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 부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스 부호는 점(・)과 선(-)의 조합으로 문자를 표현하는 통신 부호 체계이다. 1836년 새뮤얼 모스, 조지프 헨리, 앨프리드 베일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숫자만 표현했으나 앨프리드 베일에 의해 영문자와 특수 문자로 확장되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국제 표준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한글,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에 적용되어 사용된다.
모스 부호는 전신, 음향, 발광 신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송수신되었으며, 20세기 전반까지 유선 전신과 무선 통신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텔레타이프, 텔렉스, 팩시밀리, 인터넷 등 새로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사용 빈도가 감소했다. 현재는 아마추어 무선, 항공 및 해상 통신, 비상 통신, 보조 기술 등 제한적인 분야에서 활용되며, 현대자동차의 일부 차종, 소프트뱅크 휴대전화 벨소리, 카카오톡 알림 진동 패턴, 텔레비전 방송국의 속보 ID 등에서 활용되는 등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모스 부호는 다양한 학습 방법을 통해 습득할 수 있으며, 파른스워스 기법, 코흐 기법, 기억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스 부호 - CQD
CQD는 마르코니 회사에서 개발한 해상 무선 전신 고난 호출 신호로, 초기 무선 조난 신호였으나, 수신 혼동 가능성으로 인해 SOS 신호로 대체되었다. - 모스 부호 - 전건
전건은 모스 부호 통신에 사용되는 스위치 장치로, 상하식 키, 복식 전신 키, 반자동 전신 키, 자동 전신 키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아마추어 무선 통신에서 사용된다. - 무선 변조 방식 - 주파수 변조
주파수 변조(FM)는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으로, 잡음에 강하고 고음질 전송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무선 변조 방식 - 진폭 변조
진폭 변조(AM)는 정보 신호를 반송파의 진폭 변화로 전송하는 통신 변조 방식으로, 잡음에 약하고 전력 효율이 낮지만 포락선 검파가 가능하여 중파 및 단파 방송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디지털 방송에 밀려 사용이 줄었으나 재난 방송 및 사물 인터넷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부호화 - 바코드
바코드는 다양한 폭의 막대와 공백 조합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로, 상품 식별, 재고 관리 등에 사용되며 1차원과 2차원 바코드가 존재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판독되어 산업 효율성을 높인다. - 부호화 - 춤추는 사람
《춤추는 사람》은 셜록 홈즈가 그림 암호 메시지를 통해 벌어지는 사건을 해결하는 이야기로, 암호 해독, 엘시의 과거, 옛 연인의 등장, 살인 사건 등이 전개된다.
모스 부호 | |
---|---|
개요 | |
![]() | |
종류 | 국제 모스 부호 |
발명가 | 새뮤얼 모스 |
사용 시기 | 1840년대부터 현재까지 |
사용 방법 | 짧은 신호 (점, 단점)와 긴 신호 (선, 장점)의 조합으로 문자, 숫자, 기호를 표현 |
부호 구성 | |
기본 부호 | 점(·, dit, 짧은 신호) 선(—, dah, 긴 신호) |
부호 간 간격 | 요소 사이 간격: 1단점 길이 글자 사이 간격: 3단점 길이 단어 사이 간격: 7단점 길이 |
전송 방식 | |
전신 | 전신선 (유선) 무선 전신 (무선) |
기타 | 빛 (발광 신호) 소리 (가청 신호) 몸짓 (시각 신호) |
국제 모스 부호 | |
특징 | 국제 전신 연합 (ITU) 표준 라틴 문자, 숫자, 일부 기호 사용 각 언어별 변형 존재 |
한국어 표현 | 한글 자모 음절 단위로 표현 다양한 변형 존재 |
역사 | |
발명 | 새뮤얼 모스가 1830년대 개발 |
초기 형태 | 전신 시스템용 부호 체계 미국식 모스 부호 (초기 변형) |
발전 | 국제 전신 부호로 발전 (1851년) |
사용 분야 | 군사 통신 아마추어 무선 항공 통신 항해 |
기타 | |
SOS 신호 | 구조 요청 신호 (··· --- ···) |
오해 | "Save Our Souls" 또는 "Save Our Ship"의 약어라는 오해가 있었으나, 단순한 부호 조합임. |
기억법 | 단어 또는 문장으로 암기 |
음성 모스 부호 | 점과 선을 음성으로 표현하여 전달하는 방식 |
관련 규정 | |
국제 규칙 | 국제 전신 연합(ITU)에서 관리 |
단어 간격 | 7단점 길이 |
참고 사항 | |
학습 | 온라인 자료, 교육용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학습 도구 이용 가능 |
활용 | 비상 통신, 아마추어 무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
2. 개발 및 역사
1836년 미국의 예술가 새뮤얼 모스, 물리학자 조지프 헨리, 앨프리드 베일이 전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모스 부호는 통신사들이 종이 테이프에 적힌 자국을 텍스트 메시지로 해석할 수 있게 하였다. 초기에는 숫자만 전송 가능했으나, 앨프리드 베일이 문자와 특수 문자를 포함하도록 확장하여 일반화되었다. 로마자 부호는 사용 빈도가 높은 글자일수록 짧게 만들어 타전하기 편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가장 짧은 부호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e, i, t, a, n, s, d, h, m, r, u, b, f, g, k, l, v, w, c, j, o, p, x, z, q, y 순이다.[12]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국제전기통신연합 헌장의 무선통신규칙에 대한 권고[11]에서 영문 부호를 정의한다. 일본에서는 총무성 성령 무선국운용규칙 별표 제1호에 일본어와 영문 부호가 규정되어 있다. 종합무선통신사는 무선종사자 국가시험에서 일본어 및 영문 송수신 시험을 보며, 국내전신급 육상특수무선기사는 국가시험 및 양성과정 수료 시험에서 일본어 송수신 전기통신술 실기시험을 치른다. 1급・2급・3급 아마추어무선기사는 국가시험 및 수료 시험 법규에서 모르스 부호 지식을 평가받는다.
일본어에서 짧은 점은 “톤” 또는 “토”, 긴 점은 “투”로 표현하며, 모르스 부호를 “'''톤투'''”라고도 한다. 전신 외에 음향이나 발광 신호에도 사용되며, 광신기나 신호등은 선박에서 널리 쓰인다.
20세기 전반까지 육지 간 통신에서 전보 등에 사용되었으나, 텔레타이프 단말기(1920년대), 텔렉스(1930년대), 팩시밀리(1980년대), 전자우편(1990년대 후반) 등 다른 디지털 통신 방식의 발달로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원양 항해 선박 간 또는 선박과 육지 간 통신에서는 일반 통신부터 조난 신호(SOS)까지 중파 및 단파를 사용한 모스 부호 통신이 오랫동안 이루어졌다. 영화 등에서 선박 내 무선실에서 모스 부호 통신을 하는 장면을 흔히 볼 수 있었다.
국제해사기구(IMO) 결정에 따라 국제적인 선박 안전 통신이 GMDSS로 1999년 2월 완전히 전환되면서 단파 모스 부호 통신은 축소되었고, 비상용 통신 수단으로도 기본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1996년 해상보안청이, 1999년까지 NTT 그룹과 KDD(현 KDDI)가 모스 부호 통신 업무를 중단했다. 현재는 일부 어업 무선(원양 어업), 자위대 일부 통신, 아마추어 무선에 남아있다.
양방향 통신에는 드물게 사용되지만, 동보 통신[13]에서 식별 신호 송신에는 여전히 이용된다. 항공 무선 항행용 DME, ILS, VOR, NDB(무선국 종류는 무선 항행 육상국 또는 무선 표지국)는 모스 부호로 표지 부호를, 단파를 이용한 해양 레이더(무선 표정 육상국)는 모스 부호로 호출 부호를 송신한다. JJY(표준 주파수국)도 호출 부호 송신에 모스 부호를 사용한다. 실험 시험국에는 전기통신대학교의 HFD 관측용 실험 시험국 JG2XA 등이 있다.
육상자위대 통신학교, 해상자위대 제1술과학교[14], 수산고등학교에서 전기 통신술 훈련을 실시하며, 취미 등으로 쉽게 배우려면 합조법(어구 암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페르시아 문자 | 라틴 문자 | 부호 | 페르시아 문자 | 라틴 문자 | 부호 | 페르시아 문자 | 라틴 문자 | 부호 | 페르시아 문자 | 라틴 문자 | 부호 |
---|---|---|---|---|---|---|---|---|---|---|---|
ا | A | ・- | خ | X | -・・- | ص | Ä | ・-・- | ک | K | -・- |
ب | B | -・・・ | د | D | -・・ | ض | É | ・・-・・ | گ | Q | --・- |
پ | P | ・--・ | ذ | V | ・・・- | ط | U | ・・- | ل | L | ・-・・ |
ت | T | - | ر | R | ・-・ | ظ | Y | -・-- | م | M | -- |
ث | C | -・-・ | ز | Z | --・・ | ع | O | --- | ن | N | -・ |
ج | J | ・--- | ژ | G | --・ | غ | Ü | ・・-- | و | W | ・-- |
چ | Ö | ---・ | س | S | ・・・ | ف | F | ・・-・ | ه | E | ・ |
ح | H | ・・・・ | ش | Š | ---- | ق | ・・・--- | ی | I | ・・ |
2. 1. 전신기의 발명과 초기 모스 부호
새뮤얼 모스, 조지프 헨리, 앨프리드 베일은 1836년에 전신 시스템을 개발했다.[12] 초기 모스 부호는 숫자만 전송할 수 있었고, 종이 테이프에 자국을 새기는 방식으로 기록되었다. 1840년 앨프리드 베일은 문자와 특수 문자를 포함하도록 코드를 확장하여 모스 부호가 더 널리 사용될 수 있게 했다. 베일은 뉴저지주 모리스타운(Morristown, New Jersey)의 지역 신문 활자함에서 발견한 활자를 세어 영어에서 문자의 사용 빈도를 추정했다.
1837년, 윌리엄 쿡과 찰스 휘트스톤은 영국에서 전자석을 사용하는 전기 전신을 개발하여 특허를 받았다. 이는 런던과 버밍햄 철도에서 시연되어 최초의 상업용 전신이 되었다. 한편,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와 빌헬름 에두아르트 베버(1833년), 칼 아우구스트 폰 슈타인하일(1837년)도 독자적인 전신 시스템을 개발했다.
2. 2. 모스 부호의 발전과 국제 표준화
새뮤얼 모스는 1837년 9월 4일 뉴욕대학교에서 현재와는 전혀 다른 부호를 사용한 전신 실험을 처음으로 실시했다. 이후 조셉 헨리(프린스턴 대학교 교수)의 지도와 협력 아래 개량된 부호와 전신기에 대한 특허를 1840년 6월 20일에 취득했다.[12] 1844년 5월 24일에는 더욱 개량된 부호를 사용하여 시연을 실시하고, 워싱턴(의 B&O Mount Clare Station)에서 볼티모어로 “What Hath God Wrought”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12]초기 전신 교환수들은 전신기의 전자석이 종이 테이프에 표시를 할 때 딸깍거리는 소리를 듣고 점과 선으로 직접 번역하고 손으로 적을 수 있음을 알게 되어 종이 테이프가 불필요해졌다.
1849년 프리드리히 클레멘스 게를케가 개량한 부호를 기반으로 한 것이, 독일-오스트리아 전신 연합의 1851년 10월 비엔나 회의에서 체결된 조약에 의해 표준 규격으로 채택되었다. 이후 1868년 7월 비엔나에서 개최된 UTI (Union Télégraphique Internationale프랑스어, 만국전신연합, ITU의 전신 중 하나)에서 국제 표준으로 승인되어 현재의 원형이 되었다.
2. 3. 한국 모스 부호의 역사
김학우는 사용 빈도와 한글 순서나 획순을 함께 고려하여 한글 전신 부호를 개발했다.[12] 가장 많이 쓰는 글자인 'ㅏ'에 점을 지정했고, 이에 대칭인 'ㅓ'에 선을 지정했다. 'ㅑ, ㅕ, ㅜ'에는 각각 두 점 '··', 세 점 '···', 네 점 '····'을 지정했다. 자음은 ㄷ, ㄱ, ㄴ, ㄹ 순으로 규칙을 정해 각각 '-···', '.-··', '··-·', '···-'로 정했다.3. 모스 부호의 구성 및 규칙
새뮤얼 모스, 조지프 헨리, 앨프리드 베일이 개발한 전신 시스템에서 사용된 모스 부호는 로마자의 경우 사용 빈도가 높은 글자일수록 짧고 간단한 부호가 되도록 정해졌다.[29] 즉, 많이 사용되는 글자일수록 타전하기 편하도록 부호가 짧아진다. 모스 부호의 길이를 짧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e i t a n s d h m r u b f g k l v w c j o p x z q y 가 된다.
한글 전신 부호는 김학우가 개발했으며, 사용 빈도와 한글 순서나 획순을 함께 고려하여 정했다. 가장 많이 쓰는 글자인 'ㅏ'에 점을, 대칭인 'ㅓ'에 선을 지정했다. 'ㅑ, ㅕ, ㅜ'에는 각각 두 점(··), 세 점(···), 네 점(····)을 지정했다. 자음은 ㄷ, ㄱ, ㄴ, ㄹ 순으로 규칙을 정해 각각 -···, .-··, ··-·, ···-로 정했다.[29]
모스 부호는 국제 규약을 따르며,[29] 기호 간격이 정해져 있어 2진법 체계를 따른다. 점과 선이 n개 있으면 개의 부호를 만들 수 있다.
3. 1. 기본 요소
국제 모스 부호는 다음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짧은 신호, 점 또는 ''dit'' (): "dit 지속 시간"은 1단위이다.
# 긴 신호, 선 또는 ''dah'' (): 3단위이다.
# 문자 내 ''dits''와 ''dahs'' 사이의 요소 간 간격: 점 지속 시간 또는 1단위이다.
# 짧은 간격(문자 사이): 3단위이다.
# 중간 간격(단어 사이): 7단위이다(이전에는 5단위였습니다[3]).
한글의 경우 (음절)글자와 글자 사이는 5단위 길이를 둔다.
모스 부호는 종종 대시에는 "dah(다)", 문자 끝에 있는 점에는 "dit(딧)", 문자의 처음이나 중간에 있는 점에는 "di(디)"를 사용하여 말하거나 쓴다.
3. 2. 규칙
국제 모스 부호는 다음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짧은 신호, 점 또는 ''dit'' (): "dit 지속 시간"은 1단위이다.
- 긴 신호, 선 또는 ''dah'' (): 3단위이다.
- 문자 내 ''dits''와 ''dahs'' 사이의 요소 간 간격: 점 지속 시간 또는 1단위이다.
- 짧은 간격(문자 사이): 3단위이다.
- 중간 간격(단어 사이): 7단위이다(이전에는 5단위[3]).
모스 부호는 두 가지 상태(on과 off)만을 사용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이진 코드로 표현될 수 있다. 전신 기사들이 메시지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위의 ITU 정의를 바탕으로, 1비트를 점의 시간으로 정의하면, 모스 부호 시퀀스는 다음 다섯 가지 비트 문자열의 조합으로 대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짧은 점, 점 또는 'dit' (): '1'b
- 긴 점, 대시 또는 'dah' (): '111'b
- 문자 내 간격 (문자 내 'dits'와 'dahs' 사이): 0
- 짧은 간격 (문자 사이): '000'b
- 중간 간격 (단어 사이): '0000000'b
점과 간격은 항상 번갈아 나타난다. 즉, 'dits'와 'dahs'는 항상 간격 중 하나로 구분되며, 간격은 항상 'dit' 또는 'dah'로 구분된다.
다음은 모스 부호 사용 규칙을 나타낸 예시이다.
- 빼기 기호(-)는 신호, 공백 문자(_)는 신호가 없는 간격을 나타내며, 기호 하나는 단점 하나의 길이를 뜻한다.
- 모든 선은 이어져있다.
예) CQ TEST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예) 못 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모스 부호의 종류
모스 부호는 160년 이상 사용되어 온 전기적 메시지 인코딩 시스템이다. 현대 국제 모스 부호는 1848년 프리드리히 클레멘스 게르케가 만들었으며, 1865년 국제 전신 회의에서 표준화되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채택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독일은 '점'과 '대시'를 추가한 모스 부호 변형을 실험했지만, 연합군에 의해 해독되어 표준 모스 부호로 돌아갔다. "분수 모스" 또는 "분할 모스"와 같은 텍스트 위장용 변형도 있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국제전기통신연합 헌장의 무선통신규칙(RR)에 대한 권고(Recommendation[11])에서 영문 부호를 정의한다. 일본 총무 성령 무선국운용규칙 별표 제1호에는 일본어와 영문 부호가 있다.
일본어에서 짧은 점은 “톤” 또는 “토”, 긴 점은 “투”로 표현하며, 모스 부호를 “'''톤투'''”라고도 한다. 모스 부호는 전신 외에 음향이나 광신기를 이용한 발광 신호에도 사용된다.
영어(라틴 문자 기반) 및 일본어 모스 부호 외에도 다른 언어를 위한 전신 부호는 다음과 같은 변형이 있다.
- 영어 및 숫자 모스 부호
- 한글 모스 부호
- 일본어 모스 부호
- 기타 언어 모스 부호
중국어는 전보 부호 체계를 사용하여 한자에 4자리 숫자를 할당한다.
4. 1. 영어 및 숫자 모스 부호
문자 | 부호 | 신호음 |
---|---|---|
A | ・- | |
B | -・・・ | |
C | -・-・ | |
D | -・・ | |
E | ・ | |
F | ・・-・ | |
G | --・ | |
H | ・・・・ | |
I | ・・ | |
J | ・--- | |
K | -・- | |
L | ・-・・ | |
M | -- | |
N | -・ | |
O | --- | |
P | ・--・ | |
Q | --・- | |
R | ・-・ | |
S | ・・・ | |
T | - | |
U | ・・- | |
V | ・・・- | |
W | ・-- | |
X | -・・- | |
Y | -・-- | |
Z | --・・ |
숫자 | 부호 | 신호음 |
---|---|---|
1 | ・- (A와 같음) | |
2 | ・・- (U와 같음) | |
3 | ・・・- (V와 같음) | |
4 | ・・・・- | |
5 | ・・・・・ | |
6 | -・・・・ | |
7 | -・・・ (B와 같음) | |
8 | -・・ (D와 같음) | |
9 | -・ (N와 같음) | |
0 | - (T와 같음) |
4. 2. 한글 모스 부호
김학우일본어가 개발한 한글 전신 부호는 다음과 같다.[22] 현대 한국어 표기에서 사용되는 겹받침은 별도로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풀어 쓰는 방식으로 표기한다. (예: ㄲ → ㄱㄱ, ㅆ → ㅅㅅ)문자 | 부호 | 문자 | 부호 |
---|---|---|---|
ㄱ | ・-・・ | ㅎ | ・--- |
ㄴ | ・・-・ | ㅏ | ・ |
ㄷ | -・・・ | ㅑ | ・・ |
ㄹ | ・・・- | ㅓ | - |
ㅁ | -- | ㅕ | ・・・ |
ㅂ | ・-- | ㅗ | ・- |
ㅅ | --・ | ㅛ | -・ |
ㅇ | -・- | ㅜ | ・・・・ |
ㅈ | ・--・ | ㅠ | ・-・ |
ㅊ | -・-・ | ㅡ | -・・ |
ㅋ | -・・- | ㅣ | ・・- |
ㅌ | --・・ | ㅐ | --・- |
ㅍ | --- | ㅔ | -・-- |
일본어에서는 가타카나를 이용하여 모스 부호를 표기하며, 짧은 점(・)은 '톤', 긴 점(-)은 '투'라고 읽는다. 이를 합쳐 '톤투'라고 부르기도 한다.[22]
4. 3. 일본어 모스 부호
이로하 순서대로 로마자 모스 부호를 맞춘 것이 기본이 되어 있기 때문에, 50음 순서가 아닌 이로하 노래 순서로 나타낸다.문자 | 부호 | 문자 | 부호 |
---|---|---|---|
イ|이일본어 | ・- | ノ|노일본어 | ・・-- |
ロ|로일본어 | ・-・- | オ|오일본어 | ・-・・・ |
ハ|하일본어 | -・・・ | ク|쿠일본어 | ・・・- |
ニ|니일본어 | -・-・ | ヤ|야일본어 | ・-- |
ホ|호일본어 | -・・ | マ|마일본어 | -・・- |
ヘ|헤일본어 | ・ | ケ|케일본어 | -・-- |
ト|토일본어 | ・・-・・ | フ|후일본어 | --・・ |
チ|치일본어 | ・・-・ | コ|코일본어 | ---- |
リ|리일본어 | --・ | エ|에일본어 | -・--- |
ヌ|누일본어 | ・・・・ | テ|테일본어 | ・-・-- |
ル|루일본어 | -・--・ | ア|아일본어 | --・-- |
ヲ|오일본어 | ・--- | サ|사일본어 | -・-・- |
ワ|와일본어 | -・- | キ|키일본어 | -・-・・ |
カ|카일본어 | ・-・・ | ユ|유일본어 | -・・-- |
ヨ|요일본어 | -- | メ|메일본어 | -・・・- |
タ|타일본어 | -・ | ミ|미일본어 | ・・-・- |
レ|레일본어 | --- | シ|시일본어 | --・-・ |
ソ|소일본어 | ---・ | ヱ|에일본어 | ・--・・ |
ツ|쓰일본어 | ・--・ | ヒ|히일본어 | --・・- |
ネ|네일본어 | --・- | モ|모일본어 | -・・-・ |
ナ|나일본어 | ・-・ | セ|세일본어 | ・---・ |
ラ|라일본어 | ・・・ | ス|스일본어 | ---・- |
ム|무일본어 | - | ン|응일본어 | ・-・-・ |
ウ|우일본어 | ・・- | ゛|탁점일본어 | ・・ |
ヰ|이일본어 | ・-・・- | ゜|반탁점일본어 | ・・--・ |
일본어 모스 부호는 1855년(안세이 2년)에 네덜란드인이 고안한 것과 1869년(메이지 2년)에 코야스 준(子安峻)이 고안한 것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일본어 모스 부호는 1873년(메이지 6년)에 요시다 마사히데(吉田正秀)와 테라사키 손(寺崎遜) 등이 고안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25]
요시다 등은 당시 최신 국제 모스 부호(1868년 7월 21일 제정)를 입수하지 못하고, 독일-오스트리아 전신 연맹(DÖTV)의 모스 부호(1854년 4월 1일 판)에 이로하(イロハ) … 케후코(ケフコ)를 배정하였다. 이후 1885년(메이지 18년) 7월 1일에 탁점과 '루(る)'의 부호를 바꾸고 '이(ヰ)', '오(オ)', '에(ヱ)'를 추가했으며, 1893년(메이지 26년) 7월 15일에 장음 기호 'ー'를 추가하여 거의 현재의 부호 체계가 완성되었다.[22]
일본어 모르스 부호는 출현 빈도가 전혀 고려되지 않아 통신 효율이 떨어진다. (・)와 (-)는 각각 "ヘ"와 "ム"를 의미하며, 이는 국제 모스 부호가 아닌 독일-오스트리아 전신 연맹(DÖTV)의 모스 부호(1854년 4월판)를 기반으로 이로하에 대응시켰기 때문이다.[22]
4. 4. 기타 언어 모스 부호
중국어에서는 "전보 부호"라는 체계로 한자 한 글자에 4자리 숫자를 부호로 할당한다. 한자를 숫자로 부호화하고, 숫자를 한자로 복호화하기 위한 「표준 전보 부호 책(中国郵電部(현・정보산업부), ISBN 7-115-04219-5)」이라는 코드북이 존재한다.5. 모스 부호의 송수신
모스 부호는 전보선을 이용한 전기 펄스, 소리 톤, 모스 신호등, 헬리오그래프, 플래시라이트, 자동차 경적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7]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국제전기통신연합 헌장의 무선통신규칙(RR)에 대한 권고(Recommendation[11])에 영문 부호를 정의하고 있다. 일본 총무 성령 무선국운용규칙 별표 제1호에는 일본어와 영문 부호가 규정되어 있다. 종합무선통신사는 무선종사자 국가시험에서 일본어 및 영문 송수신, 국내전신급 육상특수무선기사는 국가시험 및 양성과정 수료 시험에서 일본어 송수신 전기통신술 실기시험을 치른다. 1급・2급・3급 아마추어무선기사는 국가시험 및 수료 시험 법규에서 모스 부호 지식을 평가한다.
일본어에서 짧은 점은 “톤” 또는 “토”, 긴 점은 “투”로 표현하며, 모스 부호를 “'''톤투'''”라고도 한다. 전신 외에 음향, 발광 신호가 선박 광신기나 신호등에 널리 사용된다.
1920년대 텔레타이프 단말기 전신, 1930년대 텔렉스, 1980년대 팩시밀리, 1990년대 후반 전자우편 등 다른 디지털 통신 방식 발달로 모스 부호 사용은 점차 감소했다.
원양 항해 선박 간 또는 선박-육지 간 통신에서는 일반 통신부터 조난 신호()까지 중파, 단파 이용 모스 부호 통신이 오랫동안 사용되었고, 영화 등에서 선박 내 무선실 모스 부호 통신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통신위성 등장으로 단파 모스 부호 통신은 축소되었고, 비상용 통신 수단도 국제해사기구(IMO) 결정에 따라 1999년 2월 GMDSS로 완전 전환되어 모스 부호 통신은 기본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1996년 해상보안청, 1999년까지 NTT 그룹, KDD(현 KDDI)가 모스 부호 통신 업무를 중단했다. 현재는 일부 어업 무선(원양 어업), 자위대 일부 통신, 아마추어 무선만 남아있다.
양방향 통신 외 동보 통신[13] 식별 신호 송신에는 여전히 사용된다. 항공 무선 항행용 DME, ILS, VOR, NDB(무선 항행 육상국, 무선 표지국)는 모스 부호로 표지 부호를, 해양 레이더(무선 표정 육상국)는 모스 부호로 호출 부호를 송신한다. JJY(표준 주파수국)도 호출 부호 송신에 모스 부호를 쓴다. 실험 시험국에는 전기통신대학교 HFD 관측용 실험 시험국 JG2XA 등이 있다.
육상자위대 통신학교, 해상자위대 제1술과학교[14], 수산고등학교에서 전기 통신술 훈련이 실시된다. 합조법(어구 암기법)을 이용하면 취미 등으로 간편하게 습득할 수 있다.
국제 모스 부호는 점(・)과 선(-) 조합으로 알파벳, 숫자, 기호를 표현한다. 선은 점 3개 길이, 점과 선 사이는 점 1개, 문자 간격은 점 3개, 단어 간격은 점 7개 분이다.
표준 영어 문장 알파벳 출현 빈도에 따라 부호화되어 자주 나오는 문자일수록 짧다. (예: E(・), T(-)는 가장 짧고, Q(--・-), J(・---)는 길다.)
일본어 모스 부호는 출현 빈도를 고려하지 않아 통신 효율이 낮다. (・)와 (-)는 "ヘ", "ム"이며, 국제 모스 부호가 아닌 DÖTV 모스 부호(1854년 4월판) 기반으로 이로하에 대응시켰다.[22]
통신 속도는 자/분, WPM(words per minute, 분당 점 50개(1워드) 출현 횟수)으로 표기한다. 점 50개 기준은 "PARIS" 부호를 사용하므로 PARIS 속도라고도 한다. (예: 10WPM = 50자/분) 영어 평문에서는 출현 빈도가 많은 문자일수록 부호가 짧아 실제 문자 수가 많아질 수 있다.
5. 1. 송신 방법
모스 부호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송신할 수 있다. 원래는 전보선을 따라 전기 펄스로 전송되었지만, 나중에는 오디오 톤, 짧고 긴 톤 또는 높고 낮은 톤의 라디오 신호, 알디스 램프나 헬리오그래프, 일반 손전등, 심지어 자동차 경적과 같은 장치를 사용한 기계적, 가청적 또는 시각적 신호(예: 깜박이는 불빛)로도 확장되었다.[7]모스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전신 키와 같은 수동 장치로 전송되므로, 송신자와 수신자의 숙련도에 따라 변화가 발생한다. 경험이 많은 운영자는 더 빠른 속도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운영자는 약간씩 다르게, 예를 들어 약간 더 길거나 짧은 획(dah) 또는 간격을 사용하는데, 특정 문자에만 그럴 수도 있다. 이것을 "주먹(fist)"이라고 하며, 경험이 많은 운영자는 이것만으로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있다. 명확하게 보내고 복사하기 쉬운 숙련된 운영자는 "좋은 주먹(good fist)"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나쁜 주먹(poor fist)"은 모스 부호가 엉성하거나 복사하기 어려운 특징이다.
무선 통신에서는 모스 부호를 "쓰는" 방법보다는 모든 문자와 기호의 "소리"를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짧은 점(・)과 긴 점(-)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현하며, 문자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규격이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국제전기통신연합 헌장에 규정하는 무선통신규칙(RR)에 대한 권고(Recommendation[11])에 영문 부호를 정의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총무 성령 무선국운용규칙 별표 제1호에 일본어와 영문 부호가 정해져 있으며, 종합무선통신사는 무선종사자 국가시험에서 일본어 및 영문의 송수신을, 국내전신급 육상특수무선기사는 국가시험 및 양성과정 수료 시험에서 일본어 송수신의 전기통신술 실기시험이 있다. 또한 1급・2급・3급 아마추어무선기사는 국가시험 및 수료 시험의 법규에서 모르스 부호에 대한 지식이 평가된다.
일본어에서는 짧은 점을 “톤” 또는 “토”, 긴 점을 “투”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모르스 부호를 속칭 “'''톤투'''”라고도 한다. 전신 외에도 음향이나 발광 신호에도 사용된다. 광신기나 신호등은 선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모스 부호 송신기는 기계식 스위치(전신 키)의 접점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방식이었다. 1846년 베인(Bain)이 종이테이프에 미리 구멍을 뚫어 접점을 개폐하는 방식의 자동 송신기를 발명했다. 1866년부터 영국의 찰스 휘트스톤(Charles Wheatstone)이 제작한 자동 송신기가 널리 사용되었다.
수신기는 1837년 토미(Tommy)가 발명한, 전자석으로 움직이는 바늘의 압력으로 종이테이프에 자국을 새기는 엠보싱 방식이 처음 사용되었지만, 종이를 감는 과정 등에서 선명하지 않아 판독에 어려움이 있었다. 1854년 토마스 존(Thomas Jonh)이 잉크로 표시하는 방식을 고안했고, 1860년대에는 종이테이프를 움직여 고정된 펜에 접촉하거나 분리하는 방식으로 개량되었다.
인쇄기를 사용하여 모스 부호를 시각화하고 문자로 바꾸는 방법은 통신량이 많아지면 대응하기 어려웠다. 기계식 계전기(청음기)의 소리로 부호를 판별하는 청음 수신은 처음에는 금지되었지만, 동시 기록이 가능하고 고속 통신이 가능하여 널리 행해지게 되었다.[15]
20세기 초, 전파를 단속적으로 송수신하여 모스 부호를 주고받는 무선 전신이 실용화되었다. 유선 전신과 비교하면, 송신을 위한 전신 키 조작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수신 방법은 서로 다르다.
유선 전신에서는 수신기를 이용한 청각 수신이 기본이다. 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와 끊어질 때 충격음이 발생하므로, 이 음조와 간격에 따라 점과 선을 판별한다. 참고로 "CQ"는 무선 이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무선 전신에서도 (초기 이외에는) 청각 수신이 이루어져 왔지만, 점과 선은 지속음으로 표현되어 유선 전신의 딱딱거리는 소리와 다르다. 따라서 유선과 무선의 통신병 훈련 과정[19]도 다른 경우가 많았고, 어느 한쪽의 조작만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유선 모스 후기에는 전신 신호로 부저(지속음)를 울려 무선 통신병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유선 통신병을 이 부저 통신에 숙련시켜 무선 통신병으로 전환하기도 했다. 군사 통신에서는 유선과 무선이 혼재하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지상전에서는 통신병이 양쪽 모두 조작할 수 있어야 했다.
부저 외에도, 저주파 발진기를 직류 전신 신호로 제어하는 장치도 있다(실례: 「일본 육군 95식 전신기」[20]).
무선 모스 통신에는 혼신이나 잡음도 있으며, 신호만 수신할 수 있는 경우는 드물지만, 신호 대 잡음비가 1 미만, 즉 신호 강도가 더 작은 경우에도 숙련자라면 목표 신호음을 구별할 수 있다. 무선 전화나 데이터 통신은 도저히 할 수 없는 통신 환경에서도 최소한의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는 점이 21세기에도 모스 통신이 사용되는 이유이다.[21]
5. 2. 수신 방법
모스 부호는 전보 와이어를 통한 전기 펄스로 시작되었으나, 소리 톤, 기계식 또는 시각 신호로도 송신이 가능하다.19세기 초 유럽 실험가들은 전기 신호 시스템 발전을 이루었다. 1820년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의 전자기 발견과 1824년 윌리엄 스터전의 전자석 발명 이후, 전자기 전신이 발전했다. 초기 전신 시스템은 단일 바늘 시스템을 사용했는데, 수신자가 바늘과 메시지를 번갈아 봐야 했기 때문에 속도가 느렸다. 모스 부호에서 바늘이 왼쪽으로 움직이면 'dit', 오른쪽은 'dah'에 해당했다. 바늘이 움직일 때마다 클릭 소리가 났는데, 소리를 다르게 만들어 단일 바늘 장치는 가청식이 되었고, 이는 '이중 판 음향기' 시스템으로 이어졌다.
새뮤얼 모스, 조지프 헨리(Joseph Henry), 알프레드 베일(Alfred Vail)은 전신 시스템을 개발했다. 1837년경, 모스는 현대 국제 모스 부호의 초기 전신을 개발했다.
1844년에 처음 사용된 전신용 모스 시스템은 종이 테이프에 움푹 들어간 자국을 만드는 방식이었다. 전류가 수신되면 전자석이 작동하여 스타일러스를 움직이는 종이 테이프에 눌러 자국을 만들었다. 전류가 차단되면 스프링이 스타일러스를 되돌렸다. 모스 부호는 작업자가 종이 테이프의 자국을 텍스트 메시지로 번역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초기 부호 설계는 숫자만 전송하고 코드북을 사용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1840년 알프레드 베일(Alfred Vail)에 의해 문자와 특수 문자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베일은 뉴저지주 모리스타운(Morristown, New Jersey)의 지역 신문 활자함에서 발견한 활자를 세어 영어에서 문자의 사용 빈도를 추정했다. 더 짧은 표시는 "점", 더 긴 표시는 "대시"라고 불렀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자에는 점과 대시의 가장 짧은 시퀀스가 할당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함과 해군 기지 간의 메시지 전달에 중요했던 모스 부호를 이용한 무선전신은 장거리 함선 간 통신에 사용되었으며, 암호화된 메시지를 사용했다. 무선전신은 전투기, 특히 초계기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모스 부호는 1999년까지 국제 해상 조난 신호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프랑스 해군이 1997년 1월 31일 모스 부호 사용을 중단했을 때 전송된 마지막 메시지는 "모든 호출에 응답하십시오. 영원한 침묵 앞에 우리의 마지막 호출입니다."였다.
모스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전신 키와 같은 수동 장치로 전송되므로, 송신자와 수신자의 숙련도에 따라 변화가 발생한다. 경험이 많은 운영자는 더 빠른 속도로 송수신할 수 있다. 개별 운영자는 약간씩 다르게 획(dah) 또는 간격을 사용하는데, 이것을 "주먹(fist)"이라고 한다. "좋은 주먹(good fist)"을 가진 숙련된 운영자는 명확하게 보내고 복사하기 쉽다. "나쁜 주먹(poor fist)"은 모스 부호가 엉성하거나 복사하기 어려운 특징이다.
모스 부호는 종종 대시에는 "dah(다)", 문자 끝에 있는 점에는 "dit(딧)", 문자의 처음이나 중간에 있는 점에는 "di(디)"를 사용하여 말하거나 쓴다.
무선 통신에 사용할 경우 위와 같이 모스 부호를 "쓰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송수신 모두를 위해 모든 문자와 기호의 "소리"를 배워야 한다. 모스 부호 복호화 소프트웨어는 다양하며, 신호를 복호화하고 아마추어 무선 주파수 할당 대역에서 '''CQ''' 메시지를 감지한다.
인쇄기를 사용하여 모스 부호를 시각화하고 그것을 문자로 바꾸는 방법은 통신량이 많아지면 대응하기 어려웠다. 기계식 계전기(청음기)의 소리로 부호를 판별하는 청음 수신은 처음에는 금지되었지만, 동시 기록이 가능하고 고속 통신이 가능하므로, 후에는 널리 행해지게 되었다.[15]
20세기 초, 전파를 단속적으로 송수신하여 모스 부호를 주고받는 무선 전신이 실용화되었다. 유선 전신과 비교하면, 송신을 위한 전신 키 조작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수신 방법은 서로 다르다. 유선 전신에서는 수신기를 이용한 청각에 의한 수신 방법이 기본이다. 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와 끊어질 때 충격음이 발생하므로, 이 음조와 간격에 따라 점과 선을 판별한다. 참고로 "CQ"는 무선 이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무선 전신에서도 (초기 이외에는) 청각 수신이 이루어져 왔지만, 점과 선은 지속음으로 표현되어 유선 전신의 딱딱거리는 소리와 다르다. 따라서 유선과 무선의 통신병 훈련 과정[19]도 다른 경우가 많았고, 어느 한쪽의 조작만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유선 모스의 후기에는 전신 신호로 부저(지속음)를 울리게 함으로써 무선 통신병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유선 통신병을 이 부저 통신에 숙련시켜 무선 통신병으로 전환하는 것도 행해졌다. 군사 통신에서는 유선과 무선이 혼재하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지상전에서는 통신병은 양쪽 모두 조작할 수 있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부저 외에도, 저주파 발진기를 직류 전신 신호로 제어하는 장치도 있다(실례: 「일본 육군 95식 전신기」[20]).
무선 모스 통신에는 혼신이나 잡음도 있으며, 신호만 수신할 수 있는 경우는 드물지만, 신호 대 잡음비가 1 미만, 즉 신호 강도가 더 작은 경우에도 숙련자라면 목표 신호음을 구별할 수 있다. 무선 전화나 데이터 통신은 도저히 할 수 없는 통신 환경에서도 최소한의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는 것이 21세기 오늘날에도 모스 통신이 사용되는 이유이다.[21]
5. 3. 케이블 코드
19세기, 20세기 초 해저 케이블에서는 다른 형태의 모스 신호가 필요했다. 시변에 따라 전압을 켜고 끄는 방식 대신, 일정한 시간 동안 케이블에 노출되는 전압의 양극성을 통해 'dit'과 'dah'를 표현했다.[28]5. 4. 숙련도
모스 부호 속도는 분당 단어 수(wpm) 또는 분당 문자 수(cpm)로 측정된다. 문자는 'dit'과 'dah'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길이가 다르다. 따라서 동일한 수의 문자를 포함하더라도 단어의 길이는 점 지속 시간 측면에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운영자의 전송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표준 단어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표준 단어는 '''PARIS'''와 '''CODEX'''이다.모스 부호에 능숙한 운영자는 머릿속으로 40wpm 이상의 속도로 코드를 이해("복사")할 수 있다. 숙련된 고속 운영자는 표준 서면 영숫자 및 구두점 문자나 기호를 고속으로 알고, 이해하고, 복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 모스 부호 약어에 대한 모든 특수 비서면 모스 부호 기호와 표준 모스 부호 통신 프로토콜에서 이러한 특수 절차 신호의 의미를 완전히 알고 있어야 한다.
코드 복사에 대한 국제 대회가 여전히 간헐적으로 개최된다. 1939년 7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애슈빌(Asheville, North Carolina)에서 열린 대회에서 시어도어 루즈벨트 맥엘로이('''W1JYN''')는 모스 복사에 대한 여전히 유효한 기록인 75.2wpm을 세웠다. Pierpont (2004)는 또한 일부 운영자가 100wpm을 초과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 시점이 되면 단어가 아니라 구절과 문장을 "듣고" 있다. 스트레이트 키로 보낸 가장 빠른 속도는 1942년 해리 터너('''W9YZE''')(1992년 사망)가 미국 육군 기지에서 시연에서 35wpm에 도달했을 때 달성되었다.
서로 다른 시대의 코드 복사 속도 기록을 정확하게 비교하려면 서로 다른 표준 단어(50 dit 지속 시간 대 60 dit 지속 시간)와 서로 다른 단어 간 간격(5 dit 지속 시간 대 7 dit 지속 시간)이 이러한 속도 기록을 결정할 때 사용되었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예를 들어, '''CODEX''' 표준 단어와 '''PARIS''' 표준으로 실행되는 속도는 최대 20%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
오늘날 아마추어 운영자들 사이에는 고속 코드 능력을 인정하는 여러 기관이 있으며, 그중 하나는 60wpm의 속도로 모스 부호를 복사할 수 있는 사람들로 구성된 그룹이다. 미국 라디오 중계 리그(American Radio Relay League)를 포함한 여러 아마추어 무선 협회에서 코드 숙련 증명서를 발급한다. 그들의 기본 상은 10wpm에서 시작하여 40wpm까지 인정되며, 전송된 텍스트를 복사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다. 미국 보이스카우트(Boy Scouts of America) 회원은 5wpm의 속도로 코드를 번역하는 기준을 충족하면 제복에 모스 해석가 스트립을 부착할 수 있다.
2013년 5월까지, '''CODEX''' 표준 단어를 기반으로 한 코드 테스트를 사용하는 1급, 2급, 3급(상업용) 무선 전신 면허는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에서 여전히 발급되고 있었다. 1급 면허는 20wpm 코드 그룹과 25wpm 텍스트 코드 숙련도를 요구했고, 다른 등급은 16wpm 코드 그룹 테스트(암호화된 텍스트를 수신하는 시뮬레이션으로 전송되는 5자 블록)와 20wpm 코드 텍스트(일반 언어) 테스트를 요구했다.
고속 전신 대회가 열린다. 2005년 6월 불가리아 프리모르스코에서 열린 국제 아마추어 무선 연맹(International Amateur Radio Union, IARU) 제6회 고속 전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기네스북에 따르면 벨라루스의 안드레이 빈다소프는 1분 동안 혼합 텍스트의 모스 부호 표시 230개를 전송했다.
6. 모스 부호의 활용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국제전기통신연합 헌장에 규정하는 무선통신규칙에 대한 권고에 영문 부호를 정의하고 있다.[11] 일본에서는 총무 성령 무선국운용규칙 별표 제1호에 일본어와 영문 부호가 정해져 있다. 종합무선통신사는 무선종사자 국가시험에서 일본어 및 영문의 송수신을, 국내전신급 육상특수무선기사는 국가시험 및 양성과정 수료 시험에서 일본어 송수신의 전기통신술 실기시험이 있으며, 1급・2급・3급 아마추어무선기사는 국가시험 및 수료 시험의 법규에서 모르스 부호 지식이 평가된다.
일본어에서 짧은 점은 “톤” 또는 “토”, 긴 점은 “투”로 표현하며, 모르스 부호를 “'''톤투'''”라고도 한다.
전신 외에도 음향이나 발광 신호에도 사용된다. 광신기나 신호등은 선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육지 간 통신에서는 20세기 전반까지 전보 등에 사용되었으나, 텔레타이프 단말기(1920년대), 텔렉스(1930년대), 팩시밀리(1980년대), 전자우편(1990년대 후반) 등 다른 디지털 통신 방식의 발달로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원양 항해 선박 간 또는 선박과 육지 간 통신에서는 일반 통신부터 조난 신호()까지 오랫동안 중파 및 단파를 사용한 모스 부호 통신이 이루어졌으며, 영화 등에서 선박 내 무선실에서 모스 부호 통신을 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했다.
통신위성 등장으로 단파 모스 부호 통신은 축소되었고, 국제해사기구(IMO) 결정에 따라 국제적인 선박 안전 통신이 GMDSS로 1999년 2월 완전히 전환되어 모스 부호 통신은 기본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1996년 해상보안청과 1999년까지 NTT 그룹과 KDD(현 KDDI)가 모스 부호 통신 업무를 중단했다. 현재는 일부 어업 무선(원양 어업), 자위대 일부 통신, 아마추어 무선에 남아있다.
양방향 통신은 드물지만, 동보 통신[13]에서의 식별 신호 송신에는 여전히 이용된다. 항공 무선 항행용 DME, ILS, VOR, NDB(무선국 종류는 무선 항행 육상국 또는 무선 표지국)는 모스 부호로 표지 부호를 송신하고, 단파를 사용하는 해양 레이더(무선 표정 육상국)는 모스 부호로 호출 부호를 송신한다. JJY(표준 주파수국)도 호출 부호 송신은 모스 부호로 한다. 실험 시험국에는 전기통신대학교의 HFD 관측용 실험 시험국 JG2XA 등이 있다.
전기 통신술 훈련은 육상자위대 통신학교, 해상자위대 제1술과학교[14], 수산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다. 취미 등으로 간편하게 습득하려면 합조법(어구 암기법)이 있다.
6. 1. 항공 및 해상 통신
항공에서 조종사는 무선 항법 장비를 사용한다. 조종사가 사용하려는 장비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장비는 모스 부호로 식별 문자(보통 장비 이름의 2~5자리 약자)를 전송한다. 장비 식별 문자는 항공 항법 차트에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쿠바 카요 라르고 델 수르의 빌로 아쿠냐 공항에 있는 VOR-DME는 "UCL"로 식별되며, 모스 부호 ''''''이 해당 무선 주파수로 반복 전송된다.일부 국가에서는 유지 보수 기간 동안 신호를 전송하거나, 식별 신호를 제거하여 장비가 신뢰할 수 없음을 조종사와 항해사에게 알린다. 캐나다에서는 항법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야 함을 알리기 위해 식별 신호를 완전히 제거한다.
항공 서비스에서 모스 부호는 일반적으로 분당 약 5단어의 매우 느린 속도로 전송된다. 미국에서는 조종사가 송신기를 식별하기 위해 모스 부호를 알 필요가 없는데, 점/대시 순서가 항공 차트의 송신기 기호 옆에 적혀 있기 때문이다. 일부 최신 항법 수신기는 코드를 자동으로 변환하여 문자로 표시한다.
항공용으로 사용되는 VOR과 NDB와 같은 무선 항법 보조 장비는 모스 부호 형태로 식별 정보를 방송하지만, 많은 VOR 방송국은 이제 음성 식별 정보도 제공한다.
미국 해군을 포함한 군함은 오랫동안 모스 부호로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해 신호등을 사용해 왔다. 현대에도 부분적으로 무전침묵을 유지하면서 통신하는 방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모스 부호를 이용한 무선전신은 특히 전쟁 당사국들의 군함과 해군 기지 간의 메시지 전달에 있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매우 중요했다. 장거리 함선 간 통신은 무선전신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당시 함선의 음성 무선 시스템은 그 범위와 보안 모두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암호화된 메시지를 사용했다.
모스 부호는 세계 해상 구조 및 안전 시스템으로 대체된 1999년까지 국제 해상 조난 신호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프랑스 해군이 1997년 1월 31일 모스 부호 사용을 중단했을 때 전송된 마지막 메시지는 "모든 호출에 응답하십시오. 영원한 침묵 앞에 우리의 마지막 호출입니다."였다.
중요한 응용 사례로는 SOS ""를 통한 구조 요청 신호가 있다. 이 신호는 무선 기기의 송수신 중단, 거울 반사, 손전등 켜고 끄기 등 여러 방법으로 보낼 수 있다. SOS 신호는 세 개의 별도 문자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약어 이며, 문자 사이에 간격 없이 전송된다.
6. 2. 아마추어 무선
아마추어 무선에서 국제 모스 부호는 "연속파(continuous wave)" 또는 "CW"라고 불리는 모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1] 현대의 on/off 신호는 중단되지만, 송신 시에는 단일 주파수 반송파(carrier wave)를 유지한다.[1]초기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들은 음성 지원 무선 송신기가 1920년경까지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모스 부호만을 사용했다. 2003년까지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은 전 세계 아마추어 무선 면허 절차의 일환으로 모스 부호 숙련도를 의무화했지만, 세계무선통신회의(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는 아마추어 무선 면허에 대한 모스 부호 요구 사항을 선택 사항으로 변경했다.[2] 그 후 많은 국가에서 면허 요건에서 모스 부호 요구 사항을 삭제했다.[3]
1991년까지 미국에서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로부터 아마추어 무선 면허를 받으려면 최소 분당 5단어()의 속도로 모스 부호를 송수신해야 했다. 단파 대역을 사용하려면 이 능력을 시연해야 했다. 2000년까지 최고 수준의 아마추어 면허(아마추어 특급)를 받으려면 20 수준의 숙련도가 필요했다.[4] 2000년 4월 15일부터 FCC는 특급 요건을 5로 낮췄다.[4] 2007년 2월 23일부터 FCC는 모든 아마추어 무선 면허에서 모스 부호 숙련도 요건을 제거했다.[5]
미국 규정에 따라 음성 및 데이터 송신은 특정 아마추어 무선 대역으로 제한되지만, 모스 부호는 LF, MF 저대역, MF 고대역, HF, 초고주파(VHF), 및 극초고주파(UHF)를 포함한 모든 아마추어 대역에서 허용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아마추어 무선 대역의 특정 부분이 모스 부호 신호 전송 전용으로 예약되어 있다.
모스 부호 송신은 온-오프 키잉 무선 신호를 사용하므로 다른 무선 송신 모드보다 간단한 장비가 필요하다. 또한, 음성 통신(SSB 음성에서 사용하는 약 2,400~2,800 Hz)보다 더 적은 신호 대역폭(signal bandwidth) (일반적으로 100~150 Hz)을 사용한다.
모스 부호는 일반적으로 고음의 오디오 톤으로 수신되므로 혼잡한 주파수의 잡음을 통해 음성보다 복사하기가 더 쉽고, 매우 높은 잡음/낮은 신호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송신 전력이 매우 제한된 대역폭에 집중되어 좁은 수신기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접 주파수의 간섭을 억제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좁은 신호 대역폭은 인간 뇌의 자연적인 청각 선택성을 활용하여 약한 신호 판독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러한 효율성으로 인해 CW는 DX(장거리) 송신과 저전력 송신("QRP 운영(QRP operation)", "전력 감소"를 의미하는 Q 코드(Q-code)에서 유래)에 매우 유용하다.
모스 부호를 보낼 수 있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속도로 인해 통신 속도를 높이기 위한 많은 약어가 개발되었다. 여기에는 프로사인, Q 코드(Q code), 그리고 일반적인 메시지 구성 요소에 대한 모스 부호 약어(Morse code abbreviations) 집합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는 "당신을 찾습니다"(신호를 들을 수 있는 사람과 대화하고 싶습니다)로 해석된다. ''''''(노인), ''''''(젊은 여성), ''''''("전 젊은 여성" – 아내)과 같은 약어가 일반적이다. '''''' 또는 ''''''은 운영자가 다른 운영자를 지칭할 때(실제 나이에 관계없이) 사용하고, '''''' 또는 ''''''은 운영자가 배우자를 지칭할 때 사용한다. ''''''는 "송신 위치"(말로는 "내 Q.T.H."는 "내 위치"임)이다. 일반적인 용어에 대한 약어를 사용하면 운영자가 다른 언어를 사용하더라도 대화가 가능하다.
일부 아마추어는 여전히 전통적인 전신 키(telegraph key) (스트레이트 키)를 사용하지만, 기계식 반자동 키어(keyer) (비공식적으로 "벌레"라고 불림)와 완전 자동 전자 키어(keyer) ( "싱글 패들" 및 "더블 패들" 또는 "iambic" 키라고 함)의 사용이 오늘날 널리 보급되었다. 소프트웨어는 모스 부호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디코딩하는 데에도 자주 사용된다. 미국무선중계연맹(ARRL)에는 로봇 인코더에 대한 판독 가능성 표준인 ''ARRL Farnsworth 간격''이 있으며, 로봇 및 인간 디코더 모두에 대한 판독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6. 3. 보조 기술
모스 부호는 다양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의사소통하는 데 도움을 주는 보조 기술로 사용되어 왔다.[4][5]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5.0 이상 버전에서는 키패드나 필기 인식 대신 모스 부호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최소한의 운동 제어만 가능하다면 심각한 운동 장애가 있는 사람도 모스 부호를 보낼 수 있다. 모스 부호는 컴퓨터로 번역하여 음성 의사소통 보조 장치에 사용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플라스틱 튜브에 번갈아 불고 빨아들이는 방식("흡입 및 압축" 인터페이스)을 사용하기도 한다. 행 열 스캐닝보다 모스 부호의 중요한 장점은 일단 배우면 디스플레이를 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스캐닝보다 빠른 것으로 보인다.
아마추어 무선 잡지 ''QST''에 보고된 한 사례에서, 뇌졸중으로 말하거나 글을 쓰는 능력을 잃은 오래된 선박 무선 통신사가 눈을 깜빡이는 모스 부호로 의사(아마추어 무선 통신사)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다. 중환자실에서의 의사소통에 대한 두 가지 예도 ''QST 잡지''에 게재되었다.
6. 4. 기타 활용
VOR과 NDB 같은 무선 항법 보조 장비는 모스 부호 형태로 식별 정보를 방송하지만, 많은 VOR 방송국은 음성 식별 정보도 제공한다. 미국 해군을 포함한 군함은 오랫동안 모스 부호로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해 신호등을 사용해 왔으며, 현대에도 무전침묵을 유지하면서 통신하는 방법으로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자동 송신기 식별 시스템(ATIS)은 아날로그 위성 전송의 업링크 소스를 식별하는 데 모스 부호를 사용한다.
많은 아마추어 무선 중계기는 음성 통신에 사용되더라도 모스 부호로 식별한다.
7. 모스 부호의 쇠퇴와 재조명
1920년대부터 텔레타이프 단말기를 이용한 전신, 1930년대 텔렉스, 1980년대 팩시밀리, 1990년대 후반 전자우편 등 새로운 디지털 통신 방식이 발전하면서 모스 부호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원양 항해 선박 간 또는 선박과 육지 간 통신에서는 일반 통신부터 조난 신호(SOS)까지 오랫동안 중파 및 단파를 사용한 모스 부호 통신이 이루어졌으며, 영화 등에서 관련 장면이 자주 등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통신위성의 등장과 국제해사기구(IMO)의 결정에 따라 1999년 2월, 국제적인 선박 안전 통신이 GMDSS로 완전히 전환되면서 모스 부호 통신은 기본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1996년 해상보안청이, 1999년까지 NTT 그룹과 KDD(현 KDDI)가 모스 부호를 사용한 통신 업무를 중단했다.
현재는 일부 어업 무선(원양 어업), 자위대의 일부 통신, 아마추어 무선 등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모스 부호는 재조명되고 있다.
- 비상 통신 수단: 재난 상황 등에서 기존 통신망이 마비되었을 때 유용하다.
- 아마추어 무선 통신 수단: 모스 부호 송신은 온-오프 키잉 무선 신호를 사용하므로 간단한 장비로 가능하다. 또한 음성 통신보다 좁은 신호 대역폭을 사용하므로, 혼잡한 주파수 환경에서도 통신이 용이하다.
7. 1. 쇠퇴 원인
전화, 텔레타이프, 텔렉스, 팩시밀리, 전자우편 등 새로운 디지털 통신 방식의 발달로 모스 부호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12]1920년대 무렵부터 텔레타이프 단말기에 의한 전신, 1930년대부터 텔렉스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팩시밀리가, 1990년대 후반부터는 전자우편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미국에서는 1999년 7월 12일에 마지막 상업용 모스 부호 송신이 이루어졌으며, 새뮤얼 모스의 1844년 최초 메시지인 '''What hath God wrought'''(하나님이 무엇을 행하셨는가)와 프로사인 ("연락 종료")로 마무리되었다.
원양 항해 선박 간 또는 선박과 육지 간 통신에서는 일반 통신부터 만일의 조난 신호()까지 오랫동안 중파 및 단파를 사용한 모스 부호 통신이 이루어졌으나, 국제해사기구(IMO)의 결정에 따라 1999년 2월에 국제적인 선박 안전 통신이 GMDSS로 완전히 전환되면서 모스 부호 통신은 기본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13] 일본에서는 1996년 해상보안청이, 1999년까지 NTT 그룹과 KDD(현 KDDI)가 모스 부호를 사용한 통신 업무를 중단했다.
7. 2. 재조명 이유
20세기 전반까지 모스 부호는 전보 등 문자 통신에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1920년대 텔레타이프 단말기를 이용한 전신, 1930년대 텔렉스, 1980년대 팩시밀리, 1990년대 후반 전자우편 등 다른 디지털 통신 방식이 발전하면서 점차 사용이 줄어들었다.[13]원양 항해 선박 간, 또는 선박과 육지 간 통신에서는 오랫동안 중파 및 단파를 이용한 모스 부호 통신이 일반 통신부터 SOS와 같은 조난 신호까지 사용되었다. 영화에서도 선박 내 무선실에서 모스 부호 통신을 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했다.
통신위성의 등장으로 단파를 이용한 모스 부호 통신은 축소되었으며, 국제해사기구(IMO)의 결정에 따라 국제적인 선박 안전 통신은 GMDSS로 1999년 2월 완전히 전환되면서 모스 부호 통신은 기본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1996년 해상보안청이, 1999년까지 NTT 그룹과 KDD(현 KDDI)도 모스 부호를 사용한 통신 업무를 중단했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모스 부호 통신의 사용이 감소했다.
현재 남아있는 모스 부호 통신은 일부 어업 무선(원양 어업), 자위대의 일부 통신, 아마추어 무선 정도이다.
양방향 통신에서의 사용은 드물어졌지만, 동보 통신[13]에서의 식별 신호 송신에는 여전히 이용된다.
- 항공 무선 항행용 DME, ILS, VOR, NDB (무선국 종류는 무선 항행 육상국 또는 무선 표지국)는 모스 부호로 표지 부호를 송신한다.
- 단파를 사용하여 해양 관측을 하는 해양 레이더(무선 표정 육상국)는 모스 부호로 호출 부호를 송신한다.
- JJY(표준 주파수국)도 호출 부호 송신에 모스 부호를 사용한다.
- 실험 시험국 중 전기통신대학교의 HFD 관측용 실험 시험국 JG2XA 등도 모스 부호를 사용한다.
육상자위대 통신학교, 해상자위대 제1술과학교[14], 수산고등학교에서는 전기 통신술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취미 등으로 모스 부호를 쉽게 익히려면 합조법(어구 암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모스 부호는 단순하고, 낮은 대역폭을 사용하며, 높은 신호 대 잡음비 덕분에 디지털 통신 시대에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재조명되고 있다.
- 비상 통신 수단: 재난 상황 등에서 기존 통신망이 마비되었을 때 유용하다.
- 장애인을 위한 보조 기술: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대안적인 통신 수단을 제공한다.
- 역사적, 문화적 가치: 한국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었던 역사적 상징성을 가진다.
- 예술 및 디자인 요소: 모스 부호의 독특한 패턴을 활용한 예술 작품이나 디자인이 등장하고 있다.
- 교육 및 훈련 도구: 논리적 사고와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아마추어 무선사들의 통신 수단: 오늘날 국제 모스 부호는 연속파(continuous wave) (CW) 모드에서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모스 부호 송신은 온-오프 키잉 무선 신호를 사용하므로 다른 무선 송신 모드보다 간단한 장비로 가능하다. 또한 음성 통신( SSB 음성에서 사용하는 약 2,400~2,800 Hz)보다 더 적은 신호 대역폭(signal bandwidth) (일반적으로 100~150 Hz)을 사용한다.
모스 부호는 일반적으로 고음의 오디오 톤으로 수신되므로 혼잡한 주파수의 잡음을 통해 음성보다 복사하기가 더 쉽고, 매우 높은 잡음/낮은 신호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송신 전력이 매우 제한된 대역폭에 집중되어 좁은 수신기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접 주파수의 간섭을 억제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8. 학습 방법
모스 부호는 말하거나 쓸 때, "dah(다)"는 대시, 문자 끝의 점은 "dit(딧)", 문자 처음이나 중간의 점은 "di(디)"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M O R S E C O D E'는 "Dah dah dah dah dah di dah dit di di dit dit, Dah di dah dit dah dah dah dah di dit dit."와 같이 발음된다. 그러나 무선 통신에서는 이러한 "쓰는" 방식보다는 송수신을 위해 각 문자와 기호의 "소리"를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모스 부호를 가르치는 방법 중 하나는 이분 탐색 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파른스워스 방법, 코흐 방법, 기억법 등 다양한 학습 방법이 존재한다. W1AW(미국 라디오 중계 리그 본부 방송국)[9]에서 정기적으로 방송되는 모스 부호 연습 전송을 통해 (문자 암기 후) 코드 인식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대부분의 숫자는 아래 표에 나와 있는 비공식적인 약식이 있다. 송신자와 수신자 모두 숫자를 의도하고 문자가 아님을 이해하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의도된 숫자 | 축약 숫자 코드 | 비고 |
---|---|---|
0 | (}) | |
1 | (}) | |
2 | (}) | |
3 | (}) | |
4 | 4 | |
5 | 또는 5 () | |
6 | 6 | |
7 | (}) | |
8 | (}) | |
9 | (}) | |
. | () |
- 축약 숫자가 아니거나 숫자가 아닌 코드는 회색으로 표시
- 표준 모스 부호에서 여러 개의 'dah'를 하나의 'dah'로 줄이고 모든 'dit'는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4''' 또는 '''6'''에 대한 별도의 축약 숫자 코드는 없다.
- 일부 통신사는 다른 축약 숫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섯 개의 'dit'는 여전히 짧은 시간(축약 '''3''' 및 축약 '''7'''과 동일한 시간)이고, 단일 'dit'는 잘못된 축약 '''1''' 또는 축약 소수점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5'''에 대한 표준 코드를 보낸다.
8. 1. 파른스워스 방법 (Farnsworth method)
파른스워스 기법은 모스 부호 학습 방법 중 하나로, 문자 속도와 텍스트 속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각 문자는 목표 속도로 보내지만, 문자 간 및 단어 간 간격을 늘려 단어 속도를 느리게 한다. 이 기법은 W6TTB라는 콜사인으로도 알려진 도널드 R. "러스" 파른스워스(Donald R. "Russ" Farnsworth)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8]파른스워스 기법을 사용하면 처음에는 각 기호 내의 ''dit(짧은 신호)''와 ''dah(긴 신호)'', 공백을 정상적인 상대적 시간으로 유지하면서 목표 속도로 학습하게 된다. 그러나 문자와 기호 사이의 공백을 과장되게 크게 하여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준다. 이후 연습과 숙달을 통해 점차 간격을 줄여나가며 목표 속도에 도달하게 된다.
8. 2. 코흐 방법 (Koch method)
1935년 독일 엔지니어이자 전 돌격대원이었던 루드비히 코흐(Ludwig Koch)가 고안한 '''코흐 기법'''[8]은 처음부터 목표 속도를 사용하지만, 처음에는 두 문자만 사용한다. 이 두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90% 정확도로 복사할 수 있게 되면 추가 문자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전체 문자 집합을 숙달할 때까지 계속한다.8. 3. 기억법 (Mnemonics)

시각적인 기억법 차트는 오랫동안 고안되어 왔다. 배든-파웰은 1918년 걸 가이드 안내서에 기억법 차트를 포함시켰다.
영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모스 부호 문자와 같은 리듬을 가진 일련의 단어나 구절을 통해 모스 부호를 익혔다. 예를 들어, 모스 부호의 Q는 'dah dah di dah'인데, 이는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라는 구절로 기억할 수 있으며, F의 모스 부호는 'di di dah dit'로 "그녀가 그것을 좋아했나요?"로 기억할 수 있다.
8. 4. 기타 학습 자료
W1AW(미국 라디오 중계 리그 본부 방송국)[9]에서 정기적으로 방송되는 모스 부호 연습 전송을 통해 코드 인식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모스 부호 복호화 소프트웨어에는 리버스 비컨 네트워크에 연결된 소프트웨어 정의 광대역 무선 수신기부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참조
[1]
웹사이트
HB9BFM
https://www.qrz.com/[...]
2021-09-25
[2]
보고서
Telegraph Regulations
https://search.itu.i[...]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3]
보고서
Telegraph Regulations
https://search.itu.i[...]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4]
서적
Modern Morse code in rehabilitation and education: New applications in assistive technology
https://archive.org/[...]
Allyn & Bacon
2000
[5]
웹사이트
Morse Codes for Computer Access
https://www.makoa.or[...]
2020
[6]
웹사이트
Morse Code
https://acecentre.or[...]
Ace Centre (UK ACC Charity)
2020
[7]
간행물
NATO phonetic alphabet, codes & signals
https://www.nato.int[...]
2018
[8]
논문
Arbeitspsychologische Untersuchung der Tätigkeit bei der Aufnahme von Morsezeichen
https://www.qrpforum[...]
Technische Hochschule Carolo-Wilhelmina
1936
[9]
웹사이트
W1AW Code Practice Schedule
http://www.arrl.org/[...]
American Radio Relay League
2022-06-03
[10]
웹사이트
Fort Huachuca bids farewell to Morse code training
https://www.army.mil[...]
2021-05-29
[11]
웹사이트
Recommendation ITU-R M1677-1 International Morse code
https://www.itu.int/[...]
ITU
[12]
뉴스
Samuel F.B. Morse gave the first public telegraph demonstration 178 years ago in Baltimore. The federal government was less than impressed.
https://www.baltimor[...]
[13]
법규
電波法施行規則
[14]
웹사이트
第1術科学校:第1術科学校について【訓練・授業風景】
https://www.mod.go.j[...]
海上自衛隊第1術科学校
2020-11-18
[15]
웹사이트
[16]
비디오
Telegraph Sounders
http://www.youtube.c[...]
FDF38
2013-06-14
[17]
비디오
Telegraph Sounder
http://www.youtube.c[...]
FDF38
2013-06-14
[18]
비디오
How to connect a Bunnell telegraph sounder
http://www.youtube.c[...]
FDF38
2013-06-14
[19]
웹사이트
学科の一例
[20]
웹사이트
日本陸軍 九五式電信機
http://www.geocities[...]
2013-07-17
[21]
웹사이트
[22]
웹사이트
国際モールス符号の誕生
http://kanji.zinbun.[...]
2020-06-22
[23]
웹사이트
[24]
서적
日本電気事業発達史
電友社
[25]
서적
モールス通信 通信の原点=CW その魅力/運用法/歴史
CQ出版社
1998-09-01
[26]
웹사이트
[27]
웹인용
International Morse code Recommendation ITU-R M.1677-1
http://www.itu.int/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1-12-23
[28]
서적
History of Telegraphy
Institution of Electrical Engineers IET
[29]
웹사이트
아마추어무선 운용윤리와 운용절차
https://www.iaru-r1.[...]
[30]
보고서
Miscellaneous abbreviations and signals to be used for radiocommunications in the maritime mobile service
https://www.itu.in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31]
보고서
International Morse Code Recommendation
http://www.itu.int/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1-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