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사키 진자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사키 진자부로는 1876년 사가현에서 태어난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육군대학교를 졸업한 후 요직을 두루 거쳤다. 육군사관학교장 시절에는 존황절대주의 교육을 통해 2·26 사건의 주모자들을 배출했다. 참모 차장으로 재직하며 황도파를 형성했으나, 당파적인 행동으로 통제파의 반발을 샀다. 교육총감으로 재직하며 천황기관설을 공격했으나, 1935년 파면되었다. 2·26 사건에 연루되어 군법회의에 기소되었으나 무죄를 선고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조기 종전을 모색했으며, A급 전범으로 체포되었으나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서 불기소 처분되었다. 1956년 사망했으며, 그의 평가는 엇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상하이 사변 관련자 - 시게미쓰 마모루
    시게미쓰 마모루는 일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외무대신을 역임했으며, 전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복귀하여 부총리 겸 외무대신으로서 일본의 국제 사회 복귀에 기여한 인물이다.
  • 제1차 상하이 사변 관련자 - 우에다 겐키치
    우에다 겐키치는 일본 제국의 육군 대장으로, 관동군 사령관 겸 주만 대사 재임 중 노몬한 사건으로 예비역 편입, 상하이 사변 참전,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사건으로 중상을 입었으며, 전후에는 전우 단체 연합회 회장, 일본 향우 연맹 회장을 역임했다.
  • 황도파 - 무타구치 렌야
    일본 제국 육군 장군 무타구치 렌야는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 노구교 사건과 임팔 작전 등 주요 사건에 관여했으며, 전후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그의 군사적 능력과 작전 실패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황도파 - 이소베 아사이치
    이소베 아사이치는 일본 제국 육군 장교이자 2·26 사건의 주요 가담자로, 황도파 청년 장교 그룹의 핵심 인물로서 육군사관학교 사건에 연루되어 면관되었고, 2·26 사건 실패 후 사형 선고를 받고 총살형으로 처형되었으며, 그의 수기는 쇼와 천황과 일본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아 논쟁을 야기했다.
  • 3월 사건 관련자 - 우가키 가즈시게
    우가키 가즈시게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대신과 조선총독을 역임했으며, 군사 개혁을 단행하고 황국신민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수상 취임에 실패하고 외무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 3월 사건 관련자 - 하시모토 긴고로
    하시모토 긴고로는 일본 제국 육군 장교이자 정치인으로, 우익 쿠데타를 기획하고 파시즘 운동을 전개했으며,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마사키 진자부로
기본 정보
마사키 진자부로 장군
이름마사키 진자부로
본명眞崎甚三郞
출생일1876년 11월 27일
사망일1956년 8월 31일
출생지사가현, 일본
별명甚チャン
군사 경력
소속일본 제국 육군
복무 기간1898년 – 1936년
최종 계급육군대장
지휘일본 제국 육군 제8사단
일본 제국 육군 제1사단
주요 참전 전투러일 전쟁
기타
묘소간자키시 묘센지

2. 생애

1876년 사가현에서 태어난 마사키 진자부로는 1896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 귀국 후 일본 육군대학교 19기를 졸업했는데, 이때 동기로는 아라키 사다오, 아베 노부유키, 혼조 시게루 등이 있었다.

군에서 마사키는 군무국 군사 과장, 근위 보병 제1연대장, 보병 제1여단장, 일본 육군사관학교장, 일본제국 육군 제8사단장, 일본제국 육군 제1사단장, 타이완 주둔군 사령관, 참모 차장 겸 군사 참의관 등을 역임했다.

1932년 참모 차장이 된 마사키는 아라키 사다오 육군 대신과 함께 황도파를 형성했다.[34] 이들은 통제파의 등장을 야기했다. 마사키는 참모 차장이었지만, 당시 참모 총장이었던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아래에서 사실상 참모본부를 지휘했고, 만주사변에서 세력 확대를 주장했다.

1934년 교육총감에 취임한 마사키는 천황기관설 문제에서 국체명징운동을 적극 추진하여 천황기관설을 공격했다. 1935년 7월, 오카다 게이스케 내각은 마사키를 육군 대장으로 승진시키는 동시에 교육총감 직에서 해임하고, 후임에 와타나베 조타로를 임명했다. 이에 반발한 황도파의 아이자와 사부로 육군 중령은 8월 아이자와 사건을 일으켜 나가타 데쓰잔을 살해했다.[35]

이후 황도파 청년 장교들의 2·26 사건[36]이 일어났으나,[37] 마사키는 직접 가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진위는 불분명하다.

1936년 7월 마사키는 구류되어 헌병대 본부 조사를 받은 후 반란 방조 혐의로 군법회의에 기소되었지만, 1937년 9월 무죄 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황도파는 몰락하고 통제파가 득세했다.

1945년 11월 19일, A급 전범으로 체포되어 스가모 형무소에 수감되었으나,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서 불기소 처분되었다. 1956년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876년 사가현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6] 사가 중학교(현 사가현립 사가니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896년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897년 졸업하였다.[1] 러일 전쟁 발발로 육군대학교 수학이 중단되자, 보병 제46연대 중대장으로 참전하였다.[6]

1907년 육군대학교 19기를 은사의 군도를 받고 졸업하였다. 아라키 사다오가 수석이었으며, 아베 노부유키, 혼조 시게루 등과 동기였다.[6]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구루메 포로수용소장을 역임하였다.[6]

이후 군무국 군사과장, 근위보병 제1연대장, 보병 제1여단장, 일본 육군사관학교장, 일본 제국 육군 제8사단장, 일본 제국 육군 제1사단장, 타이완 주둔군 사령관, 참모차장 겸 군사참의관 등 군 요직을 역임하였다.[34] 육군사관학교장 시절에는 존황절대주의(尊皇絶對主義) 교육에 힘써 2·26 사건 주모자인 안도 데루조, 이소베 아사이치 등을 배출하였다.[34]

2. 2. 육군사관학교장 시절

1922년 소장으로 진급한 후 여단장을 역임하다가 일본 육군사관학교 교장을 거쳐 1925년에는 육군사관학교장에 취임했다.[2]

마사키 진자부로는 일본 육사 교장 시절 존황절대주의(尊皇絶對主義) 육성에 힘쓰며, 훗날 2·26 사건의 주모자인 안도 데루조(安藤 輝三), 이소베 아사이치(磯部 浅一) 등을 배출했다.[34]

2. 3. 황도파의 중심 인물

1932년 참모 차장이 된 마사키 진자부로는 아라키 사다오 육군 대신과 함께 국가 혁신을 도모하는 황도파를 형성하였다.[34] 이들은 세력 확대를 꾀하며 중견 장교들의 신망을 얻었으나, 당파적인 행동으로 인해 통제파의 등장을 야기했다. 마사키는 참모 차장이었지만, 당시 참모 총장이었던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대신 실질적으로 참모본부를 지휘하며 만주사변에서 세력 확대를 주장했다.

1931년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마사키는 사태를 확대하지 않고 만주국 내에서 해결하는 것을 기본 방침으로 삼았다. 제1차 상하이 사변에서는 군 주둔이 분쟁의 원인이라 판단하여 병력을 철수시켰다. 열하 토벌에서는 군사 작전은 정부 정책에 따라 결정되고 천황의 재가를 받아야 한다는 명분으로 만리장성 이북으로의 확전을 막았다.

한편, 만주사변 이후 군의 움직임에 불만을 품은 쇼와 천황은 마사키를 여러 차례 질책했다. 마사키는 천황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중재를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천황에게 오해받고 있다는 상주를 올렸지만 "매우 불쾌하다"는 반응을 얻었다.[11] 도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에게 천황의 이해를 구해달라고 요청했다가 거절당하자 "국가관념이 부족하다"며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6]

또한, 참모총장이었던 간인노미야 고토히토와의 관계도 좋지 않았다. 결재 결과에 대한 책임이 황실에 미치지 않도록 자신의 생각을 보고하는 데 그쳤지만, 오히려 혐오감을 샀다.

2. 4. 교육총감 시절과 파면

1934년 천황기관설 문제에서 마사키 진자부로는 국체명징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천황기관설을 공격하였다.[35] 오카다 게이스케 내각의 하야시 센주로 육군대신과 나가타 데쓰잔 군무국장은 이러한 흐름을 염려하여 일본 육군 개혁을 단행하고자 하였다. 1935년 7월, 마사키를 육군 대장으로 승진시킴과 동시에 육군 3장관 중 하나인 교육총감 직에서 물러나게 하고, 후임에 와타나베 조타로를 앉혔다.[35]

이 인사에 반발한 황도파의 아이자와 사부로 육군 중령은 1935년 8월 아이자와 사건을 일으켜 나가타 데쓰잔을 살해하였다.[35]

2. 5. 2·26 사건 연루와 재판

1936년 황도파 청년 장교들이 일으킨 2·26 사건[36] 발생 후, 마사키 진자부로는 사건 관여 의혹을 받았다. 반란 주모자인 안도 아키라와 이소베 아사이치 등을 지지하고 내각 조성 명령을 기대하며 행동했기 때문이다.[37] 1936년 7월 구류되어 헌병대 본부 조사를 받은 후 반란 방조 혐의로 군법회의에 기소되었으나, 사건 관여를 부인하였다.

1937년 9월 판결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지만,[13] 이 사건으로 황도파는 몰락하고 통제파가 득세하게 되었다.

마사키는 사건 이후인 3월 10일에 아라키 등 다른 장군들과 함께 예비역이 되었다. 사건 대응 과정에서 육상관저(陸相官邸)에서의 행동, 후시미 관저(伏見官邸)에서의 공작, 군사참의관회의(軍事参議官会議)에서의 칙어 반포(大詔渙発), 계엄령 시행 촉진 등이 반란자에게 유리한 행위로 간주되어, 4월 21일부터 도쿄 헌병대 본부의 오타니 케이지로(大谷敬二郎) 대위 등에 의한 조사를 받았다.

12월 28일부터 단식을 시작하여, 이듬해 1937년 1월 6일경부터는 물도 마시지 않았고, 아들(히데키 추정)을 두 번 불러 유언과 같은 말을 했다. 1월 12일경 위수병원(衛戍病院)에 입원했고, 아베(阿部) 대장 등의 면회도 허락되지 않았다.[12]

그 후 예심을 거쳐 육군군법회의법이 아닌 긴급칙령(도쿄육군군법회의에 관한 건(昭和11年3月4日勅令第21号))에 의해 설치된 도쿄육군군법회의에 의해 1937년 1월 25일에 기소되었다. 재판은 제1사단 군법회의 청사에서 6월 1일부터 진행되었다. 재판관은 상급판사가 이소무라 토시(磯村年) 예비역 대장, 판사가 마츠키 나카야스(松木直亮) 예비역 대장, 오가와 세키지로(小川関治郎) 육군법무관(소장 상당)이 맡았다. 7월 15일 논고에서는 반란자를 이롭게 한 죄로 징역 13년이 구형되었다.

9월 25일 도쿄육군군법회의 판결에서 무죄가 되었다.[13] 판결문 내용은 불명확한 것이 되었다. 반란 부대를 이롭게 한 행위는 명백하지만, 이것이 반란 부대를 이롭게 하려는 의도에 기반한 것인지는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 무죄 이유였다. 아라키가 코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 수상에게 무죄를 간청했고, 코노에는 엄벌론에 기울어 있던 스기야마 겐(杉山元) 육상을 설득하여 더 이상의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무죄로 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이소무라 증언에 따르면, 최종적으로는 오야마 후미오(大山文雄) 육군성 법무국장이 강경파인 오가와를 불러 원만한 해결을 도모하도록 설득했다.[14]

스기야마 육상으로부터 판결문을 봉정받은 천황은 이를 현장에서 정독하고, 손에 남겨두었다.

오가와 세키지로 육군법무관은 “판결 이유서는 유죄론을 전개하고, 주문에서는 무죄로 했다. 누가 판결문을 읽더라도 마사키가 유죄임을 알 수 있도록 했다”고 증언하고 있다.[14] 아라키 사다오(荒木貞夫)도 “판결 이유는 하나하나 마사키의 죄상을 적고 있다. 그리고 덧붙인 것처럼 주문은 ‘무죄’. 그런 이상한 판결문은 없다”고 말하고 있다.[11]

증인으로 출정한 이소베는 마사키의 태도에 환멸을 느껴, 『옥중일기』(獄中日記)에서 마사키를 이름으로 부르며 격렬하게 비난했다.

2. 6.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1945년 11월 19일, A급 전범으로 체포되어 스가모 형무소에 수감되었다.[15]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서는 불기소 처분을 받고 석방되었다. 1956년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17]

태평양 전쟁 중에는 요시다 시게루 등과 함께 조기 종전을 모색하기도 했다. 요시다는 마사키와 우가키 연립내각을 구상했지만, 우가키의 소극적인 태도로 무산되었다. 이후 요시다의 중개로 고노에 전 수상과 가까워졌으나, 고노에 중심의 내각 구상에는 불만을 품었다. 스즈키 간타로 내각 성립에도 실망했지만, 종전 후 정권 진출을 목표로 했다.

전범으로 수감된 후 첫 심문은 1945년 12월 2일 제일호텔에서 이루어졌다. 마사키는 심문에서 도조통제파 군인과 기토 고이치에게 전쟁 책임을 돌리고, 미국과의 전쟁을 회피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결점으로 "남을 깔보는 것과 깔보이는 것을 극도로 싫어했다"고 말했고, 미국인 검사는 이를 링컨과 같은 사상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고 한다.

극동국제군사재판 담당 검사 로빈슨은 만주사변, 2·26 사건 등과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마사키가 군국주의자가 아니며 전쟁 범죄가 없고, 2·26 사건에서는 피해자이거나 속죄양일 뿐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1956년 8월 31일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17] 유언장에서는 일본 멸망의 주된 책임이 중신, 특히 유아스 큐헤이, 사이토 마코토, 기토 고이치 3대 내대신의 무지와 사욕, 그리고 정당과 재벌의 부패에 있다고 주장했다.[18] 장례식은 1956년 9월 3일 세타가야 자택에서 거행되었고, 장례위원장은 아라키 사다오가 맡았다. 쇼와 천황으로부터 제기료가 전달되었다.

3. 평가

真崎甚三郎일본어는 복잡하고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하타 이쿠히코(秦郁彦)는 그의 저서 《군부 파시즘 운동사》에서 마사키에 대해 "속이 검은 야심가", "음험한 책략가", "젊은 장교들을 배신한 비겁자"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있다고 언급하며, "그 본질은 강자를 돕고 약자를 괴롭히는 조심스러운 관료형 야심가"였을 것이라고 평가했다.[6]

아와야 겐타로(粟屋憲太郎)는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 보관된 도쿄 재판에서의 심문 조서를 조사한 결과, 마사키가 "중학교 시절부터 친미주의자였다"고 변명한 점과, 도쿠가와 요시치카(徳川義親)의 일기에 기록된 "답변에 막히면 염주를 꺼내 들고 참배했다"는 내용을 들어, 하타 이쿠히코의 평가를 인용하며 "지금까지 읽은 심문 조서 중 마사키의 조서는 가장 수준이 낮은 것 중 하나였다"고 평가했다.[19]

한편, 마사키의 자동차 운전수였던 이시구로 고헤이(石黒幸平)는 마사키가 정이 많고 부하를 생각하는 사람이며, 육군 내부는 물론 자동차 운전수들 사이에서도 신망이 있었다고 증언했다.[21]

이시하라 간지(石原莞爾)는 마사키를 혐오했다. 이시하라가 만주에서 참모본부로 전근 명령을 받았을 때, 마사키는 "자네는 훌륭한 인재다."라며 칭찬했지만, 이시하라는 마사키가 자신을 만주에서 떼어놓으려는 배후라고 눈치채고 악수를 거부했다. 또한, 그 후에도 마사키의 술자리 초대를 거절하는 등 철저히 싫어했으며, 마사키가 내민 악수를 무시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4. 연보

마사키 진자부로 연보
연도내용
1876년사가현에서 출생
1897년 11월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9기)
1898년 6월소위 임관, 제46보병연대 배속
1899년 5월쓰시마 경비대 배속
1900년 11월중위 진급, 12월 육군사관학교 부속(구대장)
1904년 2월러일 전쟁 참전 (~ 1905년 12월), 6월 대위 진급, 제46보병연대 중대
1907년 11월일본 육군대학교 졸업 (19기, 은사)
1908년 10월육군성 군무국 과원(군사과)
1909년 1월소좌 진급
1911년 5월독일 주재 (~ 1914년 6월[23])
1914년 6월제42보병연대 대대[23]
1914년 11월중좌 진급, 제53보병연대 배속
1915년 5월 25일구루메 포로수용소장
1916년 11월 15일교육총감부 제2과장
1918년 1월 18일대좌 진급
1918년 6월 29일훈삼등 욱보장[32]
1920년 8월 10일육군성 군사과장
1921년 7월 20일근위보병제1연대장
1922년 8월 15일소장 진급, 보병 제1여단
1922년 9월 11일정오위[30]
1923년 8월 6일육군사관학교 본과장
1924년 3월유럽미국 출장 (~9월)
1925년 5월 1일육군사관학교 간사 겸 교수부장
1926년 3월 2일육군사관학교 교장
1927년 3월 5일중장 진급, 8월 26일 제8사단장
1929년 7월 1일제1사단장
1931년 8월 1일타이완군 사령관
1932년 1월 7일참모차장, 친임관 대우[8][24], 1월 13일 자원심의회 위원 임명[25], 1월 18일 궁내성 용무 담당 임명[26]
1933년 6월 19일육군대장 친임[27], 군사참의관, 6월 30일 궁내성 용무 담당 해임[28], 7월 7일 자원심의회 위원 해임[29]
1933년 7월 20일-- 훈일등 욱보장[33]
1934년 1월 23일교육총감 겸 군사참의관, 4월 29일 -- 훈일등 욱일대수장
1935년 7월 16일군사참의관
1936년 3월 10일예비역 편입
1941년사가현 교육회장 취임
-- 공사급 금시훈장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콩망되르
일등전공십자장(en)
페루 태양 훈장(en) 그랑크로와


5. 저작

제목출판년도출판사비고
欧米の軍国主義 麻布・本郷両聯隊区将校団講話会に於ける陸軍少将真崎甚三郎閣下講演|구미의 군국주의 아자부·혼고 양연대구 장교단 강화회에 있어서 육군 소장 마사키 진자부로 각하 강연일본어1924년
欧米事情 陸軍士官学校本科長真崎少将閣下講演|구미사정 육군사관학교 본과장 마사키 소장 각하 강연일본어1925년육군사관학교 고등관 집회소
時局と青年 真崎大将講演集|시국과 청년 마사키 대장 강연집일본어1942년高山書院|다카야마 서원일본어
마사키 진자부로 일기 (쇼와 7, 8, 9년 1월~쇼와 10년 2월)1981년 1월산카와 출판(山川出版社)근대 일본사료 선서 1-1
마사키 진자부로 일기 (쇼와 10년 3월~쇼와 11년 3월)1981년 7월산카와 출판(山川出版社)근대 일본사료 선서 1-2
마사키 진자부로 일기 (쇼와 11년 7월~쇼와 13년 12월)1982년 2월산카와 출판(山川出版社)근대 일본사료 선서 1-3
마사키 진자부로 일기 (쇼와 14년 1월~쇼와 15년 12월)1983년 10월산카와 출판(山川出版社)근대 일본사료 선서 1-4
마사키 진자부로 일기 (쇼와 16년 1월~쇼와 18년 4월)1987년 1월산카와 출판(山川出版社)근대 일본사료 선서 1-5
마사키 진자부로 일기 (쇼와 18년 5월~쇼와 20년 12월)1987년 1월산카와 출판(山川出版社)근대 일본사료 선서 1-6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8-04-05
[2] 서적 The Generals of World War II
[3] 서적 一革新将校の半生と磯辺浅一 芙蓉書房
[4] 간행물 陸軍現役将校同相当官実役停年名簿 1935-09-01
[5] 서적 側近通訳25年 昭和天皇の思い出 中央公論新社
[6] 서적 昭和史の軍人たち 文春文庫
[7] 백과사전 세계대백과사전 제2판
[8] 간행물 官報 1932-01-11
[9] 서적 昭和天皇五つの決断 文藝春秋
[10] 잡지 真崎大将遺書 This is 読売 1992-03
[11] 서적 二・二六事件 「昭和維新」の思想と行動 中公新書
[12] 서적 木戸幸一日記 上巻 東京大学出版会
[13] 뉴스 真崎対象に無罪の判決、軍法会議終了 大阪毎日新聞 1937-09-26
[14] 서적 二・二六事件 全検証 朝日新聞社
[15] 뉴스 荒木・南・小磯・松岡ら十一人に逮捕命令 朝日新聞 1945-11-20
[16] 간행물 公職追放に関する覚書該当者名簿 日比谷政経会
[17] 서적 事典有名人の死亡診断 近代編 吉川弘文館
[18] 잡지 真崎大将遺書 This is 読売 1992-03
[19] 서적 東京裁判への道 講談社学術文庫
[20] 서적 評伝 真崎甚三郎 芙蓉書房出版
[21] 서적 二・二六事件 ― 青年将校の意識と心理 吉川弘文館
[22]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 リサーチ・ナビ 『真崎甚三郎関係文書』 https://ndlsearch.nd[...]
[23] 간행물 官報 1920-06-08
[24] 기록 特ニ親任官ノ待遇ヲ賜フ 参謀次長陸軍中将 真崎甚三郎
[25] 간행물 官報 1932-01-14
[26] 간행물 官報 1932-01-19
[27] 간행물 官報 1933-06-20
[28] 간행물 官報 1933-07-01
[29] 간행물 官報 1933-07-08
[30] 간행물 官報 1922-09-12
[31] 간행물 官報 1913-04-09
[32] 간행물 官報 1918-07-01
[33] 간행물 官報 1933-07-21
[34] 서적 세상의 뒤바꾼 책사들의 이야기 (일본편)
[35] 서적 히로히토:신화의 뒤편
[36] 뉴스 1936년 일본군 황도파 쿠데타 http://news.khan.co.[...]
[37] 서적 세상을 뒤바꾼 책사들의 이야기 (일본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