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즈노 렌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즈노 렌타로는 일본 제국의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내무성에서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그는 저작권법 제정에 기여하고, 베른 조약 관련 회의에 참석했으며, 입헌정우회 소속으로 귀족원 의원을 지냈다. 데라우치 마사타케 내각에서 내무대신을 역임하고, 1919년부터 1922년까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으로 재직하며 문화 통치를 펼쳤으나, 간토 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을 방조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는 내무대신과 문부대신을 거쳐 일본음악저작권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A급 전범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석방된 후 1949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와국 사람 - 다테 마사무네
    다테 마사무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다이묘이며 센다이 번의 초대 번주로, '독안룡'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오슈 지역을 장악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복속, 임진왜란과 오사카 전투에 참전, 센다이 번 건설과 스페인과의 통상 추진, 문화 예술에도 힘썼다.
  • 데와국 사람 - 요시히메
    요시히메는 모가미 요시미쓰의 여동생이자 다테 마사무네의 어머니로, 정략 결혼을 통해 다테 가문과 모가미 가문의 관계를 유지하고 가문 내외의 분쟁 해결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 일본 제국의 정치인 - 시데하라 기주로
    시데하라 기주로는 국제 협조 외교를 펼친 외무대신이자 일본국 헌법 제정에 관여하고 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으로, 헌법 9조 제안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 일본 제국의 정치인 - 오쿠보 도시미치
    메이지 유신을 주도한 사쓰마 번 출신의 일본 정치가 오쿠보 도시미치는 사이고 다카모리, 기도 다카요시와 함께 막부 타도를 이끌고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근대화를 추진했으나, 강력한 권력과 정책 추진 방식으로 비판받았으며 사족에게 암살당했다.
  • A급 전범 용의자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A급 전범 용의자 - 무타구치 렌야
    일본 제국 육군 장군 무타구치 렌야는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 노구교 사건과 임팔 작전 등 주요 사건에 관여했으며, 전후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그의 군사적 능력과 작전 실패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미즈노 렌타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즈노 렌타로
이름미즈노 렌타로
출생일1868년 2월 3일
출생지에도 아사쿠사 도리고에 (현재의 도쿄도 다이토구)
사망일1949년 11월 25일
국적일본
직업내각 대신, 법학자
경력
소속 정당교우구락부
학력제국대학 법과대학
작위 및 훈장정3위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정치 경력
제36대 문부대신재임 기간: 1927년 6월 2일 ~ 1928년 5월 25일
내각: 다나카 기이치 내각
제31, 33, 35대 내무대신제35대 재임 기간: 1918년 4월 23일 ~ 1918년 9월 29일, 데라우치 내각
제33대 재임 기간: 1922년 6월 12일 ~ 1923년 9월 2일,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
제31대 재임 기간: 1924년 1월 7일 ~ 1924년 6월 11일, 기요우라 게이고 내각
귀족원 의원재임 기간: 1912년 12월 5일 ~ 1946년 1월 11일
선출 방식: 귀족원 칙선 의원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재임 기간: 1919년 8월 12일 ~ 1922년 6월 12일
기타
기타 수상러일전쟁 종군기장

2. 생애

미즈노 렌타로는 일본내무성 관료, 귀족원 의원, 내무대신 및 문부대신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1899년 문학적 및 미술적 저작물의 보호에 관한 베른 조약 가입에 맞춰 저작권법 제정에 기여했고, 1919년부터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을 맡아 3·1 운동 이후 이른바 문화 통치를 주도했다. 간토 대지진 당시 내무대신으로서 조선인 학살을 유발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

2. 1. 초기 생애

미즈노 렌타로 (1932년)


미즈노 렌타로는 1868년 1월 10일 에도 아사쿠사 도리고에정(鳥越町)의 아키타 번 저택에서 태어났다.[7] 아키타 번 번사 집안 출신으로, 아버지는 에도에서 발탁된 무사였다.[7] 보신 전쟁 당시 아키타 번이 관군 편에 서자, 미즈노의 가족은 유자와시 이와자키로 피난했다.[7]

1871년 폐번치현 이후 1874년 가족과 함께 도쿄로 돌아왔다.[7] 1882년경 부모를 여읜 후, 칸다의 공립학교를 거쳐 대학예비문(후의 제일고등학교)에 입학했다.[7] 1892년 제국대학 법과대학(현재의 도쿄대학 법학부)을 졸업했다.[7]

졸업 후 호즈미 진중(穂積陳重) 교수의 추천으로 시부사와 에이이치의 제일은행 취직 제의를 받았으나,[7] 우메 겐지로(梅謙次郎) 교수의 권유로 농상성 광산국에 들어갔다.[7] 1894년 쓰즈키 케이로쿠(都筑馨六)의 초청으로 내무성에 들어가면서 본격적인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7]

2. 2. 관료 경력

미즈노 렌타로는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내무성에 들어갔다. 내무성에서 사찰국장, 지방국장 등을 역임하며 '''내무의 거장'''으로 불렸다.[7] 1899년 문학적 및 미술적 저작물의 보호에 관한 베른 조약 가입에 맞춰 미즈노가 기초한 저작권법 제정에 큰 역할을 하였다.[7] 1908년 베를린에서 개최된 「만국 저작권 보호 동맹 회의」에 전권위원으로 참석하여 수정 베른 조약에 서명했다.[7]

1912년 12월 5일, 귀족원 의원으로 임명되었다.[8] 1913년 2월 21일, 내무차관이 되었고, 1916년 12월 27일 내무차관에 재임명되었다.[9]

2. 3. 내무대신 및 문부대신 재임

미즈노 렌타로는 1918년 데라우치 내각에서 처음으로 내무대신에 임명되었다. 제국대학(도쿄제국대학) 졸업 학사 출신으로는 최초였다.[1] 재임 중 1918년 쌀 소동이 발생했다.

1919년 하라 내각에서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되어 삼일운동 진압 후 조선인에 대한 회유책을 폈다.[1]

1922년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에서 다시 내무대신을 역임했다. 1923년 간토 대지진 발생 직후, 후임 내무대신인 고토 신페이가 결정될 때까지 현장 지휘를 맡았다.[1] 이 과정에서 한국인이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는 소문을 퍼뜨려 조선인 학살을 유발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6,000명이 넘는 한국인이 일본 민병대에 의해 살해되었다.[3]

1924년 기요우라 내각에서 다시 내무대신이 되어 제도복흥원 총재를 겸임했다.

1927년 다나카 기이치 내각에서 문부대신을 역임했다. 문부대신으로서 제국대학에서 좌익 교수들을 숙청하고 급진 좌익 학생 단체들을 금지했다.[4]

1928년 다나카 기이치 총리가 구하라 후사노스케를 내무대신으로 임명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여 사임 의사를 밝혔으나, 총리가 천황의 뜻이라며 사임 철회를 요구하여 철회했다. 그러나, 총리가 천황의 뜻을 이용하여 정치 문제에 개입했다는 비판을 받았고, 결국 사임했다.(우쇼 사건)[5]

2. 4.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재임

1919년, 사이토 마코토 총독과 함께 신임 정무총감으로 조선에 들어왔다. 남대문역에서 한국의 독립운동가 강우규가 이들에게 폭탄을 던졌으나 미즈노는 다치는 데에서 그쳤다.[1] 하라 다카시 내각 시대에 조선총독부의 정무총감이 되어, 3·1 운동 진정을 도모하고, 조선인에 대한 회유책인 이른바 문화 통치를 펼쳤다.

미즈노는 일본 거주 한국인 감시를 위한 보안 시스템에 익숙하고, 1918년 쌀 소동 당시 내무대신으로 재직하면서 민중 소요 진압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이 역할에 특히 적합하다고 여겨졌다.[1] 그의 조선 재임 기간 동안 그는 경제적 이점뿐만 아니라 안보적 이점도 있는 국가의 전화 인프라를 크게 확장했다.[2] 1920년 12월 25일, 미즈노는 욱일장 대수장을 받았다.

2. 5. 말년

말년에 미즈노는 일본음악저작권협회 회장 등 여러 직책을 역임하였다. 1938년 4월 17일에는 욱일동화대수장을 받았다.[10]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전시 국수주의 단체인 대일본흥아동맹 명예 부회장을 지냈다는 이유로 연합군 최고사령관에 의해 체포되어 스가모 형무소에 A급 전범 혐의로 수감되었다.[10] 그러나 재판에 회부되지 않고 1947년 9월 1일에 석방되었다.[10] 이후 공직추방을 당했고,[11] 1949년 11월 25일,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평가

미즈노 렌타로는 일본에서 저작권법 제정에 기여한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서는 간토 대지진 당시 내무대신으로서 조선인 학살을 사실상 유발한 인물로 악명이 높다.[3]

1919년 사이토 마코토 총독과 함께 조선에 부임했을 때, 남대문역에서 독립운동가 강우규 의사의 폭탄 투척을 받았으나 목숨을 건졌다. 이후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으로 재직하며 식민 통치를 강화했다. 그는 조선의 전화 인프라를 크게 확장했는데, 이는 경제적, 안보적 이점을 가져왔다.[2]

간토 대지진 이후, 내무대신이었던 미즈노는 조선인에 대한 유언비어를 퍼뜨리고, 일본 국민들의 반감을 조장하여 조선인 학살을 유발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문부대신 시절에는 일본 내 좌익 교수와 학생들을 탄압하는 등 사상 통제에 앞장섰다.[4]

미즈노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으로 재직하며 한국의 독립운동을 탄압하고, 민족 문화 말살 정책을 추진하는 데 앞장서는 등 식민 통치에 협력했다.[1] 특히 간토 대학살 당시, 일본 사회에 퍼진 유언비어와 공포를 이용하여 조선인에 대한 적개심을 부추겨 6,000명이 넘는 조선인들이 일본 민병대에 의해 무참히 학살되는데 영향을 주었다.[3]

3. 1. 긍정적 평가

미즈노 렌타로는 내무성 관료 출신으로, 1895년 명성황후시해사건에 가담하였다. 1919년에는 정무총감으로서 사이토 마코토 총독과 함께 조선에 부임했으나, 남대문역에서 독립운동가 강우규의 폭탄 투척으로 부상을 입기도 했다.[1]

일본에서는 저작권법 제정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 그는 저작권 보호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일본의 저작권 제도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3. 2. 부정적 평가

미즈노 렌타로는 일본에서 저작권법 제정에 기여한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서는 간토 대지진 당시 내무대신으로서 조선인 학살을 방조하고 조장한 인물로 악명이 높다.[3]

1919년 사이토 마코토 총독과 함께 조선에 부임했을 때, 남대문역에서 독립운동가 강우규 의사의 폭탄 투척을 받았으나 목숨을 건졌다. 이후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으로 재직하며 식민 통치를 강화했다.

간토 대지진 발생 이후, 미즈노는 내무대신으로서 조선인에 대한 유언비어를 퍼뜨리고, 일본 국민들의 반감을 조장하여 조선인 학살을 유발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문부대신 시절에는 일본 내 좌익 교수와 학생들을 탄압하는 등 사상 통제에 앞장섰다.[4]

3. 2. 1. 한국인의 관점

미즈노 렌타로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으로 재직하며 한국의 독립운동을 탄압하고, 민족 문화 말살 정책을 추진하는 데 앞장서는 등 식민 통치에 협력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

특히, 1923년 간토 대지진 당시 내무대신으로서 조선인들에 대한 학살을 방조하고, 심지어는 이를 조장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당시 일본 사회에 퍼진 유언비어와 공포를 이용하여 조선인에 대한 적개심을 부추겼고, 이는 간토 대학살이라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어졌다. 이 사건으로 6,000명이 넘는 조선인들이 일본 민병대에 의해 무참히 학살되었다.[3] 이러한 그의 행적은 한국인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으며, 오늘날까지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4. 가족 관계

아내는 애국부인회 회장인 미즈노 만수자이다.

5. 기타

참조

[1] 서적 Race and Migration in Japan
[2] 서적 Technology of Empire
[3] 논문 The Theory of a Government Plot?: The Massacre of Koreans in Japan in September 1923 https://cir.nii.ac.j[...] 2005
[4] 서적 Academic Freedom
[5] 서적 Hirohito
[6] 간행물 官報 1946-01-14
[7] 간행물 官報 1910-09-08
[8] 간행물 官報 1912-12-06
[9] 간행물 官報 1914-04-22
[10] 뉴스 梨本宮・平沼・平田ら五十九人に逮捕命令 毎日新聞(東京) 1945-12-04
[11] 뉴스 朝日新聞 1946-10-06
[12] 간행물 官報 1896-06-01
[13] 간행물 官報 1899-05-02
[14] 간행물 官報 1899-06-21
[15] 간행물 官報 1904-10-01
[16] 간행물 官報 1910-10-21
[17] 간행물 官報 1918-10-22
[18] 간행물 官報 1906-05-22
[19] 간행물 官報 1908-03-31
[20] 간행물 官報 1909-09-28
[21] 간행물 官報 1916-08-21
[22] 간행물 官報 1932-12-28
[23] 간행물 官報 1941-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