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카 헬퍼리히 클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베카 헬퍼리히 클라크는 1886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작곡가이자 비올라 연주자이다. 1919년 비올라 소나타로 콩쿠르에서 공동 1위를 차지했으나 여성 작곡가에 대한 편견으로 인해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20세기 클래식 음악의 영향을 받았으며, 인상주의적 작곡 양식을 특징으로 한다. 클라크는 1979년 9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현재에는 중요한 여성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클래식 비올라 연주자 - 프랭크 브리지
프랭크 브리지는 영국의 작곡가, 비올라 연주자, 지휘자로, 왕립음악대학에서 수학 후 벤자민 브리튼을 제자로 길렀으며, 후기 낭만주의에서 근대주의로 발전하는 음악적 경향을 보이며 관현악곡 《바다》, 《여름》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 잉글랜드의 클래식 비올라 연주자 - 라이어넬 테르티스
라이어넬 테르티스는 바이올린 연주자로 시작했으나 비올라 연주자, 작곡가 및 교육자로 활동하며 비올라 레퍼토리 확장에 기여하고 "테르티스 모델" 비올라를 개발하는 등 20세기 영국 비올라 연주와 작곡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의 장애인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잉글랜드의 장애인 - 토니 벤
토니 벤은 작위 계승을 거부하고 하원 의원으로 남은 영국의 노동당 정치인이자 저술가로, 초기 중도 좌파에서 점차 급진적인 사회주의자로 변모하여 국유화, 산업 민주주의, 반전 운동을 지지하며 "벤니즘"이라는 용어로 불리는 정치적 이념으로 영국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 기분 장애 환자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분 장애 환자 - 윈스턴 처칠
귀족 가문 출신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을 승리로 이끈 수상이었으며 군인, 정치가, 작가, 화가로서 활동하며 냉전 시대 개막을 알린 윈스턴 처칠은 제국주의적 관점과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리베카 헬퍼리히 클라크 |
|---|
2. 생애

리베카 헬퍼리히 클라크는 영국 해로우에서 미국인 아버지와 독일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5] 어린 시절부터 음악 교육을 받았고 왕립 음악원과 영국 왕립 음악원에서 공부하며 찰스 빌리어스 스탠포드와 라이오넬 테르티스 등에게 사사했다.[5][7] 스탠포드의 권유로 주 악기를 바이올린에서 비올라로 바꾸었으며, 이는 그녀의 음악 인생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5]
아버지와의 불화로 집에서 나와 경제적으로 독립해야 했던 클라크는[6] 1910년대 초반부터 전문 비올라 연주자로 활동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헨리 우드 경이 이끄는 퀸스 홀 오케스트라에 합류하여 영국 최초의 여성 전문 오케스트라 단원 중 한 명이 되었고,[7][8] 당대 최고의 음악가들과 협연하며 명성을 쌓았다.[9] 1916년에는 활동 무대를 미국으로 옮겼다.
클라크가 작곡가로서 명성을 얻기 시작한 것은 1919년 엘리자베스 스프라그 쿨리지가 후원한 작곡 콩쿠르에 출품한 비올라 소나타가 어니스트 블로흐의 작품과 공동 1위를 차지하면서부터이다.[8] 당시 여성 작곡가에 대한 편견 때문에 클라크가 직접 작곡했다는 사실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있었으나, 이 작품은 큰 호평을 받으며 그녀의 대표작으로 자리 잡았다.[8] 이후 피아노 삼중주와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랩소디 등 쿨리지의 후원으로 여러 작품을 발표하며 작곡 경력의 정점을 맞이했다.[8][5]
1924년 런던으로 돌아와 연주 활동을 재개하고 여성 연주자들로 구성된 실내악단 '잉글리시 앙상블'을 결성하는 등 활발히 활동했지만,[11][5] 1930년대 들어 작곡 활동은 점차 줄어들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시기 미국에 머물게 되었고, 이후 영국으로 돌아가지 못했다.[14]
1944년, 젊은 시절 알고 지냈던 피아니스트 제임스 프리스킨과 재회하여 결혼했다.[7] 결혼 후에는 작곡과 연주 활동을 거의 중단했다.[5][7] 말년에는 회고록을 집필하고 젊은 음악가들을 위한 상을 제정하는 데 기여했다.[7][17]
오랫동안 잊혔던 클라크의 음악은 1970년대 여성 작곡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조명받기 시작했다.[9] 1979년 10월 13일, 93세의 나이로 뉴욕시 자택에서 사망했다.[5] 그녀는 20세기 영국의 중요한 작곡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생전에는 여성이라는 한계로 인해 충분한 인정과 기회를 얻지 못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클라크는 영국 해로우에서 태어났다.[5] 아버지는 미국인 조셉 대처 클라크였고, 어머니는 바이에른 출신의 독일인 아그네스 폴리나 마리 아말리 헬퍼리히였다.[5]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영국 영어와 독일어 두 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자랐으며, 가족과 친구들은 그녀를 베클(Beccle)이라는 애칭으로 불렀다. 아버지는 음악에 관심이 많았지만 폭력적이어서, 클라크가 손톱을 물어뜯는 등의 사소한 잘못에도 쇠자로 때리곤 했다.[7] 클라크에게는 15개월 터울의 남동생 한스 대처 클라크가 있었다.[3]
그녀는 어린 나이에 작곡을 시작했고,[9] 남동생 한스와 함께 레슨을 받으며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다.[3] 1903년 왕립 음악원(Royal Academy of Music)에 입학하여 공부했으나,[5] 1905년 화성학 교사인 퍼시 힐더 마일스가 그녀에게 청혼하자 아버지에 의해 갑작스럽게 학업을 중단하게 되었다.[2] 마일스는 훗날 자신의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을 클라크에게 유증했다.[2] 클라크는 왕립 음악원을 그만둔 직후 미국을 처음 방문했다.[3]
그 후 영국 왕립 음악원(Royal College of Music)에 입학하여 1907년부터 1910년까지 다녔고,[5] 찰스 빌리어스 스탠포드 경의 몇 안 되는 여성 작곡 학생 중 한 명이 되었다.[7] (클라크 자신은 최초의 여학생이라고 말했지만, 이는 기억의 오류이다[34]). 이 시기에 피아노를 위한 상당한 규모의 ''주제와 변주''를 작곡했다.[4] 스탠포드의 권유에 따라 주 악기를 바이올린에서 비올라로 바꾸었는데, 마침 비올라가 독주 악기로서 인정받기 시작하던 시기였다.[5] 그녀는 당시 최고의 비올리스트로 여겨졌던 라이오넬 테르티스에게 사사했다.[5][35] 1910년에는 RCM 동료 학생들과 협력하여 중국 시를 바탕으로 한 가곡 "Tears"를 작곡했으며,[3] 클라크와 베릴 리브(Beryl Reeve, 훗날 클라크의 제수)가 조직한 학생 앙상블에서 랄프 본 윌리엄스의 지휘 아래 팔레스트리나의 음악을 연구하고 연주하며 노래하기도 했다.[3]
클라크는 아버지가 자신의 혼외정사를 비판했다는 이유로 집에서 쫓겨나 경제적 지원이 끊겼다.[6][37] 이로 인해 1910년 왕립 음악원을 떠나야 했고, 이후 비올라 연주로 생계를 유지했다. 클라크는 제시 그림슨과 함께 1912년 헨리 우드 경에 의해 퀸스 홀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발탁되면서 최초의 여성 전문 오케스트라 연주자 중 한 명이 되었다.[7][8][36] 그녀는 비올리스트로서 높은 명성을 얻었으며, 아르투르 슈나벨, 파블로 카잘스, 야샤 하이페츠, 자크 티보, 길예르미나 수지아, 아서 루빈스타인, 피에르 몽퇴, 조지 셀 등 당대 유명 음악가들과 함께 연주했다.[9]
1916년, 클라크는 연주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 미국으로 이주했다.[10]
2. 2. 초기 경력과 차별
클라크는 여성 작곡가에 대한 당시의 젠더 인식 때문에 작곡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작품은 뛰어난 작곡 기술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클라크의 작품 대부분은 오랫동안 출판되지 않았고, 그녀 자신도 말년에 작곡 활동을 중단하면서 거의 잊혀졌다.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그녀의 작품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다시 일어나기 시작했지만, 이때 클라크는 이미 90세의 고령이었다.클라크는 1942년 이후 연주와 작곡 활동을 거의 중단했다. 만성적인 우울증과 기분 부전 장애[33]를 겪었고, 창작 활동에 대한 격려를 받지 못했으며 때로는 무례하고 실망스러운 평가를 받기도 한 것이 주된 원인이었다. 또한 성 역할에 대한 그녀 자신의 생각 역시 작곡 활동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이었을 수 있다[36]. 클라크는 1944년 오랜 친구이자 줄리아드 음악 학교 피아노과 교사였던 제임스 프리스킨과 재회하여 결혼했는데, 스스로 가정생활과 작곡을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아침에 눈을 떠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한, 저는 작곡을 할 수 없습니다. (사실,) 밤이 되어 잠자리에 들기 전에 마지막으로 떠오르는 것이 작곡입니다."라고 말하며, 가정에서의 책임이 작곡보다 더 중요하다고 여겼다. 결혼 후 클라크는 작곡을 거의 그만두었지만, 사망 직전까지 편곡 작업은 계속했다. 연주 활동 역시 결혼과 함께 중단했다. 그녀의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결혼 후 작곡된 세 곡 중 하나인 가곡 《신은 나무를 만드셨네 God Made a Treeeng》(1954년 작곡, 2002년 출판)이다.
1967년 남편 프리스킨이 세상을 떠난 후, 클라크는 회고록 『나에게도 아버지가 있었다 I Had a Father Too (or the Mustard Spoon)eng』를 쓰기 시작하여 1973년에 탈고했지만 출판하지는 않았다. 이 회고록에서 클라크는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겪었던 거듭된 가정 폭력과 냉랭했던 가족 관계를 언급하며, 이러한 경험이 자신의 정체성과 사회적 위치에 대한 생각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술회했다[36]. 음악가로서의 꿈을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형제들과 함께 거친 대우를 받았던 경험은 그녀의 작곡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2. 3. 작곡 활동의 정점과 쇠퇴
클라크는 여성 작곡가에 대한 젠더 인식 때문에 작곡 활동이 제한적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작품은 작곡 기술로 인정받았다. 클라크의 작품은 현재까지도 대부분이 출판되지 않은 상태이며, 말년에 작곡을 중단한 후 거의 잊혀졌다. 1970년대 후반에 그녀의 작품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다시 일어났을 때, 작곡가는 이미 90세의 고령이었다.클라크는 1942년 이후에는 연주와 작곡을 거의 하지 않았다. 만성적인 우울증(기분 부전 장애)에 시달렸고[33], 창작에 대한 격려를 받지 못했으며, 때로는 무례하고 실망스러운 평가를 받기도 한 것이 그녀가 작곡 활동을 중단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특히 당시 사회의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클라크 자신의 내면화된 인식이 작곡 활동의 가장 큰 장애물이었을 수 있다[36]. 1944년에 옛 친구이자 줄리아드 음악 학교 피아노과 교사인 제임스 프리스킨과 재회하여 결혼하게 된다. 클라크는 자신이 가정 생활과 작곡을 양립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아침에 눈을 떠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한, 저는 작곡을 할 수 없습니다. (사실,) 밤이 되어 잠자리에 들기 전에 마지막으로 떠오르는 것이 작곡입니다."라고 말하며, 가정에서의 책임을 작곡보다 더 중요하게 여겼다. 클라크는 작곡하는 것은 그만두었지만, 사망 직전까지 편곡 작업에 몰두했다. 결혼 후에는 연주도 그만두었다. 마지막 작품은 결혼 후에 작곡된 3곡 중 하나로, 1954년에 작곡된 가곡 《신은 나무를 만드셨네 ''God Made a Tree''》 (2002년 출판)일 것으로 추정된다.
레베카 클라크는 나중에 (스승 퍼시 마일스의 유산으로 받은)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을 처분하여 왕립 음악 아카데미에 '메이 맥클레 상'을 제정했다. 메이 맥클레는 젊은 시절 클라크가 자주 함께 연주했던, 절친한 여성 첼리스트의 이름이다. 이 상은 지금도 매년 뛰어난 첼로 연주자에게 수여되고 있다[38].
1967년에 남편 프리스킨이 세상을 떠난 후, 클라크는 회고록 『나에게도 아버지가 있었다 ''I Had a Father Too (or the Mustard Spoon)''』를 쓰기 시작했다. 탈고한 것은 1973년이었지만, 결코 출판하지 않았다. 그 안에서 클라크는, 거듭된 아버지의 폭행과 냉랭한 가족 관계가 두드러지는 성장 배경에 대해 언급하며, 그것이 자신의 적절한 자리에 대한 생각에 계속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36]. 음악가로서의 야망을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한 것과 자신과 형제가 아버지에게 거친 대우를 받은 것이 그녀의 작곡 활동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1979년 뉴욕 자택에서 9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며, 유해는 화장되었다[35].
2. 4. 결혼과 만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시 클라크는 형제 방문차 미국에 있었고, 영국 비자를 받지 못해 귀국하지 못했다.[14] 잠시 형제 가족과 지내다 1942년 코네티컷의 한 가정에서 가정교사로 일했다.[14] 이 시기(1939년~1942년)에 ''Passacaglia on an Old English Tuneeng''를 포함한 10개의 작품을 작곡했다.[3]그녀는 로열 음악 대학 학생 시절 처음 만났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제임스 프리스킨과 1944년 맨해튼 거리에서 우연히 재회했다. 프리스킨은 줄리아드 학교의 창립 멤버이자 교수였다. 두 사람은 그 해 결혼했으며, 당시 클라크는 50대 후반이었다. 음악학자 리안 커티스에 따르면 프리스킨은 "클라크에게 깊은 만족감과 평형감을 준 사람"이었다.[7]
결혼 후 클라크의 작곡 활동은 드물어졌다.[5] 음악학자 리안 커티스는 클라크가 만성적인 우울증의 일종인 불쾌감(dysthymia)을 겪었을 수 있다고 보았다.[16] 또한 작품 활동에 대한 격려 부족과 때로는 노골적인 좌절감이 작곡을 꺼리게 만들었다.[7] 클라크 자신도 개인적인 삶과 작곡의 요구를 양립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매일 아침 잠에서 깨어났을 때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이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 매일 밤 마지막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면 할 수 없어요."라고 말했다. 남편의 격려에도 불구하고 결혼 후 작곡을 거의 중단했으며, 연주 활동도 그만두었다.[5][7] 다만 편곡 작업은 죽기 직전까지 계속했다.
1963년에는 로열 아카데미에 메이 묵클 상 제정을 도왔다. 이 상은 매년 뛰어난 첼리스트에게 수여된다.[17] 1967년 남편 프리스킨이 사망한 후, 클라크는 ''I Had a Father Too (or the Mustard Spoon)eng''라는 제목의 회고록을 쓰기 시작해 1973년에 완성했지만 출판되지는 않았다. 이 책에는 아버지로부터 잦은 구타를 당했던 경험과 긴장된 가족 관계가 자신의 삶의 방식에 영향을 미쳤던 어린 시절이 묘사되어 있다.[7]
1970년대 들어 여성 작곡가와 그녀의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뉴욕에서 몇 차례 중요한 연주회가 열렸다.[9] 클라크는 1979년 10월 13일, 93세의 나이로 뉴욕시 자택에서 사망했으며 화장되었다.[5]
클라크는 젠더 인식으로 인해 작곡 활동에 제약을 받았지만, 그녀의 작품은 작곡 기법 면에서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작품 대부분은 출판되지 않았고, 말년에 작곡을 중단하면서 거의 잊혔다.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그녀의 작품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다시 일어났지만, 이때 작곡가는 이미 90세의 고령이었다.
3. 작품과 작곡 양식
리베카 클라크의 음악은 대부분 그녀 자신이 오랫동안 전문 연주자로 활동했던 비올라를 중심으로 작곡되었다. 많은 작품이 클라크 자신과 그녀가 활동했던 여성 실내악 앙상블(노라 클렌치 콰르텟, 잉글리쉬 앙상블, 달라니 자매 등)을 위해 쓰여졌다.[5] 그녀는 또한 첼리스트 메이 묵클(May Mukle)과 함께 세계 순회 공연을 하기도 했다.
클라크의 작품에는 20세기 클래식 음악의 다양한 흐름, 특히 드뷔시로 대표되는 인상주의의 영향이 두드러지며, 풍부한 질감과 현대적인 화성이 특징으로 꼽힌다. 또한 블로흐, 라벨 등 동시대 주요 작곡가들과 교류하며 영향을 주고받았고, 그녀의 작품은 종종 이들과 비교되기도 했다.[5] 초기에는 주로 독창과 피아노를 위한 가곡이나 소품을 작곡했으며, 후기(1939-1942년경)에는 신고전주의의 영향을 받아 더욱 명확하고 대위법적인 양식을 보여주었다.[8][31]
클라크는 교향곡과 같은 대규모 관현악 작품은 남기지 않았으며, 그녀의 작품은 주로 52개의 가곡, 11개의 합창곡, 21개의 실내악 작품 등으로 구성된다.[8] 이는 당시 여성에게 부여된 성 역할에 대한 사회적 통념과 클라크 자신의 인식이 작곡 활동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일 수 있다.[36] 그녀의 작품은 오랫동안 잊혔으나, 1976년 클라크의 90세 생일을 기념하는 라디오 방송을 계기로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이후 활발한 연구와 연주를 통해 재평가되고 있다.[16][33]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출판되지 않은 작품들이 상당수 남아있다.[16]
3. 1. 주요 작품
클라크의 음악은 대부분 비올라를 중심으로 하며, 이는 그녀가 오랫동안 전문 비올라 연주자로 활동했기 때문이다. 그녀의 작품 상당수는 자신과 자신이 속했던 여성 실내악 앙상블(노라 클렌치 콰르텟, 잉글리쉬 앙상블, 달라니 자매 등)을 위해 작곡되었다. 또한 첼리스트 메이 묵클과 함께 세계 순회 공연을 하기도 했다. 그녀의 작품은 20세기 클래식 음악의 여러 흐름, 특히 드뷔시 풍의 프랑스 인상주의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풍부한 질감과 현대적인 화성이 특징으로 꼽힌다. 클라크는 블로흐, 라벨 등 당대의 주요 작곡가들과 교류했으며, 그녀의 작품은 종종 이들의 작품과 비교되곤 했다.[5]
대표적인 작품인 비올라 소나타(1919)는 오음계를 사용한 시작 주제, 두터운 화성, 강렬한 감정 표현, 밀도 높고 리듬적으로 복잡한 짜임새를 보여주는 인상주의적 특징을 지닌다. 이 곡은 블로흐와 힌데미트의 비올라 소나타와 같은 해에 출판되었으며, 오늘날 비올라의 표준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비올라 소나타보다 1년 앞서 작곡된 ''Morpheus''(1917-1918)는 10여 년간 가곡과 소품 위주로 작곡하던 클라크의 첫 번째 확장된 작품이다. 쿨리지 콩쿠르 수상작인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랩소디''(1923)는 연주 시간이 약 23분에 달하는 야심찬 작품으로, 복잡한 음악적 아이디어와 모호한 조성이 특징이다. 반면, 다음 해에 작곡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한여름 밤의 달"(1924)은 가볍고 작은 규모의 곡으로, 나비의 날갯짓을 연상시키는 바이올린 선율이 인상적이다.[6][37]
클라크는 현악 실내악 외에도 많은 가곡을 남겼다. 초기 작품은 대부분 독창과 피아노를 위한 살롱 음악이었으며, 예이츠, 메이스필드, A.E. 하우스먼 등의 시를 가사로 사용했다.[5] 블레이크의 시 "The Tyger"에 곡을 붙인 "호랑이, 호랑이"(1929-1933)는 어둡고 우울하며 표현주의적인 색채를 띤다. 클라크는 이 곡에 5년간 매달렸으며, 1972년에 개정하기도 했다.[8][31]
1939년부터 1942년까지, 작곡 경력의 후반기에 해당하는 이 시기 클라크의 음악 스타일은 신고전주의의 영향을 받아 더욱 명확하고 대위법적으로 변모했으며, 모티프 활용과 조성 구조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바이올린, 비올라, 피아노를 위한 ''둠카''(Dumka, 1941년 작곡)는 버르토크나 마르티누와 같은 동유럽 민속 스타일을 반영한다.[8][31] 비올라(또는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옛 잉글랜드 곡조에 의한 파사칼리아"(Passacaglia on an Old English Tune, 1941년 작곡)는 토마스 탤리스에게 귀속된 선율을 주제로 사용하며, 주로 도리아 선법을 따르면서 프리지아 선법을 넘나드는 선법적인 특징을 지닌다. 이 곡은 "BB"에게 헌정되었는데, 학자들은 클라크의 친구이자 스승이었던 프랭크 브리지의 추모 콘서트를 조직한 벤자민 브리튼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한다.[19][39] 클라리넷과 비올라를 위한 ''전주곡, 알레그로, 파스토랄''(Prelude, Allegro, and Pastorale, 1941) 역시 신고전주의적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6][37]
클라크는 교향곡과 같은 대규모 관현악 작품은 작곡하지 않았다. 그녀의 작품은 총 52개의 가곡, 11개의 합창곡, 21개의 실내악 작품(피아노 삼중주, 비올라 소나타 포함) 등으로 구성된다.[8] 그녀의 작품은 오랫동안 잊혔으나, 1976년 그녀의 90세 생일을 기념하는 라디오 방송 이후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클라크 작품 중 상당수는 아직 출판되지 않은 채 상속인이 개인적으로 소장하고 있다.[16][33] 그러나 2000년대 초부터 그녀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더 많은 작품들이 출판되고 녹음되고 있다.[20] 최근에는 두 개의 현악 사중주와 ''Morpheus'' 등이 출판되었다.[6]
클라크의 작품에 대한 현대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다. 1981년 비올라 소나타 리뷰에서는 "사려 깊고 잘 구성된 작품"이라 평했으며,[21] 1985년 리뷰는 "감정적 강렬함과 어두운 색채의 사용"을 언급했다.[22] 앤드루 아헨바흐는 ''Morpheus''를 "인상적"이고 "몽환적"이라고 평했으며,[23] 로렌스 비테스는 클라크의 "자장가"가 "지극히 달콤하고 부드럽다"고 언급했다.[24] 1987년 한 리뷰는 "그토록 훌륭하게 쓰여지고 깊이 감동적인 음악이 이 모든 세월 동안 어둠 속에 묻혀 있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라고 결론지었다.[25]
비올라 소나타는 2015년 BBC 라디오 3의 'Building a Library'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졌으며,[26] 2017년에는 같은 방송사에서 '이 주의 작곡가'로 선정되어 5시간 동안 그녀의 음악이 소개되었다.[26]
다음은 클라크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 작품명 | 편성 | 작곡 연도 |
|---|---|---|
| 2개의 소품: 자장가와 그로테스크 | 비올라(또는 바이올린), 첼로 | 약 1916년 |
| 모르페우스 | 비올라, 피아노 | 1917–1918년 |
|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무제 작품 | 비올라, 피아노 | 1917–1918년 |
| 자장가 | 바이올린, 피아노 | 1918년 |
| 소나타 | 비올라(또는 첼로), 피아노 | 1919년 |
| 중국식 퍼즐 | 바이올린, 피아노 | 1921년 |
| 에필로그 | 첼로, 피아노 | 1921년 |
| 피아노 삼중주 | 바이올린, 비올라, 피아노 | 1921년 |
| 랩소디 | 첼로, 피아노 | 1923년 |
| Comodo et amabile | 현악 사중주 | 1924년 |
| 한여름 밤의 달 | 바이올린, 피아노 | 1924년 |
| 시 | 현악 사중주 | 1926년 |
| 코르테주 | 피아노 | 1930년 |
|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무제 작품 | 바이올린 2대 | 약 1940년 (미완성) |
| 결합된 캐롤 | 현악 사중주 또는 현악 오케스트라 | 1941년 |
| 옛 잉글랜드 곡조에 의한 파사칼리아 | 비올라(또는 첼로), 피아노 | ?1940–1941년 |
| 전주곡, 알레그로와 파스토랄 | 비올라, 클라리넷 | 1941년 |
| 둠카 | 바이올린, 비올라, 피아노 | 약 1941년 |
| 내 마음을 잠재우리라 | 비올라, 피아노 | 1944년 |
| 작품명 | 편성 | 작곡 연도 | 작사/텍스트 |
|---|---|---|---|
| "방랑자의 밤의 노래" | 목소리, 피아노 | 약 1903년 | 괴테 |
| "아, 붉은 봄의 장미여" | 목소리, 피아노 | 1904년 | |
| "Aufblick" | 목소리, 피아노 | 1904년 | 리하르트 데멜 |
| "샹송" | 목소리, 피아노 | 약 1904년 | 모리스 마테를링크 |
| "Klage" | 목소리, 피아노 | 약 1904년 | 데멜 |
| "O Welt" | 목소리, 피아노 | 약 1904년 | |
| 쉬브와 메뚜기 | 목소리, 피아노 | 1904년 | 러디어드 키플링 (정글북) |
| "어둠 속의 목소리" | 목소리, 피아노 | 약 1904년 | 데멜 |
| "너" | 목소리, 피아노 | 1905년 | 리하르트 폰 쇼칼 |
| "움직이는 손가락은 기록한다" | 목소리, 피아노 | 1905년 |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 (번역: 에드워드 피츠제럴드) |
| "오, 꿈꾸는 세상" | 목소리, 피아노 | 1905년 | |
| "자장가" | 목소리, 바이올린, 피아노 | 약 1905년 | 데틀레프 폰 릴리엔크론 |
| "밤을 지나" | 목소리, 피아노 | 1906년 | 데멜 |
| "비가 온 후" | 목소리, 피아노 | 약 1906년 | 데멜 |
| "Das Ideal" | 목소리, 피아노 | 약 1907년 | 데멜 |
| "Magna est veritas" | 목소리, 피아노 | 1907년 | 코벤트리 팻모어 |
| "Manche Nacht" | 목소리, 피아노 | 1907년 | 데멜 |
| "Nacht für Nacht" | 목소리, 피아노 | 1907년 | 데멜 |
| "물망초" | 목소리, 피아노 | 1907년 | 데멜 |
| "정령" | 2개의 고음부, 피아노 | 약 1909년 | 로버트 브리지스 |
| "삶의 색깔" | 목소리, 피아노 | 약 1910년 | 전통 중국 문헌 |
| "봄의 귀환" | 목소리, 피아노 | 약 1910년 | 전통 중국 문헌 |
| "눈물" | 목소리, 피아노 | 약 1910년 | 전통 중국 문헌 |
| "위로받는 어리석음" | 목소리, 피아노 | 약 1911년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 수줍은 여자 | 목소리, 피아노 | 약 1912년 | 예이츠 |
| "천상의 옷" | 목소리, 피아노 | 약 1912년 | 예이츠 |
| "더 이상 슬픈 샘물을 울지 말아요" | 목소리, 피아노 | 약 1912년 | 익명 |
| "떠나세요, 기쁨이여" | 2개의 목소리, 피아노 | 약 1912-13년 | 존 플레처 |
| "판에게 바치는 찬가" | 테너, 바리톤, 피아노 | 약 1912-13년 | 플레처 |
| "유아의 기쁨" | 목소리, 피아노 | 약 1913년 | 윌리엄 블레이크 |
| "필로멜라" | 목소리, 피아노 | 약 1914년 | 필립 시드니 경 |
| "샐리 정원 옆에서" | 목소리, 피아노 | 1919년 | 예이츠 |
| 시편 63편 | 목소리, 피아노 | 1920년 | 시편 |
| 바다표범 남자 | 목소리, 피아노 | 1922년 | 존 메이스필드 |
| "6월 황혼" | 목소리, 피아노 | 1925년 | 메이스필드 |
| "꿈" | 목소리, 피아노 | 1926년 | 예이츠 |
| "수면" | 테너, 바리톤, 피아노 | 1926년 | 플레처 |
| "오, 그 입술을 가져가세요" | 테너, 바리톤, 피아노 | 약 1926년 | 윌리엄 셰익스피어 (자에는 자로) |
| "벚꽃 지팡이" | 목소리, 피아노 | 1927년 | 안나 위컴 |
| "8시" | 목소리, 피아노 | 1927년 | A.E. 하우스먼 |
| "인사" | 목소리, 피아노 | 약 1928년 | 엘라 영 |
| 아스피디스트라 | 목소리, 피아노 | 1929년 | 클로드 플라이트 |
| "자장가" | 목소리, 피아노 | 1929년 | 블레이크 |
| 호랑이 | 목소리, 피아노 | 1929–1933년 | 블레이크 |
| "빈노리" | 목소리, 피아노 | 약 1940년 | 전통 발라드 |
| "레테" | 목소리, 피아노 | 1941년 |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 |
| "해돋이" | 목소리, 현악 사중주 | 약 1941년 | 존 던 |
| "당나귀" | 목소리, 피아노 | 1942년 | G. K. 체스터턴 |
| 신은 나무를 만들었다 | 목소리, 피아노 | 1954년 | 캐서린 켄달 |
| 작품명 | 편성 | 작곡 연도 | 작사/텍스트 |
|---|---|---|---|
| "이제 사랑에 싫증나" | SATB | 약 1906년 | |
| 음악, 부드러운 목소리가 사라질 때 | SATB | 1907년 | 퍼시 비시 셸리 |
| "연인의 장송곡" | SATB | 약 1908년 | 셰익스피어 (십이야) |
| "올빼미" | SATB | 약 1909년 | 테니슨 |
| "오라, 오라, 내 삶의 기쁨이여" | SATB | 약 1911-12년 | 토마스 캠피온 |
| "매혹된 배처럼 내 영혼은 떠다닌다" | SATB | 약 1911-12년 | 셸리 |
| 은밀한 곳에 거하는 자 (시편 91) | SATB 독창자 및 혼성 합창 | 1921년 | 시편 |
| "그런 미덕의 장미는 없다" | 바리톤 솔로, ATBB 합창 | 1928년 | 15세기 영어 캐롤 |
| 아베 마리아 | SSA | 약 1937년 | |
| 헬라스에서 합창 | SSSAA | 약 1943년 | 셸리 |
3. 2. 작곡 양식의 특징
클라크의 음악은 대부분 비올라를 중심으로 작곡되었는데, 이는 그녀 자신이 수년간 전문 비올라 연주자로 활동했기 때문이다. 그녀의 작품 상당수는 클라크 자신과 그녀가 속했던 여성 실내악 앙상블(노라 클렌치 콰르텟, 잉글리쉬 앙상블, 달라니 자매 등)을 위해 쓰여졌다. 또한 첼리스트 메이 묵클(May Mukle)과 함께 세계 순회 공연을 하기도 했다. 그녀의 작품에는 20세기 클래식 음악의 여러 흐름이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블로흐나 라벨과 같은 당대의 주요 작곡가들과 교류하며 그들의 작품과 비교되기도 했다.[5]
드뷔시로 대표되는 인상주의는 클라크의 작품, 특히 풍부한 질감과 현대적인 화성 사용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된다. 대표적인 예로 비올라 소나타(1919)를 들 수 있는데, 이 작품은 블로흐나 힌데미트의 비올라 소나타와 같은 해에 출판되었다. 오음계를 사용한 시작 주제, 짙은 화성, 강렬한 감정 표현, 그리고 밀도 높고 리듬적으로 복잡한 질감이 특징이다. 이 소나타는 오늘날 비올라의 중요한 표준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소나타보다 1년 앞서 작곡된 ''Morpheus''(1918)는 10여 년간 가곡과 소품 위주로 작곡하던 클라크의 첫 번째 규모 있는 작품이었다. 엘리자베스 스프레이그 쿨리지가 후원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랩소디''는 약 23분 길이의 야심 찬 작품으로, 복잡한 음악적 아이디어와 모호한 조성이 곡의 다채로운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반면, 이듬해 작곡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한여름 밤의 달(Midsummer Moon)"은 가볍고 작은 규모의 곡으로, 나비의 날갯짓을 연상시키는 독주 바이올린 선율이 인상적이다.[6][37]
클라크는 현악 실내악 외에도 많은 가곡을 남겼다. 초기 작품 대부분은 독창과 피아노를 위한 곡이었다. 블레이크의 시 "The Tyger"에 곡을 붙인 "호랑이, 호랑이(The Tiger)"(1933년경 완성)는 어둡고 우울하며 거의 표현주의적인 색채를 띤다. 이 곡은 유부남 바리톤 존 고스(John Goss)와의 격정적인 관계 속에서 다른 작품을 제쳐두고 5년 동안 매달려 완성했으며, 1972년에 개정되었다.[8][31] 하지만 그녀의 가곡 대부분은 비교적 밝은 분위기이다. 초기 가곡들은 살롱 음악의 성격을 띠었으며, 예이츠, 메이스필드, A. E. 하우스먼 등 고전적인 문학 작품이나 한시를 가사로 사용했다.[5]
1939년부터 1942년까지, 그녀의 작곡 경력 후반부에 해당하는 마지막 창작 시기에는 양식이 더욱 명확해지고 대위법적인 특징이 두드러졌다. 모티프 활용과 조성 구조에 중점을 두는 등 신고전주의의 영향이 나타난다. 1941년에 작곡되어 최근 출판된 바이올린, 비올라, 피아노를 위한 ''둠카(Dumka)''는 버르토크나 마르티누와 같은 동유럽 민속 음악의 영향을 보여준다.[8][31] 같은 해 작곡되어 클라크 자신이 초연한 비올라(또는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옛 잉글랜드 곡조에 의한 파사칼리아(Passacaglia on an Old English Tune)"는 탤리스가 작곡한 것으로 알려진 선율을 기반으로 하며, 이 주제 선율이 작품 전체에 걸쳐 나타난다. 이 곡은 주로 도리아 선법을 사용하며 간혹 프리지아 선법을 넘나드는 등 선법적인 특징을 보인다. 이 곡은 "BB"에게 헌정되었는데, 학자들은 클라크의 조카보다는 그녀의 친구이자 스승이었던 프랭크 브리지의 추모 연주회를 준비하던 벤자민 브리튼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한다.[19][39] 역시 1941년에 작곡된 클라리넷과 비올라를 위한 ''전주곡, 알레그로, 파스토랄(Prelude, Allegro, and Pastorale)'' 또한 신고전주의적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원래는 그녀의 남동생 부부를 위해 쓰였다.[6][37]
클라크는 교향곡과 같은 대규모 관현악 작품은 작곡하지 않았다. 그녀의 작품 목록은 52개의 가곡, 11개의 합창곡, 21개의 실내악곡, 피아노 삼중주, 비올라 소나타 등으로 구성된다.[8] 일부 합창곡, 특히 《시편 제91편》이나 퍼시 셸리의 시 '헬라스(Hellas)'에 붙인 여성 합창곡 등은 비교적 규모가 크게 구상되었다.[34] 당시 여성의 성 역할에 대한 사회적 통념과 클라크 자신의 생각은 그녀가 대규모 작품 작곡을 주저하게 만든 배경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36] 또한 만성적인 우울증(기분 부전 장애)[33], 창작 활동에 대한 격려 부족 등도 그녀가 1942년 이후 작곡 활동을 거의 중단하게 된 원인으로 작용했다. 1944년 옛 친구이자 줄리아드 학교 교수였던 제임스 프리스킨과의 결혼 이후에는 작곡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연주 활동도 중단했다. 그녀의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1954년에 작곡된 가곡 "신은 나무를 만드셨네(God Made a Tree)"이다.
오랫동안 잊혔던 클라크의 작품은 1976년 그녀의 90세 생일을 기념하는 라디오 방송 이후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16] 그녀의 작품 중 상당수는 여전히 미출판 상태로 남아있지만,[33] 2000년대 초부터 레베카 클라크 협회 등의 노력으로 더 많은 작품들이 출판되고 녹음되고 있다.[20] 최근 출판된 예로는 두 개의 현악 사중주와 2002년에 출판된 ''Morpheus''가 있다.[6] 클라크는 생전에 "Anthony Trent"라는 남성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는 여성 작곡가에 대한 편견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트렌트"의 작품을 칭찬했던 비평가가 클라크 본명으로 발표된 다른 작품들은 무시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37]
클라크의 작품에 대한 현대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다. 1981년 비올라 소나타에 대한 리뷰는 "사려 깊고 잘 구성된 작품"이라 평했으며,[21] 1985년 리뷰는 "감정적 강렬함과 어두운 색채의 사용"을 언급했다.[22] 앤드루 아헨바흐(Andrew Achenbach)는 ''Morpheus''를 "인상적"이고 "몽환적"이라고 평했으며,[23] 로렌스 비테스(Laurence Vittes)는 클라크의 "자장가(Lullaby)"가 "지극히 달콤하고 부드럽다"고 언급했다.[24] 1987년의 한 리뷰는 "그토록 훌륭하게 쓰여지고 깊이 감동적인 음악이 이 모든 세월 동안 어둠 속에 묻혀 있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고 결론지었다.[25] 2017년 BBC 라디오 3는 클라크를 '이 주의 작곡가'로 선정하고 5시간 동안 그녀의 음악을 집중 조명했다.[26]
4. 레베카 클라크 협회
레베카 클라크 협회는 레베카 클라크의 작품 공연, 학술 연구 및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2000년 9월에 설립되었다. 음악학자 Liane Curtis|리앤 커티스eng와 Jessie Ann Owens|제시 앤 오웬스eng가 설립했으며, 브랜다이스 대학교의 Women's Studies Research Center|여성학 연구 센터eng에 기반을 두고 있다. 협회는 2000년 9월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열린 클라크 작품 기념 행사를 계기로 창설되었으며, 클라크 작품의 녹음과 학술 연구를 장려하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세계 초연 공연, 미발표 자료 녹음, 수많은 저널 출판물 등이 포함된다.[27] 협회는 특히 보스턴 지역에서의 공연 활동에 힘쓰고 있다. 초기 이사였던 Laura Macy|로라 메이시eng는 현재 그로브 음악 및 음악가 사전의 감수자로 활동하며, 1980년 판부터 클라크를 포함한 여성 작곡가에 대한 수록 내용을 늘리는 데 기여했다.
협회는 클라크의 유산 중에서 이전에 발표되지 않은 작품들을 발굴하여 공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켈트 민속을 바탕으로 한 12분 길이의 노래 "Binnorie|빈노리eng"는 1997년에 발견되어 2001년에 초연되었다. 협회 설립 이후 25개 이상의 미공개 작품이 출판되었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확장판 ''Rhapsody|랩소디eng''와, William Busch에게 헌정되어 그가 초연한 유일한 피아노 독주곡 ''Cortège|코르테주eng''(1930)를 포함한 클라크의 일부 실내악 작품은 2000년, 클라크 유산의 자료를 이용하여 Dutton|더튼eng 레이블에서 처음 녹음되었다. 또한, 2002년에는 1907년과 1909년에 작곡된 바이올린 소나타의 세계 초연을 협회가 조직하고 후원했으며, 이 역시 더튼 레이블이 운영 및 자금 지원을 담당했다.[28]
레베카 클라크 협회 회장인 리앤 커티스는 2004년 인디애나 대학교 출판사에서 처음 출판된 ''A Rebecca Clarke Readereng''의 편집자이다. 이 책은 클라크의 저작물에서 미발표된 내용을 인용한 것에 대해 클라크 유산 관리자가 문제를 제기하여 출판사에서 유통이 중단된 바 있다.[29] 그러나 이후 이 ''리더''는 레베카 클라크 협회 자체에서 재발행되었다.[30]
클라크의 활동 보급 외에도, 협회는 여성 작곡가를 지원하기 위해 Rebecca Clarke Prize|레베카 클라크 상eng에 자금을 지원하고, 여성 작곡가들의 작품을 현창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이 상은 2003년에 시작되어 2년마다 개최될 예정이다.
참조
[1]
서적
Quartet: How Four Women Changed the Musical World
Faber and Faber
[2]
웹사이트
Antonio Stradivari, Cremona, 1720, the 'General Kyd' (Provenance)
https://tarisio.com/[...]
2023-09-04
[3]
서적
A Rebecca Clarke Reader
Rebecca Clarke Society
[4]
웹사이트
Complete Piano Music
http://www.musicweb-[...]
2022-09-23
[5]
웹사이트
Clarke, Rebecca Helferich (1886–1979)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Rebecca Clarke: Midsummer Moon
[7]
논문
A Case of Identity
http://www.rebeccacl[...]
1996-05
[8]
웹사이트
Rebecca Clarke
http://www.grovemusi[...]
[9]
웹사이트
Life
https://rebeccaclark[...]
2020-06-03
[10]
웹사이트
Her Life
https://www.rebeccac[...]
Rebecca Clarke Society
2023-12-11
[11]
서적
A Rebecca Clarke reader
Rebecca Clarke Society
[12]
논문
La Semaine Anglaise at the Paris Colonial Exhibition
1931-Autumn
[13]
서적
A Rebecca Clarke Reader
Rebecca Clarke Society
[14]
서적
Unsung: A History of Women in American Music
Amadeus
[15]
백과사전
Clarke, Rebecca (Thacher)
W.W. Norton and Co
[16]
논문
When Virginia Woolf met Rebecca Clarke
2003-Fall
[17]
문서
Program notes to Clarke's Sonata for Viola and Piano
Hildegard Publishing Company
[18]
웹사이트
Clarke, Rebecca
https://www.classica[...]
2023-05
[19]
문서
Program notes to "Passacaglia on an Old English Tune"
Hildegard Publishing Company
[20]
서적
A Rebecca Clarke reader
The Rebecca Clarke Society
[21]
논문
Review: Britten. Lacrymae, Op. 48, Clarke. Viola Sonata.
1981-07
[22]
논문
Review: Clarke. Viola Sonata.
1985-07
[23]
논문
Review: A Portrait of the Viola
2003-02
[24]
논문
Viola View
2005-11
[25]
논문
Review: Clarke. Piano Trio.
1987-03
[26]
웹사이트
The Famous Viola Sonata, Rebecca Clarke (1886–1979), Composer of the Week
http://www.bbc.co.uk[...]
[27]
웹사이트
About the Rebecca Clarke Society
http://www.rebeccacl[...]
Rebecca Clarke Society
2010-12-01
[28]
웹사이트
News and Events
http://www.rebeccacl[...]
Rebecca Clarke Society
2010-12-01
[29]
뉴스
Silent Treatment
http://chronicle.com[...]
2004-07-16
[30]
웹사이트
A Rebecca Clarke Reader
http://www.rebeccacl[...]
Rebecca Clarke Society
2012-06-19
[31]
문서
Rebecca Clarke
http://www.grovemusi[...]
Grove Music Online
[32]
문서
Clarke, Rebecca (Thacher)
The Norton/Grove Dictionary of Women Composers, W.W. Norton and Co.
[33]
문서
When Virginia Woolf met Rebecca Clarke
Newsletter of the Rebecca Clarke society
2003-Fall
[34]
문서
personal correspondence
2005-05
[35]
문서
Clarke, Rebecca Helferich (1886-1979)
http://www.oxforddnb[...]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36]
논문
A Case of Identity
Musical Times
1996-05-01
[37]
간행물
Rebecca Clarke: Midsummer Moon
Dutton Laboratories
2000-01-01
[38]
간행물
Clarke's Sonata for Viola and Piano
Hildegard Publishing Company
2000-01-01
[39]
간행물
Passacaglia on an Old English Tune
Hildegard Publishing Company
1999-01-01
[40]
웹사이트
Rebecca Clarke
http://www.grovemusi[...]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008-05-16
[41]
서적
Clarke, Rebecca (Thacher)
The Norton/Grove Dictionary of Women Composers, W.W. Norton and Co.
1995-01-01
[42]
뉴스
When Virginia Woolf met Rebecca Clarke
Newsletter of the Rebecca Clarke society
2003-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