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이문역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의 전철역이다. 1980년 1월 5일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이문초등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등 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1일 평균 이용객 수는 승차 7,998명, 하차 7,385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신설동역
신설동역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성수지선, 우이신설선 등 3개 노선의 환승역이며,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 1980년 개업한 철도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1980년 개업한 철도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신이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이름 | 신이문역 |
로마자 표기 | Sinnimunnyeok |
한자 표기 | 新里門驛 |
역 번호 | 121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64-6) |
승객 수 (2012년 기준) | 20,107명 (1호선)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경원선 |
개업일 | 1980년 1월 5일 |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개 |
선로 수 | 2개 |
부역명 | 한국예술종합학교 |
서비스 | |
인접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급행 전역: 석계 다음 역: 외대앞 일반 전역: 석계 다음 역: 외대앞 |
기타 |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광운대관리역 |
영업 거리 | 연천 기점 57.6km |
역 종류 | 배치간이역 / 지역본부 소재역 |
승강장 구조 | 상대식 승강장 |
2018년 승차 인원 | 9,515명 |
2018년 승강 인원 | 17,997명 |
2. 역명
역이 이문동에 있지만 '''신이문'''이라는 역명을 사용하는 이유는 2004년 7월 5일 이문차량사업소 건설로 폐역된 망우선 이문역과의 명칭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3. 역사
4.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교상역사이다.
4.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교상역사 형태이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5개다.승강장 안내 | ||
---|---|---|
↑ 석계 / 외대앞 ↓ | ||
승강장 | 노선 | 방면 |
1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 광운대 · 의정부 · 양주 · 동두천 · 연천 방면 (일반, 급행) |
2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 회기 · 구로 · 부천 · 인천 · 서동탄 · 신창 방면 |
5. 역 주변
6. 이용객 변동
구 분 | 일평균 이용객 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16,822 | 19,103 | 20,321 | 21,112 | 17,843 | 17,248 | 14,422 | 13,431 | 12,876 | 13,363 | [6][4] |
하차 | 12,938 | 15,328 | 16,380 | 20,240 | 16,626 | 16,218 | 13,411 | 12,552 | 12,036 | 12,450 | ||
구 분 | 일평균 이용객 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1호선 | 승차 | 13,605 | 13,772 | 13,709 | 13,644 | 13,437 | 12,849 | 12,642 | 9,715 | 9,515 | 9,330 | [6][4] |
하차 | 12,693 | 12,892 | 12,795 | 12,724 | 12,591 | 12,071 | 11,930 | 8,607 | 8,482 | 8,394 | ||
구 분 | 일평균 이용객 수 (명/일) | 각주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1호선 | 승차 | 7,178 | 7,062 | 7,572 | 7,998 | [6](2020-21) [4](2020-23) | ||||||
하차 | 6,571 | 6,572 | 6,991 | 7,385 | [6](2020-21) [4](2020-23) |
7. 사진
8. 인접한 역
(인천·서동탄·신창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