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면책특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면책특권은 입법부 구성원이 직무 수행 과정에서 받는 법적 책임을 제한하는 특권으로, 의회 내 발언과 표결의 자유를 보장하여 입법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면책특권은 역사적으로 영국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국가에서 의원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제도로 발전했다. 각국은 자국의 정치적 상황과 역사적 맥락에 따라 면책특권의 범위와 적용 방식을 다르게 규정하고 있으며,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국가, 브라질, 프랑스, 독일, 그리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터키, 우크라이나, 미국, 베트남, 일본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대한민국에서는 국회의원이 국회 내 직무상 발언과 표결에 대해 국회 밖에서 민형사상 책임을 지지 않는 면책특권과, 회기 중 체포 또는 구금으로부터의 불체포특권을 헌법으로 보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면책특권 - 사면
    사면은 형벌 완화를 의미하며, 대통령이 법률에 따라 형벌을 면제하거나 검사의 불기소처분을 하는 대한민국 헌법상의 권한이다.
  • 면책특권 - 주권면제
    주권 면제는 국제법상 국가가 다른 국가의 재판 관할권으로부터 면제되는 원칙으로, 과거 절대 면제주의에서 제한 면제주의로 변화하는 추세이며 소송 면제와 강제 집행 면제로 구분되고, 쟁점과 논란 속에서 국제 사회의 논의와 각국의 제도 개선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 입법부 - 상원
    상원은 양원제 국가에서 하원과 함께 입법부를 구성하는 의회로서, 권한, 선출 방식, 의원 수, 임기 등에서 하원과 차이를 보이며 행정부 견제, 조약 비준, 고위 공직자 임명 동의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입법부 - 의회 제도
    의회 제도는 국가의 입법 기관으로, 양원제와 단원제로 나뉘며, 대한민국은 단원제를 채택하여 법률 제정, 예산 심의, 정부 견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헌법 - 프랑스 헌법
    프랑스 헌법은 국민주권, 권력분립, 인권 보장 등의 원칙을 명시하며, 강력한 대통령 중심의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1958년 헌법을 기준으로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헌법 - 일본국 헌법
    일본국 헌법은 1947년 5월 3일 시행된 일본의 최고 법규로, 천황을 상징적 존재로 규정하고 국민주권, 민주주의, 평화주의, 기본적 인권 존중을 핵심 이념으로 하며, 9조에서 전쟁 포기 및 전력 불보유를 선언하고 있다.
면책특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법적 보호
목적입법부의 독립성 및 자유로운 의사 표현 보장
적용 대상국회의원 및 입법부 구성원
보호 범위의사 표현 및 투표 행위
직무 수행 중 발생한 행위
예외형법 위반 행위
명예훼손
모욕
기타 불법 행위
내용
의의의원은 국회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과 표결에 대해 국회 외에서 책임을 지지 아니한다.
면책특권은 의원의 발언 및 표결의 자유를 보장하여 국회의원의 양심에 따른 자유로운 의정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제한국회의원 면책특권은 형사 소추로부터 보호받는 것이지 민사상의 책임까지 면제하는 것은 아니다.
국회의원의 불법 행위가 있더라도, 수사나 형사재판을 막을 수 없다.
해외 사례프랑스: 면책 특권 외에 불체포 특권 인정 (중대 범죄 제외)
독일: 면책 특권 및 불체포 특권 인정
미국: 면책 특권만 인정
영국: 의회 특권 (언론 자유 및 법적 책임 면제)
대한민국
헌법 조항대한민국 헌법 제45조
내용국회의원은 국회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과 표결에 관하여 국회 외에서 책임을 지지 아니한다.
적용 범위국회의원의 직무와 관련된 모든 발언과 표결
본회의, 위원회 등 국회 내 모든 회의에서의 활동
국회 외에서 직무 관련 발언 및 표결의 연장선상에 있는 행위
제한면책특권은 국회의원의 모든 행위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직무상 행위에 한한다.
면책특권은 국회의원의 발언과 표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법적 책임을 면제하는 것이지만, 형사 소추를 완전히 막는 것은 아니다.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서 징계 가능
기타
참고 법률대한민국 헌법 제45조

2. 역사

의원의 신분 보장을 위한 첫 투쟁은 1397년 토머스 핵시 사건이다. 토머스 핵시 하원의원은 국왕 리처드 2세의 방탕한 생활과 재정 낭비를 정면으로 비판하는 청원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이에 격분한 왕은 그를 반역죄로 기소하여 의원직 박탈, 재산 몰수에 사형까지 선고했다. 그러자 동료 의원들이 탄원서를 내는 등 들고일어나 사형 집행을 저지했다. 1399년 리처드 2세를 몰아낸 헨리 4세는 리처드 2세의 조처가 "의회의 법과 관례에 어긋났다."며 핵시를 사면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영국 의회는 의회에서의 토론과 발언이 위협받지 않을 권리를 요구했지만, 왕들은 지키지 않았다.[51]

2. 1. 영국

1397년 토머스 핵시 사건은 의원의 신분 보장을 위한 첫 투쟁으로 기록된다.[51] 토머스 핵시 하원의원은 국왕 리처드 2세의 방탕한 생활과 재정 낭비를 정면으로 비판하는 청원안을 의회에 제출했다.[51] 이에 격분한 왕은 그를 반역죄로 기소하여 의원직 박탈, 재산 몰수에 사형까지 선고했다.[51] 그러자 동료 의원들이 탄원서를 내는 등 들고일어나 사형 집행을 저지했다.[51] 1399년 리처드 2세를 몰아낸 헨리 4세는 리처드 2세의 조처가 "의회의 법과 관례에 어긋났다."며 핵시를 사면했다.[51] 이 사건을 계기로 영국 의회는 의회에서의 토론과 발언이 위협받지 않을 권리를 요구했지만, 왕들은 지키지 않았다.[51]

2.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면책특권은 대한민국 헌법 제45조에 따라 국회의원이 국회 내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과 표결에 관하여 국회 밖에서 민사상·형사상의 책임을 지지 않는 특권이다.[52] 이는 국회의원이 자유롭게 소신을 밝히고 양심에 따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여된 것이다.[52] 국회 밖에서 행한 발언이나, 국회 안에서 행한 발언이 국회 안에서 문제되는 것은 면책특권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국회 내에서는 책임을 지게 된다.[52]

1987년 헌법(대한민국 헌법)에서 확립된 국회의원 면책특권은 6월 항쟁을 비롯한 민주화 운동 이후 거의 30년간 지속된 군사 독재를 종식시킨 결과이다. 헌법은 국회의원에게 회기 중 발언이나 투표에 대한 형사 및 민사상 책임으로부터의 면책을 부여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44조는 대한민국의 장기간 군사독재 정권이 대통령의 의중에 반하는 투표를 막거나 대통령의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 국회의원을 구금해 온 역사에 대한 대응으로 제정되었다.

대한민국 헌법 제45조는 국회의원이 국회에서 공식적으로 표명한 의견이나 행한 투표에 대해 형사 및 민사상 책임으로부터 면책되도록 한다. 그러나 국회의원 면책은 회기 중이라도 제45조에 해당하지 않는 행위에 대해서는 형사 고발로부터 보호하지 않는다.

3. 각국의 면책특권

면책특권은 각국 헌법에서 거의 동등하게 인정되며,[30] 국회의원이 국회에서 자유롭게 발언하여 의회 제도의 적정을 확보하기 위해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제도이다.[28][29][30] 각국의 면책특권은 다음과 같다.

국가내용
영국 등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국가의회 면책 특권에 따라 명예훼손으로부터 보호받지만, 형사법상 면제는 받지 못한다.[2]
브라질의원의 직무와 관련 없는 범죄(살인, 절도 등)에도 적용되지만,[3][4] 의원직 취임 전 범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프랑스의원 활동에 대한 책임 면제와 부분적 불가침성을 누린다.
독일의회 내 발언은 면책되지만, 명예훼손적 모욕은 예외이며,[8] 현행범이 아니면 의회 허가 없이 체포될 수 없다.[8]
그리스범죄 기소, 체포, 구금으로부터 면책되지만,[9] 현행범 체포는 예외이다.[10]
이탈리아1993년에 면책 특권이 제한되었지만, 도청 등 특정 사법 행위에 대한 허가를 거부하는 방식으로 남용이 계속되고 있다.[14]
포르투갈불가침성절차적 면책으로 구성되며,[16][17] 의회 동의를 통해 면책 특권 해제가 가능하다.
스페인Aforos|아포로스es라는 특권으로 불가침성과 면책권을 가지며,[1] 대법원에서만 재판받는다.
터키2016년 헌법 개정으로 면책 특권이 폐지되었다.[20]
우크라이나의회 면책 특권이 보장되지만, 모욕이나 명예훼손은 예외이다.[23]
미국의회 발언에 대한 기소 면제와 의회 출석 권리가 보장된다.[24]
베트남체포 및 기소로부터 보호받으며,[25][26] 국회 또는 인민위원회 동의로 철회될 수 있다.[25][26]
일본의회 내 연설, 토론, 표결에 대해 면책특권이 규정되어 있다(일본국헌법 제51조).[28][29][30]


3. 1.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국가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을 채택한 국가(예: 영국)의 의원들은 의회에 있는 동안 의회 면책 특권에 따라 민사법 및 형사법상의 명예훼손으로부터 보호받는다. 이러한 보호는 의회 특권에 따라 의회 양원에 부여되는 특권의 일부이다.[2]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하에서는 국회의원들이 형사 고소로부터 면제받지는 않는데, 이는 영국 헌법의 핵심 원칙인 법 앞에 모두 평등하다는 데서 비롯된다.[2]

3. 2. 브라질

1988년 브라질 헌법은 하원과 상원 의원 모두에게 의회 면책 특권을 부여한다. 다른 국가들과 달리, 브라질의 의회 면책 특권은 의원의 직무와 관련 없는 범죄(살인, 절도 등)에도 적용된다.[3][4] 단, 의원직 취임 전에 저지른 범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의원은 현행범으로 체포될 경우, 보석이 불가능한 범죄에 대해서만 체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포는 해당 의원이 속한 의회의 표결로 무효화될 수 있다.[3][4]

형사 소송은 의원의 임기 시작 후에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만 중단될 수 있으며, 중단 요청은 의회 의원 과반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국회의원을 포함한 고위 정치인들은 하급 법원이 아닌 대법원에서만 기소되고 재판을 받는다.[5]

1988년 의회 면책 특권이 제정된 이후 2007년까지 브라질 정치인이 연방 대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은 없다.[6]

2005년 멘살랑 스캔들 이후, 연방 대법원은 2007년 8월 24일 40명(대부분 전직 또는 현직 연방 의원이며, 모두 브라질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의 동맹이었다)에 대한 기소를 받아들여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7]

3. 3. 프랑스

프랑스 의회 의원들은 의원으로서의 활동에 대해 '책임 면제'를 누리고, 부분적인 '불가침성', 즉 경찰이나 사법 당국이 체포하거나 구금하는 데 대한 엄격한 제한을 받는다. 책임 면제와 불가침성은 모두 프랑스 헌법 제26조에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항들은 이러한 특권의 남용 사례가 있은 후 다소 논란이 되고 있다.

3. 4. 독일

기본법 제46조는 "의원은 어떠한 경우에도 투표 행위 또는 연방의회 또는 그 위원회에서의 발언이나 토론에 대해 연방의회 외부에서 법적 절차나 징계 조치의 대상이 되거나 책임을 추궁당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단, "명예훼손적인 모욕"의 경우는 예외로 한다.[8]

또한 "의원은 체포 현행범 또는 체포 다음 날까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연방의회의 허가 없이 처벌받을 수 있는 범죄에 대해 책임을 추궁당하거나 체포될 수 없다."라고 명시하고 있다.[8]

더 나아가 연방의회는 의원의 구금 또는 기소를 중지하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8]

3. 5. 그리스

헬라스 의회 의원들은 재직 중에는 범죄 기소, 체포 또는 구금으로부터 면책된다.[9] 단, 현행범으로 체포되는 경우는 예외이다.[10] 또한 입법 기능 및 심의와 관련하여 어떤 기관에도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없다.[9] 그러나 헌법과 의회 규칙 모두 검찰청이 특정 범죄에 대해 의원의 면책 특권을 해제해 줄 것을 의회에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의원들은 공개 투표를 통해 결정한다.[11]

3. 6.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의원 면책 특권은 1948년 제헌의회에 의해 다시 도입되었다. 이는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니티(Francesco Saverio Nitti)(1923년 가을 파시스트 경찰에 의해 집이 수색당하고 약탈당함), 자코모 마테오티(Giacomo Matteotti)(야당 의원으로 활동하다 파시스트들에 의해 1924년 6월 10일 살해당함), 조반니 아멘돌라(Giovanni Amendola)(1925년 몬테카티니에서 폭행당하고 1926년 4월 칸(Cannes)에서 사망),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1926년 11월 9일 의원직이 박탈되고 국회의원이자 정치적 반대자로서의 활동으로 1928년 특별 법정에서 재판을 받고 투옥되었으며 서신이 압수됨)와 같은 사례를 방지하기 위함이었다.[13]

면책 특권은 1993년에 제한되었지만, 도청과 같은 특정 사법 행위에 대한 허가를 거부하는 방식으로 남용이 계속되고 있다.[14] 따라서 최종 판결에서 헌법재판소는 종종 의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의회의 결정을 뒤집고 사법부의 활동을 허가한다.[15]

3. 7. 포르투갈

포르투갈의 국회의원 면책 특권은 포르투갈 공화국 헌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의무 수행 중 의원들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고 외부 압력이나 보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수준의 면책으로 구성된다.[16][17]

  • '''불가침성''': 국회의원은 직무 수행 중 표명한 의견이나 행사한 투표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없다. 이 면책은 절대적이고 영구적이며, 임기 종료 후에도 적용된다.
  • '''절차적 면책''': 국회의원은 공화국 의회의 허가 없이는 체포, 구금 또는 자유를 박탈하는 어떠한 조치에도 처해질 수 없다. 단, 3년 이상의 징역형에 해당하는 범죄를 현행범으로 체포된 경우는 예외다.


국회의원 면책 특권은 특정 절차에 따라 특정 상황에서 포기될 수 있다.

# '''면책 특권 포기 요청:''' 이는 검찰 또는 사법 절차의 판사가 요청할 수 있으며, 이는 공화국 의회 의장에게 전달되어 윤리위원회로 송부된다.

# '''윤리위원회:''' 공화국 의회의 윤리, 권리 및 보장 위원회는 요청을 분석한다. 위원회는 요청이 법적으로 타당한지, 정치적 박해 시도가 아닌지를 평가한다. 위원회는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의견을 작성하여 의회 본회의에 제출한다.

# '''본회의 결정:''' 공화국 의회 본회의는 윤리위원회의 의견에 대해 투표한다. 면책 특권은 출석 의원 과반수가 찬성표를 던질 경우에만 해제된다. 본회의가 면책 특권 해제를 승인하면, 국회의원은 사법 절차 및 강제 조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국회의원 면책 특권은 국회의원에 대한 수사나 사법 절차 진행을 막지 않는다. 이는 단지 중대한 범죄의 현행범 체포 상황을 제외하고, 공화국 의회의 적절한 승인 없이 국회의원을 체포하거나 구금하는 것을 막을 뿐이다.

3. 8. 스페인

스페인에서는 국회인 하원상원 의원뿐만 아니라 지방 정부의 입법자와 일부 스페인 왕실 구성원에게 'Aforos|아포로스es'가 부여되어 'aforados|아포라도스es'(직역: '특권이 부여된 자들')이 되며, 스페인 헌법에 명시된 특권을 누린다. 이러한 자기 규제 기구의 회원 특권은 다음과 같은 의회 특권에 반영된다.

  • 불가침성: 입법자는 직무 수행 과정에서 표명한 의견이나 투표에 대해 사법적 기소를 받을 수 없다 (1978년 스페인 헌법 제71조 1항).[1]
  • 면책권: 입법자는 현행범(현장 체포)의 경우에만 체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원고검찰은 어떠한 법적 절차를 시작하기 전에 피고가 선출된 의회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한다 (1978년 스페인 헌법 제71조 2항).[1] 최종 결정권은 스페인 대법원에 있다.
  • 특별 관할권: 의원들은 1심에서만 대법원의 재판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관행은 상급 법원에 대한 항소권을 잠재적으로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


현재 스페인에는 의회 면책 특권을 가진 사람이 1만 명에 달하며, 그중 5분의 1만이 정치인이다.[1]

3. 9. 터키

1961년 10월 26일부터 1998년 3월 12일까지 터키 검찰은 국회의원 1,151명에 대해 2,713건의 면책 특권 정지 요청을 제출했지만, 그중 29건만 받아들여졌다. 이 중 6건은 1994년 쿠르드노동자당(PKK)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레이라 자나가 쿠르드족의 색깔인 빨강, 초록, 노랑색 손수건을 착용한 것과 같은 분리주의 활동 혐의로 체포된 민주당 의원들이었다.[19]

2016년 5월 20일, 국회는 국회의원 면책 특권을 없애는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 개정안은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헌법 국민투표 없이 통과되었다.[20] 같은 해 11월에는 인민민주당(HDP) 국회의원 9명이 체포되었다.[21] 2020년 6월 4일에는 HDP 소속 2명과 공화인민당(CHP) 소속 1명 등 터키 국회의원 3명이 국회에서 해임되고 체포되었다.[22]

3. 10.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헌법 제80조는 우크라이나 국회의원에게 의회 면책 특권이 보장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회의원은 모욕이나 명예훼손에 대한 책임을 제외하고는 의회 및 그 부속 기관에서의 투표와 의견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23]

3. 11. 미국

미국 의회 의원들은 영국 의회 의원들과 마찬가지로 하원이나 상원에서 한 말에 대해 기소될 수 없는 의회 특권을 누린다. 또한 의회에 출석할 권리를 누리는데, 이는 감옥에 있더라도 의회 회의에 참석하고, 발언하고, 투표하는 등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권리는 헌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미국 역사에서 상당히 논란이 없었다. 법원은 이러한 권리를 매우 협의적으로 해석해 왔다.[24]

여러 주 헌법은 주 의회 의원들에게 동등한 보호를 제공했다.

3. 12. 베트남

국회 의원과 인민위원회 대표는 체포 및 기소로부터 보호받는다.[25][26] 국회의원은 의원이 근무하는 기관, 단체 또는 부서에 의해 해임되거나 해고될 수 없다. 이러한 보호는 국회(일반적으로 상임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또는 인민위원회(지방 의회)에 의해 각각 철회될 수 있다.[25][26]

3. 13. 일본

일본국 헌법은 국회의원이 의원회에서 한 연설, 토론, 표결에 대해 면책특권을 규정하고 있다(일본국헌법 제51조).[28][29][30] 면책특권의 주체는 '양원의 의원'이며,[28][29][30] 증인, 참고인, 공술인은 포함되지 않는다.[28][29][30] 국무대신의 경우, 국무대신 자격으로 한 발언은 면책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 다수설이다(의원 한정설).[28][31][32][30]

면책특권의 대상은 '의원이 의원회에서 행한 연설, 토론 또는 표결'이다.[34] 여기서 '의원회'는 장소가 아닌 기능 개념으로, 국회의사당 밖에서 열린 지방 공청회라도 의회 활동의 일환으로 성규 절차에 따라 행해졌다면 '의원회'에 포함된다.[32][35][27]

'연설, 토론 또는 표결'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학설과 예시로 보아 부수 행위를 포함하는 학설이 있다.[36][32] 다수설은 이를 예시로 해석하여 널리 의원의 의사 표현 행위를 포함한다.[34][37][38][27] 그러나 폭행, 상해 등 범죄 행위는 일반적으로 면책 대상에서 제외된다.[38] 또한, 의원증언법에 따라 증인소환되어 행한 증언은 면책되지 않는다.[39] 회의 중의 단순한 사담이나 야유 등 불규칙 발언도 면책 대상이 아니다.[34][40][41]

4. 대한민국 국회의원의 면책특권

대한민국 국회의원의 면책특권은 국회의원이 국회 내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과 표결에 관하여 국회 밖에서 민사상·형사상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특권이다. 이는 국회의원이 자유롭게 자기 소신을 발언하고 양심에 따라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여된 것이다. 국회 밖에서 행한 발언이나 국회 안에서 행한 발언이 국회 안에서 문제되는 것은 이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국회 내에서는 책임을 지게 된다(대한민국 헌법 제45조).[52]

1987년 헌법(대한민국 헌법)에서 확립된 국회의원 불체포특권은 6월 항쟁을 비롯한 민주화 운동의 결과로, 30년간 지속된 군사 독재를 종식시킨 결과이다. 헌법은 국회의원에게 회기 중 발언이나 투표에 대한 형사 및 민사상 책임으로부터의 면책을 부여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44조는 국회의원이 국회의 동의가 없거나 현행범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기 중 체포 또는 구금될 수 없다고 규정한다. 이는 장기간 군사독재 정권이 대통령의 의중에 반하는 투표를 막거나 대통령의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 국회의원을 구금해 온 역사에 대한 대응으로 제정되었다.

대한민국 헌법 제45조는 국회의원이 국회에서 공식적으로 표명한 의견이나 행한 투표에 대해 형사 및 민사상 책임으로부터 면책되도록 한다. 그러나 대통령 면책과 달리, 국회의원 면책은 회기 중이라도 제45조에 해당하지 않는 행위에 대해서는 형사 고발로부터 보호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로 2013년 이석기 의원 체포 동의안이 있다. 이 의원은 북한과의 전쟁이 발발할 경우 당내 여러 의원들과 함께 정부 전복을 모의한 혐의를 받았고, 체포 동의안이 국회에서 가결되어 체포, 기소, 재판, 유죄 판결을 받았다.

면책특권의 취지는 국회의원이 국회에서 자유롭게 발언할 수 없다면 그 본래적인 사명을 다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국회 내 언론의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의원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고 의회 제도의 적정을 확보하려는 데 있다.[28][29][30]

4. 1. 내용

대한민국 헌법 제45조는 국회의원이 국회 내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과 표결에 대해 국회 밖에서 민·형사상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52] 이는 국회의원의 자유로운 의정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적인 제도이다.

면책특권은 국회의원이 자유롭게 자기 소신을 발언하고 양심에 따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여된 특권이다.[52] 면책특권의 효과는 국회 밖에서 책임을 묻지 않는 것이다.[42][43][44] 일반적으로 져야 할 민사상 불법행위 책임이나 형사상 소추, 기타 법률상의 책임이 면제된다.[42][43][44] 형사소추된 경우에 법원이 면책특권의 대상이 되는 발언이라고 인정하면 공소를 기각한다(형사소송법 제339조 1항 2호).[45][46]

그러나 국회 밖에서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추궁받는 것은 면책특권과는 별개의 문제이며 면할 수 없다.[42][46] 국회의원이 소속하는 정당 등의 내부 규율에 따라 정치적 책임이 추궁되고 처분이 이루어지는 것 역시 면책특권과는 관계가 없다.[42][47] 또한, 국회의원의 연설·토론·표결에 대해 유권자에 의해 정치적 책임이 질 수 있다는 것은 의회제 민주주의를 채택하는 이상 당연하다고 여겨진다.[48]

면책특권은 "국회 밖"에서의 면책을 인정하는 것이며, 국회의원은 국회 안에서는 규칙·규율에 따를 의무가 있으므로 징벌 대상이 될 수 있다(일본국헌법 제58조 제2항).[49][45][32][46][27]

국회의원 개인에 대해서는 절대적으로 면책된다는 것이 통설이지만, 국가배상법에 기초한 국가의 대위책임이 인정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다.[50] 삿포로 병원장 자살 사건에서 대한민국 대법원은 "국가가 배상책임을 질 수 있는 것은 특별한 경우이며, 공무원인 피상고인 개인은 상고인에 대해 그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해석해야 한다"고 판결하여(대법원 판결 1997년 9월 9일 민집 51권 8호 3850면), 국회의원 개인에 대해 면책되는 경우에도 국가가 대위책임을 져야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50]

4. 2. 판례

대한민국 법원은 면책특권의 범위를 구체적인 행위의 목적, 장소, 태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고 있다[53]. 국회의원이 불법 녹음 자료를 입수하여 기자들에게 배포한 행위는 면책특권의 대상이 되는 직무 부수 행위에 해당한다는 판례가 있다[54].

5. 비판 및 논란

국회의원 면책특권은 국회의원이 국회 내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과 표결에 대해 국회 밖에서 민사·형사상 책임을 지지 않는 특권이다. 이는 국회의원이 소신에 따라 자유롭게 발언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여한 것이다. 국회 밖에서 한 발언이나 국회 안에서 한 발언이 국회 안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면책특권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국회 내에서는 책임을 진다(대한민국 헌법 제45조).[52]

면책특권은 국회의원이 국회에서 자유롭게 발언하지 못하면 본래 사명을 다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국회 내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여 의원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고 의회 제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28][29][30]

참조

[1] 웹사이트 State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A democratic renewal for Europe. - Secretary General - publi.coe.int https://www.coe.int/[...] 2023-03-07
[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Law of the Constitution 1885
[3] 웹사이트 Im(p)unidade http://veja.abril.co[...] 2000-07-12
[4] 웹사이트 Imunidade Parlamentar: A Impunidade Continua? http://www2.oabsp.or[...] 2006-08-18
[5] 웹사이트 A IMUNIDADE PARLAMENTAR NA EMENDA CONSTITUCIONAL Nº 35, DE 20 DE DEZEMBRO DE 2001 http://www.direitopu[...] 2002
[6] 웹사이트 Nenhuma condenação desde 1988 http://www.amb.com.b[...]
[7] 뉴스 Q&A: Brazil corruption scandal http://news.bbc.co.u[...] 2007-09-04
[8] 법률 German Basic Law, Article 46 https://www.btg-best[...] 2015-12-12
[9] 법률 The Constitution of Greece, Article 62
[10] 법률 The Constitution of Greece, Article 6, paragraph 1 and Article 62
[11] 법률 The Constitution of Greece, Article 86; Standing Orders of the Hellenic Parliament, Articles 144-148
[12] 법률 The Constitution of Greece, Article 86, paragraph 4; Standing Orders of the Hellenic Parliament, Articles 144–148
[13] 간행물 XVI legislatura, Camera dei deputati, Doc. IV, n. 11-A-bis, p. 4.
[14] 서적 La questione dell'immunità parlamentare in ambito intercettatorio https://www.academia[...]
[15] 서적 Lo scudo di cartone
[16] 웹사이트 Sabe quais são as regalias dos deputados? https://observador.p[...] 2024-08-07
[17] 웹사이트 Lei n.º 7/93, de 01 de Março https://www.pgdlisbo[...] 2024-08-07
[18] 웹사이트 Deputados aprovam levantamento de imunidade parlamentar a Higino Teles https://www.jm-madei[...] 2024-08-07
[19] 법원판결 Turkish Supreme Court Decision http://kararlaryeni.[...] 1994-03-21
[20] 뉴스 Turkish parliament votes to lift MPs' immunity from prosecution https://www.theguard[...] 2020-06-22
[21] 웹사이트 PERSECUTION OF MAYORS, KURDS & OPPOSITION IN TURKEY https://www.guengl.e[...] 2019-09-19
[22] 웹사이트 Stripped of MP Status, HDP's Güven and Farisoğulları, CHP's Berberoğlu Arrested http://bianet.org/en[...] 2020-09-08
[23] 뉴스 Bill stripping Ukrainian lawmakers of immunity passes its second reading https://www.unian.in[...] UNIAN 2019-12-18
[24] 간행물 MAS
[25] PDF https://www.economic[...] 2022-03-00
[26] PDF https://www.economic[...] 2022-03-00
[27] 서적 議会用語事典 学陽書房
[28] 서적 憲法 第三版 弘文堂
[29] 서적 新版 憲法(下) 有斐閣
[30] 서적 議会法 ぎょうせい
[31] 서적 新版 憲法(下) 有斐閣
[32] 서적 憲法 有斐閣
[33] 서적 憲法 有斐閣
[34] 서적 憲法 第三版 弘文堂
[35] 서적 議会法 ぎょうせい
[36] 서적 議会法 ぎょうせい
[37] 서적 新版 憲法(下) 有斐閣
[38] 서적 議会法 ぎょうせい
[39] 서적 現代日本の憲法問題(改訂版) 有信堂
[40] 서적 新版 憲法(下) 有斐閣
[41] 서적 議会法 ぎょうせい 1987
[42] 서적 憲法 第三版 弘文堂 1995
[43] 서적 新版 憲法(下) 有斐閣 1984
[44] 서적 議会法 ぎょうせい 1987
[45] 서적 新版 憲法(下) 有斐閣 1984
[46] 서적 議会法 ぎょうせい 1987
[47] 서적 新版 憲法(下) 有斐閣 1984
[48] 서적 憲法 第三版 弘文堂 1995
[49] 서적 憲法 第三版 弘文堂 1995
[50] 서적 憲法 有斐閣 2007
[51] 웹인용 면책특권은 민주주의의 역사다 http://m.hani.co.kr/[...] 한겨레 2016-07-08
[52] 서적 면책특권 글로벌 세계 대백과
[53] 기타
[54] 판례 대법원 2011.5.13 선고 2009도14442 판결 2011-05-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