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시록의 4기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묵시록의 네 기사는 요한 묵시록에 등장하는 네 명의 기사로, 세상의 종말을 알리는 존재로 묘사된다. 각 기사는 흰 말, 붉은 말, 검은 말, 청백색 말(창백한 말)을 타고 나타나며, 정복, 전쟁, 기근, 죽음을 상징한다. 기독교에서는 이들을 미래의 고난을 예언하는 존재로 해석하며, 다양한 기독교적 해석과 함께, 로마 제국의 역사, 공산주의, 아프리카 등 현대 사회에 빗대어 해석되기도 한다. 또한, 타로, 영화, 음악,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도 묵시록의 네 기사를 모티브로 한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묵시록의 네 기사 - 멋진 징조들
《멋진 징조들》은 천사 아지라파엘과 악마 크롤리가 적그리스도의 양육에 개입하여 종말을 막기 위해 노력하는 이야기를 그린 닐 게이먼과 테리 프래쳇의 소설이다. - 묵시록의 네 기사 - 다크사이더스
다크사이더스는 묵시록의 4기사 중 하나인 '워'가 천국과 지옥의 전쟁에 휘말린 지구를 배경으로 탐험, 전투, 퍼즐을 통해 적들을 물리치고 음모를 파헤치는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다. - 종교와 말 - 아슈바메다
아슈바메다는 고대 인도 왕이 권력, 영광, 영토 확장 등을 위해 수행했던 말 희생 의식이며, 굽타 제국 시대 금화에도 나타나고 복잡한 절차를 거쳤으며 비판도 받았으나 현대에는 상징적인 의미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 종교와 말 - 슈라우타
슈라우타는 슈루티에서 유래되어 슈루티 관련 문헌, 의례, 사람을 뜻하며, 베다 불 제사 의례의 중요한 특징으로 슈라우타수트라에 기록되었고, 현대에는 드물게 수행되지만 연구가 진행 중이며 불교와 자이나교에 영향을 주었다. - 요한 묵시록 - 천년왕국
천년왕국은 종교와 신념 체계에서 미래의 이상적인 시대를 의미하며, 기독교의 천년설, 유대교 경전, 이슬람의 마흐디 등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 나타나 사회 운동과 유토피아 사상에 영향을 주었고, 왜곡된 사례도 있다. - 요한 묵시록 - 요한의 묵시록
요한의 묵시록은 신약성경의 마지막 책으로 사도 요한이 기록한 종말론적 예언을 담고 있으며, 묵시록의 주요 주제들을 다루면서 다양한 해석과 논쟁,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묵시록의 4기사 |
---|
2. 각 기사의 특징과 상징
요한계시록 6장에 따르면, 어린 양(예수 그리스도)이 일곱 개의 봉인을 뗄 때마다 묵시록의 네 기사가 순서대로 나타난다. 각 기사는 특정한 상징과 역할을 가지고 있다.
- 첫 번째 기사: 흰 말을 타고 있으며, 활과 관을 가지고 있다. 승리, 정복, 지배를 상징한다.
- 두 번째 기사: 붉은 말을 타고 있으며, 큰 검을 쥐고 있다. 전쟁과 유혈 사태를 일으킨다.
- 세 번째 기사: 검은 말을 타고 있으며, 천칭을 가지고 있다. 기근을 가져온다.
- 네 번째 기사: 청백색(창백한) 말을 탄 죽음이며, 하데스를 데리고 다닌다. 역병이나 들짐승으로 지상의 인간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네 번째 기사가 탄 말의 색깔은 그리스어 원문으로 '클로로스(χλωρός)'인데, 이는 녹색, 연두색, 창백함, 잿빛 등 다양하게 해석된다.
2. 1. 흰 말을 탄 기사
『요한의 묵시록』 제6장 2절에 기록된, 첫 번째 봉인이 뜯길 때 나타나는 기사. '''흰 말'''을 타고 있으며, 손에는 활을, 머리에는 관을 쓰고 있다. 승리의 승리('''지배''')를 얻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여겨진다.[8]
활(τόξον|tóxon|톡손grc)을 가지고 승리자의 면류관(στέφανος|stéphanos|스테파노스grc)을 쓴 것으로 여겨진다.
백마 탄 기사가 그리스도를 상징한다는 해석은, 적그리스도는 여섯 번째 봉인이 열릴 때까지 나타나지 않는다는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9] 기독교 시작 이후의 세계사적 사건들은 여섯 번째 봉인 사건까지 "말"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이 해석은 과거주의적이거나, 이중 성취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마가 복음은 복음 전파가 종말을 예고하고 암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65][10] 흰색은 성경에서 의로움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 그리스도는 다른 경우에도 정복자로 묘사된다.[65][10]
그리스도 외에도, 백마 탄 기수는 성령을 나타낼 수 있다. 성령은 예수께서 지상에서 떠나신 후 사도들에게 오순절에 임했다고 이해되었다. 요한계시록 5장에 사자의 등장은 예수의 천국으로의 승리의 도착을 보여주며, 첫 번째 기수는 예수에 의한 성령의 파견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전파를 나타낼 수 있다.[11]
1866년, C. F. 짐펠은 첫 번째 기수가 적그리스도 (더 정확히는 그에 따르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라는 가설을 옹호했다.[13] 적그리스도 해석은 이후 미국에서 1898년 R. F. 프랭클린[14]과 1928년 W. C. 스티븐스와 같은 지지자를 찾았다.[15] 이는 오늘날에도 복음주의계에서 인기가 있으며, 예를 들어 기수를 적그리스도 또는 거짓 예언자로 여긴 빌리 그레이엄 목사와 같다.[17]

에드워드 비숍 엘리엇의 해석에 따르면, 4명의 기사는 로마 제국의 이후 역사를 예언하는 것으로, 백마의 색상은 로마 정치체의 승리, 번영, 건강을 의미한다. 네르바,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그리고 두 안토니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들의 통치를 거치면서, 약 80~90년 동안 번영, 연합, 시민의 자유, 그리고 시민의 피로 얼룩지지 않은 훌륭한 정부가 펼쳐졌다. 이 번영의 주체는 흰 말을 탄 기사로 의인화되었으며, 이들은 미덕과 지혜의 인도 아래 절대적인 권력으로 통치했던 왕관을 쓴 다섯 황제들이었고, 군대는 그들의 굳건하고 온화한 손에 의해 제어되었다.
이 해석에 따르면, 로마 역사의 이 기간은 그 시작과 끝에서 제국의 영광을 보여주었으며, 비록 때때로 전쟁이 있었지만, 국경에서 항상 일관되게 승리하며 그 경계가 확장되었다. 로마의 알렉산더였던 트라야누스 황제의 승리는 이 기간의 처음 20년 동안 다키아, 아르메니아, 메소포타미아 및 기타 지역을 제국에 추가하여, 로마 제국의 무적성에 대한 야만인들의 마음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로마의 전쟁은 침략자의 영토로 승리하며 진격했고, 이들의 완전한 전복은 파르티아 전쟁을 성공적으로 종결시켰다. 로마의 정복은 이 가장 강력한 전쟁에서도 입증되었다.
일부 해설에서 흰색 기수는 전쟁을 상징하며, 이는 도덕적 근거에 따라 정당하게 행사될 수 있기에 흰색으로 묘사된다. 붉은색 기수는 특히 내전을 상징한다.[18]
또 다른 해석에 따르면, 첫 번째 기수는 역병으로 불리며 전염병과 관련되어 있다. 이는 적어도 1906년의 유대인 백과사전에서 처음 나타난다.[19] 이 해석은 대중 문화에서 네 기사에 대한 대중 문화적 언급에서 흔히 사용된다.[20]
비센테 블라스코 이바녜스는 1916년 소설 ''묵시록의 네 기사''에서 "흰 말을 탄 기사는 화려하고 야만적인 복장을 하고 있었다. ... 그의 말이 계속 질주하는 동안, 그는 역병을 퍼뜨리기 위해 활을 구부리고 있었다."라고 적었다.[25]
종교 개혁 이전과 알브레히트 뒤러의 목판화 이전에는, 요한 계시록에 대한 일반적이고 영향력 있는 해설은 이 네 마리의 말을 차례로 타는 기수가 한 명뿐이며, 그가 바로 그리스도라고 생각했다.
현대의 일부 학자들은 요한 계시록을 과거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며, 그 예언과 이미지가 단지 기독교 역사 초기의 사건들에만 적용된다고 주장한다.[31] 이러한 학설에서, 흰 말의 기수인 정복은 때때로 파르티아 군대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파르티아 제국은 당시 기마 전사들과 그들의 활 솜씨로 유명했기 때문이다.[65][31] 파르티아인들은 또한 흰 말과 특별히 연관되어 있었다.[65] 일부 학자들은 특히 서기 62년에 로마 제국과 충돌하여 중요한 전투에서 승리한 파르티아의 샤인 볼로가세스 1세를 지목한다.[65][31]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회원들은 선지자 조셉 스미스가 요한이 묘사한 책이 "하나님의 계시된 뜻, 신비, 그리고 그의 사업을 담고 있으며, 이 세상의 존속 기간인 7천년 동안의 하나님의 경륜에 관한 숨겨진 것들, 즉 시간적인 존재에 관한 것"을 담고 있다고 계시했다고 믿는다.[55]
첫 번째 인장과 흰 말을 설명하면서, 후기 성도 사도 브루스 알. 매콩키는 "가장 초월적인 사건은 에녹과 그의 성역과 관련이 있습니다. 요한이 본 것은 시온의 설립과 천상의 영역으로의 이동이 아니라, 에녹이 성도들의 군대를 지휘하는 장군으로서 '정복하고 또 정복하러' 나아간, 비할 데 없는 전쟁이었습니다."라고 가르쳤다.[56]
스가랴서에는 색깔이 있는 말들이 두 번 언급된다. 첫 번째 구절에서는 세 가지 색깔(붉은색, 얼룩무늬/갈색, 흰색)[63]이 나오고, 두 번째 구절에서는 네 팀의 말들(붉은색, 검은색, 흰색, 얼룩무늬/"잿빛과 밤색")이 전차를 끈다.[64]
2. 2. 붉은 말을 탄 기사
「요한의 묵시록」 제6장 4절에 기록된, 두 번째 봉인이 떼어졌을 때 나타나는 기사이다. 붉은 말을 타고 있으며 손에는 큰 검을 쥐고 있다. 지상의 인간에게 전쟁을 일으키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여겨진다.[1]두 번째 말의 기수는 종종 전쟁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며[27] (그는 종종 전투를 준비하는 듯이 칼을 위로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28] 또는 대량 학살을 의미하기도 한다.[2][7][29] 그의 말의 색깔은 붉은색(πυρρός, *purrhós*는 πῦρ, 불에서 유래)이며, 일부 번역에서는 그 색깔을 "불 같은" 붉은색으로 구체화한다. 붉은색과 기수가 큰 칼(μάχαιρα, *mákhaira*)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은 쏟아질 피를 암시한다.[65] 문장학에서 볼 수 있듯이, 두 번째 기수가 위로 든 칼은 전쟁 또는 전쟁 선포를 나타낼 수 있다. 군사적 상징에서 칼을 위로 드는 것은, 특히 칼을 교차하여 위로 드는 것은 전쟁과 전투 진입을 의미한다 (예: 역사적 및 현대적 이미지, 잔 다르크의 문장 참조).[30]
일부 해설에 따르면, 붉은색 기수는 특히 내전을 상징한다.[65][31] 다른 해설자들은 기독교인 박해를 나타낼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10][32]

에드워드 비숍 엘리엇의 해석에 따르면, 붉은 말은 코모두스 황제 통치 초기에 시작된 로마 제국의 내전과 유혈 사태를 묘사한다. 평화가 로마 땅에서 사라지고 반란이 제국에 스며들면서 서로를 죽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코모두스의 죽음 이후 92년 동안 32명의 황제와 27명의 제국 찬탈자들이 끊임없는 내전을 통해 서로 왕좌에서 몰아냈다. 더 이상 원로원에 복종하지 않는 무제한의 군대는 제국을 순수한 군사적 전제주의 체제로 변화시켰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회원들은 선지자 조셉 스미스가 요한이 묘사한 책이 "하나님의 계시된 뜻, 신비, 그리고 그의 사업을 담고 있으며, 이 세상의 존속 기간인 7천년 동안의 하나님의 경륜에 관한 숨겨진 것들, 즉 시간적인 존재에 관한 것"을 담고 있다고 계시했다고 믿는다.[55] 두 번째 인장과 붉은 말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기원전 2,000년경까지의 기간을 나타내며, 대홍수를 초래한 악함과 폭력을 포함한다.[57]
2. 3. 검은 말을 탄 기사
요한의 계시록 제6장 제6절에 기록된 제3봉인이 풀렸을 때 나타나는 기사이다. 검은 말을 타고 있으며, 손에는 식량을 제한하기 위한 천칭을 가지고 있다. 지상에 기근을 가져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여겨진다.[33]
셋째 기사는 검은 말을 타고 있으며, 대중적으로는 기근으로 이해된다. 기사가 저울(ζυγόν|zugóngrc)을 들고 있어 기근 시 빵의 무게를 달았음을 나타낸다.[65][31] 다른 저자들은 셋째 기사를 정의의 저울을 든 "율법을 주는 주님"으로 해석하기도 한다.[34]
이 구절에서는 곡물의 표시된 가격이 정상 가격의 약 10배임을 읽을 수 있다.[65] 하루 임금(1 데나리온)으로 한 사람 분량의 밀(약 1.1 리터인 1 코이닉스) 또는 영양가가 낮은 보리 세 사람 분량을 살 수 있어, 노동자들이 가족을 먹여 살리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65] 복음서에서 데나리온은 병사의 하루 임금, 포도 수확 시 계절 노동자의 하루 노동으로 평가되는 등 여러 번 화폐 단위로 언급된다. 따라서 묵시록이 다가오면서 가장 필요한 식량이 크게 오르고, 하루에 버는 임금으로는 그날의 최소한의 생계만 유지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은 남지 않게 된다는 것은 사실일 것이다.
네 기사 중 검은 말과 그 기수는 외침이 동반되는 유일한 존재이다. 네 생물 가운데서 나오는 목소리는 밀과 보리의 가격에 대해 말하며, "기름과 올리브 오일과 포도주를 해치지 말라"고 말한다.[33] 이는 검은 말의 기근이 곡물 가격을 올리지만 기름과 포도주 공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한다(비록 일반 노동자에게는 손이 닿지 않더라도). 한 가지 설명은 곡물 작물이 올리브 나무와 포도나무보다 기근이나 메뚜기 재앙에 더 취약했을 것이라는 점이다. 포도나무는 더 깊이 뿌리를 내린다.[65][31]
이 언급은 빵과 같은 주식은 부족하지만 완전히 고갈되지 않은 반면 부유층에게는 사치품이 계속 풍요로울 수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31] 이러한 선택적 희소성은 불의와 묵시록이 쓰여질 당시 발생했을 곡물 대신 부유층을 위한 사치 작물의 의도적인 생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27][35]
에드워드 비숍 엘리엇의 해석에 따르면, 검은 말은 심화된 고통과 슬픔을 나타낸다. 기수의 손에 들린 저울은 곡물과 기타 곡물을 사고파는 것과 관련이 있다. 검은 말 기수의 손에 들린 정의의 저울은 이전의 다른 악의 악화를 의미하며, 로마적인 측면의 피 묻은 붉은색은 고통의 더 어두운 검은색으로 변모했다. 검은 말 기수는 기름과 포도주를 해치지 말라는 지시를 받는데, 이는 이 부족이 빵과 같은 생필품에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37]
이 해석은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 제국 쇠망사''에서 차용하는데, 로마 제국이 황제 카라칼라의 통치 기간 동안 시민들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한 결과 고통받았다고 주장한다. 카라칼라가 군대에서 자극했던 탐욕과 과도한 생활 방식을 충족시켜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지방에서 토지세, 역무세, 그리고 곡물, 포도주, 기름, 고기의 무거운 징수가 징수되었다.
기번에 따르면, 이는 황제 막시미누스가 권력을 잡으면서 더욱 악화되었는데, 그는 "마침내 공공 재산을 공격했다". 제국의 모든 도시가 대중을 위해 곡물을 구매하고 게임 비용을 공급하도록 운명 지어졌다. 황제의 권위에 의해, 모든 재산은 제국 재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몰수되었고, 신전은 "금, 은 [그리고 조각상]의 가장 귀중한 공물을 벗겨내 녹여 돈으로 주조했다".
요한 계시록의 역사적 배경은 검은 말과 그 기수인 기근의 묘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서기 92년,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는 포도나무의 과도한 성장을 억제하고 곡물 재배를 장려하려 했지만, 이에 대한 대중의 반발이 커서 결국 포기했다. 기근이 밀과 보리를 희소하게 만들고 "기름과 포도주는 해치지 말라"는 임무는 이 사건에 대한 암시일 수 있다.[31][43]
2. 4. 청백색(창백한) 말을 탄 기사
요한의 묵시록 제6장 제8절에 기록된, 네 번째 봉인이 풀릴 때 나타나는 기사이다. 창백한 말을 탄 죽음으로, 곁에는 하데스를 데리고 다닌다.[38] 역병이나 들짐승을 가져와 지상의 인간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여겨진다. 네 기사 중 유일하게 이름이 명시된 기사이기도 하다.[39]
귀스타브 도레의 판화(1865년).
죽음의 말의 색깔은 그리스어 원문에 χλωρός(''khlōrós'', 라틴어: ''chlōrus'')로 쓰여 있는데,[41] 이는 녹색/연두색 또는 창백함/창백함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42] 보통 "창백한"으로 번역되지만, "잿빛", "창백한 녹색", "황록색"으로 해석되기도 한다.[31] 고대 그리스 의학 문헌에서 이 단어가 시체의 병적인 창백함을 나타낼 때 사용되었기 때문에, 몇몇 학자들은 이 색깔이 시체의 창백함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65][43] 몇몇 현대 예술 작품에서는 말을 뚜렷하게 녹색으로 묘사하기도 한다.[44][45][46]
"그들에게 땅의 4분의 1을 다스리는 권세가 주어졌다"라는 구절은 보통 죽음과 하데스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지지만,[31][47] 일부 해설자들은 네 명의 기수 모두에게 적용된다고 보기도 한다.[2]

일부 해석에 따르면, 네 번째 창백한 말은 죽음의 화신이며, 그 뒤를 하데스가 따르며 죽음에 의해 살해된 희생자들을 맞이한다. 죽음은 검, 기근, 역병, 맹수 등 하나님의 네 가지 심판으로 로마 지구를 멸망시키라는 명령을 받았다. 에드워드 비숍 엘리엇은 치명적인 창백하고 칙칙한 모습은 로마 제국의 해체를 암시하는 징후를 보여준다고 말한다.
3. 다양한 해석
묵시록의 4기사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많은 기독교인들은 네 기사를 미래의 고난에 대한 예언으로 해석한다.
- 묵시록이 이미 실현되었다는 해석에서는, 1세기의 로마 제국과 파르티아 왕국의 투쟁의 역사라고 해석하거나, 붉은 기사가 공산주의, 검은 기사가 아프리카 등, 현대에 맞춰 해석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 흰 기사가 기독교라는 해석에서는, 그 외의 기사는 대비로서 적그리스도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모든 기사가 기독교에 부여된 권위와 힘이라는 해석도 있는데, 흰 기사는 '승리 위에 승리'(기독교 국가 연합의 절대적 지위), 붉은 기사는 '칼을 가지고 분쟁을'(사망의 상인으로서 다른 나라를 싸우게 하는 힘), 검은 기사는 '손에 저울을, 밀 1데나리온'(초강대국의 원자재, 자원 가격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 '올리브유를 해치지 말라'(원유가격을 통제하라) 등으로 해석된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회원들은 선지자 조셉 스미스가 요한이 묘사한 책이 "하나님의 계시된 뜻, 신비, 그리고 그의 사업을 담고 있으며, 이 세상의 존속 기간인 7천년 동안의 하나님의 경륜에 관한 숨겨진 것들, 즉 시간적인 존재에 관한 것"을 담고 있으며, 인장이 지구의 시간적 존재의 7천 년 동안 이 모든 것을 묘사하며 각 인장은 1,000년을 나타낸다고 계시했다고 믿는다.[55]
알브레히트 뒤러의 유명한 목판화와 같이 4명의 기병을 한 그룹으로 묘사한 예술 작품은 4명의 기병 모두가 동일한 고난의 여러 측면을 나타내는 해석을 제시한다.[58]
미국 개신교 복음주의 해석가들은 기병과 요한계시록이 전반적으로 현대의 사건에 대해 말하는 방식을 정기적으로 파악한다. 요한계시록이 현대 시대에 적용된다고 믿는 일부는 말의 색상이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을 바탕으로 말을 해석할 수 있다.[59] 예를 들어, 붉은색은 종종 공산주의를 나타내고, 왕관을 쓴 흰색 말과 기수는 가톨릭교를 나타내며, 검은색은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녹색은 이슬람교의 부상을 나타낸다. 엔드타임 미니스트리의 목사 어빈 백스터 주니어는 이러한 믿음을 옹호했다.[60]
일부는 네 명의 기병을 네 바람의 천사와 동일시한다.[61]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그리고 네 개의 주요 방향과 자주 연관되는 천사 우리엘 참조).
일부에서는 여섯 개의 인의 이미지를 성경 전체의 다른 종말론적 묘사와 비교할 때, 기병의 주제가 올리벳 담론의 사건과 놀라운 유사성을 보인다고 추측한다. 세상의 종말이 다가오는 징조는 해산의 고통에 비유되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재림이 가까워질수록 더 자주, 더 강렬하게 발생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병은 거짓 종교, 거짓 예언자, 거짓 메시아의 부상, 전쟁과 전쟁의 소문의 증가, 자연 재해와 기근의 확대, 박해, 순교, 배신, 신앙 상실의 성장을 나타낸다.
아나톨리 포멘코는 새로운 연대기에서 요한계시록은 본질적으로 점성술적이라고 주장한다. '네 명의 기병'은 행성 수성, 화성, 목성 및 토성을 나타낸다.[62]
3. 1. 기독교적 해석
많은 기독교인들은 묵시록의 4기사를 미래의 대환난에 대한 예언으로 해석한다.[35] 일부에서는 네 기사를 이미 실현된 과거의 사건(로마 제국, 파르티아와의 전쟁 등)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흰 말을 탄 기사를 그리스도, 성령, 복음 전파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고,[11] 반대로 적그리스도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13]에드워드 비숍 엘리엇은 네 기사가 로마 제국의 역사를 예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흰 말이 로마 정치체의 승리, 번영, 건강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네르바,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들의 통치 기간 동안 로마는 번영, 연합, 시민의 자유를 누렸고, 군대는 황제들의 통제 아래 있었다. 트라야누스 황제는 다키아, 아르메니아, 메소포타미아 등을 제국에 추가했고, 마르코만니 전쟁에서는 독일 야만족을 굴복시켰다.
일부 해설에서는 흰색 기수가 도덕적 근거에 따라 정당하게 행사될 수 있는 전쟁을 상징하기도 한다. 붉은색 기수는 특히 내전을 상징한다.[18] 또 다른 해석에 따르면, 첫 번째 기수는 역병과 연관되어 있다.[19] 비센테 블라스코 이바녜스의 소설 ''묵시록의 네 기사''에서는 흰 말을 탄 기사가 역병을 퍼뜨리는 모습으로 묘사된다.[25]
두 번째 말의 기수는 종종 전쟁[27] 또는 대량 학살[2]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붉은색과 기수가 가진 큰 칼(μάχαιρα, ''mákhaira'')은 피를 암시한다.[65]
종교 개혁 이전에는 요한 계시록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은 네 마리의 말을 타는 기수가 그리스도 한 명뿐이라고 생각했다. 오이쿠메니우스, 베렌가두스, 루이스 델 알카사르, 베니토 아리아스 몬타노, 자크 드 보르데스, 에마누엘 스베덴보리 등이 그러한 해석을 했다.[53]
존 왈부르드는 전천년설 신봉자로서, 봉인이 대환난 중에 열리며, 첫 번째 기사는 적그리스도, 두 번째 기사는 세계 전쟁, 세 번째 기사는 경제 붕괴, 네 번째 기사는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사망하는 사건과 일치한다고 믿었다.[54]
일부 학자들은 요한 계시록을 과거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며, 예언과 이미지가 기독교 역사 초기의 사건들에만 적용된다고 주장한다.[31] 이 학설에서, 흰 말의 기수인 정복은 파르티아 군대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파르티아 제국은 기마 전사들과 활 솜씨로 유명했기 때문이다.[65][31] 일부 학자들은 볼로가세스 1세를 지목하기도 한다.[65][31]
요한 계시록의 역사적 배경은 검은 말과 기수인 기근의 묘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미티아누스 황제는 곡물 재배를 장려하려 했지만, 대중의 반발로 포기했다. 기근이 밀과 보리를 희소하게 만들고 "기름과 포도주는 해치지 말라"는 임무는 이 사건에 대한 암시일 수 있다.[31][43] 붉은 말과 그 기수는 내전을 나타낼 수 있는데, 1세기 서기 동안과 직전에 로마 제국에서는 내부 분쟁이 만연했다.[65][31]
3. 2. 기타 해석
많은 기독교인들은 네 기사를 미래의 고난에 대한 예언으로 해석한다. 묵시록이 이미 실현되었다는 해석에서는, 1세기의 로마 제국과 파르티아의 투쟁의 역사로 해석하거나, 붉은 기사가 공산주의, 검은 기사가 아프리카 등 현대에 맞춰 해석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흰 기사가 기독교라는 해석에서는 나머지 기사들은 대조적으로 적그리스도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또한 모든 기사가 기독교에 부여된 권위와 힘으로 해석되기도 하는데, 흰 기사는 '승리 위에 승리'(기독교 국가 연합의 절대적 지위), 붉은 기사는 '칼을 가지고 싸움을'(사망의 상인으로서 다른 나라를 싸우게 하는 힘), 검은 기사는 '손에 저울을, 밀 1데나리온'(초강대국의 원자재, 자원 가격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 '올리브유를 해치지 말라'(원유가격을 통제하라) 등으로 해석된다.[58]4. 대중문화 속 묵시록의 네 기사
타로의 죽음 카드는 제4 기사를 모델로 하였다.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출연·감독한 영화 페일 라이더는 묵시록의 네 번째 기사에서 제목을 따왔다.
묵시록의 네 기사는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모티브로 활용되었다.
분야 | 작품명 | 내용 |
---|---|---|
음악 | 아프로디테스 차일드 | 1971년 앨범 666에 "4인의 기수 - The Four Horsemen" 수록. |
메탈리카 | 1983년 앨범 킬 뎀 올에 묵시록의 네 기사를 소재로 한 "The Four Horsemen" 수록. | |
Missionary | 음악 게임 Dynamix에 "White Horse Disease", "Red Horse Massacre", "Black Horse Famine", "Grey Horse Underworld" 수록. | |
영화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 주인공과 친구들이 "아포칼립스의 네 기사"로 불림. |
드라마 | 레드 드워프 | 33화 "미숙한 총잡이의 결투"에 묵시록의 기사를 모티프로 한 "아포칼립스형제" (컴퓨터 바이러스 "아마겟돈 바이러스") 등장. 죽음, 전쟁, 기아, 역병으로 구성. |
만화 | 체인소 맨 | 지배, 전쟁, 기아, 죽음의 악마 등장. |
역왕 | 묵시록의 네 기사를 본뜬 인물 등장. | |
게임 | 여신전생 시리즈 | "화이트 라이더", "레드 라이더", "블랙 라이더", "페일 라이더"로 등장. |
디비전 | 침략 미션 『드래곤즈 네스트』에서 적 크리너즈의 멤버 "데스", "워", "파민", "페스틸런스" 등장. | |
블라스레이터 | 제목은 독일어로 "Paleriders(창백한 기사)"를 의미. | |
레드 데드 리뎀션: 언데드 나이트메어 | 서부 개척 시대 배경으로 묵시록의 4마리 말을 타고 좀비와 싸우는 오픈 월드 액션 슈팅 게임. | |
AR∀GO - 런던시경 특수범죄수사관 - | 네 기사를 모티프로 한 적 4간부가 특수 능력이나 무기를 가지고 등장. | |
수퍼내추럴 | "전쟁", "기근", "역병", "죽음"의 기사가 말의 색과 같은 차를 가지고 등장. | |
Darksiders | "워", "퓨리", "스트라이프", "데스"의 네 기사 등장. | |
건담 시리즈 | 모빌 슈트 "페일 라이더", "레드 라이더", "화이트 라이더", "블랙 라이더" 등장. | |
퓨처 카드 버디파이트 | "묵시록의 제1기사 글라토스", "묵시록의 제2기사 볼레모스", "묵시록의 제3기사 아벨시아", "묵시록의 제4기사 사나토스" 등장. | |
기타 | 종말의 세라프, Let it Die, 케이오스 링스 II,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NetHack 등 |
참조
[1]
백과사전
four horsemen of the apocalypse
https://www.britanni[...]
2022-07-19
[2]
서적
An Introduction to Reading the Apocalypse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99
[3]
서적
Biblia Sacra Vulgata
[4]
웹사이트
Apocalypse of John
https://en.wikisourc[...]
2023-11-05
[5]
웹사이트
Revelation, Chapter 6
http://www.usccb.org[...]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20-03-21
[6]
서적
An Introduction to Reading the Apocalypse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99
[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pocalypse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07-03-01
[8]
bibleverse
Revelation
[9]
웹사이트
Apocalypse 6 – Haydock Commentary Online
https://haydockcomme[...]
2023-11-05
[10]
서적
The Book of Revelation
https://books.google[...]
W.B. Eerdmans
1999
[11]
웹사이트
Outlook Article – The Four Horsemen of the Apocalypse
https://web.archive.[...]
Reformedfellowship.net
2014-04-03
[12]
간행물
References given by B. Gineste, Les Quatre Chevaux du Messie, Paris, 2d ed., 2019, pp. 53–54.
[13]
간행물
Ch. Fr. Zimpel, Le Millénaire, Franckfort-sur-le-Main, 1866, p. 43.
[14]
간행물
Annotations on the Revelation, New York, 1898, p. 85.
[15]
간행물
W. C. Stevens, Revelation, Harrisburg, 1928, vol. 2, p. 129.
[16]
웹사이트
evangelical – Search
https://www.bing.com[...]
2022-03-17
[17]
서적
Approaching Hoofbeats: The Four Horsemen of the Apocalypse
https://archive.org/[...]
Avon
1985
[18]
간행물
''Herder'' German Bible, Freiburg im Breisgau 2007, p. 1348, annotation to Apc 6,7: "The four Horsemen of the Apocalypse symbolize various plagues: [1.] War, [2.] Civil War, [3.] famine and inflation, [4.] pestilence and death." (translated from German)
[19]
서적
The Jewish Encyclopedia
2021-08-22
[20]
서적
The A to Z of Fantasy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5-12-18
[21]
웹사이트
The NIV Bible
https://www.thenivbi[...]
2022-03-17
[22]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Revelation 6 - Revised Standard Version
https://www.biblegat[...]
2023-05-17
[23]
bibleverse
Revelation
[24]
웹사이트
Revelation 6:8 Interlinear: and I saw, and lo, a pale horse, and he who is sitting upon him – his name is Death, and Hades doth follow with him, and there was given to them authority to kill, (over the fourth part of the land,) with sword, and with hunger, and with death, and by the beasts of the land.
https://biblehub.com[...]
2022-08-10
[25]
서적
The Four Horsemen of the Apocalypse (ch V)
http://www.gutenberg[...]
2012-08-19
[26]
bibleverse
Revelation
[27]
서적
The Interpretation of St. John's Revelation
https://books.google[...]
Augsburg Fortress Publishers
2015-12-18
[28]
웹사이트
Sword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14-04-03
[29]
서적
'0802836348'
https://books.google[...]
Eerdmans
2015-12-18
[30]
웹사이트
Crossed Swords
http://www.seiyaku.c[...]
Seiyaku.com
2015-12-19
[31]
서적
The Book of Revelation: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Inter-Varsity Press
1988
[32]
간행물
Peters, Alan R., Bible Prophecies fulfilled by 2012, chapter 2.
[33]
bibleverse
Revelation
[34]
서적
Albrecht Durer: A Guide to Researc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4-10
[35]
서적
More Than Conquerors: An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Revelation
Baker's Book House
1939
[36]
서적
Ezekiel, Hebrews, Revelation
https://books.google[...]
Emmaus Road Pub.
2015-12-18
[37]
서적
An Exposition of the Revelation of S. John the Divine, both doctrinal and practical
George Keith
1776
[38]
문서
Revelation 6:7–8
[39]
문서
Rev 6:8
[40]
웹사이트
Expositio in Apocalypsim
http://cudl.lib.cam.[...]
Cambridge Digital Library
2014-02-27
[41]
웹사이트
See The Manuscript
http://www.codex-sin[...]
Codex Sinaiticus
2014-04-03
[42]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χλωρός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2014-04-03
[43]
서적
The Revelation of John: A Historical Interpreta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04-10
[44]
웹사이트
The Pale Horse Vision~One of 4 Horses of the Apocalypse Flickr – Photo Sharing!
https://www.flickr.c[...]
Flickr
2014-04-03
[45]
웹사이트
Apocalypse Flickr – Photo Sharing!
https://www.flickr.c[...]
Flickr
2014-04-03
[46]
웹사이트
The riders on the chloros and the blood red apocalypse horses
https://web.archive.[...]
Revelation4today.com
2014-04-03
[47]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Eerdmans
2015-04-10
[48]
간행물
[49]
간행물
[50]
간행물
True Interpretation of All the Chief Texts, and Mysterious Sayings and Visions Opened, of the Whole Book of the Revelation of St. John
[51]
간행물
The History of Rome from the First Punic War to the Death of Constantine
Taylor and Walton
[5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Myth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2-18
[53]
서적
Les Quatre Chevaux du Messie (2d ed.)
https://books.google[...]
BoD
2019-10-02
[54]
문서
Every Prophecy of the Bible
[55]
웹사이트
Doctrine and Covenants 77
https://www.churchof[...]
2023-11-05
[56]
문서
Doctrinal New Testament Commentary
[57]
웹사이트
Chapter 54: Revelation 4–11
https://www.churchof[...]
2019-07-16
[58]
서적
Contrasting Images of the Book of Revelation in Late Medieval and Early Modern Art: A Case Study in Visual Exeges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2-18
[59]
서적
A Dragon This Way Comes: Revelations Decrypted
http://www.tatepubli[...]
Tate Publishing
2009-01-13
[60]
웹사이트
The Apocalypse
https://www.endtime.[...]
Endtime Ministries
2006-12-05
[61]
서적
Apocalypse: A Commentary on Revelation in Words and Images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15-12-18
[62]
웹사이트
The new dating of the astronomical horoscope as described in the Apocalypse
https://web.archive.[...]
2019-11-30
[63]
웹사이트
Zechariah 1:8–17 NIV – During the night I had a vision, and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14-04-03
[64]
웹사이트
Zechariah 6:1–8 NIV – Four Chariots – I looked up again, and
http://www.biblegate[...]
Bible Gateway
2014-04-03
[65]
서적
The Book of Revelation
https://books.google[...]
Eerdmans
2015-04-10
[66]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Ezekiel 1:5–12—English Standard Version
https://www.biblegat[...]
2022-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