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틴 니묄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틴 니묄러는 독일의 루터교 목사이자 신학자이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이었다. 그는 처음에는 나치당을 지지했으나, 나치의 유대인 탄압 정책에 반대하며 고백교회를 설립하여 나치에 저항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으며, 전후에는 평화주의 운동과 핵 군축 운동에 헌신했다. 그는 또한 세계 교회 협의회 회장, 레닌 평화상 수상, 독일 평화 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반전 및 인권 운동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반전 운동가 - 오스카르 라퐁텐
오스카르 라퐁텐은 독일의 정치인으로, 자를란트주 주총리, 독일 사회민주당 당수, 연방 재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SPD 내 좌파로 활동하며 좌파당 결성을 주도했다. - 독일의 반전 운동가 - 클라라 체트킨
클라라 체트킨은 독일의 사회주의자, 여성 해방 운동가, 정치인으로서, 제1차 세계 대전 반대 운동과 독일 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세계 여성의 날' 제정에 기여했으며, 여성 참정권 확보 투쟁, 부르주아 페미니즘 비판, 소비에트 연방과의 협력 등 여성 해방 운동을 전개했다. - 독일 제국의 잠수정 정장 - 빌헬름 카나리스
빌헬름 카나리스는 독일 해군 제독이자 아프베어 수장으로, 나치 정권에 가담했다가 반나치 운동에 참여하여 히틀러 암살 계획에 연루되어 처형당한 인물이며, 그의 행적은 논쟁의 대상이다. - 독일 제국의 잠수정 정장 - 롤프 카를스
롤프 카를스는 독일 제국 해군 장교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잠수함 지휘관, 함대 사령관 등을 역임하고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1945년 공습으로 사망했다. - 독일의 기독교 성직자 - 레기오몬타누스
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알마게스트》 요약, 《삼각형에 대하여》 저술,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 - 독일의 기독교 성직자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마르틴 니묄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프리드리히 구스타프 에밀 마르틴 니묄러 |
출생 | 1892년 1월 14일 |
출생지 | 리프슈타트, 독일 제국 |
사망 | 1984년 3월 6일 |
사망지 | 비스바덴, 서독 |
학력 | 베스트팔렌 빌헬름 대학교 |
직업 | 신학자, 목사 |
종교 | 루터교 |
소속 교회 | 구 프로이센 연합 복음교회 헤센-나사우 개신교 교회 고백교회 독일 개신교 교회 |
서품 | 1924년 |
배우자 | 엘제 브레머 (1919년 결혼, 1961년 사망) 지빌레 폰 젤 (1971년 결혼) |
대표작 | 나치가 그들을 덮쳤을 때 |
군 경력 | |
소속 | 독일 제국 해군 |
복무 기간 | 1910년–1919년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
전투 | 유보트 작전 |
훈장 | 철십자 훈장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고백교회 공동 창립 |
주요 직책 | 헤센-나사우 개신교 교회 의장 (1945–1961) 세계 교회 협의회 의장 (1961–1968) |
관련 정보 | |
관련 인물 | 카를 바르트 |
2. 생애
마르틴 니묄러는 1892년 독일 제국 프로이센의 립슈타트에서 루터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보수적인 가정 환경에서 성장했다.[4][38] 젊은 시절 독일 제국 해군 장교가 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U보트 함장으로 참전했으며, 이 경험은 훗날 그의 저서 ''Vom U-Boot zur Kanzel'' (''유보트에서 설교단까지'')에 담겼다.
전쟁 후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에 반발하여 해군에서 퇴역하고 아버지의 뒤를 이어 목사가 되기 위해 뮌스터 대학교에서 복음주의 신학을 공부했다. 이 시기 그는 루르 봉기 당시 자유군단에 가담하여 좌익 세력 진압에 참여하고[42], 독일 국가 인민당 학생 조직 및 독일 민족 방위 동맹과 같은 극우·민족주의 단체에서 활동했다.[43] 1924년 목사 안수를 받고[9] 베를린 다렘의 목사로 부임했으며, 초기에는 나치스에 투표하기도 했다.[45]
1933년 히틀러의 집권을 처음에는 국가 부흥의 기회로 환영했으나,[12] 나치 정권이 교회에 아리아인 조항을 강요하자 이에 반대하며 목사 긴급 동맹과 고백교회 설립을 주도했다.[11] 그는 점차 나치 정권의 교회 정책에 강력히 저항하는 인물로 변모했으며, 이로 인해 1937년 체포되어 작센하우젠과 다하우 등 여러 강제 수용소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수감되었다. 다만 그의 초기 저서와 설교에는 반유대주의적 발언이 포함되어 있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14][52][3][15][16]
전후 석방된 니묄러는 헤센-나사우 개신교회 회장(1947년-1961년)을 역임하며 슈투트가르트 죄의 선언 발의에 참여하는 등 독일 교회의 과거사 성찰에 기여했다.[29] 또한 그는 전쟁과 나치즘에 대한 깊은 반성을 통해 열렬한 평화주의자로 거듭나 핵 군축 운동과 반전 운동에 헌신했다.[8][31] 세계 교회 협의회 회장(1961년-1968년)으로 활동하며 국제적인 교회 협력과 평화 증진에 힘썼고,[11] 레닌 평화상(1966년)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는 1984년 서독 비스바덴에서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6] 그의 삶은 초기 민족주의적 보수주의자에서 출발하여 나치즘에 저항하고 전후 평화 운동에 헌신하는 극적인 변화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그의 복잡한 사상과 행적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59][60]
2. 1. 초기 생애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892년 1월 14일 프로이센 베스트팔렌 (현재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립슈타트에서 루터교 목사 하인리히 니묄러(1859년–1941년)와 그의 아내 파울리네(1868년–1956년, 결혼 전 성씨 뮐러) 사이에서 태어나 보수적인 가정에서 성장했다.[4][38] 1900년 가족과 함께 엘버펠트(현재의 부퍼탈)로 이사했으며, 1908년 아비투어 시험을 치르고 1910년 이 지역의 복음주의 김나지움을 졸업했다.
아비투어 합격 후 독일 제국 해군 장교를 목표로 플렌스부르크·뮈르비크의 해군 사관학교에 입학했다. 견습 사관으로 연습함 SMS 헤르타에 배속되었고, 1912년 3월 해군 장교 시험에 합격한 후 같은 해 9월 헬고란트급 전함 SMS 튀링겐에 배속되었다.

1915년 잠수함대에 배속되어 그해 10월 U보트 지원함 SMS 불칸의 초계 장교로 부임했으며, 이후 잠수함 SM U-3에서 훈련을 받았다. 1916년 2월, SM U-73의 차석 초계 장교가 되어 4월 지중해에 배치되었다.[9] U-73은 살로니키 전선 지원, 오트란토 해협 순찰 임무를 수행했으며, 1916년 12월부터는 이집트 포트사이드 해상에서 기뢰 부설과 통상 파괴 활동에 참여했다. 당시 프랑스 국기를 게양하는 군사적 기만 전술을 사용하여 연합군 수송선 두 척과 영국 군함을 어뢰로 공격하기도 했다.
1917년 1월에는 발터 포르스트만 대위가 함장을 맡은 SM U-39의 초계 장교로 근무했는데, 이때 훗날 해군 총사령관이 되는 카를 되니츠 중위도 함께 근무했다. 이후 킬로 귀항하여 1급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39] 1917년 8월부터는 대형 잠수함 SM U-151의 선임 초계 장교로 근무하며 지브롤터 해협, 비스케이 만 등지에서 수많은 상선을 공격했다. 이 기간 동안 SM U-151 승무원은 115일 동안 55,000톤의 연합군 선박을 침몰시키는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11월에는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다카르 항 봉쇄 작전에 참가했는데, 이 때문에 알베르트 슈바이처가 탄 배의 출항이 저지되기도 했다.[40]
1918년 5월(또는 6월)에는 소형 잠수함 SM UC-67의 함장이 되었다. 남프랑스 연안에서 기뢰 부설 및 해상 봉쇄 임무를 수행하던 중 손상을 입기도 했으나,[41] 수리 후 마르세유 항구 외곽에 기뢰를 부설하여 3척의 상선(총 7만 톤)을 침몰시키고 항구를 일시적으로 폐쇄하는 전과를 올렸다.[9]
전쟁 중의 경험을 바탕으로 설교자가 되기로 결심했으며, 이는 훗날 그의 저서 ''Vom U-Boot zur Kanzel'' (''유보트에서 설교단까지'')에 기록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빌헬름 2세 황제의 퇴위와 함께 수립된 바이마르 공화국의 민주 정부를 받아들이지 않고 해군에서 퇴역했다. 이후 아버지의 뒤를 이어 목사가 되기 위해 뮌스터 대학교 복음주의 신학부에 입학했다.
2. 2.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와 목회 활동
1919년, 마르틴 니묄러는 엘제 브레머(Else Bremer, 1890년 7월 20일~1961년 8월 7일)와 결혼했다.[10] 같은 해 5월부터 10월까지 그는 오스나브뤼크 서쪽 약 8km 떨어진 베스터카펠른의 농장에서 일하며 농부가 되려 했으나, 생계 유지가 어려워 포기했다. 대신 그는 혼란스러운 사회에 복음과 교회 기구를 통해 의미와 질서를 부여하고자 하는 생각으로 복음주의 신학 공부를 결심하고, 1919년부터 1923년까지 뮌스터 대학교에서 프로테스탄트 신학을 공부했다.1920년, 니묄러가 살던 베스트팔렌 지방에서 루르 봉기라 불리는 좌익 세력의 봉기가 발생하자, 그는 준군사조직인 자유군단 소속 '뮌스터 학생 학술 방위대 제3대대'(III. Bataillon der Akademischen Wehr Münster)의 지휘관으로서 루르 적군 탄압에 가담했다.[42] 이 시기 니묄러는 다양한 극우 단체 활동에 적극적이었다. 신학부 학생으로서 독일 국가 인민당의 학생 조직에 가입하여 1년간 수장을 맡았고, 1920년 여름에는 민족주의 단체인 독일 민족 방위 동맹Deutschvölkischer Schutz- und Trutzbundde에 가입했다.[43]
1923년 베스트팔렌 복음주의 교회의 제1차 신학 시험을 통과한 후 뮌스터에서 목사 보조로 일했다. 그해, 니묄러는 뮌스터에 주둔하던 육군 연대 중대장이었던 발터 모델(훗날 독일 국방군 원수)과 알게 되었고, 모델의 세 자녀에게 세례를 주었다.[44] 당시 두 사람은 여러 면에서 의견이 일치했다.

1924년 6월 29일, 니묄러는 목사 안수를 받았다.[9] 이후 프로이센 구교회 복음주의 교회는 그를 뮌스터의 구세주 교회 부목사로 임명했다. 그는 또한 베스트팔렌 교구에서 내부 선교(복지 사업) 책임자로 봉사했다. 1927년에는 내부 선교와 관련된 대출 금융 공고를 창설했다. 니묄러는 1924년 이후의 각종 선거에서 나치스(NSDAP)에 투표했다.[45]
1931년, 니묄러는 베를린의 부유한 교외 지역인 다렘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 교회(성 안네 교회와 함께 교회를 구성)의 제3 목사로 초빙되었다.[11] 1932년에는 성 안넨 교회 담당 목사로 임명되었으며, 그의 목사 취임식은 다렘 복음주의 교회 공동체의 또 다른 교회인 예수-그리스도 교회에서 거행되었다.
1932년, 니묄러는 목사로서, 모델은 육군 소령으로서 베를린에서 재회했다. 니묄러는 모델 소령의 사저에서 환대받았다. 복음주의 교회 신도로서 예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모델은 니묄러와 자주 논쟁했다. 모델은 정치적으로 나치 지지자였지만, 교회 내 친나치 세력이었던 '독일적 기독교인'과는 거리를 두었다.[46]
2. 3. 나치 시대와 교회 투쟁
대부분의 개신교 목사와 마찬가지로 니묄러는 국가 보수주의자였으며, 바이마르 공화국의 보수적 반대자들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그는 1933년 히틀러의 집권을 국가 부흥을 가져올 기회로 보고 환영했다.[12] 1933년 봄에 출판된 그의 자서전 ''U-보트에서 설교단까지''에서 그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를 "암흑의 시대"라고 부르며 "국가 부흥"을 시작한 히틀러를 칭찬했다.[12] 이 자서전은 나치 신문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2]그러나 니묄러는 루터교로 개종한 유대인에 대한 나치의 아리아인 조항에는 분명히 반대했다. 1933년 4월 7일, "직업 공무원 재건법" 제정으로 아리아 조항이 도입되자, 이에 반대하는 목사들의 조직인 목사 긴급 동맹이 설립되었다. 니묄러는 1933년 5월 청년 종교 개혁 운동 창립 멤버로 프리드리히 폰 보델슈빙을 지지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전국적인 목사 긴급 동맹 설립을 호소하여 독일 전체 목사의 3분의 1 가량이 참여하게 했다. 이 조직은 유대계 기독교인에 대한 차별 증가에 맞서 싸우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11] 니묄러는 독일적 기독교인과의 타협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교회 내 아리아인 조항 도입 문제로 갈등이 발생했다.[48] 그는 유대인 목사가 고위 성직자가 되지 못하게 하는 선에서 아리아인 조항 적용 제외를 원했다. 1936년에는 나치 정책을 비판하고 아리아인 조항이 기독교의 자선 정신과 양립할 수 없다고 선언한 개신교 교회 지도자들의 탄원에 서명했다.[4] 이에 나치 정권은 약 800명의 목사와 교회 변호사를 대량 체포하고 기소하는 것으로 대응했다.[13]
1934년 4월 28일,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는 니묄러의 정치적 자세를 비판하며 "국가 사회주의는 독일의 기독교 교회를 철저하게 파괴할 것입니다. ... 니묄러 목사 같은 몽상가적이고 어리석은 인물이라면, 국가 사회주의를 지금도 믿을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서신을 통해 경고했다.[47] 니묄러는 이를 신앙 고백과 정치적 발언의 혼동으로 보고 강하게 거절했다.
목사 긴급 동맹은 고백교회의 모태가 되었다. 고백교회는 1934년 5월 29일부터 31일까지 바르멘에서 열린 제1차 전국 고백 회의에서 카를 바르트, 디트리히 본회퍼 등 다른 루터교 및 개신교 지도자들과 함께 설립되었다.[11] 이 회의에서는 바르트가 초안을 작성한 바르멘 선언이 발표되어 고백교회의 신학적 기초를 형성했다. 바르멘 선언은 독일 개신교회의 나치화에 반대하는 중요한 문서였으나, 일부 루터교 지도자들은 이것이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에서 벗어났다고 보며 신학적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니묄러는 고백교회의 창립자 중 한 명으로서 독일 복음주의 교회의 나치화에 강력히 반대하게 되었다.[51] 작가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토마스 만은 니묄러의 설교를 미국에서 출판하며 그의 용기를 칭찬했다.[4]


그럼에도 니묄러는 점진적으로 자신의 국가 보수주의적 견해를 포기했다. 그는 나치에 반대하면서도, 세례받은 유대계 기독교인을 자신의 교회에서 보호하는 한편, 유대인 자체에 대해서는 반유대주의적인 발언을 하기도 했다. 1935년 한 설교에서는 "수천 년 동안 지속된 [그들의] 명백한 처벌의 이유는 무엇인가? ... 유대인들이 하나님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 박았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14] 또한 그는 유대인을 "고향 없이 방황하며 세상을 속이는 재능 있는 민족"으로 묘사하며 "세상이 지금 기만적인 행위에 깨닫고 독자적인 수법으로 보복을 가한다"고 말하기도 했다.[52] 이러한 발언은 그의 유대인에 대한 태도와 반유대주의 혐의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홀로코스트 역사가 로버트 마이클은 니묄러의 발언이 전통적인 반유대주의의 결과이며, 그가 당시 "유대인 문제"에 대한 나치의 입장에 동의했다고 주장한다.[3][15] 미국 사회학자 베르너 콘 역시 니묄러의 반유대주의적 발언을 지적했다.[16] 도리스 L. 버겐은 니묄러가 스스로 반유대주의자임을 인정하면서도, 교회의 아리아인 조항이 세례의 의미를 무효화한다는 점 때문에 비아리아인 성직자 배제 계획에 반대했다고 설명한다.[18] 볼프강 게를라흐는 고백교회가 초기에는 반유대주의 투쟁보다는 교회 문제에 대한 국가 개입 방지에 더 관심이 있었다고 지적한다.[19]
1934년 1월, 니묄러는 다른 교회 지도자들과 함께 총통 관저에서 히틀러와 면담했다. 그는 히틀러에게 교회의 자유와 순수성을 강조하려 했으나 설득에 실패했다. 그의 설교는 점차 정권에 비판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고, 결국 고백교회 내에서 급진적인 노선을 취하게 되었다. 그는 구 프로이센 연합 복음주의 교회의 고백교회 평의회만이 진정한 교회 지도부라고 주장했다. 국가의 교회 정책에 저항하고 알프레트 로젠베르크와 같은 나치 이데올로그의 교회 공격에 맞서면서 그는 나치 정권에게 요주의 인물이 되었다.
니묄러는 고백교회 활동과 국가 개입 반대로 인해 결국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 수용소에 있는 동안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군 지휘관에게 편지를 보내 작센하우젠에서 석방되어 독일 국방군에 복무할 수 있도록 요청하기도 했다.[20] 그의 이러한 복잡한 행보는 헤르만 마스와 같은 다른 고백교회 활동가들과 대조된다. 마스는 모든 형태의 반유대주의에 명확히 반대했으며, 후에 야드 바쉠으로부터 열방의 의인 칭호를 받았다.[22] 니묄러는 1924년, 1928년, 1933년에 나치에 투표했으며 반유대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전쟁 후에는 입장을 바꿔 나치를 규탄하고 인권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활동을 했다.[21]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7년, 니묄러는 나치 희생자 지위를 인정받지 못했으며[27], 스스로 자신의 죄를 인정했다.[28] 1959년, 나치 정권의 인종차별과 전쟁 범죄를 연구하던 유대인 연구자 알프레드 비너는 니묄러에게 과거 유대인에 대한 태도에 대해 질문했다. 니묄러는 비너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치에 의한 8년간의 투옥이 자신의 인생 전환점이 되었고, 그 이후 모든 것을 다르게 보게 되었다고 밝혔다.[4]니묄러는 1947년부터 1961년까지 헤센-나사우 개신교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독일 개신교 지도자들이 서명한 슈투트가르트 죄의 선언의 발의자 중 한 명으로, 이 선언은 교회가 나치에 충분히 저항하지 못했음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9]
1954년 7월, "핵화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오토 한과의 만남 이후 니묄러는 열렬한 평화주의자가 되어 핵 군축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8] 그는 전후 독일 평화 운동의 주요 인물로 부상했으며, 1959년에는 군대에 대한 비판적인 발언으로 법정에 서기도 했다.[30] 베트남 전쟁이 한창일 때 북베트남의 지도자 호치민을 방문하여 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베트남 전쟁과 NATO 이중 결정에 반대하는 시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1]
니묄러는 세계 헌법 초안 작성을 위한 회의 소집에 동의한 서명자 중 한 명이었다.[32][33] 이를 통해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세계 제헌 의회가 소집되어 지구 연방 헌법 초안이 작성되고 채택되었다.[34]
1961년에는 세계 교회 협의회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11] 1966년 12월에는 레닌 평화상을 수상했다. 1967년 4월 30일에는 기념 장소로 일부 복원된 옛 다하우 강제 수용소 내 개신교 "속죄 교회" 봉헌식에서 설교했다.[35]
니묄러는 1984년 3월 6일 서독 비스바덴에서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6]
그러나 마르틴 니묄러를 단순히 나치에 대한 저항자, 평화주의자, 나치즘의 적으로만 평가하는 것은 단편적일 수 있다. 그의 자서전 『U보트에서 강단으로』에서는 독일 민족주의적 성향이 드러나며, 그 자신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독일의 여러 교회 내 반나치 세력 전부가 진정한 의미의 민주주의적이었다고 말할 수는 없으며, 오늘의 민주주의적 프로그램과 협력하여 현명하게 수행할 의지가 있다고 간주해서도 안 된다[59]
실제로 니묄러는 1945년 인터뷰에서 독일이 소련의 영향력 아래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유럽에서 미국의 군사적 개입 강화를 주장했으며, 종파 학교 재도입에 찬성하며 정교분리 원칙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60]
당시 서독 주둔 미군 사령관이었던 클레이 장군은 니묄러에 대해 워싱턴에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반나치라는 니묄러의 입장은 그의 행동으로 완벽하게 나타나지만, 과거 독일 제국의 군사적·국가주의적 시도를 나치와 마찬가지로 진심으로 거부한다고 간주하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이다[60]
니묄러는 점령국의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독일 재건 계획 중 하나였던 모겐소 플랜을 독일 민족 말살 계획으로 간주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재판 과정에서 독일군 장교들이 가혹하게 다뤄지는 것을 보며 7·20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히틀러의 처우를 떠올렸다고 한다. 또한 연합군의 융단폭격과 구 독일 동부 영토에서의 독일인 추방 문제 역시 그가 전승국에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된 배경이 되었다.
3. 유산과 영향
마르틴 니묄러가 강제 수용소에서 풀려나 귀국한 후, 오토 디벨리우스가 베를린의 교회 지도부를 이끌게 되었다. 니묄러는 1945년 8월 독일 복음주의 교회(EKD) 상임 의회 회원이 되었고, 1947년 10월에는 헤센-나사우 복음주의 교회(EKHN)의 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48년부터 1955년까지는 재외 독일인의 복음주의 교회를 관할하는 EKD 외무 국장직을 맡았으나, 이러한 직책들은 그의 성향과는 잘 맞지 않았다. 전통적인 주 교회 감독 직위에 만족했던 디벨리우스와 달리, 니묄러는 주 교회 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을 구상하며 헬후트 형제단의 전통에서 영감을 얻고자 했다. 그는 교회가 지역 공동체 중심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지역 전통이나 교파 간 대립은 미래에는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헤센 주 뷔딩겐의 고백 교회는 이젠부르크-뷔딩겐 후작가, 특히 후작 부인 마리의 보호를 받았다. 1945년 11월, 니묄러는 이 가문의 초청으로 뷔딩겐 성에 머물게 되었고, EKHN 의장으로 취임하는 1947년 10월까지 그곳에서 거주했다. 1946년 봄부터 그는 EKHN의 통합과 재편에 참여했으며, 1947년 10월 EKHN 의장(다른 주 교회의 감독에 해당)으로 초빙되어 1964년까지 재직했다. EKHN에서는 니묄러의 영향으로 교회 형제단의 이상이 비교적 잘 실현되었으며, 2010년까지 주 교회 의장과 교회 총회 의장이 공존하는 엄격한 합의제 형태를 유지했다. (2010년 이후에는 주 교회 의장이 총회 의장을 겸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니묄러는 슈투트가르트 죄책 고백 작성에 협력했으며, 이 고백은 EKHN 내에서 역사적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세계 교회 협의회(WCC) 초대 총무인 빌렘 A. 비자투후프트는 자서전에서 독일 교회의 1945년 죄책 고백 발표에 대해 니묄러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에큐메니컬한 관계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독일 측이 명확한 표현을 찾아냈으므로, 새로운 연대를 방해하는 장애는 제거되어야 한다. 니묄러는 예레미야서 14장 7-11절에 나오는 "주여, 저희가 죄를 범했습니다. 당신의 이름 때문에 부디 도와주십시오"라는 구절에서 강력한 메시지를 얻었다. "나치에게 죄를 묻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교회도 죄를 인정해야 한다"라고 니묄러는 말했다.
이 죄책 고백은 독일 복음주의 교회가 에큐메니즘 운동에 다시 참여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니묄러는 1948년부터 1975년까지 WCC 총회에 참석했으며, 1961년부터 1968년까지는 WCC 의장단 일원으로 활동했다.
한편, 전쟁 전 나치 당원이었던 신학자 마테우스 지글러(1911년–1992년)를 전쟁 후 니묄러가 EKHN 목사로 복귀시킨 일은 2007년 이후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61]
니묄러는 다양한 상과 명예를 받았다.
연도 | 상훈명 | 수여 기관/국가 |
---|---|---|
? | 빌헬름 훈장 | 기독교계 봉사 사업 관련 |
1966년 | 레닌 평화상 | 소련 |
1970년 | 독일 연방 공로 훈장 (대십자장) | 서독 |
? | 알베르트 슈바이처 평화상 | ? |
1977년 | 독일 평화 메달 금상 | 동독 |
1983년 | 카를 폰 오시에츠키 메달 | 인권 옹호 세계 연맹 |
다수 | 명예 박사 학위 | 세계 각지 대학 |
1975년 | 명예 시민 | 비스바덴시 |
니묄러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딴 여러 장소와 시설이 생겨났다.
- 교회: 바이에른 주 뉘른베르크에 루터교 소속의 「마르틴 니묄러 교회」가 세워졌다.
- 시설: 헤센 주 슈미텐의 아르놀츠하인 지구 복음주의 아카데미 회의장에 '니묄러 하우스'라는 명칭이 붙었다. 베를린-달렘에는 마르틴 니묄러 하우스가 개관했다.[67] 튀링겐 주 예나와 헤센 주 뤼셀스하임암마인에도 '마르틴 니묄러 하우스'라는 교회 시설이 있다.
- 학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빌레펠트에는 마르틴 니묄러 게잠트슐레(종합 학교), 베를린 리히텐베르크구에는 마르틴 니묄러 그룬트슐레(기초 학교)가 있다.
- 거리 및 광장: 독일 전역에 마르틴 니묄러의 이름을 딴 거리와 광장이 30곳 이상 존재한다. 베를린 판코구 니더쇤하우젠에는 '니묄러 목사 광장'(de)이 있으며, 베를린 시내 트램 M1 노선의 정류장이 설치되어 차내 안내 방송으로도 이름이 나온다.
1992년 마르틴 니묄러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독일 연방 우편에서 기념 우표를 발행했다.
3. 1. "그들이 처음 공산주의자들에게 왔을 때"
1947년, 니묄러는 나치 희생자 지위를 거부당했으며[27], 스스로 자신의 죄를 인정했다.[28] 1959년 유대인 연구자 알프레드 비너가 그의 과거 유대인에 대한 태도를 묻자, 니묄러는 편지에서 나치에 의한 8년간의 투옥이 인생의 전환점이 되어 모든 것을 다르게 보게 되었다고 답했다.[4]니묄러는 1947년부터 1961년까지 헤센-나사우 개신교회의 회장을 지냈으며, 교회가 나치에 충분히 저항하지 않았음을 인정하는 슈투트가르트 죄의 선언의 발의자 중 한 명이었다.[29]
1954년 7월, "핵화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오토 한과의 만남 이후, 니묄러는 열렬한 평화주의자이자 핵 군축 운동가가 되었다.[8] 그는 전후 독일 평화 운동의 지도적 인물이 되었고, 1958년 서독 반핵 운동의 중요한 멤버가 되었다.[62] 1959년에는 군대에 대한 비판적인 발언으로 법정에 서기도 했다.[30] 그의 눈에는 군 복무가 기독교 신앙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이었다. 화해와 융화를 위해 여러 차례 해외 강연 여행을 다녔으며, 혹독한 정치적 비판에도 불구하고 1952년 러시아 정교회의 초청으로 소련을 방문했다.
1957년 독일 평화 협회 평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58년에는 국제 병역 거부 연맹의 회장으로도 선출되었다. 1974년부터 독일 평화 협회의 회장이 되었다. 1959년에는 병사 훈련을 범죄 상습범을 만들기 위한 교련이라고 격렬하게 공격했다. 베트남 전쟁 중인 1967년에는 북베트남을 방문하여 최고 지도자 호치민과 면담했으며, 이는 큰 소동을 일으켰다. 니묄러는 베트남 전쟁과 NATO 이중 결정에 대한 항의 시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1] 일본 공산당 계열의 일본 평화 위원회가 가입해 있는 세계 평화 평의회의 명예 의장을 1967년부터 맡았다.
그는 세계 헌법 초안 작성을 위한 회의 소집에 동의한 서명자 중 한 명이었으며[32][33], 이는 세계 제헌 의회 소집과 지구 연방 헌법 초안 작성 및 채택으로 이어졌다.[34]
1961년 세계 교회 협의회 회장이 되었고[11], 1966년 12월에는 레닌 평화상을 수상했다. 1967년 4월 30일, 옛 다하우 강제 수용소에 부분 복원된 개신교 "속죄 교회" 봉헌식에서 설교했다.[35]
니묄러는 서독을 로마에서 구상되어 워싱턴에서 태어난 것으로 간주하며 건국 자체에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서독의 재군비, 냉전 시대 교회의 자세, 강대국의 군사 정책 역시 비판의 대상이었다. 그의 정치적 견해는 종종 기피되었으며, 그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입장으로 양분되었다.
1960년대 기독교와 유대교 간 화해 필요성이 제기되자 서독과 이스라엘의 국교 수립을 위해 니묄러도 협력했다.[63] 그러나 1963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구약 성서학 교수 롤프 렌트로프가 서독과 이스라엘 간 의견 교환 필요성을 주장하며 동행을 요청했을 때, 니묄러는 아랍 측 입장을 고려하여 이스라엘 문제에 더 깊이 관여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그는 "이스라엘 국가와의 관계를 어느 정도까지 진전시킬지는, 저에게는 지금도 모르겠다"라고 기록했다.[64]
사회 윤리 문제에서는 자신이 태어나 자란 루터교의 입장과 개혁 교회의 영향 사이에서 흔들리며, 제한된 틀 안에서 독립된 입장을 선호했다. "예수 그리스도라면 어떻게 발언할까"라는 사고 패턴으로 신앙적이라고 간주하는 정치적 결정을 내리는 특유의 사고방식을 보였다.[65][66]
노령이 되자 서독 정치 전반을 더욱 강하게 비판했다. 1966년의 대연정 발족으로 의회 내 비판적 야당이 자유 민주당(FDP)만 남게 되자, 루디 두치케 등이 이끈 의회 외 반대 세력(APO)을 지지하게 되었다. 또한 교회의 개혁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헤센-나사우 주 교회 총회 참석도 그만두었다. 1960년대와 70년대에는 자유로운 비판을 허용하지 않는 공산주의, 특히 당시 사회주의 세력에게도 비판의 화살을 날렸다. 1979년 3월, 제3회 러셀 법정에 배심원으로 참가하여 서독에서의 인권 침해를 탄핵했다. 1980년 1월, 베를린-다름 성 안넨 교회 부속 묘지에 있던 자신의 묘지 구획을 사망한 루디 두치케에게 양도했다.
1971년, 니묄러는 시빌라 아우구스타 소피아 폰 젤(1923년-2013년)과 재혼하여[67] 비스바덴에서 사망할 때까지 함께 생활했다. 브렌타노 거리 3번지에 있던 니묄러 저택은 현재 헤센 주에 있는 3개의 복음주의 주 교회 관리 하에 있다. 마르틴 니묄러는 1984년 3월 6일 서독 비스바덴에서 92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36], 오스나브뤼크 근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로테의 베르젠 지구에 있는 알트-에반게리셴-프리트호프의 니묄러 가 묘지에 매장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University of Chicago
1993
[2]
웹사이트
NIEMOELLER speaks! An Exclusive Report by One Who Lived 22 Months in Prison with the Famous German Pastor Who Defied Adolf Hitler
http://www.history.u[...]
1941-05
[3]
논문
Theological Myth, German Antisemitism, and the Holocaust: The Case of Martin Niemoeller, Holocaust and Genocide Studies
1987
[4]
웹사이트
"... habe ich geschwiegen'. Zur Frage eines Antisemitismus bei Martin Niemöller"
https://archive.toda[...]
[5]
간행물
GERMANY: Dynamite
https://web.archive.[...]
2010-05-12
[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7]
서적
War Is a Crime Against Humanity: The Story of War Resisters' International
War Resisters' International
2005
[8]
서적
Niemöller, Martin
Pergamon
1986
[9]
문서
Current Biography 1943
[10]
웹사이트
Martin Niemöller: Biography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11]
문서
Niemöller
[12]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a history of Nazi Germany
Simon & Schuster
[13]
웹사이트
Die Bekennende Kirche
http://www.dhm.de/le[...]
Dhm.de
2014-06-19
[14]
문서
The text of this sermon, in English, is found in Martin Niemöller, First Commandment, London, 1937, pp. 243–250.
[15]
웹사이트
H-Net Discussion Networks – Christian theological antisemitism
http://h-net.msu.edu[...]
H-net.msu.edu
2014-06-19
[16]
웹사이트
Correspondence about Niemöller's Antisemitism
http://www.history.u[...]
History.ucsb.edu
2014-06-19
[17]
서적
Twisted cross: the German Christian movement in the Third Reich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6
[18]
서적
Twisted cross: the German Christian movement in the Third Reich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6
[19]
서적
And the Witnesses Were Silent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0
[20]
서적
For The Soul of The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1]
문서
“Confessing Christians and the Fatherland”, For The Soul of The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2]
웹사이트
Yad Vashem - Request Rejected
https://web.archive.[...]
Yad Vashem
2014-06-19
[23]
서적
Who's Who in Nazi German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24]
뉴스
Niemoeller Volunteers for U-Boat Service; Nazis Reject Imprisoned Pastor's Offer
https://www.nytimes.[...]
2023-03-03
[25]
웹사이트
Defeat And Deliverance 1945 (newsreel containing the liberation)
http://www.britishpa[...]
British Pathé News
2015-05-09
[26]
웹사이트
Die Befreiung der Sonder- und Sippenhäftlinge in Südtirol
http://www.georg-els[...]
[27]
뉴스
Nazi Victim Status Denied To Niemoller
https://query.nytime[...]
1947-07-28
[28]
간행물
The American Impact on Western Europe: Americanization and Westernization in Transatlantic Perspective
https://web.archive.[...]
German Historical Institute
2024-09-15
[29]
웹사이트
Stuttgart Declaration of Guilt, Oct. 1945
http://www.history.u[...]
History.ucsb.edu
2014-06-19
[30]
웹사이트
Stichtag – Zeitgeschichtliches Archiv
http://www.wdr.de/th[...]
WDR.de
2014-06-19
[31]
웹사이트
Martin-Niemöller-Stiftung – /azurperson
https://archive.toda[...]
Martin-niemoeller-stiftung.de
2014-06-19
[32]
웹사이트
Letters from Thane Read asking Helen Keller to sign the World Constitution for world peace. 1961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1
[33]
웹사이트
Letter from World Constitution Coordinating Committee to Helen, enclosing current materials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3
[34]
웹사이트
Preparing earth constitution {{!}} Global Strategies & Solutions {{!}} The Encyclopedia of World Problems
http://encyclopedia.[...]
2023-07-15
[35]
서적
Legacies of Dachau: The Uses and Abuses of a Concentration Camp, 1933–20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뉴스
Martin Niemöller, Resolute Foe of Hitler
https://www.nytimes.[...]
1984-03-08
[37]
뉴스
ニーメラーとその言葉とは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06-04-27
[38]
간행물
Vom armen Heuerling bis zum Superintendenten – die Vorfahren des Theologen Martin Niemöller.
[39]
서적
Martin Niemöller: Festschrift zum 90. Geburtstag
Pahl-Rugenstein
[40]
간행물
Welt Krieg Gedenken. Materialien für Gottesdienste und Gemeindearbeit.
https://www.zentrum-[...]
Zentrum Verkündigung der Evangelischen Kirche in Nassau
2014-06
[41]
서적
Die UC-Boote der Kaiserlichen Marine 1914-1918 - Minenkrieg mit U-Booten
Hamburg, Berlin und Bonn
[42]
웹사이트
http://www.martin-ni[...]
[43]
논문
Martin Niemöller als völkisch-nationaler Studentenpolitiker in Münster 1919 bis 1923
2019-04
[44]
서적
Strategie der Defensive – Model
Limes-Verlag, Wiesbaden / München
[45]
서적
Die SA Jesu Christi
Frankfurt a. M.
[46]
서적
Model – Strategie der Defensive.
Limes-Verlag, München/Wiesbaden
[47]
서적
Notizen.
C. H. Beck, München
[48]
간행물
Sätze zur Arierfrage in der Kirche.
[49]
서적
Briefwechsel mit Karl Barth.
Gütersloher Taschenbücher, Siebenstern 150, Gütersloher Verlagshaus, Gerd Mohn, Chr. Kaiser Verlag, München
[50]
웹사이트
Dahlemer Bekenntnissynode
http://www.niemoelle[...]
[51]
서적
イギリスの30年代
ありえす書房
[52]
웹사이트
Predigt am Israelsonntag, 10. Sonntag nach Trinitatis, 1935
http://www.imdialog.[...]
[53]
논문
Der Prozess gegen Martin Niemöller vor dem Berliner Sondergericht 1938
2018
[54]
논문
Ein NS-Funktionär zum Niemöller-Prozess.
http://www.ifz-muenc[...]
[55]
간행물
Martin Niemöller und die 800-Jahrfeier in Gramzow
Eberswalde
[56]
서적
Gedanken über den Weg der christlichen Kirche
Gütersloher Verlagshaus, Gütersloh
[57]
서적
Der Nationalsozialismus
Günter Olzog Verlag, München
[58]
서적
Die Evangelische Kirche zwischen Traditionswahrung und Neuorientierung.
Oldenbourg, München
[59]
서적
Die Evangelische Kirche zwischen Traditionswahrung und Neuorientierung.
Oldenbourg
[60]
서적
Die Evangelische Kirche zwischen Traditionswahrung und Neuorientierung.
Oldenbourg, München
[61]
뉴스
Bruder Ziegler.
2007-02-15
[62]
웹사이트
Wiederaufrüstung
http://www.niemoelle[...]
[63]
서적
Der Staat Israel im westdeutschen Protestantismus. Wahrnehmungen in Kirche und Publizistik von 1948 bis 1972
Göttingen
[64]
서적
Der Staat Israel im westdeutschen Protestantismus. Wahrnehmungen in Kirche und Publizistik von 1948 bis 1972
Göttingen
[65]
웹사이트
http://www.ekd.de/ak[...]
epd
2009-03-04
[66]
Youtube
Eine Reise durch ein protestantisches Leben. Martin Niemöller: Was würde Jesus dazu sagen?
https://www.imdb.com[...]
[67]
웹사이트
Martin-Niemöller-Haus Berlin-Dahlem
http://niemoeller-ha[...]
2019-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