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르그 비케르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그 비케르네스는 노르웨이의 음악가로, 블랙 메탈 밴드 부르줌(Burzum)의 유일한 멤버로 활동했다. 그는 1990년대 초 교회 방화와 살인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수감 중에도 여러 앨범을 발표했다. 비케르네스는 자신의 견해를 오달리즘으로 묘사하며, 이교주의, 민족주의, 인종주의, 환경보호주의를 포함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극우 극단주의와 연관되어 논란의 중심에 섰으며, 그의 사상과 행동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비케르네스는 음악 활동 외에도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자신의 사상을 담은 책들을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바르그 비케르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르그 비케르네스, 2008년 감옥에 있을 당시 위장 모자를 쓰고 있다.
감옥에 있는 비케르네스 (2008년)
본명크리스티안 비케르네스
다른 이름카운트 그리슈나크
그레이피 그리슈나크
더 카운트
그레벤
간달프 더 화이트
루이 카셰
바르그 키슬링 라르손 비케르네스
툴레안 퍼스펙티브
출생일1973년 2월 11일
출생지파나, 베르겐, 노르웨이
배우자마리 카셰 (2007년 결혼)
자녀8명
직업음악가
작가
활동 기간1988년–현재
웹사이트http://thuleanperspective.com
http://burzum.org
알려진 이유노르웨이 초기 블랙 메탈
교회 방화
유로니무스 살인
음악가 정보
배경솔로 가수
악기기타
베이스
드럼
신디사이저
키보드
보컬
장르블랙 메탈
다크 앰비언트
포크
현재 소속 그룹버줌
과거 소속 그룹칼라시니코프
우루크-하이
올드 퓨너럴
사타넬
메이헴
범죄 정보
범죄 혐의1급 살인, 방화, 150kg의 폭발물 소지 (1994년)
인종 혐오 선동 (2013년)
형벌징역 21년 (1994년)
집행 유예 6개월 및 8,000 유로 벌금 (2013년)
바르그 비케르네스의 서명
바르그 비케르네스의 서명

2. 초기 생애 및 음악 활동

바르그 비케르네스는 노르웨이 베르겐 출신으로, 어린 시절 아버지를 따라 약 1년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다.[15][146] 그는 이 시기 현지 학교에 다니며 인종 문제에 대해 처음 인식하게 되었다고 언급했다.[16][147] 그의 부모는 그가 10대 초반일 때 이혼했다.[15][146]

어린 시절 클래식 음악, 특히 차이콥스키를 즐겨 들었으나, 12살 무렵부터 헤비 메탈 음악에 심취하기 시작했다.[21][152] 아이언 메이든을 시작으로 크리에이터, 켈틱 프로스트, 바토리 등 여러 스래시 메탈 및 초기 블랙 메탈, 데스 메탈 밴드의 영향을 받았다.[21][22][152][153] 그는 J. R. R. 톨킨의 작품 세계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자신의 예명 '그리쉬나크'(Grishnackh)와 밴드명 '부르줌'(Burzum) 모두 톨킨의 소설에서 영감을 얻었다.[6]

부르줌을 결성하기 전, 비케르네스는 '우루크-하이'(Uruk-Hai)라는 밴드를 거쳐 베르겐의 데스 메탈 밴드 올드 퓨너럴에서 잠시 기타리스트로 활동했다.[6] 이후 1991년, 그는 자신만의 음악 프로젝트인 부르줌을 시작했다.

2. 1. 이라크에서의 유년 시절

1998년에 출판된 책 ''카오스의 군주''에 실린 인터뷰에서 비케르네스는 자신의 배경과 어린 시절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 책에는 그의 어머니 헬레네 보레(Helene Bore)와의 인터뷰도 포함되어 있다.[12][142][143][13][144] 2004년 인터뷰에서 비케르네스는 그의 어머니가 대형 석유 회사에서 일했으며,[16][145] 아버지는 전자 공학 기술자,[16][145] 형은 토목 기사라고 밝혔다.[16][14]

''카오스의 군주'' 인터뷰에서 비케르네스는 6살 때 가족이 약 1년 동안 이라크 바그다드로 이사했던 경험을 회상했다. 이는 그의 아버지가 사담 후세인 정권을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을 했기 때문이다.[15][146] 당시 바그다드에는 영어를 사용하는 학교에 자리가 없어, 어린 비케르네스는 현지 이라크 초등학교에 다녔다. 그는 이 경험을 통해 "인종 문제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16][147] 학교에서는 체벌이 흔했지만, 비케르네스는 자신이 백인이라는 이유로 선생님들이 감히 때리지 못했다고 회상하며, 한 번은 선생님과 말다툼 중 그를 "원숭이"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밝혔다.[16][147] 비케르네스의 어머니 역시 "반 아이들이 선생님에게 뺨을 맞았지만, 그는 그렇지 않았다"고 회상하며,[17][148] 이러한 차별적 대우가 문제를 일으켰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그녀는 전반적으로 바르그가 어떻게 자신의 견해를 형성하게 되었는지 명확히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18][149]

비케르네스는 아버지에 대해, 자신이 집에 하켄크로이츠 깃발을 가져왔을 때 아버지가 매우 히스테리컬한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15][146] 그러나 비케르네스는 아버지가 자신은 "마을에서 본 모든 유색 인종에 대해 몹시 짜증"을 내면서도 아들이 "나치"가 되는 것을 걱정하는 모습이 위선적이라고 생각했다.[15][146] 어머니에 대해서는, 그녀가 비케르네스가 "흑인 여자와 함께 집에 올까 봐" 두려워하는 등 "매우 인종 의식이 있었다"고 말했다.[19][150] 1995년 인터뷰 당시 비케르네스는 어머니와는 여전히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했지만, 아버지와는 "거의 연락이 없었다"고 밝혔다.[15][146] 그의 부모는 비케르네스가 11살이나 12살이었던 1985년경에 이혼했다.[15][146]

2. 2. 블랙 메탈과의 만남

어린 시절 클래식 음악, 특히 차이콥스키의 음악을 즐겨 들었던 비케르네스는 12살 무렵 헤비 메탈 음악에 빠져들기 시작했다.[21][152] 그는 아이언 메이든을 자신에게 가장 큰 영감을 준 밴드로 꼽았다.[21][152] 이후 크리에이터, 소돔, 켈틱 프로스트, 바토리, 데스트럭션, 메가데스, 슬레이어, 페스틸런스, 데사이드, 그리고 Von|본영어과 같이 자신의 음악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게 될 여러 메탈 밴드들을 접하게 되었다.[21][22][152][153]

블랙 메탈 장르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베놈에 대해서는, 비케르네스는 그들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일관되게 부인하며 오히려 "농담거리(a joke)"라고 평가 절하했다. 그는 과거 블랙 메탈을 알리기 위해 베놈의 ''블랙 메탈'' 앨범 아트워크가 그려진 티셔츠를 입은 적이 있으나, 나중에 이를 후회한다고 밝히기도 했다.[23][154]

비케르네스는 어린 시절부터 J. R. R. 톨킨이 창조한 중간계 세계관에 깊은 매력을 느꼈다. 그의 예명인 그리쉬나크(Grishnackh)는 톨킨의 소설 ''두 개의 탑''에 등장하는 오크의 이름에서 가져왔다. 또한, 그의 밴드 버줌의 이름은 절대반지에 블랙 스피치로 새겨진 문구 "Ash nazg durbatulûk, ash nazg gimbatul, ash nazg thrakatulûk agh ''burzum''-ishi krimpatul"(하나의 반지는 모든 것을 지배하고, 하나의 반지는 모든 것을 발견하며, 하나의 반지는 모든 것을 데려와 ''어둠'' 속에 가두리라)에서 '어둠'을 뜻하는 단어 'burzum'을 차용한 것이다.[6]

버줌을 결성하기 전, 비케르네스는 톨킨의 작품에 등장하는 오크의 한 종류 이름을 딴 우루크-하이(Uruk-Hai)라는 밴드에서 활동했다. 이후 베르겐 출신의 데스 메탈 밴드 올드 퓨너럴에 잠시 몸담기도 했다.[6]

2. 3. 부르줌 결성과 초기 활동

소년 시절 표트르 차이코프스키와 같은 클래식 음악의 팬이었던 비케르네스는 12살 무렵부터 헤비 메탈을 듣기 시작했으며, 특히 아이언 메이든에게서 가장 큰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152][21] 이후 크리에이터, 소돔, 켈틱 프로스트, 바토리, 데스트럭션, 메가데스, 슬레이어, 페스틸런스, 데사이드, 그리고 본과 같은 밴드들로부터 음악적 영향을 받았다.[152][153][21][22] 블랙 메탈 장르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받는 베놈에 대해서는, 비케르네스는 그들의 영향을 받은 것을 부인하며 "웃음거리(a joke)"라고 평가절하했다. 그는 한때 베놈의 앨범 ''블랙 메탈'' 재킷이 그려진 티셔츠를 입기도 했으나, 나중에 이를 후회한다고 언급했다.[154][23]

비케르네스는 어린 시절부터 J. R. R. 톨킨이 창조한 가상의 세계 중간계에 깊이 매료되었다. 그의 예명인 '그리쉬나크'(Grishnackh)는 ''두 개의 탑''에 등장하는 오크의 이름에서 따왔다. 밴드명 '부르줌'(Burzum)은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절대반지에 블랙 스피치로 새겨진 문구 "Ash nazg durbatulûk, ash nazg gimbatul, ash nazg thrakatulûk agh ''burzum''-ishi krimpatul"(하나의 반지는 모든 것을 지배하고, 하나의 반지는 모든 것을 발견하며, 하나의 반지는 모든 것을 데려와 ''어둠'' 속에서 그들을 속박한다)에서 '어둠'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6] 부르줌 결성 전, 그는 베르겐의 데스 메탈 밴드 올드 퓨너럴에 잠시 몸담았으며, 그 이전에는 톨킨의 작품에서 이름을 딴 '우루크-하이'(Uruk-Hai)라는 밴드에서 활동하기도 했다.[6]

1992년 6월 6일, 베르겐에 위치한 역사적 가치가 높은 파르토프트 스타브 교회가 방화로 소실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36] 이를 시작으로 1993년 1월까지 최소 7개의 유명 스타브 교회가 방화 피해를 입었다.[136] 비케르네스는 이 중 오소나 교회(Åsane Church)와 스토르트베이트 교회(Storetveit Church) 방화 및 방화 미수, 빈다피요르(Vindafjord)의 숄드 교회(Skjold Church) 방화, 오슬로의 홀멘콜렌 교회(Holmenkollen Church) 방화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62] 파르토프트 스타브 교회 방화 혐의에 대해서는 배심원단으로부터 무죄 평결을 받았으나, 그는 부르줌의 첫 EP인 ''Aske''의 앨범 커버에 이 교회가 불탄 후의 사진을 사용했으며, 초판 앨범에는 라이터가 부록으로 포함되기도 했다.[162] 비케르네스는 교회 방화의 동기가 사탄주의가 아닌, 기독교에 의한 게르만 이교도 유적 파괴에 대한 복수라고 주장했다.[163][164][165]

1993년 1월, 노르웨이의 주요 신문 중 하나인 베르겐스 티덴데(Bergens Tidende, BT)는 '카운트 그리쉬나크'(Count Grishnackh)라는 예명을 사용한 비케르네스와의 익명 인터뷰 기사를 게재하며 블랙 메탈 씬을 대중에게 알렸다.[35][167] 이 인터뷰에서 비케르네스는 교회 방화와 살인을 저질렀다고 주장하며 "우리의 의도는 공포와 사악한 행위를 퍼뜨리는 것"이라고 말했다.[35][167] 그는 이 인터뷰가 블랙 메탈을 홍보하고 메이헴의 기타리스트 유로니무스가 운영하던 레코드 가게 헬베테(Helvete)의 고객을 늘리기 위해 유로니무스와 함께 계획한 것이라고 후에 밝혔다.[36][169] 당시 부르줌은 ''아스케'' EP 발매를 앞두고 있었다.[35][167] 인터뷰 기사가 나간 후 비케르네스는 체포되었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3월에 석방되었다.[35][167] 이 인터뷰는 다른 블랙 메탈 씬 멤버들에게 큰 파장을 일으켰으며, 하데스 올마이티(Hades Almighty)의 요른 잉게 툰스베르그(Jørn Inge Tunsberg) 등 일부는 비케르네스의 행동에 분노를 표하기도 했다.[37][170]

3. 범죄 행위

1993년 초, 메이헴의 기타리스트 유로니무스(본명: 외위스테인 오르세트)와 비케르네스 사이의 관계는 악화되었다.[173] 베르겐스 티덴데 인터뷰 사건 이후 언론과 경찰의 주목을 받게 되자 유로니무스는 자신의 레코드 가게 헬베테를 폐쇄하기로 결정했다.[174]

1993년 8월 10일 밤, 비케르네스는 스노레 "블랙쏜" 루흐와 함께 오슬로에 있는 유로니무스의 아파트를 찾아가 그를 살해했다.[175] 유로니무스의 시신에서는 총 23개의 창상이 발견되었다.[176][177] 초기에는 스웨덴 블랙 메탈 씬의 소행으로 추정되기도 했다.[173] 살해 동기로는 권력 다툼, 금전 문제, 경쟁 심리 등이 거론되었으나[178], 비케르네스는 유로니무스가 자신을 해치려 했기 때문에 정당방위 차원에서 살해했다고 주장했다.[161][162] 그러나 이 주장은 동행했던 블랙쏜[180] 등 주변 인물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79]

비케르네스는 1993년 8월 19일 체포되었고[174], 그의 집에서는 다량의 폭발물(150kg)과 탄약(3,000발)이 발견되었다.[181] 이 폭발물은 블리츠 하우스 폭파[151][182]나 니달로스 대성당 폭파[181] 등 다른 범죄 계획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비케르네스 본인은 이를 부인하며 외부 침략에 대비한 자위 목적이었다고 주장했다.[181]

3. 1. 교회 방화 사건

1993년 1월, 노르웨이 주요 신문 중 하나인 ''베르겐스 티덴데''는 블랙 메탈 씬을 대중의 주목 대상으로 만들었다.[35] 비케르네스의 친구 두 명이 그와의 인터뷰 내용을 신문에 제보했다.[35] 이 익명 인터뷰에서 '카운트 그리쉬나크'(Count Grishnackh)라는 가명을 사용한 비케르네스는 자신이 교회를 불태웠으며, 릴레함메르에서 살인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35] ''BT'' 기자는 비케르네스와의 만남을 주선했고, 비케르네스와 그의 동료들은 기자들에게 교회를 불태웠거나 방화범을 알고 있다고 말하며 추가 공격을 예고했다. 그들은 악마 숭배를 표방하며 "공포와 악마성을 퍼뜨리는 것이 우리의 의도"라고 밝혔다.[35] 이들은 언론에 공개되지 않은 방화 사건 세부 정보를 제공했고, ''BT''는 이를 경찰을 통해 확인 후 보도했다.[35]

이 기사는 1월 20일 "우리가 불을 질렀다"는 제목과 함께 비케르네스의 사진을 싣고 ''BT'' 1면 머리기사로 게재되었다. 그러나 기사가 나올 무렵 비케르네스는 이미 부르줌 전단에 적힌 주소로 경찰에 체포된 상태였다.[35] 비케르네스는 이 인터뷰가 사람들에게 공포심을 주고 블랙 메탈을 홍보하며 헬베테 상점의 고객을 늘리기 위해 유로니무스와 함께 계획한 것이라고 주장했다.[36] 당시 부르줌은 ''아스케'' 미니 앨범 발매를 앞두고 있었다.[35] 다른 관련자들도 조사를 받았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났다.[35] 비케르네스는 증거 불충분으로 1993년 3월에 잠시 석방되었다.[35]

1994년 5월 2일 비케르네스의 재판이 시작되었다.[51][183] 그는 유로니무스 살해 혐의와 더불어 교회 방화 혐의로 기소되었다. 재판 과정에서 다른 관련자들이 범행을 자백한 반면, 비케르네스는 침묵을 지켰다고 알려졌다.[52][183]

1994년 5월 16일, 비케르네스는 유로니무스 살해, 교회 3곳 방화, 교회 1곳 방화 미수, 그리고 절도 및 폭발물 150kg 보관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노르웨이 법정 최고형인 징역 21년을 선고받았다.[36][183] 비케르네스는 여러 혐의 중 폭발물 절도 및 보관 혐의만을 인정했다.[183] 체포 당시 비케르네스의 집에서는 150kg의 폭발물과 3,000발의 탄약이 발견되었다.[181] 일부 자료에서는 이 폭발물이 오슬로의 극좌 및 아나키스트 활동 거점인 '블리츠 하우스'를 폭파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하지만[151][182], 비케르네스 본인은 훗날 인터뷰에서 냉전 시대 외부 침략에 대비해 노르웨이를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고 반박했다.[181] 언론에서는 트론헤임의 니달로스 대성당 폭파 계획 의혹도 제기했으나, 이 역시 비케르네스는 부인했다.[181]

비케르네스가 선고받은 당일, 두 개의 교회가 추가로 방화되었는데, 이는 그에 대한 상징적인 지지 행위로 해석되기도 한다.[52][183]

3. 2. 유로니무스 살해 사건

1993년 초, 비케르네스와 메이헴의 기타리스트 유로니무스(본명: 외위스테인 오르세트) 사이에 갈등이 생겨났다.[39][173] 특히 1월 베르겐스 티덴데 인터뷰 사건 이후, 유로니무스는 경찰과 언론의 관심을 받게 되자 자신의 레코드 가게인 헬베테를 폐쇄하기로 결정했다.[40][174]

1993년 8월 10일 밤, 비케르네스는 스노레 "블랙쏜" 루흐와 함께 베르겐에서 오슬로의 Tøyengata|토이엔가타no에 있는 유로니무스의 아파트로 차를 몰고 갔다.[44][175] 아파트 건물 앞에서 블랙쏜은 계단에서 담배를 피우며 기다렸고, 비케르네스는 4층에 있는 유로니무스의 아파트로 올라갔다.[42][162] 비케르네스의 주장에 따르면, 그는 유로니무스와 미체결된 계약서 문제로 만났는데, 문 앞에서 유로니무스가 갑자기 "당황"하며 자신을 발로 찼고, 이후 부엌으로 달려가 칼을 가지려 했다고 한다.[30][42][162] 두 사람 사이에 몸싸움이 벌어졌고, 비케르네스는 유로니무스를 칼로 찔러 살해했다. 유로니무스의 시신은 아파트 1층 계단에서 발견되었으며, 총 23곳의 자상이 있었다. 이 중 머리에 2곳, 목에 5곳, 등에 16곳의 상처가 있었다.[176][177] 비케르네스는 유로니무스의 머리를 마지막으로 찌를 때 칼이 두개골에 박힐 정도로 강하게 찔렀다고 주장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물리적 증거나 부상 기록은 없다.[45] 또한 그는 유로니무스의 상처 대부분이 몸싸움 중 깨진 유리 조각에 찔려 생긴 것이라고 주장했다.[30][42][162] 살해 후 비케르네스와 블랙쏜은 베르겐으로 돌아갔고, 도중에 호수에 들러 피 묻은 옷을 버렸다.[30][42][162]

비케르네스는 자신이 정당방위로 유로니무스를 살해했다고 일관되게 주장했다. 그는 유로니무스가 자신을 전기 충격 무기로 기절시킨 뒤 묶어서 고문하고, 이를 스너프 필름으로 촬영하려 했다는 계획을 사전에 들었다고 말했다.[42][161] 비케르네스는 "그가 모든 사람에게 그 이야기를 했다면 나는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소수의 친구들에게만 말했고, 그 중 한 명이 나에게 말했다."[43]고 설명하며, 계약서 서명을 핑계로 자신을 유인해 살해하려 했다고 주장했다.[43][162]

그러나 비케르네스의 정당방위 주장은 여러 반박에 부딪혔다. 동행했던 블랙쏜은 비케르네스가 유로니무스를 살해할 계획을 세웠고 자신에게 동행을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블랙쏜은 당시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였으며, 비케르네스와 함께 지내던 중 살인 계획을 듣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살인 자체에 대해 "나는 찬성하지도 반대하지도 않았다. 나는 외스테인(유로니무스)에 대해 신경 쓰지 않았다."[48][180]고 진술했다. 비케르네스는 블랙쏜의 주장이 살인 혐의를 피하기 위한 변명이라고 일축하며, 블랙쏜은 단지 유로니무스에게 새로운 기타 리프를 들려주기 위해 동행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49][30][162] 엠페러의 드러머 파우스트 역시 비케르네스의 정당방위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46][179] 반면, 메이헴의 베이시스트 네크로부처는 비케르네스가 유로니무스로부터 살해 위협을 느꼈기 때문에 살해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47]

언론과 수사 당국은 살해 동기에 대해 여러 가능성을 제기했다. 블랙 메탈 씬 내부의 권력 다툼, 비케르네스의 음반 저작권료를 둘러싼 금전적 분쟁(유로니무스가 비케르네스에게 상당한 금액의 빚을 지고 있었다는 주장[40]), 또는 릴레함메르에서 발생한 파우스트의 살인 사건을 능가하려는 경쟁 심리 등이 거론되었다.[41][178]

비케르네스가 1993년에 폭파할 계획이었다고 하는 블리츠 하우스.


비케르네스는 살인 사건 발생 9일 후인 1993년 8월 19일 베르겐에서 체포되었다.[40][174] 경찰은 그의 아파트에서 150kg의 폭발물과 3,000발의 탄약을 발견했다.[50][181] 이 폭발물은 오슬로의 급진 좌파 및 아나키스트 활동 거점인 블리츠 하우스를 폭파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7][151] 케빈 쿠건은 비케르네스가 블리츠 하우스 폭파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공산주의자" 성향의 유로니무스가 이 계획에 반대할 것이기 때문에 그를 먼저 살해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129][182][141] 그러나 비케르네스는 2009년 인터뷰에서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며, 폭발물과 탄약은 "노르웨이가 공격받을 경우를 대비해 방어하기 위해" 모은 것이라고 주장했다.[50][181] 또한 언론에서는 비케르네스와 유로니무스가 트론헤임의 니다로스 대성당 폭파를 계획했다는 추측도 제기했으나, 비케르네스는 이 역시 부인했다.[181]

3. 3. 재판과 수감 생활

1993년 1월, 노르웨이 주요 신문 중 하나인 ''베르겐스 티덴데''는 블랙 메탈 씬을 대중에게 알리는 기사를 게재했다.[35] 비케르네스의 친구 두 명이 그와의 인터뷰 내용을 신문에 전달했고, 익명 인터뷰에서 "Count Grishnackh"라는 이름으로 등장한 비케르네스는 자신이 교회 방화와 릴레함메르 살인 사건에 연루되었다고 주장했다.[35] ''BT'' 기자는 비케르네스와 직접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비케르네스와 그의 동료들은 교회 방화 사실을 인정하거나 관련 정보를 알고 있다고 말하며 추가 공격을 예고했다. 또한 악마 숭배를 주장하며 공포와 악마성을 퍼뜨리는 것이 목적이라고 밝혔다.[35] ''BT''는 기사 게재 전 경찰과 접촉하여 비케르네스가 제공한 미공개 방화 사건 세부 정보의 진위를 확인했다.[35]

이 기사는 1월 20일 "우리가 불을 질렀다"는 제목과 함께 칼 두 자루를 든 비케르네스의 사진(얼굴 일부 가림)과 함께 ''BT'' 1면에 실렸다. 그러나 기사가 나올 당시 비케르네스는 이미 부르줌 전단에 적힌 주소를 통해 경찰에 체포된 상태였다.[35] 비케르네스는 이 인터뷰가 유로니무스와 함께 사람들을 겁주고 블랙 메탈을 홍보하며 헬베테 상점의 고객을 늘리기 위해 계획한 것이라고 주장했다.[36] 당시 부르줌은 ''아스케'' 미니 앨범 발매를 앞두고 있었다.[35] 다른 블랙 메탈 씬 멤버들도 조사를 받았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났다.[35] 하데스 올마이티의 요른 잉게 툰스베르그는 이 인터뷰가 씬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비케르네스가 언론과 접촉할 줄 몰랐다고 비판했다.[37]

1993년 2월, 노르웨이 잡지 ''록 푸로레''와의 인터뷰에서 비케르네스는 교도소 환경에 대해 "여기는 너무 좋습니다. [...] 죄수들에게 침대, 화장실, 샤워 시설이 제공된다. 완전히 터무니없습니다. 저는 경찰에게 저를 진짜 감옥에 가두어달라고 요청했고, 폭력을 사용하도록 장려했습니다."라고 말했다.[38] 그는 3월에 증거 불충분으로 석방되었다.[35]

1993년 초, 유로니무스와 비케르네스 사이에 갈등이 심화되었다.[39][173] ''베르겐스 티덴데'' 사건 이후 경찰과 언론의 주목을 받게 되자 유로니무스는 헬베테를 폐쇄하기로 결정했다.[40][174]

1993년 8월 10일 밤, 비케르네스는 스노레 "블랙쏜" 루흐와 함께 베르겐에서 오슬로의 Tøyengatano에 있는 유로니무스의 아파트로 이동했다.[44][175] 아파트에서 비케르네스는 유로니무스를 칼로 찔러 살해했다. 초기 언론은 스웨덴 블랙 메탈 팬의 소행으로 추정했다.[39][173] 살해 동기로는 블랙 메탈 씬 내 권력 다툼, 저작권료 등 금전적 문제(유로니무스가 비케르네스에게 상당한 금액의 빚을 짐)[40], 혹은 엠퍼러의 드러머 파우스트가 저지른 살인 사건을 능가하려는 시도 등이 거론되었다.[41][178] 비케르네스는 유로니무스가 자신을 전기 충격 무기로 공격하고 고문하여 스너프 필름을 찍으려 했기 때문에 정당방위 차원에서 살해했다고 주장했다.[42][161] 그는 유로니무스가 계약서 서명을 빌미로 자신을 유인해 습격할 계획이었다고 말했다.[43][162]

살해 당일, 블랙쏜은 비케르네스가 유로니무스의 아파트로 올라가는 동안 계단에서 기다렸다고 진술했다.[42][162] 비케르네스에 따르면, 계약서를 건네주려 문 앞에서 만난 유로니무스가 갑자기 당황하며 자신을 발로 찼고, 부엌으로 달려가 칼을 가져오려 했다.[30][42][162] 이어진 몸싸움 끝에 비케르네스는 유로니무스를 살해했다. 유로니무스의 시신은 아파트 1층 계단에서 발견되었으며, 머리 2곳, 목 5곳, 등 16곳 등 총 23곳의 창상이 있었다.[176][177] 비케르네스는 마지막 일격으로 칼이 두개골에 박힐 정도였다고 주장했으나[45], 대부분의 상처는 싸움 중 깨진 유리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30][42][162] 살해 후 비케르네스와 블랙쏜은 베르겐으로 돌아가는 길에 호수에 들러 피 묻은 옷을 버렸다.[30][42][162] 파우스트는 비케르네스의 정당방위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지만[46][179], 메이헴의 베이시스트 네크로부처는 비케르네스가 유로니무스의 살해 위협 때문에 그를 살해했을 것이라고 믿었다.[47]

블랙쏜은 비케르네스가 살인을 계획했으며 자신에게 동행을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정신병원 강제 입원 직전 상태였으나 베르겐으로 도피해 비케르네스와 지냈다고 말했다.[48][180] 반면 비케르네스는 살인을 계획하지 않았으며, 블랙쏜은 단지 새로운 기타 리프를 유로니무스에게 들려주기 위해 동행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49][162] 비케르네스는 블랙쏜의 주장이 살인 혐의를 피하기 위한 변명이라고 일축했다.[30][162]

비케르네스는 1993년 8월 19일 베르겐에서 체포되었다.[40][174] 경찰은 그의 집에서 150kg의 폭발물과 3,000발의 탄약을 발견했다.[50][181] 일부 자료에 따르면, 비케르네스는 이 폭발물로 오슬로의 급진 좌파 및 무정부주의자들의 거점인 블리츠 하우스를 폭파할 계획이었으며, 이 계획은 실행 직전에 있었다고 한다.[57][151] 케빈 쿠건은 비케르네스가 블리츠 하우스를 파괴하려 했으며, '공산주의자'인 유로니무스가 이 계획에 반대할 것이기 때문에 그를 먼저 살해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129][182][141] 언론은 유로니무스와 비케르네스가 노르웨이의 대표적인 대성당트론헤임의 니달로스 대성당 폭파도 계획했다고 추측했다. 이 성당은 메이헴의 1집 앨범 ''De Mysteriis Dom Sathanas'' 표지에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비케르네스는 2009년 인터뷰에서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며, 노르웨이가 공격받을 경우를 대비해 방어 목적으로 폭발물과 탄약을 모았다고 주장했다.[50][181]

비케르네스의 재판은 1994년 5월 2일에 시작되었고, 변호는 스테인-에릭 마트손이 맡았다.[51] 블랙쏜과 파우스트 등 다른 씬 멤버들도 함께 재판을 받았다. 일부는 범행을 자백하고 다른 연루자들을 지목했다. ''카오스의 군주''에 따르면, 비케르네스는 다른 이들이 자백하는 동안 자신은 침묵을 지켰다는 사실에 혐오감을 느꼈다고 한다.[52] 재판 과정에서 언론은 비케르네스를 "50년 만에 노르웨이에 나타난 첫 번째 진짜 공포의 대상"으로 묘사했다.[53] 법정에서는 비케르네스, 블랙쏜, 그리고 또 다른 친구가 살인을 공모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세 번째 인물은 알리바이를 만들기 위해 베르겐의 아파트에 머물며 영화를 빌려보고 비케르네스의 신용카드를 사용했다는 것이다.[54]

1994년 5월 16일, 비케르네스는 유로니무스 살해, 교회 3곳 방화, 교회 1곳 방화 미수, 폭발물 150kg 절도 및 보관 혐의로 노르웨이 법정 최고형인 징역 21년을 선고받았다.[36] 비케르네스는 폭발물 관련 혐의만 인정했다. 그가 선고받은 날, 두 개의 교회가 추가로 불탔는데, 이는 그에 대한 상징적인 지지 표현으로 해석되었다.[52] 살인에 직접 가담하지 않은 블랙쏜은 공범 혐의로 징역 8년을 선고받았다.[52]

1994년 5월, 유로니무스가 기타를, 비케르네스가 베이스 기타를 연주한 메이헴의 앨범 ''De Mysteriis Dom Sathanas''가 발매되었다.[55] 발매 전 유로니무스의 가족은 드러머 헬해머에게 비케르네스의 베이스 트랙 삭제를 요청했으나, 헬해머는 "살인자와 피해자가 같은 음반에 있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베이스 파트를 다시 녹음할 거라고 말했지만, 실제로 그렇게 하지 않았다."며 요청을 거절하고 그대로 발매했다.[55]

비케르네스가 형기의 마지막 부분을 보낸 트롬쇠 교도소


비케르네스는 베르겐, 퇸스베르, 링게리케, 트론헤임, 트롬쇠 등 여러 교도소에서 수감 생활을 했다.

수감 초기, 비케르네스는 노르웨이 이교도 전선(Norsk Hedensk Front)을 결성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6] 학자 마티아스 가르델은 이 단체가 이교적 네오 나치 성향을 띠며 국제적인 범 게르만 이교도 전선(Allgermanische Heidnische Front, AHF)으로 발전했다고 보았다.[56] 자비에르 카타리니치는 비케르네스를 이 단체의 "자칭 지도자"라고 불렀고,[57] 굿릭-클라크는 비케르네스가 저서 ''바르그스모르''를 통해 "노르웨이 이교도 전선의 족장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고 언급했다.[58] 그러나 이교도 전선 측은 비케르네스의 관련성을 공식적으로 부인했으며, 이는 노르웨이에서 수감자의 정치 단체 활동이 금지되어 있어 그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비케르네스 자신도 해당 단체 결성 및 가입 사실을 부인하며, 유일하게 가입한 단체는 릭스모르스포르분데트(전통 표준 노르웨이어 보존 협회)라고 밝혔다.[50] 하지만 그는 네오 나치 단체 조른 88과 접촉하여 그들의 잡지에 글을 기고했으며,[59] 이 단체의 주요 인물인 얀 에릭 크밤스달이 비케르네스의 ''바르그스모르'' 출판과 이교도 전선 설립을 도왔다는 주장도 있다.[59]

1997년 4월, 노르웨이 경찰은 헤르네스 시에서 5명의 네오 나치를 체포했다. 이들은 자칭 "아인자츠그루페" 소속으로 노르웨이 정치 및 종교 지도자들에 대한 공격과 비케르네스의 탈옥을 계획하고 있었다.[60] 이들은 총기, 폭탄, 방탄복 등 준군사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60] 멤버 중 한 명인 톰 에이테르네스는 감옥에서 비케르네스와 친분을 쌓은 후 탈옥 계획에 가담했다.[60] 비케르네스의 어머니 레네 보레는 이 단체에 10만노르웨이 크로네를 지원한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아들이 동료 수감자에게 위협받고 있다고 믿었을 뿐 극우 단체인 줄은 몰랐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았고, "아인자츠그루페" 사건은 1998년에 종결되었다.[60][61] 이 시기 비케르네스는 스킨헤드 외모를 하고 SS 문양 벨트 버클을 착용했다는 기록도 있다.[60]

수감 중 비케르네스는 신시사이저만을 사용하여 두 개의 앰비언트 및 네오포크 앨범을 녹음했다. ''다우디 발드르''는 1994-1995년 녹음되어 1997년에, ''힐스클잘프''는 1998년 녹음되어 1999년에 발매되었다.[62] 2000년, 그는 자신의 철학이 블랙 메탈 및 사탄 숭배와 연관되어 오해받는다며 부르줌 활동 중단을 선언했으나,[63] 이후 웹사이트를 통해 출소 후 활동 재개 의사를 밝혔다.[64] 2000년대 초반에는 신이교 네오 나치 단체 비그리드의 잡지에 정기적으로 글을 기고했다.[65][66]

2003년 8월, 비케르네스는 보안 등급이 낮은 퇸스베르 교도소로 이감되었다.[67] 10월 15일 지역 신문 ''톤스베르그 블라드''에 그를 비판하는 기사가 실렸고,[68] 10월 26일, 그는 짧은 휴가 중 도주하여 누메달에서 총기로 차를 탈취했다. 약 19시간 후 로메리케에서 경찰에 체포되었으며,[68] 차 안에서는 칼, 방독면, 위장복, GPS 항법 장치, 지도, 나침반, 노트북, 휴대 전화 등이 발견되었다.[67] 경찰은 그가 숨어있던 롤라그 시의 오두막에서 권총과 G3 자동 소총도 찾아냈다.[69] 경찰은 그의 탈출이 외부의 도움을 받아 치밀하게 계획된 것으로 결론지었다.[67] 탈출 전 비케르네스는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살해 협박을 받았고 다른 수감자에게 목이 졸릴 뻔했다고 주장했다.[68] 이 탈옥 시도로 인해 그의 형기에 13개월이 추가되었고, 그는 링게리케 교도소를 거쳐 2004년 7월 트론헤임 최고 보안 교도소로 이감되었다. 형기의 마지막 3년은 트롬쇠 교도소에서 보냈다.

비케르네스는 21년 형 중 12년 복역 후 가석방될 수 있었으나, 2002년 노르웨이 의회가 가석방 최소 복역 기간을 14년으로 연장하면서 2006년 6월 첫 가석방 신청이 거부되었다.[120] 그의 변호사 존 크리스티안 엘덴은 이 법 개정이 소급 입법 금지 원칙(노르웨이 헌법 제97조)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2008년 6월에도 가석방이 거부되었으나, 가족 방문을 위한 단기 외출은 허용되었다.[120][70][71] 마침내 2009년 3월, 그의 가석방이 결정되었고,[72] 그해 5월 22일, 21년 형 중 약 15년을 복역한 후 보호 관찰 조건으로 석방되었다.[73]

4. 사상과 견해

바르그 비케르네스는 그의 범죄 행위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정치적, 종교적 견해로 인해 "역대 가장 악명 높은 메탈 음악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103] 그의 사상은 오딘교, 민족주의, 인종주의, 반기독교, 반유대주의 등 복잡하고 논란적인 요소들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비케르네스는 어린 시절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약 1년간 거주했던 경험[15]을 통해 인종 문제에 대해 처음 인식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16] 그는 당시 학교에서 교사들이 백인인 자신을 감히 체벌하지 못했다고 회상하며[16], 이를 통해 인종적 차이를 느꼈다고 언급했다. 또한 그는 자신의 아버지가 하켄크로이츠 깃발 소지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했지만 정작 유색 인종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는 위선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비판했으며[15], 어머니는 "매우 인종 의식이 있었다"고 말했다.[19] 일부에서는 그가 청소년 시절 신나치 스킨헤드 문화의 일부였다고 주장하지만[57][7], 비케르네스 본인은 이를 부인했다.[24]

음악적으로는 어린 시절 차이콥스키 등 클래식 음악을 즐겨 들었으나, 12살 때 헤비 메탈 음악에 빠져 아이언 메이든을 가장 큰 영감으로 꼽았다.[21] 이후 크리에이터, 소돔, 바토리, 슬레이어 등 여러 메탈 밴드의 영향을 받았다.[21][22] J. R. R. 톨킨의 중간계 세계관에도 깊이 매료되어, 그의 예명 '그리쉬나크(Grishnackh)'는 오크 이름에서, 밴드명 '버줌(Burzum)'은 절대반지에 새겨진 암흑어의 '어둠'이라는 단어에서 따왔다.[6]

비케르네스의 핵심 사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수감 중에는 오딘교와 비밀 나치즘을 결합한 견해를 발전시켰으며[57][7], 한때 자신을 나치라고 칭하기도 했다.[129] 그러나 2005년 이후로는 반슬라브 정서와 연관되기를 원치 않는다며[105] 자신을 더 이상 나치로 규정하지 않고, 대신 '오달주의(Odalism)'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07][108] 오달주의는 그에 따르면 이교주의, 전통 민족주의, 인종주의, 환경보호주의 등을 포괄하는 반현대적 이념이다.[105][108] 그는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등 기존 종교와 자본주의, 물질주의 등을 강하게 비판한다.[108][227]

그의 극단적인 사상은 여러 논란과 사건으로 이어졌다. 2013년 프랑스에서 테러 모의 혐의로 아내와 함께 체포되었으나 구체적인 증거가 부족하여 석방되었고[208][209][210][211][212], 대신 유대인무슬림에 대한 인종차별 선동 혐의로 2014년 유죄 판결을 받아 징역 6개월과 8000EUR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213][214] 또한, 네오-푈키쉬 단체인 히즌 프론트(Heathen Front)의 지도자라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었으나[224][225], 본인은 관련 단체에 가입하거나 활동한 적이 없다며 이를 강력히 부인했다.[181][145]

비케르네스는 다른 인물들에 대해서도 논쟁적인 견해를 밝혔다. 2011년 노르웨이 테러 범인 아네르스 베링 브레이비크의 일부 견해에는 동조하면서도, 그를 "기독교 루저"라 비난하고 그의 테러가 유대인 음모론의 일부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84][111] 미국 래퍼 카니예 웨스트가 버줌 음악을 샘플링하고 티셔츠를 입는 등 관심을 보이자[114], 처음에는 무관심을 표명했으나[115] 나중에는 웨스트의 용기를 칭찬하기도 했다.[11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협력했던 노르웨이의 정치인 비드쿤 크비슬링을 공개적으로 옹호하는 발언을 했으며[238], 한때 '크비슬링(Kvisling)'이라는 예명을 사용하기도 했다.[237]

그는 자신의 사상을 전파하기 위해 여러 저서를 출판했다. 수감 중 집필한 선언문 『Vargsmål』[215]을 비롯하여 『Irminsûl』, 『Germansk Mytologi og Verdensanskuelse』(게르만 신화와 세계관), 『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 등을 통해 자신의 이교주의적, 민족주의적, 인종주의적 세계관을 설파했다.[230][231] 그는 자신의 저서 『Vargsmål』에 대해 "어렸고 고독했을 때 분노 속에서 쓴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217]

4. 1. 오달주의

영화 ''메탈: 헤드뱅어의 여정''에서 감독 샘 던은 비케르네스를 그의 범죄 행위뿐만 아니라 정치적, 종교적 견해 때문에 "역대 가장 악명 높은 메탈 음악가"로 묘사했다.[103] 비케르네스는 수감 기간 동안 오딘교와 비밀 나치즘을 결합한 관점을 지지했다.[57][7] 종교학자 에길 아스프렘은 그를 "이교주의적 성향의 스킨헤드와 민족 사회주의적 성향의 현대 이교도들의 우상"으로 평가했다.[104]

비케르네스는 2005년 웹사이트 성명을 통해 과거 자신의 이념을 설명하기 위해 '나치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적이 있으나 더 이상 자신을 나치로 칭하지 않는다고 밝혔다.[105] 그는 1994년 유죄 판결 이후[129] 1990년대 후반까지[105]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특히 반슬라브 정서와 연관되기를 원치 않았기 때문에 이 용어 사용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105] 그럼에도 2022년에는 자신이 나치로 묘사되는 것을 "고맙게 여겼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06]

1990년대 후반부터 비케르네스는 자신의 사상을 "오달주의(Odalism)"라고 명명했다.[107][108] 오달주의는 그에 따르면 "이교주의, 전통 민족주의, 인종주의환경보호주의"를 아우르는 개념이다.[105] 그는 또한 사회 보수주의, 단순한 삶, 그리고 생존주의를 포함한 자급자족을 지지한다.[109] 비케르네스는 자신의 이념이 강력하게 반현대적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타임스''의 에릭 브라운에 따르면, 비케르네스는 산업화 이전 유럽 이교 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는 모든 것, 예를 들어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자본주의, 물질주의 등에 반대한다. 또한 그는 "전통적인 유럽 정체성을 파괴하려는 것으로 인식되는 국제 유대 음모"에 맞서 목소리를 높인다고 한다.[108]

비케르네스는 현대 인류의 최근 아프리카 기원 이론을 부정하며, 대신 현대 유럽인, 특히 북유럽인이 ''호모 사피엔스''가 아닌 네안데르탈인의 후손이며 "네안데르탈인이 아닌 혼혈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주류 과학계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10]

학자 니콜라스 구드릭-클라크에 따르면, 비케르네스는 감옥에 있는 동안 인종차별과 신비주의적 국가 사회주의를 결합한 노르웨이 신화를 바탕으로 민족주의적 이교 이데올로기를 구축하기 시작했다.[136] 이러한 사상은 그가 수감 후 집필한 선언문인 『Vargsmål』 등에 나타나 있다.[215] 『Vargsmål』은 1997년 노르웨이에서 페이퍼백 형태로 출판되었으며,[216] 비케르네스 자신은 후에 이 책이 "어리고 고독했을 때 분노 속에서 쓴 것"이라고 언급했다.[217]

4. 2. 인종주의와 외국인 혐오

비케르네스는 유대인무슬림에 대한 인종차별 선동 혐의로 프랑스 당국에 의해 고발되었으며[213], 2014년7월 8일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 6개월과 8000EUR의 벌금을 선고받았다[214].

역사학자 니콜라스 구드릭-클라크에 따르면, 비케르네스는 수감 기간 동안 인종차별과 신비주의적 국가 사회주의를 결합한 노르웨이 신화를 바탕으로 민족주의적 이교 이데올로기를 구축하기 시작했다[136]. 이는 그가 수감 중 집필한 선언문 『Vargsmål』 등에서 나타나며[215][216], 비케르네스 자신은 후일 이 책이 "어렸고 고독했을 때 분노 속에서 쓴 것"이라고 언급했다[217]. 유죄 판결 이후 비케르네스는 한때 자신을 네오 나치로 규정하기도 했으며[141], 『백인 우월주의 백과사전』은 그가 수감 생활 중 오달리즘과 국가 사회주의 철학을 열성적으로 선전했다고 기술한다[151].

그러나 2005년 자신의 웹사이트에 게시한 글 '나치의 망령(The Nazi Ghost)'[219]에서 더 이상 나치가 아니라고 밝혔는데, 과거 '나치즘'을 옹호했던 이유는 일부 나치들이 이교 신앙을 내포하고 유대교-기독교를 부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219]. 그는 자신과 나치의 차이점으로 (나치즘 수준의) 사회주의자가 아니며, 유물론자가 아니고, 고대 스칸디나비아민주주의를 믿는다는 점을 들었다[219].

대신 그는 룬 문자 '오달'[220]에 기반한 '오달리즘(Odalism)'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사용했는데[219], 이는 이교주의, 전통적 민족주의, 레이시즘, 환경주의를 포함하는 사상이다[219]. 비케르네스는 오달리즘을 자본주의, 유물주의, 유대-기독교, 공해, 도시화, 인종 혼합, 아메리카니즘, 사회주의, 세계화 등 '현대의 문명 사회'와 대립하는 것으로 묘사한다[219]. 그는 노르디시즘, 레이시즘[221], 우생학을 수용한다고 밝혔으나[222], 동시에 모든 문화는 각자의 민족에게 동등하게 유효하며 자신은 인종주의자이지만 누구도 미워하지 않고 "증오는 바보 같은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181].

또한 유럽 연합(EU)에 대해 "완전히 퇴폐적이고, 관료적이며, 우세한 가톨릭적이며, 완전히 혼돈스럽다"며 경멸감을 드러냈다[223].

비케르네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협력한 노르웨이의 정치인 비드쿤 크비슬링을 옹호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238]. 그는 크비슬링을 자신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언급했으며[236], 한때 자신의 예명을 '크비슬링(Kvisling)'으로 사용하기도 했다[237].

2014년에는 그의 저서 『Vargsmål』과 『Rechi Varga』의 러시아어 판이 러시아 연방 정부의 명령으로 그의 웹사이트에서 삭제되기도 했다.

4. 3. 반유대주의와 음모론

2013년 7월 16일, 비케르네스는 프랑스 코레즈주에서 테러 행위 계획 혐의로 프랑스 국적의 아내와 함께 체포되었다[208][209][210][211]. 이는 그의 아내가 합법적인 총기 소지 허가를 가지고 소총 4정을 구매한 이후 벌어진 일이었다[211]. 그러나 경찰이 구체적인 테러 계획이나 대상을 특정하지 못하면서, 부부는 별다른 처벌 없이 석방되었다[212].

대신 프랑스 당국은 비케르네스를 유대인무슬림에 대한 인종차별 선동 혐의로 기소했다[213]. 2014년 7월 8일, 그는 인종차별 선동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아 징역 6개월과 8000EUR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214]. 같은 해, 러시아 연방 정부의 명령으로 그의 저서 「Vargsmål」과 「Rechi Varga」의 러시아어 판이 그의 웹사이트에서 삭제되기도 했다.

유죄 판결 이후, 비케르네스는 스스로를 네오 나치로 규정하기 시작했다[141]. 『백인 우월주의 백과사전』은 그가 수감 생활 중 오달리즘과 국가 사회주의 철학을 열성적으로 선전했다고 기술했다[151].

그러나 2005년 7월, 그는 자신의 웹사이트에 게시한 "나치의 망령 (The Nazi Ghost)"[219]이라는 글을 통해 더 이상 나치가 아니라고 밝혔다. 그는 과거 '나치즘'을 자신의 이념적 토대로 삼았던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나는 지금까지 "나치즘"에 매료되어 때때로 옹호해 온 이유는, 주로 노르웨이(와 독일)의 "나치"의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이교 신앙을 피의 종교로 내포하고 있었고, 유대교이단으로서 유대-기독교를 부정했기 때문이다.[219]

비케르네스는 자신을 나치와 구별하는 세 가지 요소로 "(나치즘 수준의 국가) 사회주의자가 아니며, 유물론자도 아니고, 고대 스칸디나비아민주주의를 믿는다"는 점을 들었다[219]. 그는 1990년대 후반, 룬 문자 중 '오달'[220]에 기반하여 '오달리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219]. 비케르네스는 오달리즘을 "이교주의, 전통적 민족주의, 레이시즘, 환경주의를 포함"하며, 자본주의, 유물론, 유대-기독교, 공해, 도시화, 인종 혼합, 아메리카니즘, 사회주의, 세계화 등 현대 문명과 대립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219].

그는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노르디시즘, 레이시즘[221], 우생학을 수용한다고 밝혔으나[222], 동시에 모든 문화는 각자에게 동등하게 유효하고 유익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19]. 비케르네스는 자신이 인종주의자임에도 불구하고 누구도 미워하지 않으며 "증오는 바보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181]. 또한 팬들의 질문에 답하며 유럽 연합에 대해 "완전히 퇴폐적이고, 완전히 관료적이며, 우세한 가톨릭적이며, 완전히 혼돈스럽다"고 비판하며 경멸감을 드러냈다[223].

4. 4. 노르웨이 민족주의와 이교주의

바르그 비케르네스는 2010년 스페인의 한 잡지 인터뷰에서 자신의 오디니즘에 대해 "신앙심이 깊은 사람은 아니지만, 이교도의 관념과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피와 흙, 명예를 숭배한다"며 이는 "가족, 지역과 하밍야, 그리고 강함, 전통, 용기"를 의미한다고 설명했고, "유럽의 각성을 믿는다"고 덧붙였다.[226]

비케르네스는 다크스론의 일부 곡 가사를 작사했는데, 고대 독일 민간 전승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가사에서는 사탄이 빛의 근원인 (즉, 태양)과 관련하여 북유럽 신화의 신 오딘의 한 측면으로 묘사된다. 또한 이나 "전투의 장"에 대한 언급도 오딘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이는 유대-기독교 전통에서 오딘을 '적'으로 간주하는 해석과 연결된다. 이러한 이유로 비케르네스는 사탄주의기독교에 대한 반동일 뿐이라고 여러 차례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그를 사탄주의자로 여기거나 과거에 그랬다고 추측한다.

비케르네스는 기독교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보인다. 그는 기독교가 "쇠퇴한 자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억압의 도구로 로마 제국 말기 로마인들을 쇠퇴로 이끌었다"고 주장하며, "마음과 정신에 수갑이 채워진 것 같고, 단지 인류를 파멸시킬 뿐"이라고 비판한다. 그는 기독교를 종교가 아닌 "정신적인 역병, 대중의 정신병"으로 간주하며, 의학적으로 다루어야 할 문제라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기독교를 이슬람교나 다른 아시아 종교들과 마찬가지로 "정신과 마음의 HIV/AIDS"에 비유하기도 했다.[227]

현재 비케르네스는 "충성심, 지혜, 용기, 사랑, 규율, 성실, 지성, 아름다움, 책임, 건강 그리고 강함에 관한 이교도적 가치관과 이상을 토대로 만들어진 현대적인 과학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228] 그는 인종과 지능, 그리고 지능과 종교 모두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지적하며, 유신론을 "열등한 인종"만을 위한 "정신적 노예화"라고 비난한다.[228] 비케르네스는 "만약, 목적을 얻기 위해 이교주의가 어떤 이념이 될 필요가 있었다면, 종교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228] "석기 시대의 오해"를 가지고 있는 주류 유신론을 비난하면서도 비케르네스는 종교적 신화가 생명의 기원이나 사후 세계 등 자연계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달성하지 못한 과학 분야에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228]

2009년 후반, 비케르네스는 자신의 웹사이트에 다음과 같은 글을 게시했다. "나는 명백히 그곳과 다른 세계에서 살고 있다. 그곳에서는 누구나 공포나 괴롭힘 없이 현실의 인식을 논의할 수 있다. 요컨대, 관용과 존중의 세계, 지적인 논의와 성실의 세계다. 너희들 중 몇몇은 그렇지 않으니, 나는 말할 때 조심해야 한다."[229]

『Vargsmål』 외에도 비케르네스의 개인적인 세계관 작품에는 『Irminsûl』과 『Germansk Mytologi og Verdensanskuelse』(게르만 신화와 세계관)가 있다.[230]

2011년, 비케르네스는 자신의 작품을 처음으로 영어로 출판했다. 『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라는 제목의 작품은 특히 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까지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의 종교적 관습에 대해 쓰여진 『Germansk Mytologi og Verdensanskuelse』를 재교정한 것이다.[231] 현재 학술 영역에서는 대부분 거부되었지만, 그는 신화를 죽음이나 매장, 지배와 관련된 연례 의식의 측면을 대표한다고 해석하는 제임스 프레이저의 『황금 가지』에서 영감을 받았다.[232] 여기에는 각 절이 비케르네스에 따른 의미도 포함된 『무녀의 예언』의 새로운 번역도 포함된다.[233]

2013년에, 그와 그의 아내, 마리 카셰는 고대 노르웨이 이교 의식을 소재로 한 『ForeBears』라는 영화를 릴리스했다.

비드쿤 크비슬링1942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 점령하의 노르웨이에서 나치에 협력적인 정권의 지도자로서 노르웨이에 군림한 인물이다. 그는 매국노 체제의 불수의 창시자이며, 극도로 모호하고 심오한 학설을 개척했다. 그에 대한 온라인 기사[234]는 그의 "소탈하고 지적인 영향"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으며, 그는 항상 이 학설을 "노르웨이 블랙 메탈의 확실하고 극단적인 자질"로 가슴에 품어왔다. 이 인상은 『블랙 메탈의 피로 물든 역사』에서 언급되었다. 이 책의 인터뷰에서 바르그 비케르네스는 크비슬링의 종교가 이교인지 아니면 기독교인지에 대한 질문에 직면한다[235]。모이니한과 소데린드는 다음과 같이 썼다. "비케르네스는 자신의 선구자로서 비드쿤 크비슬링이 있음을 밝혔다"[236]。어느 시기에 그는 일시적으로 자신의 예명을 "크비슬링(Kvisling)"으로 사용하기도 했으며[237], 그는 『바르그스몰』에서 이 선택에 대해 설명한다.

> 내 외가쪽 조상 중 수잔 마레네 키슬링(Susanne Malene Qisling)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녀는 1811년2월 6일에 태어나 1891년5월 10일에 사망했다. 키슬링은 "왕가의 자손의 일족"이라는 의미다. [...]

비케르네스는 한 인터뷰에서 "그들(제2차 세계 대전 개전 당시의 노르웨이 정부 관계자)은 마치 처럼 도망쳐 노르웨이에서 달아났다. 그리고 권력에 있는 사람이 없어졌다. 그래서 비드쿤 크비슬링이 질서를 되찾으려고 했을 때, 그는 전후 심장에 맞은 총알에 감사했다"[238]라고 말했다. 이것이 『블랙 메탈의 피로 물든 역사』 외에 비케르네스가 비드쿤 크비슬링을 언급한 유일한 문장으로 알려져 있다. www.burzum.org에서는 비케르네스는 비드쿤 크비슬링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239]

어린 시절, 비케르네스는 J. R. R. 톨킨이 창조한 가운데땅의 소설 속 세계에 매료되었다. 그의 예명인 그리쉬나크 (Grishnackh)는 『두 개의 탑』에 등장하는 오크에서 따온 것이다. 또한, 어둠을 의미하는 버줌이라는 이름은 『반지의 제왕』의 절대반지에 새겨진 암흑어에서 따온 것이다. 이 각인은 "Ash nazg durbatulûk, ash nazg gimbatul, ash nazg thrakatulûk agh burzum-ishi krimpatul"이라고 쓰여 있으며, 한국어 번역은 "하나의 반지는 모든 것을 지배하고, 하나의 반지는 모든 것을 찾아내며, 하나의 반지는 모든 것을 묶어 어둠 속에 가둔다"이다. 또한, 올드 퓨너럴에 합류하기 전, 버줌은 우루크하이 (Uruk-Hai)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이 이름 역시 반지의 제왕 등장인물에서 따온 것이다.

비케르네스는 그의 웹사이트에서 반지의 제왕에 관해, 이 책에 담긴 이교주의와의 관련성을 지적하는 한편, 톨킨의 가톨릭 신념의 유대교-기독교적 맥락도 인정하고 있다.

5. 논란과 비판

바르그 비케르네스는 블랙 메탈 음악가로서의 활동 외에도 그의 극단적인 사상과 폭력적인 행적으로 인해 지속적인 논란과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메이헴의 기타리스트 유로니무스 살해 사건[45], 교회 방화 연루 의혹 및 폭력 미화 발언[35][38], 네오나치즘 및 인종차별을 포함한 극우 극단주의 사상[136][221] 등이 주요 비판 지점이다.

수감 중에도 극우 단체와의 연관성 의혹[56][59], 탈옥 시도[68] 등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석방 후 프랑스에서는 테러 행위 계획 혐의로 체포되었다가[208] 인종차별 선동 혐의로 유죄 판결[214]을 받기도 했다. 이러한 그의 언행과 사상은 일부 추종자들에게 영향을 미쳐 모방 범죄를 유발하는 등[241][242]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파장을 낳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5. 1. 극우 극단주의와의 연관성



1993년 8월 19일 비케르네스 체포 당시, 경찰은 그의 집에서 150kg의 폭발물과 3,000발의 탄약을 발견했다.[50] ''백인 우월주의 백과사전''에 따르면, 비케르네스는 "오슬로에 있는 급진 좌파 및 무정부주의자들의 거점인 블리츠 하우스를 폭파하려고 의도했으며",[57] 이 계획은 "실행 직전에 있었다고 한다."[57] 케빈 쿠건은 비케르네스가 "오슬로에 기반을 둔 펑크 반파시스트 불법 점거지인 블리츠 하우스를 파괴하려" 했으며,[129] "'공산주의자'가 그런 행위에 거의 반대했을 것이기 때문에 블리츠 하우스를 폭파하기 전에 유로니무스를 죽일 수밖에 없다고 느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129] 그러나 비케르네스는 2009년 인터뷰에서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며, "노르웨이가 공격받을 경우를 대비하여 노르웨이를 방어하기 위해" 폭발물과 탄약을 수집했다고 주장했다.[50]

스웨덴 학자 마티아스 가르델은 그의 저서 ''피의 신들''에서 비케르네스가 수감 초기 시절에 노르웨이 이교도 전선 (Norsk Hedensk Frontno)을 결성했다고 주장했다.[56] 가르델은 이것이 이교 네오 나치 단체로, 국제적인 범 게르만 이교도 전선(Allgermanische Heidnische Frontde 또는 AHF)으로 성장했다고 설명한다.[56] 자비에르 카타리니치는 비케르네스를 노르웨이 이교도 전선의 "자칭 지도자"라고 칭했고,[57] 굿릭-클라크는 비케르네스가 ''바르그스모르''를 쓰면서 "노르웨이 이교도 전선의 족장으로서의 그의 역할"을 강조했다고 언급했다.[58] 이교도 전선은 공식적으로 비케르네스가 책임을 맡고 있다는 것을 부인했는데, 이는 노르웨이 수감자들이 정치 단체를 이끄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그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일 수 있다. 조직의 등록된 주소는 비케르네스가 감옥에서 사용했던 우편 사서함과 동일했지만, 모든 서신이 감옥 직원에 의해 검열될 것이기 때문에 비케르네스가 조직을 이끄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기 매우 어려웠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비케르네스 자신은 "나는 그러한 조직을 결성하거나 멤버로 활동한 적이 없습니다. 제가 멤버로 있는 유일한 조직은 릭스몰스포르분데트입니다"라고 부인했다.[50] 그러나 비케르네스는 네오 나치 단체 조른 88과 접촉하여 그 잡지 ''걘라르호른''에 기사를 썼으며,[59] 이 단체의 주요 멤버 중 한 명인 얀 에릭 크밤스달은 비케르네스가 ''바르그스모르''를 출판하고 이교도 전선을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알려졌다.[59]

1997년 4월 8일, 노르웨이 경찰은 헤르네스 시에서 자칭 "아인자츠그루페" 소속의 네오 나치 5명을 체포했다. 이들은 노르웨이의 정치 및 종교 지도자들에 대한 공격과 비케르네스의 탈옥을 계획하고 있었다.[60] 이 단체는 총, 폭탄, 방탄 조끼 등 "준군사 조직의 모든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60] 멤버 중 한 명인 톰 에이테르네스는 감옥에서 비케르네스와 친구가 된 후 휴가 중 탈출했다.[60] 비케르네스의 어머니 레네 보레는 이 단체에 10만노르웨이 크로네를 제공한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그들이 "극우 극단주의자"라는 것을 몰랐고 아들이 동료 수감자들에게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자백했다. 경찰은 돈이 비케르네스에게서 나왔을 것으로 의심했지만,[60] 보레는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았고,[60] "아인자츠그루페" 사건은 1998년에 종결되었다.[61] ''혼돈의 군주''는 비케르네스가 이 시기에 "스킨헤드" 모습을 하고 SS 문양이 있는 벨트 버클을 착용했다고 기록했다.[60]

굿릭-클라크에 따르면, 비케르네스는 수감 중 "인종차별과 신비주의적 국가 사회주의를 겸비한 노르웨이 신화를 소재로 삼아 민족주의적 이교 이데올로기를 구축하기 시작했다."[136] 이는 비달 폰 헤르스케가 출판한 네오 나치 잡지 ''Filosofem''에 실린 비케르네스의 기사와 그의 선언문 ''Vargsmål''에 근거한다. ''Vargsmål''은 비케르네스가 수감 후 집필을 시작했으며,[215] 1997년 그의 어머니 헬레네 보레의 자금 지원으로 노르웨이에서 출판되었다.[216] 비케르네스는 이후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Vargsmål''은 내가 어렸고 고독했을 때 분노 속에서 쓴 것"이라고 언급했다.[217]

유죄 판결 이후, 비케르네스는 스스로를 네오 나치로 정의하기도 했다.[141] ''백인 우월주의 백과사전''은 그가 수감 생활 중 오달리즘과 국가 사회주의 철학을 선전했다고 묘사했다.[151] 그러나 2005년 7월 웹사이트 기사 "나치의 망령 (The Nazi Ghost)"에서 그는 더 이상 나치가 아니라고 밝혔다.[219] 그는 과거 "나치즘"을 옹호했던 이유가 노르웨이와 독일의 "나치" 다수가 이교 신앙을 피의 종교로서 받아들이고 유대-기독교를 부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219] 그는 자신을 나치와 구분하는 점으로 (나치즘 수준의) 사회주의자가 아니며, 유물론자가 아니고, 고대 스칸디나비아 민주주의를 믿는다는 세 가지를 들었다.[219]

1990년대 후반, 비케르네스는 룬 문자 오달에 기반한 "오달리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220][219] 그는 이를 "이교주의와 전통적인 민족주의, 인종차별과 환경주의를 포함한다"고 설명하며, "자본주의, 유물론, 유대-기독교, 공해, 도시화, 인종 혼합, 아메리카니즘, 사회주의, 세계화 등"으로 대표되는 현대 문명 사회와 대조했다. 비케르네스는 노르디시즘, 인종차별[221]우생학을 수용한다고 밝혔으나,[222] 동시에 모든 문화는 각자에게 유효하고 유익하다고 주장하며[219] 자신은 인종주의자이지만 누구도 미워하지 않으며 "증오는 바보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181] 그는 또한 유럽 연합에 대해 "완전히 퇴폐적이고, 완전히 관료적이며, 우세한 가톨릭적이며, 완전히 혼돈스럽다"며 경멸을 표했다.[223] 2000년대 초반에는 신이교 네오 나치 단체 비그리드의 잡지에 정기적으로 기사를 기고했다.[65][66]

2013년 7월 16일, 비케르네스는 프랑스 코레즈주에서 테러 행위 계획 혐의로 프랑스 국적의 아내와 함께 체포되었다.[208][209][210][211] 이는 그의 아내가 소총 4정을 구입한 것이 계기가 되었으나, 그녀는 합법적인 화기 소지 허가를 가지고 있었다.[211] 구체적인 테러 계획이나 대상이 특정되지 않아 두 사람은 처벌 없이 석방되었다.[212] 대신 비케르네스는 유대인무슬림에 대한 인종차별 선동 혐의로 프랑스 당국에 의해 기소되었고,[213] 2014년7월 8일 유죄 판결을 받아 징역 6개월 집행유예와 8000EUR의 벌금이 부과되었다.[214]

같은 해, 러시아 연방 정부의 명령으로 그의 저서 ''Vargsmål''과 ''Rechi Varga''의 러시아어판이 그의 웹사이트에서 삭제되었다.

비케르네스는 수감 중 히즌 프론트(AHF)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에, 이는 반파시즘 단체들이 자신을 박해하기 위해 퍼뜨린 주장이며 자신은 해당 단체의 멤버였던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145] 그는 노르웨이 비밀 경찰 역시 자신이 리더라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압력 때문에 히즌 프론트와 거리를 두게 되었다고 말했다.[145] 그는 수감 중 어떤 단체의 멤버도 아니었고 활동에 참여한 적도 없으며, 멤버가 아니더라도 잡지에 기고하는 것은 가능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145] 2009년 노르웨이 신문 다그블라데와의 인터뷰에서도 그는 수감 중 네오 나치나 인종 차별 단체와 관계를 맺었다는 지적에 대해 "나는 그런 단체를 결성한 적도, 멤버가 된 적도 없다. 내가 멤버가 된 유일한 단체는 릭스몰스포르분데트뿐이다."라고 답변했다.[181]

5. 2. 폭력 미화와 정당화

1993년 1월, 노르웨이 유력 일간지 ''베르겐스 티덴데''와의 익명 인터뷰에서 비케르네스는 자신이 교회 방화와 살인을 저질렀다고 주장하며, "공포와 악마성을 퍼뜨리는 것이 우리의 의도"라고 밝혔다.[35] 이는 블랙 메탈 씬을 홍보하고 사람들에게 겁을 주려는 의도였다고 후에 설명했지만[36], 그의 폭력적인 성향과 이를 미화하려는 태도를 보여주는 초기 사례이다. 같은 해 2월 ''록 푸로레''와의 인터뷰에서는 노르웨이 교도소 시스템이 "너무 좋다"고 비꼬며, 자신을 "진짜 감옥에 가두어달라"고 경찰에게 요청하고 폭력 사용을 장려했다고 말하는 등[38], 반성 없는 태도를 보였다.

1993년 8월 10일, 비케르네스는 메이헴의 기타리스트 유로니무스를 살해했다. 비케르네스는 유로니무스가 자신을 고문하고 스너프 필름을 찍으며 살해하려는 계획을 세웠기 때문에 정당방위 차원에서 살해했다고 일관되게 주장한다.[42][43] 그는 유로니무스가 먼저 공격했으며, 자신은 싸움 중 깨진 유리 조각 등에 의해 생긴 상처가 대부분이라고 주장했지만[30][42], 부검 결과 유로니무스는 머리, 목, 등을 포함해 총 23곳의 자상을 입은 것으로 확인되었다.[45] 비케르네스의 정당방위 주장에 대해 엠페러의 드러머 파우스트는 의문을 제기했으나[46], 메이헴의 베이시스트 네크로부처는 비케르네스가 살해 위협 때문에 유로니무스를 살해했을 것이라고 믿었다.[47]

체포 당시 그의 집에서는 150kg의 폭발물과 3,000발의 탄약이 발견되었는데[50], 이는 오슬로의 급진 좌파 및 무정부주의자 거점인 블리츠 하우스를 폭파하려는 계획의 일부였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7][129] 비케르네스 본인은 훗날 인터뷰에서 이를 부인하며, 노르웨이가 공격받을 경우를 대비해 방어용으로 수집한 것이라고 주장했다.[50]

수감 중 비케르네스는 네오나치 성향의 노르웨이 이교도 전선(Norsk Hedensk Front)을 결성했다는 주장이 있으며[56], 다른 네오나치 단체들과 교류하고 관련 잡지에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59][65][66] 이는 그의 극단적인 사상이 폭력 행위와 무관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비케르네스 본인은 이교도 전선 결성 및 가입 사실을 부인한다.[50])

2003년 10월, 짧은 휴가 기간 중 탈옥하여 총기로 민간인 차량을 탈취하고 도주하다 체포되었다.[68] 당시 그는 차 안에서 칼, 방독면, 위장복, GPS 등과 함께 발견되었으며[67], 은신처에서는 권총과 자동소총도 발견되었다.[69] 비케르네스는 탈옥 이유로 동료 수감자로부터 살해 위협을 받았다고 주장했다.[68] 이 사건으로 그의 형기는 13개월 연장되었다.

석방 후 프랑스로 이주했으나, 2014년 7월 8일에는 유대인무슬림에 대한 인종차별적 증오를 선동한 혐의로 프랑스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 6개월과 8000EUR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213][214] 이는 그의 폭력적이고 차별적인 성향이 여전함을 보여준다.

비케르네스의 극단적인 사상과 범죄 행위는 추종자들에게 영향을 미쳐 모방 범죄를 일으키기도 했다.

  • 2004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세 청년이 100년 넘은 교회에 방화하여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언론은 그가 버줌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다고 보도했다.[241]
  • 2006년 핀란드에서는 18세 청년이 포르보 대성당에 방화하여 징역 6년 6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웹사이트에서 버줌의 영향을 받았음을 명시했으며, 범행 동기는 기독교에 대한 증오와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42]
  • 2006년 캐나다에서는 세 명의 젊은이가 비케르네스의 생일인 2월 11일에 맞춰 교회를 방화하여 징역형과 120만캐나다 달러의 배상 명령을 받았다.

5. 3. 사회적 영향력과 위험성

2013년 7월 16일, 그는 코레즈주에서 테러 행위 계획 혐의로 프랑스 국적의 아내와 함께 체포되었다[208][209][210][211]. 이는 그의 아내가 소총 4정을 구입한 것이 발단이 되었으나, 아내는 합법적인 총기 소지 허가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211]. 경찰이 구체적인 테러 계획이나 대상을 특정하지 못하면서 부부는 처벌 없이 석방되었다[212].

그러나 이와 별개로 비케르네스는 유대인무슬림에 대한 인종차별을 선동한 혐의로 프랑스 당국에 의해 기소되었다[213]. 2014년 7월 8일, 그는 해당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 6개월과 8000EUR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214]. 같은 해, 러시아 연방 정부는 그의 저서 「Vargsmål」과 「Rechi Varga」의 러시아어판을 그의 웹사이트에서 삭제하도록 명령하기도 했다.

학자 니콜라스 구드릭-클라크(Nicholas Goodrick-Clarke)에 따르면, 비케르네스는 수감 기간 동안 "인종차별과 신비주의적 국가사회주의(나치즘)를 결합한 노르드 신화를 바탕으로 민족주의적 이교 이데올로기를 구축하기 시작했다."[136] 이러한 사상은 그가 네오 나치 잡지 『Filosofem』에 기고한 글이나 수감 후 집필한 선언문 『Vargsmål』 등에서 나타난다.[215] 『Vargsmål』은 1997년 노르웨이에서 출판되었는데[216], 비케르네스 자신은 훗날 이 책에 대해 "어리고 고독했던 시절 분노 속에서 쓴 것"이라며 내용과 거리를 두는 듯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217]

헤비 메탈 다큐멘터리 영화 『메탈 헤드뱅어스 저니』에서 감독 샘 던은 비케르네스를 "메탈 역사상 가장 악명 높은 뮤지션"이라고 평가했다.[218] 노르웨이 다큐멘터리 Satan rir media|사탄 리르 메디아no는 언론의 선정적인 보도가 역설적으로 바줌과 비케르네스에 대한 국제적인 추종 현상을 만들어내는 데 일조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영화에서 비케르네스는 익명 인터뷰 후 개인 정보를 경찰에 고의로 밀고한 베르겐스 티덴데 기자들을 비난했다. 비케르네스는 2009년 다큐멘터리 영화 Until the Light Takes Us|언틸 더 라이트 테이크스 어스영어에도 주요 인물로 등장하여 자신의 사상과 유로니무스 살해 사건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등, 여전히 논란 속에서 사회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의 예명 "Greven"(백작)에 대해, 그는 한 다큐멘터리에서 "결국, 그것은 상당히 거만한 이름이다. 요컨대, 그것은 나를 모든 인류보다 더 높은 곳에 두는 것이다"라고 설명하며 자신을 특별시하는 태도를 드러내기도 했다.

6. 저술 활동

''Vargsmål'', 1994년 비케르네스가 저술


바르그 비케르네스는 복역 중이던 1994년 첫 저서인 ''바르그스몰''(Vargsmål|바르그스몰no, "바르그의 연설")을 집필하며 저술 활동을 시작했다.[94] 이 책은 그의 어머니 헬레네 보레의 자금 지원으로 1997년 출판되었고,[93] 한때 네오나치 성향의 단체인 히턴 프론트(Heathen Front)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되기도 했다.[130]

이후에도 그는 북유럽 신화, 게르만족의 종교 및 세계관 등을 주제로 여러 책을 저술했다. 대표적으로 1998년 집필하여 2000년 출간된 ''게르만 신화와 세계관''(Germansk Mytologi og Verdensanskuelse|게르만스크 뮈톨로기 오그 베르덴산스쿠엘세no)[94][95][96]과 2011년 영어로 출간된 ''고대 스칸디나비아의 마법과 종교''(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영어)[97] 등이 있다. 그의 저술은 기존 학설을 따르기보다 개인적인 추측과 해석에 기반한다는 평가를 받는다.[98]

책 저술 외에도 비케르네스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힘썼다. 2003년 말부터는 버줌의 공식 웹사이트(Burzum.org)에 글을 기고하기 시작했으며,[99] 2013년에는 개인 블로그 'Thulean Perspective'를 개설했다. 또한 아내 마리 카셰(Marie Cachet)와 함께 'Ancestral Cult'라는 웹사이트를 공동으로 운영하기도 했다.

그는 직접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인 ''MYFAROG''(신화적 판타지 롤플레잉 게임, Mythic Fantasy Role-playing Game영어)을 만들어 출판하기도 했다.[100] 그러나 이 게임은 지나치게 복잡한 규칙과 함께, 특정 종족을 비하하는 듯한 인종차별적인 내용으로 비판을 받았다.[101] 2017년부터는 아내 마리 카셰와 함께 북유럽 신화의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이교주의 설명"(Paganism Explained영어) 시리즈를 공동 저술하고 있다.[102]

6. 1. 주요 저서 목록



비케르네스는 1994년 말 감옥에서 노르웨이어로 된 책 ''바르그스몰''(Vargsmål|바르그스몰no, "바르그의 연설")을 저술했다.[94] 그는 이 책이 언론의 보도에 맞서 자신을 변호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밝혔다. ''카오스의 군주들''(Lords of Chaos영어)에 따르면, 이 책은 1996년 잠시 인터넷에 공개되었으나 정식 출판되지는 않았다.[92] 1997년, 그의 어머니 헬레네 보레의 자금 지원으로 노르웨이의 한 출판사에서 페이퍼백 형태로 출간되었다.[93] 1999년 당시에는 네오나치 성향의 조직인 히턴 프론트(Heathen Front)의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되기도 했다.[130]

1998년에는 ''게르만 신화와 세계관''(Germansk Mytologi og Verdensanskuelse|게르만스크 뮈톨로기 오그 베르덴산스쿠엘세no)을 집필했으며,[94] 이 책은 2000년 Cymophane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95][96]

2011년에는 영어로 쓰인 ''고대 스칸디나비아의 마법과 종교''(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영어)가 Abstract Sounds Books에서 출판되었다. 이 책은 주로 석기 시대청동기 시대 스칸디나비아인들의 종교적 관습을 다루고 있다.[97] 음악 블로그 ''히턴 하비스트(Heathen Harvest)''의 리뷰에 따르면, 이 책은 기존 학설을 따르기보다 비케르네스 개인의 추측과 이야기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98]

비케르네스는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인 ''MYFAROG''(신화적 판타지 롤플레잉 게임, Mythic Fantasy Role-playing Game영어)을 직접 출판하기도 했다. 2019년에는 버줌의 앰비언트 앨범 ''Thulêan Mysteries''가 이 게임의 배경 음악으로 의도되었다고 밝혔다.[100] 그러나 이 게임은 지나치게 복잡한 규칙과 함께 인종차별적인 내용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임 내에 등장하는 플레이 불가능한 적 종족 '코파르멘'(Koparmenn, "구리 인간")은 지저분하고 동물적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비유럽인을 비하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101]

2017년부터는 배우자 마리 카셰(Marie Cachet)와 함께 "이교주의 설명"(Paganism Explained영어) 시리즈를 공동 집필하기 시작했다. 총 5권으로 구성된 이 시리즈는 트림의 시(Thrymskvida), "빨간 모자"와 잭과 콩나무(Jack and the Beanstalk), 미트라교와 힘스크비다(Hymiskviða), 발홀(Valhöll)과 이그드라실(Yggdrasill)의 오딘, 아스가르드(Ásgardr), 바나헤임(Vanaheimr), 헬(Hel)의 아홉 세계 등 북유럽 신화의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102]

이 외에도 비케르네스는 버줌의 공식 웹사이트가 된 Burzum.org,[99] 2013년 1월 개설한 개인 블로그 Thulean Perspective, 그리고 아내와 함께 만든 Ancestral Cult 웹사이트 등에 글을 기고하고 있다.

다음은 비케르네스의 주요 저서 목록이다.

  • 1997 – ''바르그스몰'' (Vargsmålno)
  • 1999 – ''에이흐와르'' (EihwaR영어) - 소설, 영어판 제목 ''The Religion of the Blood''
  • 2000 – ''게르만 신화와 세계관'' (Germansk mytologi og verdensanskuelseno)
  • 2001 – ''북유럽 신들과 그들의 이름 가이드'' (Guide to the Norse Gods and Their Names영어)
  • 2002 – ''이르민술'' (Irminsûlde) - 작센족의 신 이르민을 본뜬 기둥과 세계수에 대한 논고
  • 2004 – ''고대 스칸디나비아의 미스터리와 신화학'' (Mysteries and Mythology of Ancient Scandinavia영어)
  • 2006 – ''바르그의 말 II'' (Речи Варга IIrus) - 러시아어판만 출간
  • 2011 – ''고대 스칸디나비아의 마법과 종교'' (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영어)
  • 2014 – ''MYFAROG'' (Mythic Fantasy Role-playing Game영어) -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243]
  • 2015 – ''유럽 신화와 다신교에 대한 고찰'' (Reflections on European Mythology and Polytheism영어)
  • 2017 – ''이교주의 설명, 파트 I: 스림의 서사시'' (Paganism Explained, part I: Þrymskviða영어)
  • 2017 – ''이교주의 설명, 파트 II: 빨간 모자 & 잭과 콩나무'' (Paganism Explained, Part II: Little Red Riding Hood & Jack and the Beanstalk영어)
  • 2018 – ''이교주의 설명, 파트 III: 미트라 숭배 & 힘의 서사시'' (Paganism Explained, Part III: The Cult of Mithra & Hymiskviða영어)
  • 2018 – ''이교주의 설명, 파트 IV: 발홀 & 위그드라실의 오딘'' (Paganism Explained, Part IV: Valhöll & Odinn in Yggdrasill영어)
  • 2019 – ''이교주의 설명, 파트 V: 아스가르드, 바나헤임 & 헬의 아홉 세계'' (Paganism Explained, Part V: Ásgardr, Vanaheimr & the Nine Worlds of Hel영어)
  • 2024 – ''지옥에서 다시 돌아오다: 파트 I: 나의 블랙 메탈 이야기'' (To Hell and Back Again: Part I: My Black Metal Story영어)
  • 2024 – ''지옥에서 다시 돌아오다: 파트 II: 나의 어린 시절 이야기'' (To Hell and Back Again: Part II: My Childhood Story영어)
  • 2024 – ''지옥에서 다시 돌아오다: 파트 III: 나의 감옥 이야기'' (To Hell and Back Again: Part III: My Prison Story영어)
  • 2024 – ''지옥에서 다시 돌아오다: 파트 IV: 나의 버줌 이야기'' (To Hell and Back Again: Part IV: My Burzum Story영어)
  • 2024 – ''지옥에서 다시 돌아오다: 파트 V: 나의 생존 이야기'' (To Hell and Back Again: Part V: My Survival Story영어)

미출판 저서

  • 2004 – ''헬의 숭배'' (The Cult of Hel영어) - 판타지 소설

6. 2. 저술에 나타난 사상과 주장



1994년 말, 비케르네스는 감옥에서 노르웨이어로 된 책 ''바르그스몰''(Vargsmål, "바르그의 연설")을 집필했다.[94] 그는 이 책이 언론의 보도에 맞서 자신을 변호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밝혔다. ''카오스의 군주들''(Lords of Chaos)에 따르면, ''바르그스몰''은 1996년 잠시 인터넷에 공개되었으나 정식 출판되지는 않았다.[92] 1997년, 노르웨이의 한 출판사가 그의 어머니 헬레네 보레의 자금 지원을 받아 페이퍼백 형태로 책을 출간했다.[93] 1999년에는 나치 성향 조직인 히턴 프론트(Heathen Front)의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되기도 했다.[130]

1998년에는 ''게르만 신화와 세계관''(Germansk Mytologi og Verdensanskuelse)을 저술했으며,[94] 이 책은 2000년 Cymophane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95][96]

2011년에는 영어로 쓴 책 ''고대 스칸디나비아의 마법과 종교''(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가 Abstract Sounds Books를 통해 출판되었다. 이 책은 주로 석기 시대청동기 시대 스칸디나비아인들의 종교적 관습을 다루고 있다.[97] 음악 블로그 ''히턴 하비스트(Heathen Harvest)''의 리뷰에 따르면, 이 책은 기존 학계의 연구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고 비케르네스 개인의 추측과 이야기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인다.[98]

비케르네스는 2003년 말부터 버줌의 공식 웹사이트(Burzum.org)에 글을 기고하기 시작했으며,[99] 2013년 1월에는 개인 블로그 'Thulean Perspective'를 개설했다. 또한 아내 마리 카셰(Marie Cachet)와 함께 'Ancestral Cult' 웹사이트를 만들기도 했다.

그는 직접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인 ''MYFAROG''(Mythic Fantasy Role-playing Game)을 만들어 출판했다. 2019년에는 버줌의 앰비언트 앨범 ''Thulêan Mysteries''가 이 게임의 배경 음악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00] 이 게임은 규칙이 지나치게 복잡하다는 점과 함께 인종차별적인 내용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임 내에는 플레이할 수 없는 적대 종족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코파르멘'(Koparmenn, "구리 인간")이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며 불결하고 동물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이는 비유럽인을 비하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101]

2017년부터는 배우자 마리 카셰와 함께 "이교주의 설명"(Paganism Explained)이라는 제목의 시리즈를 공동 저술했다. 이 시리즈는 "트림의 시(Thrymskvida)", "빨간 모자 & 잭과 콩나무(Jack and the Beanstalk)", "미트라교 & 힘스크비다", "발홀 & 이그드라실(Yggdrasill)의 오딘", "아스가르드, 바나헤임 & 헬의 아홉 세계" 등의 주제를 다루는 여러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102]

출판 연도제목비고
1997바르그스몰(Vargsmål)자전적 사상서
1999에이흐와르(EihwaR)소설, 영어판 제목 The Religion of the Blood
2000게르만 신화와 세계관(Germansk mytologi og verdensanskuelse)
2001북유럽 신들과 그들의 이름 가이드(Guide to the Norse Gods and Their Names)
2002이르민술(Irminsûl)작센족의 신 이르민을 본뜬 기둥·세계수에 대한 논고
2004헬의 숭배(The Cult of Hel)미출판, 판타지 소설
2004고대 스칸디나비아의 미스터리와 신화학(Mysteries and Mythology of Ancient Scandinavia)
2006바르그의 말 II(Речи Варга II)러시아어로만 출판됨
2011고대 스칸디나비아의 마법과 종교(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게르만 신화와 세계관 재교정본 성격
2014MYFAROG판타지 롤플레잉 게임[243]
2015유럽 신화와 다신교에 대한 고찰(Reflections on European Mythology and Polytheism)
2017이교주의 설명, 파트 I: 스림의 서사시(Paganism Explained, part I: Þrymskviða)마리 카셰 공저
2017이교주의 설명, 파트 II: 빨간 모자 & 잭과 콩나무(Paganism Explained, Part II: Little Red Riding Hood & Jack and the Beanstalk)마리 카셰 공저
2018이교주의 설명, 파트 III: 미트라 숭배 & 힘의 서사시(Paganism Explained, Part III: The Cult of Mithra & Hymiskviða)마리 카셰 공저
2018이교주의 설명, 파트 IV: 발홀 & 위그드라실의 오딘(Paganism Explained, Part IV: Valhöll & Odinn in Yggdrasill)마리 카셰 공저
2019이교주의 설명, 파트 V: 아스가르드, 바나헤임 & 헬의 아홉 세계(Paganism Explained, Part V: Ásgardr, Vanaheimr & the Nine Worlds of Hel)마리 카셰 공저
2024지옥에서 다시 돌아오다: 파트 I: 나의 블랙 메탈 이야기(To Hell and Back Again: Part I: My Black Metal Story)자서전 시리즈
2024지옥에서 다시 돌아오다: 파트 II: 나의 어린 시절 이야기(To Hell and Back Again: Part II: My Childhood Story)자서전 시리즈
2024지옥에서 다시 돌아오다: 파트 III: 나의 감옥 이야기(To Hell and Back Again: Part III: My Prison Story)자서전 시리즈
2024지옥에서 다시 돌아오다: 파트 IV: 나의 버줌 이야기(To Hell and Back Again: Part IV: My Burzum Story)자서전 시리즈
2024지옥에서 다시 돌아오다: 파트 V: 나의 생존 이야기(To Hell and Back Again: Part V: My Survival Story)자서전 시리즈


7. 작품 목록

(내용 없음)

7. 1. 음반 목록

'''부르줌(Burzum) 정규 앨범'''
연도제목비고
1992Burzum1992년 1월 녹음
1993Det som engang var1992년 4월 녹음. (일본 발매명: 토이즈 팩토리반 『열반궁』, 수입반 『무상의 문』)
1994Hvis lyset tar oss1992년 9월 녹음. (일본 발매명: 토이즈 팩토리반 『백일몽』, 수입반 『허무광』)
1996Filosofem1993년 3월 녹음. (일본 발매명: 수입반 『절망론』)
1997Dauði Baldrs1994–1995년 수감 중 녹음
1999Hliðskjálf1998년 수감 중 녹음
2010Belus2009년 녹음. (일본 발매명: 수입반 『벨루스』)
2011Fallen2010년 11월 녹음. (일본 발매명: 수입반 『폴른』)
2012Umskiptar2011년 9월 녹음. (일본 발매명: 수입반 『북유럽 신의 화신』)
2013Sôl austan, Mâni vestan2012년 녹음. (일본 발매명: 수입반 『태양의 동쪽과 달의 서쪽』)
2014The Ways of Yore2013년 녹음
2020Thulêan Mysteries2015–2020년 녹음
2024The Land of Thulê



'''부르줌(Burzum) EP, 데모, 싱글, 컴필레이션'''
연도종류제목비고
1991데모Demo I
1991데모Demo II
1992프로모Burzum
1993EPAske (Askeno)1992년 8월 녹음
1995컴필레이션Burzum / Aske1집과 EP 합본 재발매. (일본 발매명: 수입반 『울적한 여명』)
2011컴필레이션From the Depths of Darkness셀프 커버 앨범. 2010년 3월 녹음. (일본 발매명: 수입반 『프롬 더 뎁스 오브 다크니스』)
2023싱글The Reincarnation of Ódinn비정규 싱글



'''참여 음반'''
연도아티스트음반 제목참여 내용
1991올드 퓨너럴Devoured Carcass (EP)일렉트릭 기타 연주
1993메이헴Life Eternal (EP)베이스 기타 연주
1994메이헴데 미스테리이스 도므 사타나스베이스 기타 연주
1994다크쓰론트란실바니안 헝거4곡 작사
1995다크쓰론판처파우스트1곡 작사
1999올드 퓨너럴Join the Funeral Procession (컴필레이션)일렉트릭 기타 연주
1999올드 퓨너럴더 올더 원스 (컴필레이션)일렉트릭 기타 연주
2002올드 퓨너럴Grim Reaping Norway (라이브)일렉트릭 기타 연주


7. 2. 영화 출연 목록


  • 사탄 릴 미디어 (1998) - 본인 출연
  • 메탈: 헤드뱅어의 여정 (2007) - 아카이브 영상 출연
  • 퓨어 퍽킹 메이헴 (2008) - 아카이브 영상 출연
  • 빛이 우리를 데려갈 때까지 (2009) - 본인 출연
  • ForeBears (2013) - 본인 출연
  • 로드 오브 카오스 - 에모리 코헨이 바르그 비케르네스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urzum Biography, Songs, & Albums https://www.allmusic[...] 2023-10-13
[2] 간행물 Burzum-Sänger Varg Vikernes unter Terrorverdacht festgenommen https://www.rollings[...] 2023-10-13
[3] 웹사이트 20 of the best black metal albums from the 1990s http://teamrock.com/[...] 2016-07-20
[4] 웹사이트 The Complicated Appeal Of Black Metal https://www.buzzfeed[...] 2013-08-29
[5] 웹사이트 Are Music Streaming Services Doing More Harm Than Good to the Metal Community? https://www.vh1.com/[...] VH1 2015-08-07
[6] 웹사이트 Varg Vikernes – A Burzum Story: Part I – The Origin And Meaning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4-07-29
[7] 서적
[8] 뉴스 Varg Vikernes ute på prøve http://www.vg.no/nyh[...] 2009-03-10
[9] 뉴스 Ute av fengsel http://www.dagbladet[...] 2009-05-23
[10] 뉴스 Varg Vikernes – YouTube Has Deleted Vikernes' Channel http://www.metalstor[...] Metal Storm 2019-06-06
[11] 뉴스 Norway's most notorious musician to be released from prison https://www.theguard[...] 2024-07-23
[12] 서적
[13] 웹사이트 Varg Vikernes in Childhood http://www.burzum.or[...] 2013-03-28
[1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Varg Vikernes (12 August 2004), by BG http://www.burzum.or[...] 2019-03-21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Varg Vikernes (June 2012) https://www.burzum.o[...] 2022-11-30
[21] 웹사이트 Burzum: Heart of Darkness "Guitar World" Magazine (April 2010) by Brad Angle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4-07-18
[22] 웹사이트 "You can add Rotting Christ to the list" – Burzum's Varg Vikernes shares his metal faves with Metal as Fuck! http://metalasfuck.n[...] metalasfuck.net 2014-07-19
[23] 웹사이트 Varg Vikernes Of Burzum Talks New Album "Fallen" http://noisecreep.co[...] Noisecreep.com 2014-07-18
[24] 서적
[25] 뉴스 A Brief History of the Early Norwegian Black Metal Scene. Part 1 https://www.ultimate[...] 2017-09-29
[26] 웹사이트 A Burzum Story: Part VI – The Music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2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Hellhammer http://www.teufelsto[...] Teufels Tomb 2011-08-20
[28] 웹사이트 Confessions of a former Black Metal Degenerate, Part I, II, III & IV https://www.burzum.o[...] Burzum 2020-12-09
[29] 뉴스 Norwegian Church Draws Black Metal Fans https://www.blabberm[...] 2020-10-13
[30] 웹사이트 Varg Vikernes – A Burzum Story: Part II – Euronymous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웹사이트 '"Count" Regrets Nothing (4 July 2009), by Rune Midtskogen' http://www.burzum.or[...] 2017-11-29
[37] 서적 Satan rir media 1998
[38] 서적 2003
[39] 서적 2003
[40] 서적 2003
[41] 웹사이트 Mayhem Biography on Yahoo! Music http://music.yahoo.c[...]
[42] 서적 2003
[43] 비디오 Until the Light Takes Us Variance Films 2009
[44] 비디오 Pure Fucking Mayhem Index Verlag 2008
[45] 간행물 Satan's Cheerleaders Spin (magazine) 1996-02
[46] 서적 2003
[47] 뉴스 In the face of death https://amp.theguard[...] 2018-12-30
[48] 서적 2003
[49] 서적 2003
[50] 웹사이트 "Greven" angrer ingenting http://www.dagbladet[...] 2009-08-25
[51] 뉴스 "Greven" opprørt VG 1997-04-13
[52] 서적 2003
[53] 서적 2003
[54] 서적 2003
[55] 뉴스 In the Face of Death http://arts.guardian[...] 2007-10-06
[56] 서적 2003
[57] 서적 2000
[58] 서적 2003
[59] 뉴스 Sort metall – hvite krigere http://www.vepsen.no[...]
[60] 서적 2003
[61] 서적 2003
[62] 웹사이트 Norwegischer Black Metal http://www.intro.de/[...] Intro.de 2011-08-20
[63] 웹사이트 Varg Vikernes – A review of M. Moynihan & D. Søderlind's "Lords of Chaos: The Bloody Rise of The Satanic Metal Underground" (new edition)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64] 웹사이트 A Burzum Story: Part IX – The Tomorrow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65] 뉴스 Her er Bergens Vigrid https://www.ba.no/ny[...] 2002-04-15
[66] 뉴스 Idol for norske nynazister https://www.vg.no/ny[...] 2003-02-25
[67] 웹사이트 "Newspaper: VARG VIKERNES Carried Military Equipment at the Time Of His Arrest" http://www.blabbermo[...] 2013-04-04
[68] 웹사이트 "UPDATE: VARG Held Family at Gunpoint, Fled Prison Because He Feared Attempt On His Life" http://www.blabbermo[...] 2013-04-04
[69] 웹사이트 "VARG VIKERNES Refuses To Name Accomplices, Faces Additional Prison Time" http://www.blabbermo[...] 2013-04-04
[70] 뉴스 Too dangerous for parole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08-06-11
[71] 웹사이트 Burzum and Varg Vikernes news and updates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72] 뉴스 Nå slipper "Greven" ut http://www.tv2nyhete[...] 2009-03-10
[73] 뉴스 Varg Vikernes is a free man http://www.blabbermo[...] Blabbermouth.net 2009-05-22
[74] 웹사이트 Shadows of the Mind http://thuleanperspe[...] 2013-04-30
[75] Youtube "Back to the Shadows" https://www.youtube.[...] 2013-04-27
[76] Youtube "Inspired by: The Book of the Dead from ancient Egypt, translated by E.A Wallis BUDGE" https://www.youtube.[...] YouTube 2014-02-25
[77] 뉴스 Man linked to Norwegian mass killer Breivik arrested in France https://www.reuters.[...] Reuters 2013-07-16
[78] 뉴스 Un néo-nazi norvégien interpellé en Corrèze http://www.rtl.fr/ac[...] 2013-07-16
[79] 뉴스 Man linked to Norwegian mass killer Breivik arrested in France https://www.reuters.[...] 2013-07-16
[80] 뉴스 BBC News 'Neo-Nazi' musician Vikernes in French terror arrest 2013-07-16
[81] 뉴스 Neo-Nazi musician Vikernes freed after arrest in France https://www.bbc.co.u[...] BBC 2013-07-18
[82] 웹사이트 Varg Vikernes er løslatt – Nyheter, tv og radio fra hele verden http://www.nrk.no/ny[...] NRK 2014-07-29
[83] 뉴스 Tiltalen klar mot Varg Vikernes http://www.dagbladet[...] 2013-10-09
[84] 뉴스 Burzum's Varg Vikernes Found Guilty of 'Inciting Racial Hatred' https://www.spin.com[...] 2019-03-21
[85] 뉴스 Varg Vikernes dømt til seks måneder betinget fengsel http://www.dagbladet[...] 2014-07-08
[86] 웹사이트 Varg Vikernes Has Ended Burzum for Good: 'Burzum Is My Painful Past in a Reeking Bog' https://www.ultimate[...] Ultimate Guitar Archive 2018-06-04
[87] 웹사이트 Burzum Debut Album DSP version first print (G. R. E. E. D.) https://www.youtube.[...] 2018-06-01
[88] 뉴스 Varg Vikernes' video channel banned as part of new YouTube policy Loudwire 2019-06-05
[89] Tweet Some adventures never have an end.... It was not my intention to make another Burzum album, but it so happens tha… 2019-10-08
[90] Tweet The image on the upcoming (03/2020) Burzum album 'Thulêan Mysteries' is by Th. Kittelsen. It's called "Nøkken" (Eng… 2019-12-18
[91] 웹사이트 BURZUM-THULÊAN MYSTERIES (CLEAR VINYL)-Vinyl Double Album https://www.plastich[...] 2020-01-07
[92] 서적 1998
[93] 서적 Sound of the Beast: the Complete Headbanging History of Heavy Metal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Publishers Inc.
[94] 웹사이트 A Comment To "Vargsmål" And Other Books By Varg Vikernes http://www.burzum.or[...] 2019-03-22
[95] 웹사이트 Universitätsbibliothek Kiel – Discovery Service https://discovery.ub[...] 2022-11-10
[96] 서적 Germansk mytologi og verdensanskuelse http://libris.kb.se/[...] Cymophane Publ. 2000
[97] 서적 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 Abstract Sounds Books Ltd 2012-12-05
[98] 웹사이트 '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 by Varg Vikernes http://heathenharves[...] Heathen Harvest 2012-06-15
[99] 웹사이트 Interview with Varg Vikernes for "Terrorizer" Magazine (#194, March 2010), by James Minton http://www.burzum.or[...] Burzum.org
[100] 웹사이트 Burzum Announces New Album Thulêan Mysteries http://www.deathmeta[...] 2019-11-16
[101] 웹사이트 Advanced Discrimination & Dragons: A Critical Look at Varg Vikernes' Myfarog RPG https://www.metalsuc[...] 2015-08-21
[102] 서적 Paganism Explained: Part I: Thrymskvida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2017-11-01
[103] 영상 Metal: A Headbanger's Journey Dunn, Sam 2005-08-05
[104] 간행물 Heathens Up North: Politics, Polemics, and Contemporary Paganism in Norway
[105] 웹사이트 A Burzum Story: Part VII – The Nazi Ghost http://www.burzum.or[...] 2005-07
[106] 웹사이트 wargarw on Twitter https://twitter.com/[...] 2022-03-23
[107] 웹사이트 Why Ôðalism? 2013-07-31
[108] 뉴스 Is Varg Vikernes A Terrorist? A Brief History of the Burzum Frontman's Neo-Nazi, Pagan Views https://www.ibtimes.[...] 2013-07-16
[109] 인터뷰 Burzum & Varg Vikernes http://metalkings.co[...] 2011-03
[110] 웹사이트 The WHG, EEF & WSH Origins of Europe https://www.burzum.o[...]
[111] 뉴스 Norwegian neo-Nazi arrested in France over attack fears https://www.reuters.[...] 2013-07-16
[112] 뉴스 Breivik: – Odin er min gud https://www.nettavis[...] 2016-03-16
[113] 뉴스 Breivik vill deportera 'illojala judar' https://expo.se/2014[...] 2014-01-10
[114] 웹사이트 Kanye West Wears T-Shirt Featuring Neo-Nazi Heavy Metal Artist After Antisemitism Apology https://www.complex.[...]
[115] 웹사이트 Ye x Burzum Is Already the Worst Collab of 2024 https://www.vulture.[...] 2024-01-22
[116] 웹사이트 Varg Vikernes Comments on Kanye West Wearing a Burzum Shirt https://loudwire.com[...] 2024-01-25
[117] 뉴스 Varg Vikernes for farlig for friheten http://www.vg.no/nyh[...] Verdens Gang 2008-06-11
[118] 웹사이트 Biografia http://filosofem.alt[...] Filosofem.altervista.org
[119] 트윗 I have never been "diagnosed" as an autist, but my wife is a HFA and from what I can tell I am too. Thankfully, I may add... Normies are pretty... dumb. .-) 2021-07-10
[120] 뉴스 Jeg er klar for samfunnet http://www.dagbladet[...] Dagbladet 2008-06-06
[121] 뉴스 Det eneste vi hørte var hundene som bjeffet https://www.nrk.no/u[...] 2013-07-17
[122] 웹사이트 The Cleansing http://thuleanperspe[...] 2013-03-15
[123] Youtube Go forth and Procreate! https://www.youtube.[...] 2017-02-27
[124] 트윗 Whilst 'LARPing in the woods' here in the French countryside, today, the 14th of March, my wife gave birth to another healthy child, our 7th.
[125] 웹사이트 Interview with Varg Vikernes (10 May 2005), by Chris Mitchell http://www.burzum.or[...]
[126] 뉴스 Vikernes skylder fortsatt millioner for nedbrente kirker i Norge https://www.aftenpos[...]
[127] 웹사이트 Some Facts about Varg Vikernes & his Case https://thuleanpersp[...] 2014-02-06
[128] 웹사이트 Interview with Varg Vikernes – "Druvis" Almanac (2011) https://www.burzum.o[...]
[129] 문서 Coogan 1999
[130] 뉴스 Black Metal Spreads Neo-Nazi Hate Message https://www.splcente[...] Southern Poverty Law Center 1999-Fall
[131] 뉴스 "Lords of Chaos" Brings a White Nationalist's Book to the Big Screen https://truthout.org[...] 2019-03-19
[132] 뉴스 Lord of Chaos: Activists Accuse Portland Writer and Musician Michael Moynihan of Spreading Extremist Propaganda, But They're Not Telling the Whole Story http://wweek.com/htm[...] 2009-03-26
[133] 웹사이트 Varg Vikernes slams Lords of Chaos movie, questions why he's portrayed by "fat Jewish actor" https://consequence.[...] 2019-01-29
[134] 웹사이트 Vikernes skylder fortsatt millioner for nedbrente kirker i Norge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135] CDライナー フロム・ザ・ディプスズ・オブ・ダークネス ディスクユニオン
[136] 문서 Goodrick-Clarke 2003: 204
[137] 뉴스 Varg Vikernes ute på prøve http://www.vg.no/nyh[...] 2009-03-10
[138] 뉴스 Ute av fengsel http://www.dagbladet[...] 2009-05-22
[139] 뉴스 Neo-Nazi musician Vikernes freed after arrest in France http://www.bbc.co.uk[...] 2013-07-18
[140] 웹사이트 http://www.burzum.or[...]
[141] 문서 Coogan 1999
[142] 서적 Lords of Chaos Feral House 1998
[143] 서적 Lords of Chaos Feral House 1998
[144] 웹사이트 Varg Vikernes in Childhood http://www.burzum.or[...] 2013-03-28
[145] 인터뷰 12 August 2004 interview http://www.burzum.or[...] burzum.org
[146] 문서 LoC 1998: 147
[147] 문서 LoC 1998: 148
[148] 문서 LoC 1998: 142
[149] 문서 LoC 1998: 144
[150] 문서 LoC 1998: 146
[151] 문서 Kaplan 2000: 319
[152] 웹사이트 Burzum: Heart of Darkness "Guitar World" Magazine (April 2010) by Brad Angle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4-07-18
[153] 웹사이트 “You can add Rotting Christ to the list” – Burzum’s Varg Vikernes shares his metal faves with Metal as Fuck! http://metalasfuck.n[...] metalasfuck.net 2014-07-19
[154] 웹사이트 Varg Vikernes Of Burzum Talks New Album "Fallen" http://noisecreep.co[...] Noisecreep.com 2014-07-18
[155] 문서 LoC 1998: 149
[156] 웹사이트 A Burzum Story: Part I http://www.burzum.or[...] 2014-08-08
[157] 문서 後に[[イモータル (バンド)|イモータル]]でアバス・ドゥーム・オカルタと名乗る。
[158] 문서 後にイモータルでデモナズ・ドゥーム・オカルタと名乗る。
[159] 웹사이트 A Burzum Story: Part VI – The Music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16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Hellhammer http://www.teufelsto[...] Teufels Tomb 2011-08-20
[161] 비디오 Until the Light Takes Us Variance Films
[162] 웹사이트 Varg Vikernes – A Burzum Story: Part II – Euronymous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163] 기사 Satanism in Norway Morgenbladet 1995
[164] 서적 Gods of the Blood
[165] 서적 Gods of the Blood
[166] 서적 Lords of Chaos
[167] 서적 Lords of Chaos 2003
[168] 웹사이트 Varg Vikernes's review of Satan Rides the Media http://www.burzum.or[...] Burzum.org
[169] 웹사이트 "Count" Regrets Nothing http://www.burzum.or[...] Burzum.org
[170] 서적 Satan rir media 1998
[171] 서적 Lords of Chaos 2003
[172] 서적 Lords of Chaos 2003
[173] 서적 Lords of Chaos 2003
[174] 서적 Lords of Chaos 2003
[175] 비디오 Pure Fucking Mayhem Index Verlag
[176] 문서 創傷
[177] 간행물 Satan's Cheerleaders SPIN 1996-02
[178] 웹사이트 Mayhem Biography on Yahoo! Music http://music.yahoo.c[...]
[179] 서적 Lords of Chaos 2003
[180] 서적 Lords of Chaos 2003
[181] 웹사이트 "Greven" angrer ingenting http://www.dagbladet[...] 2009-08-25
[182] 문서 Coogan 1999
[183] 서적 Lords of Chaos 2003
[184] 서적 Lords of Chaos 2003
[185] 서적 Lords of Chaos 2003
[186] 뉴스 In the Face of Death http://arts.guardian[...] Guardian Unlimited 2007-10-06
[187] 웹사이트 "A Comment To "Vargsmål" And Other Books By Varg Vikernes"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3-04-04
[188] 서적 Lords of Chaos 2003
[189] 서적 Lords of Chaos 2003
[190] 웹사이트 Norwegischer Black Metal http://www.intro.de/[...] Intro.de 2011-08-20
[191] 웹사이트 Varg Vikernes – A review of M. Moynihan & D. Søderlind's "Lords of Chaos: The Bloody Rise of The Satanic Metal Underground" (new edition)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192] 웹사이트 A Burzum Story: Part IX – The Tomorrow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193] 웹사이트 Interview with Varg Vikernes for "Terrorizer" Magazine (#194, March 2010), by James Minton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3-04-04
[194] 뉴스 "Newspaper: VARG VIKERNES Carried Military Equipment At The Time Of His Arrest" http://www.blabbermo[...] Blabbermouth.net 2013-04-04
[195] 뉴스 "UPDATE: VARG Held Family At Gunpoint, Fled Prison Because He Feared Attempt On His Life" http://www.blabbermo[...] Blabbermouth.net 2013-04-04
[196] 뉴스 "VARG VIKERNES Refuses To Name Accomplices, Faces Additional Prison Time" http://www.blabbermo[...] Blabbermouth.net 2013-04-04
[197] 뉴스 Too dangerous for parole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08-06-11
[198] 웹사이트 Burzum and Varg Vikernes news and updates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199] 뉴스 Nå slipper "Greven" ut http://www.tv2nyhete[...] 2009-03-10
[200] 뉴스 "Varg Vikernes is a free man" http://www.blabbermo[...] Blabbermouth.net 2013-04-04
[201] 뉴스 "Fire destroys historic church" http://www.newsineng[...] Views and News from Norway 2013-04-04
[202] 뉴스 Varg Vikernes for farlig for friheten http://www.vg.no/nyh[...] Verdens Gang 2008-06-11
[203] 웹사이트 "Jeg er klar for samfunnet" http://www.dagbladet[...] Dagbladet 2009-01-21
[204] 웹사이트 The Cleansing http://thuleanperspe[...] 2013-04-08
[205] 웹사이트 Shadows of the Mind http://thuleanperspe[...] 2013-06-27
[206] Youtube Back to the Shadows http://www.youtube.c[...] 2013-06-27
[207] 웹사이트 About http://ancestralcult[...] 2013-06-27
[208] 뉴스 Un néo-nazi norvégien interpellé en Corrèze http://www.rtl.fr/ac[...] 2013-07-16
[209] 뉴스 Man linked to Norwegian mass killer Breivik arrested in France http://www.reuters.c[...] 2013-07-16
[210] 뉴스 Neo-Nazi singer Vikernes in French terror arrest http://www.bbc.co.uk[...] 2013-07-16
[211] 웹사이트 BBC News - 'Neo-Nazi' musician Vikernes in French terror arrest http://www.bbc.co.uk[...] BBC News 2013-07-16
[212] 웹사이트 Varg Vikernes er løslatt - Nyheter, tv og radio fra hele verden http://www.nrk.no/ny[...] NRK.no 2014-07-29
[213] 뉴스 Tiltalen klar mot Varg Vikernes http://www.dagbladet[...] 2013-10-09
[214] 뉴스 Varg Vikernes dømt til seks måneder betinget fengsel http://www.dagbladet[...] null 2014-07-08
[215] 서적 Lords of Chaos
[216] 서적 Sound of the Beast: the Complete Headbanging History of Heavy Metal HarperCollins Publishers Inc.
[217] 웹사이트 Varg Vikernes – A Comment to "Vargsmål" and other books by Varg Vikernes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218] Youtube Metal: A Headbanger's Journey http://imdb.com/titl[...] Dunn, Sam 2005-08-05
[219] 문서 A Burzum Story: Part VII - The Nazi Ghost http://www.burzum.or[...] 2012-12-05
[220] 문서 ノルウェー「óðal」(:en:Homeland、:en:Allod、:en:Allodial title、爵位、inherited goods、祖国、land property、distinguished family、:en:Distinguishing、splendid、親族とthe nation)より」
[221] 문서 With respect to what appears to be his interpretation of the Edda, though there could be another source, Vikernes writes: "This is the mythology, a pretty unmistakably racist statement left to us from our forefathers." http://www.burzum.or[...]
[222] 문서 The mental hygiene and race hygiene practiced by the ancient Europeans also was disrupted by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http://www.burzum.or[...]
[223] 웹사이트 Interview with Varg Vikernes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4-07-29
[224] 문서 Vikernes is also the self-proclaimed leader of the Norsk Hedensk Front (Norwegian Heathen Front) and of an international heathen brotherhood he calls Cymophane.
[225] 문서
[22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Varg Vikernes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3-07-16
[227] 웹사이트 Varg Vikernes http://www.metalcryp[...] The Metal Crypt 2011-08-20
[228] 웹사이트 Bard's Tale: part VIII: Religion or Reason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229] 웹사이트 A Burzum Story: Part XI –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http://www.burzum.or[...] Majordomo 2012-07-24
[230] 웹사이트 Germansk Mytologi & Verdensanskuelse http://www.arktos.co[...] Arktos 2012-06-15
[231] 웹사이트 Varg Vikernes "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 http://www.burzum.or[...] 2012-06-15
[232] 서적 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 Abstract Sounds Books Ltd 2012-12-05
[233] 웹사이트 "Sorcery and Religion in Ancient Scandinavia" by Varg Vikernes http://heathenharves[...] Heathen Harvest 2012-06-15
[234] 문서 "The World According to Quisling" http://www.bitsofnew[...] BitsofNews.com 2006-09-19
[235] 서적 Lords of Chaos (First Edition)
[236] 서적 Lords of Chaos (First Edition)
[237] 웹사이트 Discography – Official Releases – "Daudi Baldrs" ("Balder's Dod") 1997 http://www.burzum.or[...] Burzum 2011-08-20
[238] 웹사이트 The Music of Burzum and the Writings of Varg Vikernes (with 1993 interview) http://www.burzum.co[...] Burzum.com 2011-08-20
[239] 문서 other than the above-referenced mention of his great-great-grandmother's name http://www.burzum.or[...]
[240] 웹사이트 Paganism: Part III – The One Ring http://www.burzum.or[...] Burzum.org 2011-08-20
[241] 뉴스 Johnston, Chris. "Don't simply demonise death metal" The Age 28 September 2005 http://www.theage.co[...] 2011-08-20
[242] 뉴스 Porvoon tuomiokirkon tulipalosta yli kolmen vuoden vankeustuomio http://www.hs.fi/kot[...] Helsingin Sanomat
[243] 문서 http://myfarog.org/
[244] 웹인용 아프튼포스텐 http://www.aftenpost[...] null
[245] 웹인용 BBC http://www.bbc.com/n[...]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