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몰덴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몰덴섬은 적도 남쪽에 위치한 키리바시 공화국 소속의 무인도이다. 지리적으로는 낮은 산호섬이며, 얕은 석호가 섬의 동쪽 중앙 부분을 차지한다. 과거 폴리네시아인들이 거주했던 유적과 19세기 구아노 채취, 영국의 핵실험, 키리바시의 영유권 등을 거쳤다. 현재는 야생동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다양한 바닷새의 번식지이자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핵 실험장 - 키리티마티섬
    키리티마티섬은 키리바시령에 속하는 태평양 중부의 세계에서 가장 큰 환초로, 과거 폴리네시아인 거주지였으며 제임스 쿡 선장이 발견하여 크리스마스 섬으로 명명되었고, 냉전 시대 핵 실험 장소였으며 현재는 관광업과 천일염 생산이 주요 산업이다.
  • 영국의 핵 실험장 - 네바다 핵 실험장
    네바다 핵 실험장은 1950년 트루먼 대통령에 의해 설립되어 1951년부터 1992년까지 928회의 핵 실험이 진행된 미국의 핵 실험 장소로, 현재는 핵무기 연구 및 방사성 폐기물 관리 시설로 활용되지만 과거 핵 실험으로 인한 환경 오염 및 건강 문제와 관련된 논란이 있다.
  • 라인 제도 - 테라이나섬
    테라이나 섬은 태평양에 위치한 키리바시 공화국 소속의 융기된 산호초 환초로, 코코넛 농장 조성과 영국의 합병을 거쳐 1979년 키리바시 독립과 함께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9개의 마을에 1,690명이 거주하며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 라인 제도 - 타부아에란섬
    타부아에란섬은 키리바시에 속한 환초섬으로 폴리네시아인이 정착한 후 패닝 선장에 의해 발견,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병합되었고, 태평양 횡단 케이블 기지국 운영, 코프라 생산, 크루즈 관광이 주요 산업이나 해양 생태계 파괴와 열악한 의료 시스템 문제가 있다.
  • 키리바시의 무인도 - 니쿠마로로
    니쿠마로로는 피닉스 제도에 위치한 무인 환초로, 숲과 산호초, 해양 생물이 있으며, 과거 영국 식민지화와 아멜리아 에어하트 실종 사건과 관련되어 키리바시 공화국에 속한다.
  • 키리바시의 무인도 - 버니섬
    버니 섬은 키리바시 피닉스 제도에 속하는 무인도로, 야생 동물 보호 구역이자 피닉스 제도 보호 구역의 일부이며, 과거 구아노 채취 시도가 있었으나 현재는 생태계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몰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말덴 섬의 위성 사진 (북쪽이 위쪽)
말덴 섬의 위성 사진 (북쪽이 위쪽)
라인 제도 위치 지도
위치
일반 정보
이름말덴 섬 (인디펜던스 섬)
영어 이름Malden Island (Independence Island)
면적약 39 km²
해안선 길이약 12 해리 (nmi)
최고 고도10 m
위치중부 태평양
소속 제도중부 라인 제도
상태무인도
행정 구역
국가키리바시
구역라인 제도
추가 정보
야생동물 보호 구역 명칭 (영어)Malden Island Wildlife Sanctuary

2. 지리

몰덴섬의 형태는 대략적으로 정삼각형에 가까우며, 가장 넓은 곳의 폭은 약 8km(북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이다. 서쪽과 남쪽의 모서리는 조금 잘린 듯한 형태이며, 북쪽, 동쪽, 남서쪽 해안은 약 7km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더 짧은 서쪽과 남쪽 해안은 약 1km에서 2km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섬 전체 면적은 약 39.3km2이다.

섬의 동쪽 중앙 부분 대부분에는 불규칙한 형태의 넓고 얕은 석호가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석호 안에는 많은 작은 섬들이 흩어져 있다. 석호는 육지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지만, 북쪽과 동쪽은 비교적 좁은 땅으로만 바다와 분리되어 있다. 석호는 지하 수로를 통해 바다와 연결되어 있으며, 물은 염도가 높은 해수이다. 몰덴섬 육지의 대부분은 이 석호의 서쪽과 남쪽에 위치한다.

몰덴섬의 표고는 매우 낮아, 가장 높은 지점도 해발 10m를 넘지 않는다. 가장 높은 곳은 해안선을 따라 형성된 섬의 가장자리에서 발견된다. 섬 내부는 이보다 더 낮으며, 서쪽 부분은 해발 몇 미터에 불과하고, 중앙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지대가 낮아져 석호를 이룬다. 이러한 지형 때문에 섬의 내륙 대부분에서는 바다를 보기 어렵다[26]

섬에는 고여 있는 담수가 없지만, 지하에 담수 렌즈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27]

몰덴섬의 해안에는 태평양의 거친 파도가 끊임없이 부딪히며 좁은 흰색에서 회색의 모래 해변을 형성한다. 흰 모래 해변이 비교적 넓게 펼쳐진 서쪽 해안을 제외하면, 해안은 주로 어두운 회색 산호 잔해로 덮여 있다. 이 잔해들은 해안선을 따라 여러 개의 낮은 능선을 이루며 섬의 가장자리 안쪽으로 뻗어 있다[26]

2. 1. 주변 섬

몰덴섬은 적도 남쪽 약 242해리(nmi),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남쪽 약 1530해리(nmi)에 위치하며, 남아메리카 해안에서는 4000해리(nmi) 이상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가장 가까운 육지는 사람이 살지 않는 스타벅섬으로, 남서쪽으로 약 110해리(nmi) 떨어져 있다. 가장 가까운 유인 지역은 남서쪽으로 약 243해리(nmi) 떨어진 쿡 제도의 통가레바(Penrhyn)이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북서쪽으로 약 365해리(nmi) 떨어진 키리티마티 섬에 있는 캐시디 국제공항이다.

그 외 인근 섬(모두 무인도)으로는 북서쪽으로 약 373해리(nmi) 떨어진 자르비스 섬, 남남동쪽으로 약 385해리(nmi) 떨어진 보스토크 섬, 남동쪽으로 약 460해리(nmi) 떨어진 캐롤라인(밀레니엄) 섬이 있다.

3. 생태

몰덴 섬에서 울음소리를 내는 흰얼굴부비 (''Sula dactylatra'') 한 쌍


몰덴 섬은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기후가 건조하여 독특하면서도 제한적인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조건으로 인해 섬의 식물상은 매우 한정적이며, 일부 고유종을 포함한 소수의 관다발 식물만이 자생한다.[4][27] 과거 인간 활동으로 인해 일부 식생이 변화하고 외래종 잡초가 퍼지기도 했다.

이 섬은 다양한 바닷새들의 중요한 번식지이며,[5][28] 알래스카 등지에서 오는 철새들에게는 중요한 중간 기착지 및 월동지 역할을 한다.[3][26] 조류 외에도 파충류, 곤충, 갑각류 등 다양한 동물상이 확인되며, 해안가에서는 바다거북의 산란도 이루어진다.[4][27]

한편, 과거 구아노 채굴 과정에서 유입된 고양이, 집쥐와 같은 외래종은 현재까지 섬에 남아 토착 생태계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3][26]

3. 1. 식물상

몰덴 섬은 고립되어 있고 건조한 환경 때문에 식생이 매우 제한적이다. 섬에는 총 16종의 관다발 식물이 기록되었으며, 이 중 9종은 고유종이다. 섬의 많은 지역은 키가 작은 ''Sida fallax'' 관목과 낮은 초본 및 풀들로 덮여 있다. 한때 섬에서 자라던 왜소한 ''Pisonia grandis'' 덩굴은 현재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과거 구아노 채굴 시기에 사람들이 심었던 코코야자는 제대로 정착하지 못했고, 지금은 말라버린 나무 몇 그루만이 남아 있다. 현재 섬의 넓은 빈터는 키 작은 목본성 덩굴식물인 ''Tribulus cistoides''를 비롯한 외래종 잡초가 우점하고 있으며, 이들은 어린 검은제비갈매기(''Sterna fuscata'')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기도 한다.[4][27]

3. 2. 동물상



몰덴 섬 상공을 나는 잿빛제비갈매기, 배경은 석호


몰덴 섬은 여러 종류의 바닷새에게 중요한 번식지이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흰얼굴부비(''Sula dactylatra''), 붉은발부비 (''Sula sula''), 열대새 (''Phaethontidae''), 군함조 (''Fregata minor''), 작은군함조 (''Fregata ariel'')[5][28], 잿빛제비갈매기 (''Onychoprion lunata''), 붉은꼬리열대새 (''Phaethon rubricauda''), 그리고 검은제비갈매기 (''Sterna fuscata'') 등이 있으며, 총 12종 가량이 이곳에서 번식한다.

또한, 몰덴 섬은 철새들의 중요한 휴식처이기도 하다. 특히 알래스카에서 오는 청다리도요사촌 (''Numenius tahitiensis'')[3][26]을 포함하여 총 19종의 철새가 겨울을 나기 위해 이곳을 찾는다.

섬에는 두 종류의 도마뱀이 서식하는데, 슬픈 게코(''Lepidodactylus lugubris'')와 눈뱀도마뱀 (''Cryptoblepharus boutonii'')이다. 갈색 잠자리도 함께 발견된다.

과거 구아노(인광석) 채굴 시기에는 고양이, 돼지, 염소, 집쥐와 같은 동물들이 외부에서 유입되었다. 이 중 돼지와 염소는 사라졌지만, 야생 고양이와 집쥐는 여전히 섬에 남아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3][26]

이 외에도 소수의 푸른바다거북이 해변에 둥지를 틀며, 소라게가 풍부하게 서식한다.[4][27]

4. 역사

몰덴 섬의 초기 폴리네시아 유적


유럽인들이 처음 발견했을 당시 몰덴 섬은 무인도였으나, 섬 곳곳에 남아 있는 마라에(사원 터), 집터, 무덤 등 광범위한 고고학 유적들은 과거 폴리네시아인들이 이곳에 거주했음을 시사한다.[10][33] 이 유적들은 1924년 버니스 P. 비숍 박물관의 조사 결과, 수 세기 전 소규모 폴리네시아인 집단이 건설하고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825년 3월 25일, 미국 낸터킷포경선 선장 사무엘 벙커가 섬을 발견하고 기록했지만, 실제로는 그 이전에 다른 포경선들에 의해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6] 같은 해 7월 30일, 영국 해군의 조지 앤슨 바이런 경이 지휘하던 HMS ''블론드'' 호가 섬을 다시 발견하고, 항해사 찰스 로버트 몰든의 이름을 따 '몰덴 섬'으로 명명했다.[7][8][31]

19세기 전반에는 미국 포경선들이 자주 방문했으며, 1856년 미국의 구아노 섬 법 제정에 따라 미국 구아노 회사가 권리를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영국의 허가를 받은 오스트레일리아 회사가 1860년대부터 1927년까지 섬에서 구아노를 채취하며 개발했다. 이 시기에는 노동자들이 구아노를 운반하기 위해 돛을 단 차량을 이용하는 독특한 철도(트램웨이)가 운영되기도 했다.[14] 1918년에는 힌두-독일 음모 사건으로 알려진 미국 스쿠너선 애니 라르센호가 좌초되는 사건도 있었다. 구아노 채취는 1920년대 초반까지 이어지다 1930년대 초반에 완전히 중단되었고, 섬은 다시 무인 상태가 되었다.[15][34]

1956년, 영국은 몰덴 섬을 핵무기 실험 장소로 선정하여 1957년 오퍼레이션 그래플의 일환으로 세 차례의 수소폭탄 실험을 섬 근해 고고도에서 실시했다.[16] 이 실험을 위해 영국 공병대가 건설한 비행장 흔적이 지금도 남아 있다.[4][27]

몰덴 섬은 1972년 영국령 길버트 앤 엘리스 제도 식민지에 편입되었고, 1979년 키리바시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그 일부가 되었다. 미국은 구아노 섬 법을 근거로 키리바시의 영유권에 이의를 제기했으나, 1979년 타라와 조약 체결을 통해 미국은 몰덴 섬을 포함한 여러 섬에 대한 키리바시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이 조약은 1983년 발효되었다.[19]

1975년 5월 29일, 몰덴 섬은 대규모 바닷새 번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야생동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20] 현재 몰덴 섬은 중요한 문화 및 고고학 유적지이자 야생동물 보호 구역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외부인의 출입은 통제된다.

4. 1. 폴리네시아인의 정착



유럽인들이 처음 섬을 발견했을 때 몰덴 섬에는 사람이 살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섬 곳곳에 남아 있는 광범위한 고고학 유적들은 과거 폴리네시아인들이 이곳에 정착해 살았음을 보여준다. 이 유적들은 유럽인 접촉 이전 폴리네시아 건축 양식과 일치하며, 특히 통가의 건축 양식과 형태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과거에는 이 유적의 기원에 대해 난파된 배의 선원, 해적, 남아메리카의 잉카인, 또는 고대 중국의 항해자들이 남긴 것이라는 다양한 추측이 있었다. 하지만 1924년 호놀룰루의 버니스 P. 비숍 박물관 소속 고고학자 케네스 에모리(Kenneth Emory)가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유적들은 소규모 폴리네시아인 집단이 건설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에모리는 이들이 아마도 수 세기 전에 몰덴 섬에 정착했으며, 여러 세대에 걸쳐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석조 유적들은 주로 섬의 북쪽과 남쪽 해안을 따라 융기된 지형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총 21곳의 유적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섬 북서쪽에 위치한 3곳의 유적은 다른 곳에 비해 규모가 크다.[33] 유적에는 마라에라고 불리는 제사용 단상, 집터, 무덤 흔적 등이 포함되어 있다. 투아모투 제도의 석조 유적과 비교했을 때, 약 100명에서 200명 정도의 인구가 이 구조물들을 건설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몰덴 섬에서 발견된 마라에와 유사한 유형은 오스트랄 제도의 라이바바에 섬에서도 발견된다.[10] 이들 원주민들은 여러 개의 우물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며, 후대의 개척자들에 의해 말라버리거나 염수가 스며든 우물 흔적이 발견되기도 했다.[34] 그러나 아직 이 정도 규모의 인구를 부양할 만한 섬의 농업적 잠재력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10]

4. 2. 유럽인의 발견과 탐험

사무엘 벙커의 초상화
사무엘 벙커 (1845년경)


몰덴 섬에 대한 유럽인의 최초 기록은 1825년 3월 25일, 낸터킷 소속 포경선 ''알렉산더'' 호의 선장 사무엘 벙커(1796–1874)에 의해 이루어졌다. 하지만 벙커의 항해 일지에는 "런던 소속 ''사라 앤'' 호와 낸터킷 소속 ''인디펜던스'' 호의 윌피 선장이 발견한 섬임이 밝혀졌다"고 기록되어 있어, 그가 최초 발견자는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이 기록은 몰덴 섬이 한때 "인디펜던스 섬" 또는 사라 앤 섬(유령 섬)으로 불렸던 이유를 설명해준다. 벙커는 섬에 상륙하지 못하고 다음 날 항해를 계속했다.[6] 한편, 1823년에 포경선 ''윈슬로우'' 호의 윌리엄 클라크 선장이 이 섬을 먼저 발견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9][32]

이후 1825년 7월 30일[7][29], 영국 해군 대령이자 유명 시인 조지 고든 바이런의 사촌인 조지 앤슨 바이런 경(7대 바이런 남작)이 영국 군함 HMS ''블론드'' 호를 지휘하던 중 이 섬을 다시 발견했다. 당시 바이런은 영국 방문 중 홍역으로 사망한 하와이 왕국의 젊은 왕 카메하메하 2세와 여왕 카마말루의 유해[30]호놀룰루로 운구하는 임무를 마치고 런던으로 돌아가는 길이었다. 섬의 이름은 ''블론드'' 호의 항해사였던 찰스 로버트 몰든 중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몰든은 섬을 처음 확인하고 잠시 상륙하여 탐사하기도 했다.[8][31] ''블론드'' 호에 승선했던 박물학자 앤드루 블록섬과 왕립원예협회 소속 식물학자 제임스 매클레이도 탐사에 참여하여 섬에 대한 관찰 내용을 기록으로 남겼다.

4. 3. 구아노 채취 시대

19세기 중반, 미국1856년 과노 섬 법을 제정하여 자국민이 구아노가 풍부한 무인도를 점유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 법에 따라 미국 구아노 회사가 몰덴섬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으나, 실제 채취 활동은 영국 정부의 허가를 받은 오스트레일리아 회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 회사와 후계자들은 1860년대부터 1927년까지 몰덴섬에서 구아노를 채취하며 섬을 개발했다.

구아노 채취 기간 동안 몰덴섬을 방문했던 작가 비어트리스 그림쇼는 섬의 환경을 매우 부정적으로 묘사했다. 그녀는 "섬의 삭막한 황량함"을 지적하며,[11][35] "그늘, 시원함, 상쾌한 과일, 즐거운 볼거리와 소리는 없습니다. 섬에 사는 사람들에게 이곳은 어떻게든 견뎌야 하는 유배지입니다."라고 기록했다. 그림쇼에 따르면, 몰덴섬은 "큰 나무 부두가 앞에 있고, 보잘것없는 노란 꽃을 피운 작은 관목이 여기저기 있는 낮고 회색빛 녹색 풀의 황량한 평원이 있는 작은 정착지"였다. 섬에서는 식수용 우물을 팔 수 없어, 대형 증류 시설을 통해 물을 생산해야 했다.[12][33]

당시 몰덴섬에는 소수의 유럽인 감독관과 다수의 원주민 노동자들이 거주했는데, 이들의 생활 환경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몰덴섬 거주자 생활 비교 (구아노 채취 시대)[13][34]
구분유럽인 감독관 (5~6명)원주민 노동자 (니우에, 아이투타키 섬 출신[34])
거주지"해변 위의 작은 양철 지붕이 있는 단층집 한 줄"[13]"크고, 헛간 같은 대피소", "넓고, 텅 빈, 그늘진 건물" (넓은 선반에 돗자리와 베개를 깔고 잠)[13][34]
식사"다양한 종류의 통조림 식품, 빵, , 가금류, 돼지고기, 염소고기, 염소 우유" (채소는 구하기 어려움)[13]", 비스킷, 고구마, 통조림 쇠고기, 홍차, (병든 사람에게) 약간의 코코넛"[13][34]



니우에와 아이투타키 섬 출신의 원주민 노동자들은 1년 계약으로 고용되었으며, 주당 10실링의 급여와 함께 숙식을 제공받았다. 계약 기간이 만료되면 고향 섬으로 송환될 예정이었다. 반면, 유럽인 감독관들의 급여는 "상당히 높았다"고 전해진다.[14][36] 노동 시간은 오전 5시부터 오후 5시까지였으며, 중간에 총 1시간 45분의 식사 및 휴식 시간이 주어졌다.

구아노 채취를 위해 몰덴섬에는 독특한 운송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노동자들은 빈 수레를 채취 장소까지 밀고 간 뒤 구아노를 실었다. 작업이 끝나면 수레에 큰 을 달아 남동풍을 이용하여 정착지까지 빠르게 이동시켰다. 이 과정에서 종종 탈선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지만, 시스템은 비교적 효율적으로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14][36] 수동으로 미는 손수레도 함께 사용되었다. 이 철도(트램웨이)는 1924년까지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섬에는 당시 사용된 철도의 노반이 남아 있다.

1918년에는 힌두-독일 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알려진 미국스쿠너선 애니 라르센호가 몰덴섬에서 좌초되기도 했다.

몰덴섬에서의 구아노 채취는 1920년대 초반까지 계속되었으나, 1930년대 초반에는 섬에서의 모든 인간 활동이 중단되었다.[15][34] 이후 1956년까지 몰덴섬은 인간에 의해 이용되지 않은 채 방치된 것으로 보인다.

4. 4. 영국의 핵실험

1957년 5월, 최초의 영국 수소폭탄 실험 후 몰덴 섬 상공에 솟아오르는 버섯구름


1956년, 영국은 몰덴 섬을 자국의 첫 번째 수소폭탄 실험인 오퍼레이션 그래플의 "계측 기지"로 선정했다. 주요 기지는 키리티마티(크리스마스 섬)에 마련되었다. 당시 영국 정부는 몰덴 섬을 "표적 섬"이라고 부르지 말 것을 주장했으나[16], 실제 폭발 지점은 섬의 남쪽 가까운 해상 고고도에 설정되었다.

1956년부터 1957년 사이에 영국 왕립 공병대는 섬의 북서쪽 끝에 동서 방향으로 비행장을 건설했으며, 이 비행장은 1979년 7월까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었다.[4][27] 활주로의 흔적은 현재도 남아 항공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다.

1957년 일본 정부는 핵실험 중지를 요청했으나 영국은 이를 거부했다.[37] 같은 해 5월 15일부터 6월 19일까지 총 3차례에 걸쳐 핵실험이 강행되었다. 폭발 위력은 200~720kt 범위였으며, 해안에서 가까운 고고도에서 폭발이 이루어졌다.[16] 미래의 피지 총독이자 피지 대통령이 되는 라투 시르 페나이아 가닐라우를 포함한 여러 인사가 이 실험을 참관하도록 초청받았다.[17][18]

4. 5. 키리바시 독립과 영유권 분쟁

몰덴섬은 1972년 영국령 길버트 앤 엘리스 제도 식민지에 편입되었고, 1979년 키리바시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그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미국19세기의 ''구아노법''에 따른 영유권 주장을 근거로 키리바시가 독립할 때까지 영국의 주권에 대해 계속 이의를 제기했다.[19]

이러한 영유권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1979년 9월 20일, 미국과 키리바시 대표는 키리바시의 타라와 환초에서 만나 우호 조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타라와 조약으로 알려져 있다. 이 조약을 통해 미국은 몰덴섬을 포함하여 라인 제도피닉스 제도 그룹에 속한 14개 섬에 대한 키리바시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타라와 조약은 1983년 9월 23일에 정식 발효되었다.[19][38]

4. 6. 야생동물 보호구역

몰덴섬은 1975년 5월 29일, 당시 영국령 길버트 앤 엘리스 제도의 일부였을 때 1975년 야생동물 보호 조례에 따라 공식적으로 몰덴섬 야생동물 보호 구역(Malden Island Wildlife Sanctuary)으로 지정되었다.[20][39] 보호 구역 지정의 주요 목적은 섬에 서식하는 대규모 바닷새 번식 개체군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이 보호 구역은 키리티마티(크리스마스 섬)에 본부를 둔 라인 및 피닉스 제도 개발부 산하 야생동물 보호 부서에서 관리하고 있다.[20][39]

하지만 몰덴섬에는 관리 직원이 상주하지 않아, 외국 요트 선수나 어부들의 무단 방문을 키리티마티에서 효과적으로 감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실제로 1977년에는 방문객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일어나 번식하는 바닷새 생태계를 위협하기도 했다. 이러한 화재 위험은 현재도 여전히 존재하며, 특히 섬에 가뭄이 들었을 때 더욱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과거 1990년대 중반에는 ''Society Expeditions''가 운영하는 ''World Discoverer'' 호를 이용한 생태 관광이 연간 한두 차례 이루어져 약간의 수입이 발생하기도 했으나[26], 현재 몰덴섬은 야생동물 보호를 위해 폐쇄 구역으로 관리되고 있다.[20]

4. 7. 관광

몰덴섬의 주요 경제적 가치는 섬 주변 배타적 경제 수역의 풍부한 참치 어업에 있다. 섬 자체의 석고 매장량은 상당하지만 운송 비용 문제로 경제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3][26]

1990년대 중반, 제한적으로 생태 관광이 이루어져 약간의 수입을 얻기도 했다. 당시 ''Society Expeditions''사가 운영하는 크루즈 선박 ''World Discoverer''는 몇 년 동안 매년 한두 차례 섬을 방문하는 생태 관광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그러나 몰덴섬은 1975년 5월 29일부로 '몰덴섬 야생동물 보호 구역'(Malden Island Wildlife Sanctuaryeng)으로 지정된 야생 동물 보호 구역이자 폐쇄 구역이다.[20][39] 보호 구역 지정의 주된 목적은 섬의 대규모 바닷새 번식지를 보호하는 것이다.[39] 현재 섬에는 관리 인력이 상주하지 않으며, 키리티마티에 있는 관리 당국이 외국 요트나 어선의 방문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20] 1977년에는 방문객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하여 바닷새 번식에 위협이 된 사례가 있으며, 이는 특히 건기 동안 잠재적인 위험 요소로 남아 있다.

4. 8. 문화유산



유럽인이 처음 몰덴 섬을 발견했을 때는 사람이 살지 않았지만, 섬 곳곳에 남아있는 총 21개의 고고학 유적[33]들은 과거 폴리네시아인들이 이곳에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이 유적들은 주로 섬의 북서쪽과 남쪽 해변 능선을 따라 무리지어 있으며[10], 마라에(marae)라고 불리는 사원 터, 집터, 무덤 등을 포함한다.[10][33] 특히 섬 북서쪽에 위치한 3개의 유적은 다른 것들에 비해 규모가 크다.[33]

이 유적들은 넓은 지역에 걸쳐 발견되는 접촉 이전 폴리네시아 건축 양식을 따르며, 특히 통가의 건축 양식과 형태가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투아모투 환초의 석조 구조물과 비교했을 때, 약 100명에서 200명 정도의 인구가 몰덴 섬의 구조물들을 건설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33] 비슷한 유형의 마라에는 오스트랄 제도의 Raivavae|라이바바에영어 섬에서도 발견된다.[10][33] 하지만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할 만한 섬의 농업 생산 능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10] 과거 이곳에 살았던 원주민들은 여러 개의 우물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며, 후대의 개척자들이 말라버리거나 염수가 스며든 우물 흔적을 발견하기도 했다.[34]

과거에는 이 유적의 기원에 대해 난파된 배의 선원, 해적, 남아메리카잉카인, 또는 오래전 중국의 항해자들이 남긴 것이라는 다양한 추측이 있었다. 그러나 1924년 호놀룰루의 버니스 P. 비숍 박물관 소속 고고학자 Kenneth Emory|케네스 에모리영어가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유적들은 소규모 폴리네시아인 그룹이 만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에모리는 이들이 아마도 수 세기 전에 몰덴 섬에 정착하여 여러 세대에 걸쳐 살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초기 조사 단계의 분류이므로, 이 유적들은 지상에 드러난 건축물들을 중심으로 파악된 것이며, 더 자세한 지하 조사가 이루어지면 다른 양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Status report for Kiribati's coral reefs http://horizon.docum[...] 2002-09
[2] 웹사이트 A World Apart – The Southern Line Islands https://www.national[...] 2014-09
[3] 웹사이트 On Location: A Wildlife Spectacle on Malden Island http://www.zegrahm.c[...] 2008-09-11
[4] 웹사이트 Protected Areas Programme: Malden Island http://www.unep-wcmc[...] 2008-07-07
[5] 웹사이트 Sites – Important Bird and Biodiversity Areas (IBAs): Malden Island http://www.birdlife.[...] 2007
[6] 서적 Supplements To Malden Island's History: The Nantucket Connection II https://books.google[...] Bad Tattoo Inc.
[7] citation American Polynesia and the Hawaiian Chain Tongg Publishing Company
[8] 문서 Dunmore, p. 46
[9] 문서 Quanchi & Robson, pp. 30 & 39
[10] 간행물 Archaeology of the Pacific Equatorial Islands https://babel.hathit[...] 1934
[11] 뉴스 In the Strange South Seas http://www.janesocea[...] 2008-07-07
[12] 웹사이트 Living Archipelagos: Malden Island http://www.livingarc[...] 2008-07-07
[13] 웹사이트 Aitutaki Atoll {{!}} Lagoon, Coral Reefs, Polynesia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8-02
[14] 문서 Grimshaw, 1908.
[15] 웹사이트 Malden Island {{!}} atoll, Kiribati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20
[16] 간행물 Addressing the Humanitarian and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Atmospheric Nuclear Weapon Tests: A Case Study of UK and US Test Programs at Kiritimati (Christmas) and Malden Islands, Republic of Kiribati https://e-space.mmu.[...] 2021
[17] 서적 Grappling with the Bomb: Britain's Pacific H-bomb tests http://press.anu.edu[...] ANU Press 2017
[18] 서적 Kirisimasi : na sotia kei na lewe ni mataivalu e wai ni viti e na vakatovotovo iyaragi nei peritania mai Kirisimasi https://www.worldcat[...] Pacific Concerns Resource Centre 1999
[19] 웹사이트 Treaty of friend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Kiribati http://www.trussel.c[...] 2013-06-08
[20] 서적 IUCN Directory of Protected Areas in Oceania World Conservation Union
[21] 서적 Atoll politics : the Republic of Kiribati https://www.worldcat[...] Macmillan Brown Centre for Pacific Studies, University of Canterbury and Institute of Pacific Studies,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1993
[22] 문서 "[[1860年]]から[[1927年]]まで[[オーストラリア]]によって採掘されていた。"
[23] 문서 "[[1957年]]の{{仮リンク|グラップル作戦|en|Operation Grapple}}で使用。"
[24] 웹사이트 Status report for Kiribati's coral reefs http://horizon.docum[...] 2002-09
[25] 웹사이트 A World Apart – The Southern Line Islands http://ocean.nationa[...] 2014-09
[26] 웹사이트 On Location: A Wildlife Spectacle on Malden Island http://www.zegrahm.c[...] 2008-09-11
[27] 웹사이트 Protected Areas Programme: Malden Island http://www.unep-wcmc[...] 2008-07-07
[28] 웹사이트 Sites - Important Bird and Biodiversity Areas (IBAs): Malden Island http://www.birdlife.[...] 2007
[29] citation American Polynesia and the Hawaiian Chain Tongg Publishing Company
[30] 문서 この2名は、イギリス・ロンドンを訪れた際、[[麻疹]]に罹患し、[[1824年]]7月に相次いで死去した。
[31] 문서 Dunmore, p 46
[32] 문서 Quanchi & Robson, p 30 & 39
[33] 웹사이트 Living Archipelagos: Malden Island http://www.livingarc[...] 2008-07-07
[34] 웹사이트 Malden Island http://www.janerestu[...] 2008-07-07
[35] 뉴스 In the Strange South Seas http://www.janesocea[...] 2008-07-07
[36] 서적 1908
[37]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38] 웹사이트 Treaty of friend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Kiribati http://www.trussel.c[...] 2013-06-08
[39] 서적 IUCN Directory of Protected Areas in Oceania World Conservation Un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