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도 (부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도(부산)는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위치한 무인도로, 중생대 말기 화산 분출로 형성되었으며 뚜렷한 주상절리가 특징이다. 보리밥나무, 밀사초,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고, 45과 77종의 생물이 서식한다. 특히 낚시꾼들에게 감성돔 낚시 포인트로 알려져 있으며, 주변 해역은 2013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나팔고둥 등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고 있다. 2006년에는 관광지 개발 논란이 있었으나, 환경 단체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무인도 - 남형제섬
남형제섬은 독도 등 도서 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특정도서 제138호로 지정되어 있고 주변 해역은 해양수산부 해양보호구역 제7호로 지정되어 해양생물 서식지 보호, 해저경관 및 생태계 보전·관리를 목적으로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무인도 - 거북섬 (부산)
거북섬 (부산)은 부산 송도에 위치했던 구름다리였으며, 2020년 태풍과 노후화로 인해 철거되었다. - 부산 사하구의 지리 - 시약산
- 부산 사하구의 지리 - 구덕산
- 부산광역시의 섬 - 김해평야
김해평야는 낙동강 하구의 삼각주 평야로, 낙동강 토사 퇴적과 매립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대저제방 축조 후 현재 모습을 갖추고 부산 강서구 일대에 걸쳐 여러 하중도로 구성되어 있다. - 부산광역시의 섬 - 가덕도
가덕도는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다양한 지형과 풍부한 역사를 지닌 섬으로, 조선시대 웅천군 관할이었으며 임진왜란, 러일전쟁 등 역사적 사건의 중심지였고, 눌차왜성, 가덕도 척화비 등의 문화재와 다양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신공항 건설과 한일해저터널 건설 계획 등은 논란이 되고 있다.
목도 (부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위치 | 남해 |
행정 구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148 |
일반 정보 | |
이름 | 나무섬 (목도) |
나라 | 대한민국 |
면적 | 47,603m2 |
높이 | 61m |
광역시 | 부산광역시 |
2. 지리 및 지질
자연사·미래환경학회의 해양수산부 용역 보고서인 '목도의 식생현황 및 수목원 조성 기본 구상'에 의하면 목도는 중생대 말기 약 7천만~8천만 년 전에 화산이 분출하여 형성된 것이며, 이후 화산 원형이 침식되어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이 섬은 뚜렷한 주상절리가 형성되어 있다. 기후는 평균 한달 중 보름 정도가 폭풍이나 풍랑, 너울이 발생해 배 출입이 어려워 사람은 살기 힘들다.
2. 1. 형성 과정
목도는 중생대 말기 약 7천~8천만 년 전에 화산이 분출하여 형성되었으며, 이후 화산 원형이 침식되어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 섬 전체에는 뚜렷한 주상절리가 발달해 있다.2. 2. 지리적 특징
해양수산부 용역 보고서인 '목도의 식생현황 및 수목원 조성 기본 구상'에 따르면, 목도는 중생대 말기 약 7천~8천만년 전에 화산 분출로 형성되었으며, 이후 화산 원형이 침식되어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섬에는 뚜렷한 주상절리가 형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위치한 무인도이다.
기후는 평균 한 달 중 보름 정도가 폭풍이나 풍랑, 너울이 발생해 배의 출입이 어려워 사람이 살기 힘들다.
3. 생태
해양수산부 용역 보고서인 '목도의 식생현황 및 수목원 조성 기본 구상'에 따르면, 목도에는 북쪽을 제외한 중앙과 동쪽, 남쪽, 서쪽에 보리밥나무 군락, 북쪽과 서쪽, 동쪽에 밀사초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서쪽에는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는데, 까마귀쪽나무는 부산 지역 해안가에는 서식하지 않는 수종이라는 특징이 있다. 해양수산부 조사 결과 총 45과 77종(나무 18과 24종, 풀 28과 53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산녹색연합은 송악, 예덕나무, 호랑가시나무, 쇠비름, 갯능쟁이, 바위솔, 갯메꽃, 선메꽃, 큰방가지똥, 맥문동, 원추리, 왕고들빼기 등 12과 25종을 추가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목도 주변 해역은 온대성 해역의 특징을 보인다. 홍조류가 가장 많고, 감성돔, 나팔고둥 등이 서식하고 있다.
3. 1. 식생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용역 보고서인 '목도의 식생현황 및 수목원 조성 기본 구상'에 따르면, 목도에는 북쪽을 제외한 중앙과 동쪽, 남쪽, 서쪽에 보리밥나무 군락, 북쪽과 서쪽, 동쪽에 밀사초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서쪽에는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는데, 까마귀쪽나무는 부산 지역 해안가에는 서식하지 않는 수종이라는 특징이 있다. 해양수산부 조사 결과 총 45과 77종(나무 18과 24종, 풀 28과 53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산녹색연합은 송악, 예덕나무, 호랑가시나무, 쇠비름, 갯능쟁이, 바위솔, 갯메꽃, 선메꽃, 큰방가지똥, 맥문동, 원추리, 왕고들빼기 등 12과 25종을 추가로 발견했다고 밝혔다.3. 2. 해양 생물
목도 주변 해역은 온대성 해역의 특징을 보인다. 홍조류가 가장 많고, 감성돔, 나팔고둥 등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멸종위기종인 나팔고둥의 서식지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4. 낚시 포인트
목도는 낚시꾼 사이에서 감성돔 낚시 포인트로 잘 알려져 있다.[1] 주요 포인트는 목도 본섬 동쪽에 있는 부속여인 '사각바위'와 본섬의 '절밑'이다.[1] 이 지역은 조류 소통이 원활하고 수심이 10m 이상으로 깊어 감성돔 낚시에 적합하다.[1]
5. 개발 논란 및 해양보호구역 지정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이 2006년 8월 20일 목도를 세계적인 해상관광지로 개발하기 위한 용역을 실시한다고 발표하자, 부산녹색연합 등 환경단체는 생태계 파괴를 우려하며 반대했다. 특히 '습지와 새들의 친구' 박중록 위원장은 목도에서 황조롱이, 새매와 같은 천연기념물이 발견되었으며, 철새 이동의 중요 중계지 역할을 하므로 개발은 또 다른 생태 파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당시 보수 정권의 개발 중심 정책과 진보 진영의 환경 보전 가치가 충돌한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목도 주변 해역은 2013년 11월 29일 해양수산부에 의해 해양보호구역 제8호로 지정되었다.[2] 지정 목적은 나무섬 주변 해역의 원시적 자연경관과 보호대상해양생물의 서식지 및 해양생태계를 보전·관리하는 것이다.[2] 관리청은 부산지방해양항만청이며, 면적은 0.275㎢이다.[2]
주요 보호 자원은 무척추동물인 나팔고둥, 옆새우류, 삼각따개비, 보살고둥, 둥근입얼룩고둥과 가지까막살, 미끈뼈대그물말, 작은구슬산호말, 모란갈파래, 고리마디게발 등 해조류이다.[2]
이러한 해양보호구역 지정은 개발 압력에도 불구하고 생태적 가치를 보전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평가할 수 있다.
5. 1. 개발 논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이 2006년 8월 20일 목도를 세계적인 해상관광지로 개발하기 위한 용역을 실시한다고 발표하자, 부산녹색연합 등 환경단체는 생태계 파괴를 우려하며 반대했다. 특히 '습지와 새들의 친구' 박중록 위원장은 목도에서 황조롱이, 새매와 같은 천연기념물이 발견되었으며, 철새 이동의 중요 중계지 역할을 하므로 개발은 또 다른 생태 파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당시 보수 정권의 개발 중심 정책과 진보 진영의 환경 보전 가치가 충돌한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5. 2. 해양보호구역 지정
목도 주변 해역은 2013년 11월 29일 해양수산부에 의해 해양보호구역 제8호로 지정되었다.[2] 지정 목적은 나무섬 주변 해역의 원시적 자연경관과 보호대상해양생물의 서식지 및 해양생태계를 보전·관리하는 것이다.[2] 관리청은 부산지방해양항만청이며, 면적은 0.275㎢이다.[2]주요 보호 자원은 무척추동물인 나팔고둥, 옆새우류, 삼각따개비, 보살고둥, 둥근입얼룩고둥과 가지까막살, 미끈뼈대그물말, 작은구슬산호말, 모란갈파래, 고리마디게발 등 해조류이다.[2]
이러한 해양보호구역 지정은 개발 압력에도 불구하고 생태적 가치를 보전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평가할 수 있다.
참조
[1]
뉴스
"[박춘식의 출조 길라잡이] 다대포 나무섬"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06-02-16
[2]
간행물
"해양수산부고시제2013-252호(나무섬 주변해역 해양보호구역 지정)"
http://gwanbo.mois.g[...]
관보
2013-11-29
[3]
문서
대한민국의 [[특정도서]]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