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욕탕은 공중이 이용하는 목욕 시설을 의미하며, 인더스 문명 시대부터 고대 로마, 이슬람 세계, 중세 유럽, 근대 영국, 일본, 중국, 한국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전해 왔다. 특히 로마 시대에는 여가 시설로 번성했으며,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종교적 의례와 위생을 위해 함맘이 발달했다. 한국에서는 1924년 평양에 최초의 근대식 목욕탕이 생겨난 이후, 199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으나, 개인 샤워 시설 보급과 찜질방 등장으로 쇠퇴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나 - 목욕
목욕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개인 위생, 건강, 종교 의식, 치료, 레크리에이션을 위해 다양한 문화권에서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욕조나 샤워를 이용한 개인 목욕과 다양한 형태의 공중 목욕이 널리 보급되었다. - 사우나 - 하맘
하맘은 이슬람 문화권의 공중 목욕탕을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로, 초기 이슬람 정복 이후 무슬림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오스만 제국을 거쳐 확산되었으나 20세기 초 쇠퇴하여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목욕탕 - 사우나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유래한 뜨거운 방에서 증기욕을 즐기는 시설 또는 행위로, 건식과 습식으로 나뉘며 혈액 순환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핀란드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 목욕탕 - 찜질방
찜질방은 사우나, 목욕탕 외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한국의 대중적인 휴식 공간으로, 24시간 운영되는 경우가 많지만 위생 문제가 제기되고 재난 시 임시 거처로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해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목욕 - 샤워
샤워는 몸을 씻는 행위나 시설을 뜻하며, 역사적으로 폭포에서 시작하여 고대 문명을 거쳐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현대적인 형태로 발명되었고, 현재는 물 절약형 샤워기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 목욕 - 수건
수건은 물기 제거와 먼지 제거에 사용되는 직물로, 터키에서 시작되어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으로 대중화되었으며, 다양한 용도와 재질, 디자인으로 활용된다.
목욕탕 | |
---|---|
시설 개요 | |
정의 | 공중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목욕 시설 |
유형 | 대중탕 목욕탕 온천 수영장 찜질방 |
역사 | |
기원 | 고대 로마의 공중 목욕탕 (테르마이) |
한국 | 삼국시대부터 존재 (증거: 신라 황복사지에서 발견된 욕조) 고려시대: 사찰 중심 운영 조선시대: 민간 확산 |
특징 | |
문화적 의미 | 휴식 및 사교 공간 지역 커뮤니티 중심지 역할 |
위생 | 공중위생관리법에 따른 관리 및 규제 |
설비 | 욕조 (온탕, 냉탕, 열탕 등) 샤워 시설 탈의실 휴게 공간 매점 (경우에 따라) 찜질 시설 (찜질방의 경우) |
나라별 현황 | |
대한민국 | 동네 목욕탕: 서민적인 대중 목욕 시설 찜질방: 다양한 찜질 시설과 부대시설을 갖춘 대형 목욕 시설 워터파크: 물놀이 시설을 갖춘 대형 목욕 시설 |
일본 | 센토: 대중 목욕탕 온천: 온천수를 이용한 목욕 시설 |
관련 법규 | |
대한민국 | 공중위생관리법 |
기타 | |
참고사항 |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운영 제한 및 변화 |
2. 역사
로마에서는 수도 시설을 통해 먼 곳에서 물을 끌어올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어서 목욕탕이 번성했다. 로마 제국에서 목욕탕은 로마 시민의 여가 시설로 쓰였다. 칼리굴라 황제는 수백 명이 들어갈 수 있는 거대한 목욕탕을 지어, 로마 시민은 대형 목욕탕에서 저렴한 가격에 목욕을 할 수 있었으며, 책방, 운동 시설, 식당 등도 제공되었다. 이러한 목욕의 인기는 중세 유럽에도 전해져 오스트리아 빈의 경우 공중목욕탕이 100여 개나 되었다.[17]
기원전 2600년경 인더스 문명의 모헨조다로나 하라파 등에는 대규모 공중 목욕탕이 있었다. 고대 인도 16대국의 마가다국 수도 왕사성(현재 비하르 주 라지기르)은 온천이 많았고, 죽림정사 근처에 온천이 있는 불교 승원(Tapodarama)이 있었다. 요양 목적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힌두교 사원이 세워졌지만 온천은 건재하다. 종교 시설 안이나 주변에 공중 목욕탕이 있는 경우가 많다.
힌두교 신자들은 하루를 시작할 때 사찰 공중 목욕탕 등에서 몸을 깨끗이 씻는다.[64]
역사적으로 고대 로마의 카라칼라 욕장이 유명하며, 중동에는 하맘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목욕 문화가 뿌리내려 현재에도 각지에 공중목욕탕이 있다. 일반적인 목욕탕은 "목욕탕"으로, 사우나가 딸린 목욕탕은 "사우나"로 부르기도 한다. 도시 지역에서는 다양한 사우나를 갖춘 찜질방이 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는 "욕지"라는 공중 목욕탕이 있었다. 가정에 욕조가 없는 경우가 많아 샤워 중심의 욕탕이 많다. 때밀이가 상주하는 공중 목욕탕도 많으며, 욕조는 온욕 장소가 아니라 때를 씻어내는 장소인 경우도 있다. 소도시에는 샤워만 있는 소규모 공중 목욕탕이 많다. 이슬람교도가 많은 지역에는 종교적 의미에서 림욕실이 다수 존재한다. 무함마드는 "청결은 신앙의 절반"이라 말했고, 쿠란에는 "예배를 드릴 때 얼굴과 두 손을 팔꿈치까지 씻고, 머리를 어루만지고 두 발을 발목까지 씻어라."라고 되어 있어 이슬람교도는 예배 전 몸을 깨끗이 해야 한다. 중국 무슬림은 샤워로 전신을 씻는 경우가 많다.
1924년 평양에 처음으로 공중목욕탕 겸 대중목욕탕 영업이 시작된 것이 한국 최초의 근대적 목욕탕이다.[65] 초기에는 일본인 손님이 많았으나, 점차 한국인 손님도 늘었다. 때밀이와 찜질방이 있을 정도로 한국의 목욕 문화는 크게 발전했다. 1990년대까지 목욕탕 전성기였으나, 개인 샤워실 보급과 찜질방 등의 대형화로 전통적인 목욕탕은 쇠퇴하고 있다. 보통 목욕탕 안에는 사우나, 온탕, 냉탕, 쑥탕 등이 있다.
2. 1. 인더스 문명

최초의 공중 목욕탕 중 일부는 인더스 문명의 유적에서 발견된다. 존 키에 따르면, 현재 파키스탄에 있는 모헨조다로의 "대욕장"은 '작은 규모의 시립 수영장' 크기였으며, 양쪽 끝에 물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었다.[1]
이 욕탕은 더 크고 정교한 건물 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공중 목욕에 사용되었다.[1] 대욕장과 사제의 집은 인더스 문명이 종교를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2. 2. 고대 그리스
기원전 6세기경 고대 그리스에서는 체육관 근처에 대야를 설치하여 목욕을 했다. 이후 체육관에는 실내 대야와 샤워 시설, 계단식 원형 수영장 등이 설치되었다.[2][3]목욕은 의례화되어 예술의 경지로 발전했으며, 세척용 모래, 더운 물, 어두운 돔형 "증기 목욕"에서 나오는 뜨거운 공기, 시원한 냉수욕, 아로마 오일로 하는 마사지 등이 행해졌다. 고대 그리스 전역의 도시들은 "젊은 청년들이 서서 몸에 물을 끼얹던" 장소를 기렸다.
2. 3. 고대 로마
로마에서는 수도시설을 통해 먼 곳에서 물을 끌어올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어서 목욕탕이 번성할 수 있었다. 로마 제국에서 목욕탕은 로마 시민의 여가시설로 쓰였다. 칼리굴라 황제는 수백 명이 들어갈 수 있는 거대한 목욕탕을 지어, 로마 시민은 대형 목욕탕에서 저렴한 가격에 목욕을 할 수 있었으며, 책방이나 운동시설, 식당 등도 제공되었다. 이러한 목욕의 인기는 중세 유럽에도 전해져서 오스트리아 빈의 경우 공중목욕탕이 100여 개나 되었다.[17]기원전 19년 최초의 공공 테르메(Thermae)는 지름 25미터의 원형 건물로, 작은 방들이 둘러싸고 있었으며, 인공 강과 수영장이 있는 공원에 자리 잡고 있었다. 서기 300년경 디클레티아누스 욕장은 140000m2를 덮었으며, 솟아오르는 화강암과 반암은 하루 3,000명의 목욕객을 수용했다. 가장 상류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로마 가정에는 어떤 종류의 목욕 공간도 없었기 때문에 다양한 계층의 로마 사회 사람들이 공중 목욕탕에 모였다. 로마 목욕탕은 수영장, 운동 공간, 게임룸, 정원, 심지어 도서관과 극장까지 갖춘 "아쿠아 센터와 놀이공원의 중간쯤"이 되었다. 가장 유명한 공중 목욕탕 중 하나는 아쿠아이 슐리스로 잉글랜드 배스에 위치해 있다.[18]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의 가렛 G. 페이건 박사는 그의 저서 ''로마 세계의 공공 목욕''에서 공공 목욕을 로마인들에게 "사교 행사"로 묘사했다. 그는 또한 "서유럽에서는 핀란드인들만이 진정으로 공공 목욕 습관을 실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19]
2. 4. 이슬람 세계
이슬람 세계에서는 하맘(터키식 목욕탕)이 발달했다. 하맘은 로마의 테르메에서 유래했으며,[20][21][22] 종교적 의례와 위생, 사교의 장으로 기능했다. 우마이야 칼리파조 시대(7~8세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동, 북아프리카, 알-안달루스(이슬람 스페인 및 포르투갈), 중앙 아시아, 인도 아대륙 및 오스만 제국 통치 하의 중앙 유럽과 동유럽 등지에 널리 퍼져 있다.[23][20]하맘의 건축 양식은 로마 및 그리스 목욕탕의 구조에서 발전했으며, 탈의실(아포디테리움), 냉탕(프리지다리움), 온탕(테피다리움), 열탕(칼다리움)과 같이 비슷한 방 구성을 가진다.[21][23][22] 난방은 가열로에서 생성되어 온수와 증기를 공급하며, 연기와 뜨거운 공기는 바닥 아래의 도관을 통해 이동한다.[21][23][22] 하맘 방문 과정은 로마 목욕과 유사했지만, 운동이 포함되지 않는 등의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24][20]

2. 5. 중세 유럽
로마에서는 수도 시설을 통해 먼 곳에서 물을 끌어올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어서 목욕탕이 번성할 수 있었다. 로마 제국에서 목욕탕은 로마 시민의 여가 시설로 쓰였다. 칼리굴라 황제는 수백 명이 들어갈 수 있는 거대한 목욕탕을 지어, 로마 시민은 대형 목욕탕에서 저렴한 가격에 목욕을 할 수 있었으며, 책방이나 운동 시설, 식당 등도 제공되었다. 이러한 목욕의 인기는 중세 유럽에도 전해져서 오스트리아 빈의 경우 공중목욕탕이 100여 개나 되었다.[1]2. 6. 근대 영국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도시화와 함께 노동자 계층의 위생 문제가 대두되었다. 1829년 리버풀에 최초의 현대식 공중목욕탕이 문을 열었고, 1842년에는 최초의 온수 공공 세탁소가 문을 열었다.[40][41]세탁소의 인기는 아일랜드 이민자이자 "노동자의 아내"인 키티 윌킨슨에 대한 신문 보도로 인해 높아졌는데, 그녀는 "슬럼가의 성녀"로 알려지게 되었다.[42] 1832년 콜레라 유행 동안, 윌킨슨은 이웃들에게 자신의 집과 마당을 제공하여 옷을 빨도록 하였고, 차아염소산칼슘(표백제)을 사용하여 옷을 깨끗하게 하는 방법을 보여주었다.[40] 1842년 윌킨슨은 목욕탕 감독관으로 임명되었다.[43][44]
버밍엄에서는 1830년대에 약 10개의 개인 목욕탕이 있었는데, 규모는 작았지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다.[45] 이 개인 목욕탕들은 당뇨병, 통풍, 피부병 등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홍보되었다.[46] 1844년, 사회의 노동 계급 구성원들이 대중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목욕탕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1846년 공공 목욕탕 및 세탁소 법이 제정되어 전국 지방 당국이 자체 자금으로 공공 수영 목욕탕을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47] 최초의 런던 공공 목욕탕은 1847년 화이트채플의 골스턴 광장에 문을 열었다.[48][49] 1915년까지 영국 대부분의 마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욕탕이 있었다.[50]
빅토리아 시대 터키식 목욕탕은 외교관이자 스태퍼드의 국회의원이었던 데이비드 어쿼트에 의해 영국에 소개되었다. 1856년 리처드 바터는 어쿼트와 함께 코크주 블라니 근처의 세인트 앤스 수치료 시설에 이 유형의 첫 번째 목욕탕을 열었다.[51]
1860년 7월, 런던에 터키식 목욕탕이 문을 열었고, 이후 150년 동안 700개가 넘는 터키식 목욕탕이 영국에서 문을 열었다. 대영 제국의 다른 지역(호주, 캐나다, 뉴질랜드)에서도 유사한 목욕탕이 문을 열었다.[52]
2. 7. 일본
일본 목욕의 기원은 물을 이용한 의례적인 정화인 미소기(misogi)이다.[12] 일본이 불교 문화를 수입한 후, 많은 사찰에서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우나를 갖게 되었다.헤이안 시대에는 귀족이나 사무라이 가문과 같은 저명한 가문의 집에 목욕탕이 있었다. 목욕은 종교적 의미를 잃고 대신 여가 활동이 되었다. 미소기(misogi)는 얕은 나무 욕조에서 목욕하는 교즈이(gyōzui)가 되었다.[13]
17세기에 일본을 처음 방문한 유럽인들은 성별 혼합 집단에서 매일 목욕하는 습관을 기록했다.[12] 19세기 중반 이전 서구의 영향력이 증가하기 전에는 지역 남녀 공용 공중 목욕탕, 즉 센토(sentō)에서 남녀노소 모두가 함께 나체로 목욕하는 것이 일상이었다.
현대에는 모든 행정 구역은 아니지만 많은 지역에서 부모와 동반한 특정 연령 미만의 어린이를 제외하고는 나체 상태의 남녀 혼욕 공중 목욕을 금지하고 있다. 온천(onsen) (온천)에서 물을 사용하는 공중 목욕탕이 특히 인기가 많다. 온천이 있는 마을은 관광 휴양지로, 현지인과 인근 마을에서 매일 방문한다.
2. 8. 중국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중국'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2. 9. 한국
1924년 평양에 처음으로 공중목욕탕 겸 대중목욕탕 영업이 시작된 것이 한국 최초의 근대적 목욕탕으로 알려져 있다.[65] 초기에는 일본인 손님이 많았으나, 점차 한국인 손님도 늘어났다. 현재는 때밀이라는 특유의 직업과 목욕업을 겸하는 찜질방이 있을 정도로 한국의 목욕 문화는 크게 발전했다. 1990년대까지 목욕탕의 전성기를 누렸으나,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개인 샤워실이 보급되고 찜질방 등 대형화로 인해 전통적인 목욕탕은 쇠퇴하고 있다. 보통 목욕탕 안에는 사우나 시설이 있으며, 온탕, 냉탕, 쑥탕 등 다양한 탕이 있다.다른 나라의 전통적인 대중목욕탕과는 달리, 한국의 대중목욕탕은 기본적인 목욕 외에도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여기에는 한증막으로 알려진 공중 사우나, 온탕, 샤워 시설, 그리고 마사지 때밀이 등을 받을 수 있는 마사지 테이블 등이 포함된다. 한국 찜질방의 인기로 인해 일부는 한국 외 지역에서도 문을 열기 시작했다.
3. 각국의 공중목욕탕
초기 기독교 성직자들은 혼욕과 여성 나체 목욕을 비난했지만,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같은 교부들은 위생과 건강을 위해 공중목욕탕 사용을 권장했다.[28] 교회는 수도원과 순례지 근처에 남녀 공용 목욕 시설을 지었고, 그레고리오 1세 교황은 목욕의 가치를 강조했다.[29][30]
비잔틴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안티오크 등지에 대규모 목욕탕이 건설되었고,[31][32] 교황들은 로마인들에게 목욕 시설을 제공하거나 개인 라테란 목욕탕을 운영했다. 8~9세기에는 수많은 수도원 목욕탕이 운영되었다.[30] "자선 목욕탕"은 성직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교회나 수도원 건물에 통합되었다.[36] 아우구스티누스회와 베네딕토회 규칙에는 의례적 정화가 포함되었고,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치료 목적의 목욕을 장려했으며,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은 온천 개발에 기여했다.[35][36] 개신교 또한 영국의 온천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36]
11~12세기 십자군이 로마식 공중목욕탕을 도입했지만, 사창가로 변질되거나 부정적인 평판을 얻어 문을 닫기도 했다.[37] 잉글랜드에서는 헨리 2세 때 ''bagnios''라는 목욕탕이 템스 강 사우스워크에 세워졌으나, 헨리 8세 때인 1546년에 폐쇄되었다.
3. 1. 한국
1924년 평양에 일본의 영향으로 첫 공중목욕탕 겸 대중목욕탕 영업이 시작된 것이 한국 근대 목욕탕의 시초로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일본인 손님이 많았지만, 점차 때밀이라는 특유의 직업과 찜질방이 생겨날 정도로 한국의 목욕 문화는 크게 발전했다. 1990년대까지 서민 문화의 중심지로 전성기를 누렸으나, 생활 수준 향상으로 개인 샤워 시설이 보급되고 찜질방 등 대형 시설이 등장하면서 전통적인 목욕탕은 쇠퇴하고 있다. 일반적인 목욕탕에는 사우나 시설이 갖춰져 있으며, 온탕, 냉탕, 쑥탕 등 다양한 종류의 탕을 이용할 수 있다.대한민국의 대중목욕탕은 대부분 7세 이하의 아동에게 소인 요금을 적용한다.[65]
3. 1. 1. 찜질방
다른 나라의 전통적인 대중목욕탕과는 달리, 한국의 대중목욕탕은 기본적인 목욕 외에도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한증막으로 알려진 공중 사우나, 온탕, 샤워 시설, 그리고 마사지 때밀이 등을 받을 수 있는 마사지 테이블 등이 포함된다.[9] 한국 찜질방의 인기로 인해 일부는 한국 외 지역에서도 문을 열기 시작했다.3. 2. 일본
일본에서 목욕의 기원은 물을 이용한 의례적인 정화인 미소기이다.[12] 일본이 불교 문화를 수입한 후, 많은 사찰에서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우나를 갖게 되었다. 헤이안 시대에는 귀족이나 사무라이 가문과 같은 저명한 가문의 집에 목욕탕이 있었다. 목욕은 종교적 의미를 잃고 대신 여가 활동이 되었다. 미소기는 얕은 나무 욕조에서 목욕하는 교즈이가 되었다.[13]17세기에 일본을 처음 방문한 유럽인들은 성별 혼합 집단에서 매일 목욕하는 습관을 기록했다.[12] 19세기 중반 이전에는 지역 남녀 공용 공중 목욕탕, 즉 센토에서 남녀노소 모두가 함께 나체로 목욕하는 것이 일상이었다. 현대에는 많은 지역에서 부모와 동반한 특정 연령 미만의 어린이를 제외하고는 나체 상태의 남녀 혼욕 공중 목욕을 금지하고 있다. 온천에서 물을 사용하는 공중 목욕탕이 특히 인기가 많다.
공중 목욕탕법에서는 공중 목욕탕을 온탕, 조탕 또는 온천 등을 사용하여 공중을 입욕시키는 시설로 정의한다.(제1조)[60]
일본 표준 산업 분류에서는 공중 목욕탕을 일반 공중 목욕탕과 기타 공중 목욕탕으로 나눈다.
- 일반 공중 목욕탕: 일상생활에 사용하기 위해 공중 또는 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입욕시키는 곳으로, 목욕탕업을 가리킨다.
- 기타 공중 목욕탕: 약치, 미용 등 특수한 효과를 목적으로 공중 또는 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입욕시키는 사업소를 말한다. 온천 목욕탕업, 증기탕업, 모래 찜질업, 사우나업, 스파업, 광천 목욕탕업, 건강랜드, 슈퍼 목욕탕이 이에 해당한다.
3. 3. 중국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욕지'라고 불리는 공중목욕탕이 있었다. 많은 가정에 욕조가 없었기 때문에 샤워 시설 위주로 발달했으며, 욕조가 없는 곳도 많다. 때밀이가 상주하는 공중목욕탕도 많은데, 이 경우에는 욕조가 몸을 담그는 곳이 아니라 때를 씻어내는 곳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작은 도시에는 샤워만 할 수 있는 소규모 공중목욕탕이 많다. 특히 이슬람교 신자가 많은 지역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샤워 시설이 많이 있다. 무함마드가 "청결은 신앙의 절반"이라고 말했고, 쿠란에는 "믿는 사람들이여, 너희가 예배를 드릴 때 얼굴과 두 손을 팔꿈치까지 씻고, 머리를 어루만지고 두 발을 발목까지 씻어라." (쿠란 5:6)라고 쓰여 있기 때문에, 이슬람교도는 예배 전에 몸을 깨끗이 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무슬림은 샤워로 전신을 씻는 경우가 많다.3. 4. 이슬람권
이슬람권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공중목욕탕인 함맘이 발달했다. 쿠란의 가르침에 따라 예배 전에 몸을 깨끗이 해야 했기 때문에, 샤워 시설을 갖춘 공중목욕탕이 많이 존재했다.[20][21][23] 함맘은 터키식 목욕탕이라고도 불리는데, 오스만 제국과 관련이 깊어 서양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표현이다.함맘은 역사적으로 중동, 북아프리카, 알-안달루스(이슬람 스페인 및 포르투갈), 중앙 아시아, 인도 아대륙 및 오스만 제국 통치 하의 중앙 및 동유럽에서 발견된다. 이슬람 문화에서 함맘은 종교적, 시민적 의미를 모두 지녔다. 의례적 정결(''우두'' 및 ''구슬'')을 충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위생을 제공하고, 남녀 모두의 사교를 위한 만남의 장소와 같은 공동체 내 다른 기능도 수행했다.[20][21][23]
우마이야 시대(7~8세기)부터 이슬람 세계에 목욕탕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유물이 있으며, 그 중요성은 현대까지 지속되었다.[23][20] 함맘의 건축 양식은 로마 및 그리스 목욕탕의 레이아웃에서 발전했으며, 탈의실, 냉탕, 온탕, 열탕과 같이 비슷한 일련의 방을 갖추고 있다. 가열로에서 생성된 열은 온수와 증기를 공급하며, 연기와 뜨거운 공기는 바닥 아래의 도관을 통과한다.[21][23][22] 함맘 방문 과정은 로마 목욕과 유사했지만, 운동이 없다는 점 등에서 몇 가지 예외가 있었다.[24][20]
4. 현대의 공중목욕탕
1924년 평양에 첫 공중목욕탕 겸 대중목욕탕 영업이 시작된 것이 근대적 목욕탕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일본인 손님이 많았지만, 때밀이라는 특유 직업과 목욕업을 겸하는 찜질방이 생겨날 정도로 한국의 목욕 문화는 크게 발전했다. 목욕탕 안에는 사우나 시설이 있으며, 온탕, 냉탕, 쑥탕 등 다양한 탕이 있다. 대한민국의 대중목욕탕은 대부분 7세 이하의 아동을 대상으로 소인 요금을 적용한다.[65]
4. 1. 한국의 목욕탕 쇠퇴와 찜질방의 인기
1924년 평양에 처음으로 공중목욕탕 겸 대중목욕탕 영업이 시작되면서 한국의 근대적 목욕탕이 시작되었다.[65] 초기에는 일본인 손님이 많았지만, 때밀이라는 직업과 찜질방이 생겨날 정도로 한국의 목욕 문화는 크게 발전했다. 1990년대까지 목욕탕은 전성기를 누렸으나, 생활 수준 향상으로 개인 샤워 시설이 보급되고 찜질방처럼 대형화되면서 전통적인 목욕탕은 쇠퇴하고 있다.참조
[1]
서적
India: A History
Grove Press
[2]
논문
An Insight into an Egypti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dition: The Hammām
Egypts Presidential Specialized Council for Education and Scientific Research
2020-10-01
[3]
서적
Collective baths in Egypt 2 : new discoveries and perspectives : Balaneîa = Thermae = Hammâmât
2017
[4]
웹사이트
Bathing in Ancient Times
https://www.theworld[...]
2021-07-01
[5]
웹사이트
Ancient Chinese Bath Culture
https://www.viewofch[...]
2019-04-30
[6]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Marco Polo's Descriptions of China
https://factsanddeta[...]
2022-11-15
[8]
웹사이트
Marco Polo's World
https://www.dianewol[...]
2022-11-15
[9]
웹사이트
How to visit a Korean bathhouse for the first time
https://www.lonelypl[...]
[10]
서적
Water Conduits in the Kathmandu Valley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11]
뉴스
Kathmandu water spouts, lost and found cases
http://therisingnepa[...]
The Rising Nepal
2019-06-01
[12]
서적
Clark – 1994
https://books.google[...]
[13]
서적
Clark – 1994
https://books.google[...]
[14]
웹사이트
The Majestic Beauty of the Ratu Boko Palace ruins
http://www.indonesia[...]
Wonderful Indonesia
2014-06-23
[15]
뉴스
Tracing the glory of Majapahit
http://www.thejakart[...]
2015-02-05
[16]
웹사이트
Pura Tirta Empul
http://www.buravi.co[...]
Burari Bali
2014-10-05
[17]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Rome : a sourcebook
https://www.worldcat[...]
2016
[18]
웹사이트
Professor Garrett G. Fagan – Audio & Video Lectures
http://www.thegreatc[...]
The Great Courses
2014-05-21
[19]
서적
Bathing in Public in the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20]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1]
논문
The Historic Hammams of Damascus and Fez: Lessons of Sustainability and Future Developments
[22]
서적
L'architecture musulmane d'Occident
Arts et métiers graphiques
[23]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24]
웹사이트
About Bath Houses, Turkish Baths and Sauna Culture and Bath Resources
http://www.aquariuss[...]
Aquariussauna.com
2014-05-21
[25]
서적
Sefer Mishneh Torah - HaYad Ha-Chazakah (Maimonides' Code of Jewish Law)
Pe'er HaTorah
1974
[26]
문서
Babylonian Talmud
[27]
서적
Dictionary of the Targumim, the Talmud Babli and Yerushalmi, and the Midrashic Literature
Hendrickson Publishers
[28]
서적
Children's Health Issues in Historical Perspective
Wilfrid Laurier Univ. Press
[29]
서적
Sacred Scents in Early Christianity and Islam: Studies in Body and Religion
Rowman & Littlefield
[30]
서적
Water and Society in Early Medieval Italy, AD 400-1000, Parti 400–10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Wandering in Byzantine Thessaloniki
https://books.google[...]
[33]
서적
The Middle Ages: Facts and Fictions
ABC-CLIO
[34]
서적
Perception and Action in Medieval Europe
Boydell & Brewer
[35]
서적
The English Spa, 1560–1815: A Social History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36]
서적
Water: A Spiritual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37]
문서
Wheatcroft (2003) p. 73.
[38]
학술지
Finnish Sauna Culture – Not Just a Cliché
http://www.sauna.fi/[...]
[39]
학술지
The sauna – a sacred place
http://www.helsinki.[...]
Helsinki University
1998-04-01
[40]
논문
Observations on baths and wash-houses
[41]
논문
Sanitas Sanitatum et Omnia Sanitas
https://archive.org/[...]
Co-operative printing company
[42]
뉴스
'Slum Saint' honored with statue
http://news.bbc.co.u[...]
2010-02-04
[43]
논문
Endangered lives: public health in Victorian Britain
Taylor & Francis
[44]
서적
Memoir of Kitty Wilkinson of Liverpool, 1786–1860: with a short account of Thomas Wilkinson, her husband
H. Young & Sons
[45]
서적
Topography of Warwickshire
https://books.google[...]
[46]
학술지
Private Bath Advertisements
1851-05-17
[47]
뉴스
Baths and Wash-Houses
http://archive.times[...]
1846-07-22
[48]
뉴스
Classified Advertising
http://archive.times[...]
1847-07-26
[49]
논문
Sanitas Sanitatum et Omnia Sanitas
https://archive.org/[...]
Co-operative printing company
[50]
웹사이트
Profit is a Dirty Word: The Development of Public Baths and Wash-houses in Britain 1847–1915 – SHEARD 13 (1): 63 – Social History of Medicine
http://shm.oxfordjou[...]
Shm.oxfordjournals.org
2014-05-02
[51]
웹사이트
St Ann's Hydropathic Establishment, Blarney, Co. Cork
http://www.victorian[...]
2008-10-03
[52]
뉴스
The Brooklyn Daily Eagle
1863-10-03
[53]
뉴스
James Lick's Public Baths – A Building the City May Well Feel Proud Of
https://cdnc.ucr.edu[...]
San Francisco Call
1890-11-02
[54]
서적
Washing "The Great Unwashed": Public Baths in Urban America, 1840–1920
https://ohiostatepre[...]
Th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91-01-01
[55]
뉴스
The Great Unwashed
https://www.newspape[...]
Pittsburgh Press
1897-03-14
[56]
웹사이트
Former Pittsburgh Wash House & Public Baths Nominated for Historic Landmark Status
http://www.preservat[...]
[57]
서적
The Tenement House Problem Including the Report of the New York State Tenement House Commission of 1900 · Volume 2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03-01-01
[58]
웹사이트
FORDYCE Bathhouse General History
http://asms.k12.ar.u[...]
asms.k12.ar.us
[59]
문서
共同浴場は別の意味(温泉地などでの運営者側の共同)で用いられる場合がある。
[60]
학술지
公衆浴場と法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
2008
[61]
웹사이트
旅館業における衛生等管理要領
https://www.mhlw.go.[...]
[62]
웹사이트
資料4 温泉を利用する公衆浴場の実態
https://www.env.go.j[...]
[63]
웹사이트
大分類N-生活関連サービス業、娯楽業
https://www.soumu.go[...]
[64]
방송
NHK BSプレミアム 名作選 HVスペシャル「大沐浴 ~インド・3000万人の祈りの日」
2014-06-11
[65]
웹인용
[사연뉴스] 목욕탕만 가면 7세가 되는 아이들
http://news.kmib.co.[...]
2019-02-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여성만 수건 이용료’ 목욕탕 관행은 “성차별”
여성 고객에만 ‘수건 요금 1000원’ 부과한 목욕탕···인권위 “성차별”
여탕 손님은 수건 렌탈비 1천 원…인권위 "성차별"
여성한테만 수건 대여료 받는 목욕탕…인권위 “성별에 기초한 차별”
전국 돌며 목욕탕 상습털이 60대 구속
공공 목욕탕 동상이몽 [서울 말고]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목욕탕’은?…경기도 가이드라인 제작·공개
몰래 지하수 '펑펑'...무단 취수 목욕탕 업주들 입건 | JTBC 뉴스
부산 사상구 “‘학마을목욕탕’ 새 주인 찾습니다”
바구니 속 열쇠 ‘슬쩍’…목욕탕 상습털이 20대 구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