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우선은 망우역과 광운대역을 잇는 총 4.9km의 화물 및 회송 열차 운행 노선이다. 1963년 착공하여 1964년 완공되었으며, 1973년 중앙선과 함께 전철화되었다. 이문역은 2004년 폐역되었으며, 2012년 화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13년 재개되었다. 현재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가 1일 2회 연장 운행하며, 361000호대 전동차, 368000호대 전동차 등이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우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은 상봉역에서 춘천역까지 운행하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10년 복선 전철 준공 이후 급행 및 ITX-청춘 열차 운행, 역 신설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수도권 전철 전동차가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한다. - 망우선 - 광운대역
광운대역은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춘선 환승역으로, 1939년 연촌역으로 개통, 1963년 성북역으로 변경, 2013년 광운대역으로 역명 변경과 함께 경춘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3면 5선의 지상역이다. - 196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196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선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선은 하마마쓰초역과 하네다 공항 제2터미널역을 연결하는 17.8km의 공항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개통되어 하네다 공항 이용객 수송을 담당하며, 경영 개선과 JR 동일본의 인수 등을 거쳐 현재 11개 역으로 운영되고 있고 향후 발전 계획도 추진 중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망우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망우선 |
로마자 표기 | Mangu Line |
한자 표기 | 忘憂線 |
노선 종류 | 중전철, 여객/화물, 통근 열차 |
운영 상태 | 운영 중 |
지역 | 서울 |
기점 | 망우역 |
종점 | 광운대역 |
역 수 | 2 |
개통일 | 1964년 1월 11일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노선 길이 | 4.9km |
선로 수 | 단선 |
궤간 | 1435mm (표준궤) |
전철화 방식 | 교류 25kV/60Hz 가공 전차선 |
노선도 | |
한국어 정보 | |
노선명 (한국어) | 망우선 |
한글 표기 | 망우선 |
한자 표기 | 忘憂線 |
종류 | 지선 철도 |
상태 | 영업 중 |
노선 번호 | 20301 |
기점 (한국어) | 망우역 (서울특별시 중랑구) |
종점 (한국어) | 광운대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
역 수 (한국어) | 3 |
개통일 (한국어) | 1964년 1월 11일 |
소유자 (한국어) |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한국어) | 한국철도공사 |
영업 거리 (한국어) | 4.9km |
궤간 (한국어) | 1,435 mm (표준궤) |
선로 (한국어) | 1 |
전철화 (한국어) | 가공 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Hz |
신호 방식 | ATS |
2. 연혁
- 1963년 8월 19일 : 망우 - 성북 구간 착공[2]
- 1964년 1월 11일 : 망우 - 성북 구간 4.9km 완공
- 1964년 5월 1일 : 망우 무연탄 하화장 착공
- 1966년 11월 11일 : 이문역 영업 개시
- 1966년 12월 30일 : 무연탄 하화장 구내 A·B선 완공으로 일부 가동 개시
- 1969년 2월 22일 : 망우 무연탄 하화장 준공
- 1973년 6월 20일 : 전철화 공사 완공(중앙선과 동시 시공)
- 1999년 11월 18일 : 이문차량사업소 건설 실시계획 승인
- 2013년 12월 18일 : 성북역에서 광운대역으로 역명 변경[2]
-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201'''로 변경[3]
- 2020년 11월 12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20301'''로 변경[4]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이문차량사업소 건설이 진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2004년 이문역이 폐역되었다. 2012년 5월 12일 망우선 화물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2013년 10월 1일 재개되었으며, 2013년 11월 4일부터는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가 주중에 한하여 1일 2회 망우선을 경유하여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을 시작하였다.
2. 1. 건설 및 운영
망우선은 1963년에 건설되었다. 망우선 건설은 경원선과 중앙선을 연결하여 두 노선을 경유하는 화물 수송력을 확대하고 운행 장애를 최소화하며, 이문동에 무연탄 저탄장을 설치하여 서울 지역의 에너지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것이었다. 저탄장은 총 5개 선(A, B, C, D, D`)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석탄을 중력식으로 하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다.이후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이 확정되고 해당 지역을 운행하는 전동차 총량이 늘어나면서, 동부 지역 차량 기지인 이문차량사업소를 건설하기로 결정되었다. 이미 도시 팽창으로 환경문제를 초래하고 있던 망우 무연탄 하화장은 폐지되었고, 이 곳을 부지로 활용하기로 하였다. 이후 기지 건설이 시작되면서 이문역은 2004년에 폐역되어 해당 노선이 가진 화물 취급은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삼각선 기능과 이문차량사업소 입·출고 차량 회송용 선로로 활용되고 있다. 2013년 11월 4일부터는 주중에 한해 1일 2회씩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가 망우선을 경유하여 광운대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날짜 | 내용 |
---|---|
1963년 8월 19일 | 공사 착공 |
1964년 1월 11일 | 개업 |
1966년 11월 11일 | 리문역 개업 |
1973년 6월 20일 | 전철화 |
1999년 12월 29일 | 리문차량사업소 공사 착공 |
2004년 7월 5일 | 리문역 폐지 |
2005년 7월 5일 | 리문차량사업소 개소 |
2010년 12월 21일 | 경춘선 복선 전철화 개통. 망우역~상봉역 구간에 경춘선 전동차 운행 개시 |
2012년 2월 28일 | 368000계 전동차 (ITX-청춘) 운행 개시 |
2012년 5월 12일 | 화물열차 운행 중지 |
2013년 10월 | 화물열차 운행 폐지 |
2013년 11월 4일 | 경춘선 전동차 운행 구간을 상봉역~광운대역 구간으로 연장 |
2. 2. 이문차량사업소 건설 및 변화
1963년 망우선 건설 당시, 경원선과 중앙선을 연결하여 화물 수송 능력을 높이고 운행 장애를 줄이는 동시에, 서울특별시의 에너지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이문동에 무연탄 저탄장을 설치하였다. 이 저탄장은 5개 선(A, B, C, D, D`)을 갖추고 석탄을 중력식으로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이후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이 결정되고, 해당 지역을 운행하는 전동차 수가 증가하면서 동부 지역의 차량 기지인 이문차량사업소를 건설하기로 하였다. 도시 팽창으로 환경 문제를 일으키던 망우 무연탄 하화장은 폐지되었고, 이 부지에 차량기지를 건설하였다. 기지 건설이 시작되면서 이문역은 2004년에 폐역되었고, 화물 취급도 중단되었다. 현재 망우선은 삼각선 기능과 이문차량사업소 입·출고 차량의 회송용 선로로 활용되고 있다. 2013년 11월 4일부터는 주중에 한해 하루 2회씩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가 망우선을 경유하여 광운대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3. 노선 정보
노선은 신이문역 북단부터 광운대역까지 경원선과 함께 가고 있으며, 상봉역에서 망우역까지 중앙선과 함께 가지만 운행체계가 분리되어 있어, 영업거리는 별도로 계산한다.
이 구간은 화물 전용 노선으로 쓰이고 있으며,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후 이문차량사업소에 입·출고하는 중앙선 전동차의 회송 선로로도 이용되고 있고, 경춘선에서 운행하는 광운대행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급커브 구간이 많아 열차 운행 시 제한 속도가 매우 낮다.
여객 열차 운행은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하루 2회 상봉역에서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하는 것이 전부이다. 과거에는 '카레일'이라고 불린, 여객과 자동차를 함께 운반하는 열차가 이 구간을 경유하여 운행한 적이 있다. 코레일은 성북에서 출발하여 망우선을 거쳐 강릉까지 운행하는 열차로 여름 한정으로 운행되었으나, 호응이 높지 못하여 현재는 폐지되었다.[5]
2022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망우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선구 | 선로 용량 | 일반 여객 | 전동차 | 화물 열차 | 운행 총계 |
---|---|---|---|---|---|
망우 - 광운대 | 45 | 0 | 0 | 0 | 0 |
4. 역 목록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망우역 | Mangu | 忘憂 | 0.0 | 0.0 | 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 서울특별시 중랑구 |
상봉역 | Sangbong | 上鳳 | 0.6 | 0.6 | 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서울 지하철 7호선 | |
Imun | 里門 | 1.7 | 2.3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
광운대역 | Kwangwoon Univ. | 光云大 | 2.6 | 4.9 | 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서울특별시 노원구 |
↑ 경춘선 신내역 방면 |
5. 노선 특징
망우선은 1963년에 건설되었다. 망우선 건설 목적은 경원선과 중앙선을 연결하여 두 노선을 경유하는 화물 수송 능력을 확대하고 운행 장애를 최소화하며, 이문동에 무연탄 저탄장을 설치하여 서울 지역의 에너지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것이었다.[5] 저탄장은 총 5개 선(A, B, C, D, D`)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석탄을 중력식으로 하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이후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이 확정되고, 해당 지역을 운행하는 전동차의 총량이 늘어나면서 동부 지역의 차량 기지인 이문차량사업소를 건설하기로 결정되었다. 도시 팽창으로 환경문제를 초래하고 있던 망우 무연탄 하화장은 폐지되었고, 이곳을 부지로 활용하였다. 기지 건설이 시작되면서 이문역은 2004년에 폐역되어, 해당 노선이 가진 화물 취급은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삼각선 기능과 이문차량사업소 입·출고 차량의 회송용 선로로 활용되고 있다.[5] 2013년 11월 4일 주중에 한해 1일 2회씩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가 망우선을 경유하여 광운대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노선은 신이문역 북단부터 광운대역까지 경원선과 병행하고 있으며, 상봉역에서 망우역까지 중앙선과 병행하나 운행체계가 분리되어 있으며, 영업거리 계산도 별도로 이루어진다.
이 구간은 화물 전용 노선으로 쓰이고 있으며,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후, 이문차량사업소에 입·출고하는 중앙선 전동차의 회송 선로로도 이용되고 있고 경춘선에서 운행하는 광운대행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와 더불어 급커브 구간이 많아서 열차 운행시 제한 속도가 매우 낮다.[5]
여객 열차 운행은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하루 2회 상봉역에서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하는 것이 전부이다. 과거에는 '카레일'이라고 불린, 여객과 자동차를 함께 운반하는 열차가 이 구간을 경유하여 운행한 바 있다. 코레일은 성북에서 출발하여 망우선을 거쳐, 강릉까지 운행하는 열차로 여름 한정으로 운행되었으나 호응이 높지 못하여 현재는 폐지되었다.[5]
2022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망우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선구 | 선로 용량 | 일반 여객 | 전동차 | 화물열차 | 운행 총계 |
---|---|---|---|---|---|
망우 - 광운대 | 45 | 0 | 0 | 0 | 0 |
6. 운행 차량
7. 과거 운행 차량
과거 운행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로, 리문차량사업소로 회송할 때만 사용되었다.
8. 이용객 변동
다음은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6]
구분 | 이용 인원수 (명) |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통일(통근) | 0 | 0 | 0 | 0 | 0 | 0 | 0 | 0 |
무궁화 | 1,211 | 1,986 | 2,043 | 1,582 | 0 | 0 | 0 | 1,498 |
새마을 | 0 | 354 | 354 | 0 | 0 | 0 | 384 | 2,873 |
합계 | 1,211 | 2,340 | 2,397 | 1,582 | 0 | 0 | 384 | 4,371 |
참조
[1]
웹사이트
철마 110년, 영고의 자취 [12] 경제개발과 철도
http://www.silvernet[...]
Silvernet News
2010-03-20
[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http://gwanbo.mois.g[...]
2017-12-18
[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798호
https://gwanbo.go.kr[...]
2020-11-12
[5]
웹인용
차 렌트 귀찮으신가요? 기차에 싣고 가세요! 승용차와 여객을 동시에! 2000년 카레일
https://www.youtube.[...]
2022-02-25
[6]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