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카 하키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카 하키넨은 1968년 핀란드에서 태어난 전직 레이싱 드라이버로, F1 경력 이전에 카트와 주니어 포뮬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91년 로터스 팀에서 F1에 데뷔하여 맥라렌으로 이적, 1998년과 1999년에 월드 챔피언십을 획득하며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2001년 은퇴 후에는 DTM에 참가, 2005년 DTM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현재는 스포츠 방송 분석가로 활동하며, 클린 파이터로서의 면모와 미하엘 슈마허와의 라이벌 관계 등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에 거주한 핀란드인 - 키미 래이쾨넨
키미 래이쾨넨은 2007년 F1 월드 챔피언십 우승자이자 "아이스맨"이라는 별명을 가진 핀란드 출신의 전직 F1 드라이버로, 카트 레이싱을 시작으로 F1 자우버 팀 데뷔, 맥라렌과 페라리에서 활동, WRC 참가, 로터스 복귀 및 알파로메오에서 은퇴 후 NASCAR 컵 시리즈에도 출전하는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경력을 쌓았다. - 영국에 거주한 핀란드인 - 에사페카 살로넨
에사페카 살로넨은 핀란드의 지휘자 겸 작곡가로,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음악 감독과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수석 지휘자를 역임하며 현대 음악 발전에 기여했고, 음악과 기술의 융합에도 적극적이다. - 핀란드의 포뮬러 원 드라이버 - 키미 래이쾨넨
키미 래이쾨넨은 2007년 F1 월드 챔피언십 우승자이자 "아이스맨"이라는 별명을 가진 핀란드 출신의 전직 F1 드라이버로, 카트 레이싱을 시작으로 F1 자우버 팀 데뷔, 맥라렌과 페라리에서 활동, WRC 참가, 로터스 복귀 및 알파로메오에서 은퇴 후 NASCAR 컵 시리즈에도 출전하는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경력을 쌓았다. - 핀란드의 포뮬러 원 드라이버 - 발테리 보타스
발테리 보타스는 핀란드의 포뮬러 원 드라이버로, 윌리엄스와 메르세데스를 거쳐 현재 알파 로메오에서 활동하며 F3 유로 시리즈와 GP3 시리즈 우승, 포뮬러 원 10회 우승 및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십 준우승 2회를 기록했다. - 핀란드의 자동차 경주 선수 - 키미 래이쾨넨
키미 래이쾨넨은 2007년 F1 월드 챔피언십 우승자이자 "아이스맨"이라는 별명을 가진 핀란드 출신의 전직 F1 드라이버로, 카트 레이싱을 시작으로 F1 자우버 팀 데뷔, 맥라렌과 페라리에서 활동, WRC 참가, 로터스 복귀 및 알파로메오에서 은퇴 후 NASCAR 컵 시리즈에도 출전하는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경력을 쌓았다. - 핀란드의 자동차 경주 선수 - 마르쿠 알렌
마르쿠 알렌은 1970~80년대에 활동한 핀란드의 랠리 드라이버로, 1969년 데뷔하여 WRC에서 통산 19번 우승했으며, 피아트, 란치아, 스바루, 토요타 등 다양한 팀에서 활동했다.
미카 하키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미카 파울리 하키넨 |
출생일 | 1968년 9월 28일 (56세) |
출생지 | 반타, 우스이마, 핀란드 |
배우자 | 에르야 호넨 (결혼: 1998년, 이혼: 2008년) 마르케타 레메쇼바 (결혼: 2016년) |
자녀 | 5명 |
포뮬러 원 경력 | |
국적 | 핀란드 |
활동 기간 | 1991년–2001년 |
팀 | 로터스, 맥라렌 |
엔진 | 저드, 포드, 푸조, 메르세데스 |
참가 레이스 | 165회 (161회 출발) |
챔피언십 우승 | 2회 (1998년, 1999년) |
우승 | 20회 |
포디움 | 51회 |
폴 포지션 | 26회 |
총 획득 점수 | 420점 |
가장 빠른 랩 | 25회 |
첫 레이스 | 1991년 미국 그랑프리 |
첫 우승 | 1997년 유럽 그랑프리 |
마지막 우승 | 2001년 미국 그랑프리 |
마지막 레이스 | 2001년 일본 그랑프리 |
기타 정보 | |
별칭 | 플라잉 핀 |
2. F1 경력 이전
미카 하키넨은 1968년 9월 28일 핀란드 반타에서 단파 라디오 통신사이자 파트타임 택시 운전사인 아버지 하리 하키넨과 비서로 일했던 어머니 아일라 하키넨 사이에서 태어났다.[2] 누나 니나가 한 명 있다.[2] 어린 시절 미카 살로와 같은 거리에서 살았으며, 아이스하키와 축구를 했다.[3][4] 하키넨의 부친은 단파무선통신사와 파트타임 택시 운전사를 겸했고, 모친은 비서로 일했다. 하키넨의 부모는 그의 레이싱 경력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직업을 가졌다.[5][6][7][8]
다섯 살 때, 부모는 하키넨을 위해 고 카트를 빌려 집 근처 트랙으로 데려갔다.[5] 하키넨은 헨리 토이보넨이 이전에 경주에 사용했던 카트로 1975년 케이몰라 모터 스타디움에서 첫 카트 경주에서 우승했다.[5] 1978년과 1979년 지역 카트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두 해 모두 케이몰라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1980년 스웨덴 라플란드 컵에서 우승하고 라플란드 카트 챔피언십 85cc 클래스에서 4위를 차지했으며, 친구 미카 소홀버그와 함께 핀란드의 얼어붙은 호수에서 폭스바겐 비틀을 몰기도 했다.[6]
1981년 핀란드 카트 챔피언십 85cc 클래스에서 우승했다.[7] 1982년 포뮬러 미니 시리즈 85cc 클래스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로니 페터슨 기념 행사와 라흐티에서 열린 살파셀카 컵에서 우승했다. 1983년 포뮬러 노르딕 100cc 클래스로 옮겨 첫 시도에서 챔피언이 되었고, 타루 린네, 야아나 뉘만, 마르코 만코넨과 함께 핀란드를 대표하여 A 주니어 팀 레이스에 참가하여 팀과 함께 챔피언십을 차지했다.[7]
1984년 100cc 포뮬러 노르딕 타이틀에서 우승했고, 리돌스하임에서 열린 세계 카트 챔피언십 레이스에 참가했다.[7] 1985년 유카 사볼라이넨을 제치고 두 번째 100cc 포뮬러 노르딕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같은 해 노르딕 챔피언십 A 클래스에 참가하여 톰 크리스텐센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 파르마로 건너가 세계 카트 챔피언십에 참가했지만, 기계적 문제로 인해 이벤트 결승전 전에 기권했다. 1986년 세 번째 연속 포뮬러 노르딕 100cc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유럽 전역에서 열리는 카트 이벤트에도 참가했다.[7] 하키넨은 경력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친구와 함께 자전거 수리 일을 했다.[8]
1987년 하키넨은 JJ 레토로부터 1986년형 레이나드 포뮬러 포드 1600을 구입했다. 그 해 그는 핀란드, 스웨덴, 노르딕 포뮬러 포드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각 타이틀을 첫 시도에서 우승했으며, 총 9번의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EDFA 1600 챔피언십의 두 경기에 참가했고, 브랜드 해치에서 열린 포뮬러 포드 페스티벌에서 7위를 차지했다.[9] 1988년 드래곤 팀과 함께 GM 복스홀-로터스 챌린지에 참가하여 세 번의 승리를 거두고 앨런 맥니시에 이어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오펠-로터스 EDFA 유로시리즈에 참가하여 4번의 승리를 거두고 126점으로 챔피언이 되었으며, 헨릭 라르센을 앞질렀다.[9]
1989년 영국 포뮬러 3 챔피언십에 드래곤 모터스포츠에서 진출했지만, 팀(레이나드·토요타)의 전투력 부족으로 챔피언십 7위에 그쳤다.[169] 그러나 웨스트 서리 레이싱(WSR)으로 이적하여 F3 첫 우승을 장식했다.[169]
연도 | 팀 | 엔진 | 클래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순위 | 포인트 |
---|---|---|---|---|---|---|---|---|---|---|---|---|---|---|---|---|---|---|---|---|---|---|
1989년 | 드래곤 모터스포츠 | 토요타 | A | THR 15 | DON C | {{color DSQ | 'BRH' 3 | SIL Ret | BRH 2 | THR 12 | SIL 18 | DON 8 | SIL 5 | SNE 5 | OUL 6 | SIL 10 | BRH 6 | DON Ret | SIL 11 | THR 12 | 7위 | 18 |
- '''굵은 글씨'''는 폴 포지션, ''기울임꼴''은 패스티스트 랩을 의미한다.
1990년, 미카 하키넨은 실버스톤 서킷에서 베네통의 초대로 베네통 B188[183]을 운전하며 처음으로 F1 머신을 경험했다. 하키넨은 레귤러 드라이버인 알레산드로 나니니보다 빠른 기록을 세워 주목받았다.[184]
1990년 영국 F3 선수권에서는 미카 살로와 치열하게 경쟁하며 "미카-미카 대결"로 불리며 화제를 모았다. 하키넨은 총 9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영국 F3 챔피언이 되었다.[185] 재키 스튜어트는 영국 선수들이 부진한 이 선수권에 대해 "하키넨과 살로를 영국에서 쫓아내 버려"라고 불평하기도 했다.[185] 하키넨은 이 챔피언십 우승을 통해 "F1도 손이 닿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186]
연도 | 팀 | 엔진 | 클래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종합 | 점수 |
---|---|---|---|---|---|---|---|---|---|---|---|---|---|---|---|---|---|---|---|---|---|---|
1990 | 웨스트 서리 레이싱(West Surrey Racing) | 무겐(Mugen) | A | 'DON' 1 | SIL 3 | 'THR' 1 | 'BRH' 1 | SIL 2 | 'BRH' 2 | THR 2 | SIL Ret | DON 6 | SIL 2 | SNE 1 | 'OUL' 1 | 'SIL' 1 | 'BRH' 1 | 'DON' 1 | THR 2 | SIL 1 | 1위 | 121 |
}} |
1990년 마카오 그랑프리에 출전한 하키넨은 예선에서 아일톤 세나가 7년간 보유했던 코스 레코드를 깨고 폴 포지션을 차지했다. 예선 2위는 미하엘 슈마허였다.[187] 결승 제1 레그에서는 하키넨이 압도적인 기록으로 우승했지만, 제2 레그에서 슈마허와 충돌하여 리타이어했다. 슈마허는 하키넨에게 사과했지만, 이후 인터뷰에서 "미카를 보고 있었고, 그래서 블록했다. 그 상황에서는 내가 이기기 위해 당연한 일을 했다"고 말했다.[188]
10월 30일에는 F3000 머신인 롤라 T90/50 무겐 혼다를 부카티 서킷에서 테스트 주행했다.[189] 그러나 하키넨은 F3000 머신에 대해 "끔찍한 머신이었다. 좁고 스티어링도 제대로 돌릴 수 없었다. 바보 같고 위험하다고 생각했다"[190]고 혹평하며, F1으로 직행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191]
2. 1. 어린 시절
미카 하키넨은 1968년 9월 28일 핀란드 반타에서 단파 라디오 통신사이자 파트타임 택시 운전사인 아버지 하리 하키넨과 비서로 일했던 어머니 아일라 하키넨 사이에서 태어났다.[2] 누나 니나가 한 명 있다.[2] 어린 시절 미카 살로와 같은 거리에서 살았으며, 아이스하키와 축구를 했다.[3][4]다섯 살 때, 부모는 하키넨을 위해 고 카트를 빌려 집 근처 트랙으로 데려갔다. 하키넨은 헨리 토이보넨이 이전에 경주에 사용했던 카트로 1975년 케이몰라 모터 스타디움에서 첫 카트 경주에서 우승했다.[5] 1978년과 1979년 지역 카트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두 해 모두 케이몰라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1980년 스웨덴 라플란드 컵에서 우승하고 라플란드 카트 챔피언십 85cc 클래스에서 4위를 차지했으며, 친구 미카 소홀버그와 함께 핀란드의 얼어붙은 호수에서 폭스바겐 비틀을 몰기도 했다.[6]
1981년 핀란드 카트 챔피언십 85cc 클래스에서 우승했다.[7] 1982년 포뮬러 미니 시리즈 85cc 클래스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로니 페터슨 기념 행사와 라흐티에서 열린 살파셀카 컵에서 우승했다. 1983년 포뮬러 노르딕 100cc 클래스로 옮겨 첫 시도에서 챔피언이 되었고, 타루 린네, 야아나 뉘만, 마르코 만코넨과 함께 핀란드를 대표하여 A 주니어 팀 레이스에 참가하여 팀과 함께 챔피언십을 차지했다.[7]
1984년 100cc 포뮬러 노르딕 타이틀에서 우승했고, 리돌스하임에서 열린 세계 카트 챔피언십 레이스에 참가했다.[7] 1985년 유카 사볼라이넨을 제치고 두 번째 100cc 포뮬러 노르딕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같은 해 노르딕 챔피언십 A 클래스에 참가하여 톰 크리스텐센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 파르마로 건너가 세계 카트 챔피언십에 참가했지만, 기계적 문제로 인해 이벤트 결승전 전에 기권했다. 1986년 세 번째 연속 포뮬러 노르딕 100cc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유럽 전역에서 열리는 카트 이벤트에도 참가했다.[7] 하키넨은 경력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친구와 함께 자전거 수리 일을 했다.[8]
1987년 하키넨은 JJ 레토로부터 1986년형 레이나드 포뮬러 포드 1600을 구입했다. 그 해 그는 핀란드, 스웨덴, 노르딕 포뮬러 포드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각 타이틀을 첫 시도에서 우승했으며, 총 9번의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EDFA 1600 챔피언십의 두 경기에 참가했고, 브랜드 해치에서 열린 포뮬러 포드 페스티벌에서 7위를 차지했다.[9] 1988년 드래곤 팀과 함께 GM 복스홀-로터스 챌린지에 참가하여 세 번의 승리를 거두고 앨런 맥니시에 이어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오펠-로터스 EDFA 유로시리즈에 참가하여 4번의 승리를 거두고 126점으로 챔피언이 되었으며, 헨릭 라르센을 앞질렀다.[9]
1989년 하키넨은 유로시리즈에서 영국 포뮬러 3 챔피언십으로 옮겨 드래곤 팀을 위해 레이나드 893 섀시를 운전했다. 챔피언십에서 18점을 획득하며 7위를 차지했다. 웨스트 서리 레이싱을 위해 게스트 드라이버로 셀넷 포뮬러 3 슈퍼프리에 참가하도록 초청받아 폴 포지션과 우승을 차지했다.[10] 9월 24일 르망-부카티에서 열린 프랑스 포뮬러 3 챔피언십 10라운드에 참가하여 에릭 헬라리와 로랑 도메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1990년 하키넨은 말보로 월드 챔피언십 팀의 멤버가 되기 위해 지원했다. 맥라렌 포뮬러 원 팀 보스인 론 데니스 (그의 팀은 말보로의 후원을 받았다),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 제임스 헌트, 포뮬러 3000 팀 보스인 마이크 얼과 위그 드 쇼낙을 포함한 심사 위원단에 의해 테스트를 위해 선정되었다.[11] 하키넨은 테스트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였고 말보로의 후원을 확보하게 되었다. 그해 하키넨은 드래곤을 떠나 웨스트 서리 레이싱 팀으로 옮겨 영국 포뮬러 3 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챔피언십까지 9번의 승리를 거두며 121점을 기록하여 동료 핀란드인 살로를 앞질렀다. 11월 마카오 그랑프리에 참가하여 폴 포지션을 차지하고 이벤트의 첫 번째 히트에서 우승했다. 마지막 랩에서 독일 포뮬러 3 드라이버이자 미래의 포뮬러 원 경쟁자 미하엘 슈마허와 충돌하여 두 번째 히트에서 기권했으며, 슈마허는 종합 우승자로 분류되었다.[9]

하키넨의 부친은 단파무선통신사와 파트타임 택시 운전사를 겸했고, 모친은 비서로 일했다. 하키넨의 부모는 그의 레이싱 경력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직업을 가졌다.[5][6][7][8]
2. 2. 카트
미카 하키넨은 5세 때 부모님이 빌려준 고 카트를 타면서 레이싱에 입문했다.[5] 1975년 케이몰라 모터 스타디움에서 첫 카트 경주에서 우승했으며,[5] 1978년과 1979년 지역 카트 챔피언십과 케이몰라 클럽 챔피언십에서 모두 우승했다. 1980년에는 스웨덴 라플란드 컵에서 우승하고 라플란드 카트 챔피언십 85cc 클래스에서 4위를 차지했다.[6]1981년 핀란드 카트 챔피언십 85cc 클래스에서 우승하며 첫 주요 카트 타이틀을 획득했다.[7] 1982년에는 포뮬러 미니 시리즈 85cc 클래스에서 준우승을 차지하고, 로니 페터슨 기념 행사와 라흐티에서 열린 살파셀카 컵에서 우승했다.[7] 1983년에는 포뮬러 노르딕 100cc 클래스로 옮겨 첫 시도에서 챔피언이 되었고, A 주니어 팀 레이스에서 핀란드 팀과 함께 챔피언십을 차지했다.[7]
1984년에는 100cc 포뮬러 노르딕 타이틀에서 우승했고, 세계 카트 챔피언십 레이스에 참가했다.[7] 1985년에는 두 번째 100cc 포뮬러 노르딕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노르딕 챔피언십 A 클래스에서 톰 크리스텐센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7] 같은 해 파르마에서 열린 세계 카트 챔피언십에 참가했지만, 기계적 문제로 결승전 전에 기권했다.[7] 1986년에는 세 번째 연속 포뮬러 노르딕 100cc 타이틀을 획득하고 유럽 전역의 카트 이벤트에 참가했다.[7]
1981년에 F-미니 클래스 국내 챔피언을 획득했고, 1982년에는 로니 페테르손 메모리얼 선수권 챔피언이 되었다. 1983년부터 1986년까지 4년 연속 FN 클래스 국내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166] 1984년 프랑스 라발에서 개최된 카트 세계 선수권에서 미하엘 슈마허와 처음으로 대결했다. 당시 슈마허는 유럽 각국에서 활동하며 카트계에서 더 유명했다. 슈마허는 이 레이스에서 우승했지만, 하키넨은 출발이 좋지 않았고 연료 계통에 문제가 있었으며, 3위로 달리던 중 로베르토 콜치아고와 충돌하여 스핀했다.[179]
1986년 말, 케케 로즈버그가 하키넨의 매니지먼트를 맡게 되었다.[179] 로즈버그는 하키넨의 재능을 확인하고 F1에서 은퇴할 때까지 오랫동안 지원했다.[180]
2. 3. 주니어 포뮬러
1987년에 핀란드, 스웨덴, 스칸디나비아의 포뮬러 포드 1600의 3개 시리즈에서 모두 챔피언을 획득하였고, 같은 해 오프에 도닝턴 파크에서 열린 말보로 드라이버 오디션에서 합격하여 말보로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181] 1988년부터 영국으로 활동 거점을 옮겨, 드래곤 모터스포츠에 소속되어 GM 로터스 시리즈와 오펠 로터스 유로 시리즈에서 각각 챔피언을 획득했다.2. 4. F3
wikitext1989년 영국 포뮬러 3 챔피언십에 드래곤 모터스포츠에서 진출했지만, 팀(레이나드·토요타)의 전투력 부족으로 챔피언십 7위에 그쳤다.[169]
연도 | 팀 | 엔진 | 클래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순위 | 포인트 |
---|---|---|---|---|---|---|---|---|---|---|---|---|---|---|---|---|---|---|---|---|---|---|
1989년 | 드래곤 모터스포츠 | 토요타 | A | THR 15 | DON C | SIL DSQ | 'BRH' 3 | SIL Ret | BRH 2 | THR 12 | SIL 18 | DON 8 | SIL 5 | SNE 5 | OUL 6 | SIL 10 | BRH 6 | DON Ret | SIL 11 | THR 12 | 7위 | 18 |
- '''굵은 글씨'''는 폴 포지션, ''기울임꼴''은 패스티스트 랩을 의미한다.
1990년 영국 F3 선수권에서는 미카 살로와 치열하게 경쟁하며 "미카-미카 대결"로 불리며 화제를 모았다. 하키넨은 총 9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영국 F3 챔피언이 되었다.[185]
연도 | 팀 | 엔진 | 클래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종합 | 점수 |
---|---|---|---|---|---|---|---|---|---|---|---|---|---|---|---|---|---|---|---|---|---|---|
1990 | 웨스트 서리 레이싱(West Surrey Racing) | 무겐(Mugen) | A | 'DON' 1 | SIL 3 | 'THR' 1 | 'BRH' 1 | SIL 2 | 'BRH' 2 | THR 2 | SIL Ret | DON 6 | SIL 2 | SNE 1 | 'OUL' 1 | 'SIL' 1 | 'BRH' 1 | 'DON' 1 | THR 2 | SIL 1 | 1위 | 121 |
[169] |
1990년 마카오 그랑프리에 출전한 하키넨은 예선에서 아일톤 세나가 7년간 보유했던 코스 레코드를 깨고 폴 포지션을 차지했다. 예선 2위는 미하엘 슈마허였다.[187] 결승 제1 레그에서는 하키넨이 압도적인 기록으로 우승했지만, 제2 레그에서 슈마허와 충돌하여 리타이어했다.
2. 4. 1. 1989년
1989년 영국 포뮬러 3 챔피언십에 드래곤 모터스포츠에서 진출했지만, 팀(레이나드·토요타)의 전투력 부족으로 챔피언십 7위에 그쳤다.[169] 그러나 웨스트 서리 레이싱(WSR)으로 이적하여 F3 첫 우승을 장식했다.[169]연도 | 팀 | 엔진 | 클래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순위 | 포인트 |
---|---|---|---|---|---|---|---|---|---|---|---|---|---|---|---|---|---|---|---|---|---|---|
1989년 | 드래곤 모터스포츠 | 토요타 | A | THR 15 | DON C | {{color DSQ | 'BRH' 3 | SIL Ret | BRH 2 | THR 12 | SIL 18 | DON 8 | SIL 5 | SNE 5 | OUL 6 | SIL 10 | BRH 6 | DON Ret | SIL 11 | THR 12 | 7위 | 18 |
- '''굵은 글씨'''는 폴 포지션, ''기울임꼴''은 패스티스트 랩을 의미한다.
2. 4. 2. 1990년
1990년, 미카 하키넨은 실버스톤 서킷에서 베네통의 초대로 베네통 B188[183]을 운전하며 처음으로 F1 머신을 경험했다. 하키넨은 레귤러 드라이버인 알레산드로 나니니보다 빠른 기록을 세워 주목받았다.[184]1990년 영국 F3 선수권에서는 미카 살로와 치열하게 경쟁하며 "미카-미카 대결"로 불리며 화제를 모았다. 하키넨은 총 9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영국 F3 챔피언이 되었다.[185] 재키 스튜어트는 영국 선수들이 부진한 이 선수권에 대해 "하키넨과 살로를 영국에서 쫓아내 버려"라고 불평하기도 했다.[185] 하키넨은 이 챔피언십 우승을 통해 "F1도 손이 닿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186]
연도 | 팀 | 엔진 | 클래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종합 | 점수 |
---|---|---|---|---|---|---|---|---|---|---|---|---|---|---|---|---|---|---|---|---|---|---|
1990 | 웨스트 서리 레이싱(West Surrey Racing) | 무겐(Mugen) | A | 'DON' 1 | SIL 3 | 'THR' 1 | 'BRH' 1 | SIL 2 | 'BRH' 2 | THR 2 | SIL Ret | DON 6 | SIL 2 | SNE 1 | 'OUL' 1 | 'SIL' 1 | 'BRH' 1 | 'DON' 1 | THR 2 | SIL 1 | 1위 | 121 |
}} |
1991년 로터스-저드 팀에서 F1 데뷔를 했다. 데뷔전 미국 GP에서 예선 13위를 기록했다.[195] 결승 레이스에서는 시가지 코스의 노면 요철로 인해 튀어오른 오른쪽 허벅지가 스티어링 해제 레버에 부딪혀 시속 230km 이상으로 스티어링 휠이 빠지는 특이한 사고를 겪었지만, 피트에서 수리 후 그대로 경주를 계속했다. 60바퀴째에 오일 유니온 파손으로 리타이어했지만, 결승 후 알랭 프로스트로부터 "코너 라인 잡는 솜씨가 꽤 좋군"이라는 칭찬을 들은 것이 매우 기뻤다고 자신의 칼럼에서 언급했다.[195]
1990년 마카오 그랑프리에 출전한 하키넨은 예선에서 아일톤 세나가 7년간 보유했던 코스 레코드를 깨고 폴 포지션을 차지했다. 예선 2위는 미하엘 슈마허였다.[187] 결승 제1 레그에서는 하키넨이 압도적인 기록으로 우승했지만, 제2 레그에서 슈마허와 충돌하여 리타이어했다. 슈마허는 하키넨에게 사과했지만, 이후 인터뷰에서 "미카를 보고 있었고, 그래서 블록했다. 그 상황에서는 내가 이기기 위해 당연한 일을 했다"고 말했다.[188]
10월 30일에는 F3000 머신인 롤라 T90/50 무겐 혼다를 부카티 서킷에서 테스트 주행했다.[189] 그러나 하키넨은 F3000 머신에 대해 "끔찍한 머신이었다. 좁고 스티어링도 제대로 돌릴 수 없었다. 바보 같고 위험하다고 생각했다"[190]고 혹평하며, F1으로 직행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191]
3. F1 경력
이 시즌 로터스는 전년도까지의 타이틀 스폰서인 캐멀을 잃고, 그를 대체할 메인 스폰서를 찾지 못해 자금난으로 운영되었다. 기본 설계가 2년 전부터 변하지 않은 구형 머신 "102B"를 하키넨이 몰았지만, 폭우로 인해 서바이벌 레이스가 된 제3전 산마리노 GP에서는 예선 25위에서 5위로 입상하며 F1 첫 포인트를 획득했다.[196]
그러나 운영 자금이 부족하여 테스트 주행을 제대로 할 수 없었던 로터스에서는 시즌 중 전투력 향상도 없었고, 제5전 캐나다 GP부터 새로운 팀 동료 조니 허버트 (같은 해 르망 24시 우승자)와 함께 예선 탈락을 경험하는 등 중위권 이하에서의 레이스가 최종전까지 이어졌다. 산마리노 GP에서 획득한 2포인트로 드라이버 랭킹 15위가 되었고, 티렐-혼다의 나카지마 사토루와 브라밤-야마하의 마틴 브런들과 동점이었다.
후년 인터뷰에서 "현실적으로 이 해의 로터스 머신으로는 우승은 절대 불가능했지만, 개막전부터 줄곧, 왜 나는 폴 포지션이 아닐까? 왜 우승할 수 없는 걸까 하고 진지하게 고민했다. 너무 어렸던 나는 우주에 내던져져 길을 잃은 기분이었다. F1이 무서운 세계라고 생각했다"라고 회고했다.[197]
1992년에는 장착된 엔진이 자드에서 포드 HB V8로 바뀌면서 전년에 비해 머신의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198] 허버트와의 콤비도 사적으로나 공적으로 좋은 관계였고[199], 서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시즌 초반에는 이미 3년이나 된 구형 102D를 몰고 제2전 멕시코 GP에서 6위에 입상했다. 제5전 산마리노 GP부터 개막전에서 먼저 포인트를 획득한 하버트에게만 새로운 머신 로터스 107이 주어졌고, 하키넨은 제6전 모나코 GP부터 같은 머신을 받았다. 크리스 머피가 디자인한 107은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을 탑재했다. 실제로는 액티브 서스펜션의 스위치를 끄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지만, 핸들링은 양호했다.
특히 제12전 벨기에 GP에서는, 엔진 출력이 톱 팀보다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스타트 직후의 오 루즈에서 라디옹, 케멜 스트레이트의 고속 구간에서 페라리(Scuderia Ferrari)의 장 알레시, 베네통(Benetton)의 미하엘 슈마허 등 워크스 엔진 세력과 나란히 달렸으며, 각 머신의 바닥에서 불꽃이 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배틀을 벌였다. 게다가 레이스 후반에는 맥라렌(McLaren)의 아일톤 세나와 5위 다툼을 벌이던 중, 케멜 스트레이트에서 세나를 막아냈고, 결국 머신의 전투력 차이로 인해, 파이널 랩에서 다시 머신 바닥에서 불꽃을 튀기며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저항했지만 세나에게 추월당해 6위로 마쳤지만, 하키넨의 평가는 높아졌다.[200] 1992년의 총 16전 중 6번의 입상 (최고 순위는 4위 2회)을 기록하여 11 포인트를 획득, 드라이버 랭킹 8위로 시즌을 마쳤다. 컨스트럭터 랭킹에서도 로터스를 5위로 끌어올렸다. 그러나 여전히 로터스의 경영 상태는 불안정했고, 머신 개발이나 테스트 주행도 만족스럽게 진행할 수 없는 상태가 이어져, 하키넨은 로터스의 미래에 불안감을 느꼈다.
그러던 중, 프랭크 윌리엄스는 하키넨을 높이 평가했던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1993년의 시트에 대해서는 여름에 로즈버그가 로터스와의 협상을 완료했고, 9월의 제13전 이탈리아 GP에서 이듬해 로터스 잔류가 발표되었지만, 윌리엄스는 여러 차례 로터스의 감독인 피터 콜린스에게 계약 양도를 제안했다고 한다.[201] 그 해 챔피언 팀인 윌리엄스(Williams)는, 먼저 계약이 발표된 알랭 프로스트의 No.2로 아직 시상대 경험이 없는 하키넨을 영입하기 위해 협상했고, 마지막 수단으로 콜린스가 "계약 양도금" 13억 엔을 요구하며, 이를 지불하면 윌리엄스가 획득해도 좋다고 제안했다[202] 하키넨의 매니저인 로즈버그가 양측의 합의를 위한 협상을 진행하여 윌리엄스 이적이 내정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프랭크 윌리엄스는 1993년 시즌의 엔트리 마감일을 잊어버려, 기한을 넘겨버렸기 때문에 윌리엄스가 참전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팀의 재승인이 필요하게 되었다[203] 여기서 하키넨을 되찾으려고 했던 피터 콜린스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윌리엄스는 이 재승인과 교환하여 하키넨을 포기하게 된다. 이렇게 로터스 잔류인 것처럼 보였지만, 이 소동의 틈을 타 맥라렌의 론 데니스가 하키넨 측과 협상했다. 결국 맥라렌과 계약했다.[204]
1993년 하키넨은 맥라렌에 합류했지만, CART 드라이버 마이클 안드레티가 팀에 고용되면서 팀의 공식 테스트 드라이버로 시즌을 시작했다.[18]
정기적인 테스트 임무 외에도 모나코 그랑프리의 지원 레이스로 열린 두 번의 포르쉐 슈퍼컵 레이스에 포르쉐 964 카레라 2로 출전하여, 두 레이스 모두 폴 포지션에서 출발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후 안드레티가 성적 부진과 유럽의 레이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미국으로 귀국하면서 포뮬러 원을 떠나게 되었고, 하키넨은 포르투갈 그랑프리부터 실전에 복귀하여 정규 드라이버 아일톤 세나를 예선에서 앞서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하지만 레이스 중에는 콘크리트 벽과의 충돌로 인해 리타이어했다.[19]
다음 레이스인 일본 그랑프리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그의 경력 첫 번째 포디움을 달성했다.[20]
호주에서는 맥라렌 차량의 브레이크 파이프 고장으로 시즌을 마감했다.[21]
12월에 맥라렌은 하키넨이 1994 시즌부터 3년 계약으로 팀에 남을 것이라고 확인했다.[22]
1993년 동안, 하키넨은 세나와 함께 람보르기니 V12 엔진을 맥라렌 MP4/8 레이스카의 개조 버전인 "MP4/8B"에서 에스토릴과 실버스톤에서 테스트했다. 하키넨은 V12 엔진을 장착한 MP4/8B로 실버스톤을 팀의 포드 V8 엔진이 장착된 레이스카보다 약 1.4초 더 빠르게 랩을 돌았다고 한다.[23]
6월에는 맥라렌제 액티브 서스펜션을 풋워크 무겐이 구입했고, 그 차에 장착된 맥라렌 제품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해 하키넨이 테스트 드라이버 업무로 2일간 풋워크 FA14에 탑승하여 효과 점검 작업을 하기도 했다.[205]
1994년 포뮬러 원 시즌에 맥라렌에 잔류한 하키넨은 마틴 브런들과 팀을 이루었다. 시즌 초반, 1994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엔진 문제, 1994년 태평양 그랑프리에서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했다.[24][25] 1994년 산마리노 그랑프리에서 시즌 첫 포디엄 피니시를 달성했지만, 이후 네 번 연속 리타이어하며 부진했다.[172]
1994년 영국 그랑프리에서 다시 포디엄에 올랐으나, 후벵스 바히첼루와의 충돌로 3경기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다(3경기 유예).[9] 1994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데이비드 컬타드와의 충돌로 인해 1경기 출전 정지 징계가 시행되었고, 1994년 헝가리 그랑프리에서는 필리프 알리오로 교체되었다.[26]
1994년 벨기에 그랑프리에 복귀하여 3위로 들어왔으나, 미하엘 슈마허의 실격으로 2위로 승격되었다.[27] 이후 세 번 연속 3위를 기록했고, 1994년 일본 그랑프리와 1994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를 완주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하키넨은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4위를 차지하며 26점을 획득했다.[172]
1994년은 아일톤 세나가 윌리엄스로 이적하면서 하키넨이 맥라렌의 에이스로 기대를 모았으나, 푸조 엔진의 성능과 신뢰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시즌이었다. 맥라렌 MP4/9는 드라이버빌리티가 나빴고, 하키넨은 윌리엄스, 베네통, 페라리를 상대로 고전했다. 특히 1994년 스페인 그랑프리에서는 선두 주행 중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했고, 1994년 독일 그랑프리에서는 다중 충돌을 유발하여 1경기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다. 1994년 벨기에 그랑프리 이후 4경기 연속 입상하며 엔진 신뢰성이 향상되었지만, 최종 드라이버 랭킹은 4위였다.
맥라렌은 1992년 혼다, 1993년 포드 코스워스에 이어 푸조 엔진을 사용했으나, 이 시즌을 끝으로 계약을 종료하고 이듬해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으로 변경했다.연도 팀 섀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순위 포인트 1994년 맥라렌 MP4/9 BRA PAC SMR MON ESP CAN FRA GBR GER HUN BEL ITA POR EUR JPN AUS 4위 26
1995년은 메르세데스 엔진과 함께 머신을 시험하고 개선하는 시즌이었다.
팀 동료로는 베테랑 마크 블런델과 전 월드 챔피언 나이젤 만셀을 맞이했지만, 예선에서 하키넨은 둘보다 빠른 속도를 보였다. 그러나 엔진과의 궁합에 어려움을 겪던 MP4/10은 MP4/10B, MP4/10C로 개량될 정도로 개선에 쫓기는 머신이었다. 그 때문에 기계적 문제로 인해 고전했고, 마침내 제12전 이탈리아 GP에서 2위를 차지했지만, 이는 같은 시즌 3번째 완주 및 입상이었다. 제15전 퍼시픽 GP에서는 충수염으로 인해 결장했다. 복귀한 제16전 일본 GP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최종전 오스트레일리아 GP 예선에서 타이어 펑크로 인해 콘크리트 벽에 충돌했다. 충격으로 혀를 깨물어 선수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중상을 입었고, 하키넨은 한 달 반 동안 입원했다. 힘든 시즌을 최악의 형태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전년도 모나코 GP 예선에서 머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은 카를 벤들링거에 이은 이 사고로, 당시 자우버가 자율적으로 채택하는 데 그쳤던 콕핏 측면 보호 장치를 의무화하는 규정이 다음 시즌부터 도입되었다.
1996 시즌은 하키넨이 팀 내에서 더 경험이 많은 드라이버가 되었고, 데이비드 쿨사드가 파트너가 된 첫 번째 시즌이었다. 하키넨은 시즌에 자신감을 보였고, 레이스 우승을 목표로 삼았다.[41] 컨디션 유지를 위해 하키넨은 발리에서 훈련했고, 2월에 맥라렌은 폴 리카르 서킷에서 비밀 테스트를 실시했다. 하키넨이 준비되지 않을 경우, 맥라렌은 필요에 따라 마그누센을 그를 대신할 선수로 준비해 두었다.[42] 시즌은 하키넨에게 순조롭게 시작되었다. 그는 개막 두 라운드에서 연속 득점권에 들었지만, 1996년 아르헨티나 그랑프리에서 스로틀 문제로 시즌 첫 리타이어를 겪었다.[43] 이후 그는 다음 두 레이스를 완주했지만, 득점권 밖이었고, 이어진 네 레이스에서 연속 득점을 기록했다.[172]
이어진 1996년 영국 그랑프리에서 맥라렌은 개량된 버전의 차량인 맥라렌 MP4/11B를 투입했고, 하키넨은 3위로 시즌 첫 포디움을 달성했다.[44] 그러나 그는 1996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기어 박스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45] 이는 하키넨의 시즌 전환점이 되었고, 그는 1996년 벨기에 그랑프리와 1996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연속 3위를 포함하여 다음 세 레이스를 완주했다.[172] 9월에는 하키넨이 1997년에도 맥라렌에 남을 것이라고 발표되었으며,[46] 그전에는 윌리엄스와 베네통과 연결되어 있었다.[47] 그는 1996년 포르투갈 그랑프리에서 팀 동료 쿨사드와의 충돌로 리타이어했는데, 이로 인해 하키넨의 앞날개가 손상되었고, 결국 레이스 52랩에서 리타이어로 이어졌다.[48] 그는 1996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3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하키넨은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31점을 획득하여 시즌 5위를 기록했다.[172]
1996년은 선수 생명을 위협했던 주변의 우려에 대해 자신의 실력을 증명하며 복귀에 대한 기우를 훌륭하게 불식시켰다.
1월의 테스트는 윌리엄스에서 이적해 온 데이비드 쿨사드와, 전년 말부터 어드바이저 겸 테스트 드라이버가 된 알랭 프로스트가 진행했다. 하키넨은 2월에 복귀하여 3개월 반 만에 드라이브했고, 바로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를 능가하는 기록을 냈다.[206] 전반전에는 MP4/11의 핸들링에 고전했지만, 제6전 모나코 GP에서 사용한 트위스티한 서킷 전용의 짧은 휠베이스 사양인 MP4/11B의 핸들링이 좋았던 점 때문에 제10전 영국 GP 이후 MP4/11B로 달리기 시작했다. 메르세데스 엔진의 신뢰성도 향상되어 성적도 그전보다 안정되어 시즌 종료 시점에는 완주 13회, 포디움 4회, 예선에서도 쿨사드에 대해 12승 4패로 앞섰다.
이 시즌을 마지막으로 맥라렌은 23년간 메인 스폰서였던 말보로와의 관계가 종료되었다. 이 결별로 인해, 같은 시즌에 계약이 종료되는 하키넨이 말보로의 지원으로 페라리로, 대신 윌리엄스를 떠나기로 결정되었던 데이먼 힐이 맥라렌에 합류한다는 이적설도 나왔지만, 결국 제15전 포르투갈 GP에서 맥라렌은 하키넨의 잔류를 발표했다.[207]연도 팀 섀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순위 포인트 1996년 맥라렌 MP4/11 AUS BRA ARG EUR SMR ESP CAN FRA 5위 31 MP4/11B MON GBR GER HUN BEL ITA POR JPN
1997년은 팀이 임페리얼 담배 그룹의 림츠마 사와 계약하여, 독일을 대상으로 한 담배 브랜드인 웨스트(West)를 타이틀 스폰서로 하여 새로운 출발을 하였지만, 하키넨은 MP4-12의 신뢰성에 시달렸다.
선두 주행 중이던 제9전 영국 GP에서는 7바퀴를 남기고 엔진 고장. 제13전 이탈리아 GP에서는 출전 92전 만에 첫 패스티스트 랩 (FL)을 획득하고, 이어진 제14전 오스트리아 GP에서는 프론트 로우에서 출발하여 선두를 차지했지만, 불과 1바퀴 만에 엔진 트러블. 다음 제15전 룩셈부르크 GP에서도 첫 폴 포지션 (PP)을 획득하여, 스타트부터 선두를 달렸지만, 다시 엔진 트러블로 리타이어. 하키넨은 거듭된 우승의 기회를 놓쳤다. 그러나, 최종전 유럽 GP에서 마지막 랩에서 그 해의 챔피언이 된 자크 빌뇌브를 제치고 염원하던 첫 우승을 달성하며, 시즌 마지막 레이스를 유종의 미로 장식했다. F1 출전 99전(출전 95전[208]) 만에 첫 우승은 티에리 부테센의 출전 96전 (출전 95전)을 넘어선, 당시로서는 가장 늦은 첫 우승 기록이었다.
포인트 랭킹에서는 팀 동료 데이비드 쿨사드에게 미치지 못했지만, 예선에서는 17전 중 11전에서 쿨사드를 앞섰다. 이마미야 쥰은 "순수한 드라이빙 퍼포먼스에서는 하키넨 쪽이 쿨사드보다 위"라고 평가했고, 가와이 가즈히토는 자신이 선정한 "'97 BEST 10 DRIVERS"에서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를 1위, 하키넨을 "몇 번이나 승리를 놓치면서도 '또 다음이 있어'라며 마음을 전환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의 속도를 의심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시즌 중반 이후 예선 순위의 평균은 3.5번까지라는 발군의 속도가 있었고, 본래라면 3~4승을 거두어도 이상하지 않았다"라는 이유로 2위, 월드 챔피언이 된 윌리엄스의 자크 빌뇌브를 3위로 했다.[209]
제14전 오스트리아 GP에서는 프론트 로우에서 출발하여 선두를 차지했지만, 엔진 트러블로 리타이어했다. 다음 주, 제15전 룩셈부르크 GP가 개최되었고, 하키넨은 금요일 자유 주행 연습(FP)부터 1위 또는 2위로 순조롭게 세팅[229]을 진행했고, 예선에서는 폴 포지션(PP)을 획득했다. 이것은 하키넨 자신에게는 F1 참전 94전 만의 첫 PP였으며, 맥라렌에게는 1993년 이래, 그리고 메르세데스-벤츠에게는 1955년 이래의 PP였다.
하키넨은, 제9전 영국 GP에서 선두 주행 중 남은 7바퀴에서 엔진 부로로 리타이어, 전주의 오스트리아 GP에서도 기재된 결과와, 엔진 신뢰성의 결여로 승리를 놓치는 불운이 잇따라 닥쳤다. 다음 날 결승 레이스 날은 자신의 29번째 생일이기도 하여, 이번에야말로 우승을 다짐하며 결승 레이스에 임했다. 스타트에서 강렬한 대시를 보인 하키넨은, 2위로 올라온 팀 동료 데이비드 쿨사드에게도 25바퀴 종료 시점에서 12초의 큰 차이를 벌리며 독주하고 있었다. 그 후, 1차 피트 스톱도 문제없이 마치고 순조롭게 계속 달렸지만, 42바퀴째에 쿨사드의 머신이 갑자기 엔진 부
3. 1. 로터스 시대
1991년 로터스-저드 팀에서 F1 데뷔를 했다. 데뷔전 미국 GP에서 예선 13위를 기록했다.[195] 결승 레이스에서는 시가지 코스의 노면 요철로 인해 튀어오른 오른쪽 허벅지가 스티어링 해제 레버에 부딪혀 시속 230km 이상으로 스티어링 휠이 빠지는 특이한 사고를 겪었지만, 피트에서 수리 후 그대로 경주를 계속했다. 60바퀴째에 오일 유니온 파손으로 리타이어했지만, 결승 후 알랭 프로스트로부터 "코너 라인 잡는 솜씨가 꽤 좋군"이라는 칭찬을 들은 것이 매우 기뻤다고 자신의 칼럼에서 언급했다.[195]
이 시즌 로터스는 전년도까지의 타이틀 스폰서인 캐멀을 잃고, 그를 대체할 메인 스폰서를 찾지 못해 자금난으로 운영되었다. 기본 설계가 2년 전부터 변하지 않은 구형 머신 "102B"를 하키넨이 몰았지만, 폭우로 인해 서바이벌 레이스가 된 제3전 산마리노 GP에서는 예선 25위에서 5위로 입상하며 F1 첫 포인트를 획득했다.[196]
그러나 운영 자금이 부족하여 테스트 주행을 제대로 할 수 없었던 로터스에서는 시즌 중 전투력 향상도 없었고, 제5전 캐나다 GP부터 새로운 팀 동료 조니 허버트 (같은 해 르망 24시 우승자)와 함께 예선 탈락을 경험하는 등 중위권 이하에서의 레이스가 최종전까지 이어졌다. 산마리노 GP에서 획득한 2포인트로 드라이버 랭킹 15위가 되었고, 티렐-혼다의 나카지마 사토루와 브라밤-야마하의 마틴 브런들과 동점이었다.
후년 인터뷰에서 "현실적으로 이 해의 로터스 머신으로는 우승은 절대 불가능했지만, 개막전부터 줄곧, 왜 나는 폴 포지션이 아닐까? 왜 우승할 수 없는 걸까 하고 진지하게 고민했다. 너무 어렸던 나는 우주에 내던져져 길을 잃은 기분이었다. F1이 무서운 세계라고 생각했다"라고 회고했다.[197]
1992년에는 장착된 엔진이 자드에서 포드 HB V8로 바뀌면서 전년에 비해 머신의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198] 허버트와의 콤비도 사적으로나 공적으로 좋은 관계였고[199], 서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시즌 초반에는 이미 3년이나 된 구형 102D를 몰고 제2전 멕시코 GP에서 6위에 입상했다. 제5전 산마리노 GP부터 개막전에서 먼저 포인트를 획득한 하버트에게만 새로운 머신 로터스 107이 주어졌고, 하키넨은 제6전 모나코 GP부터 같은 머신을 받았다. 크리스 머피가 디자인한 107은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을 탑재했다. 실제로는 액티브 서스펜션의 스위치를 끄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지만, 핸들링은 양호했다.
특히 제12전 벨기에 GP에서는, 엔진 출력이 톱 팀보다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스타트 직후의 오 루즈에서 라디옹, 케멜 스트레이트의 고속 구간에서 페라리(Scuderia Ferrari)의 장 알레시, 베네통(Benetton)의 미하엘 슈마허 등 워크스 엔진 세력과 나란히 달렸으며, 각 머신의 바닥에서 불꽃이 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배틀을 벌였다. 게다가 레이스 후반에는 맥라렌(McLaren)의 아일톤 세나와 5위 다툼을 벌이던 중, 케멜 스트레이트에서 세나를 막아냈고, 결국 머신의 전투력 차이로 인해, 파이널 랩에서 다시 머신 바닥에서 불꽃을 튀기며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저항했지만 세나에게 추월당해 6위로 마쳤지만, 하키넨의 평가는 높아졌다.[200] 1992년의 총 16전 중 6번의 입상 (최고 순위는 4위 2회)을 기록하여 11 포인트를 획득, 드라이버 랭킹 8위로 시즌을 마쳤다. 컨스트럭터 랭킹에서도 로터스를 5위로 끌어올렸다. 그러나 여전히 로터스의 경영 상태는 불안정했고, 머신 개발이나 테스트 주행도 만족스럽게 진행할 수 없는 상태가 이어져, 하키넨은 로터스의 미래에 불안감을 느꼈다.
그러던 중, 프랭크 윌리엄스는 하키넨을 높이 평가했던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1993년의 시트에 대해서는 여름에 로즈버그가 로터스와의 협상을 완료했고, 9월의 제13전 이탈리아 GP에서 이듬해 로터스 잔류가 발표되었지만, 윌리엄스는 여러 차례 로터스의 감독인 피터 콜린스에게 계약 양도를 제안했다고 한다.[201] 그 해 챔피언 팀인 윌리엄스(Williams)는, 먼저 계약이 발표된 알랭 프로스트의 No.2로 아직 시상대 경험이 없는 하키넨을 영입하기 위해 협상했고, 마지막 수단으로 콜린스가 "계약 양도금" 13억 엔을 요구하며, 이를 지불하면 윌리엄스가 획득해도 좋다고 제안했다[202] 하키넨의 매니저인 로즈버그가 양측의 합의를 위한 협상을 진행하여 윌리엄스 이적이 내정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프랭크 윌리엄스는 1993년 시즌의 엔트리 마감일을 잊어버려, 기한을 넘겨버렸기 때문에 윌리엄스가 참전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팀의 재승인이 필요하게 되었다[203] 여기서 하키넨을 되찾으려고 했던 피터 콜린스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윌리엄스는 이 재승인과 교환하여 하키넨을 포기하게 된다. 이렇게 로터스 잔류인 것처럼 보였지만, 이 소동의 틈을 타 맥라렌의 론 데니스가 하키넨 측과 협상했다. 결국 맥라렌과 계약했다.[204]
3. 1. 1. 1991년
하키넨은 1991년 로터스-저드 팀에서 F1 데뷔를 했다. 데뷔전 미국 GP에서 예선 13위를 기록했다.[195] 결승 레이스에서는 시가지 코스의 노면 요철로 인해 튀어오른 오른쪽 허벅지가 스티어링 해제 레버에 부딪혀 시속 230km 이상으로 스티어링 휠이 빠지는 특이한 사고를 겪었지만, 피트에서 수리 후 그대로 경주를 계속했다. 60바퀴째에 오일 유니온 파손으로 리타이어했지만, 결승 후 알랭 프로스트로부터 "코너 라인 잡는 솜씨가 꽤 좋군"이라는 칭찬을 들은 것이 매우 기뻤다고 자신의 칼럼에서 언급했다.[195]
이 시즌 로터스는 전년도까지의 타이틀 스폰서인 캐멀을 잃고, 그를 대체할 메인 스폰서를 찾지 못해 자금난으로 운영되었다. 기본 설계가 2년 전부터 변하지 않은 구형 머신 "102B"를 하키넨이 몰았지만, 폭우로 인해 서바이벌 레이스가 된 제3전 산마리노 GP에서는 예선 25위에서 5위로 입상하며 F1 첫 포인트를 획득했다.[196]
그러나 운영 자금이 부족하여 테스트 주행을 제대로 할 수 없었던 로터스에서는 시즌 중 전투력 향상도 없었고, 제5전 캐나다 GP부터 새로운 팀 동료 조니 허버트 (같은 해 르망 24시 우승자)와 함께 예선 탈락을 경험하는 등 중위권 이하에서의 레이스가 최종전까지 이어졌다. 산마리노 GP에서 획득한 2포인트로 드라이버 랭킹 15위가 되었고, 티렐-혼다의 나카지마 사토루와 브라밤-야마하의 마틴 브런들과 동점이었다.
후년 인터뷰에서 "현실적으로 이 해의 로터스 머신으로는 우승은 절대 불가능했지만, 개막전부터 줄곧, 왜 나는 폴 포지션이 아닐까? 왜 우승할 수 없는 걸까 하고 진지하게 고민했다. 너무 어렸던 나는 우주에 내던져져 길을 잃은 기분이었다. F1이 무서운 세계라고 생각했다"라고 회고했다.[197]
3. 1. 2. 1992년
1992년에는 장착된 엔진이 자드에서 포드 HB V8로 바뀌면서 전년에 비해 머신의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198] 허버트와의 콤비도 사적으로나 공적으로 좋은 관계였고[199], 서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시즌 초반에는 이미 3년이나 된 구형 102D를 몰고 제2전 멕시코 GP에서 6위에 입상했다. 제5전 산마리노 GP부터 개막전에서 먼저 포인트를 획득한 하버트에게만 새로운 머신 로터스 107이 주어졌고, 하키넨은 제6전 모나코 GP부터 같은 머신을 받았다. 크리스 머피가 디자인한 107은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을 탑재했다. 실제로는 액티브 서스펜션의 스위치를 끄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지만, 핸들링은 양호했다.
특히 제12전 벨기에 GP에서는, 엔진 출력이 톱 팀보다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스타트 직후의 오 루즈에서 라디옹, 케멜 스트레이트의 고속 구간에서 페라리(Scuderia Ferrari)의 장 알레시, 베네통(Benetton)의 미하엘 슈마허 등 워크스 엔진 세력과 나란히 달렸으며, 각 머신의 바닥에서 불꽃이 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배틀을 벌였다. 게다가 레이스 후반에는 맥라렌(McLaren)의 아일톤 세나와 5위 다툼을 벌이던 중, 케멜 스트레이트에서 세나를 막아냈고, 결국 머신의 전투력 차이로 인해, 파이널 랩에서 다시 머신 바닥에서 불꽃을 튀기며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저항했지만 세나에게 추월당해 6위로 마쳤지만, 하키넨의 평가는 높아졌다.[200] 1992년의 총 16전 중 6번의 입상 (최고 순위는 4위 2회)을 기록하여 11 포인트를 획득, 드라이버 랭킹 8위로 시즌을 마쳤다. 컨스트럭터 랭킹에서도 로터스를 5위로 끌어올렸다. 그러나 여전히 로터스의 경영 상태는 불안정했고, 머신 개발이나 테스트 주행도 만족스럽게 진행할 수 없는 상태가 이어져, 하키넨은 로터스의 미래에 불안감을 느꼈다.
그러던 중, 프랭크 윌리엄스는 하키넨을 높이 평가했던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1993년의 시트에 대해서는 여름에 로즈버그가 로터스와의 협상을 완료했고, 9월의 제13전 이탈리아 GP에서 이듬해 로터스 잔류가 발표되었지만, 윌리엄스는 여러 차례 로터스의 감독인 피터 콜린스에게 계약 양도를 제안했다고 한다.[201] 그 해 챔피언 팀인 윌리엄스(Williams)는, 먼저 계약이 발표된 알랭 프로스트의 No.2로 아직 시상대 경험이 없는 하키넨을 영입하기 위해 협상했고, 마지막 수단으로 콜린스가 "계약 양도금" 13억 엔을 요구하며, 이를 지불하면 윌리엄스가 획득해도 좋다고 제안했다[202] 하키넨의 매니저인 로즈버그가 양측의 합의를 위한 협상을 진행하여 윌리엄스 이적이 내정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프랭크 윌리엄스는 1993년 시즌의 엔트리 마감일을 잊어버려, 기한을 넘겨버렸기 때문에 윌리엄스가 참전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팀의 재승인이 필요하게 되었다[203] 여기서 하키넨을 되찾으려고 했던 피터 콜린스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윌리엄스는 이 재승인과 교환하여 하키넨을 포기하게 된다. 이렇게 로터스 잔류인 것처럼 보였지만, 이 소동의 틈을 타 맥라렌의 론 데니스가 하키넨 측과 협상했다. 결국 맥라렌과 계약했다[204]
3. 2. 맥라렌 시대
1993년 하키넨은 맥라렌에 합류했지만, CART 드라이버 마이클 안드레티가 팀에 고용되면서 팀의 공식 테스트 드라이버로 시즌을 시작했다.[18]
정기적인 테스트 임무 외에도 모나코 그랑프리의 지원 레이스로 열린 두 번의 포르쉐 슈퍼컵 레이스에 포르쉐 964 카레라 2로 출전하여, 두 레이스 모두 폴 포지션에서 출발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후 안드레티가 성적 부진과 유럽의 레이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미국으로 귀국하면서 포뮬러 원을 떠나게 되었고, 하키넨은 포르투갈 그랑프리부터 실전에 복귀하여 정규 드라이버 아일톤 세나를 예선에서 앞서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하지만 레이스 중에는 콘크리트 벽과의 충돌로 인해 리타이어했다.[19]
다음 레이스인 일본 그랑프리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그의 경력 첫 번째 포디움을 달성했다.[20]
호주에서는 맥라렌 차량의 브레이크 파이프 고장으로 시즌을 마감했다.[21]
12월에 맥라렌은 하키넨이 1994 시즌부터 3년 계약으로 팀에 남을 것이라고 확인했다.[22]
1993년 동안, 하키넨은 세나와 함께 람보르기니 V12 엔진을 맥라렌 MP4/8 레이스카의 개조 버전인 "MP4/8B"에서 에스토릴과 실버스톤에서 테스트했다. 하키넨은 V12 엔진을 장착한 MP4/8B로 실버스톤을 팀의 포드 V8 엔진이 장착된 레이스카보다 약 1.4초 더 빠르게 랩을 돌았다고 한다.[23]
6월에는 맥라렌제 액티브 서스펜션을 풋워크 무겐이 구입했고, 그 차에 장착된 맥라렌 제품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해 하키넨이 테스트 드라이버 업무로 2일간 풋워크 FA14에 탑승하여 효과 점검 작업을 하기도 했다.[205]
1994년 포뮬러 원 시즌에 맥라렌에 잔류한 하키넨은 마틴 브런들과 팀을 이루었다. 시즌 초반, 1994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엔진 문제, 1994년 태평양 그랑프리에서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했다.[24][25] 1994년 산마리노 그랑프리에서 시즌 첫 포디엄 피니시를 달성했지만, 이후 네 번 연속 리타이어하며 부진했다.[172]
1994년 영국 그랑프리에서 다시 포디엄에 올랐으나, 후벵스 바히첼루와의 충돌로 3경기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다(3경기 유예).[9] 1994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데이비드 컬타드와의 충돌로 인해 1경기 출전 정지 징계가 시행되었고, 1994년 헝가리 그랑프리에서는 필리프 알리오로 교체되었다.[26]
1994년 벨기에 그랑프리에 복귀하여 3위로 들어왔으나, 미하엘 슈마허의 실격으로 2위로 승격되었다.[27] 이후 세 번 연속 3위를 기록했고, 1994년 일본 그랑프리와 1994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를 완주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하키넨은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4위를 차지하며 26점을 획득했다.[172]
1994년은 아일톤 세나가 윌리엄스로 이적하면서 하키넨이 맥라렌의 에이스로 기대를 모았으나, 푸조 엔진의 성능과 신뢰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시즌이었다. 맥라렌 MP4/9는 드라이버빌리티가 나빴고, 하키넨은 윌리엄스, 베네통, 페라리를 상대로 고전했다. 특히 1994년 스페인 그랑프리에서는 선두 주행 중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했고, 1994년 독일 그랑프리에서는 다중 충돌을 유발하여 1경기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다. 1994년 벨기에 그랑프리 이후 4경기 연속 입상하며 엔진 신뢰성이 향상되었지만, 최종 드라이버 랭킹은 4위였다.
맥라렌은 1992년 혼다, 1993년 포드 코스워스에 이어 푸조 엔진을 사용했으나, 이 시즌을 끝으로 계약을 종료하고 이듬해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으로 변경했다.
연도 | 팀 | 섀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순위 | 포인트 |
---|---|---|---|---|---|---|---|---|---|---|---|---|---|---|---|---|---|---|---|---|---|
1994년 | 맥라렌 | MP4/9 | BRA | PAC | SMR | MON | ESP | CAN | FRA | GBR | GER | HUN | BEL | ITA | POR | EUR | JPN | AUS | 4위 | 26 |
1995년은 메르세데스 엔진과 함께 머신을 시험하고 개선하는 시즌이었다.
팀 동료로는 베테랑 마크 블런델과 전 월드 챔피언 나이젤 만셀을 맞이했지만, 예선에서 하키넨은 둘보다 빠른 속도를 보였다. 그러나 엔진과의 궁합에 어려움을 겪던 MP4/10은 MP4/10B, MP4/10C로 개량될 정도로 개선에 쫓기는 머신이었다. 그 때문에 기계적 문제로 인해 고전했고, 마침내 제12전 이탈리아 GP에서 2위를 차지했지만, 이는 같은 시즌 3번째 완주 및 입상이었다. 제15전 퍼시픽 GP에서는 충수염으로 인해 결장했다. 복귀한 제16전 일본 GP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최종전 오스트레일리아 GP 예선에서 타이어 펑크로 인해 콘크리트 벽에 충돌했다. 충격으로 혀를 깨물어 선수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중상을 입었고, 하키넨은 한 달 반 동안 입원했다. 힘든 시즌을 최악의 형태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전년도 모나코 GP 예선에서 머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은 카를 벤들링거에 이은 이 사고로, 당시 자우버가 자율적으로 채택하는 데 그쳤던 콕핏 측면 보호 장치를 의무화하는 규정이 다음 시즌부터 도입되었다.
1996 시즌은 하키넨이 팀 내에서 더 경험이 많은 드라이버가 되었고, 데이비드 쿨사드가 파트너가 된 첫 번째 시즌이었다. 하키넨은 시즌에 자신감을 보였고, 레이스 우승을 목표로 삼았다.[41] 컨디션 유지를 위해 하키넨은 발리에서 훈련했고, 2월에 맥라렌은 폴 리카르 서킷에서 비밀 테스트를 실시했다. 하키넨이 준비되지 않을 경우, 맥라렌은 필요에 따라 마그누센을 그를 대신할 선수로 준비해 두었다.[42] 시즌은 하키넨에게 순조롭게 시작되었다. 그는 개막 두 라운드에서 연속 득점권에 들었지만, 1996년 아르헨티나 그랑프리에서 스로틀 문제로 시즌 첫 리타이어를 겪었다.[43] 이후 그는 다음 두 레이스를 완주했지만, 득점권 밖이었고, 이어진 네 레이스에서 연속 득점을 기록했다.[172]
이어진 1996년 영국 그랑프리에서 맥라렌은 개량된 버전의 차량인 맥라렌 MP4/11B를 투입했고, 하키넨은 3위로 시즌 첫 포디움을 달성했다.[44] 그러나 그는 1996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기어 박스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45] 이는 하키넨의 시즌 전환점이 되었고, 그는 1996년 벨기에 그랑프리와 1996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연속 3위를 포함하여 다음 세 레이스를 완주했다.[172] 9월에는 하키넨이 1997년에도 맥라렌에 남을 것이라고 발표되었으며,[46] 그전에는 윌리엄스와 베네통과 연결되어 있었다.[47] 그는 1996년 포르투갈 그랑프리에서 팀 동료 쿨사드와의 충돌로 리타이어했는데, 이로 인해 하키넨의 앞날개가 손상되었고, 결국 레이스 52랩에서 리타이어로 이어졌다.[48] 그는 1996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3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하키넨은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31점을 획득하여 시즌 5위를 기록했다.[172]
1996년은 선수 생명을 위협했던 주변의 우려에 대해 자신의 실력을 증명하며 복귀에 대한 기우를 훌륭하게 불식시켰다.
1월의 테스트는 윌리엄스에서 이적해 온 데이비드 쿨사드와, 전년 말부터 어드바이저 겸 테스트 드라이버가 된 알랭 프로스트가 진행했다. 하키넨은 2월에 복귀하여 3개월 반 만에 드라이브했고, 바로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를 능가하는 기록을 냈다.[206] 전반전에는 MP4/11의 핸들링에 고전했지만, 제6전 모나코 GP에서 사용한 트위스티한 서킷 전용의 짧은 휠베이스 사양인 MP4/11B의 핸들링이 좋았던 점 때문에 제10전 영국 GP 이후 MP4/11B로 달리기 시작했다. 메르세데스 엔진의 신뢰성도 향상되어 성적도 그전보다 안정되어 시즌 종료 시점에는 완주 13회, 포디움 4회, 예선에서도 쿨사드에 대해 12승 4패로 앞섰다.
이 시즌을 마지막으로 맥라렌은 23년간 메인 스폰서였던 말보로와의 관계가 종료되었다. 이 결별로 인해, 같은 시즌에 계약이 종료되는 하키넨이 말보로의 지원으로 페라리로, 대신 윌리엄스를 떠나기로 결정되었던 데이먼 힐이 맥라렌에 합류한다는 이적설도 나왔지만, 결국 제15전 포르투갈 GP에서 맥라렌은 하키넨의 잔류를 발표했다.[207]
연도 | 팀 | 섀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순위 | 포인트 |
---|---|---|---|---|---|---|---|---|---|---|---|---|---|---|---|---|---|---|---|---|---|
1996년 | 맥라렌 | MP4/11 | AUS | BRA | ARG | EUR | SMR | ESP | CAN | FRA | 5위 | 31 | |||||||||
MP4/11B | MON | GBR | GER | HUN | BEL | ITA | POR | JPN |
1997년은 팀이 임페리얼 담배 그룹의 림츠마 사와 계약하여, 독일을 대상으로 한 담배 브랜드인 웨스트(West)를 타이틀 스폰서로 하여 새로운 출발을 하였지만, 하키넨은 MP4-12의 신뢰성에 시달렸다.
선두 주행 중이던 제9전 영국 GP에서는 7바퀴를 남기고 엔진 고장. 제13전 이탈리아 GP에서는 출전 92전 만에 첫 패스티스트 랩 (FL)을 획득하고, 이어진 제14전 오스트리아 GP에서는 프론트 로우에서 출발하여 선두를 차지했지만, 불과 1바퀴 만에 엔진 트러블. 다음 제15전 룩셈부르크 GP에서도 첫 폴 포지션 (PP)을 획득하여, 스타트부터 선두를 달렸지만, 다시 엔진 트러블로 리타이어. 하키넨은 거듭된 우승의 기회를 놓쳤다. 그러나, 최종전 유럽 GP에서 마지막 랩에서 그 해의 챔피언이 된 자크 빌뇌브를 제치고 염원하던 첫 우승을 달성하며, 시즌 마지막 레이스를 유종의 미로 장식했다. F1 출전 99전(출전 95전[208]) 만에 첫 우승은 티에리 부테센의 출전 96전 (출전 95전)을 넘어선, 당시로서는 가장 늦은 첫 우승 기록이었다.
포인트 랭킹에서는 팀 동료 데이비드 쿨사드에게 미치지 못했지만, 예선에서는 17전 중 11전에서 쿨사드를 앞섰다. 이마미야 쥰은 "순수한 드라이빙 퍼포먼스에서는 하키넨 쪽이 쿨사드보다 위"라고 평가했고, 가와이 가즈히토는 자신이 선정한 "'97 BEST 10 DRIVERS"에서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를 1위, 하키넨을 "몇 번이나 승리를 놓치면서도 '또 다음이 있어'라며 마음을 전환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의 속도를 의심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시즌 중반 이후 예선 순위의 평균은 3.5번까지라는 발군의 속도가 있었고, 본래라면 3~4승을 거두어도 이상하지 않았다"라는 이유로 2위, 월드 챔피언이 된 윌리엄스의 자크 빌뇌브를 3위로 했다.[209]
제14전 오스트리아 GP에서는 프론트 로우에서 출발하여 선두를 차지했지만, 엔진 트러블로 리타이어했다. 다음 주, 제15전 룩셈부르크 GP가 개최되었고, 하키넨은 금요일 자유 주행 연습(FP)부터 1위 또는 2위로 순조롭게 세팅[229]을 진행했고, 예선에서는 폴 포지션(PP)을 획득했다. 이것은 하키넨 자신에게는 F1 참전 94전 만의 첫 PP였으며, 맥라렌에게는 1993년 이래, 그리고 메르세데스-벤츠에게는 1955년 이래의 PP였다.
하키넨은, 제9전 영국 GP에서 선두 주행 중 남은 7바퀴에서 엔진 부로로 리타이어, 전주의 오스트리아 GP에서도 기재된 결과와, 엔진 신뢰성의 결여로 승리를 놓치는 불운이 잇따라 닥쳤다. 다음 날 결승 레이스 날은 자신의 29번째 생일이기도 하여, 이번에야말로 우승을 다짐하며 결승 레이스에 임했다. 스타트에서 강렬한 대시를 보인 하키넨은, 2위로 올라온 팀 동료 데이비드 쿨사드에게도 25바퀴 종료 시점에서 12초의 큰 차이를 벌리며 독주하고 있었다. 그 후, 1차 피트 스톱도 문제없이 마치고 순조롭게 계속 달렸지만, 42바퀴째에 쿨사드의 머신이 갑자기 엔진 부로를 일으켜 메인 스트레이트의 피트 출구 앞에서 멈추자, 이어진 43바퀴째에는, 하키넨의 머신도 엄청난 백연을 뿜어내며 속도를 줄였다. 메인 스트레이트를 지나, 오른쪽 잔디밭 위에 머신을 멈추고, 또다시 첫 승리의 기회는 무정하게 사라져 갔다.
하키넨은 레이스 후 인터뷰에서 "정말 뭐라 말할 수 없다. 이것이 모터 레이싱이라는 것이니까…"라며 억울함을 곱씹으며 답했다.
윌리엄스의 자크 빌뇌브와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가 챔피언 경쟁을 하던 시즌 최종전은 슈마허가 1점 리드한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하키넨은 예선 5위였지만, 레이스 세팅을 잘 마무리하여 결승 전 워밍업 주행에서 최고 기록을 세웠다.
레이스는 선두 경쟁을 하던 빌뇌브와 슈마허가 48번째 랩에 "드라이삭 헤어핀" 진입 과정에서 접촉 사고가 발생했다. 튕겨 나간 슈마허는 그래블에 빠져 뒷바퀴가 헛돌면서 탈출하지 못하고 리타이어했다. 한편, 이로 인해 6위 이내로 체커기를 받으면 챔피언 결정[239]이 되는 빌뇌브는, 접촉 사고로 손상된 머신의 상태를 걱정하면서 주행을 계속했지만, 프론트 타이어의 블리스터로 인해 주행 페이스를 늦출 수밖에 없었고, 하키넨 이하 후속 주자들과의 간격이 조금씩 좁혀졌다.
기회를 엿보던 하키넨은 파이널 랩에서 빌뇌브를 추월하여 그대로 1위로 체커기를 받으며, 엔진의 신뢰성 부족으로 고전했던 1997년 시즌의 마지막에서 염원하던 첫 승을 거두었다.
하키넨은 "한 번이라도 이기면, 반드시 계속 이길 자신감이 있습니다. 2년 전 최종전 사고로 생사의 경계를 넘나들었지만, 같은 최종전에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모든 것이 순조롭게 풀리고, 마침내 원래대로 돌아온 것 같습니다[209]"이라며, 이후의 활약을 다짐했다.
1998년은 시즌 초반부터 MP4-13으로 순조롭게 포인트를 쌓아갔다.[53]
하키넨은 1998년 포뮬러 원 시즌에도 맥라렌에 남았고, 데이비드 쿨사드가 팀 동료였다. 하키넨은 기술 이사 애드리안 뉴이의 참여를 언급하며 시즌에 월드 챔피언십에 도전할 자신감을 보였다.[53] 시즌은 1998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에서 논란으로 시작되었는데, 팀 동료 쿨사드가 하키넨에게 레이스 우승을 양보했다. 하키넨은 앞서 엔지니어의 실수로 피트 레인에 호출되었다. 쿨사드는 나중에 첫 번째 랩의 첫 번째 코너에 진입한 사람이 레이스에서 우승하도록 팀이 사전 합의했음을 밝혔다.[54]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키넨은 1998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다음 레이스에서 우승하여 연승을 거두었다.[55] 그는 1998년 아르헨티나 그랑프리에서 좋은 기량을 유지하여 2위를 차지했지만, 1998년 산마리노 그랑프리에서는 차량의 기어 박스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 그러나 하키넨은 다음 두 라운드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이어서 1998년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차량의 또 다른 기어 박스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56]
개막전 오스트레일리아 GP, 제2전 브라질 GP, 제5전 스페인 GP, 제6전 모나코 GP의 4승은 PP, FL도 획득한 해트트릭의 완벽한 승리였다. 한편,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는 F300과 굿이어 타이어의 진화, 에디 어바인의 지원, 그리고 로스 브라운의 탁월한 전략을 결집하여 하키넨과 경쟁해갔다. 이러한 지원이 슈마허를 제9전 영국 GP 종료 시점에서 하키넨에게 2점 차이까지 근접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하키넨은 제10전 오스트리아 GP에서 슈마허와의 배틀에서 승리하고 제11전 독일 GP에서 연승을 거두었다.
하키넨은 다음 두 라운드에서 연달아 포디움을 차지하여 1998년 프랑스 그랑프리에서 3위, 1998년 영국 그랑프리에서 2위를 기록했다. 그는 다음 두 라운드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이어서 1998년 헝가리 그랑프리에서 6위를 차지했다.[172] 8월에는 하키넨과 쿨사드가 1999년에도 유임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57]
슈마허도 이에 질세라 제12전 헝가리 GP와 제14전 이탈리아 GP에서 승리하며 둘은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치열한 챔피언 경쟁을 펼쳤다. 그리고 이탈리아 GP 종료 시점에서 하키넨과 슈마허가 동점으로 팽팽하게 맞섰다.
하키넨은 1998년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페라리 드라이버 미하엘 슈마허가 핀란드 선수와 충돌하고 자우버 드라이버 조니 허버트에게도 부딪히면서 다음 레이스에서 리타이어했다.[58] 그는 나중에 스핀으로 인한 브레이크 문제에도 불구하고 1998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4위를 차지했다.[59]
이어지는 제15전 룩셈부르크 GP에서는 슈마허에게 폴 포지션을 빼앗겼지만, 페라리 진영의 주특기인 작전으로 역전승을 거두며 챔피언 경쟁의 주도권을 되찾았다.
하키넨은 1998년 룩셈부르크 그랑프리와 1998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마지막 두 라운드에서 우승하여 시즌을 마쳤고, 이를 통해 100점을 획득하여 1998년 월드 챔피언십을 확정지었으며, 가장 가까운 라이벌 슈마허를 앞질렀다.[60]
그 기세를 유지하며
3. 2. 1. 1993년
1993년 하키넨은 맥라렌에 합류했지만, CART 드라이버 마이클 안드레티가 팀에 고용되면서 팀의 공식 테스트 드라이버로 시즌을 시작했다.[18]정기적인 테스트 임무 외에도 모나코 그랑프리의 지원 레이스로 열린 두 번의 포르쉐 슈퍼컵 레이스에 포르쉐 964 카레라 2로 출전하여, 두 레이스 모두 폴 포지션에서 출발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후 안드레티가 성적 부진과 유럽의 레이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미국으로 귀국하면서 포뮬러 원을 떠나게 되었고, 하키넨은 포르투갈 그랑프리부터 실전에 복귀하여 정규 드라이버 아일톤 세나를 예선에서 앞서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하지만 레이스 중에는 콘크리트 벽과의 충돌로 인해 리타이어했다.[19]
다음 레이스인 일본 그랑프리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그의 경력 첫 번째 포디움을 달성했다.[20]
호주에서는 맥라렌 차량의 브레이크 파이프 고장으로 시즌을 마감했다.[21]
12월에 맥라렌은 하키넨이 1994 시즌부터 3년 계약으로 팀에 남을 것이라고 확인했다.[22]
1993년 동안, 하키넨은 세나와 함께 람보르기니 V12 엔진을 맥라렌 MP4/8 레이스카의 개조 버전인 "MP4/8B"에서 에스토릴과 실버스톤에서 테스트했다. 하키넨은 V12 엔진을 장착한 MP4/8B로 실버스톤을 팀의 포드 V8 엔진이 장착된 레이스카보다 약 1.4초 더 빠르게 랩을 돌았다고 한다.[23]
6월에는 맥라렌제 액티브 서스펜션을 풋워크 무겐이 구입했고, 그 차에 장착된 맥라렌 제품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해 하키넨이 테스트 드라이버 업무로 2일간 풋워크 FA14에 탑승하여 효과 점검 작업을 하기도 했다.[205]
3. 2. 2. 1994년
1994년 포뮬러 원 시즌에 맥라렌에 잔류한 하키넨은 마틴 브런들과 팀을 이루었다. 시즌 초반, 1994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엔진 문제, 1994년 태평양 그랑프리에서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했다.[24][25] 1994년 산마리노 그랑프리에서 시즌 첫 포디엄 피니시를 달성했지만, 이후 네 번 연속 리타이어하며 부진했다.[172]
1994년 영국 그랑프리에서 다시 포디엄에 올랐으나, 후벵스 바히첼루와의 충돌로 3경기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다(3경기 유예).[9] 1994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데이비드 컬타드와의 충돌로 인해 1경기 출전 정지 징계가 시행되었고, 1994년 헝가리 그랑프리에서는 필리프 알리오로 교체되었다.[26]
1994년 벨기에 그랑프리에 복귀하여 3위로 들어왔으나, 미하엘 슈마허의 실격으로 2위로 승격되었다.[27] 이후 세 번 연속 3위를 기록했고, 1994년 일본 그랑프리와 1994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를 완주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하키넨은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4위를 차지하며 26점을 획득했다.[172]
1994년은 아일톤 세나가 윌리엄스로 이적하면서 하키넨이 맥라렌의 에이스로 기대를 모았으나, 푸조 엔진의 성능과 신뢰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시즌이었다. 맥라렌 MP4/9는 드라이버빌리티가 나빴고, 하키넨은 윌리엄스, 베네통, 페라리를 상대로 고전했다. 특히 1994년 스페인 그랑프리에서는 선두 주행 중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했고, 1994년 독일 그랑프리에서는 다중 충돌을 유발하여 1경기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다. 1994년 벨기에 그랑프리 이후 4경기 연속 입상하며 엔진 신뢰성이 향상되었지만, 최종 드라이버 랭킹은 4위였다.
맥라렌은 1992년 혼다, 1993년 포드 코스워스에 이어 푸조 엔진을 사용했으나, 이 시즌을 끝으로 계약을 종료하고 이듬해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으로 변경했다.
연도 | 팀 | 섀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순위 | 포인트 |
---|---|---|---|---|---|---|---|---|---|---|---|---|---|---|---|---|---|---|---|---|---|
1994년 | 맥라렌 | MP4/9 | BRA | PAC | SMR | MON | ESP | CAN | FRA | GBR | GER | HUN | BEL | ITA | POR | EUR | JPN | AUS | 4위 | 26 |
3. 2. 3. 1995년
1995년은 메르세데스 엔진과 함께 머신을 시험하고 개선하는 시즌이었다.팀 동료로는 베테랑 마크 블런델과 전 월드 챔피언 나이젤 만셀을 맞이했지만, 예선에서 하키넨은 둘보다 빠른 속도를 보였다. 그러나 엔진과의 궁합에 어려움을 겪던 MP4/10은 MP4/10B, MP4/10C로 개량될 정도로 개선에 쫓기는 머신이었다. 그 때문에 기계적 문제로 인해 고전했고, 마침내 제12전 이탈리아 GP에서 2위를 차지했지만, 이는 같은 시즌 3번째 완주 및 입상이었다. 제15전 퍼시픽 GP에서는 충수염으로 인해 결장했다. 복귀한 제16전 일본 GP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최종전 오스트레일리아 GP 예선에서 타이어 펑크로 인해 콘크리트 벽에 충돌했다. 충격으로 혀를 깨물어 선수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중상을 입었고, 하키넨은 한 달 반 동안 입원했다. 힘든 시즌을 최악의 형태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전년도 모나코 GP 예선에서 머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은 카를 벤들링거에 이은 이 사고로, 당시 자우버가 자율적으로 채택하는 데 그쳤던 콕핏 측면 보호 장치를 의무화하는 규정이 다음 시즌부터 도입되었다.
3. 2. 4. 1996년
1996 시즌은 하키넨이 팀 내에서 더 경험이 많은 드라이버가 되었고, 데이비드 쿨사드가 파트너가 된 첫 번째 시즌이었다. 하키넨은 시즌에 자신감을 보였고, 레이스 우승을 목표로 삼았다.[41] 컨디션 유지를 위해 하키넨은 발리에서 훈련했고, 2월에 맥라렌은 폴 리카르 서킷에서 비밀 테스트를 실시했다. 하키넨이 준비되지 않을 경우, 맥라렌은 필요에 따라 마그누센을 그를 대신할 선수로 준비해 두었다.[42] 시즌은 하키넨에게 순조롭게 시작되었다. 그는 개막 두 라운드에서 연속 득점권에 들었지만, 1996년 아르헨티나 그랑프리에서 스로틀 문제로 시즌 첫 리타이어를 겪었다.[43] 이후 그는 다음 두 레이스를 완주했지만, 득점권 밖이었고, 이어진 네 레이스에서 연속 득점을 기록했다.[172]
이어진 1996년 영국 그랑프리에서 맥라렌은 개량된 버전의 차량인 맥라렌 MP4/11B를 투입했고, 하키넨은 3위로 시즌 첫 포디움을 달성했다.[44] 그러나 그는 1996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기어 박스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45] 이는 하키넨의 시즌 전환점이 되었고, 그는 1996년 벨기에 그랑프리와 1996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연속 3위를 포함하여 다음 세 레이스를 완주했다.[172] 9월에는 하키넨이 1997년에도 맥라렌에 남을 것이라고 발표되었으며,[46] 그전에는 윌리엄스와 베네통과 연결되어 있었다.[47] 그는 1996년 포르투갈 그랑프리에서 팀 동료 쿨사드와의 충돌로 리타이어했는데, 이로 인해 하키넨의 앞날개가 손상되었고, 결국 레이스 52랩에서 리타이어로 이어졌다.[48] 그는 1996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3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하키넨은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31점을 획득하여 시즌 5위를 기록했다.[172]
1996년은 선수 생명을 위협했던 주변의 우려에 대해 자신의 실력을 증명하며 복귀에 대한 기우를 훌륭하게 불식시켰다.
1월의 테스트는 윌리엄스에서 이적해 온 데이비드 쿨사드와, 전년 말부터 어드바이저 겸 테스트 드라이버가 된 알랭 프로스트가 진행했다. 하키넨은 2월에 복귀하여 3개월 반 만에 드라이브했고, 바로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를 능가하는 기록을 냈다.[206] 전반전에는 MP4/11의 핸들링에 고전했지만, 제6전 모나코 GP에서 사용한 트위스티한 서킷 전용의 짧은 휠베이스 사양인 MP4/11B의 핸들링이 좋았던 점 때문에 제10전 영국 GP 이후 MP4/11B로 달리기 시작했다. 메르세데스 엔진의 신뢰성도 향상되어 성적도 그전보다 안정되어 시즌 종료 시점에는 완주 13회, 포디움 4회, 예선에서도 쿨사드에 대해 12승 4패로 앞섰다.
이 시즌을 마지막으로 맥라렌은 23년간 메인 스폰서였던 말보로와의 관계가 종료되었다. 이 결별로 인해, 같은 시즌에 계약이 종료되는 하키넨이 말보로의 지원으로 페라리로, 대신 윌리엄스를 떠나기로 결정되었던 데이먼 힐이 맥라렌에 합류한다는 이적설도 나왔지만, 결국 제15전 포르투갈 GP에서 맥라렌은 하키넨의 잔류를 발표했다.[207]
연도 | 팀 | 섀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순위 | 포인트 |
---|---|---|---|---|---|---|---|---|---|---|---|---|---|---|---|---|---|---|---|---|---|
1996년 | 맥라렌 | MP4/11 | AUS | BRA | ARG | EUR | SMR | ESP | CAN | FRA | 5위 | 31 | |||||||||
MP4/11B | MON | GBR | GER | HUN | BEL | ITA | POR | JPN |
3. 2. 5. 1997년
1997년은 팀이 임페리얼 담배 그룹의 림츠마 사와 계약하여, 독일을 대상으로 한 담배 브랜드인 웨스트(West)를 타이틀 스폰서로 하여 새로운 출발을 하였지만, 하키넨은 MP4-12의 신뢰성에 시달렸다.
선두 주행 중이던 제9전 영국 GP에서는 7바퀴를 남기고 엔진 고장. 제13전 이탈리아 GP에서는 출전 92전 만에 첫 패스티스트 랩 (FL)을 획득하고, 이어진 제14전 오스트리아 GP에서는 프론트 로우에서 출발하여 선두를 차지했지만, 불과 1바퀴 만에 엔진 트러블. 다음 제15전 룩셈부르크 GP에서도 첫 폴 포지션 (PP)을 획득하여, 스타트부터 선두를 달렸지만, 다시 엔진 트러블로 리타이어. 하키넨은 거듭된 우승의 기회를 놓쳤다. 그러나, 최종전 유럽 GP에서 마지막 랩에서 그 해의 챔피언이 된 자크 빌뇌브를 제치고 염원하던 첫 우승을 달성하며, 시즌 마지막 레이스를 유종의 미로 장식했다. F1 출전 99전(출전 95전[208]) 만에 첫 우승은 티에리 부테센의 출전 96전 (출전 95전)을 넘어선, 당시로서는 가장 늦은 첫 우승 기록이었다.
포인트 랭킹에서는 팀 동료 데이비드 쿨사드에게 미치지 못했지만, 예선에서는 17전 중 11전에서 쿨사드를 앞섰다. 이마미야 쥰은 "순수한 드라이빙 퍼포먼스에서는 하키넨 쪽이 쿨사드보다 위"라고 평가했고, 가와이 가즈히토는 자신이 선정한 "'97 BEST 10 DRIVERS"에서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를 1위, 하키넨을 "몇 번이나 승리를 놓치면서도 '또 다음이 있어'라며 마음을 전환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의 속도를 의심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시즌 중반 이후 예선 순위의 평균은 3.5번까지라는 발군의 속도가 있었고, 본래라면 3~4승을 거두어도 이상하지 않았다"라는 이유로 2위, 월드 챔피언이 된 윌리엄스의 자크 빌뇌브를 3위로 했다.[209]
제14전 오스트리아 GP에서는 프론트 로우에서 출발하여 선두를 차지했지만, 엔진 트러블로 리타이어했다. 다음 주, 제15전 룩셈부르크 GP가 개최되었고, 하키넨은 금요일 자유 주행 연습(FP)부터 1위 또는 2위로 순조롭게 세팅[229]을 진행했고, 예선에서는 폴 포지션(PP)을 획득했다. 이것은 하키넨 자신에게는 F1 참전 94전 만의 첫 PP였으며, 맥라렌에게는 1993년 이래, 그리고 메르세데스-벤츠에게는 1955년 이래의 PP였다.
하키넨은, 제9전 영국 GP에서 선두 주행 중 남은 7바퀴에서 엔진 부로로 리타이어, 전주의 오스트리아 GP에서도 기재된 결과와, 엔진 신뢰성의 결여로 승리를 놓치는 불운이 잇따라 닥쳤다. 다음 날 결승 레이스 날은 자신의 29번째 생일이기도 하여, 이번에야말로 우승을 다짐하며 결승 레이스에 임했다. 스타트에서 강렬한 대시를 보인 하키넨은, 2위로 올라온 팀 동료 데이비드 쿨사드에게도 25바퀴 종료 시점에서 12초의 큰 차이를 벌리며 독주하고 있었다. 그 후, 1차 피트 스톱도 문제없이 마치고 순조롭게 계속 달렸지만, 42바퀴째에 쿨사드의 머신이 갑자기 엔진 부로를 일으켜 메인 스트레이트의 피트 출구 앞에서 멈추자, 이어진 43바퀴째에는, 하키넨의 머신도 엄청난 백연을 뿜어내며 속도를 줄였다. 메인 스트레이트를 지나, 오른쪽 잔디밭 위에 머신을 멈추고, 또다시 첫 승리의 기회는 무정하게 사라져 갔다.
하키넨은 레이스 후 인터뷰에서 "정말 뭐라 말할 수 없다. 이것이 모터 레이싱이라는 것이니까…"라며 억울함을 곱씹으며 답했다.
윌리엄스의 자크 빌뇌브와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가 챔피언 경쟁을 하던 시즌 최종전은 슈마허가 1점 리드한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하키넨은 예선 5위였지만, 레이스 세팅을 잘 마무리하여 결승 전 워밍업 주행에서 최고 기록을 세웠다.
레이스는 선두 경쟁을 하던 빌뇌브와 슈마허가 48번째 랩에 "드라이삭 헤어핀" 진입 과정에서 접촉 사고가 발생했다. 튕겨 나간 슈마허는 그래블에 빠져 뒷바퀴가 헛돌면서 탈출하지 못하고 리타이어했다. 한편, 이로 인해 6위 이내로 체커기를 받으면 챔피언 결정[239]이 되는 빌뇌브는, 접촉 사고로 손상된 머신의 상태를 걱정하면서 주행을 계속했지만, 프론트 타이어의 블리스터로 인해 주행 페이스를 늦출 수밖에 없었고, 하키넨 이하 후속 주자들과의 간격이 조금씩 좁혀졌다.
기회를 엿보던 하키넨은 파이널 랩에서 빌뇌브를 추월하여 그대로 1위로 체커기를 받으며, 엔진의 신뢰성 부족으로 고전했던 1997년 시즌의 마지막에서 염원하던 첫 승을 거두었다.
하키넨은 "한 번이라도 이기면, 반드시 계속 이길 자신감이 있습니다. 2년 전 최종전 사고로 생사의 경계를 넘나들었지만, 같은 최종전에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모든 것이 순조롭게 풀리고, 마침내 원래대로 돌아온 것 같습니다[209]"이라며, 이후의 활약을 다짐했다.
3. 2. 6. 1998년
1998년은 시즌 초반부터 MP4-13으로 순조롭게 포인트를 쌓아갔다.[53]
하키넨은 1998년 포뮬러 원 시즌에도 맥라렌에 남았고, 데이비드 쿨사드가 팀 동료였다. 하키넨은 기술 이사 애드리안 뉴이의 참여를 언급하며 시즌에 월드 챔피언십에 도전할 자신감을 보였다.[53] 시즌은 1998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에서 논란으로 시작되었는데, 팀 동료 쿨사드가 하키넨에게 레이스 우승을 양보했다. 하키넨은 앞서 엔지니어의 실수로 피트 레인에 호출되었다. 쿨사드는 나중에 첫 번째 랩의 첫 번째 코너에 진입한 사람이 레이스에서 우승하도록 팀이 사전 합의했음을 밝혔다.[54]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키넨은 1998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다음 레이스에서 우승하여 연승을 거두었다.[55] 그는 1998년 아르헨티나 그랑프리에서 좋은 기량을 유지하여 2위를 차지했지만, 1998년 산마리노 그랑프리에서는 차량의 기어 박스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 그러나 하키넨은 다음 두 라운드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이어서 1998년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차량의 또 다른 기어 박스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56]
개막전 오스트레일리아 GP, 제2전 브라질 GP, 제5전 스페인 GP, 제6전 모나코 GP의 4승은 PP, FL도 획득한 해트트릭의 완벽한 승리였다. 한편,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는 F300과 굿이어 타이어의 진화, 에디 어바인의 지원, 그리고 로스 브라운의 탁월한 전략을 결집하여 하키넨과 경쟁해갔다. 이러한 지원이 슈마허를 제9전 영국 GP 종료 시점에서 하키넨에게 2점 차이까지 근접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하키넨은 제10전 오스트리아 GP에서 슈마허와의 배틀에서 승리하고 제11전 독일 GP에서 연승을 거두었다.
하키넨은 다음 두 라운드에서 연달아 포디움을 차지하여 1998년 프랑스 그랑프리에서 3위, 1998년 영국 그랑프리에서 2위를 기록했다. 그는 다음 두 라운드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이어서 1998년 헝가리 그랑프리에서 6위를 차지했다.[172] 8월에는 하키넨과 쿨사드가 1999년에도 유임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57]
슈마허도 이에 질세라 제12전 헝가리 GP와 제14전 이탈리아 GP에서 승리하며 둘은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치열한 챔피언 경쟁을 펼쳤다. 그리고 이탈리아 GP 종료 시점에서 하키넨과 슈마허가 동점으로 팽팽하게 맞섰다.
하키넨은 1998년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페라리 드라이버 미하엘 슈마허가 핀란드 선수와 충돌하고 자우버 드라이버 조니 허버트에게도 부딪히면서 다음 레이스에서 리타이어했다.[58] 그는 나중에 스핀으로 인한 브레이크 문제에도 불구하고 1998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4위를 차지했다.[59]
이어지는 제15전 룩셈부르크 GP에서는 슈마허에게 폴 포지션을 빼앗겼지만, 페라리 진영의 주특기인 작전으로 역전승을 거두며 챔피언 경쟁의 주도권을 되찾았다.
하키넨은 1998년 룩셈부르크 그랑프리와 1998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마지막 두 라운드에서 우승하여 시즌을 마쳤고, 이를 통해 100점을 획득하여 1998년 월드 챔피언십을 확정지었으며, 가장 가까운 라이벌 슈마허를 앞질렀다.[60]
그 기세를 유지하며 최종전 일본 GP에서도 완벽한 레이스를 펼쳐, 멋지게 첫 월드 챔피언을 획득했다. 굿이어 타이어를 장착한 페라리와 브리지스톤 타이어를 장착한 맥라렌이 치열한 경쟁을 벌였지만, 브리지스톤에게는 첫 드라이버 챔피언십과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을 획득한 해이기도 했다.
하키넨은 1998년 오토스포츠 인터내셔널 레이싱 드라이버 어워드를 수상했다.[61] 그는 또한 기자들에 의해 핀란드 올해의 스포츠 인물로 선정되었다.[62] 핀란드 우체국은 1999년 1월 하키넨의 월드 챔피언십을 기념하는 우표를 발행했다.[63]
선두인 하키넨과 2위인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의 격차는 2포인트로 제10전 오스트리아 GP가 개막했다. 스타팅 그리드는 베네통의 잔카를로 피지켈라와 자우버의 장 알레시가 앞자리를 차지했으며, 하키넨이 3위, 슈마허가 4위였다. 결승이 시작되자 하키넨이 오프닝 랩에서 피지켈라와 알레시를 제치고 선두로 나섰다. 슈마허도 2위로 뒤따랐다. 2회 피트 스톱 전략으로 연료가 적은 슈마허는 1회 피트 스톱 전략으로 연료가 많은 하키넨보다 앞서 나가고 싶었기 때문에, 코스 전체에서 테일 투 노즈 공방이 펼쳐졌다.
특히 고서 코너에서 슈마허는 격렬한 브레이킹으로 흰 연기를 내뿜으며 피지켈라를 공략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안쪽과 바깥쪽으로 머신을 움직여 하키넨을 추월하려 여러 차례 시도했다. 그러나 하키넨은 코스 폭을 최대한 활용하여 매번 슈마허를 막아냈다. 이 배틀은 17 랩까지 이어졌지만, 슈마허가 요헨 린트 코너를 제대로 돌지 못하고 코스 아웃하여 프론트 윙과 디플렉터 등 머신 하부를 파손하고 피트 스톱을 하면서 승부가 갈렸다. 하키넨이 우승을 차지했다. 슈마허는 최하위에서 추격하여, 결국 팀 동료인 에디 어바인에게 자리를 양보받아 3위에 입상했다.
제15전 룩셈부르크 GP와 최종전 일본 GP의 남은 2 경기를 앞두고, 하키넨과 미하엘 슈마허는 80 대 80으로 동점이었다. 예선에서는 슈마허가 PP를 차지하고, 2위는 같은 페라리의 에디 어바인이었다. 하키넨은 3위로 마쳤다. 결승에서는 어바인의 방해로 슈마허가 도망쳐 승리했던 제8전 프랑스 GP의 재현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고, 하키넨은 챔피언 경쟁에서 "역전승" 직전의 절체절명의 상황에 놓였다.
결승 스타트 후, 2위 어바인이 3위 하키넨을 막는 동안 1위 슈마허는 8바퀴를 돌았을 때 하키넨과의 격차를 8.5초로 벌렸다. 한동안 3위에 머물렀던 하키넨은 14바퀴째에 블로킹을 우선시하던 어바인이 "추월당했을 때는 깜짝 놀랐지. 비두르 시케인의 150미터 앞에서 갑자기 다가오더니, 레코드 라인을 달리던 내 안쪽으로 들어왔으니까[240]"라고 말할 정도로 추월했다. 그 후, 최고 랩 타임(FL)을 연발하며 선두 슈마허를 추격했다.
먼저 피트인한 쪽은 슈마허였다. 하키넨은 그 후에도 푸시를 계속하며, 자신도 피트인했다. 피트 아웃할 때, 슈마허의 머신 앞부분을 스치듯 선두로 나섰다. 여러 번 슈마허=페라리 진영에게 당했던 작전을 막판에 되갚았다.
그 후에도 쫓는 입장이 된 슈마허와의 테일 투 노즈 레이스를 펼치며 평균 4~6초의 차이를 유지하며, 하키넨은 선두를 지켰다. 두 번째 피트인에서도 순위는 변함없이, 하키넨은 그대로 선두를 지켜 결승 전 예상을 뒤엎고 역전 우승을 달성, 챔피언 경쟁에 "왕수"를 걸었다.
연도 | 팀 | 섀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순위 | 포인트 |
---|---|---|---|---|---|---|---|---|---|---|---|---|---|---|---|---|---|---|---|---|---|
1998년 | 맥라렌 | MP4-13 | 'AUS' | 'BRA' | ARG | SMR | 'ESP' | 'MON' | CAN | FRA | GBR | AUT | GER | HUN | BEL | ITA | LUX | JPN | 1위 | 100 |
3. 2. 7. 1999년
1999년 포뮬러 원 시즌에 맥라렌은 잦은 머신 트러블과 팀 전략 실수에 시달렸다. MP4-14의 신뢰성 부족으로 개막전 오스트레일리아 GP에서 스로틀 린케이지 이상으로 리타이어,[64] 제4전 모나코 GP에서는 스티어링 이상,[64] 제8전 영국 GP에서는 왼쪽 리어 휠 이탈,[64] 제10전 독일 GP에서는 급유 장치 고장과 타이어 펑크로 리타이어했다.[69] 제2전 브라질 GP에서는 기어 박스 문제도 발생했다.[65]맥라렌은 제14전 유럽 GP까지 팀 오더를 내리지 않아, 제9전 오스트리아 GP와 제12전 벨기에 GP에서 드라이버 간 접촉을 초래했다. 하키넨은 제3전 산마리노 GP와 제13전 이탈리아 GP에서 리타이어했는데,[66][72] 산마리노 GP에서는 디퍼렌셜 문제,[211] 이탈리아 GP에서는 미션 문제로 알려졌다.[212]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하키넨은 최종전 일본 GP에서 역전 우승하며 2년 연속 드라이버즈 타이틀을 획득했다.[73] 이는 알베르토 아스카리, 후안 마누엘 판지오, 잭 브라밤, 알랭 프로스트, 아일톤 세나, 미하엘 슈마허에 이어 역대 7번째 기록이다.

연도 | 팀 | 섀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순위 | 포인트 |
---|---|---|---|---|---|---|---|---|---|---|---|---|---|---|---|---|---|---|---|---|---|
1999년 | 맥라렌 | MP4-14 | AUS | 'BRA' | SMR | 'MON' | ESP | CAN | FRA | 'GBR' | 'AUT' | GER | HUN | 'BEL' | ITA | EUR | MAL | JPN | 1위 | 76 |
3. 2. 8. 2000년
2000년 포뮬러 원 시즌을 위해 하키넨은 다가오는 시즌을 위한 신체적, 심리적 준비와 함께 새로운 한계를 설정했다. 그는 또한 미하엘 슈마허, 데이비드 쿨사드와 함께 2000년의 핵심 드라이버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79] 그는 좋지 않은 출발을 겪었다: 2000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의 개막전에서 두 맥라렌 차량 모두 레이스 거리의 절반도 채 안 되어 엔진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 2000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하키넨은 차량의 오일 압력 문제로 인해 리타이어해야 했다.[80] 그러나 이는 전환점이 되었고, 하키넨은 다음 두 라운드에서 연속 2위를 차지했으며,[172] 이후 2000년 스페인 그랑프리에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다.[81]하키넨은 2000년 유럽 그랑프리에서 2위를 차지했는데, 레이스 내내 슈마허와 선두 자리를 주고받았다.[82] 그는 이어진 2000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6위, 2000년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4위를 차지했으며, 2000년 프랑스 그랑프리에서 2위를 차지하며 포디움을 달성했다.[83] 프랑스 그랑프리 다음 날, 하키넨이 2001년에도 맥라렌에 남을 것이라고 발표되었다.[84] 하키넨은 2000년 오스트리아 그랑프리에서 다음 레이스에서 우승했지만, 그의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에 밀봉이 누락되어 팀은 컨스트럭터 포인트에서 박탈되었다.[85] 그는 2000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또 다른 포디움을 차지하며 2위를 기록했고, 이후 2000년 헝가리 그랑프리에서 또 한 번 승리를 거두며 슈마허로부터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십 선두를 차지했다.[86] 하키넨은 2000년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두 번째 연속 우승을 차지했는데, 여기에는 ''케멜 직선''에서 슈마허와 히카르두 종타를 동시에 추월하는 장면이 포함되었다.[87] 하키넨은 이후 2000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2위를 차지했으며,[88] 2000년 미국 그랑프리에서는 엔진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89] 그는 2000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2위로 한 해를 마무리했는데, 여기서 그는 슈마허에게 월드 챔피언십을 내주었고,[90] 2000년 말레이시아 그랑프리에서 시즌 마지막 레이스에서 4위를 차지했다.[172]

2000년도 1999년과 마찬가지로 시즌 초반부터 고전을 면치 못했다.
하키넨의 MP4-15는 개막전 오스트레일리아 GP에서 엔진의 뉴매틱 밸브가 고장났고, 2차전 브라질 GP에서는 엔진의 유압 문제로 인해 2경기 연속 리타이어를 기록했다. 두 레이스 모두 선두 주행 중에 발생한 일이었다. 3차전 산마리노 GP에서는 2위로 입상했지만, 주행 중 잠깐 엔진 스톨이 발생하는 문제에 시달려야 했다. 한편,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는 순조롭게 포인트를 쌓아 8차전 캐나다 GP 종료 시점에 하키넨보다 24포인트 앞서 있었다. 그러나 하키넨은 우승할 수 없을 때는 2위를, 그것을 노릴 수 없는 위기에 몰리면, 7차전 모나코 GP 6위, 8차전 캐나다 GP 4위에서 입증하듯이, FL(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하면서, 1포인트라도 얻으려고 질주를 거듭했고, 산마리노 GP부터 14차전 이탈리아 GP까지 12경기 연속 입상하며 슈마허를 따라잡았다[214]。
6차전 유럽 GP에서는 팀의 전략과 피트 작업 미스로 발목이 잡혔고, 그리드가 중요한 모나코 GP에서는 예선 어택 전부에 황색기가 펄럭이는 불운을 겪었으며, 5번 그리드에서 출발한 후 브레이크와 기어박스 문제로 힘든 레이스를 견뎌 완주했다[215]。캐나다 GP부터 사용된 리어 디퓨저가 하키넨의 드라이빙에 맞지 않아, 9차전 프랑스 GP 종료 후 에이드리언 뉴이 등과 대책을 강구했다. 그리고 레이스 틈틈이 이루어진 테스트와 프로모션 활동은 하키넨을 지치게 했다. 론 데니스는 "더 빨리 대처했어야 했다"고 인정하고, 드디어 10차전 오스트리아 GP 전에 1주일간의 휴가를 얻었다.
그 효과도 있어 오스트리아 GP는 폴투윈을 달성했다. 12차전 헝가리 GP에서 역전을 이루어 포인트 리더가 되었다. 13차전 벨기에 GP에서도 슈마허와 치열한 경쟁을 펼쳤고, 케멜 스트레이트 엔드에서 "20세기 최고의 오버테이크"로 평가받는 추월로 역전하여[216] 2연승을 거두었다. 2포인트 리드를 안고 맞이한 15차전 미국 GP에서는 초반에는 슈마허에게 16초 차이로 뒤쳐졌지만, 하키넨은 10랩 동안 슈마허와의 격차를 4초까지 좁히는 추격을 했다. 그러나 26랩째에 엔진 부로 리타이어했다. 슈마허는 이 레이스에서 우승했고, 하키넨은 오히려 8포인트 리드를 빼앗기게 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을 제작하는 일모어의 마리오 일리엔은 "우리는 스즈카가 아니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타이틀을 잃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보장하는데, 하키넨은 정말 최강이다[217]"라고 말할 정도로, 남은 2경기에서 이 포인트 차는 컸다. 하키넨은 포기하지 않고 계속 도전했지만, 후안 마누엘 판지오 이후 3년 연속 월드 챔피언의 꿈은 좌절되었다. 시즌 중 여러 번 은퇴설이 떠돌았고, 타이틀을 획득하면 은퇴할 생각이었다는 사실도 고백했다. 또한 연간 패스티스트 랩 횟수에서 당시 최다인 9회를 기록했다[218]。
제12전 헝가리 GP는 포인트 경쟁을 벌이는 상위 4명,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가 56점, 하키넨과 맥라렌의 데이비드 쿨사드가 54점, 페라리의 루벤스 바리첼로가 46점으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스타팅 그리드는 폴 포지션이 슈마허, 2위 쿨사드, 3위 하키넨, 5위 바리첼로였다.
결승 스타트 직후, 하키넨이 쿨사드를 제치고, 슈마허의 뒤를 따라 슬립스트림을 사용했다. 완벽한 반응 속도와 모든 것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머신 컨트롤로, 1코너 앞에서 인코스에서 슈마허와 나란히 하려고 했다.[214] 슈마허는 인코스로 스티어링을 꺾어 막으려 했다. 그러나, 하키넨은 한순간 빠르게 빠져나가 1코너를 제압, 1위 하키넨, 2위 슈마허, 3위 쿨사드로 이어졌다. 4바퀴까지 슈마허도 하키넨을 따라갔지만, 이후 랩당 0.3초의 페이스로 하키넨에게서 멀어져 갔다. 하키넨은 패스티스트 랩도 기록하며 선두를 질주했다. 스타트와 1코너에서의 공방이 분기점이 되어 하키넨이 우승했다. 슈마허와 쿨사드를 제치고 단숨에 포인트 리더로 올라섰다.
한편, 하키넨은 이 레이스 외에도, 제11전 독일 GP에서는 4번 그리드, 제6전 유럽 GP는 3번 그리드, 1998년에도 언급된 제10전 오스트리아 GP 외에, 제14전 이탈리아 GP의 3번 그리드에서 각각 스타트를 끊어 선두를 차지했다.
제13전 벨기에 GP는 비가 그쳤지만 노면이 젖어 있었기 때문에 "웨트 레이스[241]"로 선언되었고, 로링 스타트 후 세이프티카는 1바퀴 만에 피트인했다.
PP를 차지한 하키넨은 1차 피트 스톱 후에도 선두를 유지했지만, 13바퀴째에 스타브로의 젖은 연석에서 하프 스핀을 했다. 코스에는 문제없이 복귀했지만, 2위를 달리던 미하엘 슈마허가 추월하여 선두로 나섰다. 이후 슈마허는 22바퀴째에 마지막 피트 스톱을 했다. 하키넨은 27바퀴째에 마지막 피트 스톱을 했으며, 타이어 교환과 연료 보급 외에 프론트 윙 조정도 했다. 이 시점에서 순위는 그대로였지만, 하키넨은 피트 아웃 후 1바퀴 평균 0.5초나 슈마허보다 빠른 페이스로 추격하기 시작했다. 서서히 격차가 좁혀지면서 40, 41바퀴째의 오 루즈, 라디옹에서 케멜 스트레이트 엔드까지의 구간에서 격렬한 공방전이 시작되었다.
40바퀴째에 하키넨이 슈마허의 슬립 스트림에 들어가 오른쪽으로 움직여 추월하려 했지만, 슈마허도 오른쪽으로 움직여 하키넨의 왼쪽 프론트 윙과 슈마허의 오른쪽 리어 타이어가 접촉하는 배틀이 벌어졌고, 슈마허는 블로킹에 성공했다. 41바퀴째에는 랩 주행 지연된 BAR 혼다의 리카르도 존타가 있었고, 존타를 왼쪽에서 슈마허가 추월하려 하자, 슈마허의 슬립 스트림에 있던 하키넨은 존타의 오른쪽으로 움직여 존타를 사이에 두고 슈마허를 오버테이크하는 묘기를 선보였다[216]。이 추월은 "20세기 최고의 오버테이크다"라고 저널리스트로부터 절찬을 받았다. 레이스는 그대로 하키넨이 남은 3바퀴를 선두로 지키며 체커기를 받았다. 하키넨이 슈마허와 공방전을 벌였던 40, 41바퀴째의 오 루즈에서 라디옹을 빠져나갈 때의 속도는, 당시 최초로 시속 300km/h를 넘었다[242]。 레이스 후 하키넨은 "그것은 믿을 수 없었다. 우리 사이에 랩 주행 지연된 차가 있었기 때문에, 보통은 추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고, 슈마허는 "팀으로부터 그렇게 쉽게 따라잡을 수 없을 것이라고 들었다. 두 대가 나란히 달리고 있다면 보통은 불가능할 텐데, 미카가 추월해 갔다. 예상 밖이었다"라고 말했다[243]。
제14전 이탈리아 GP 기자 회견에서 존타는 "두 대에 끼여서 추월당한 순간"[243]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 "저는 미하엘(슈마허)을 위해 왼쪽(바깥쪽)에 공간을 비워두었지만, 미카(하키넨)가 오른쪽(안쪽)에서 추월할 줄은 예상하지 못했다"라고 말했고, 이어서 "놀랐다… 녀석들은 미쳤다고 무선으로 말했다"라고 답했다. 그 자리에는 레이스와 똑같은 위치에 하키넨과 슈마허가 양쪽에 앉아 있었고, 두 사람은 미소를 지으며 존타의 인터뷰를 듣고 있었다[244]。
제16전 일본 GP는 금요일 FP 주행부터 하키넨과 미하엘 슈마허만이 기록을 갱신하며 토요일 예선에 돌입했다. 이 해에도 3년 연속으로 두 사람만이 최고 기록을 다투는 전개가 되었다. 슈마허가 최고 기록을 내면, 하키넨이 앞서는 전개를 두 번 반복했다. 슈마허가 다시 역전하고, 하키넨은 마지막 어택에서 "최종 시케인의 출구에서 이상적인 가속을 할 수 없어, 거기서 기록을 벌지 못했다"라고 말하며 0.009초 차이로 그리드는, PP에 슈마허, 2위 하키넨으로 프론트 로우를 나누어 가졌다.
일요일 결승에서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스타트에서 슈마허가 옆으로 밀어 하키넨을 블록하려 했지만, 하키넨의 속도가 더 빨라 슈마허를 추월했다. 초반에는 1위 하키넨, 2위 슈마허로 계속 달리며, 평균 4초 전후의 차이를 벌리고 좁히는 긴박한 전개로 레이스가 진행되었고, 양측(양 팀)의 피트 전략으로 승부가 결정될 상황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1, 2번째 피트 스탑을 각각 하키넨보다 늦게 들어간 슈마허에게는, 날씨도 도움이 되어 승부의 명암을 갈랐다.
특히 하키넨은 2번째 피트 아웃 시점에 비가 내리기 시작했고, 아직 열이 오르지 않은 타이어와 복귀한 위치에는 페드로 데 라 로사를 포함해 랩 횟수가 뒤쳐진 차량이 4대나 있었다. 약간 거세진 비로 랩 횟수가 뒤쳐진 머신들이 젖어가는 노면에서 라인을 유지하는 것을, 연료가 무거운 상태에서 추월해 나가는 하키넨에 비해, 피트 스탑을 하지 않아 연료가 가벼운 슈마허는 앞에 랩 횟수가 뒤쳐진 머신도 없었고, 자신은 3랩 후에 대비한 2번째 피트 인까지, 스퍼트를 걸어 마진을 벌 수 있었고, 역전에 성공했다.[238]
13랩을 남기고, 선두를 지키는 슈마허를 하키넨은 필사적으로 추격했지만, 평균 3초 전후의 차이로 상황은 변하지 않았고, 마지막까지 슈마허를 따라잡을 수 없었다. 이 레이스에서 승리한 슈마허가 2000년 월드 챔피언을 획득하며, 하키넨의 3년 연속 월드 챔피언을 저지했다. 그러나 하키넨은 파이널 랩의 53랩째에 강우 속에서 1분 39초 577의 기록을 기록했고, 이는 드라이 노면에서 자신이 낸 최고 랩 타임과 0.4초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브리지스톤의 엔지니어들을 "경이적으로 빠르다"라며 감격하게 했다.[238]

연도 | 팀 | 섀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순위 | 포인트 |
---|---|---|---|---|---|---|---|---|---|---|---|---|---|---|---|---|---|---|---|---|
2000년 | MP4-15 | AUS | BRA | 'SMR' | GBR | ESP | EUR | MON | CAN | FRA | AUT | GER | HUN | BEL | ITA | USA | JPN | MAL | 2위 | 89 |
3. 2. 9. 2001년
2001년은 잦은 MP4-16의 트러블로 리타이어를 거듭하며 챔피언십 경쟁에서 탈락하는 시즌이 되었다.개막전 오스트레일리아 GP에서는 2위 주행 중 25번째 랩에 오른쪽 앞 서스펜션 암이 갑자기 부러져 타이어 배리어에 심하게 충돌했다. 론 데니스는 "작전상 하키넨이 이길 수 있었던 레이스"라고 말했지만, 후에 하키넨은 이 사고로 은퇴에 대해 다시 생각했다고 털어놓았다[219][220]。개막전을 3년 연속 리타이어로 시작했고, 제7전 모나코 GP에서는 15번째 랩에 변속기 고장으로 이탈했다. 제3전 브라질 GP에서 클러치, 제6전 오스트리아 GP에서 런치 컨트롤, 제10전 프랑스 GP에서 기어 박스와, 이 3개의 그랑프리는 결승 스타트 직후 1바퀴도 달리지 못하고 리타이어했다. 그리고 제5전 스페인 GP는 2위와 큰 차이를 벌리며 최종 랩에서 리타이어하여, 아쉬움을 감출 수 없었다.
제10전 프랑스 GP 종료 시점에서는, 두 경기에 한 번 꼴로 머신 트러블로 리타이어하고 있었지만, 이것으로는 신뢰성이 높은 F2001을 탄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에 대항하는 것이 어려워져, 하키넨의 모티베이션 저하도 현저해졌다. 또한, 레이스 위크 사이에 전 세계를 돌아다니는 프로모션 활동에도 피로를 느꼈다. 이러한 원인들이 하키넨에게 은퇴의 뜻을 굳히게 했다고 전해지지만, 데니스의 설득도 있어, 제15전 이탈리아 GP에서 2002년 시즌을 휴양할 것을 발표했다. 비어있는 시트에는 신인 키미 라이코넨이 발탁되었다.[220]
지난 4년 중 최악의 시즌이었지만, 슈마허와 배틀을 벌인 제11전 영국 GP와, 프리 연습 중의 페널티로 2위에서 4위로 출발이 밀렸지만 타이어를 아껴 다른 드라이버보다 피트 스톱을 늦춘 원 스톱 작전의 제16전 미국 GP에서 각각 승리를 거두며, 리타이어한 스페인 GP를 포함하여, 속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최종전 일본 GP에서는 3위를 주행하고 있었지만, 드라이버 랭킹 2위를 팀 동료 데이비드 쿨사드와 페라리의 루벤스 바리첼로가 다투고 있었다. 하키넨은 4위에 있던 쿨사드를 자신의 앞으로 먼저 보내, 쿨사드는 3위 입상을 달성, 랭킹 2위를 획득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것이 하키넨의 F1 그랑프리 마지막 레이스가 되었다.
2001년 | MP4-16 | AUS | MAL | BRA | SMR | ESP | AUT | MON | CAN | EUR | FRA | GBR | GER | HUN | BEL | ITA | USA | JPN | 5위 | 37 |
---|
3. 2. 10. 2002년
하키넨은 메르세데스-벤츠의 본거지인 독일 GP에서 공식적으로 F1 은퇴를 발표했다. 그 후, 코멘테이터로서 F1과 관련된 활동을 시작하여, 모국 핀란드의 F1 디지털 TV와 계약을 체결했다. 2001년 미국 GP부터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했다.4. F1 은퇴 이후
2002년 7월, 9개월간의 휴식 기간을 갖은 뒤 하키넨은 포뮬러 원 은퇴를 발표했다. 이후 하키넨은 2001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맥라렌 팀 대표 론 데니스에게 휴식에 대한 합의를 구했고, 이듬해 모나코에 다시 돌아와 데니스와 완전한 은퇴를 논의하고 합의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09] 10월에 하키넨은 유료 채널인 Canal Digital의 해설자로 데뷔하여 미국 그랑프리를 중계했다.[110]
2003년, 하키넨은 아르토 카파넨과 함께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WRC2를 운전하며 핀란드 랠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11] 그는 랠리에 전념할 생각은 없으며, 드라이버 컨트롤에 대해 배우는 것이라고 말했다.[112] Arctic Rally에 데뷔한 하키넨은 팀이 타이어를 교체하느라 4분이나 지연되어 30위로 경기를 마쳤다.[114] 2004년에는 Risto Pietiläinenfi와 함께 토요타 코롤라를 운전하며 다시 대회에 참가하여 7위를 기록했다.[115][116]
2004년 동안, 하키넨이 후안 파블로 몬토야가 떠난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 포뮬러 원에 복귀할 가능성이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5월에 맥라렌 팀 대표 론 데니스는 하키넨이 복귀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며 소문을 일축했다.[117] 하키넨은 B·A·R 및 윌리엄스와 협상했지만 포뮬러 원으로의 복귀를 결정하지 않았고, 2005년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시력이 나빠지기 때문에 다시 포뮬러 원 경주차를 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인생입니다".[118]
2004년 11월 6일, 하키넨은 HWA 팀 소속으로 2005년 독일 투어링카 마스터즈(DTM)에 데뷔했다.[119] 그는 게리 파펫, 장 알레지, 베른트 슈나이더와 함께 팀을 이루었다. 하키넨은 2001년 7월 브르노 서킷에서 슈나이더와 함께 투어링카를 운전한 경험이 있었다.[120] 2005년 DTM 데뷔 시즌에 하키넨은 호켄하임링에서 8위를 차지했고, 유로스피드웨이 라우지츠에서 DTM 경력상 첫 번째 포디움을 달성했다. 2주 후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에서 하키넨은 폴 포지션을 차지했고, 3번의 스타트 만에 첫 DTM 우승을 차지했다.[122] 2005 시즌 동안 총 30점으로 드라이버 챔피언십 5위를 기록했다.[172]
2005년 11월 15일, 하키넨은 2006 시즌에도 HWA와 함께할 것이라고 발표되었고,[123] 제이미 그린 등과 파트너를 이루었다. 2006년 DTM 시즌에는 25점을 얻어 6위로 시즌을 마쳤다.[172]
2006년 11월, 하키넨은 카탈루냐 서킷에서 맥라렌 MP4-21을 테스트했으며 79바퀴를 완주했다.[128] 2017년 인터뷰에서 2007 시즌에 맥라렌으로 복귀하기 위해 심도 있는 협상을 진행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차량 문제로 인해 계획이 무산되었다.[104]
2007년 1월 28일, 하키넨은 2007년 시즌에도 DTM에 잔류한다고 발표했다.[130] 이 시즌에 하키넨은 2승을 거두었으며, 22점을 획득하며 챔피언십에서 7위를 기록했다.[172]
2007년 11월, 하키넨은 경쟁 모터스포츠에서 은퇴한다고 발표했다.[136] 그는 "쉬운 결정은 아니었다"고 말했지만 "레이싱은 여전히 내 피 속에 흐르고 있으며, 이 결정이 기쁨을 위해 레이싱하는 것을 막는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137]
2008년 11월, 하키넨은 드라이버 매니지먼트에서 새로운 경력을 시작하여 과 함께 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38] 2019년 8월, 하키넨은 2019년 스즈카 10시간 레이스에 참가하여 맥라렌 720S GT3를 몰고, 이시우라 히로아키 및 쿠보타 카츠아키와 함께 레이스에 참가했다.[147]
하키넨과 엠마 키미래이넨은 2022년 2월 레이스 오브 챔피언에서 팀 핀란드를 위해 함께 경쟁했다.[148] 2023년에도 포뮬러 원 드라이버 발테리 보타스와 함께 레이스에 참가할 예정이다.[149][150]
2021년 12월, 하키넨은 스포츠 방송사 Viaplay의 포뮬러 원 분석가로 발표되었다.[151] 2022년부터 하키넨은 그랑프리 현장에서 상설 분석팀의 일원이 되었다.
5. 인물 및 평가
미카 하키넨은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 짐 클라크, 재키 스튜어트 등과 같이 비겁한 수단을 쓰지 않고도 챔피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클린 파이터의 대표적인 인물이다.[225] 소박하고 인정이 많으며, 취재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팬이 많다.[226] 특히 쓰가와 테츠오, 니시야마 히라오, 이마미야 마사코가 팬임을 공언하고 있다. 시바타 쿠니오는 하키넨이 "F1 세계에서는 드문 '평범한 사람'"이며, "기사도 이야기의 주인공처럼 승패보다 깨끗함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226]
미하엘 슈마허는 하키넨을 "최대의 라이벌"이라고 항상 공언해 왔으며,[227] "미카는 매우 빠르고, 항상 한계점에 있다. 챔피언십을 겨룰 상대가 되기에 부족함이 없다."라고 언급했다.[228] 또한 "그와 같은 라이벌을 가질 수 있어서, 나는 매우 영광이다."라고 덧붙였다.[228]
로터스 시절의 팀 동료였던 조니 허버트는 하키넨을 "변했지만, 나에게는 좋은 사람"이라고 평했다.[230]
맥라렌의 론 데니스는 1998년 시즌 헝가리 그랑프리에서 하키넨의 드라이빙에 대해 "정말 훌륭하다고 밖에 말할 수 없었다."라고 언급하며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232] 에이드리언 뉴이는 하키넨의 기술적인 피드백에 대해 "간결하고 정확했으며, 기술적인 피드백으로서는 매우 훌륭했다."라고 회고했다.[232]
데이비드 컬사드는 하키넨을 미하엘 슈마허와 비교하며 "미카의 장점은 F1 드라이버 중에서도 굴지의 속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233]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을 제작하는 일모어(Ilmor)의 마리오 일리엔은 "컴퓨터가 '더 이상 빠르게 달릴 수 없다'고 계산한 시간을 하키넨이 넘어섰다"고 말했다.[234]
현역 시절의 체격은 신장 178cm, 체중 67kg, 혈액형: A형Rh+.[224]
피터 윈저는 하키넨을 "오버스티어링" 드라이버라고 묘사하며, 이는 미끄러운 노면에서 그를 더 빠르게 만들었고 "테일 해피(tail-happy)"한 차가 그에게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했다.[152] 이것은 그가 중속 코너가 있는 서킷에서 더 나은 성적을 낼 수 있게 해주었다.[153]
6. 기타
하키넨은 1991년부터 모나코에 거주하고 있으며, 프랑스와 핀란드에도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9] 반타 시 마틴라크소에서 태어나 자랐는데, 이곳에는 카트 시절부터 라이벌이었던 2살 연상의 미카 살로도 살고 있었고, 각자의 생가는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현재, 그들이 소년 시절을 보낸 이 지역은 "MIKA-MIKA-LAND"라고 불리며, 헬싱키 시 근교에서는 꽤 유명한 관광 명소가 되었다. 또한, 두 사람이 다녔던 마틴라크소 초등학교 앞에는 1999년 말, 2년 연속으로 월드 챔피언에 오른 것을 기념하여 기념비가 세워졌고, '미카 하키넨 스퀘어'(Mika Häkkinen SQUARE)라는 광장도 만들어졌다.
하키넨은 외발자전거를 잘 타서, 로터스 시절에는 파독에서 공동 기자 회견에 외발자전거를 타고 나타나거나, 월드 챔피언 획득 후, 고국 핀란드의 서커스에서 외발자전거를 타고 등장하는 등, 천진난만한 면모를 보였다[248]。
하키넨은 일본을 위한 몇 편의 CM에 출연했는데, 그중에서도 시오노기 제약의 「신 포폰 S 정」이 인상적이었다. 1992년(헤이세이 4년) 여름부터 방영된 이 CM은 당시 팀 동료였던 조니 허버트와 함께 출연했다. 또한, 로터스를 스폰서했던 타미야, 옐로우햇, 고마츠 제작소, 시오노기 제약과의 관계 때문에, 일본 GP의 이벤트인 전야제에 게스트로 초청되거나, 맥라렌의 스폰서였던 로열 더치 셸의 일본 법인인 쇼와 셸 석유의 CM에도 출연했다. 하키넨이 월드 챔피언을 결정한 레이스는 두 번 모두 일본 그랑프리였다.
1995년 최종전 오스트레일리아 GP 예선에서 치명적인 부상을 입는 사고를 당했다. 이 사고로 입원했을 때 헌신적으로 간호해 준 동향 출신 연인 일리야 혼카넨과 1998년에 결혼했다. 2008년 2월에 각국 미디어에서 "하키넨 부부 이혼"이라는 보도가 나온 후[249], 별장의 화재 당시 새로운 여자 친구의 존재가 드러나는 등, 본인의 공식 코멘트는 없지만 이미 이혼한 것은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1996년최종전 일본 GP에서 3위를 차지한 하키넨은 레이스 후 기자 회견에서 이 레이스에서 우승하여 월드 챔피언을 결정한 데이먼 힐로부터 "너에게도 같은 날이 올 거야"라는 말을 들었다. 2년 뒤 1998년같은 최종전 일본 GP에서 하키넨이 첫 월드 챔피언을 결정짓고, 같은 기자 회견장에서 "그 때는 상상도 못했지만, 드디어 이 날이 왔어"라고 말했다.
1990년 마카오 GP에서 미하엘 슈마허와의 충돌 후, 장갑을 내던지고 가드레일을 치며 울면서 피트로 돌아갔다. 1999년1999년 제14전 이탈리아 GP의 리타이어에서는 스티어링 휠을 내던지고 머신에서 내려, 장갑을 땅에 내던진 후 피트로 돌아가는 길에 숲 속에서 쪼그리고 앉아 울었고, 그 모습이 비춰졌다.
2000년제7전 모나코 GP에서 하키넨은 예선 어택 중, 모두 황색 깃발이 휘날려 제대로 된 타임 어택을 하지 못했고, 그리드는 5위라는 불만족스러운 결과였다.
2008년 5월, 미카 하키넨의 3층짜리 별장이 남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에서 화재를 겪었다. 다행히 부상자는 없었지만, 2개 층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화재 원인은 트로피 진열 캐비닛의 전기 고장으로 밝혀졌다. 이 저택은 1200만 달러(약 124억 8480만 원) 상당의 10개의 침실을 갖춘 대규모 저택으로, 완공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이 사건에 대해 카와이 카즈히토가 인터뷰를 진행했는데, 하키넨은 "트로피를 잃었으니, 다시 레이스를 할까"라고 말하며 대수롭지 않게 반응했다고 한다.[158]
참조
[1]
웹사이트
On this week #39: Mika Häkkinen
https://www.pirelli.[...]
2024-10-07
[2]
웹사이트
Legender: Mika Hakkinen
http://www.bmf1.dk/n[...]
bilmagasinet.dk
2014-11-02
[3]
웹사이트
Drivers: Mika Salo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11-02
[4]
간행물
F1 Legends – Mika Hakkinen
Sky Sports
2012-06-24
[5]
웹사이트
Le fil de Mika
http://www.radio-can[...]
2014-09-07
[6]
웹사이트
Farewell Mika Hakkinen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02-08-02
[7]
서적
Mika Hakkinen: Doing what comes naturally
Haynes Publishing
1997
[8]
논문
How I Spend it with Mika Hakkinen
http://www.thepaddoc[...]
2010
[9]
논문
Lunch with...Mika Hakkinen
http://www.motorspor[...]
2010-09
[10]
웹사이트
Mika Häkkinen
https://www.driverdb[...]
DriverDB
2014-11-01
[11]
웹사이트
Formula 1: Future world champion was nearly passed over in junior ranks over trip to pub
http://www.foxsports[...]
2015-04-28
[12]
웹사이트
1991 Monaco GP
http://www.chicanef1[...]
ChicaneF1
2014-11-02
[13]
웹사이트
1991 Canadian GP
http://www.chicanef1[...]
ChicaneF1
2014-11-02
[14]
웹사이트
Julian Bailey
http://www.espn.co.u[...]
ESPN Internet Ventures
2014-11-01
[15]
웹사이트
We are the Champions
http://atlasf1.autos[...]
Haymarket Publications
1998-11-04
[16]
웹사이트
Farewell Johnny Herbert!
http://www.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00-10-21
[17]
웹사이트
Grand Prix Results: German GP, 1992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2-07-26
[18]
웹사이트
1993 and Hakkinen – What Really Happened?
http://atlasf1.autos[...]
Haymarket Publications
1997-04-02
[19]
웹사이트
Interview – Mika Hakkinen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3-09-01
[20]
웹사이트
Japanese Grand Prix – facts and figures
http://www.formula1.[...]
Formula One Management
2007-09-27
[21]
웹사이트
Grand Prix Results: Australian GP, 1993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11-06
[22]
웹사이트
Motor Racing: Hakkinen's contract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Print Limited
1993-12-04
[23]
웹사이트
McLaren's brief flirtation with the Chrysler empire
http://8w.forix.com/[...]
8w.forix
2001
[24]
웹사이트
1994: Brazil: Race
http://www.formula1.[...]
Formula One Management
2014-11-06
[25]
웹사이트
1994 Pacific GP
http://www.chicanef1[...]
ChicaneF1
2014-11-06
[26]
웹사이트
Super qualifier gets Peugeot break
http://8w.forix.com/[...]
8w.forix
1998-06
[27]
웹사이트
Grand Prix Results: Belgian GP, 1994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11-06
[28]
웹사이트
McLaren's cockpit cock-up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5-03-13
[29]
웹사이트
Mansell faces retirement after McLaren exit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Print Limited
1995-05-24
[30]
서적
Autocourse
Hazleton Publishing
1995-12
[31]
웹사이트
Herbert's Endurance Pays Off In Italian Grand Prix Victory
http://www.themoscow[...]
Independent Media Sanoma Magazines
1995-09-12
[32]
웹사이트
Magnussen impresses for McLaren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5-10-23
[33]
웹사이트
Suzuka: The Halloween Grand Prix
http://atlasf1.autos[...]
Haymarket Publications
1999-10-27
[34]
웹사이트
Hakkinen hurt in Adelaide
https://www.grandpri[...]
2021-03-20
[35]
웹사이트
Hakkinen's future
https://www.grandpri[...]
2020-05-06
[36]
웹사이트
Lunch with... Mika Häkkinen
https://www.motorspo[...]
2014-07-07
[37]
웹사이트
Dr. Watkins, Guardian Angel
http://www.caranddri[...]
Hachette Filipacchi Media U.S., Inc.
2002-10-01
[38]
웹사이트
The second chance: Mika Hakkinen – The day two luckily placed doctors saved the soon to be champion
https://www.gptoday.[...]
2022-01-06
[39]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Formula One
Parragon
[40]
웹사이트
Urban Exploring: Gilligan's Island
http://www.awesomead[...]
Awesome Adelaide
2019-10-01
[41]
웹사이트
New McLaren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1996-02-11
[42]
웹사이트
Hakkinen tests at Ricard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6-02-05
[43]
웹사이트
Warming up; Hill dominates again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1996-04-07
[44]
웹사이트
McLaren slide into the depths
https://www.theguard[...]
Telegraph Media Group
2002-07-08
[45]
웹사이트
Round 11: 'It was always going to be close'
http://atlasf1.autos[...]
Haymarket Publications
1996-07-30
[46]
웹사이트
Hakkinen stays at McLaren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6-09-16
[47]
웹사이트
Hakkinen to Benetton?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6-06-17
[48]
웹사이트
Grand Prix Results: Portuguese GP, 1996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6-09-22
[49]
웹사이트
Grand Prix Results: Monaco GP, 1997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7-05-11
[50]
웹사이트
Grand Prix Results: British GP, 1997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7-07-13
[51]
웹사이트
Sport: Formula 1 Race summaries: 1997 season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998-03-05
[52]
웹사이트
Mika Hakkinen: Count your Blessings and Ask for More
http://atlasf1.autos[...]
Haymarket Publications
1998-10-28
[53]
웹사이트
Stewart unveil the SF2; Minor problems for Ferrari; Coulthard: we are looking strong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1998-01-13
[54]
웹사이트
Protest lodged over Hakkinen win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998-03-09
[55]
웹사이트
Hakkinen ends weekend on a high (Brazilian GP)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1998-03-29
[56]
웹사이트
Montreal 1998 – carnage in Canada
http://www.formula1.[...]
Formula One Management
2005-06-11
[57]
웹사이트
Hakkinen, Coulthard and Irvine confirmed for 1999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1998-08-03
[58]
서적
Motor Racing's Strangest Races: Extraordinary But True Stories from Over a Century of Motor Racing
Anova Books
[59]
웹사이트
Schumacher wins Italian GP
http://old.chronicle[...]
1998-09-14
[60]
뉴스
Hakkinen roars to world crown
https://news.google.[...]
The Nation Company, L.P.
1998-11-01
[61]
웹사이트
UK: Annual Autosport Awards Ceremony
http://www.itnsource[...]
Independent Television News
1998-12-07
[62]
웹사이트
Formulaväki yllättyi Vuoden urheilija -valinnasta.
http://www.iltalehti[...]
Alma Media
2007-12-19
[63]
웹사이트
Special Stamp for Mika Häkkinen
http://www.pmk.posti[...]
pmk.posti.fi
2014-11-17
[64]
웹사이트
Deconstructing Mika: What Happened at McLaren in 99?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1999-11-03
[65]
웹사이트
Hakkinen takes Brazilian Grand Prix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999-04-28
[66]
웹사이트
San Marino GP: Hakkinen out
http://www.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1999-05-02
[67]
웹사이트
Hakkinen edges Irvine to claim back-to-back titles
http://en.espnf1.com[...]
ESPN Sports Media
1999-01-01
[68]
웹사이트
Hakkinen and Coulthard Stay at McLaren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1999-08-01
[69]
웹사이트
Grand Prix of Germany Review
http://atlasf1.autos[...]
Haymarket Publication
1999-08-01
[70]
뉴스
AUTO RACING; Hakkinen Leads Team To 1–2 Finish In Hungary
https://www.nytimes.[...]
1999-08-16
[71]
웹사이트
Coulthard wins at Spa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9-07
[72]
웹사이트
Hakkinen spins Frentzen into title picture
https://www.espn.com[...]
ESPN Inc.
2014-09-07
[73]
웹사이트
PLUS: AUTO RACING – JAPANESE GRAND PRIX; Hakkinen Reclaims Formula One Title
https://www.nytimes.[...]
2014-09-07
[74]
웹사이트
1999: All Drivers
http://www.formula1.[...]
Formula One Management
2014-09-07
[75]
웹사이트
Armstrong wins Reuters sports personality of the year poll
http://www.hurriyetd[...]
Doğan Media Group
2014-11-10
[76]
웹사이트
Autosport Awards: Hall of Fame
http://www.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09-12-17
[77]
웹사이트
Hakkinen voten Sportsman of the Year in HS straw poll
http://www2.hs.fi/en[...]
Sanoma
2014-11-17
[78]
웹사이트
Hakkinen Loses to Skiing Champion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2014-11-17
[79]
웹사이트
Hakkinen gears up for tough 2000
http://www.gpupdate.[...]
gpupdate.com
2014-09-08
[80]
웹사이트
Schumacher perfect so far in 2000
https://www.espn.com[...]
ESPN Inc
2014-09-08
[81]
웹사이트
Hakkinen leads McLaren's 1–2 finish
https://www.espn.com[...]
ESPN Inc
2014-09-08
[82]
웹사이트
Home glory for Schumacher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9-08
[83]
웹사이트
French Grand Prix: Coulthard makes his move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2014-09-08
[84]
웹사이트
McLaren confirms Hakkinen and Coulthard for 2001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09-11
[85]
웹사이트
McLaren disappointed at FIA ruling, but will not appeal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09-08
[86]
웹사이트
Hakkinen Takes F-1 Lead
http://www.cbsnews.c[...]
CBS Corporation
2014-09-08
[87]
웹사이트
Hakkinen wins Belgian thriller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9-08
[88]
웹사이트
Italian Grand Prix: Emotional Schumacher closes gap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2014-09-09
[89]
웹사이트
McLaren Lick Wounds after Double Disappointment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2014-09-09
[90]
웹사이트
Schumacher is World Champion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09-09
[91]
웹사이트
Hakkinen and son hope for boost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9-08
[92]
웹사이트
Hakkinen hopes to feel less pressure in 2001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09-16
[93]
웹사이트
Hakkinen Crashes Out of the Australian GP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2014-09-08
[94]
웹사이트
McLaren down in the dumps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09-08
[95]
웹사이트
Hakkinen: Title hopes are still alive
http://news.bbc.co.u[...]
8 September 2014
2014-10-04
[96]
웹사이트
Satisfied Hakkinen Praises Ralf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2014-10-04
[97]
웹사이트
Hakkinen left to curse his luck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9-08
[98]
웹사이트
Hakkinen to Blame for Stalling in Austria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2014-09-08
[99]
웹사이트
Michael Schumacher Wins his Fifth Monaco GP
http://www.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14-09-08
[100]
웹사이트
Häkkinen finally makes the podium in Canadian GP
http://www2.hs.fi/en[...]
Sanoma
2014-09-08
[101]
웹사이트
Hakkinen retirement decision in the balance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09-08
[102]
웹사이트
Hakkinen wins British GP
http://www.news24.co[...]
Nasper
2014-09-08
[103]
웹사이트
Both Finns fail to finish at Hockenheim F1 Grand Prix
http://www2.hs.fi/en[...]
Sanoma
2014-11-02
[104]
웹사이트
Mika Häkkinen paljastaa: paluu F1-sirkukseen kariutui McLarenin surkeaan autoon
http://www.hs.fi/urh[...]
2017-08-15
[105]
웹사이트
Hakkinen takes a break from F1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2014-09-08
[106]
웹사이트
Fear made Hakkinen quit
http://www.itv-f1.co[...]
ITV plc
2015-09-14
[107]
웹사이트
Hakkinen charges back from pit-lane penalty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2014-09-08
[108]
웹사이트
Thankful Hakkinen Ready for F1 Break
http://www.atlasf1.c[...]
Haymarket Publications
2014-10-04
[109]
웹사이트
Hakkinen announces retirement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10-04
[110]
웹사이트
Mika takes to the microphone
http://www.news24.co[...]
Naspers
2014-11-18
[111]
웹사이트
Hakkinen to compete in Arctic Rally
http://www.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14-10-04
[112]
웹사이트
Hakkinen back behind the wheel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10-04
[113]
웹사이트
Hakkinen set for Arctic Rally
http://a.espncdn.com[...]
ESPN Internet Ventures
2014-10-04
[114]
웹사이트
Hakkinen gets taste for rallying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10-04
[115]
웹사이트
Another Rally for Hakkinen
http://www.gpupdate.[...]
GPupdate.com
2014-10-31
[116]
웹사이트
Mika Hakkinen takes part in Arctic Lapland Rally
http://www.arcticral[...]
arcticrally.fi
2014-10-31
[117]
웹사이트
Hakkinen return dismissed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10-04
[118]
웹사이트
Hakkinen rules out F1 return
http://m.gpupdate.ne[...]
GPUpdate.com
2014-10-30
[119]
웹사이트
Mika Häkkinen to race in the 2005 DTM
http://www.dtm.com/e[...]
2014-09-10
[120]
웹사이트
Hakkinen tries DTM Mercedes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11-18
[121]
웹사이트
Family Trip in the Snow
http://www2.dtm.com/[...]
DTM.com
2014-10-31
[122]
웹사이트
Hakkinen lands first DTM victory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9-10
[123]
웹사이트
Mika Häkkinen Continues in the 2006 DTM
http://www.dtm.com/e[...]
Deutsche Tourenwagen Masters
2014-09-15
[124]
웹사이트
Hakkinen aims to fight for title
http://www.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14-09-16
[125]
웹사이트
Häkkinen to contest the Arctic Lapland Rally
http://www.dtm.com/e[...]
DTM.com
2014-10-31
[126]
웹사이트
41. Arctic Lapland Rally 2006
http://www.ewrc-resu[...]
ewrc-results.com
2014-10-31
[127]
웹사이트
Bruno Spengler wins season finale
http://www.touringca[...]
2014-10-03
[128]
뉴스
Hakkinen well off the pace in McLaren test
http://uk.reuters.co[...]
2014-11-18
[129]
웹사이트
Hakkinen to make McLaren return on Thursday
http://www.formula1.[...]
Formula One Management
2014-11-18
[130]
웹사이트
Hakkinen stays in DTM
http://www.gpupdate.[...]
2014-09-16
[131]
웹사이트
Half the points for the round held at the EuroSpeedway Lausitz
http://www.dtm.com/e[...]
Deutsche Tourenwagen Masters
2014-09-16
[132]
웹사이트
Schneider, Tomczyk celebrate double German victory in England
http://www.dtm.com/e[...]
Deutsche Tourenwagen Masters
2014-10-03
[133]
웹사이트
Spengler winner at Norisring
http://www.touringca[...]
TouringCarTimes
2014-11-01
[134]
웹사이트
Häkkinen flies from 15th on the grid to DTM victory at Mugello
http://www.dtm.com/e[...]
Deutsche Tourenwagen Masters
2014-10-03
[135]
웹사이트
Penalties for Häkkinen & La Rosa
http://www.touringca[...]
2014-10-03
[136]
웹사이트
Mika Hakkinen retires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14-10-04
[137]
웹사이트
Au revoir Mika
http://www.topgear.c[...]
Top Gear
2014-10-04
[138]
웹사이트
Hakkinen moves into driver management
http://www.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14-10-04
[139]
뉴스
Raikkonen & Hakkinen to Compete in the 2009 Arctic Lapland Rally
http://www.autoevolu[...]
SoftNews NET.
2014-10-31
[140]
웹사이트
Raikkonen leads F1 charge in Arctic Rally
http://www.sepangcir[...]
sepangcircuit.com
2014-10-31
[141]
웹사이트
Mika Häkkinen to race at Zhuhai
http://www.24h-leman[...]
24h-lemans.com
2011-10-19
[142]
웹사이트
ILMC 6 Hours of Zhuhai Race Final Classification
http://www.lemans.or[...]
Intercontinental Le Mans Cup
2011-11-13
[143]
웹사이트
Mika Hakkinen joins Erebus Motorsport for GT Asia event
http://www.motorspor[...]
Motorsport.com
2013-09-26
[144]
웹사이트
AMG Customer Sports Team Erebus Motorsport Win on GT Asia Series Debut in Zhuhai
http://www.hwaag.com[...]
HW AAG
2013-10-14
[145]
웹사이트
Mika Hakkinen returns to McLaren F1 in partner ambassador role
http://motorsports.n[...]
2017-03-16
[146]
웹사이트
Mika Häkkinen & Pato O'Ward
https://www.instagra[...]
Meta
[147]
웹사이트
Hakkinen to contest Suzuka 10 Hours with McLaren
https://www.motorspo[...]
2019-04-09
[148]
뉴스
2-time Formula 1 World Champion, Mika Hakkinen,Joins Race Of Champions 2022.
https://www.raceofch[...]
2021-10-20
[149]
뉴스
Bottas pulls out of Race of Champions, replaced by Kimilainen
https://www.racefans[...]
RaceFans.net
2022-02-04
[150]
뉴스
Valtteri Bottas to make Race Of Champions debut on Swedish ice
https://www.raceofch[...]
2022-11-02
[151]
웹사이트
Onder meer Häkkinen, Coulthard, Van der Garde en Albers op shortlist van Viaplay
https://www.f1maxima[...]
2021-12-05
[152]
웹사이트
Do Champions Need Team Orders?
http://atlasf1.autos[...]
Haymarket Publications
1998-08-12
[153]
웹사이트
David Coulthard: The Quest For Success
http://atlasf1.autos[...]
Haymarket Publications
2000-02-23
[154]
웹사이트
Hakkinen reverts to left-foot braking
http://www.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06-07-06
[155]
웹사이트
Engineering the Greats: Adrian Newey
https://www.youtube.[...]
Motor Sport
[156]
웹사이트
Formula 1's greatest drivers. Number 14: Mika Hakkinen
https://www.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06-05
[157]
웹사이트
Formula 1's Greatest Drivers – 15: Mika Hakkinen
http://greatestdrive[...]
Haymarket Publications
[158]
뉴스
Hakkinen loses his house
http://www.grandprix[...]
Inside F1, Inc.
2008-05-18
[159]
웹사이트
Hakkinen and wife Erja to divorce
http://en.f1-live.co[...]
[160]
웹사이트
Mika Häkkinen ja Marketa juhlivat häitään Rovaniemellä
https://www.iltaleht[...]
Ilta-Sanomat
2017-01-14
[161]
웹사이트
Tässä on Mika Häkkisen ja Marketan Ella-vauva
http://www.iltasanom[...]
Ilta-Sanomat
2011-01-10
[162]
웹사이트
Häkkinens tvillingar fick namn
http://gamla.hbl.fi/[...]
KSF Media
2014-02-06
[163]
웹사이트
Johnnie Walker extends its relationship with Mika Hakkinen as global responsible drinking ambassador for its F1 sponsorship programme
http://www.diageo.co[...]
2012-09-12
[164]
웹사이트
Partners
https://www.ubs.com/[...]
[165]
웹사이트
F1 Champ Häkkinen to be Nokian 'ambassador'
http://www.tirebusin[...]
2016-02-17
[166]
웹사이트
Mika Häkkinen {{!}} Racing career profile
https://www.driverdb[...]
[167]
웹사이트
Mika Hakkinen leads Eddie Irvine and Michael Schumacher at the start of the race at Macau GP High-Res Professional Motorsports Photography
https://www.motorspo[...]
[168]
웹사이트
Porsche Supercup 1993 standings {{!}} Driver Database
https://www.driverdb[...]
[169]
서적
Mika Hakkinen: Doing What Comes Naturally
https://archive.org/[...]
Haynes Publishing
[170]
웹사이트
Mika Hakkinen – Formula One Series Results (Races)
https://www.racing-r[...]
Racing-Reference
[171]
웹사이트
All championship race entries, by Mika Häkkinen
https://www.chicanef[...]
ChicaneF1
[172]
웹사이트
Mika Hakkinen
https://www.motorspo[...]
[173]
웹사이트
Mika Hakkinen – Career and Success
https://www.speedspo[...]
Speedsport Magazine
[174]
문서
『オートスポーツ』を発行する三栄書房のF1速報誌で、1988~2004年に発行されていた(現在は休刊中)。ハッキネンは長年コラムを連載していた。
[175]
간행물
インタビュー ミハエル・シューマッハ―
ニューズ出版
[176]
간행물
完全掲載!ミハエル・シューマッハ引退公式会見全発言
ソニーマガジンズ
[177]
웹사이트
Hall of Fame - World Champions : Mika Hakkinen
http://www.formula1.[...]
2010-08-25
[178]
웹사이트
ミカ・ハッキネン、ドライバーマネジメント業を開始
http://f1-gate.com/o[...]
2010-08-25
[179]
뉴스
暗躍する成功請負人・パーソナルマネージャーの「嘘」と「実」/ケケ・ロズベルグインタビュー
ソニーマガジンズ
1993-07
[180]
서적
F1倶楽部
双葉社
2000
[181]
간행물
'88マールボロ・ドライバー決定 F3000にアレジとバイドラー、ボクスホール・ロータス・チャレンジに2人の若手アラン・マクニッシュとミカ・ハッキネン
武集書房
1988-02
[182]
문서
시리즈 종료 후에 항의가 제출되어 챔피언은 데비드・브라밤이 되었다
[183]
웹사이트
Mika Hakkinen (Great Britain Test 1990)
https://f1-history.d[...]
[184]
서적
AS+F 1996年モナコGP号(ミカ・ハッキネン#注釈|注釈1)
三栄書房
1996
[185]
서적
F1ドキュメント
山海堂 (出版社)
2000
[186]
뉴스
<最速王伝説>ミカ・ハッキネン、スピードに愛された少年
文芸春秋
2000-03
[187]
문서
미하엘 슈마허도 아일톤 세나의 타임을 깨지만, 2분 21초 59와 0.71초 차이가 있어 예선 4번째에 에디・어바인, 7번째에 미카・사로가 들어갔다
[188]
간행물
GPX(F1 Grand Prix Xpress)
山海堂
1998
[189]
뉴스
미카・하키넨 언제나 압박 속에서
뉴즈출판
1991-11-15
[190]
뉴스
ZOOM UP DRIVER 미카・하키넨 F1계의 거인을 목표로
武集書房
1991
[191]
뉴스
GPX인터뷰 미카・하키넨
山海堂
1991-06-22
[192]
뉴스
자금 부족으로 활동 휴지에 빠져 있던 로터스 위기 회피인가 재건을 향해서
武集書房
1991-02-08
[193]
뉴스
하키넨이 로터스 진입, 케케・로즈베르그가 강력하게 추천
三栄書房
1991-02-01
[194]
뉴스
활동 중지의 위기에 빠져 있던 팀 로터스, 케케・로즈베르그의 강력한 지렛대에 의해 미카・하키넨과 올스트・슈벨이 팀에 가입.F1 참전은 확보될 것 같다.
武集書房
1991-03-11
[195]
뉴스
신연재미카・하키넨컬럼「바쁜 서커스의 일원에」
三栄書房
1991-05-01
[196]
뉴스
도중에 클러치가 망가졌지만 결과가 남아 기쁘다 5위에 입상한 미카・하키넨
武集書房
1991
[197]
문서
Sports Graphic Number PLUS March2000
文芸春秋
[198]
뉴스
장래의 투자까지 자금이 돌아가지 않는 현상의 로터스.사실 자금면에서는 상당히 괴로운데 이 팀은 잘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소니매거진스
1992-10
[199]
뉴스
밀착 르포・이탈리아GP의 72시간 미카・하키넨과 팀・로터스의 불가사의한 관계。by아카이쿠니히코 / Sports Graphic Number 301 '92F1일본GPプレビュー
문예춘추
1992-10-20
[200]
뉴스
싸우는 계속하는 젊은 영웅・차대의「챔피언」소질을 숨긴 로터스의 2명의 드라이버
소니매거진스
1992-11
[201]
뉴스
꿈으로의 야망・월드 챔피언으로의 길 미카・하키넨편「우선은 표창대를 노린다。그때부터라도 늦지 않다」
소니매거진스
1992-12
[202]
뉴스
의자 뽑기 게임 혼미의 골든 시트 아직 결착짓지 못하고
소니매거진스
1993-01
[203]
문서
프랑크・윌리엄스는 이 2개월간 맨셀,프로스트에 더해「무급이라도 윌리엄스에 타고 싶다」고 발언해 시트 획득을 희망한 아일톤・세나에 의한 시트 교섭으로 다망을 다했다。
[204]
뉴스
뉴즈출판
1998
[205]
뉴스
하키넨이 액티브FA14을 테스트
1993-08-01
[206]
서적
AS+F - '96년 개막직전호
三栄書房
1996
[207]
서적
AS+F - '96년 포르투갈GP호
三栄書房
1996
[208]
문서
로터스 시대의 예선 탈락 2회、1995년 오스트레일리아GP의 부상에 의한 결승 결장 (DNS) 、1997년 벨기에GP의 실격(연료 위반)을 제외한다。
[209]
서적
'97F1총집편 - AS+F
三栄書房
1997
[210]
서적
F1速報6/3호 「모나코GP号」
뉴즈출판
1999
[211]
서적
F1速報 - 1999総集編
ニューズ出版
1999
[212]
간행물
F1速報 - 開幕直前号
ニューズ出版
2000
[213]
웹사이트
Top 10 Tearjerkers in Formula 1
https://www.youtube.[...]
FORMULA 1
2020-10-26
[214]
잡지
F1グランプリ特集
ソニー・マガジンズ
2000-10
[215]
웹사이트
【F1モナコGP 速報】クルサ-ド優勝! 独走シューマッハのリタイア原因がこれだ
http://response.jp/a[...]
レスポンス自動車ニュース(Response.jp)
2010-08-25
[216]
웹사이트
Hakkinen Battles Schumacher At Spa {{!}} 2000 Belgian Grand Prix
https://www.youtube.[...]
FORMULA 1
2021-06-29
[217]
잡지
F1グランプリ特集
ソニー・マガジンズ
2000-12
[218]
웹사이트
ハッキネン引退せず---「モチベーションがある」
http://response.jp/a[...]
レスポンス自動車ニュース(Response.jp)
2010-08-25
[219]
간행물
GPX
山海堂
2001
[220]
간행물
2001F1総集編 - AS+F増刊
三栄書房
2001
[221]
웹사이트
鈴鹿10時間にミカ・ハッキネン&マクラーレンが参戦! 久保田克昭&石浦宏明とトリオ結成へ
https://www.as-web.j[...]
auto sport web
2020-10-26
[222]
웹사이트
「SUZUKA 10H」はハッキネンが乗る「Planex SmaCam Racing」に注目
https://car.watch.im[...]
Car Watch
2020-10-26
[223]
웹사이트
ミカ・ハッキネン、初の鈴鹿10Hは22位完走「素晴らしい経験になった」
https://jp.motorspor[...]
motorsport.com
2020-10-26
[224]
간행물
聞いたもん勝ち100の質問
三栄書房
1995
[225]
간행물
F1速報 「イギリスGP号」
ニューズ出版
2006
[226]
간행물
GPX
山海堂
1998
[227]
문서
定例記者会見
1998-09-24
[228]
간행물
GPX Round 4 SAN MARINO GP
山海堂
2001
[229]
문서
서킷
[230]
잡지
F1グランプリ特集
ソニー・マガジンズ
2001-02
[231]
문서
네지
[232]
잡지
F1グランプリ特集
ソニー・マガジンズ
1998-12
[233]
잡지
F1倶楽部
双葉社
2000
[234]
잡지
Sports Graphic Number
文藝春秋
1999-11
[235]
잡지
GRAND PRIX SPECIAL
ソニー・マガジンズ
2008-02
[236]
웹사이트
クールで、熱く、優しいミカ・ハッキネン
http://ms.bridgeston[...]
浜島裕英が語るF1ドライバー逸話
2010-08-25
[237]
간행물
F1速報8/22号 「ドイツGP号」
ニューズ出版
2002
[238]
잡지
F1グランプリ特集
ソニー・マガジンズ
2000-11
[239]
문서
빌뇌브가 6위 (1 포인트)의 경우는 양자 78 포인트로 나란히하지만, 그 경우는 우승 횟수의 차이 (빌뇌브 7 승, 슈마허 5 승)가 최종적인 판정 기준이되기 때문에.
[240]
간행물
GPX
山海堂
1998
[241]
문서
코스가 젖어있는 상태에서 레이스가 행해지는 것. 코스의 상태에 따라 드라이 레이스 (건조한 상태)와 젖은 레이스로 나뉜다. 시작 전에 어느 상태의 레이스인지 선언하고, 젖은 레이스가 선언 된 경우는 날씨 변화로 레이스가 중단되는 일은 없다.
[242]
간행물
GPX Round 13 Belgian GP
山海堂
2000
[243]
웹사이트
Hakkinen Surprises Schumacher With Double Overtake! {{!}} All The Angles {{!}} 2000 Belgian Grand Prix
https://www.youtube.[...]
FORMULA 1
2021-08-26
[244]
간행물
GPX Round 14 Italian GP
山海堂
2000
[245]
간행물
F1速報 - スペインGP号
ニューズ出版
2001
[246]
서적
GPX Round 5 Spanish GP
산해당
2001
[247]
간행물
F1속보 - 영국GP호
뉴즈출판
2001
[248]
서적
일본의 명레이스100선 062 '91F1일본GP
삼영서방
2010
[249]
뉴스
하키넨 부부, 파국인가
http://jp.f1-live.co[...]
F1-Live.com
[250]
서적
AS+F - F1 - 1998총집편
삼영서방
1998
[251]
문서
서킷에서 코스의 안전을 담당하는 계원의 것. 코스의 각 포인트에 다수 배치되어, 충돌이나 코스 아웃한 머신을 배제하거나, 상황에 따른 각 플래그를 제시, 흔드는 등 위험을 알리거나 한다. 또한 코스에 오일 누출 등의 이상이 없는지도 끊임없이 체크하고 있다.
[252]
문서
스즈카 서킷 내에 설치되어 있는 로그 캐빈 하우스의 것. 매년 레이스 종료 후, 여기서 파티가 열리지만, 월드 챔피언 결정 시에는 팀 멤버나 관계자가 아침까지 엉망진창으로 소란을 피우고 있다.
[253]
Youtube
Mika Hakkinen Teaches Captain Slow to Drive - Top Gear - BBC
http://www.youtube.c[...]
[254]
웹사이트
Championship points standings for the Formula 3 Italy 1990
https://www.driverdb[...]
[255]
웹사이트
Porsche Supercup 1993 standings
https://www.driverdb[...]
[256]
문서
임페리얼 타바코 그룹 산하 레임츠마사의 독일 향한 담배 브랜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