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프트밸리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프트밸리열은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RVFV)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주로 아프리카에서 발생하며 모기를 통해 전파된다. 사람과 가축 모두 감염될 수 있으며, 사람에게는 발열,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가축은 유산 및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진단은 바이러스 분리, ELISA 검사 등으로 이루어지며, 예방을 위해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사람용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으며, 가축용 백신은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리프트밸리열은 생물 무기로 연구되기도 했으며, 세계 보건 기구(WHO)는 미래 유행병 가능성이 있는 질병으로 지정하여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지동물 매개 바이러스성 질병 - 에볼라 출혈열
    에볼라 출혈열은 에볼라바이러스속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출혈 질환으로, 독감 유사 증상으로 시작하여 구토, 설사, 출혈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지만,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치료는 증상 완화에 집중하며 감염 예방을 위한 격리 및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절지동물 매개 바이러스성 질병 - 신증후군 출혈열
    신증후군 출혈열은 부니야바이러스과 한탄바이러스속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며 들쥐 배설물로 감염되어 발열, 출혈, 신부전 증상을 보이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 한국에서 유행 후 병원체가 발견 및 백신 개발되었고 유라시아 지역, 특히 중국에서 많이 발생한다.
  • 곤충 매개 질병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 곤충 매개 질병 - 말라리아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속 기생충에 감염되어 암컷 이집트모기속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질병으로, 오한, 발열, 발한 등의 주기적인 발작을 일으키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주요 공중 보건 문제이다.
  • 바이러스성 피부 질환 - 천연두
    천연두는 두창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천연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발열과 발진 증상을 보이며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 가능했으나 현재는 백신 접종이 중단되었다.
  • 바이러스성 피부 질환 - 홍역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코플릭 반점, 홍반 반점구진성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이며, 폐렴, 중이염, 뇌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MMR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이며 반백신 운동으로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리프트밸리열
질병 개요
리프트 계곡 열 조직
리프트 계곡 열 바이러스 감염 조직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
증상발열, 근육통, 두통
합병증실명, 혼란, 출혈, 간 문제
지속 기간최대 1주일
원인감염된 동물 또는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플레보바이러스
진단혈액에서 항체 또는 바이러스 발견
예방질병에 대한 동물 예방 접종, 모기 물림 감소
치료지지 요법
빈도아프리카 및 아라비아에서 발생

2. 원인

리프트밸리열은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Rift Valley fever phlebovirus'', RVFV)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질환이다. 이 바이러스는 주로 모기를 통해 전파되며, 감염된 가축이나 야생 동물의 혈액, 체액, 조직 등에 접촉하는 과정에서도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7][11] 바이러스의 구체적인 특성과 전파 경로는 각각 바이러스학 및 전파 문단에서 다룬다.

2. 1. 바이러스학

Phlebovirus 비리온과 게놈 구조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Rift Valley fever phlebovirus, RVFV)는 ''분야바이러스목''(Bunyavirales) ''Phlebovirus'' 속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이다. 이는 외피를 가진 음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의 한 종류이다. 모든 분야바이러스처럼 RVFV는 세포 진입에 필요한 두 개의 당단백질—G(N)과 G(C)—을 가진 외부 지질 외피를 가지고 있다. 이 외피 단백질들은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의 내부소포 막과 융합하여 게놈을 세포 세포질 안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RVFV의 G(C) 단백질은 플라비바이러스와 알파바이러스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II형 막 융합 단백질 구조를 가지고 있다.[4] 이러한 구조적 유사성은 이들 바이러스 계열이 공통된 기원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RVFV의 게놈은 약 11.5 kb 크기의 삼분절(세 조각으로 나뉜) 단일 가닥 RNA로 구성되어 있다. ''Phlebovirus'' 속의 특징으로, 이는 ambisense 게놈을 가진다. 즉, L 분절과 M 분절은 음성 센스(-)이지만, S 분절은 ambisense(일부는 양성 센스(+), 일부는 음성 센스(-))이다.[5] 이 세 개의 게놈 분절은 총 여섯 개의 주요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여기에는 L 단백질(바이러스 중합효소), 두 개의 당단백질 G(N)과 G(C), 뉴클레오캡시드를 구성하는 N 단백질, 그리고 비구조 단백질인 NSs와 NSm이 포함된다.[6]

2. 2. 전파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는 주로 모기 매개체를 통해 전파되며, 감염된 동물의 조직과의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된다.[7] 특히 ''Culex tritaeniorhynchus''와 ''Aedes vexans'' 두 종의 모기가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주요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7] 이 외에도 ''Aedes caspius'', ''Aedes mcintosh'', ''Aedes ochraceus,'' ''Culex pipiens'', ''Culex antennatus'', ''Culex perexiguus'', ''Culex zombaensis'', ''Culex quinquefasciatus'' 등이 잠재적인 매개체로 거론된다.[8][9][10]

자연계에서는 주로 숲모기속모기, 염소, 등 가축 사이에서 감염 고리가 유지되며, 동물 간 감염 확산은 모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로는 피터스견장과일박쥐(''Micropteropus pusillus'')와 아바둥근잎박쥐(''Hipposideros abae'') 두 종의 박쥐가 여겨지는데, 이들로부터 바이러스가 분리된 바 있다.[12]

사람에게 감염되는 주요 경로는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나 다른 흡혈 곤충에게 물리거나, 감염된 동물의 혈액, 체액, 조직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다.[11] 따라서 감염된 동물을 다룰 기회가 많은 수의사, 유목민, 농민, 도축업자 및 육류 처리장 종사자 등은 감염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 속한다.[11] 사람 간의 감염 사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리프트밸리열은 동아프리카의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 지역에서 오랫동안 알려진 풍토병이며, 이 지역의 이름이 병명의 유래가 되었다. 현재 주요 유행 지역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이다. 1930년대에 바이러스가 처음 분리된 이후, 약 10년에서 15년 주기로 여러 지역에서 소규모 유행이 반복되고 있다. 사람에서의 치명률은 약 1%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기록된 대규모 유행으로는 1977년부터 1978년까지 이집트에서 발생한 사례가 있다. 당시 약 18,000명이 감염되고 598명이 사망했다.

3. 병원성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RNA)의 여러 구성 요소가 바이러스 병리 현상에 중요하지만, S 분절에서 암호화되는 비구조 단백질(NSs)은 숙주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소이다. NSs는 숙주의 인터페론(IFNs) 항바이러스 반응을 억제한다.[13] IFN은 숙주가 바이러스 감염에 맞서 싸우는 면역 체계에 필수적이다.[14]

NSs가 IFN 반응을 억제하는 기전은 다음과 같다. 첫째, NSs는 전사 인자 형성을 경쟁적으로 억제한다.[13] NSs는 RNA 중합 효소 I과 II에 필요한 하위 단위와 결합하여[13][15] 다른 전사 인자 구성 요소와의 결합을 방해하고 전사 인자 복합체가 조립되는 과정을 막아 숙주의 항바이러스 반응을 약화시킨다.[13][15]

둘째, 전사 과정 자체를 억제한다.[13] NSs의 특정 영역이 숙주의 단백질인 SAP30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데,[13][15] 이 복합체는 히스톤 아세틸화를 감소시킨다. 히스톤 아세틸화는 IFN 프로모터의 전사 활성화에 필요한 과정이므로, 이것이 방해받으면 IFN 발현이 억제된다.[15]

셋째, NSs는 이중 가닥 RNA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R(PKR)의 정상적인 활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PKR은 숙주 세포의 항바이러스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13]

또한,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가 숙주의 DNA에 접근하면, NSs는 내부에 실 모양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는 분리 결함 및 염색체 연속성 유도와 관련된 숙주 DNA의 특정 영역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숙주의 감염성을 높이고 항바이러스 반응을 감소시킨다.[13]

4. 증상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는 사람과 가축 모두에게 감염을 일으키지만, 나타나는 증상과 심각성에는 차이가 있다.

사람의 경우,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두통, 근육통 이상 등을 동반하는 가벼운 질병을 앓고 며칠 내에 회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부 환자는 전신 쇠약, 요통, 현기증, 체중 감소를 경험하기도 한다.[3] 하지만 드물게(2% 미만) 출혈열, 뇌수막염이나 뇌염,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망막염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감염된 사람 중 약 1%가 사망에 이른다.[3]

반면, 가축에게는 훨씬 치명적인 질병이다. 감염된 임신한 가축은 거의 100%에 가까운 확률로 유산하며, 이는 종종 리프트밸리열 가축 유행병 발생의 첫 신호로 여겨진다. 이 외에도 구토, 설사, 호흡기 질환, 발열, 무기력, 식욕 부진, 어린 동물의 갑작스러운 사망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3], 가축에서의 치사율은 사람보다 훨씬 높다.

4. 1. 사람

잠복기는 2일에서 6일이다.[3]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거나, 발열, 두통, 근육통 이상을 동반하는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경미한 증상을 보인다.[3] 일부 환자는 전신 쇠약, 요통, 현기증, 체중 감소를 경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환자들은 특별한 치료 없이 발병 후 2일에서 7일 이내에 회복된다.[3]

그러나 소수의 환자(2% 미만)에서는 병이 심각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출혈열 증후군, 뇌수막염이나 뇌염, 또는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망막염과 같은 중증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3] 리프트밸리열로 인한 사람의 사망률은 약 1% 수준이다.[3] 이는 감염된 가축에서의 높은 치사율이나 유산율과는 대조적이다.

4. 2. 가축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RVF)에 감염된 가축은 사람보다 훨씬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감염된 임신한 가축은 거의 100%에 가까운 확률로 유산하며, RVF의 가축 유행병은 일반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유산의 발생으로 처음 인지되는 경우가 많다.

가축에서 나타나는 다른 증상으로는 구토와 설사, 호흡기 질환, 발열, 무기력, 식욕 부진, 어린 동물의 갑작스러운 사망 등이 있다.[3]

특히 양과 염소의 경우 발열, 고름과 같은 콧물, 설사 증상을 보이며, 임신한 개체는 90~100%에서 유산을 일으킨다. 병리학적으로는 괴사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5. 진단

진단은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하거나 ELISA를 이용한 혈청 검사에 의존한다.[3] 다른 진단 방법으로는 핵산 검사 (NAT), 세포 배양, IgM 항체 검사가 있다.[16] 2016년 9월, 케냐 의학 연구소(KEMRI)는 이전 방법보다 훨씬 빠르게 사람의 질병을 진단하도록 설계된 Immunoline이라는 제품을 개발했다.[17]

6. 예방

감염된 동물의 혈액, 체액 또는 조직과의 접촉을 줄이고, 모기 및 기타 흡혈 곤충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감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모기 기피제와 침대 그물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다. 리프트밸리열 유행 지역에서 동물과 함께 일하는 사람은 감염 가능성이 있는 동물의 혈액이나 조직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18] 환경 모니터링 및 사례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면 향후 리프트밸리열 발생을 예측하고 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8]

현재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는 백신은 없다. 위험도가 높은 환경에서 일하는 과학 인력을 대상으로 한 실험적인 백신만 개발되었을 뿐이다.[2] NDBR-103 및 TSI-GSD 200과 같은 여러 백신에 대한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19]

동물에게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백신이 있다.

동물용 리프트밸리열 백신 종류
백신 종류특징비고
불활성화 백신여러 번 접종 필요현장 접종에 비실용적[18], 양에게 실용화
생백신1회 접종양에게 부작용 (선천적 결손, 유산), 소에게 낮은 보호 수준[18], 양에게 실용화
약독화 생백신 (MP-12)실험실 시험에서 유망추가 연구 필요[18]
약독화 생백신 (Clone 13)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등록 및 사용[18]
재조합 백신개발 중유망한 결과[18]
NSs/NSm 제거 백신양에게 효과적미국 조건부 승인 관련[20][21]



미국에서는 동물을 대상으로 한 백신 사용이 조건부로 승인되었다.[20] 이 바이러스의 NSs 및 NSm 비구조 단백질을 제거하면 양에게 효과적인 백신을 생산한다는 것이 밝혀졌다.[21]

7. 역학



리프트밸리열(RVF)은 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전역에서 발생하는 풍토병이다. 특히 동아프리카의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 지역에서 오랫동안 알려져 왔으며, 이 지역명이 병명의 유래가 되었다. 다른 지역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이 질병의 발병은 엘니뇨/남방 진동의 따뜻한 시기와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 이 시기에는 강수량, 홍수, 식생 지수가 증가하는데, 이는 모기 매개체의 증가로 이어진다.[22]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RVFV)는 모기에서 수직 감염될 수 있어, 어미 모기에서 새끼 모기로 바이러스가 전달될 수 있다. 건조한 환경에서는 바이러스가 모기 알 속에서 수년 동안 생존할 수 있다. 모기는 물에 알을 낳고 이 알이 부화하는데 물이 필수적이므로, 강수량과 홍수는 모기 개체 수를 늘려 바이러스 확산 가능성을 높인다.[23]

자연계에서는 주로 숲모기속모기, 염소, 등 가축 사이에서 감염 고리가 유지된다. 동물 간에는 모기를 통해 감염이 확산된다. 사람에게는 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나 다른 흡혈 곤충에 물리거나, 감염된 동물의 혈액 또는 장기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감염된다. 이 때문에 수의사, 유목민, 농민, 도축업자 등 관련 직업군에서 감염 위험이 높다. 사람 간 감염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최초로 기록된 발병은 1931년 케냐에서 확인되었으며[24], 이후 10년에서 15년 주기로 여러 지역에서 소규모 유행이 반복되고 있다. 주요 발병 사례는 다음과 같다.

주요 리프트밸리열 발병 사례
연도지역내용
1931케냐양, 소, 사람에게 최초 발병 확인 [24]
1950–1951케냐가축 10만 마리 폐사, 상당수 발열 환자 발생 [25]
1974–1976남아프리카 공화국50만 마리 이상 동물 감염, 최초 인명 피해 발생 [26][27]
1977–1978이집트약 20만 명 감염, 최소 594명 사망 (대규모 유행, 사망률 약 1%) [28][29]
1998케냐400명 이상 사망
2000사우디 아라비아, 예멘발병 발생
2006–2007동아프리카발병 발생 [30]
2007수단발병 발생 [31]
2010남아프리카 공화국발병 발생 [32][33]
2016우간다발병 발생 [34]
2018케냐발병 발생 [35]
2018–2019마요트발병 발생 [36]
2020–2021케냐발병 발생 [37]
2022부룬디발병 발생


8. 생물 무기

리프트밸리열은 미국이 1969년 생물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하기 전 잠재적인 생물 무기로 연구했던 12가지 이상의 병원체 중 하나였다.[38][39]

9. 연구

세계 보건 기구 (WHO)는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이후, 리프트밸리열을 미래에 유행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질병 중 하나로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WHO는 새로운 진단 검사, 백신, 의약품 개발을 위한 긴급 연구 개발 계획에 리프트밸리열을 포함시켜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40][41]

참조

[1] 서적 Oxford textbook of zoonoses : biology, clinical practice, and public health contro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 Press 2011
[2] 웹사이트 Rift Valley fever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05
[3] 웹사이트 Rift Valley Fever http://en.wikivet.ne[...] 2012-05-08
[4] 논문 Crystal structure of glycoprotein C from Rift Valley fever virus 2013-01
[5] 웹사이트 ViralZone: Phlebovirus http://viralzone.exp[...] 2016-10-03
[6] 논문 Complete Genome Analysis of 33 Ecologically and Biologically Diverse Rift Valley Fever Virus Strains Reveals Widespread Virus Movement and Low Genetic Diversity due to Recent Common Ancestry 2007-03-15
[7] 논문 The 2000 epidemic of Rift Valley fever in Saudi Arabia: mosquito vector studies 2002-09
[8] 논문 Vector competence of Egyptian mosquitoes for Rift Valley fever virus 1996-02
[9] 논문 Vector competence of Kenyan Culex zombaensis and Culex quinquefasciatus mosquitoes for Rift Valley fever virus 2007-12
[10] 논문 New vectors of Rift Valley fever in West Africa
[11] 서적 Infectious diseases of livestock Oxford University Press Southern Africa
[12] 논문 "[Isolation of Rift Valley fever virus from bats in the Republic of Guinea]"
[13] 논문 Rift valley fever: recent insights into pathogenesis and prevention 2011-07
[14] 논문 Interferons and viral infections 2009-01-01
[15] 논문 The pathogenesis of Rift Valley fever 2011-05
[16] 서적 Fields Virology, 6th Edition Wolters Kluwer,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7] 웹사이트 Kemri develops kit for rapid test of viral disease http://www.nation.co[...] 2016-09-06
[18] 웹사이트 Prevention: Rift Valley Fever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 논문 The One Health Approach is Necessary for the Control of Rift Valley Fever Infections in Egypt: A Comprehensive Review 2019-02
[20] 논문 Rift Valley Fever Virus MP-12 Vaccine Is Fully Attenuated by a Combination of Partial Attenuations in the S, M, and L Segments 2015-07
[21] 논문 Rift Valley fever virus vaccine lacking the NSs and NSm genes is safe, nonteratogenic, and confers protection from viremia, pyrexia, and abortion following challenge in adult and pregnant sheep 2011-12
[22]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Rift Valley Fever epidemiology 1931–2014 http://www.infection[...] 2015-07-31
[23] 웹사이트 Rift Valley Fever https://www.cdc.gov/[...]
[24] 논문 Enzootic hepatitis or rift valley fever. An undescribed virus disease of sheep cattle and man from east africa https://onlinelibrar[...] 1931
[25] 논문 Rift Valley fever in Kenya: history of epizootics and identification of vulnerable districts 2011-03
[26] 논문 Rift Valley fever in animals and humans: Current perspectives 2018
[27] 논문 Rift Valley fever affecting humans in South Africa: a clinicopathological study https://pubmed.ncbi.[...] 1977-06-11
[28] 논문 Agricultural diseases on the move early in the third millennium 2010-01
[29] 논문 Rift Valley fever virus 2009-04
[30] 뉴스 At least 75 people die of Rift Valley Fever in Kenya http://www.iht.com/a[...] 2007-01-07
[31] 뉴스 Deadly fever spreads Kenya Panic http://news.bbc.co.u[...] BBC 2007-01-26
[32] 웹사이트 ProMED-mail http://www.promedmai[...] 2011-07-28
[33] 웹사이트 Rift Valley fever in South Africa https://www.who.int/[...] WHO
[34] 웹사이트 Outbreak Summaries | Rift Valley Fever | CDC https://www.cdc.gov/[...] 2019-02-15
[35] 웹사이트 Rift Valley fever – Kenya https://www.who.int/[...] WHO 2018-06-18
[36] 웹사이트 Rift Valley Fever – Mayotte (France) https://www.who.int/[...] WHO 2019-05-13
[37] 웹사이트 Rift Valley fever – Kenya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02-12
[38] 웹사이트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Possession and Programs Past and Present http://webarchive.lo[...] 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Middlebury College 2002-04-09
[39] 웹사이트 Select Agents and Toxins http://www.selectage[...] USDA-APHIS and CDC: National Select Agent Registry 2011-09-19
[40] 웹사이트 After Ebola, a Blueprint Emerges to Jump-Start R&D https://blogs.scient[...] 2016-12-13
[41] 웹사이트 List of Pathogens https://www.who.int/[...] 2016-12-13
[42] 논문 リフトバレー熱ウイルス https://doi.org/10.2[...] 20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