http://www.archaeolo[...]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1999-05-01
[190]
뉴스
Romans in China stir up controversy
http://news.xinhuane[...]
Xinhua online
2005-08-24
[191]
뉴스
They came, saw and settled
http://www.economist[...]
2004-12-16
[192]
학술지
The Origins of Roman Li-Chien
[193]
뉴스
Hunt for Roman Legion Reaches China
http://www.chinadail[...]
2010-11-20
[194]
뉴스
Chinese Villagers 'Descended from Roman Soldiers'
https://www.telegrap[...]
2010-11-23
[195]
학술지
Testing the Hypothesis of an Ancient Roman Soldier Origin of the Liqian People in Northwest China: a Y-Chromosome Perspect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