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해군 다이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해군 다이버는 1800년대부터 선박 구조, 수리, 군사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 왔다. 남북 전쟁, 제1, 2차 세계 대전, 한국전쟁 등 주요 전쟁 및 사건에서 잠수 기술이 발전했으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잠수부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현재는 훈련 과정을 통해 2급, 1급, 마스터 다이버 등급을 부여하며, 수중 건설, 구조, 특수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국 해군 다이버 | |
---|---|
개요 | |
![]() | |
종류 | 수병 특기 |
소속 | 미국 해군 |
약칭 | ND |
특기 | 잠수 항만 정리 실험 잠수 선박 관리 잠수함 구조 특수 작전 지원 수중 건설 팀 수중 건설 수중 폭파 수중 수리/인양 수중 용접 |
2. 역사
미국 해군 다이버의 역사는 19세기 중반 선박 구조, 수리, 건설 및 군사 작전 지원을 위해 잠수부를 활용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 잠수 기술은 제한적이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등 주요 전쟁을 거치며 잠수 기술과 장비는 크게 발전했고 잠수부의 역할 또한 중요해졌다. 특히 진주만 공격 이후의 대규모 구조 및 인양 작업은 미 해군 잠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전후 시대에는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참전뿐만 아니라, 크로스로드 작전과 같은 핵 실험 지원, SEALAB과 같은 심해 거주 실험 참여, 각종 해난 사고 구조, 실종자 유해 발굴 등 활동 영역을 넓혀왔다. 또한 미 해군 실험 잠수 부대(EDU)를 중심으로 잠수 기술 연구 개발이 지속되었고, 여성 잠수사 배출과 잠수 병과 신설 등 제도적 변화도 이루어졌다. 현대 미 해군 다이버들은 첨단 기술과 장비를 바탕으로 심해 구조, 특수 작전 지원, 항만 정비, 해양 환경 보호 등 더욱 복잡하고 전문화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2. 1. 19세기 ~ 제2차 세계 대전
미국 해군은 1800년대 중반부터 잠수부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초기 잠수부들은 대부분 수영 선수나 스킨 다이버였으며, 수백 년간 이어진 전통적인 기술을 사용했다. 이들의 임무는 선박 구조 및 수리, 건설 작업, 군사 작전 등 다양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 남북 전쟁 중 모빌 만 해전이 있다. 이 전투에서는 남부 연합 군대가 만 입구를 막기 위해 설치한 기뢰를 제거하기 위해 수영 선수들이 투입되어 데이비드 패러것 제독 함대의 진로를 확보했다.[2]1898년에는 쿠바 아바나 항구에 정박 중이던 장갑순양함 USS 메인이 원인 불명의 폭발로 침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국제적인 위기로 번질 뻔했으며, 미 해군 잠수부들은 키웨스트에서 급파되어 잔해를 조사하고 보고서를 작성했다. 해군 조사 위원회가 소집되었으나 침몰 원인은 끝내 밝혀지지 않았다.
20세기 초 미국 기술이 발전하면서 미 해군은 잠수함전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12년부터 1939년까지 F급, H급, S급 잠수함 개발 과정에서 여러 차례 사고, 충돌, 침몰 사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잠수함 관련 참사는 역설적으로 해군의 잠수 능력 발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1912년 이전까지 미 해군 잠수부들이 약 18.29m 해수(약 18m)보다 깊이 잠수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당시 해군에 공식적인 잠수 프로그램이 있었다는 기록은 거의 없다.[3] 그 해, 참모 사수 조지 D. 스틸슨은 존 스콧 홀데인의 잠수 테이블과 단계적 감압 방식을 시험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해군 잠수 장비 개선이라는 부수적인 목표도 가지고 있었다. 3년에 걸쳐 육상 탱크에서 시작하여 롱아일랜드 사운드의 개방 수역에서 USS 워크를 이용한 잠수를 진행하며[3] 미 해군 잠수부들은 점차 더 깊은 수심에 도전했다.
이 시험 프로그램과 USS F-4 구조 작전 경험을 바탕으로 1916년 최초의 미 해군 잠수 매뉴얼[4]이 발간되었고, 로드아일랜드 뉴포트 해군 기지에 해군 잠수 학교가 설립되었다.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자 잠수 학교의 교직원과 졸업생들은 유럽으로 파견되어 프랑스 해안에서 여러 구조 작전을 수행했다.[5]
1939년 5월 24일에는 침몰한 USS 스퀄러스에서 33명의 승조원을 구조한 잠수부 4명에게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당시 실험 잠수 부대 소속 잠수부 12명이 구조 작전에 참여했으며, 가장 위험한 임무를 수행한 이들에게 훈장이 돌아갔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잠수부에 대한 수요는 급증했다.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격 직후, 샌디에고 제1 구축함 수리 부대 소속 잠수부 9명이 PBY 비행정을 타고 하와이로 급파되었다.[6] 그들의 최우선 임무는 생존자 구조였으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망자만 발견했다. 이들은 진주만에 설치된 해군 구조 및 수리 부대에 배속되어 총 16,000시간 이상 잠수하며 구조 및 인양 작업을 수행했다.[7] 작업 수심이 얕아 잠수 시간 제한이 없었기 때문에, 잠수부들은 주 7일, 하루 14시간씩 일했다. 구조 부대는 USS 캘리포니아, USS 네바다, USS 유타, USS 애리조나, USS 웨스트버지니아, USS 오클라호마, USS 오글랄라 등의 선박을 대상으로 작업했다.[8][9] USS 위전과 USS 오르톨란 소속 잠수부들도 이들을 지원했다.[10] 제16 해군 건설 대대가 진주만에 도착한 후, 소속 잠수부들도 USS 오클라호마 인양 작업에 투입되었다.[11] CB 3 소속 철강 노동자 두 명은 이전에 USS 웨스트버지니아에서 구조 및 수리 부대와 함께 잠수 자격을 얻었으나, 지휘관이 그들이 받는 급여에 반대하여 소환되었다.[24] 이 사건 이후 구조 부대 외부 인원이 자원하여 함께 잠수하는 일은 없어졌다.[24] 진주만에서의 잠수 임무는 민간인과 군인으로 나뉘어, 민간인은 선박 외부, 미 해군은 내부 작업을 담당했다. 제1 구축함 수리 부대 잠수부들은 아크-산소 수중 절단 토치를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진주만 잠수 임무 중 가장 끔찍했던 것은 시신 수습 작업이었다.[13] 물속에 너무 오래 잠겨 있던 시신들은 건드리자마자 부서지기 일쑤였다.[14]
태평양 전쟁 중 전진 기지 건설을 위해 해군 건설 대대(Seabees)가 창설되면서 해군의 잠수 임무는 더욱 늘어났고, 시비(Seabee)는 자체적으로 2급 잠수부를 양성하는 학교를 운영하게 되었다. 시비 잠수부들은 열대 지방부터 북극권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활동했다. 알류샨 열도에서는 제4 해군 건설 대대가 약 5.6°C의 차가운 수온 속에서 러시아 화물선 SS ''Turksib'' 구조 작업을 수행했다.[15][16] 열대 지방에서는 적 비행장 근처에 파견되어 추락한 일본 항공기를 회수하기도 했다. 플로리다 섬의 할라보에서는 제27 CB 잠수부들이 돈이 가득 든 지출 담당관의 금고를 회수하고, 다양한 크기의 선박 프로펠러 160개를 교체했다.[17] 제27 해군 건설 대대는 총 2,550시간 잠수했으며, 이 중 1,345시간은 "극도로 위험한" 임무로 분류되었다.[17] 시비는 수중 폭파 팀(UDT)의 개발에도 기여하며 잠수부의 역할을 확장시켰다. 또한, 제34 CB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잠수부들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이들은 잠수 학교 지침에 따라 현장에서 직접 잠수 장비를 제작하기도 했다. 약 18.29m 미만 수심에서는 개조된 USN Mk III 또는 Mk IV 가스 마스크가 사용되었으며, 제27 CB 대원들이 선호하는 장비였다.[3][17] 밀른만에 주둔 중이던 제105 CB는 두 차례 기밀 임무 수행을 위해 특수 잠수 세부대를 파견했다. 제301 CB 잠수부들은 준설기의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50ton의 폭약을 설치했다.[18] 한편, CB 96 잠수부들은 마니카니 섬의 선박 수리 시설 건설을 위해 약 783466.78kg의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하여 323600m3의 산호를 폭파했는데, 이는 해군 작전 기지 레이테-사마르 건설의 일환이었다.[19] 이들의 주요 잠수 장비 역시 개조된 해군 Mk III 및 Mk IV 가스 마스크였다.[19]
전쟁 기간 내내 수중 선박 수리 및 구조에 대한 수요는 끊이지 않았다. 뉴욕 시에서 USS 라파예트가 부두에서 전복되자, 해군은 현장에 구조 학교를 설립하여 문제를 해결했다.[3] 이후 1년간 해군은 75명의 잠수부를 투입하여 라파예트호 구조 작업을 진행했다. 각 함대의 수리선에는 잠수부들이 배치되었다. USS 베스탈 소속 잠수부 6명은 수중 절단 및 용접 신기술을 시험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들은 함미가 거의 완전히 파괴된 USS 펜사콜라의 프로펠러 3개를 제거하고 선체 구조를 안정시켜 드라이 독으로 예인할 수 있도록 했다. USS 나바호 잠수부들도 수중 절단기를 이용해 USS 뉴올리언스 구조 작업에 참여했다. 전투 지역에서의 구조 작업 공로로 함대 예인선들은 전투 별(Battle Star)을 수여받기도 했다. 사우스 서비스 포스 태평양 사령관의 비밀 지시에 따라 잠수부 2명과 지원팀이 USS 세미놀에 탑승하기도 했다. 각 잠수함 구조선에도 잠수부가 배정되었다. USS 플로리칸은 USS 유트 소속 잠수부들이 일본 잠수함 I-7이 10 패덤(18m) 수심 해저에 있음을 확인한 후 키스카 항구로 파견되었다. 플로리칸 소속 잠수부 7명은 침몰한 잠수함에서 정보 자료를 회수했다.[20] 그해 초, 캄보만에서는 USS 오르톨란 잠수부들이 부분적으로 침몰한 일본 잠수함 I-1에서 다수의 문서를 회수하여 정보부에 넘겼다. 마닐라 항구 정리 작업은 거대한 프로젝트였으며, USS 샹티클리어의 마스터 잠수부 조셉 S. 카르네케가 이끄는 잠수부들이 이 작업을 수행했다. 그들은 암호책, 루손의 일본군 요새 지도, 50만엔을 회수하는 등 주요 정보 획득 성과를 올렸다.[21][22] 샹티클리어가 처음 미국을 떠났을 때 임무 중 하나는 오스트레일리아 프리맨틀을 기지로 하는 함대에 잠수부 훈련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호주에서는 미 해군 잠수부들이 불과 4 패덤(7.3m) 수심에 침몰한 일본 잠수함 I-124에서 정보를 회수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일본군이 필리핀을 점령했을 때, 포로 중에는 미 해군 잠수부 로버트 시어츠도 있었다.[23] 일본군은 필리핀 재무부가 은행 금고에 있던 은화를 마닐라 만 입구 카바요 만에 버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23] 일본군은 미군 포로 잠수부들에게 은화 회수를 강요했고, 일부를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945년 8월, 미 육군과 해군은 하드 햇 잠수 부대를 구성하여 USS 티크를 이용해 수백만 페소 상당의 은화를 다시 회수했다.[2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잠수부"는 직책이 아닌 자격이었다. 1급 잠수부는 약 91.44m(약 91m) 수심까지, 구조 및 2급 잠수부는 약 45.72m(약 46m)까지 작업할 수 있었다.[3] 잠수는 해군에 의해 "위험한" 임무로 간주되었으며, 급여는 자격뿐만 아니라 수중 작업 시간과 수심에 따라 차등 지급되었다. 위험한 구조 작업의 경우 시간당 5달러 또는 시간의 일부에 해당하는 급여가 지급되었다.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2020년 기준 시간당 72USD에 해당) 2급 잠수부 자격 수당은 월 10USD, 구조 잠수부는 월 12USD, 1급 잠수부는 월 15USD였다. 1급 잠수부들은 또한 약 36.58m(약 37m) 수심부터 피트당 0.05USD의 추가 수당("길이" 수당)을 받았으며, 기본 수당은 15USD였다. 마스터 잠수부들은 기본 수당 20USD에 최대 10USD의 "길이" 수당을 받았다.[3] 진주만 공격 몇 달 후, 의회는 "극도로 위험한" 것으로 인증된 잠수에 대해 시간당 5달러를 지급하도록 급여 규정을 변경했다.[24] 진주만에서의 선박 구조 잠수는 모두 이 규정의 적용을 받았다.[24]
2.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크로스로드 작전 당시, 해군은 합동임무부대 1(Joint Task Force 1)의 임무단대(Task Unit) TU 1.2.7(구조 부대)에 소속된 여러 함선에 자격을 갖춘 잠수사들을 배치했다. 이 함선들에는 USS ''클램프''[25], USS ''컨서버''[25], USS ''쿠칼''[25], USS ''커런트''[25], USS ''에틀라''[25], USS ''집시''[25], USS ''프리저버''[25], 그리고 USS ''위전''[25] 등이 포함되었다. 핵 실험 이후, 잠수 장교들은 팀을 이끌고 난파선을 조사하고, 손상을 기록하며, 실험 장비에서 과학 데이터를 회수하고, 과학 장비를 인양하며, 필요한 경우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임무를 맡았다.[26] 잠수 장교들은 관찰한 모든 내용을 서면으로 보고했으며, 1947년 8월 21일 USS ''아칸소''에서 발견된 내용과 수중 촬영된 모든 영상 자료를 식별했다.[27] 이 작전에서 인양되어 회수된 유일한 함선은 USS ''스킵잭''이었다.[28][25] ''위전''과 ''집시''의 잠수사들이 이 잠수함을 인양했다.[25] USS ''파일럿피시''의 인양 시도가 있었으나, 잠수함은 복구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되어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USS ''아포곤''의 인양 작업이 시작되었지만, 결국 손실 처리되었다.[25] 잠수사들은 지원팀이 모니터링하는 방수 가이거 계수기를 휴대하여 방사능 위험 지역을 감지하고 철수할 수 있도록 경고를 받았다.[26]
한국 전쟁은 미 해군 잠수 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50년 10월, USS ''플레지''가 원산항에서 기뢰에 부딪혀 침몰했다. 수중 폭파대(UDT) 잠수사들은 아쿠아렁을 사용하여 침몰한 함선의 위치를 찾아 표시했고, 이를 통해 수상 지원을 받는 하드햇 잠수사들이 돌아와 함선 내 기밀 자료를 파기할 수 있었다. 이는 미 해군이 스쿠버 장비를 전술적으로 사용한 첫 사례로 기록되었다. 이 사건은 UDT의 임무 모델에 변화를 가져왔고, 해군이 잠수를 단순히 비전투 임무로만 여기던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미 해군 실험 잠수 부대(United State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EDU)는 플로리다주 파나마 시티에 위치해 있다. 이 부대는 해군의 다양한 부대에서 차출된 약 120명의 군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화 잠수와 같은 미군의 특수 잠수 임무 개발 및 실험을 담당한다.

1960년대 해군은 텍타이트 서식지(Tektite habitat)와 SEALAB I, II, III라는 두 가지 주요 수중 프로젝트에 잠수사들을 투입했다. 1969년 1월 28일, 수륙양용 건설 대대 2(Amphibious Construction Battalion 2)에서 파견된 50명[29]과 17명의 시비(Seabee) 잠수사들이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라메셔(Lameshur)의 그레이트 라메셔 만(Great Lameshur Bay)에 텍타이트 서식지 설치 작업을 시작했다.[30] 텍타이트 프로그램은 NASA의 자금 지원을 받았으며, 미국 정부가 후원한 최초의 과학자-수중 거주 프로그램이었다.[31] 텍타이트 프로젝트는 냉전 시대의 산물로, 미 해군이 영구적인 수중 건설 능력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시비 수중 건설팀(Underwater Construction Teams)을 창설하는 계기가 되었다.[32]
SEALAB 프로젝트는 조지 F. 본드 대령의 주도로 진행되었으며, 함대 소속 잠수사들이 참여했다. SEALAB I, II, III는 1960년대 미 해군이 포화 잠수의 실용성과 장기간 고립된 환경에서의 인간 생존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개발한 실험용 수중 서식지였다. SEALAB 탐험을 통해 얻은 지식은 심해 잠수 및 구조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인간이 견딜 수 있는 심리적, 생리적 한계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주목할 만한 미 해군 아쿠아넛(aquanaut)으로는 로버트 시츠, 로빈 쿡, 앨런 셰퍼드, 스콧 카펜터, 로버트 A. 바스 등이 있다.
1966년, 네 개의 수소 폭탄을 실은 B-52 폭격기가 스페인 팔로마레스 인근에 추락했다. USS ''호이스트'', USS ''페트럴'', USS ''트링가''는 150명의 잠수사를 동원하여 약 106.68m 깊이까지 수색했지만 폭탄을 찾지 못했다.[33] 결국 심해 잠수정 DSV 앨빈이 약 777.24m 깊이에서 폭탄들을 발견했다.[33]
여전히 운용 중인 USS ''챈티클리어''는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남베트남(RVN)에서 잠수 작전에 참여했다. 이 함선의 잠수사들은 여러 구조 임무를 수행했다. 1967년 추라이 전투 기지에서 제71 이동 건설 대대는 트라봉 강(Tra Bong River)에서 실종된 해병대 분대를 찾기 위해 수중 건설팀을 투입했다. 해병대는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실종자들을 회수하기를 원했다.[34] 이들의 노력은 성조지 태평양판에 보도되었다.
1970년대 해군 잠수사들은 아이비 벨 작전(Operation Ivy Bells)에 참여했다. 이는 해군과 CIA의 합동 작전이었으며, 잠수사들은 임무에 대한 설명을 들었지만 필요한 보안 허가는 받지 못했다.
1975년, 도나 토비아스(Donna Tobias)는 최초의 여성 하드햇 잠수사 자격을 취득했다. 10년 후 하이디마리 스테파니션파이퍼는 구조 장교가 되었고, 또 다른 미 해군 우주비행사 겸 잠수사가 되었다. 같은 해, 시비 잠수사 로버트 딘 스테텀은 TWA 847편 납치 사건 당시 베이루트 국제공항에서 납치범들에게 살해되었다. 해군은 그의 공적을 기려 구축함 USS ''스테덤'' (DDG-63)을 명명했다.
1980년대에는 항만 정화 부대 1(Harbor Clearance Unit One)과 2가 창설되었다. 이동 잠수 구조 부대 2(MDSU 2)는 USS 모니터, CSS 조지아, TWA 800편, 스위스 에어 111편, 그리고 우주왕복선 ''챌린저''와 ''컬럼비아''의 구조 작업에 참여했다.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국 국방부는 실종된 미군 병력의 유해를 회수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2010년, MDSU 잠수사들은 합동 포로/실종자 확인 사령부(Joint POW/MIA Accounting Command, JPAC)를 위해 베트남 퀴잉프엉(Quynh Phuong)에서 수색 작업을 벌였다. 2012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실종자 유해를 찾기 위해 지중해에서 잠수 작업을 수행했다.[35] 2018년, JPAC를 흡수한 국방 POW/MIA 확인국(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 DPAA)은 다시 MDSU 잠수사들의 지원을 요청했다. 잠수사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항공기가 추락한 것으로 알려진 팔라우로 파견되었다.

2003년, MDSU 1과 해군 해난구조대(SUPSALV) 잠수사들은 USS ''미시시네와''의 난파선에서 2000000USgal의 벙커유를 제거하는 임무를 수행했다.[36]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와 이어진 허리케인 리타는 해군 잠수사들에게 재난 복구 임무를 안겨주었다.[37] 2006년, 미 해군은 잠수 자격을 해군의 공식 병과인 '''해군 잠수사'''(Navy Diver, ND)로 변경했다. 2007년에는 미 해군 실험 잠수 부대, 이동 잠수 구조 부대 2, 그리고 미 육군 소속 잠수사들이 소련 잠수함 K-77의 구조 작업에 참여했다. 같은 해, MDSU 잠수사들은 I-35W 미시시피강 다리 붕괴 사고가 발생했을 때 미네소타로 파견되어 미시시피강에서 구조 및 수색 작업을 지원했다. 2011년, 이동 잠수 구조 부대 1의 잠수사들은 미국 해안경비대(USCG) 및 SUPSALV 잠수사들과 협력하여 파고파고 항구에 침몰한 USS ''체할리스'' 난파선에서 72500USgal의 벙커유를 제거했다. MDSU 1은 2018년에 다시 호출되어, 크로스로드 작전의 핵실험으로 침몰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순양함 프린츠 오이겐에서 250000USgal의 연료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했다.[38]
'''저명한 잠수사 목록:'''
이름 | 계급 | 비고 |
---|---|---|
윌리엄 배더스 | 수석 기계공 | 명예 훈장 수훈자 |
칼 브래셔 | 수석 조리장 | 아프리카계 미국인 최초의 미 해군 마스터 다이버 |
오슨 레온 크랜들 | 수석 조리장 | 명예 훈장 수훈자 |
오언 프랜시스 패트릭 해머버그 | 조리장 2등 | 명예 훈장 수훈자 |
제임스 하퍼 맥도널드 | 수석 금속공 | 명예 훈장 수훈자 |
존 미할로프스키 | 수석 어뢰병 | 명예 훈장 수훈자 |
에드워드 레이머[39] | 수석 기계공 | 진주만 공격 후 파견된 최초 잠수사들의 선임 부사관. 사령관 계급으로 퇴역. |
(29명의 잠수사) | - | 진주만에서 100시간 이상 잠수 기록으로 해군 및 해병대 훈장 수훈[40] |
(2명의 잠수사) | - | 악천후 속(약 2.2°C 수온에서 9시간 잠수 포함) 잠수로 해군 및 해병대 훈장 수훈[41] |
미국 해군의 잠수부들은 체계적인 훈련 과정을 거쳐 전문적인 자격을 부여받으며, 임무 수행 능력과 경험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분류된다. 기본적인 훈련은 플로리다주 파나마시티에 위치한 해군 잠수 및 구조 훈련 센터(NDSTC)에서 이루어지며, 이곳에서 2급 다이버 자격을 위한 기초 교육을 받는다.[42] 이후 경력을 쌓고 추가 교육을 통해 상위 자격인 1급 다이버나 마스터 다이버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3. 훈련 및 등급
미 해군 다이버는 크게 세 가지 주요 등급으로 나뉜다.
각 등급은 부여되는 Navy Enlisted Classification|미 해군 부사관 분류eng(NEC) 코드와 수행하는 임무 범위가 다르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이 외에도 특정 병과나 임무에 따라 다른 잠수 관련 자격이 존재한다. 건설병과(CEC) 인원은 수중 건설 및 폭파 임무를 수행하는 '''수중 건설 기술자'''(UCT) 자격을 얻을 수 있으며[43], 군 의무병은 잠수 인원의 의학적 지원을 담당하는 '''잠수 의학 기술자'''(DMT)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잠수함 승조원을 위한 '''스쿠버 다이버''' 자격도 운영된다.[42] 미 해군 잠수부들은 폭파 및 혼합 기체 잠수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을 받으며[42], 극한 환경에서의 수중 선박 수리, 인양, 특수 작전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포화 잠수와 같은 고도의 잠수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잠수 장비 사용법을 익힌다.
3. 1. 훈련 과정
해군 신병 훈련을 마쳤거나 함대에서 해군 잠수부 프로그램에 합격한 인원은 노스웨스트 해군 훈련소로 이동하여 다이버 준비 과정(32일 훈련, 기본 전기 및 엔지니어링 과정 20일 포함)을 받는다. 이 훈련을 마치면 지원자는 플로리다주 파나마시티에 있는 해군 잠수 및 구조 훈련 센터(NDSTC)로 이동하여 70일간 2급 잠수 학교 훈련을 받는다.[42]
NDSTC는 연간 약 1,3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2개의 서로 다른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평균적으로 매 순간 300명의 학생이 훈련받고 있다. 이 훈련 센터에서는 매년 약 10,000번의 잠수가 이루어진다.[42]
NDSTC는 함대와 특수 부문으로 나뉘며, 모든 후보자는 부문에 관계없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교육받는다:[42]
2급 잠수 학교를 졸업한 후, 해군 잠수 부대 요원들은 잠수 및 인양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배치된다. 수중 선박 수리, 인양 또는 건설 등은 SCUBA 장비나 표면 공급 잠수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잠수 의무 장교 및 잠수 의무 기술자를 위한 훈련 또한 함대 훈련의 일부이다.
숙련된 많은 잠수사들은 일등 잠수사 또는 마스터 잠수사 자격을 얻기 위해 NDSTC에 돌아와 추가적인 과정을 수료한다. 일등 잠수사 학교는 약 12주 과정으로, 학생들은 이 기간 동안 수많은 훈련과 시험을 거친다. 교육 내용에는 가압 챔버, 스쿠버, MK-16 재호흡기, 표면 공급 공기, 혼합 가스 감독 등이 포함된다. 학생들은 잠수 관련 질병을 진단하고 시스템 비상 상황을 처리하는 방법도 배운다. 일등 잠수사 학교에 다니는 동안 학생들은 마스터 잠수사 평가를 받는데, 이 평가는 여러 가지 까다로운 시나리오로 구성되며 소수의 선택된 학생들만이 자격을 얻게 된다. 마스터 잠수사는 취득하기 어려운 자격으로 알려져 있다.
3. 2. 등급
미국 해군 다이버는 임무 수행 능력과 경험에 따라 세 가지 주요 등급으로 나뉜다. 이들은 극한 환경에서 수중 선박 수리, 인양, 특수 작전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포화 잠수와 같은 고도의 잠수 기술 훈련을 받는다.[42]
해군 부사관이 2급 또는 1급 잠수 학교를 졸업하고 경력을 쌓아 마스터 다이버 자격을 취득하는 과정을 통해 해군 다이버 계급이 구성된다. 각 등급은 특정 Navy Enlisted Classification|미 해군 부사관 분류eng(NEC) 코드를 가지며, 계급과 임무 범위가 다르다.
등급 | NEC 코드 | 해당 계급 | 주요 임무 및 자격 |
---|---|---|---|
2급 다이버 | 5343[47] | E-4 ~ E-5 | 해군 다이버 A 학교 수료 후 부여되는 기본 잠수 자격. 다양한 수중 임무에서 작업자로 활동한다. |
1급 다이버 | 5342[47] | E-6 ~ E-8 | 해군 다이버 C 학교 수료 후 부여되는 고급 잠수 자격. 2급 다이버의 임무 외에 잠수 및 챔버 치료 감독관 역할을 수행한다. |
마스터 다이버 | 5341[47] | (자격) | 해군 내 최고 부사관 잠수 자격. 까다로운 마스터 다이버 과정을 수료하고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잠수 작전을 총괄 감독하고 다른 잠수 감독관을 훈련 및 자격 부여한다. |
이 외에도 특정 병과 인원을 위한 잠수 관련 자격이 있다.
- '''수중 건설 기술자 (UCT)''': CEC(건설병과) 인원이 취득할 수 있으며, 수중 건설 및 폭파 임무를 수행한다. 기본(NEC 5932), 고급(NEC 5931), 마스터(NEC 5933) 자격으로 나뉜다.[43]
- '''잠수 의학 기술자 (DMT)''': 해군 군 의무병이 취득하며, 잠수 인원의 의학적 조언과 치료를 담당한다.
- '''스쿠버 다이버''': 잠수함에 배치된 인원이 취득하는 제한적인 자격으로, 주로 잠수함 검사 임무를 수행한다. 이들은 전통적인 해군 계급(ET, MM 등)을 유지하며 잠수 자격은 부수적인 임무이다.
Navy Diver|미 해군 잠수부eng(ND) 계급은 2006년에 공식적으로 발효되었으며, 계급 체계는 다음과 같다. (E6-E9: 2006년 6월 1일, E1-E5: 2006년 10월 1일 발효)
계급 약칭 | 미 해군 계급 | 명칭 |
---|---|---|
ND3 | E-4 | 미 해군 잠수부 3급 |
ND2 | E-5 | 미 해군 잠수부 2급 |
ND1 | E-6 | 미 해군 잠수부 1급 |
NDC | E-7 | 주임 미 해군 잠수부 |
NDCS | E-8 | 선임 주임 미 해군 잠수부 |
NDCM | E-9 | 원사 미 해군 잠수부 |
4. 주요 임무
미 해군 다이버들은 극한 환경에서 활동하며, 수중 선박 수리, 수중 인양 및 구조, 수중 건설, 특수 작전 및 특수전 유형의 잠수 등 다양한 수중 임무를 수행한다. 이들의 작전 구역은 전 세계에 걸쳐 매우 다양하므로, 어떤 깊이나 온도에서도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잠수 장비를 다룰 수 있어야 한다. 특정 임무를 위해서는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극한의 깊이에서 생활하고 작업하는 포화 잠수와 같은 고도의 훈련이 요구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미 해군 다이버의 임무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변화하고 확장되어 왔다.
- 초기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주요 임무는 선박의 구조 및 수리, 건설 작업, 군사 작전이었다. 미국 남북 전쟁 중 모빌 만 전투에서는 데이비드 패러것 제독 함대의 진로 확보를 위해 남부 연합이 설치한 기뢰를 제거하는 임무를 수행했다.[2] 1898년에는 쿠바 아바나 항구에서 발생한 USS ''Maine'' 폭발 침몰 사건의 잔해를 조사하는 임무를 맡았다. 20세기 초 잠수함 기술 발달과 함께 잠수함 사고 대응 및 구조 능력 향상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 제1차 세계 대전: 로드아일랜드 뉴포트 해군 기지에 설립된 해군 잠수 학교의 교직원과 졸업생들이 유럽으로 파견되어 프랑스 해안에서 여러 구조 작전을 수행했다.[5]
- 전간기: 1939년 침몰한 USS ''Squalus''에서 33명의 생존자를 구조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 공로로 4명의 잠수사가 명예 훈장을 받았다.
- 제2차 세계 대전:
- 진주만 공격 직후: 생존자 구조 시도 및 대규모 함선 인양 작업(USS ''California'', USS ''Nevada'', USS ''Utah'', USS ''Arizona'', USS ''West Virginia'', USS ''Oklahoma'', USS ''Oglala'')을 수행했다.[8][9] 이 과정에서 시신 수습[13][14] 및 아크-산소 수중 절단 토치 개발[12]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 태평양 전쟁: 해군 건설 대대(Seabees) 소속 다이버들은 전진 기지 건설 지원, 추락한 일본 항공기 회수, 선박 프로펠러 교체,[17] 수중 폭파 팀(UDT) 활동, 산호 폭파를 통한 항만 건설[19]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특히 알류샨 열도에서는 약 5.6°C의 차가운 수온 속에서 러시아 화물선 SS ''Turksib'' 구조 작업을 벌이기도 했다.[15][16]
- 수중 선박 수리 및 구조: 뉴욕에서 전복된 USS ''Lafayette'' 구조 작업에 참여했으며,[3] 심하게 손상된 USS ''Pensacola''의 수리를 지원했다.
- 정보 수집: 키스카 항구에 침몰한 일본 잠수함 I-7[20], 과달카날 인근의 일본 잠수함 I-1, 다윈 앞바다의 일본 잠수함 I-124 등에서 코드북, 지도 등 중요 정보 자료를 회수하는 임무를 수행했다.[21][22]
- 필리핀: 일본군 점령 하에서 마닐라 만에 버려진 필리핀 정부의 은화를 회수하도록 강요받았으며, 종전 후 미군이 다시 회수 작업을 진행했다.[23]
- 냉전 시기:
- 크로스로드 작전 (1946년): 비키니 환초에서의 핵 실험 이후, 방사능 오염 환경 속에서[26] 침몰한 함선들을 검사하고 피해를 기록하며, 과학 데이터와 장비를 회수하고 필요한 구조 작업을 수행했다.[26] (USS ''Arkansas'', USS ''Skipjack'', USS ''Pilotfish'', USS ''Apogon'')
- 한국 전쟁: 원산항에서 기뢰에 피격되어 침몰한 USS ''Pledge''의 위치를 스쿠버 장비(아쿠아렁)를 사용하여 파악하고 표시함으로써, 해군이 스쿠버 장비를 전술적으로 사용한 첫 사례를 만들었다. 이는 잠수 임무가 비전투적 영역을 넘어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 수중 거주 실험 (1960년대): 텍타이트와 SEALAB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포화 잠수의 실행 가능성과 장기 수중 생활의 영향을 연구하는 데 기여했다. 수륙양용 건설 대대 2(ACB 2) 소속 Seabee 다이버들이 텍타이트 설치에 참여했으며,[30] 이는 이후 수중 건설 팀(UCT) 창설로 이어졌다.[32]
- 팔로마레스 B-52 추락사고 (1966년): 스페인 인근 해역 약 106.68m 깊이까지 수색했으나 찾지 못하고, 심해잠수정 DSV ''Alvin''이 약 777.24m 깊이에서 발견한 수소 폭탄 수색 작업을 지원했다.[33]
- 베트남 전쟁: 구조 임무와 함께, 추라이 전투 기지 인근 강에서 실종된 해병대원 수색과 같은 특수 임무도 수행했다.[34]
- 아이비 벨 작전 (1970년대): CIA와의 합동 작전으로, 소련의 해저 통신 케이블 도청 장비를 설치하고 회수하는 비밀 임무에 참여했다.
- 탈냉전 이후 ~ 현재:
- 항만 정화 및 주요 사고 대응: 항만 정화 부대(Harbor Clearance Unit) 창설 이후, 역사적 난파선(USS 모니터, CSS 조지아) 구조, 항공기 추락 사고(TWA 800편, 스위스 항공 111편), 우주왕복선 참사(''챌린저'', ''컬럼비아'') 등 주요 사건 현장에서 구조 및 인양 작업을 수행했다.
- 유해 발굴 지원: 합동 포로/MIA 회계 사령부(JPAC) 및 국방 POW/MIA 회계국(DPAA)을 지원하여 베트남, 지중해, 팔라우 등지에서 과거 전쟁 실종자 유해 수색 및 발굴 작업을 수행했다.[35]
- 환경 정화: 침몰한 유조선(USS ''Mississinewa'',[36] USS ''Chehalis'')이나 핵 실험으로 침몰한 함선(''Prinz Eugen'')[38]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2000000USgal 또는 72500USgal, 250000USgal 규모의 연료유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 재난 복구: 허리케인 카트리나[37]나 I-35 다리 붕괴와 같은 자연재해 및 대형 사고 현장에서 복구 및 구조 활동을 지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Navy Expeditionary Combat Command – Diving
http://www.public.na[...]
2016-09-25
[2]
웹사이트
Navy Diver: A Tradition of Honor!
https://navycrow.com[...]
2020-02-07
[3]
간행물
Navy Divers, Bureau of Naval Personnel Information Bulletin, All Hands, September 1944, pp. 26–30
https://digital.evpl[...]
Evansville Vanderburgh Public Library, Indiana
[4]
서적
US Navy diving manual Revision 7
https://www.navsea.n[...]
COMMANDER, NAVAL SEA SYSTEMS COMMAND, U.S. GPO, Washington DC
[5]
웹사이트
Navy Expeditionary Combat Command – Diver History
http://www.public.na[...]
2016-09-25
[6]
서적
Decent into Darkness
Naval Institute Press
1996
[7]
웹사이트
Navy and Marine Corps Medal: Howard E. Haynes, Hall of Valor: The Military Medals Database website
https://valor.milita[...]
2021
[8]
서적
Diving Seabees, IV USS West Virginia, Decent into Darkness
Naval Institute Press
1996
[9]
문서
Salvage Diary from I March-1942-15 November 1943 pdf, Industrial Department War Daiary Collection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in San Bruno, California
[10]
서적
Salvage Begins: II USS Nevada, Decent into Darkness
Naval Institute Press
1996
[11]
문서
16th Naval Construction Battalion
https://www.history.[...]
Seabee Museum Archives, Port Hueneme, CA.
[12]
서적
Diver's Ingenuity: II USS Nevada, Decent into Darkness
Naval Institute Press
1996
[13]
뉴스
Pearl Harbor Navy salvage diver Ken Hartle dies at 103
https://www.navytime[...]
Navy Times
2017-01-28
[14]
서적
Recovery of Bodies: USS Arizona, Decent into Darkness
Naval Institute Press
1996
[15]
문서
Naval Construction Battalion 4 records
https://www.history.[...]
Navy Seabee Museum Archives, Port Hueneme CA
[16]
웹사이트
Water Temperature Table of the Alaska Coast,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https://www.ncei.noa[...]
2020-06-06
[17]
웹사이트
Naval Construction Battalions
https://www.history.[...]
[18]
문서
301st Naval Construction Battalion cruisebook
https://www.history.[...]
U.S. Navy Seabee Museum Archives, Port Hueneme,CA
2020-01-22
[19]
간행물
CEC Bulletin, Vol. 2 February 1948 No. 15
https://books.google[...]
[20]
웹사이트
IJN Submarine I-7: Tabular Record of Movement
http://www.combinedf[...]
2020-08-13
[21]
서적
Combined Fleet Decoded: The Secret History of American Intelligence and the Japanese Navy in World War II
Naval Institute Press
2001
[22]
서적
Navy Diver
Ace Publishing
1962-01-01
[23]
웹사이트
Corregidor Treasures, Philippine Sailor
http://philippine-sa[...]
2018-07
[24]
서적
Diving Seabees, IV USS West Virginia, Decent into Darkness
Naval Institute Press
1996
[25]
문서
Appendix A: Activities of Participating Navy Vessels During Operation Crossroads
https://www.dtra.mil[...]
Defense Nuclear Agency, Washington D.C.
1984
[26]
문서
DNA 6032F Operation Crossroads 1946, United States Atmospheric Nuclear Weapons Tests Nuclear Test Personnel Review
https://www.dtra.mil[...]
Defense Nuclear Agency, Washington D.C.
1984
[27]
문서
References: Section C:Target ships, DNA 6032F Operation Crossroads 1946, United States Atmospheric Nuclear Weapons Tests Nuclear Test Personnel Review
https://www.dtra.mil[...]
Defense Nuclear Agency, Washington D.C.
1984
[28]
웹사이트
The raising of the Skipjack (SS-184) after the atomic blast sunk it during Shot B of Operation Crossroads at Bikini, NavSource Online: Submarine Photo Archive
http://navsource.org[...]
[29]
간행물
All Hands, 8 June 1969, Number 629
http://www.navy.mil/[...]
Navy Dept. Washington, DC.
1969-06-08
[30]
웹사이트
Seabeemagazine online
http://seabeemagazin[...]
[31]
웹사이트
Project Tektite: The Aquanauts That Lived in the Sea
https://www.uw360.as[...]
2016-08-11
[32]
웹사이트
US Navy Seabee Museum online magazine, "Project Tektite and the Birth of the Underwater Construction Teams"
http://seabeemagazin[...]
[33]
간행물
Contact 261,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https://www.usni.org[...]
1967-06
[34]
서적
Seabee 71 in Chu Lai
McFarland & Company, Inc., Jefferson, North Carolina
2019
[35]
웹사이트
US Navy Divers, alongside the Joint POW/MIA Accounting Command, DVIDS
https://www.dvidshub[...]
2012-10-18
[36]
간행물
U.S. NAVY SALVAGE REPORT USS MISSISSINEWA OIL REMOVAL OPERATIONS
https://www.navsea.n[...]
COMMANDER, NAVAL SEA SYSTEMS COMMAND
2004-05
[37]
간행물
U.S. NAVY SALVAGE REPORT HURRICANES KATRINA AND RITA
https://www.navsea.n[...]
Commander, Naval Sea Systems Command
2007-01
[38]
뉴스
U.S. Navy Divers Recover Oil from Wrecked WWII Prinz Eugen
https://www.c7f.navy[...]
Commander US 7th Fleet web page
2018-10-14
[39]
웹사이트
Navy and Marine Corps Medal
https://valor.milita[...]
Hall of Valor Project
2021
[40]
간행물
Navy and Marine Corps Medal, All Hands April 1944
https://media.defens[...]
Bureau of Naval Personnel Bulletin, U.S.Navy Washington D.C.
1944-04
[41]
간행물
Navy and Marine Corps Medal, All Hands December 1943
https://media.defens[...]
Bureau of Naval Personnel Bulletin, U.S.Navy Washington D.C.
1943-12
[42]
웹사이트
Diver Training
http://www.public.na[...]
2016-09-25
[43]
웹사이트
Navy Seabee UCT Diver Challenge Program
https://www.navycs.c[...]
[44]
논문
Development of job-related physical selection criteria for U.S. Navy fleet divers.
http://archive.rubic[...]
2013-11-21
[45]
웹사이트
SEAL/EOD/SWCC/DIVER/AIRR Physical Screening Testing Standards and Procedures
http://www.public.na[...]
BUPERS - 324 )
2017-04-06
[46]
논문
Health survey of U.S. Navy divers from 1960 to 1990: A first look
http://archive.rubic[...]
2013-11-21
[47]
웹사이트
Navy Diver ( ND ) Rating
http://www.public.na[...]
BUPERS - 32 4F Enlisted Community Manager
2017-04-06
[48]
문서
DIVING OFFICER, MILSPERMAN 1210-140
https://www.public.n[...]
CNO
2002-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