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바르샤바 조약 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1955년 소련 주도로 창설된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들의 군사 동맹으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대한 대응 성격을 가졌다. 소련의 군사적, 정치적 지배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1956년 헝가리 혁명, 1968년 프라하의 봄 등 동구권 내 반소, 민주화 운동을 무력 진압하는 데 동원되었다. 1989년 동유럽 공산 정권 붕괴와 1991년 소련 해체로 조약은 유명무실해졌으며, 1991년 공식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5년 발효된 조약 -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은 1955년 체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후 연합국 점령 하에 있던 오스트리아의 완전한 독립과 주권 회복, 독일과의 재통합 금지, 군사력 제한, 영구 중립 등을 규정하여 자유롭고 민주적인 오스트리아 재건의 기초를 마련한 조약이다.
  • 1955년 발효된 조약 - 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
    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은 1954년 미국과 중화민국 간에 체결되어 1955년 발효된 군사 동맹 조약으로, 냉전 시기 중화인민공화국의 대만 침공을 억제하고 미국의 동아시아 봉쇄 정책을 강화했으나, 1980년 미중 수교로 인해 폐지되었다.
  • 1955년 체결된 조약 -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은 1955년 체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후 연합국 점령 하에 있던 오스트리아의 완전한 독립과 주권 회복, 독일과의 재통합 금지, 군사력 제한, 영구 중립 등을 규정하여 자유롭고 민주적인 오스트리아 재건의 기초를 마련한 조약이다.
  • 1955년 체결된 조약 - 중앙 조약 기구
    중앙 조약 기구는 냉전 시대 소련의 남하를 막기 위해 결성된 군사 동맹으로, 중동 조약 기구에서 출발하여 회원국 간 협력을 추구했으나, 지역 분쟁에 대한 소극적 대처와 이란 혁명으로 인해 해체되었다.
  • 1991년 정치 - 8월 쿠데타
    8월 쿠데타는 1991년 소련 부통령 겐나디 야나예프 등 보수파가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개혁에 반발하여 권력 장악을 시도했으나 옐친과 시민들의 저항으로 실패하고 소련 붕괴를 촉진한 사건이다.
  • 1991년 정치 - 바리케이드 사건
    바리케이드 사건은 1991년 라트비아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 시민들이 바리케이드를 구축하고 소련의 무력 진압에 저항한 사건으로, 20명의 사망자를 냈지만 라트비아의 독립을 확정짓는 계기가 되었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
지도
기본 정보
이름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
약칭TFCMA, WP, WTO
설립일1955년 5월 14일
해산일1991년 7월 1일
본부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후신집단 안보 조약 기구
모토평화와 사회주의를 위한 동맹
회원국
회원국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독일 민주 공화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
폴란드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설명알바니아는 소련과의 분열로 1961년부터 독립적인 비소련 회원국이었으며, 1968년에 공식적으로 탈퇴했다.
동독은 1990년 9월에 공식적으로 탈퇴했다.
루마니아는 1960년대 초 소련 위성국 지위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비소련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이었다.
지휘관
최고 사령관이반 코네프 (최초)
표트르 루셰프 (최종)
연합 참모총장알렉세이 안토노프 (최초)
블라디미르 로보프 (최종)
관련 기구
관련 기구상호 경제 원조 이사회
명칭 (다른 언어)
러시아어
아르메니아어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체코어
조지아어
독일어
라트비아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슬로바키아어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약칭(ОВД)
아제르바이잔어 약칭(VMT)
벨라루스어 약칭(АВД)
불가리아어 약칭(ОВД)
체코어 약칭(OVS)
독일어 약칭(OWV)
에스토니아어 약칭(VLO)
카자흐어 약칭(ВКҰ, VKU)
라트비아어 약칭(VLO)
리투아니아어 약칭(VSO)
키르기스어 약칭(ВКУ)
폴란드어 약칭(OUW)
슬로바키아어 약칭(OVZ)
우크라이나어 약칭(ОВД)
우즈베크어 약칭(ВШТ, VShT)

2. 창설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입국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1955년 서독의 재군비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에 대응하여 소련이 동구권 국가들과 함께 창설한 집단 군사 동맹 기구이다. NATO에 대항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당시 미국과 소련은 핵 개발 경쟁을 벌이며, 터키와 쿠바에 각각 핵미사일을 배치하여 상호 국가를 겨냥하는 등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쿠바 미사일 위기로 이어지기도 했다. 소련은 미국을 위협으로 간주하고 서유럽 국가들에 대한 군사적 지원에 반발하여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창설했다.[85]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헝가리 혁명프라하의 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소련의 제한 주권론을 실행하는 역할을 맡았다.[86][87] 또한, 민주화 운동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겨지는 소련 역사상 최대 규모의 군사 훈련인 자파드 81(Запад-81)에도 참여했다.

NATO가 회원국 간 탄약의 상호 호환성을 위해 탄약의 공통 규격(NATO탄)을 제정한 반면,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서는 공통 규격 제정은 없었지만, 소련제 총기와 탄약 및 그 라이선스 생산품이 사실상 표준이었다. 그러나 체코슬로바키아제 Vz 61처럼 NATO 회원국 제 총기에서 사용되는 탄약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러시아어 약칭은 '''ОВД''' 또는 '''ВД'''이며, 영어 약칭은 '''WTO''' 또는 '''WPO''', '''WarPac'''이다. 세계무역기구(WTO)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Treaty'가 아닌 'Pact'를 사용한 WPO 약칭이 더 많이 사용된다.

2. 1. 회원국

Warsaw Pact영어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국가가입 기간탈퇴/해체비고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1955년1968년 9월 13일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항의하여 탈퇴.[88] 1961년 알바니아-소련 분쟁으로 지지 철회, 1962년 사실상 탈퇴.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1955년1990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1955년1990년
독일 민주 공화국1956년 3월 1일1990년 10월 3일독일 재통일로 인해 탈퇴. 구 동독 지역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편입.
헝가리 인민 공화국1955년1990년1956년 헝가리 혁명 기간 중 11월 1일부터 4일까지 일시적으로 탈퇴.
폴란드 인민 공화국1955년1990년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1955년1990년1960년대 초 소련 위성국 지위에서 벗어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1955년1991년조약 기구 해체



1987년 5월 동베를린에서 열린 바르샤바 조약 기구 7개국 대표 회담. 왼쪽부터 구스타브 후사크(체코슬로바키아), 토도르 지프코프(불가리아), 에리히 호네커(동독),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루마니아),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폴란드), 야노시 카다르(헝가리)

  • 유고슬라비아는 티토주의 노선을 걸으며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가입하지 않았다.
  • 구 소련을 제외한 구 가입국들은 2009년까지 모두 NATO에 가입했다. 소련 구성 공화국 중 발트 3국도 2004년에 NATO에 가입했다. 또한, 2007년까지 구 소련과 알바니아를 제외한 구 가입국들이 유럽 연합(EU)에 가입했다. 소련 구성 공화국 중 발트 3국도 2004년에 EU에 가입했다.

3. 역사

1985년 4월 26일, 조약 유효기간이 20년 연장되었으나, 1989년 동유럽 혁명의 영향으로 회원국들의 탈퇴가 이어졌다. 헝가리 인민공화국(1989년 10월 23일),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1989년 12월 25일),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1990년 2월), 폴란드 인민 공화국 등이 차례로 정권이 붕괴되거나 탈퇴하였고, 1990년 10월에는 통일 독일에 흡수되며 동독이 탈퇴하였다. 1991년 12월에는 핵심 국가였던 소련마저 해체되면서 조약 자체가 유명무실해졌다.[33][34][35][36][37]

1991년 7월 1일 프라하에서 열린 회의에서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공식적으로 해체를 선언했다.

3. 1. 배경

NATO 창설에 대응하여 소련이 동구권 국가들과 함께 창설한 군사 동맹 기구이다.

폴란드 바르샤바에 있는 대통령궁은 1955년 5월 14일 바르샤바 조약이 체결된 장소이다.


바르샤바 조약 체결 당시 회의 모습.


서독의 재군사화와 NATO 가입은 바르샤바 조약 창설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소련을 비롯한 많은 유럽 국가들은 독일 군국주의의 재현과 그로 인한 잠재적 위협을 우려했다.[9][10][11]

1954년, 소련은 서독의 독일 군국주의 부활을 경계하여 서독의 NATO 가입을 제안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부했다.[14] 소련은 1954년 베를린 회담에서 독일 통일과 4개국 군대 철수, 독일 중립화를 조건으로 전독일 정부 구성을 위한 선거를 제안했으나, 미국, 영국, 프랑스는 모두 반대했다.

제임스 던(미국)은 파리에서 콘라트 아데나워(서독) 등과 만나 "러시아와의 논의를 피하고 유럽 방위 공동체(EDC)를 추진해야 한다"고 확인했다.[15] 존 개디스에 따르면, 소련의 제안을 검토하려는 서구의 의향은 거의 없었다.[16] 롤프 스타이닝거는 아데나워가 "중립화는 소비에트화를 의미한다"는 신념, 즉 소련의 핀란드 정책인 핀란드화를 언급하며 소련의 제안 거부의 주요 요인이었다고 주장한다.[17]

이후 소련은 유럽 집단 안보 조약을 제안했지만, 미국을 배제한다는 이유로 거부되었다. 소련은 다시 미국의 참여를 허용하는 수정 제안을 했지만, 서방 국가들은 이를 NATO 해체를 위한 시도로 간주하고 거부했다.

영국 장군 해스팅스 이즈메이는 소련의 NATO 가입 요청에 대해 "회개하지 않은 강도가 경찰에 가입하겠다고 요청하는 것과 같다"며 반대했다.[19]

1954년 1954년 10월 23일, 서독의 NATO 가입이 결정되었다. 1955년 5월 9일 서독의 가입은 할바르 랑게 노르웨이 외무장관에 의해 "우리 대륙 역사의 결정적인 전환점"으로 묘사되었다.[20]

1955년 5월 14일, 소련과 동유럽 7개국은 서독의 NATO 통합에 대응하여 바르샤바 조약을 체결했다. 이들은 "재무장한 서독과 북대서양 블록으로의 통합은 또 다른 전쟁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평화로운 국가의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을 구성한다"고 선언했다.

1981년 "소련 빅 세븐" 위협 포스터. 바르샤바 조약 군대의 장비를 보여준다.


창립 회원국 중 하나인 동독은 소련의 허가를 받아 재무장했고, 국가인민군이 서독의 재무장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22]

철의 장막 (검은 선)

  • 바르샤바 조약 가입국
  • NATO 가입국 (1982년 5월~1990년 10월)
  • 군사적으로 중립국
  • 유고슬라비아, 비동맹 운동 회원


검은 점은 서독과 연합된 엑스클레이브인 서베를린을 나타낸다. 알바니아는 소련-알바니아 관계 단절로 인해 1961년 바르샤바 조약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고 1968년 공식적으로 탈퇴했다.

3. 2. 냉전 시기

NATO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36년 동안 유럽에서 직접적인 전쟁을 벌이지 않았다. 미국과 소련 및 각국의 동맹국들은 유럽에서 서로를 억제하기 위한 전략적 정책을 시행하는 한편, 국제 무대에서 더 넓은 냉전의 영향력을 위해 노력하고 싸웠다. 여기에는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피그스 만 침공, 더티 워,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등이 포함된다.[39][40]



1981년 암스테르담에서 NATO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간의 핵무기 경쟁에 항의하는 시위


1956년, 헝가리가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서 탈퇴한다는 임레 너지 정부의 선언에 따라 소련군이 헝가리에 진입하여 정부를 제거했다.[41] 소련군은 전국적인 봉기를 진압하여 약 2,500명의 헝가리 시민이 사망했다.[42]

다국적 공산주의 무장 세력의 유일한 공동 행동은 1968년 8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인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이었다.[43]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을 제외한 모든 회원국이 침공에 참여했다. 독일 민주 공화국은 최소한의 지원만 제공했다. (알바니아는 이 개입 한 달 후 조약에서 탈퇴했다.)

1989년 헝가리-오스트리아 국경에서 열린 범유럽 피크닉


1989년, 민주화와 정치적 자유를 요구하는 대중의 불만이 고조되면서 1989년 혁명으로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들의 공산 정권이 무너졌다. 군사력과는 무관하게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종말을 알리는 시작은 1989년 8월의 범유럽 피크닉이었다. 오토 폰 합스부르크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된 이 사건은 동독 시민들의 대규모 탈출을 야기했고, 언론을 통해 상황을 접한 동유럽 주민들은 지배자들의 권력 약화를 실감하며 철의 장막이 완전히 무너지는 것을 목격했다. 레흐 바웬사가 이끄는 폴란드의 새로운 연대성 정부가 처음에는 소련에 조약 잔류를 보장했지만,[44] 이는 더 이상 바르샤바 조약으로 군사적으로 통합될 수 없었던 동유럽의 틀을 깨뜨렸다.[45][46][47] 페레스트로이카와 개방적인 글라스노스트 정책으로 가능해진 독립적인 민족주의 정치는 소련식 경제 계획 모델의 결점과 실패를 드러냈고, 1991년 소련 공산 정권의 제도적 붕괴를 초래했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알바니아, 폴란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동독, 루마니아,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 그리고 소련에서 공산 정권이 붕괴되었다.

냉전의 마지막 단계에서 몇몇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들(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은 걸프 전쟁에서 쿠웨이트 해방을 위한 미국 주도 연합군 작전에 참여했다.

3. 3. 냉전 종식과 해체

1985년 4월 26일, 조약 유효기간이 20년 연장되었으나, 1989년 동유럽 혁명의 영향으로 회원국들의 탈퇴가 이어졌다. 헝가리 인민공화국(1989년 10월 23일),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1989년 12월 25일),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1990년 2월), 폴란드 인민 공화국 등이 차례로 정권이 붕괴되거나 탈퇴하였고, 1990년 10월에는 통일 독일에 흡수되며 동독이 탈퇴하였다. 1991년 12월에는 핵심 국가였던 소련마저 해체되면서 조약 자체가 유명무실해졌다.[33][34][35][36][37]

1991년 7월 1일 프라하에서 열린 회의에서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공식적으로 해체를 선언했다. 이로써 냉전 시대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의 군사 동맹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4. 구조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소련이 중앙유럽과 동유럽을 장악하고, 이 지역이 적들의 기지로 이용되는 것을 막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이데올로기적으로 소련은 사회주의공산주의를 정의하고 세계 사회주의 운동의 지도자 역할을 자처했다. 이는 브레즈네프 독트린에 명시된 바와 같이, 어떤 국가가 핵심 사회주의 사상에서 벗어나려는 시도가 있을 경우 군사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루마니아와 알바니아는 독자적인 노선을 걸으며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 했다. 특히 루마니아는 소련과의 관계에서 '독립' 대신 '자치'라는 표현이 사용될 정도로, 코메콘과 바르샤바 조약에 회원 자격을 유지하고 사회주의에 대한 헌신을 이어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마니아는 1963년 몽골의 바르샤바 조약 가입을 막고, 같은 해 라틴 아메리카 비핵지대 설립을 위한 유엔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지는 등 독자적인 행보를 보였다.[72]

4. 1. 루마니아와 알바니아의 특수성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전의 바르샤바 조약 기구. 소련과 위성국(빨강), 독립적인 비소련 회원국인 루마니아와 알바니아(분홍)를 보여준다.


루마니아와 알바니아(1968년까지)는 예외적인 경우였다. 이 두 국가와 유고슬라비아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창설되기 전에 이미 소련과 결별하였으며, 소련의 교리를 완전히 거부했다. 알바니아는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항의하여 1968년에 공식적으로 조약을 탈퇴했다.[50] 루마니아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바르샤바 조약의 침공 위협을 이용하여 민족주의를 내세우고, NATO 국가들과의 특별한 관계 및 여러 유럽 포럼에서 자리를 확보하려는 등의 이유로 조약에 잔류했다. 예를 들어, 루마니아와 소련 주도의 바르샤바 조약 잔여 국가들은 헬싱키 최종 문서 작성에서 두 개의 별개 그룹을 형성했다.[50]

안드레이 그레치코가 바르샤바 조약의 지휘권을 맡았을 때, 루마니아와 알바니아는 사실상 바르샤바 조약에서 이탈했다. 1960년대 초, 그레치코는 루마니아의 이단적인 교리가 다른 회원국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루마니아의 영토 방위 교리는 바르샤바 조약의 통합과 결속을 위협했다. 루마니아와 알바니아처럼 바르샤바 조약에서 탈퇴하는 데 성공한 다른 국가는 없었다. 예를 들어, 루마니아의 주력 전차 부대는 현지에서 개발한 모델이었다. 소련군은 1963년 바르샤바 조약 훈련의 일환으로 마지막으로 루마니아에 배치되었다. 1964년 이후, 루마니아가 공동 훈련 참여를 거부함에 따라 소련군은 루마니아로 돌아오는 것이 금지되었다.[51]



차우셰스쿠 등장 이전에도 루마니아는 사실상 다른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과 달리 독립적인 국가였다. 어느 정도는 바르샤바 조약 회원국이 아니었던 쿠바보다 더 독립적이었다. 루마니아 정권은 소련의 정치적 영향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차우셰스쿠는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의 유일한 공개적인 반대자였다. 부쿠레슈티와 모스크바 간의 불화 관계로 서방은 소련을 부쿠레슈티가 추진한 정책에 대해 책임지지 않았다.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와 같은 지역의 다른 국가들에서는 그렇지 않았다.[53] 1990년 초, 소련 외무장관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는 차우셰스쿠의 루마니아에 대한 소련의 영향력 부재를 암묵적으로 인정했다. 혁명이 일어난 지 2주도 채 지나지 않아 루마니아를 방문하는 것이 의미가 있느냐는 질문에 셰바르드나제는 루마니아를 직접 방문해야만 "소련의 영향력을 회복"하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54]

루마니아는 1958년 소련군의 완전 철수를 요청하고 얻었다. 루마니아의 독립 운동은 1964년 4월 22일 루마니아 공산당이 "모든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은 사회주의 건설의 형태와 방법을 구체화하고 선택하거나 변경할 주권적 권리가 있다"고 선언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또한 "어떤 '모국' 당과 '자식' 당, '상급' 당과 '하급' 당은 없고, 동등한 권리를 가진 공산당과 노동자 당의 큰 가족만이 존재한다"고 선언했으며, "유일한 패턴과 요리법은 없고 있을 수도 없다"고 덧붙였다. 이것은 모스크바로부터의 정치적 및 이념적 독립 선언에 해당했다.[55][56][57][58]



알바니아가 바르샤바 조약에서 탈퇴한 후, 루마니아는 소련이 자국의 군대를 사용하는 것을 거부하고 소련의 군사 장비 공급에 대한 절대적인 의존을 피하는 독립적인 군사 교리를 가진 유일한 회원국으로 남았다.[60] 루마니아는 무장 공격 시 소련을 군사적으로 방어할 의무가 없는 유일한 비소련 회원국이었다.[61] 불가리아와 루마니아는 영토에 소련군이 주둔하지 않은 유일한 회원국이었다.[62] 1964년 12월, 루마니아는 정보 및 보안 서비스 요원을 포함하여 모든 소련 고문이 철수된 유일한 회원국이 되었다 (4년 안에 조약을 완전히 탈퇴할 알바니아는 제외).[63] 루마니아는 KGB와의 공동 작전에 참여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KGB 방첩 전문 부서"를 설립하기도 했다.[64]

루마니아는 중소 분쟁에서 중립을 지켰다.[65][66][67] 중소 분쟁에서의 중립과 세계 정세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작은 공산주의 국가라는 점은 루마니아가 세계적으로 공산주의 세계의 "제3세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해주었다. 1960년대 초 소련 위성국 지위에서 벗어나면서 달성된 루마니아의 독립은 루마니아가 철의 장막에 인접하지 않고(사회주의 국가들에 둘러싸여 있었고) 지배 정당이 공산주의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모스크바에 의해 용인되었다.[68][69]

일부 역사가들은 루마니아와 소련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독립"이라는 용어 대신 "자치"를 선호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루마니아가 1963년 7월 몽골의 바르샤바 조약 가입을 막았던 이유, 1963년 11월 다른 소련 연계 국가들이 기권했을 때 라틴 아메리카에 핵무기 없는 지역을 설립하기 위한 유엔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던 이유, 1964년 루마니아가 중국에 대한 소련의 "강력한 집단적 반격" 제안에 반대했던 이유 등을 설명하지 못한다.[72] 소련의 허위 정보는 차우셰스쿠의 권력 강화가 모스크바와의 공모 속에서의 위장이라고 서방을 설득하려고 했다.[73] 어느 정도는 효과가 있었는데, 일부 역사가들은 모든 루마니아의 계획 뒤에 모스크바의 손길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루마니아가 이스라엘과 외교 관계를 유지한 유일한 동유럽 국가가 되었을 때, 일부 역사가들은 이것이 모스크바의 변덕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나 이 이론은 자세히 조사해 보면 실패한다.[74] 심지어 냉전 중에도 일부 사람들은 루마니아의 행동이 소련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해당 행동에 대한 소련의 분노는 "설득력 있게 진심"이었다. 사실, 소련은 루마니아에 대해 서방과 공개적으로 연합하는 것을 넘어서지 않았다.[75]

5. 해체 이후

1989년 냉전이 끝나고 동유럽 혁명이 시작되면서,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1991년 2월 25일 군사 기구를 폐지하고 7월 1일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같은 해 12월 26일에는 소련이 붕괴되었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회원국 간의 내정 불간섭, 국가 주권 존중 및 정치적 독립을 기반으로 하는 관계를 명시했지만,[48] 실제로는 소련동구권 지배를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모든 바르샤바 조약 사령관은 동시에 소련의 고위 장교였으며, 바르샤바 조약기구 통합무장군 최고사령관은 회원국 군대 전체를 지휘하고 통제하는 동시에 소련 국방부 차관 1등을 겸임했다. 또한 바르샤바 조약기구 통합무장군 통합참모총장은 소련군 참모총장의 차관 1등을 겸임했다.

이 조약의 주요 목적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대한 대항이었으며, 당시 미국과 소련은 핵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미국은 터키에, 소련은 쿠바에 핵미사일을 배치하여 상호 국가를 겨냥했고, 이는 쿠바 미사일 위기와 같은 긴장을 초래했다. 소련은 미국을 위협으로 간주하고 서유럽 국가들에 대한 군사적 지원에 강하게 반발하여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만들었다. 이 기구는 헝가리 혁명프라하의 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는 등 소련의 제한 주권론을 실행하는 역할을 맡았다.[86][87]

5. 1. NATO 확장

1999년 3월 12일 체코, 폴란드, 헝가리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으며, 2004년 3월 29일에는 루마니아,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슬로베니아가 NATO에 가입했다. 1990년 10월 3일 독일 재통일(동독의 연방 가입, 사실상 서독에 의한 동독 편입)로 구 동독 지역도 NATO의 적용 지역이 되었다. 2009년까지 구 소련을 제외한 구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입국 모두 NATO에 가입했으며, 2004년에는 소련 구성 공화국 중 발트 3국도 NATO에 가입했다.

5. 2. 독립 국가 연합 (CIS)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자 구소련 국가 10개국이 독립국가연합(CIS)을 구성했다.[78]

6. 평가 및 비판

1989년 혁명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들의 공산 정권 붕괴를 가져왔는데, 이는 대중의 불만이 고조된 결과였다. 1989년 8월 범유럽 피크닉은 오토 폰 합스부르크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어 동독 시민들의 대규모 탈출을 야기했고, 동유럽 주민들은 철의 장막이 무너지는 것을 목격했다. 폴란드의 연대성 정부는 초기에 조약 잔류를 보장했지만, 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 정책으로 가능해진 독립적인 민족주의 정치는 소련식 경제 계획 모델의 결점을 드러냈고, 1991년 소련 공산 정권의 붕괴를 초래했다.[44][45][46][47] 1989년부터 1991년까지 동유럽과 소련에서 공산 정권이 붕괴되었다.

냉전 말기,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는 걸프 전쟁에서 미국 주도 연합군에 참여했다.

루마니아와 알바니아(1968년까지)는 예외적으로 소련의 교리를 거부했다. 알바니아는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항의하여 1968년 탈퇴했다. 루마니아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민족주의자로 포장되기를 원했고, NATO 국가들과의 특별한 접근 및 유럽 포럼에서의 자리를 확보하려는 등의 이유로 회원으로 남았다.[50] 안드레이 그레치코 지휘 하에 루마니아와 알바니아는 사실상 바르샤바 조약에서 이탈했다. 루마니아의 영토 방위 교리는 바르샤바 조약의 통합을 위협했다.[51]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이전에도 루마니아는 독립적인 국가였다. 쿠바보다 더 독립적이었으며, 소련의 정치적 영향력을 크게 받지 않았고, 차우셰스쿠는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에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서방은 부쿠레슈티와 모스크바 간의 불화 관계로 소련을 부쿠레슈티의 정책에 책임지지 않았다.[53] 1990년 초, 소련 외무장관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는 소련의 영향력 부재를 인정했다.[54]

루마니아는 1958년 소련군의 완전 철수를 얻어냈고, 1964년 4월 루마니아 공산당은 "모든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은 사회주의 건설의 형태와 방법을 선택할 주권적 권리가 있다"고 선언하며, 모스크바로부터의 정치적, 이념적 독립을 선언했다.[55][56][57][58]

알바니아 탈퇴 후, 루마니아는 독립적인 군사 교리를 가진 유일한 회원국으로 남았다.[60] 루마니아는 무장 공격 시 소련을 방어할 의무가 없는 유일한 비소련 회원국이었다.[61] 불가리아와 루마니아는 영토에 소련군이 주둔하지 않은 유일한 회원국이었다.[62] 1964년 12월, 루마니아는 모든 소련 고문이 철수된 유일한 회원국이 되었다.[63] 루마니아는 KGB와의 공동 작전에 참여하지 않고 "KGB 방첩 전문 부서"를 설립했다.[64]

루마니아는 중소 분쟁에서 중립을 지켰다.[65][66][67] 중소 분쟁에서의 중립과 세계 정세에 대한 영향력은 루마니아가 공산주의 세계의 "제3세력"으로 인정받게 했다. 루마니아의 독립은 철의 장막에 인접하지 않고 지배 정당이 공산주의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모스크바에 의해 용인되었다.[68][69]

일부 역사가들은 루마니아와 소련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독립" 대신 "자치"를 선호하지만, 이는 루마니아가 1963년 몽골의 바르샤바 조약 가입을 막았던 이유 등을 설명하지 못한다.[72] 소련의 허위 정보는 차우셰스쿠의 권력 강화가 모스크바와의 공모 속 위장이라고 서방을 설득하려 했다.[73] 일부 역사가들은 루마니아의 계획 뒤에 모스크바의 손길이 있다고 생각했지만, 소련의 분노는 진심이었다.[74][75]

1999년 체코, 헝가리, 폴란드가 NATO에 가입했고, 2004년에는 불가리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가 가입했다. 크로아티아와 알바니아는 2009년에 가입했다.[79][80]

소련의 후계국인 러시아와 다른 포스트소비에트 국가들은 1992년 집단안보조약기구(CSTO)에, 1996년에는 상하이 5개국에 가입했고, 2001년 우즈베키스탄이 추가되면서 상하이협력기구(SCO)로 개명되었다.[81]

2005년 폴란드 정부는 바르샤바 조약 기록 보관소를 개방했고, 2006년 약 1,300건의 기밀 해제 문서를 공개했다. 폴란드 정부는 군사 기밀 해제를 기다리며 일부 문서 공개를 보류했다. 공개된 문서 중에는 바르샤바 조약의 핵전쟁 계획인 "라인 강까지 7일"이 있었는데, 이는 NATO의 선제 공격 시 핵무기를 사용하여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 네덜란드를 단기간에 점령하는 계획이었다.[82][83]

참조

[1] 웹사이트 Протокольная запись заседания Президиума ЦК КПСС (к пункту I протокола № 49) https://www.alexande[...]
[2] 서적 Slovenské pohl'ady https://books.google[...] Matica slovenská 1997
[3] 웹사이트 Milestones: 1953–1960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4] 서적 The Oder-Neisse Line: The United States, Poland, and Germany in the Cold War https://www.google.c[...] ABC-Clio 2003
[5] 웹사이트 Text of Warsaw Pact http://treaties.un.o[...]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2013-08-22
[6] 웹사이트 Cover Story: The Holy Alliance https://web.archive.[...] Time 2015-12-23
[7] 뉴스 DDR-Massenflucht: Ein Picknick hebt die Welt aus den Angeln 2018-08-16
[8] 서적 Europa dwudziestego wieku: zarys historii politycznej Wydawnictwo Poznańskie 1998
[9] 서적 World Politics: The Menu for Choice 2009
[10] 웹사이트 The Warsaw Treaty Organization, 1955 https://history.stat[...] history.state.gov 2015-12-24
[11] 뉴스 Fast facts about NATO https://www.cbc.ca/n[...] CBC News 2011-07-16
[12] 서적 The Warsaw Pact Reconsidered: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ern Europe, 1955–1969 Routledge 2015
[13] 서적 The Warsaw Pact Reconsidered: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ern Europe, 1955–1969 Routledge 2015
[14] 뉴스 Fast facts about NATO https://www.cbc.ca/n[...] CBC News 2011-07-16
[15] 서적 The German Question: The Stalin Note of 1952 and the Problem of Reunific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
[16] 서적 We Now Know: Rethinking Cold War History https://www.google.c[...] Clarendon Press 1997
[17] 서적 The German Question: The Stalin Note of 1952 and the Problem of Reunific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
[18] 서적 The German Question: The Stalin Note of 1952 and the Problem of Reunific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
[19] 뉴스 Soviets tried to join Nato in 1954 https://www.theguard[...] 2001-06-17
[20] 뉴스 West Germany accepted into Nato http://news.bbc.co.u[...] 1955-05-09
[21] 서적 Indivisible Germany: Illusion or Realit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2] 뉴스 No shooting please, we're German https://www.economis[...] 2012-10-13
[23] 서적 A Companion to Europe Since 1945 https://books.google[...] Wiley
[24] 뉴스 Warum steht in Polen eine Sowjet-Garnison? https://www.spiegel.[...] 1983
[25] 웹사이트 Group of Soviet Forces in Germany
[26] 웹사이트 History of Romania#Communist period (1947–1989)
[27] 학술지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Hungarian People's Republic: Agreement on the Legal Status of the Soviet Forces Temporarily Present on the Territory of the Hungarian People's Republic https://www.jstor.or[...] 1958
[28] 서적 Longman Companion to Germany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29] 서적 Mitterrand, the End of the Cold War, and German Unification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30] 서적 Germany: 1933–199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Germany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2] 서적 German Unification and Its Disconten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3] 서적 The Warsaw Pact Reconsidered: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ern Europe, 1955–1969 https://books.google[...] Routledge
[34] 서적 Cold Wars: Asia, the Middle East,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3-19
[35] 뉴스 Soviet Troops to Leave Mongolia in 2 Years https://www.latimes.[...] 1990-03-03
[36] 웹사이트 Warsaw Treaty Organization http://freecontent.a[...] 1990-03-03
[37] 논문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Warsaw Pact Organization, 1955–63 https://www.tandfonl[...] 2007-10-08
[38] 웹사이트 1968 – The Prague Spring https://www.austria1[...]
[39] 웹사이트 America Wasn't the Only Foreign Power in the Vietnam War https://militaryhist[...] 2013-10-02
[40] 웹사이트 Crisis Points of the Cold War https://courses.lume[...] Boundless World History
[41] 웹사이트 The Hungarian Uprising of 1956 https://www.historyl[...] History Learning Site
[42] 웹사이트 Recalling the Hungarian revolution, 60 years on https://edition.cnn.[...] CNN 2016-10-23
[43] 웹사이트 Soviets Invade Czechoslovakia – Aug 20, 1968 https://www.history.[...]
[44] 뉴스 Polish Army: Enigma in the Soviet Alliance https://www.nytimes.[...] 1989-08-22
[45] 인터뷰 Grenzöffnung 1989: „Es gab keinen Protest aus Moskau“ Die Presse 2014-08-18
[46] 뉴스 Der 19. August 1989 war ein Test für Gorbatschows FAZ 2009-08-19
[47] 뉴스 Paneuropäisches Picknick – Mit dem Picknickkorb in die Freiheit Süddeutsche Zeitung 2010-05-17
[48] 웹사이트 How the Russians Used the Warsaw Pact https://www.thoughtc[...]
[49] 웹사이트 Warsaw Pact ends https://www.history.[...]
[50] 서적 Conflict Management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51] 서적 The Diffusion of Military Technology and Idea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52] 웹사이트 Office of Public Communication, Bureau of Public Affairs, 1991, ''US Department of State Dispatch, Volume 2'', p. 13 https://books.google[...]
[53] 서적 The Enigma of 1989: The USSR and the Liberation of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1-05-28
[54] 서적 The End of the Cold War: 1985–1991 https://books.google[...] Pan Macmillan 2015
[55] 서적 Eastern Europe in 1968: Responses to the Prague Spring and Warsaw Pact Invas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
[56] 서적 Warsaw Pact and the Balkans: Moscow's Southern Flank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9
[57] 서적 Internationalism and the Ideology of Soviet Influence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58] 서적 Dynamics of Communism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59] 웹사이트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Incorporated, 1994, RFE/RL Research Report: Weekly Analyses from the RFE/RL Research Institute, Volume 3, p. 3 https://books.google[...]
[60] 서적 Soviet Strategy and the New Military Think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서적 Warsaw Pact and the Balkans: Moscow's Southern Flank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9
[62] 서적 An Introduction to Government and Politics: A Conceptual Approach https://books.google[...] Nelson Canada
[63] 서적 The Balkans Since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64] 서적 Romania Since 1989: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65] 서적 Civilization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Prentice-Hall
[66] 서적 Today's Isms: Communism, Fascism, Capitalism, Socialism https://books.google[...] Prentice-Hall
[67] 서적 Romania: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 Political Stagnation and Simulated Change https://books.google[...] Pinter
[68] 웹사이트 The Reporter, Volume 33, p. 32 https://books.google[...]
[69] 웹사이트 Sino-Romanian Relations: 1950s–1960s, p. 199 https://www.google.a[...] 2023-07-00
[70] 서적 A History of the Romanian Communist Party Hoover Institution Press 1980
[71] 논문 Taunting the Bear: Romania and the Warsaw Pact, 1963–89
[72] 서적 Cold War Perceptions: Romania's Policy Change towards the Soviet Union, 1960–1964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73] 서적 Romania since the Second World War: A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74] 서적 The Star and the Scepter: A Diplomatic History of Israe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75] 서적 Managing the Cold War: A View from the Front Line https://books.google[...]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76] 웹사이트 Communist bloc war games in Bulgaria https://www.upi.com/[...]
[77] 웹사이트 NATO and Warsaw Pact begin exercises https://www.upi.com/[...]
[78] 간행물 The future of U.S.-Soviet relations hearings before th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United States Senate, One Hundred First Congress, first session, April 4, 12, 19 and May 3, 15, 18 and June 1 and 20, 1989 https://link.springe[...] Washington : U.S. G.P.O 2021-05-11
[7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nato.int[...] 2018-08-23
[80] 웹사이트 NATO Update: Seven new members join NATO https://www.nato.int[...] 2004-03-29
[81] 논문 Declaration of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sation http://journals.sage[...] 2002
[82] 뉴스 Poland risks Russia's wrath with Soviet nuclear attack map https://www.theguard[...] 2005-11-26
[83] 웹사이트 Poland reveals Warsaw Pact war plans https://css.ethz.ch/[...] International Relations and Security Network 2014-12-23
[84] 웹사이트 Warsaw Pact https://www.crwflags[...] CRW Flags 2018-08-18
[85] 간행물 集団的自衛権の法的性質とその発達 ―国際法上の議論― 国立国会図書館 2009-01
[86] 웹사이트 5 most impressive and important drills of the Soviet Army https://www.rbth.com[...] 2018-03-19
[87] 웹사이트 Russia begins its largest ever military exercise with 300,000 soldiers https://www.theguard[...] 2018-09-11
[88] 백과사전 동구 제국의 정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