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경 조령 관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경 조령 관문은 영남 지방과 서울을 잇는 요충지이자 군사적 요새로, 고려 시대부터 중요한 교통로였다. 임진왜란 당시 조령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나, 방어에 실패한 후 숙종 34년(1708)에 제1관문 주흘관, 제2관문 조곡관, 제3관문 조령관 등 3개의 관문이 완성되었다. 현재 문경 조령 관문은 사적 제14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각 관문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관문 - 영은문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은 태종 때 모화루로 건립되어 영조문을 거쳐 중종 때 이름이 바뀌었으나, 갑오개혁 이후 철거되었고 주춧돌만 독립공원에 남아 조선의 사대 외교를 상징한다.
  • 대한민국의 문 - 관문성
    관문성은 신라 성덕왕 때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지어진 산성으로, 모벌군성 또는 모벌관문으로 불리다가 조선시대에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우박천을 기준으로 산과 산을 연결하여 축조되었고, 긴 길이로 인해 '신라의 만리장성'이라고도 불린다.
  • 대한민국의 문 - 경상좌수영성 남문
    경상좌수영성 남문은 1692년에 축성된 경상좌수영성의 정문으로, 아치형 석문과 왜구 감시를 상징하는 개 조각상 '박견'이 특징이며, 하마비가 설치되어 있다.
  • 문경시의 문화유산 - 문경새재
    문경새재는 영남과 기호지방을 잇는 영남대로의 주요 관문으로, 험준한 지형과 역사적 중요성, 아름다운 자연 경관이 어우러진 관광 명소이다.
  • 문경시의 문화유산 - 문경 토끼비리
    문경 토끼비리는 석현성에서 영강으로 이어지는 험난한 산길로, 고려 태조 왕건이 토끼를 따라 길을 찾았다는 설화에서 유래되었으며, 좁고 험한 길이 특징이다.
문경 조령 관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문경관문(제1, 제2, 제3관문 및 부속성벽)
문화재 정보
이름문경 조령 관문
영문 이름Gates of Joryeong Path, Mungyeong
유형사적
지정 번호147
지정일1966년 3월 22일
주소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555번지
시대조선시대
소유자문경시
참고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50,833m²
지도대한민국
꼬리표문경 상초리
문화재청 ID13,01470000,37
추가 문화재 정보
이름 (주흘산조령관문일원)주흘산조령관문일원
국가 (주흘산조령관문일원)경상북도
유형 (주흘산조령관문일원)기념물
번호 (주흘산조령관문일원)18
지정일 (주흘산조령관문일원)1974년 12월 10일
주소 (주흘산조령관문일원)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산21-1번지 외 615필
문화재청 ID (주흘산조령관문일원)23,00180000,37

2. 역사적 배경

문경 조령 관문은 영남 지방과 서울 사이의 관문이자 군사적 요새지로, 고려 초부터 조령이라 불리며 중요한 교통로였다.[2] 조선 선조 2년(1592)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가토 기요마사의 군사와 합류한 곳으로, 군사적 요충지였다. 당시 신립 장군이 조령 대신 충주 탄금대에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 패배하자, 조정은 조령 방어 실패를 후회하며 관문 설치를 논의했다.[2] 조선 숙종 34년(1708)에 이르러서야 주흘관, 조동문(조곡관), 조령관 등 3개의 관문이 완성되었다.[2]

조동문은 임진왜란 이후 신충원이 성을 쌓으면서 중요해졌고, 숙종 34년(1708) 조령산성을 쌓을 때 옛 성을 고쳐 쌓아 중성으로 삼고 조곡관이라 했다. 현재 시설은 폐허가 된 것을 복원한 것이다.[2] 1981년, 문경관문에서 문경 조령 관문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2. 1. 관문 설치 논의와 임진왜란의 교훈

영남 지방과 서울 사이의 관문이자 군사적 요새지인 이곳은 고려 초부터 조령이라 불리면서 중요한 교통로로 자리 잡았다.[2]

조선 선조 2년(1592)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가 경주에서 북상해오는 가토 기요마사의 군사와 합류했을 정도로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점이었다. 이때 조정에서는 이곳을 지킬 것이라 생각했지만 신립 장군은 조령에서 왜군을 막지 못하고 충주 탄금대에서 왜병을 맞서 싸우다가 패하고 말았다.[2]

그 뒤 조정에서는 이 실책을 크게 후회하여 조령에 대대적으로 관문을 설치할 것을 꾸준히 논의하다가 숙종 34년(1708)에 이르러서야 3개의 관문을 완성했다. 문경에서 충주로 통하는 제1관문을 주흘관, 제2관문을 조동문 혹은 조곡관, 제3관문을 조령관이라 한다.[2]

2. 2. 숙종 시대의 관문 완성

임진왜란 당시 고니시 유키나가가토 기요마사의 군사와 합류했을 정도로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점이었던 조령에 관문을 설치하자는 논의는 꾸준히 있었다. 신립 장군이 조령에서 왜군을 막지 못하고 충주 탄금대에서 패배한 것에 대한 후회 때문이었다.[2] 조선 숙종 34년(1708)에 3개의 관문이 완성되었다. 문경에서 충주로 통하는 제1관문은 주흘관, 제2관문은 조동문 또는 조곡관, 제3관문은 조령관이라 불렀다.[2]

3. 각 관문의 특징

문경 조령 관문은 3개의 관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관문은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제1관문 (주흘관): 3개의 관문 중 가장 옛 모습을 지니고 있으며, 개울물을 흘려보내는 수구문이 있다. 조선 숙종 34년(1708)에 지어졌고, 영조 때 조령진이 설치되어 문경현감이 수성장을 겸하였다.
  • 제2관문 (조곡관): 조선 선조 때 처음 축성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개축 및 복원되었다. 복원 당시 문루의 이름이 조동문에서 조곡관으로 변경되었다.
  • 제3관문 (조령관): 새재 정상에 위치하며, 북쪽의 적을 막기 위해 설치되었다. 조령관을 기준으로 남쪽은 문경, 북쪽은 충주 지역으로 나뉜다. 조선 선조 때 쌓고 숙종 34년(1708)에 중창하였다.

3. 1. 제1관문 (주흘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에 있는 사적 제147호이다. 조선 숙종 34년(1708)에 지어졌고, 영조 때 조령진이 설치되어 문경현감이 수성장을 겸하였다. 한말 항일의병전쟁 때 일본군이 불태웠던 문루를 1922년에 다시 지었다.

주흘관은 정면 3칸, 측면 2칸, 협문 2개가 있고 팔작지붕 형태이다. 홍예문은 높이 3.6m, 폭 3.4m, 길이 5.4m이고, 대문은 높이 3.6m, 폭 3.56m, 두께 11cm이다. 좌우 석성은 높이 4.5m, 폭 3.4mm, 길이 188m이고, 부속 산성은 높이 1∼3m, 폭 2∼4m, 길이 동측 500m, 서측 400m이다. 개울물을 흘려보내는 수구문이 있으며, 3개의 관문 중 가장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3. 2. 제2관문 (조곡관)

선조 27년(1594)에 충주인 신충원이 축성하였다. 숙종 때 관방을 설치할 때 옛 성을 개축하였으나, 관은 영성(3관문)과 초곡성(1관문)에만 설치하고 이곳에는 조동문을 설치하였다. 1907년 훼손되어 1978년에 복원하면서 문루를 옛 이름인 '조동문'이라 하지 않고 조곡관이라 개칭하였다.[1]

누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좌우에 협문이 2개가 있고 팔작지붕이다. 홍예문은 높이 3.6m, 길이 65.8m이다. 대문의 높이는 3.6m, 폭 3.56m, 두께 11cm이다. 좌우 석성의 높이는 4.5m, 폭 3.3m, 길이 73m이고, 좌우에 부속된 산성의 높이는 2m, 폭 2m~3m, 길이는 동측이 400m, 서측이 100m이다.[1]

3. 3. 제3관문 (조령관)

새재 정상에 북쪽의 적을 막기 위해 선조 때 쌓고 숙종 34년(1708)에 중창하였다. 1907년에 훼손되어 육축만 남고 불탄 것을 1976년에 홍예문과 석성, 그리고 누각을 복원했다. 조령관을 기준으로 남쪽은 문경 지역이고 북쪽은 충주 지역이다. 이곳에서 북쪽으로는 마폐봉을 지나 북암·동암문·부봉·주흘산으로 가고 남쪽으로는 깃대봉·조령산·공산진·이화령으로 이어진다.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좌우에 협문이 2개가 있고 팔작지붕이다. 홍예문은 높이 3.88m, 폭 2.98m, 길이 6.12m이며, 좌우 석성 높이는 4.5m, 폭 3.2mm, 길이 185m이다. 부속산성의 높이는 2m∼3m, 폭 2m∼3m, 길이는 동·서측 모두 400m이다. 대문 높이는 3.9m, 폭 3.56m, 두께 19cm이다.

4. 관련 자료 및 문화재 지정


  • 사적 제147호: 문경 조령 관문[1]
  • 경상북도 기념물 제18호: 주흘산 조령관문 일원[2]

5. 의의와 평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결과물도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인용 문경새재도립공원 https://www.gbmg.go.[...] 2018-04-02
[2]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