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수슬로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수슬로프는 1902년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나, 소련 공산당의 이념 담당 서기로 활동하며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시대 소련의 주요 정치인 중 한 명이었다. 그는 1930년대 이오시프 스탈린의 대숙청에 참여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게릴라 활동을 지휘했으며, 전후에는 이념 분야로 복귀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옹호했다. 흐루쇼프 실각에 기여하고 브레즈네프의 집단 지도 체제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1982년 사망 이후 권력 투쟁이 시작되었다. 그는 여러 훈장을 받았으며, 브레즈네프 시대의 강경 외교 노선을 주도하고, 동구권에 대한 소련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 -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빅토르 스테파노비치 체르노미르딘은 소련과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러시아의 초대 총리를 역임하며 가스프롬의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고, 체첸 분쟁 중재와 코소보 전쟁 외교, 우크라이나 주재 러시아 대사 등의 활동을 했으며, 그의 경제 정책과 독특한 화법으로도 알려져 있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은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볼셰비키 혁명에 기여하여 소련의 국가 원수를 역임했으며, 스탈린 시대에는 명목상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다 사망 후 국장으로 예우받았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사회주의 노동영웅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사회주의 노동영웅 - 라술 감자토프
다게스탄 공화국 출신 아바르인 시인 라술 감자토프는 캅카스 산맥의 자연과 풍속, 사랑, 우정을 소재로 시를 썼으며, 소련과 러시아에서 여러 훈장을 받으며 문학적 업적과 사회적 공로를 인정받았다.
미하일 수슬로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미하일 안드레예비치 수슬로프 |
로마자 표기 | Mikhail Andreyevich Suslov |
출생일 | 1902년 11월 21일 |
출생지 | 샤홉스코예,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982년 1월 25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
안장지 | 크렘린 벽 묘지, 모스크바 |
거주지 | 쿠투좁스키 프로스펙트 |
국적 | 소비에트 |
자녀 | 2명 |
직업 | 공무원 경제학자 |
모교 | 플레하노프 러시아 경제 대학교 |
소속 정당 | CPSU (1921–1982) |
정치 경력 | |
직책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제2서기 |
임기 시작 | 1965년 12월 6일 |
임기 종료 | 1982년 1월 25일 |
이전 |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
이후 | 콘스탄틴 체르넨코 (데 팍토) |
직책2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이념 담당 선임 서기 |
임기 시작2 | 1948년 8월 31일 |
임기 종료2 | 1982년 1월 25일 |
이전2 | 안드레이 즈다노프 |
이후2 | 콘스탄틴 체르넨코 (대행) |
직책3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스타브로폴 지방 위원회 제1서기 |
임기 시작3 | 1939년 |
임기 종료3 | 1944년 11월 |
이전3 | 드미트리 곤차로프 |
이후3 | 알렉산드르 오를로프 |
직책4 | 중앙위원회 선전부 부장 |
임기 시작4 | 1949년 - 1952년 |
직책5 | 프라우다 편집장 |
임기 시작5 | 1949년 - 1950년 |
직책6 | 중앙위원회 선동 및 선전부 부장 |
임기 시작6 | 1947년 - 1948년 |
직책7 | 중앙위원회 국제부 부장 |
임기 시작7 | 1946년 - 1949년, 1953년 - 1954년 |
중앙 기관 회원 | 1952–1953 & 1955–1982: 정회원, 19차, 20차–21차, 22차, 23차, 24차, 25차, 26차 정치국 1947–1982: 위원, 18차, 19차, 20차–21차, 22차, 23차, 24차, 25차, 26차 서기국 1946–1952: 18차 조직국 1939–1984: 정회원, 18차, 19차, 20차, 22차, 23차, 24차, 25차, & 26차 중앙위원회 |
군사 복무 | |
충성 | 소비에트 연방 |
복무 기간 | 1941–1945년 |
소속 | 소비에트 파르티잔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캅카스 전투 발트해 연안 게릴라전 헝가리 봉기 |
수상 | |
훈장 | 사회주의 노동 영웅 (2회) |
2. 생애
1902년 러시아 제국 샤홉스코예 마을의 소작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1921년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에 입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28년 플레하노프 모스크바 국민 경제 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와 산업 아카데미에서 교수로 근무했다. 1931년부터 소련 공산당 중앙통제위원회에 합류하면서 내무인민위원회(NKVD)의 고위 관리로 근무했다. 1930년대 이오시프 스탈린이 주도한 대숙청에 참가하여 공산당 내 레프 트로츠키, 니콜라이 부하린,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등 반대파 숙청에 기여했다.
1937년 로스토프주 공산당 서기, 1939년 스타브로폴 지방 공산당 제1비서를 역임하면서 빠르게 승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스탈린의 지시를 받고 체첸인, 잉구쉬인 등 캅카스 지방의 여러 민족을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1944년에는 리투아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활동하면서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자"로 규정된 약 6만 명의 리투아니아인들을 시베리아로 추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슬로프는 이념 분야에서 활동했다. 1946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선전부장, 1949년 소련 공산당 기관지 《프라우다》 편집장을 역임했고, 1950년 6월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47년 코민포름 결성과 1948년부터 1949년까지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코민포름 제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52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1953년 스탈린 사망으로 해임되었다.
1956년 제20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으로 선출된 이후 니키타 흐루쇼프를 지지했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시대에는 소련 최고 소비에트 외교위원장을 역임하면서 소련의 강경 외교 정책을 지지했다. 사회주의 노동영웅 칭호, 레닌 훈장, 10월 혁명 훈장, 대조국 전쟁 훈장 등을 받았다.
1982년 1월 25일 심장병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장례식은 국장으로 진행되었다. 시신은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 위치한 크렘린 네크로폴리스에 안치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02년 11월 21일 러시아 제국 사라토프현 흐발린스크 우예즈드 샤호프스코예(오늘날 울리야노프스크주 파블롭스키 구)에서 태어났다. 1918년 사라토프 지역 콤소몰 조직에서 활동을 시작하여 빈곤 구제 위원회 회원이 되었다.[1] 콤소몰에서 약 3년 동안 활동한 후, 1921년 전연방 공산당(볼셰비키) 당원이 되었다.[1] ''랍팍''을 졸업한 후, 1924년부터 1928년까지 플레하노프 국립경제 연구소에서 경제학을 공부했다.[1] 1928년 여름 졸업 후, 붉은 교수 연구소에서 경제학 석사 과정(연구원)이 되었고,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와 산업 아카데미에서 가르쳤다.[1]1931년, 당 기구에 헌신하기 위해 교직을 포기하고 공산당 당 통제 위원회와 노동자 및 농민 검사 인민 위원회의 조사관이 되었다.[1]
2. 2. 정치 입문과 초기 경력
수슬로프는 1918년 사라토프 지역 콤소몰 조직에서 활동을 시작했으며, 빈곤 구제 위원회의 회원이 되었다. 콤소몰에서 약 3년 동안 활동한 후, 1921년 전연방 공산당(볼셰비키)의 당원이 되었다.[1] 1928년 플레하노프 국립경제 연구소를 졸업한 후에는 붉은 교수 연구소에서 경제학 석사 과정을 밟았고,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와 산업 아카데미에서 가르쳤다.[1]1931년, 수슬로프는 교직을 포기하고 당 기구에 헌신했다. 그는 공산당 당 통제 위원회와 노동자 및 농민 검사 인민 위원회의 조사관이 되었다.[1] 1933년과 1934년, 수슬로프는 우랄과 체르니고프 지방에서 당을 숙청하는 위원회를 지휘했다. 이 숙청은 라자르 카가노비치가 조직했다. 작가 유리 드루즈니코프는 수슬로프가 여러 사기 재판을 구성하는 데 관여했으며, 트로츠키주의자, 지노비예프주의자 등 당 노선에서 벗어난 모든 당원을 제명했다고 주장한다.[1][2]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수슬로프는 붉은 교수 연구소에서 경제학 대학원 과정을 다녔다. 그는 스탈린에게 발탁되어 1937년 로스토프 지역 위원회의 서기로 승진했다.[4][5] 수슬로프는 1938년 대숙청의 일환으로 로스토프에서의 정치적 탄압과 관련되어 있다.[6] 1939년, 수슬로프는 스타브로폴 지방 위원회의 제1서기가 되었다.
3. 스탈린 시대의 활동
1902년 11월 21일 러시아 제국 울리야놉스크 주 샤홉스코예 마을의 소작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1918년 지역 콤소몰 조직에 가입하여 빈곤 구제 위원회에서 활동했고, 1921년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에 입당했다. 1928년 플레하노프 기념 모스크바 국민 경제 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31년 공산주의 아카데미를 졸업하였다. 이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와 산업 아카데미에서 교수로 근무했다.
1931년부터 소련 공산당 중앙통제위원회에 합류하면서 내무인민위원회(NKVD)의 고위 관리로 근무했다. 1930년대 이오시프 스탈린이 주도한 대숙청에 참가하여 레프 트로츠키, 니콜라이 부하린,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등 스탈린의 반대파를 숙청하는 데 기여했다. 1937년 로스토프 주 공산당 서기, 1939년 스타브로폴 지방 공산당 제1비서를 역임하며 빠르게 승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스탈린의 지령을 받고 체첸인, 잉구시인 등 캅카스 지방의 여러 민족을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1944년에는 리투아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활동하면서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자들을 숙청했다.[8]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갈 무렵, 수슬로프는 이념 분야로 복귀하였다. 1946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선전부장, 1949년 소련 공산당 기관지 《프라우다》 편집장을 역임했고, 1950년 6월에는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52년 제19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지만,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하면서 해임되었다. 스탈린 사후 몇 년 동안은 최고 소비에트 외교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3. 1. 대숙청 참여
1931년 공산주의 아카데미를 졸업한 후, 수슬로프는 소련 공산당 중앙 통제 위원회에 들어가 NKVD의 고위 관리로서 1930년대 요시프 스탈린의 대숙청에 참여하여 레프 트로츠키, 니콜라이 부하린,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일파를 숙청했다. 1937년 로스토프주 당 서기, 1939년 스타브로폴 지방 당 제1서기를 역임하며 젊은 당 관료로서 승진을 거듭했다.3. 2. 2차 세계 대전 시기의 활동
제2차 세계 대전의 동부 전선에서 수슬로프는 북 코카서스 전선의 군사 위원회 위원이었으며[1], 독일군이 이 지역을 점령한 후에는 스타브로폴 지방의 게릴라 부대 본부를 이끌었다. 수슬로프는 독일 침략군에 맞서 싸우기 위해 노동자들을 동원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고, 붉은 군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1] 또한 전쟁 기간 동안 체첸인과 기타 무슬림 소수 민족의 코카서스에서의 강제 이주를 감독했다.
소련 역사 서술에 따르면 수슬로프의 게릴라 활동은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하지만, 참가자들의 증언은 공식적인 설명과 다르다. 참가자들은 전장에서 효율성을 감소시킨 많은 조직적 문제들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수슬로프는 젊은 시절 결핵을 앓았는데, 이는 게릴라 숲에서 더욱 악화되어 유능한 전투원으로서의 능력을 방해했다. 재발을 우려하여 그는 남은 생애 동안 갈로시(고무 덧신), 모자, 레인코트를 항상 착용했는데, 이는 브레즈네프의 정치국 동료들 사이에서 농담거리가 되었다.[7]
수슬로프는 대조국 전쟁 이후 발트해 지역을 숙청했으며, 1944년부터 1946년까지 리투아니아 문제에 대한 중앙 위원회 국장을 역임했다. 1970년대 그의 권력 절정기에는 반소련 사미즈다트 문학에서 그가 1944년 베를린으로 진격하는 과정에서 소련이 발트 3국에 재진입하는 동안 소련의 정치적 반대 세력이 된 민족주의 리투아니아인들의 추방과 살인에 개인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비난했다.[8]
3. 3. 전후 이념 분야 복귀
1946년, 수슬로프는 조직국의 구성원이 되었고 즉시 중앙위원회의 외교 정책 부서의 수장이 되었다. 1년 안에 수슬로프는 선전선동부 중앙위원회 부서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또한 전후 기간 동안 유대 반파시스트 위원회를 가혹하게 비판했다.[9] 1946년 11월 26일, 수슬로프는 안드레이 즈다노프에게 편지를 보내 유대 반파시스트 위원회를 간첩 행위로 고발했다. 수슬로프의 편지는 소련 지도부 사이에서 호평을 받았으며, 반코스모폴리탄 캠페인 기간 동안 위원회를 기소하는 근거가 되었다.[10] 반코스모폴리탄 캠페인이 절정에 달했을 때 선전선동부의 수장이 된 후, 수슬로프는 또한 언론과 공공 기관에서 유대인을 숙청했다.[11]1947년, 수슬로프는 모스크바로 전출되어 중앙위원회 비서국에 선출되었고, 그는 남은 생애 동안 이 자리를 유지했다. 수슬로프는 스탈린의 전폭적인 신임을 받았고, 1948년에는 블라디미르 레닌 사망 24주년 기념식에서 중앙위원회를 대표하여 연설하는 임무를 맡았다. 1949년 9월부터 1950년까지, 그는 당 중앙 일간지인 ''프라우다''의 편집장이었다.[1]
1949년, 수슬로프는 게오르기 말렌코프, 라브렌티 베리야, 라자르 카가노비치와 함께 모스크바 지역 공산당 제1서기 게오르기 포포프에 대한 혐의를 조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위원회의 구성원이 되었다. 러시아 역사가 로이 메드베데프는 그의 저서 ''알려지지 않은 스탈린''에서 스탈린이 수슬로프를 "비밀 후계자"로 만들었다고 추측한다. 수슬로프를 증오했던 라브렌티 베리야는 그에게 위협을 느꼈던 것이 분명하며, 체포된 후 베리야의 금고에서 수슬로프를 그가 "제거"하려는 대상 1호로 표기한 문서가 발견되었다.[7]
1950년 6월, 수슬로프는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에 선출되었다. 그는 정치국(이후 정치국으로 개칭)으로 승진했다. 그는 제19차 당 대회 이후인 1952년에 정치국으로 승진했다. 그는 스탈린이 사망했을 때 일시적인 좌천을 겪었고 1953년 정치국에서 해임되었다. 그는 최고 소비에트에서 계속 활동했으며, 스탈린 사후 몇 년 동안 외교 위원회 위원장까지 역임했다.
4. 흐루쇼프 시대의 활동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이후, 미하일 수슬로프는 1955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간부회(이후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면서 권력을 회복했다.[1] 1956년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에서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의 개인 숭배를 비판하는 비밀 연설을 하자, 수슬로프는 이념 보고를 통해 스탈린과 그의 개인 숭배를 비판했다.[2]
수슬로프는 스탈린의 개인 숭배가 당 조직과 이념 사업에 큰 피해를 입혔다고 주장했다. 그는 개인 숭배가 대중과 당의 역할을 경시하고, 집단적 지도 체제를 약화시켰으며, 당내 민주주의를 훼손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당 구성원들의 적극성과 주도성을 억압하고, 개인 업무에 대한 무책임과 독단성을 조장했으며, 비판과 자기비판을 방해하여 일방적이고 때로는 잘못된 결정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2]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수슬로프는 아나스타스 미코얀과 함께 부다페스트 인근에서 소련군 작전을 지휘하고 새로운 헝가리 지도부를 지원했다.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는 이들의 양보를 비판했지만,[4] 수슬로프는 결국 헝가리에 대한 군사 개입과 정부 지도부 교체를 지지하는 결정에 동의했다.[5]
1957년, 수슬로프는 반당 그룹에 맞서 흐루쇼프를 지지했고,[6] 게오르기 주코프 국방장관을 "보나파르티즘"이라고 비난하며 해임하여 군대를 당의 통제 하에 두었다.[6]
1958년 흐루쇼프의 기계 및 트랙터 기지(MTS) 해체 제안에 대해, 수슬로프는 이념적 근거로 반대하며 생산성 향상이라는 실질적인 이점에 초점을 맞추었다.[8] 소련 공산당 제21차 대회에서 수슬로프는 흐루쇼프의 공산주의 발전 단계 주장에 대해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을 언급하며 반박했다.[9]
수슬로프는 흐루쇼프의 정책,[10] 정치적 경직성,[11] 탈스탈린화 정책, 경제 분권화 계획,[12] 소련-미국 관계 및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의 관계 개선[10]에 반대하며 점차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중국-소련 관계 악화 속에서 수슬로프는 마오쩌둥의 개인 숭배를 스탈린과 비교하며 비판하고, 중국-소련 분쟁을 주도하며 마오주의를 트로츠키주의, 부르주아 민족주의, 일탈주의로 비난했다.[13]
반당 그룹 사건 이후, 수슬로프는 흐루쇼프에 반대하는 "모스크바 파벌"의 지도자가 되었다.[14] 1960년 U-2 사건과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흐루쇼프의 입지가 약화되면서 수슬로프의 권력은 증가했고,[14] 1964년 흐루쇼프 축출 움직임이 시작되었으나 수슬로프는 병 때문에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알렉세이 코시긴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5]
4. 1. 흐루쇼프 지지와 스탈린 비판
니키타 흐루쇼프가 소련의 지도자(1954-1964)로 있던 시절, 수슬로프는 1955년에 당 간부회(정치국)에 선출되어 권력을 회복했다.[1] 1956년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에서 흐루쇼프가 스탈린의 개인 숭배에 대해 비판하는 비밀 연설을 했을 때, 수슬로프도 이념 보고에서 스탈린과 그의 개인 숭배를 비판했다.[2]수슬로프는 스탈린 시대의 개인 숭배가 당의 조직과 이념 활동에 큰 해를 끼쳤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 숭배가 대중과 당의 역할을 과소평가하고, 집단 지도력을 약화시켰으며, 당내 민주주의를 훼손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당원들의 적극성과 주도권을 억압하고, 개인 업무에 대한 독단성을 초래했으며, 비판과 자기 비판을 막아 잘못된 결정을 내리게 했다고 지적했다.[2]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수슬로프는 아나스타스 미코얀과 함께 부다페스트 근처에서 소련군의 활동을 지휘하고 새로운 헝가리 지도부를 지원했다. 이들은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정치국 회의에 참석하여 커다르 야노시를 사무총장으로 선출했다. 수슬로프와 미코얀은 소련 지도부에 상황이 심각함을 알렸지만, 게뢰 에르뇌가 사무총장에서 해임되고 커다르가 후임으로 선출된 것에 만족했다.[3]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는 수슬로프와 미코얀이 헝가리 인민 공화국의 새 정부에 양보한 것을 비판했지만,[4] 수슬로프는 결국 헝가리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정부 지도부를 교체하려는 간부회의 결정을 지지했다.[5]
1957년 6월, 수슬로프는 게오르기 말렌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라자르 카가노비치, 드미트리 셰필로프가 이끄는 반당 그룹에 맞서 흐루쇼프를 지지했다.[6] 미코얀은 수슬로프가 흐루쇼프를 지지하도록 설득했다고 회고했다.[7] 같은 해 10월, 수슬로프는 게오르기 주코프 국방장관을 "보나파르티즘"으로 비난하여 모든 직위에서 해임했다. 이는 군대를 당의 통제 아래 두는 결과를 가져왔다.[6]
1958년 흐루쇼프는 협동농장의 농기계를 소유하고 유지하는 기계 및 트랙터 기지 (MTS)를 해체할 것을 제안했다. 수슬로프는 이 제안을 이념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흐루쇼프의 개혁이 마르크스-레닌주의 교리에 어긋난다고 보았다. 1958년 3월 최고 소비에트 선거 연설에서 수슬로프는 흐루쇼프 개혁의 이념적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고, 생산성 향상이라는 실질적인 이점에 초점을 맞추었다.[8]
소련 공산당 제21차 대회에서 수슬로프는 흐루쇼프가 소련이 사회주의 발전 단계를 넘어 공산주의 발전 단계로 나아갔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반대했다. 그는 흐루쇼프의 견해가 잘못되었으며,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의 가르침에 따르면 공산주의는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발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9]
수슬로프는 흐루쇼프의 정책,[10] 정치적 완고함, 그리고 스탈린주의 구 세력 제거 캠페인에 대해 점점 더 비판적으로 변해갔다.[11] 수슬로프와 흐루쇼프는 외교 및 국내 정책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였다. 수슬로프는 소련-미국 관계 개선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의 관계 개선에 반대했고,[10] 국내적으로는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정책과 경제 분권화 계획에 반대했다.[12]
수슬로프는 중국-소련 관계가 악화되자 마오쩌둥의 개인 숭배를 스탈린의 개인 숭배와 비교하며 비판했다. 그는 중국-소련 분쟁을 주도하고 흐루쇼프 행정부에서 마오주의를 비판했으며, 특히 동구권에서 소련 지도부와의 분열, 평화 공존 이론 거부, 마오의 반소련 공산주의 무장 단체 지원을 비판했다. 1964년 2월 14일 중앙위원회 본회의 보고서에서 수슬로프는 마오의 중국을 트로츠키주의와 비교하고, 중국 지도부를 부르주아 민족주의와 일탈주의로 비난했다.[13]
반당 그룹 사건 이후, 수슬로프는 흐루쇼프에 반대하는 중앙위원회의 파벌인 "모스크바 파벌"의 지도자가 되었다.[14] 1960년 U-2 사건과 쿠바 미사일 위기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흐루쇼프는 반대파의 요구에 양보하여 권력을 유지했다. U-2 위기 이후 수슬로프는 정치국에서 흐루쇼프가 임명한 여러 사람을 해임하고 반 흐루쇼프 인물로 교체했다.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흐루쇼프의 입지가 약화되면서 수슬로프의 권력은 크게 증가했다.[14] 1964년, 흐루쇼프를 축출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수슬로프는 야당 지도자였지만, 병 때문에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알렉세이 코시긴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5]
4. 2. 흐루쇼프와의 갈등
흐루쇼프는 1956년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에서 스탈린의 개인 숭배에 대한 비밀 연설을 했다. 수슬로프는 2월 16일 이념 보고에서 스탈린과 그의 개인 숭배에 대한 비판을 갱신했다.[3] 그는 스탈린 시대의 개인숭배가 조직과 이념적인 당 활동에 해를 끼치고, 대중과 당의 역할을 과소평가했으며, 당내 민주주의를 훼손했다고 비판했다.[3]1956년 헝가리 혁명 동안 수슬로프는 아나스타스 미코얀과 함께 부다페스트 근처에서 소련군의 활동을 지휘하고 새로운 헝가리 지도부를 지원했다.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는 수슬로프와 미코얀이 헝가리 인민 공화국의 새로운 정부에 양보한 것을 비판했다.[4] 수슬로프는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결국 헝가리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그곳의 정부 지도부를 교체하려는 간부회의 결정을 지지했다.[5]
1957년 6월, 수슬로프는 반당 그룹과의 투쟁에서 흐루쇼프를 지지했다.[6] 1958년 흐루쇼프는 협동농장의 농기계를 소유하고 관리하는 국가 조직인 기계 및 트랙터 기지 (MTS)를 해체할 것을 제안했다. 스탈린의 경제 정책을 지지했던 수슬로프는 흐루쇼프의 제안을 이념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1958년 3월 최고 소비에트 선거 연설에서 흐루쇼프 개혁의 이념적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고, 생산성 향상이라는 실질적인 이점에 초점을 맞추었다.[7]
소련 공산당 제21차 대회에서 수슬로프는 국가가 사회주의 발전 단계에서 더 높은 단계의 공산주의 발전으로 나아갔다는 흐루쇼프의 주장에 반대했다. 그는 흐루쇼프의 견해가 결함이 있다고 보고,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을 언급하며 그의 주장을 폄하했다.[8]
수슬로프는 흐루쇼프의 정책,[9] 그의 정치적 완고함, 그리고 스탈린주의 구 세력의 잔재를 제거하려는 그의 캠페인에 대해 점점 더 비판적이 되었다.[10] 수슬로프와 흐루쇼프 사이에는 외교 및 국내 정책에서도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다. 수슬로프는 소련-미국 관계 개선과 흐루쇼프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의 관계 개선 시도에 반대했다.[9] 국내적으로 수슬로프는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정책과 최고 국민 경제 회의 경제 분권화 계획에 반대했다.[11]
중국-소련 관계가 악화되자 수슬로프는 마오쩌둥의 개인 숭배를 스탈린의 개인 숭배와 비교하며 비판했다. 그는 중국-소련 분쟁을 주도하고 흐루쇼프 행정부에서 마오주의를 비판했으며, 특히 사회주의 진영에서 소련 지도부와의 분열, 평화 공존 이론 거부, 마오의 반소련 라이벌 공산주의 무장 단체 지원을 비판했다.[12] 1964년 중앙위원회 본회의 보고서에서 수슬로프는 마오의 중국을 트로츠키주의와 비교하고, 중국 지도부를 부르주아 민족주의와 일탈주의로 비난했다.[13]
반당 그룹 사건 이후 수슬로프는 흐루쇼프의 지도력에 반대하는 중앙위원회의 파벌 지도자가 되었다.[14] 1960년 U-2 사건과 쿠바 미사일 위기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흐루쇼프는 반대 요구에 양보하며 권력을 유지했다. U-2 위기 이후 수슬로프는 정치국에서 흐루쇼프가 임명한 여러 사람을 해임하고 새로운 반 흐루쇼프 인물로 교체했다. 쿠바 미사일 위기의 실패 이후 흐루쇼프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고, 수슬로프의 권력은 크게 증가했다.[14] 1964년 흐루쇼프를 축출하려는 캠페인이 시작되었고, 수슬로프 대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알렉세이 코시긴이 야당을 이끌었다.[15]
4. 3. 흐루쇼프 실각 관여
1956년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에서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 격하 운동을 전개했을 때, 수슬로프는 이념 보고에서 스탈린과 그의 개인 숭배를 비판했다.[1]그러나 수슬로프와 흐루쇼프 사이에는 외교 및 국내 정책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다. 수슬로프는 소련-미국 관계 개선과 흐루쇼프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의 관계 개선 시도에 반대했다.[1] 국내적으로는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정책과 최고 국민 경제 회의 경제 분권화 계획에 반대했다.[1]
1957년 6월, 수슬로프는 게오르기 말렌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라자르 카가노비치, 드미트리 셰필로프가 이끄는 반당 그룹과의 투쟁에서 흐루쇼프를 지지했다.[1] 1960년 U-2 사건과 쿠바 미사일 위기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흐루쇼프는 다양한 반대 요구에 양보함으로써 권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U-2 위기 이후 수슬로프는 정치국에서 흐루쇼프가 임명한 여러 사람을 해임하고 새로운 반 흐루쇼프 인물로 교체할 수 있었다. 쿠바 미사일 위기의 실패 이후 흐루쇼프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고, 수슬로프의 권력은 크게 증가했다.[1]
1964년 흐루쇼프를 축출하려는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야당 지도자였지만, 수슬로프는 전년도 중화인민공화국 방문 중에 심각하게 병들었고, 대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알렉세이 코시긴이 야당을 이끌었다.[1]
5. 브레즈네프 시대의 활동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시대에 미하일 수슬로프는 소련 공산당 내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흐루쇼프 실각 이후, 수슬로프는 이데올로기 담당 서기로서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 알렉세이 코시긴 수상과 함께 소련의 주요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정치국원과 최고회의 연방회의 외교위원장을 겸임하며 "제2서기"로 여겨졌고, 이는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선례가 되었다.[17]
수슬로프는 1970년 브레즈네프의 수상직 겸임을 반대하여 무산시킬 정도로 강력한 권한을 가졌다.[17] 그는 브레즈네프, 안드레이 키릴렌코와 함께 당 지도부 내 비공식 트로이카 체제의 일원이었으며, 당내 서열 4위였다.[17] 또한 브레즈네프 정권에서 서기국과 정치국 모두에 재적한 4명 중 한 명이기도 했다.[17]
수슬로프는 브레즈네프 시대에 비공식적으로 "공산당의 최고 이데올로그"라는 칭호를 받았다.[18] 그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일부 신념에서 후퇴하는 것을 지지하여 과학 분야에서 단일 정당 승인 버전의 종료를 지지하기도 했다.[18] 그러나 문학에 대한 엄격한 이데올로기적 통제는 여전했다.[19]
1956년 헝가리 봉기와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의 봄" 탄압, 1979년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 제한 주권론에 기초한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만들고 네오 스탈린주의자로서 소련 외교를 매파 노선으로 주도했다.[1]
1959년 소련 최고회의 대의원 자격으로 영국을 방문하여 노동당 당수 휴 게이츠켈의 소련 방문을 실현시켰다.[1]
중국과 소련은 흐루쇼프 정권 이후 오랫동안 대립 관계에 있었는데,[1] 수슬로프는 마오쩌둥의 개인 숭배 정책을 비판했다.[1]
1968년 1월 30일에는 일본 공산당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해 방일했지만, 합의가 성립되지 않아 정상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1]
5. 1. 집단 지도 체제에서의 역할
1964년 10월 흐루쇼프가 축출된 이후, 수슬로프는 알렉세이 코시긴 수상,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제1서기 다음으로 소련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인 중 한 명이었다. 흐루쇼프가 물러난 직후 브레즈네프를 제1서기, 코시긴을 정부 수반, 아나스타스 미코얀(1965년에 니콜라이 포드고르니로 교체)을 국가 원수로 하는 집단지도체제가 수립되어 비공식적인 삼두정치(러시아어로 ''트로이카''라고도 함)를 형성했다. 수슬로프는 요시프 스탈린과 흐루쇼프 시대에 나타난 1인 통치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민주집중제의 강력한 지지자였던 수슬로프는 1970년 브레즈네프가 코시긴의 정부 수반 직을 넘겨받는 것을 막았다.[17] 키릴렌코, 브레즈네프, 수슬로프는 공산당 지도부 내의 비공식적인 트로이카 구성원이었다.[17] 수슬로프는 브레즈네프, 포드고르니, 코시긴에 이어 정치국 서열 4위였으며, 키릴렌코보다 앞섰다.[18]
수슬로프는 재임 기간 대부분 동안 서기국과 정치국에 모두 자리를 가진 네 명 중 한 명이었다. 나머지 세 명은 브레즈네프, 안드레이 키릴렌코, 표도르 쿨라코프였다.[18]
5. 2. 이념 담당 서기로서의 활동
흐루쇼프 실각 후, 수슬로프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 알렉세이 코시긴 수상과 함께 1960년대 소련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인 중 한 명이었다. 이후 이데올로기 담당 서기로서 정치국원과 최고회의 연방회의 외교위원장을 겸임하며 "제2서기"로 여겨졌고,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선례가 되었다.[17] 그는 이전부터 최고 지도자 한 명만이 강력한 권한을 쥐는 정치를 비판하고 당내 민주주의 실현을 원했기에, 1970년 브레즈네프의 수상직 겸임 인사에 반대하여 무산시키기도 했다.[17]수슬로프는 브레즈네프, 안드레이 키릴렌코와 함께 당 지도부 내 비공식 트로이카 체제의 일원이었으며, 서열 4위였다.[17] 또한, 그는 브레즈네프 정권에서 서기국과 정치국 모두에 재적한 4명 중 한 명이기도 했다.[17]
브레즈네프 시대에 수슬로프는 비공식적으로 "공산당의 최고 이데올로그"라는 칭호를 받았다.[18] 그는 블라디미르 레닌,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유산을 기념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지만,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일부 신념에서 후퇴하는 것을 지지하기도 했다.[18] 예를 들어, 생물학, 화학, 물리학과 같은 과학 분야에서 단일 정당 승인 버전의 종료를 지지했다.[18]
반면, 문학에 대한 엄격한 이데올로기적 통제는 여전히 존재했다. 여기에는 소련 통치를 비판하는 문학뿐만 아니라, 로버트 서비스에 따르면 레닌의 많은 저작이 포함되었다.[19] 1970년대 후반부터 레닌의 전집 판매 금지령이 시행되었지만, 그러한 법령은 발견되지 않았다.[19]
수슬로프는 동구권 지도자들이 시도한 반소련 정책에 반대했지만, 프라하의 봄 동안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에 대한 소련의 군사 개입에는 반대 투표했다.[18] 그는 동구권의 "정통 공산주의자"들의 "교황"으로 여겨졌으며, 공산주의 운동에서 소련의 주도적 역할이 훼손될 것을 우려했다.[18] 그는 "러시아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믿는" 러시아 민족주의자였다고도 한다.[18]
5. 3. 대외 정책 관여
1956년 헝가리 봉기와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의 봄" 탄압, 1979년 아프가니스탄 침공, 1981년 폴란드 계엄령 시행 등 제한 주권론에 기초한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만들고 네오 스탈린주의자로서 소련 외교를 매파 노선으로 주도했다.[1]1959년 소련 최고회의 대의원 자격으로 영국을 방문하여 노동당 당수 휴 게이츠켈의 소련 방문을 실현시켰다.[1]
중국과 소련은 흐루쇼프 정권 이후 오랫동안 대립 관계에 있었다.[1] 수슬로프는 마오쩌둥의 개인 숭배 정책을 스탈린 아래에서 보였던 것과 비교하며 "문제의 핵심은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최근 중국에서의 사회주의 성숙도를 과장하는 노선을 구축해 왔다는 점이다. 그곳에서는 높은 자존심과 오만함이 엿보인다. 이러한 결점은 주로 마오쩌둥 동지의 성격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1]
1968년 1월 30일에는 일본 공산당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해 방일했지만, "일본의 소리" 파와의 단절 문제로 합의가 성립되지 않아 정상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1]
6. 사망과 평가
1982년 1월 25일 심장병으로 사망한 수슬로프의 시신은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 위치한 크렘린 벽 묘지에 안치되었다. 그의 장례식은 소련에서 국장으로 진행되었으며,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수슬로프의 죽음에 큰 슬픔을 표했다.
수슬로프는 소련 공산당 내에서 강경한 이념 노선을 견지하며 '회색 추기경'으로 불릴 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인물이다. 스탈린 시대부터 브레즈네프 시대까지 소련 공산당의 이념과 노선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80년대 초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정치적, 경제적 혼란 당시, 수슬로프는 폴란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정치국 위원회를 이끌었다.[21] 위원회는 소련의 군사 개입을 고려했지만,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 제1서기는 군사 개입이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라고 주장했다. 수슬로프는 "군대가 투입된다면 그것은 재앙을 의미할 것이다."라고 말하며 야루젤스키의 주장에 동의하고, 대신 폴란드 계엄령 수립을 설득했다.
6. 1. 사망
1982년 1월 25일, 수슬로프는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79세였다. 그의 죽음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사후 권력 투쟁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여겨졌다. 수슬로프는 사망 이틀 전 관상 동맥 혈전증을 앓았고, 동맥 경화증과 당뇨병으로 인해 1월 25일 16시 05분에 사망했다.수슬로프의 장례식은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의 장례식 이후 최대 규모로 거행되었다. 소련 전역에 4일간의 애도 기간이 선포되었으며, 1월 29일 장례식 당일에는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휴교령이 내려졌고, 모스크바로 출입하는 도로는 완전히 봉쇄되었다. 소련의 모든 텔레비전 방송국은 붉은 광장에서 거행된 장례식을 소련 전역에 생중계했다.
장례식에서는 브레즈네프 서기장과 빅토르 그리신 정치국원 등이 추도 연설을 했고, 소련 국가가 연주되었다. 간부들이 경례하는 가운데 수슬로프의 유해는 레닌 묘 뒤 크렘린 벽 묘지에 매장되었다. 매장 장소는 스탈린 옆이었다. 브레즈네프는 추도 연설 말미에 눈물을 보였으며, 옆에 있는 의자에 몇 번 앉는 등 큰 충격을 받은 모습을 보였다. 참석한 정치국원 중에도 눈물을 훔치는 사람들이 있었다.

6. 2. 업적과 유산
수슬로프는 브레즈네프 서기장이 내부 스캔들에 직면했을 때, 이를 해결하는 데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실제로 수슬로프가 사망한 후, 브레즈네프 주변에 대한 부정부패 수사가 강화되었고, 체포되거나 자살하는 사람들이 잇따랐다. 이러한 정보는 최고 기밀임에도 불구하고 모스크바 시민과 서방 언론에 알려졌으며, 그 배후에는 국가보안위원회(KGB) 의장 유리 안드로포프가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21] 수슬로프 사후 브레즈네프는 급격히 권력을 잃고, 같은 해 11월에 사망했다. 이후 안드로포프가 후계자가 되었다.1980년대 초,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정치적, 경제적 혼란은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의 권위를 크게 떨어뜨렸다. 수슬로프는 1980년 8월 25일에 설립된 폴란드 위기 대응을 위한 정치국 위원회를 이끌면서 이 문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위원회에는 KGB 의장 유리 안드로포프, 소련 국방부 장관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소련 외무부 장관 안드레이 그로미코, 브레즈네프의 오랜 측근 콘스탄틴 체르넨코 등 소련 고위 인사들이 참여했다.
8월 28일, 위원회는 폴란드의 안정을 위해 소련의 군사 개입을 고려했다. 그러나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 제1서기는 소련의 군사 개입이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라고 주장했다. 수슬로프는 야루젤스키의 주장에 동의하며 "군대가 투입된다면 그것은 재앙을 의미할 것이다. 나는 우리 모두가 군대 투입에 대한 논의는 있을 수 없다는 데 만장일치로 의견을 같이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대신 수슬로프는 야루젤스키와 폴란드 지도부를 설득하여 폴란드 계엄령을 수립하도록 했다.
1982년 1월, 유리 안드로포프는 수슬로프에게 KGB 제1 부의장인 세묜 츠비군이 브레즈네프의 자녀들인 갈리나 브레즈네바와 유리 브레즈네프를 부패 조사로부터 보호했다고 알렸다. 수슬로프는 츠비군에게 이 문제에 대해 해명할 것을 요구했고, 심지어 공산당에서 제명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러나 츠비군은 수슬로프에게 반박하기 전인 1982년 1월 19일에 사망했다.
이틀 후, 수슬로프는 관상 동맥 혈전증을 앓았고, 동맥 경화증과 당뇨병으로 인해 1982년 1월 25일 16시 05분에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브레즈네프의 후계자 자리를 둘러싼 경쟁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소련 공산당 서기국의 당 제2서기였던 안드로포프는 브레즈네프 통치 말기에 키릴렌코와 체르넨코를 제치고 유력한 후계자로 떠올랐다.
수슬로프는 1982년 1월 29일 크렘린 벽 묘지에 묻혔으며, 레닌 묘와 크렘린 궁벽 사이에 있는 12개의 개별 묘 중 하나에 안치되었다. 브레즈네프는 수슬로프의 죽음에 깊은 슬픔을 표현했다.
6. 3. 비판과 논란
수슬로프는 강경한 이념 노선과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으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1980년대 초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정치적 혼란기에, 소련의 군사 개입을 고려했던 점은 그의 강경한 대외 정책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폴란드 통일 노동자당 제1서기의 설득과 "군대가 투입된다면 그것은 재앙을 의미할 것이다."라는 수슬로프의 발언에서 알 수 있듯, 그는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는 군사 개입에는 반대했지만, 결국 폴란드 계엄령 선포를 통해 폴란드 내 민주화 운동을 억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21]또한, 수슬로프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정권의 부정부패를 묵인하고, 갈리나 브레즈네바와 유리 브레즈네프 등 브레즈네프 자녀들의 비리를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KGB 제1 부의장 세묜 츠비군이 브레즈네프 자녀들을 부패 조사에서 보호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수슬로프는 츠비군을 압박했지만, 츠비군은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수슬로프가 권력 유지와 체제 안정을 위해 부정부패를 눈감아주고, 반대파를 제거하는 데 앞장섰다는 비판을 뒷받침한다.
수슬로프의 사후, 브레즈네프 정권은 급속히 붕괴되었고, 유리 안드로포프가 권력을 잡았다. 이는 수슬로프가 브레즈네프 정권의 핵심 인물로서, 그의 부재가 소련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7. 수훈
미하일 수슬로프는 소련과 다른 국가들로부터 여러 훈장과 메달을 받았다. 주요 훈장 및 메달은 다음과 같다.[1]
; 소련
훈장 | 수여 횟수 및 날짜 |
---|---|
![]() | 2회 (1962년 11월 20일, 1972년 11월 20일) |
![]() | 5회 (1940년 3월 16일, 1952년 11월 20일, 1962년 11월 20일, 1971년 12월 2일, 1972년 11월 20일) |
![]() | 1회 (1977년 11월 18일) |
1회 (1945년 3월 24일) | |
![]() | 1회 (1943년) |
![]() | 1회 (1944년) |
![]() | 1회 (1945년) |
![]() | 1회 (1945년) |
![]() | 1회 (1981년) |
; 외국 훈장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warheroes[...]
WarHeroes.ru
2011-02-15
[2]
서적
Informer 001: The Myth of Pavlik Morozov
Routledge
[3]
웹사이트
The Man in Galoshes
https://jew-observer[...]
2021-02-28
[4]
뉴스
MIKHAIL SUSLOV, CHIEF IDEOLOGIST, IS DEAD IN SOVIET
https://www.nytimes.[...]
2023-03-02
[5]
웹사이트
Mikhail Andreevich Suslov
https://www.oxfordre[...]
2024-04-18
[6]
서적
All Stalin's men
Anchor Press/Doubleday
1984
[7]
웹사이트
Unknown history. The "Gray Eminence" of the Soviet system Mikhail Suslov
https://sobesednik.r[...]
2022-02-22
[8]
간행물
Samizdat document on Suslov's role in Lithuania
http://www.lituanus.[...]
2006-04-27
[9]
서적
War, Holocaust and Stalinism: A Documented Study of the Jewish Anti-Fascist Committee in the USSR
Routledge
[10]
웹사이트
Antisemitism Deferred
https://mbk-news.app[...]
2021-02-28
[11]
웹사이트
"You Give us Little Hawks, Give us Little Hawks!": Why Identifying Jews Became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the Post-War USSR
https://novayagazeta[...]
2021-02-28
[12]
서적
Memoirs of Nikita Khrushchev: Reformer, 1945–1964
Pennsylvania State Press
[13]
서적
Détente in Europe: The Soviet Union and the West since 1953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14]
서적
Profiling Political Leaders: Cross-cultural Studies of Personality and Behavior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Col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Struggle of the CPSU for Un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https://dai.mun.ca/P[...]
Novosti Press Agency Publishing House
[17]
서적
Getting To the Top in the USSR: Cyclical Patterns in the Leadership Succession Process
https://archive.org/[...]
Hoover Press
[18]
웹사이트
170. Memorandum From the President's Assistant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Kissinger) to President Nixon
https://history.stat[...]
history.state.gov
2018-03-06
[19]
웹사이트
Neues Deutschland vom 12.01.1978
https://www.nd-archi[...]
2024-08-13
[20]
서적
Самые секретные родственники
Olma Media Group
[21]
서적
モスクワ特派員報告-ニュースの裏側-
岩波新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