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오카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리오카번은 가이 겐지의 후예인 난부씨가 다스린 번으로, 가마쿠라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까지 700년 가까이 존속하며 세계적으로 드문 사례이다. 1590년 난부 노부나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영지를 인정받아 10개 군을 다스렸고, 1600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10만 석의 다이묘로 인정받아 모리오카성을 중심으로 조카마치를 건설했다. 1664년 하치노헤번이 분리되었고, 1808년에는 에조치 경비를 담당하며 재정난을 겪었다.
보신 전쟁에서 오우에쓰 열번동맹에 가담하여 메이지 신정부에 저항했으나, 패배 후 영지를 몰수당하고 시로이시 번으로 이봉되었다가, 벌금을 내고 모리오카 13만 석 영지로 돌아왔다. 그러나 재정난으로 1870년 폐번되어 모리오카 현이 되었고, 이후 대부분의 영토는 이와테현에 편입되었다. 모리오카번은 기근과 잇키가 빈번했으며, 특히 18세기에는 잦은 기근으로 인한 피해가 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부번 - 시치노헤번
시치노헤번은 1819년 모리오카번에서 분할되어 시작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가로가 통치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 보신 전쟁에 휘말렸으며, 1871년 폐번되어 아오모리 현에 편입되었다. - 난부번 - 게이초 산리쿠 지진
게이초 산리쿠 지진은 1611년 일본 산리쿠 해안을 강타한 쓰나미 지진으로, 지진 자체의 흔들림은 강하지 않았지만 거대한 쓰나미를 동반하여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으며, 특히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에서는 최대 20m 높이의 쓰나미가 기록되었다. - 리쿠추국의 번 - 센다이번
센다이번은 1601년 다테 마사무네가 센다이 성으로 거점을 옮기면서 성립된 에도 시대의 번으로, 농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운영하며 보신 전쟁에서 패배하여 폐지되었다. - 리쿠추국의 번 - 이치노세키번
이치노세키번은 에도 시대 무쓰국 이치노세키(현재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있던 센다이번의 지번으로, 다테 무네카쓰에 의해 처음 설치되었다가 다테 소동으로 폐지된 후 다무라 다쓰아키가 이봉되면서 재설치되어 다무라 가문이 보신 전쟁을 거쳐 폐번치현될 때까지 다스렸으며, 막부 말기에는 학문이 발달했다. - 무쓰국의 번 - 아이즈번
아이즈번은 센고쿠 시대부터 메이지 유신까지 아이즈 지방을 다스린 번으로, 여러 가문을 거쳐 도쿠가와 씨 혈족인 호시나 마쓰다이라 씨가 다스렸으며, 마쓰다이라 가타모리는 교토슈고쇼쿠를 맡아 막부 말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보신 전쟁에서 패배하여 해체되고 도나미번으로 재편되었다. - 무쓰국의 번 - 히로사키번
히로사키번은 1590년부터 1871년까지 아오모리현 서부 지역을 다스린 일본 에도 시대의 번으로, 쓰가루 씨가 통치했으며, 1871년 폐번치현으로 히로사키현이 되었다가 아오모리현에 편입되었다.
모리오카번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모리오카 번 (盛岡藩) |
다른 이름 | 난부 번 (南部藩) |
국가 | 일본 |
시대 | 에도 시대 |
위치 | 무쓰 국 |
오늘날의 위치 | 이와테 현 아오모리 현 아키타 현 |
수도 | 모리오카 성 |
좌표 | 39°41′59.81″N 141°09′0.04″E |
역사 | |
성립 | 1599년 |
소멸 | 1870년 |
이전 | 무쓰 국 |
이후 | 모리오카 현 |
정치 | |
정치 체제 | 다이묘 |
통계 | |
면적 | 알 수 없음 |
인구 | 알 수 없음 |
기타 | |
비고 | 각주 필요 |
2. 번의 역사
1664년, 2대 번주 난부 시게나오가 에도 막부의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에게 후계자 문제와 가문 존속을 사전에 부탁하고 에도에서 사망하였다. 번 내부는 이 문제를 둘러싸고 불안한 상태가 되었고, 결국 이에쓰나가 중재에 나서 모리오카 번에서 2만 석을 삭감하고 시게나오의 배다른 형제 시치노헤 시게노부에게 가문을 잇게 했다. 삭감한 하치노헤 2만 석 영지는 또 다른 이복 형제 나카사토 나오요시에게 주어 가문을 일으키게 하여, 사실상 분할 상속을 시행했다.[3] 3대 번주가 된 시게노부는 1683년에 개간을 통한 고쿠다카 상승을 막부에 알려 고쿠다카 재조정을 신청했고, 모리오카 번의 영지는 다시 10만 석으로 회복되었다.
1808년에는 막부로부터 영지 증가 없이 기존 영지의 고쿠다카 재평가를 받아 20만 석이 되었으나, 실수입은 전혀 늘지 않았다.[5] 게다가 에조치 경비에 참여하는 등 더 많은 병력 동원의 의무를 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모리오카 번의 재정은 만성적인 적자 상태를 면치 못하였고, 니토베 쓰토우의 노력으로 개선되기 전까지는 파탄 직전에 놓여 있었다. 1819년에는 하타모토 5천 석인 난부 노부치카에게 6천 석을 추가 지급하여 지번 시치노헤번을 세웠다.[6]
1821년에는 소마 다이사쿠 사건이 발생했다.
1868년 보신 전쟁 당시 오우에쓰 열번동맹에 가입하여 메이지 신정부에 저항하였다.[7] 모리오카 번은 신정부군에 전면 항복하였고,[8] 이 때문에 센다이번으로부터 몰수된 시로이시성 일대의 13만 석 영지로 이봉되었다.[9] 이 때문에 모리오카 번은 '''시로이시 번'''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벌금 7000만엔을 정부에 낸다는 조건으로 번은 반년 뒤에 다시 모리오카 13만 석 영지로 돌아왔다. 하지만 재정적으로 곤란을 겪고 있었던 번은 결국 1870년 폐번치현보다 앞서서 번 폐지를 요청하였고 영지는 모리오카 현이 되었다. 이후 영지의 대부분은 이와테현에 소속되었다.
모리오카 번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날짜 (구력) | 사건 |
---|---|
1868년 9월 24일 | 모리오카 번, 신정부군에 전면 항복. |
1868년 10월 10일 | 모리오카 번의 귀순 탄원이 수리. 같은 날, 신정부군이 모리오카성에 입성. |
1868년 12월 7일 | 난부 도시타케는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한 죄로 은거, 영지 삭감을 명령받고, 모리오카 번 영지 20만 석은 메이지 정부 직할지로 몰수됨. |
1868년 12월 17일 | 난부 도시야스가 가명 상속을 허가받고, 시라이시로 이봉됨. (시라이시 번) |
1869년 3월 4일 | 도세이즈의 건의로, 시라이시 번주였던 난부 도시야스에 의해 판적 봉환 건백서가 오기마치 산조 사네토미에게 제출됨. |
1869년 7월 22일 | 난부 도시야스의 모리오카 복귀가 인정됨. 모리오카 현 (제1차)이 폐지되고 모리오카 번 (부번현 삼치제)이 됨. |
1869년 8월 10일 | 난부 도시야스가 모리오카 번 지사로 임명됨. |
1870년 7월 10일 | 재정난으로 인해 난부 도시야스가 폐번치현 단행과 번 지사 사임을 요청하여 허가됨. 모리오카 번은 폐번되어 모리오카 현 (제2차)이 설치됨. |
1872년 1월 8일 | 모리오카 현이 이와테 현으로 개칭됨. |
2. 1. 성립 배경
가이국에서 번성했던 가이 겐지의 계보를 잇는 난부씨는 가마쿠라 시대 초기에 오슈 후지와라씨 정벌 때의 공으로 지금의 하치노헤시에 상륙하여, 난부정 아이우치(相内|아이우치일본어)에 자리를 잡았다. 그 후 오슈 난부씨 최초의 성인 헤라사키 성을 세웠고, 나중에 산노헤성을 쌓아 이전하였다.2. 2. 성립
1590년, 난부 노부나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정벌에 참전하여 영지 소유를 인정받고 10개 군(이와테, 히에누키, 와가, 시와, 가즈노, 기타, 니노헤, 헤이, 구노헤, 산노헤)에 이르는 판도를 확보하였다.[14] 1600년에는 난부 도시나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도 영지를 확정받아 공식 고쿠다카 10만 석의 다이묘가 되었다.[2] 거점은 산노헤 성에서 구노헤 성, 임시 거처였던 고리야마 성을 거쳐 모리오카 성으로 옮겨갔다.2. 3. 에도 시대
1664년, 2대 번주 난부 시게나오가 에도 막부의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에게 후계자 관련 문제와 가문 존속을 사전에 부탁하고 에도에서 사망하였다. 번 내부는 이 문제들을 둘러싸고 불안한 상태가 되었고, 결국 이에쓰나가 중재에 나서 모리오카 번에서 2만 석을 삭감하고 시게나오의 배다른 형제 시치노헤 시게노부에게 가문을 잇게 했다. 삭감한 하치노헤 2만 석 영지는 또 다른 이복 형제 나카사토 나오요시에게 주어 가문을 일으키게 하여, 사실상 분할 상속을 시행했다.[3] 3대 번주가 된 시게노부는 1683년에 개간을 통한 고쿠다카 상승을 막부에 알려 고쿠다카 재조정을 신청했고, 모리오카 번의 영지는 다시 10만 석으로 회복되었다.1808년에는 막부로부터 영지 증가 없이 기존 영지의 고쿠다카 재평가를 받아 20만 석이 되었으나, 실수입은 전혀 늘지 않았다.[5] 게다가 에조치 경비에 참여하는 등 더 많은 병력 동원의 의무를 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모리오카 번의 재정은 만성적인 적자 상태를 면치 못하였고, 니토베 쓰토우의 노력으로 개선되기 전까지는 파탄 직전에 놓여 있었다. 1819년에는 하타모토 5천 석인 난부 노부치카에게 6천 석을 추가 지급하여 지번 시치노헤번을 세웠다.[6]
1821년에는 소마 다이사쿠 사건이 발생했다.
2. 4. 막말과 보신 전쟁
1868년 보신 전쟁 당시 오우에쓰 열번동맹에 가입하여 메이지 신정부에 저항하였다.[7] 모리오카 번은 신정부군에 전면 항복하였고,[8] 이 때문에 시로이시성 일대의 13만 석 영지로 이봉되었다.[9] 이 때문에 모리오카 번은 '''시로이시 번'''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번 내에서는 신정부파와 구 막부파로 의견이 대립했지만, 최종적으로 나라야마 사도가 번론을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참가하는 것으로 일치시키고, 도중부터 신정부 측에 붙은 구보타 번을 공격했다(아키타 전쟁). 개전 직후 오다테 성을 제압했지만, 그 후 신정부 측의 대량의 보급 물자가 구보타 번에 도착하면서 전황이 일변하여, 많은 전투를 반복하면서 원래의 번 경계까지 밀려나게 되었다. 모리오카 번 영내로 돌아온 나라야마 사도 이하 아키타 침공군은, 유수 중에 번을 장악한 신정부 측 세력에 의해 체포되었고, 모리오카 번은 신정부 측으로 전향하기 시작했다.
벌금 7000만엔을 정부에 낸다는 조건으로 번은 반년 뒤에 다시 모리오카 13만 석 영지로 돌아왔다. 하지만 재정적으로 곤란을 겪고 있었던 번은 결국 1870년 폐번치현보다 앞서서 번 폐지를 요청하였고 영지는 모리오카 현이 되었다. 이후 영지의 대부분은 이와테현에 소속되었다.
이하 날짜는 모두 구력이다.
날짜 | 사건 |
---|---|
1868년 9월 24일 | 모리오카 번, 신정부군에 전면 항복. |
1868년 10월 10일 | 모리오카 번의 귀순 탄원이 수리. 같은 날, 신정부군이 모리오카성에 입성. |
1868년 10월 14일 | 오우 진무 총독부에서 사와 노리타네가 입성, 전후 처리를 한다. |
1868년 11월 11일 | 동정 대총독부의 명을 받은 감찰사, 후지카와 노토(후지카와 산케이)가 입성. 난부 도시타케, 도시야스의 도쿄로의 호송, 나라야마 사도·에바타 고로·사사키 나오사쿠 등 주모자의 체포와 같은 처분을 집행. |
1868년 11월 14일 | 오우 진무 총독부의 행정 기관이 되는, 구보타 번 병사를 중심으로 한 진무 행정 사청의 관리 하에 들어간다. |
1868년 12월 7일 | 난부 도시타케는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한 죄로 은거 삭감을 명령받고, 모리오카 번 영 20만 석을 메이지 정부 직할지로 몰수. |
1868년 12월 17일 | 난부가 제41대 당주 난부 도시야스가 가명 상속을 허가받고, 시라이시로의 감전봉을 받는다. (시라이시 번) |
1868년 12월 23일 | 「제번 취체 오우 각 현 당분 어규칙」에 의해 모리오카 번 영은 마쓰다이라 번, 마쓰모토 번, 히로사키 번의 취체 하에 들어간다. |
1869년 1월 15일 | 신정부의 회계관 권판사 하야시 토모유키가 영지 인도를 위해 모리오카에 부임. 진무 행정 사를 해산하고 구보타 번 병사 등을 귀국. |
1869년 2월 8일 | 히로사키 번의 지배를 싫어하는 니노헤, 산노헤, 구노헤 군 영민의 반대 운동이 격렬해지고, 취체가 동 번에서 구로바네 번으로 변경. |
1869년 3월 4일 | 도세이즈의 헌책에 의해, 시라이시 번주였던 난부 도시야스에 의해 판적 봉환의 건백서가 오기마치 산조 사네토미에게 제출. |
1869년 4월 24일 | 모리오카 번에서 마쓰다이라, 마쓰모토, 구로바네의 각 번에서 부임한 권현지사에 토지, 인민, 여러 장부류를 인도. 이후 마쓰다이라 번 취체지를 모리오카 현 (제1차), 마쓰모토 번 취체지를 하나마키 현, 구로바네 번 취체지를 산노헤 현이라고 칭한다. (구로바네 번 취체지에서는 북오 현의 명칭은 사용되지 않았다.) |
1869년 5월 3일 | 마쓰다이라 번 취체지에서 「모리오카 현 어역소」가 개청. |
1869년 5월 20일 | 눈붙이와 측근두와 같은 종래의 직제를 폐지하고, 번정 기구를 일신. |
1869년 6월 17일 | 난부 도시야스가 시라이시 번지사로 임명. |
1869년 6월 23일 | 나라야마 사도, 모리오카·보은사에서 참수. |
1869년 7월 22일 | 난부 도시야스의 구령 모리오카로의 복귀가 인정된다. 모리오카 현 (제1차)이 폐현되어 모리오카 번 (부번현 삼치제)이 된다. |
1869년 8월 7일 | 구령 내에 구노헤 현, 에사시 현이 설치된다. 취체 각 번에서 신 현으로 지배지를 이관. |
1869년 8월 10일 | 난부 도시야스가 모리오카 번 지사로 임명. |
1869년 9월 13일 | 구노헤 현이 하치노헤 현(제1차)으로 명칭 변경. |
1869년 9월 19일 | 하치노헤 현이 산노헤 현으로 다시 명칭 변경. |
1869년 10월 8일 | 도세이즈가 대참사로, 노다 치카타카가 권대참사로 임명. |
1869년 10월 10일 | 모리오카 현에서 모리오카 번으로의 사무 인계가 이루어지고, 모리오카 성 내에 정식으로 번청을 설치. 영역은 이와테군, 시와군, 히에누키군 (하치노헤 번 지배지를 제외), 와가군의 일부로 이루어진 13만 석. |
1869년 10월 19일 | 시라이시성에 남아 있던 모리오카 번의 관리로부터, 후임 현지사인 다케이 모리마사에게 사무 인계. |
1869년 11월 3일 | 산노헤 현 내 3만 석으로, 아이즈 마쓰다이라 씨의 가명 존속을 목적으로 한 토난 번이 입번. |
1869년 11월 29일 | 산노헤 현이 에사시 현에 편입. |
1870년 7월 10일 | 재정난으로 인해, 난부 도시야스가 폐번치현의 단행과 번 지사의 사임을 원했던 것이 허가된다. 모리오카 번은 폐번되어 모리오카 현 (제2차)이 설치. |
1870년 7월 12일 | 도세이즈, 노다 치카타카가 모리오카 현 대참사로 임명. |
1871년 7월 14일 | 폐번치현에 의해 하치노헤 번이 하치노헤 현이 된다. 에사시 현 관리 하의 구노헤군이 하치노헤 현이 된다. |
1871년 11월 2일 | 제1차 부현 통합. 에사시 현 및 하치노헤 현의 구노헤군, 시와군 내의 하치노헤 현 관리지를 편입한 신설의 모리오카 현이 된다(제3차). 에사시 현 내, 구령의 시노키군은 아키타현에 편입. 새롭게 시마 이세이가 모리오카 현 참사로, 노다 치카타카가 현 권참사로 임명. |
1871년 12월 4일 | 모리오카 성이 병부성의 관할이 되었기 때문에, 현청을 히로코지(넓은 길)의 옛 난부 저택에 둔다. |
1872년 1월 8일 | 모리오카 현을 이와테 현으로 개칭. |
3. 역대 번주
이름 재임 기간 관위 고쿠다카 1 난부 도시나오|南部利直|난부 도시나오일본어 1599년 ~ 1632년 시나노노카미 (信濃守) 종4위하 100,000고쿠 2 난부 시게나오| 南部重直|난부 시게나오일본어 1632년 ~ 1664년 야마시로노카미 (山城守) 종5위하 100,000고쿠 3 난부 시게노부|南部重信|난부 시게노부일본어 1664년 ~ 1692년 다이젠노타이후 (大膳大夫) 종4위하 80,000고쿠 -> 100,000고쿠 4 난부 유키노부|南部行信|난부 유키노부일본어 1692년 ~ 1702년 시나노노카미 (信濃守) 종4위하 100,000고쿠 5 난부 노부오키|南部信恩|난부 노부오키일본어 1702년 ~ 1705년 빈고노카미 (備後守) 종5위하 100,000고쿠 6 난부 도시모토|南部利幹|난부 도시모토일본어 1705년 ~ 1725년 시나노노카미 (信濃守) 종4위하 100,000고쿠 7 난부 도시미|南部利視|난부 도시미일본어 1725년 ~ 1752년 다이젠노다이후 (大膳大夫) 종4위하 100,000고쿠 8 난부 도시카쓰|南部利雄|난부 도시카쓰일본어 1752년 ~ 1779년 다이젠노타이후 (大膳大夫) 종4위하 100,000고쿠 9 난부 도시마사|南部利正|난부 도시마사일본어 1780년 ~ 1784년 다이젠노타이후 (大膳大夫) 종4위하 100,000고쿠 10 난부 도시타카|南部利敬|난부 도시타카일본어 1784년 ~ 1820년 다이젠노타이후 (大膳大夫) 종4위하 100,000고쿠 -> 200,000고쿠 11 난부 도시모치| 南部利用|난부 도시모치일본어 1820년 ~ 1825년 다이젠노타이후 (大膳大夫) 종4위하 200,000고쿠 12 난부 도시타다|南部利済|난부 도시타다일본어 1825년 ~ 1847년 시나노노카미 (信濃守) 종4위하 200,000고쿠 13 난부 도시토모|南部利義|난부 도시토모일본어 1847년 ~ 1848년 카이노카미 (甲斐守) 종4위하 200,000고쿠 14 난부 도시히사| 南部利剛|난부 도시히사일본어 1848년 ~ 1868년 미노노카미 (美濃守), 지주 (侍従) 종4위하 200,000고쿠 15 난부 도시유키|南部利恭|난부 도시유키일본어 1868년 ~ 1871년 카이노카미 (甲斐守) 종5위하 200,000고쿠
-- '''V. 난부 노부오키:''' 모리오카 제5대 다이묘 (1678년 ~ 1707년, 재위 1702년 ~ 1705년)
* -- '''VII. 난부 도시미:''' 모리오카 제7대 다이묘 (1708년 ~ 1752년, 재위 1725년 ~ 1752년)
**-- '''IX. 난부 도시마사:''' 모리오카 제9대 다이묘 (1751년 ~ 1784년, 재위 1780년 ~ 1784년)
*** -- '''X. 난부 도시타카:''' 모리오카 제10대 다이묘 (1782년 ~ 1820년, 재위 1784년 ~ 1820년)
**아들
*** 노부스케
-- '''XI (a). 난부 도시미치 1세:''' 모리오카 제11대 다이묘 (1808년 ~ 1821년, 재위 1820년 ~ 1821년)
** 아들
*** 노부토로
-- '''XI (b). 난부 도시미치 2세:''' 모리오카 제11대 다이묘 (1803년 ~ 1825년, 재위 1821년 ~ 1825년)
-- '''VI. 난부 도시모토:''' 모리오카 제6대 다이묘 (1689년 ~ 1725년, 재위 1705년 ~ 1725년)
* -- '''VIII. 난부 도시카쓰:''' 모리오카 제8대 다이묘 (1724년 ~ 1780년, 재위 1752년 ~ 1779년)
** 도시노리 (1746년 ~ 1814년)
*** -- '''XII. 난부 도시타다:''' 모리오카 제12대 다이묘 (1797년 ~ 1855년, 재위 1825년 ~ 1847년)
-- '''XIII. 난부 도시토모:''' 모리오카 제13대 다이묘 (1824년 ~ 1888년, 재위 1847년 ~ 1848년)
-- '''XIV. 난부 도시히사:''' 모리오카 제14대 다이묘 (1827년 ~ 1896년, 재위 1848년 ~ 1868년)
* -- '''XV. 난부 도시유키:''' 모리오카 제15대 다이묘, 제41대 당주, 제1대 백작 (1855년 ~ 1903년, 영주: 1868년 ~ 1869년, 지사: 1869년 ~ 1871년, 제41대 당주: 1868년 ~ 1903년, 백작: 1884년 창설)
**'''제2대 백작, 제42대 당주 난부 도시나가''' (1882년 ~ 만주에서 전사, 1905년, 제42대 당주 및 제2대 백작: 1903년 ~ 1905년)
** '''제3대 백작, 제43대 당주 난부 토시아츠''' (1884년 ~ 1930년, 제43대 당주 및 제3대 백작: 1905년 ~ 1930년)
*** 미즈코 (1908년 ~ 1980년), '''제4대 백작, 제44대 당주 난부(이치조) 도시히데''' (1907년 ~ 1980년, 제44대 당주: 1930년 ~ 1980년, 제4대 백작: 1930년 ~ 1947년)와 혼인
토시히사 (1932년 ~ 1980년)
* '''제46대 당주 난부 도시후미''' (1970년 출생, 제46대 당주: 2009년 ~ )
'''제45대 당주 난부 토시아키''' (1935년 ~ 2009년, 제45대 당주: 1980년 ~ 2009년)
4. 번의 통치 구조
번 행정의 최고 기관은 평상시에 여러 명의 가로들이 합의하여 주요 사안을 결정했다.[1] 이들은 일상적으로 중마루(中丸)에 모여 업무를 처리하고 문서에 서명했다.[1]
4. 1. 중앙 행정 조직
번의 행정 조직은 10만 석의 군역 조직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중앙의 직제는 막부를 모방하여 번주 아래에 가로 외에 여러 직책을 두었다.[1] 번 행정의 최고 기관으로, 평상시에는 수 명의 가로(家老)의 합의제에 의해 대강이 결정되었다.[1] 가로는 일상적으로 중마루(中丸)에 등성하여 서무를 결의하고 연서에 응했다.[1]4. 2. 가신단 구성
모리오카번의 가신단은 10만 석의 군역 조직에 기반하여 구성되었다. 번의 중앙 직제는 막부(쇼군 휘하의 무사 정권)를 모방하여 번주 아래에 가로(家老)를 비롯한 여러 직책을 두었다. 번 행정의 최고 기관은 평상시에 여러 명의 가로들이 합의하여 주요 사안을 결정했다. 이들은 일상적으로 중마루(中丸)에 모여 업무를 처리하고 문서에 서명했다. 번주가 상주하는 어용(御用) 공간에는 가문 출신이 높고 가로 경험이 풍부한 노련한 인물이 배치되었다.[1]4. 3. 향촌 통치
모리오카번의 향촌 통치는 번주 아래 가로(家老)를 비롯한 여러 직책을 두는 등 중앙의 직제를 모방하여 구성되었다. 번 행정의 최고 기관은 평상시 수 명의 가로들이 합의하여 중요한 사항들을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이들은 일상적으로 중마루(中丸)에 등성하여 서무를 결의하고 연서에 응했다.[1]5. 번의 경제
모리오카 번은 벼농사 북방 한계 지역에 위치하여 잦은 냉해와 기근에 시달렸다. 번은 벼농사 중심의 경제 정책을 추진했으나, 이는 잦은 흉작과 기근을 초래했다.
난부 시게나오가 고슈(甲州)에서 스즈키 누이도노(鈴木縫殿일본어)를 주물사로, 도쿄로부터 고이즈미 고로시치(小泉五郎七일본어)를 솥장이로 불러와 시작된 난부 철기는 현재까지도 유명하다. 하치노헤 번령의 구노헤 군에서 생산된 사철을 이용한 철기는 모리오카번에 나돌던 위금 제조의 중심지였다.
모리오카번의 상업은 기타카미강 주운을 이용한 수송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센다이번의 이시노마키를 경유하여 에도, 가미가타와 연결되었다.
17세기 모리오카 번 내 아이누인들은 쓰가루반도를 자유롭게 왕래했고, 번 내에는 공식적인 에비스 마을과 비공식적인 교역 거점들이 있었다. 도호쿠 지방의 아이누와 일본인들은 서로의 풍속을 익히며 구분이 모호해졌고, 모리오카 번은 아이누를 중개로 한 북방 무역에 참여했다. 1668년 아이누 족장 샤쿠샤인 봉기 진압에 막부의 명에 따라 출병하기도 했다.[11]
18세기 모리오카 번의 히다야(飛騨屋|히다야일본어) 상단은 에조치에서 목재업과 어업에 진출하여 시모키타반도와 미야코 주변의 임노동자와 에조치 아이누들을 고용했다. 히다야는 아이누들을 혹사시켜 막대한 이익을 얻었고, 아이누 노동자들은 착취와 비인간적 대우에 반발하여 구나시리 메나시 봉기를 일으켰다. 봉기는 마쓰마에번이 진압했고, 일본인 임노동자 일부는 다른 아이누 세력에 의해 보호받다가 모리오카 번에 인도되었다.[11]
1799년 막부는 쿠릴 열도로 진출하는 러시아에 대항하기 위해 에조치를 직할령화하고 도호쿠 지방 각 번에 출병을 요구했다. 모리오카 번은 오시마 지청, 이부리 지청과 이투루프 섬 지역을 담당하여 니콜라이 레자노프 부하의 이투루프 섬 공격에 맞서 싸웠고, 바실리 골로닌을 체포하는 등 대러시아 경비 최전선에 섰다. 하코다테 진야에서 니토베 쓰토우 건의로 1857년 무로란으로 옮겨 경비를 담당하다 1868년 보신 전쟁 때 에조치에서 퇴거했다.[11]
5. 1. 농업
모리오카 번은 벼농사 북방 한계 지역에 위치하여 잦은 냉해와 기근에 시달렸다. 번은 벼농사 중심의 경제 정책을 추진했으나, 이는 잦은 흉작과 기근을 초래했다.5. 2. 수공업
지금도 '난부 철기'의 쇠주전자 등은 유명한데, 그 역사는 17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난부 시게나오가 고슈(甲州)에서 스즈키 누이도노(鈴木縫殿일본어)를 주물사로, 도쿄로부터 고이즈미 고로시치(小泉五郎七일본어)를 솥장이로 불러 맡긴 것이 그 시작이었다.또 하치노헤 번령의 구노헤 군에도 충분한 산출량의 사철을 이용한 철기가 있어, 모리오카번에 나돌던 위금의 제조는 이 지방을 중심으로 하였다고 한다.
5. 3. 상업
모리오카번의 상업은 기타카미강 주운을 이용한 수송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센다이번의 이시노마키를 경유하여 에도, 가미가타와 연결되었다.5. 4. 에조치와의 관계
17세기에는 모리오카 번 내의 아이누인들이 쓰가루반도를 자유로이 왕래하였고, 번 내에 공식적으로 에비스 마을이 있었으며, 그 외에도 비공식적인 교역 거점들이 존재했다. 도호쿠 지방의 아이누는 일본인들과 접촉하면서 그 풍속을 몸에 익혔고, 반대로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아이누의 풍속이 보급되어, 일상 생활에서는 아이누와 아이누가 아닌 것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이런 상황 속에서 모리오카 번은 아이누를 중개로 한 북방 무역에 참여하고 있었다. 1668년, 아이누 족장 샤쿠샤인이 거병하였을 때 모리오카 번은 막부의 명에 따라 출병하여 아이누 봉기의 진압에 참여한 바 있다.[11]18세기에는 모리오카 번의 히다야(飛騨屋|히다야일본어) 상단이 에조치에서의 목재업, 나중에는 어업에 진출했다. 히다야에는 시모키타반도와 미야코 주변으로부터 온 임노동자들이 모여 일을 하였고 에조치의 아이누들 또한 고용되었는데, 히다야는 아이누들을 혹사시키면서 막대한 이익을 거둬들였다. 아이누 노동자들은 히다야의 착취와 비인간적 대우에 반발하여 봉기를 일으켰다. 구나시리 메나시 봉기라 불리는 이 봉기는 마쓰마에번이 진압에 성공하였는데, 이때 일본인 임노동자들 중 일부는 또다른 아이누 세력에 의해 보호받다가 모리오카 번에 인도되었다.[11]
1799년, 쿠릴 열도로 진출해오는 러시아에 대항하기 위해 막부는 에조치를 직할령화하였다. 이때 막부는 에조치의 경영과 경비를 명목으로 하여 도호쿠 지방의 각 번들에게 출병을 요구하였고, 모리오카 번은 이때 지금의 오시마 지청, 이부리 지청과 이투루프 섬 지역을 담당하였다. 번 병력은 니콜라이 레자노프의 부하에 의한 이투루프 섬 공격 당시 정면으로 맞서 싸운 바 있으며, 그 후에도 대(對)러시아 경비의 최전선에 서서 바실리 골로닌을 체포하기도 하였다. 원래 막부의 명령에 따라 하코다테에 진야를 건설하고 경비를 담당하고 있었으나 니토베 쓰토우의 건의에 따라 1857년에 무로란으로 옮겨갔다. 모리오카 번 세력은 1868년 보신 전쟁 때에 즈음하여 에조치로부터 퇴거하였다.[11]
6. 사회 문제
모리오카 번은 예부터 잦은 기근으로 많은 사람들이 아사하였다. 특히 연안부에서는 야마세라 불리는 냉풍 피해가 심했다. 번 경영을 위한 비축 부족, 농지 및 농작물 부족도 상황을 악화시켰다.[1]
이러한 기근은 잦은 잇키(농민 봉기)의 원인이 되었다. 번은 재정 부담과 중과세를 부과하였고, 농민들은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위조 화폐를 주조하기도 했다. 번 측은 위조 화폐 제조 및 사용자만 엄중히 처벌하였고, 이에 농민들은 대규모 잇키를 일으켜 성공하기도 하였다.[1]
6. 1. 잦은 기근
예부터 이 지방은 기근이 매우 잦아 그 때마다 많은 사람들이 아사하였다. 특히 1600년부터 모리오카 번이 폐번치현된 1870년(메이지 3년)까지 270년간 기근이 계속 이어졌다.[1] 그 사이 기록에 남은 것만도 농사를 짓지 못한 부작(不作)이 28회, 흉작 36회, 대흉작 16회, 수해가 5회에 달한다.[1]특히 연안부에서는 야마세라 불리는 냉풍에 의한 피해가 심했으며, 1783~1787년에 걸쳐 일어난 전국적인 대기근에는 수확을 전혀 내지 못하는 참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다.[1] 또 번 경영을 순조롭게 해나가기 위한 비축이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농지도 농작물도 없는 상태에 빠져 죽는 자가 더욱 증가하였다.[1]
이러한 기근으로 인해 모리오카 번에서는 잇키(一揆)가 많이 발생하였는데 기록에 남은 것만도 133회로, 에도 시대 잇키가 가장 많이 발생한 번이었다.[1] 대흉작과 에조치(蝦夷地)로의 출병에 따른 재정 부담, 무리한 중과세 등이 잇키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1] 게다가 농민들은 이런 원인으로 발생한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위조 화폐(위금)를 주조하였으나 번 측은 원인이 된 문제는 방치하고 위조 화폐의 제조, 사용자들만을 엄중히 처벌했다.[1] 이에 그때까지 어떻게든 위금으로 생계를 이어왔던 농민들은 1만 명 규모의 잇키를 일으켜 성공하였다고 한다.[1]
6. 2. 잇키(농민 봉기)
모리오카 번에서는 잦은 기근과 중과세 등으로 인해 잇키(농민 봉기)가 많이 발생하였다. 기록에 남은 것만도 133회로, 에도 시대 잇키가 가장 많이 발생한 번이었다. 주요 잇키로는 산페이 잇키 등이 있다.참조
[1]
서적
The orphan tsunami of 1700
https://books.google[...]
[2]
서적
Nihonshi yōgoshū
Yamakawa shuppansha
[3]
웹사이트
Hachinohe-han on Edo 300 HTML
http://www.asahi-net[...]
2008-08-15
[4]
서적
Aizu-han
Gendai shokan
[5]
웹사이트
Morioka-han on Edo 300 HTML
http://www.asahi-net[...]
2008-08-15
[6]
웹사이트
Shichinohe-han on Edo 300 HTML
http://www.asahi-net[...]
2008-08-15
[7]
서적
Ōuetsu Reppan Dōmei
[8]
서적
Boshin nanboku sensō to Tōhoku seiken
[9]
웹사이트
Nanbu chūi 南部中尉
http://kindai.ndl.go[...]
2008-08-15
[10]
웹사이트
Genealogy (jp)
http://reichsarchiv.[...]
[11]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12]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13]
PDF
天正20年(1500年)7月27日付豊臣秀吉朱印状南部信直宛(盛岡市中央公民館蔵)
http://www.pref.aomo[...]
[14]
웹사이트
南部家第46代当主 「前田利家への恩義から歴代当主の名前には『利』をつけた」 〈週刊朝日〉
https://dot.asahi.co[...]
2014-05-23
[15]
서적
弘前城築城四百年
[16]
웹사이트
平成・南部藩ホームページ
http://www.tonotv.co[...]
[17]
서적
南部史要
https://dl.ndl.go.jp[...]
[18]
서적
山鹿語類
[19]
서적
甲子夜話
[20]
웹사이트
刀 朱銘 延寿國時
https://bunka.nii.ac[...]
[21]
문서
盛岡藩の廃藩置県の折に課せられた70万両の納付は減免されており、藩の借金も盛岡に限らず1843年までは破棄、1844年以降の物は明治政府が国債3,000万円を起債し肩代わりするなど救済措置も見られた。
[22]
서적
藩史大事典
[23]
웹사이트
【いわての住まい】武家
http://www.bunka.pre[...]
[24]
서적
むつ市史
[25]
서적
むつ市史
[26]
서적
岩手県史
[27]
문서
文化7年11月15日条 藩日記
[28]
서적
むつ市史
[29]
웹사이트
八戸藩の村役人制度-名主・大下書・田屋について
http://www.komonjoka[...]
[30]
서적
青森県史
[31]
웹사이트
北上川の舟運
http://www.pref.iwat[...]
[32]
웹사이트
郡山河岸と小操舟
http://nippon.zaidan[...]
[33]
서적
嘉永慶応 江戸切絵図
尾張屋清七板
[34]
서적
目黒筋御場絵図
国立公文書館
[35]
서적
南部藩百姓一揆の研究
法政大学出版局
[36]
웹사이트
百姓一揆を禁じた制札
http://www.pref.iwat[...]
[37]
서적
八戸藩の歴史
八戸市
1999
[38]
문서
吾妻鏡
1184-09-17 # 추정 날짜. 원문에 연도와 월일만 명시되어 있음.
[39]
논문
公儀御馬買衆と盛岡藩
https://doi.org/10.1[...]
岩手大学教育学部
2002-02
[40]
서적
大間町史
[41]
웹사이트
岩手の古地図 南部九牧之図
http://www.library.p[...]
[42]
간행물
あきた
http://common.pref.a[...]
秋田県
1972-06-01
[43]
서적
新編八戸市史 近世資料編1
八戸市
2007
[44]
웹사이트
八戸藩の範囲
http://www.hachinohe[...]
[45]
PDF
岩手県の誕生
http://www.pref.iwat[...]
20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