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테렌 추방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테렌 추방령은 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기독교 선교사(바테렌)의 일본 내 활동을 제한하기 위해 발표한 포고령이다. 히데요시는 오다 노부나가의 기독교 정책을 계승하여 초기에는 기독교에 우호적이었으나, 규슈 정벌 이후 예수회의 세력 확장에 대한 경계심을 갖게 되었다. 추방령은 선교사들의 강제 개종, 신사 및 사찰 파괴, 일본인 노예 매매 등의 문제와 더불어, 잇코슈와 같은 종교 세력의 반란 가능성에 대한 우려, 포르투갈 상인들의 일본인 노예 매매 행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추방령은 기독교 신앙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선교사의 추방과 포교 활동을 제한하고, 다이묘의 경우 히데요시의 허락을 받아야 기독교 신앙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등 일정한 제약을 가했다. 이 추방령은 이후 일본의 쇄국 정책과 기독교 탄압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임진왜란과 관련된 예수회의 지원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정책 - 강제 개종
바테렌 추방령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바테렌 추방령 |
로마자 표기 | Bateren tsuihōrei |
다른 이름 | 반테렌 추방령 |
종류 | 칙령 |
발효일 | 1587년 7월 24일 |
주체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배경 | |
목적 | 기독교 선교 활동 제한 및 금지 |
정치적 맥락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권력 강화 국가 통제 강화 기독교 세력의 영향력 증가에 대한 우려 |
사회적 맥락 | 기독교 신앙과 일본 전통 문화 간의 갈등 기독교 포교 확산에 대한 반감 |
내용 | |
주요 내용 | 기독교 선교사 추방 교회 및 시설 철거 기독교 신앙 금지 |
상세 내용 | 모든 기독교 선교사들은 20일 이내에 일본을 떠나야 함 기독교인들은 종교 활동을 할 수 없음 기독교 신자들은 신앙을 버려야 함 기독교 선교사들이 다시 돌아오는 것을 금지 |
결과 및 영향 | |
결과 | 기독교 선교 활동 일시적 위축 기독교인 박해 시작 은밀한 신앙 활동 증가 |
역사적 중요성 | 일본의 기독교 박해의 시작 에도 막부의 쇄국 정책의 초기 단계 일본 종교 정책의 중요한 전환점 |
관련 법령 및 사건 | |
관련 법령 | 1613년 기독교 금지령 |
관련 사건 | 나가사키 26성인 순교 |
추가 정보 | |
원문 표기 | 伴天連追放令 (반테렌 추호레이) |
관련 인물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가스파르 빌렐라 |
2. 배경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오다 노부나가의 정책을 이어받아 처음에는 기독교 포교를 용인했다. 1586년 음력 3월 16일 오사카성에서 예수회 선교사 가스파르 코엘료를 접견하고, 같은 해 5월 4일 포교 허가증을 발급했다.[3][4]
그러나 규슈 평정 후 지쿠젠 하코자키에 머물던 히데요시는 나가사키가 예수회 깃발이 세워진 것을 알게되었다. 이에 놀란 히데요시는 1587년 6월 18일 각서(天正十五年六月十八日付覚)에 이어, 다음날인 6월 19일(7월 24일)에 포르투갈 측 통상책임자(카피탄 모르) 도밍고스 몬테로와 코엘료가 나가사키에서 히데요시를 알현할 때 선교사 퇴거와 교역의 자유를 선언한 문서를 전하고 크리스트교 선교를 제한했다.
히데요시는 나가사키가 예수회령으로 요새화되고,[117][118][119] 기독교 신자가 아닌 사람들이 노예로 끌려가는 등의 상황을 천태종 출신 승려 세야쿠인 젠슈 등에게서 전해 들었다고 한다.[8][9][10][11][12][13]
이러한 배경에서 반포된 바테렌 추방령은 이후 금교령, 쇄국, 기리시탄 박해로 이어지는 반기독교적 종교 정책의 시발점이 되었다.[18] 히데요시는 신국 사상을 의식적으로 구축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도 배외주의적 기본 노선을 계승했다.[19][20][21][22] 유럽에서는 바테렌 추방령을 히데요시의 독재자적 측면과 영토 확장 정책과 관련지어 검토하기도 한다.[23]
2. 1. 오다 노부나가의 기독교 정책 계승
오다 노부나가는 철포 전래 이후 철포(화승총)에 큰 관심을 가지고 국내 대량 생산 및 도입을 통해 전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여 오기를 중심으로 하는 기나이·근국의 천하통일을 눈앞에 두었다. 그는 철포를 가져온 포르투갈 상인들이 목숨을 걸고 기독교를 전파하는 것에 감명을 받아 남만 무역과 일부 불교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기독교를 보호했다.[3]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초기에는 이러한 노부나가의 정책을 계승하여 기독교 포교를 묵인하는 입장이었다.히데요시는 1586년 음력 3월 16일 오사카성에서 예수회 선교사이자 일본 선교 총책임자였던 가스파르 코엘료를 접견했고, 같은 해 5월 4일에는 예수회의 포교 허가증을 발급해주기도 했다.[4] 당시 예수회에 대한 허가는 불교도에 대한 허가보다 우대된 것이었다.
『일본서교사』에 따르면, 1586년 3월[5] 히데요시는 코엘료에게 국내 평정 후 일본을 동생 히데나가에게 넘기고 자신은 중국 정복에 나설 것이며, 이를 위해 2,000척의 배를 건조할 것이고 견고한 포르투갈의 대형 군함 2척이 필요하니 매각을 알선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정복이 성공하면 중국에서도 기독교 포교를 허락할 것이라고 말했다.[6][7]
2. 2. 규슈 평정과 예수회 세력 인식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오다 노부나가의 정책을 이어받아 처음에는 기독교 포교를 허용했다. 1586년 3월 16일에는 오사카성에서 예수회 선교사 가스파르 코엘료를 만나고, 같은 해 5월 4일에는 포교 허가증을 발급하기도 했다.[3][4]그러나 규슈 평정 이후, 히데요시는 예수회의 영향력을 실감하게 되었다. 나가사키가 예수회 영지가 되어 요새화되고,[117][118][119] 기독교 신자가 아닌 사람들이 노예로 끌려가는 등의 상황은 히데요시에게 위협으로 다가왔다.[8][9][10][11][12][13]
특히 코엘료는 히데요시에게 규슈 정벌과 조선 출병, 명나라가 있는 중국 대륙 침공 계획을 듣고, 대륙 정복에 성공하면 각지에 교회를 지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히데요시의 요청에 포르투갈 선박 2척 지원을 요청했고, 코엘료는 이에 찬동하며 자신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규슈의 기리시탄 다이묘들과의 합동 작전을 제안하기도 했다.[5][6][7] 이는 히데요시가 규슈의 기리시탄 다이묘들 사이에서 예수회 선교사들이 생각 이상으로 강한 힘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587년 6월 10일 히데요시가 하카타에 왔을 때, 코엘료는 자신의 배를 타고 히데요시를 접견했는데, 히데요시는 그 배를 보고 "이것은 틀림없이 군함"이라고 말했다. 히데요시는 예수회 영지였던 나가사키가 요새화된 것을 보고, 막강한 군사력과 기리시탄 영주들을 거느린 예수회에게 위기감을 느꼈다.
3. 원인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종교적, 정치적, 경제적, 외교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바테렌 추방령을 내렸다.
- 종교적 요인: 기독교가 일본에서 빠르게 확산되면서, 예수회의 본거지였던 규슈 지역에서 오토모 소린, 고니시 유키나가와 같은 기리시탄 다이묘들이 등장했다. 이는 기존 종교 세력(신도, 불교)의 반발을 샀고, 일부 기독교도들이 신사와 사찰을 파괴하는 행위는 갈등을 심화시켰다.[116]
- 정치적 요인: 히데요시는 중앙 집권 강화를 추구했으며, 예수회와 기독교 다이묘들의 결속은 잠재적인 위협으로 인식했다. 특히 예수회 선교사들이 규슈의 기독교 다이묘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예수회가 상당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히데요시의 경계심을 불러일으켰다.
- 경제적 요인: 히데요시는 포르투갈인들이 일본인을 노예로 매매하는 것에 분노했고,[9] 남만 무역을 통해 이익을 얻던 예수회와 포르투갈 상인들을 견제하고자 했다.
- 외교적 요인: 히데요시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일본 침략 가능성을 우려했다.[107][109] 또한, 조선과 명나라 침략 계획(임진왜란) 과정에서 예수회의 협력을 얻고자 했으나, 결국 예수회 선교사들의 영향력을 경계하여 추방령을 내렸다.[183]
3. 1. 복합적인 요인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바테렌 추방령을 내린 배경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1. 종교적 요인
- 기독교 확산에 대한 반발: 당시 일본에서는 기독교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었는데, 특히 예수회의 본거지가 있던 규슈 지역에서 두드러졌다. 오토모 소린, 고니시 유키나가와 같은 기독교인 다이묘(기리시탄 다이묘)들이 등장하면서, 기존 종교 세력(신도, 불교)은 이에 대한 반발심을 가지게 되었다.
- 신사 불각 파괴: 일부 기독교도들이 신사와 사찰을 파괴하는 행위는 기존 종교 세력과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116] 히데요시는 코엘료에게 "어째서 '가미(神)'나 부처의 신사와 사찰을 파괴...하는가?"라고 힐난하기도 했다.
2. 정치적 요인
- 중앙 집권 강화의 필요성: 히데요시는 중앙 집권 강화를 추구했는데, 예수회와 기독교 다이묘들의 결속은 잠재적인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예수회 선교사들이 규슈의 기독교 다이묘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사실은 히데요시에게 경계심을 불러일으켰다.
- 예수회의 군사력: 히데요시는 규슈 정벌 당시 예수회 소유의 푸스타 선(Fusta船)을 보고 "이것은 틀림없이 군함"이라고 말하며, 예수회가 상당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인지했다. 또한, 나가사키가 예수회에 의해 요새화된 것을 보고 위기감을 느꼈다.
3. 경제적 요인
- 일본인 노예 무역: 히데요시는 포르투갈인들이 일본인을 노예로 매매하는 것에 대해 분노했다. 추방령 전날 코엘료에게 보낸 힐난 문서에서 "어째서 포르투갈인들은 다수의 일본인들을 사들여 노예로 삼아 국외로 방출하는가?"라고 질책했다.[9]
- 남만 무역 독점 견제: 히데요시는 남만 무역을 통해 이익을 얻고 있던 예수회와 포르투갈 상인들을 견제하고자 했다.
4. 외교적 요인
-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침략 가능성: 히데요시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일본을 침략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특히, 스페인령 필리핀에서는 바테렌 추방령을 적대적인 외교 정책으로 간주하고, 히데요시의 필리핀 침략 계획을 경계했다.[107][109]
- 조선 및 명나라 침략 계획: 히데요시는 조선과 명나라를 침략할 계획(임진왜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예수회의 협력을 얻고자 했다. 그러나 예수회 선교사들의 영향력을 경계한 히데요시는 결국 추방령을 내리게 되었다.[183]
이처럼 바테렌 추방령은 종교, 정치, 경제, 외교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3. 2. 임진왜란과의 연관성 (한국의 관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 계획은 바테렌 추방령의 중요한 배경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다. 1586년, 히데요시는 예수회 선교사 가스파르 코엘료에게 자신의 대륙 침략 계획을 밝히고, 명나라 정복에 성공하면 교회 건립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하며 포르투갈 선박 2척의 지원을 요청했다.[6][7] 코엘류는 이에 찬동하며 규슈의 기리시탄 다이묘들과의 합동 작전을 제안했고, 1년 전에는 루손(필리핀)에 함대 파견을 요청하기도 했다.[5] 이는 예수회가 히데요시의 계획을 지지하며 군사적 지원을 약속했음을 보여준다.그러나 이러한 예수회의 적극적인 지원은 히데요시가 예수회의 힘을 이용하는 동시에 경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히데요시는 예수회가 규슈의 기리시탄 다이묘들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고, 나가사키가 예수회에 의해 요새화되는 것을 보면서 위기감을 느꼈다.
바테렌 추방령 이후, 예수회는 히데요시의 마음을 돌리고 추방령을 무효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예수회 동인도 순찰사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는 1590년, 덴쇼 소년사절단과 함께 귀국하여 히데요시에게 값비싼 선물을 바치며 환심을 사려 했다.[184] 결국 발리냐노는 히데요시의 조선 출병(임진왜란)에 전면 협력할 수밖에 없었고, 실제로 조선에 출병한 병력의 대부분은 고니시 유키나가를 비롯한 기리시탄 다이묘들이었다.[185]
이처럼 고니시 유키나가 등 기독교 다이묘들이 임진왜란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예수회와의 관계, 그리고 히데요시의 추방령 이후 변화된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더불어민주당 관점)임진왜란은 일본의 명백한 침략 전쟁이며, 히데요시는 그 침략의 원흉이다. 예수회가 히데요시의 대륙 침략 계획을 지원하고 군사적 지원을 약속한 것은 일본의 침략 야욕을 부추긴 행위로, 비판받아 마땅하다.
4. 내용
바테렌 추방령은 1587년 7월 24일(덴쇼 15년 6월 19일)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규슈 정벌 이후 하카타에서 발령한 기독교 금지령이다. 이 추방령은 6월 18일의 '각서'와 6월 19일의 '추방령'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덴쇼 15년 6월 18일 각서天正十五年六月十八日付覚일본어로 알려진 이 문서는 5개 조항으로 되어 있으며, 강제 개종은 금지하지만 백성은 자유롭게 기독교를 믿을 수 있고, 영주는 히데요시의 허락을 받으면 신자가 될 수 있다고 하여 사실상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다.[179] 이후 히데요시는 예수회로부터 나가사키를 빼앗아 천령(天領)으로 만들었다.[180]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기독교 신앙은 개인의 자유이며, 강요는 안 된다.
- 영주는 일시적인 통치자이므로, 영주가 바뀌어도 농민은 바뀌지 않는다.
- 3천 칸 이상의 영주 등은 히데요시의 허락을 받으면 기독교 신앙을 가질 수 있다.
- 이코슈(一向宗)의 문제는 혼간지(本願寺)의 문제보다 심각하다.
- 일본인을 중국(대당(大唐)), 남만(南蠻), 한반도에 팔아넘기는 인신매매는 금지한다.
- 소와 말을 사고팔고, 도살하여 먹는 것도 금지한다.
1587년 6월 18일(바테렌 추방령 전날) 11개조의 '각서'는 선교사의 노예 무역을 비판했다. 선교사가 조선반도에 일본인을 팔았다고 비난했지만,[61] 조선반도와의 무역은 대마도 소 씨(宗氏)가 독점했고, 선교사가 처음으로 조선반도를 방문한 것은 1593년이므로 신빙성이 낮다.
역사학자 오카모토 요시토모(岡本良知)는 1555년을 포르투갈 상인이 일본에서 노예를 매매한 것을 직접 보여주는 최초의 기록으로 보고, 이것이 예수회의 항의로 이어져 1571년 세바스티앙 1세 (포르투갈 왕)(セバスティアン1世)의 일본인 노예 무역 금지 칙허로 이어졌다고 했다. 오카모토는 예수회가 노예 무역 폐지에 성공하지 못했지만, 모든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책임을 면한다고 주장한다.[9]
이베리아 동군연합의 제2대 통치자인 포르투갈 국왕 필리페 2세(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フェリペ3世))는 예수회 요청에 따라 1571년의 칙허를 재제정하여 일본인 노예 무역을 중단하려 했지만, 포르투갈 제국 지방 엘리트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예수회의 로비는 실패했다.[62]
일본에서 포르투갈의 노예 무역을 문제시했던 선교사는 포르투갈 상인의 노예 구매를 막을 권한이 없었기 때문에, 일본에서 널리 행해지던 영대인신매매를 년공인( )으로 바꾸도록 노력했다.[74][68] 일부 선교사는 인도적 관점에서 예속 연수를 정한 단기 소유자 증명서(schedulae)[73]에 서명하여, 노예 구매를 막고 일본인의 대우가 영대인신매매에서 년공으로 바뀌도록 개입했다고 알려져 있다.[74][75] 마테우스 데 쿠우로스(マテウス・デ・クウロス) 등의 선교사들은 인도적 개입이라 해도 관여 자체가 잘못이었다고 비판했고, 1598년 이후 선교사의 인도적 관여도 금지되었다.[76] 1598년의 인도적 관여 금지는 바테렌 추방령으로 일본 국내법이 노예 무역을 불법으로 한 것도 영향을 주었다.[77] 루이스 데 세르케이라(ルイス・デ・セルケイラ) 주교는 스페인·포르투갈 왕에게 일본인과 조선인의 기간적 예속 폐지를 압박했지만,[85] 포르투갈 상인의 일본인 노예 무역은 멈추지 않고 증가했다.[87][52]
일본 예수회에는 노예 무역 중지에 필요한 권위와 권력이 부족하다고 순찰사 발리냐노(ヴァリニャーノ)는 반복해서 주장했다.[93] 선교사들은 질책이나 권고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기 때문에, 교회법이 허용하는 현지의 사회역학에 따르는 길을 찾았다. 노예제와 동등한 일본적 예속, 노예제와는 다르지만 허용할 수 있는 상태, 허용할 수 없는 상태의 3가지 노동 형태를 구별하는[95] 것으로, 선교사들은 현지 관습을 묵인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99]
선교사들은 년공인 (또는 기한 노예)의 세례도 행했다. 노예 소유자는 취득 후 6개월 후에 세례를 받게 할 의무가 있었지만, 10세 이상은 세례를 거부할 수 있었다. 세례는 사회적 포용의 한 형태이며, 세례를 받으면 포르투갈 왕실과 교회법의 관할에 복종하고 보호받을 수 있었다.[103][104]
덴쇼 15년 6월 19일 추방령1587년 7월 25일(덴쇼 15년 6월 19일)에 발표된 두 번째 포고령은 5개 조항으로, 기독교를 '사법(邪法)'으로 규정하고 선교사에게 20일 내에 일본을 떠날 것을 명했다. 그러나 흑선(포르투갈 상선)과의 무역은 계속 허용하고, 일반인의 신앙 자유는 어느 정도 인정했다.[125]
조항 | 내용 |
---|---|
1 | 일본은 신국(神國)인데, 기리시탄(그리스도교) 국가로부터 사술(邪法)을 받는 것은 매우 불가하다. |
2 | 기리시탄 국가 사람들을 가까이하여 문도(門徒)로 삼고, 신사(神社)와 불각(佛閣)을 파괴하는 것은 전대미문의 일이다. 국(國)과 군(郡)의 지행(知行)은 당좌(當座)의 일이다. 천하(天下)의 법도(法度)를 지키는 것이 마땅한데, 아랫사람들이 함부로 곡사(曲事)를 저지른다. |
3 | 바테렌(伴天連, 선교사)이 지혜와 법을 이용해 다나(檀那, 불교 신자)를 얻으려 하면 불법(佛法)을 파괴하는 일이 일어날 것이다. 그러므로 바테렌은 일본 땅에 두어서는 안 된다. 오늘부터 20일 이내에 준비하여 귀국하라. 그 사이에 아랫사람이 바테렌에게 부당한 일을 신고하면 곡사(曲事)로 간주한다. |
4 | 흑선(黑船, 포르투갈 상선)은 상업(商業)에 관한 일이므로 별개이다. 연월(年月)을 경과하여 매매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5 | 지금 이후로 불법을 방해하지 않는 자는 상인이 아니더라도 기리시탄 국가와 왕래하는 것을 허락할 것이니, 이를 잘 알도록 하라. |
추방령에는 전날의 '각서'에 있던 노예, 인신매매 언급이 사라졌는데, 이는 가스파르 코엘료의 반론으로 수정했을 가능성이 있다. 다카야마 우콘 같은 유력 기리시탄 다이묘의 저항이 추방령 발포에 영향을 주었다는 설도 있다.[122]
이 추방령은 신국사상과 황국사관의 종교적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천황이나 신사의 권위를 직접 빌리지 않고, 불교 측 시각에서 세야쿠인 젠슈가 초안을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123]
1587년 7월 13일,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세 신궁에 주인장(朱印状)을 봉납하며, 바테렌 추방이 '신려대감응(神慮大感應)'에 대한 감사이며, 신불(神佛) 공동의 종교탄압이었다는 견해도 있다.[123]
4. 1. 덴쇼 15년 6월 18일 각서
天正十五年六月十八日付覚일본어로 알려진 히데요시의 문서는 5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79]# 기독교 신앙은 개인의 자유로운 판단에 따라야 한다. 영주가 자기 영토의 사찰과 농민들의 의사와 상관없이 기독교로 개종을 강요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 영주는 일시적인 통치자이므로, 영주가 바뀌어도 농민은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영주가 잘못된 명령을 내리면 따를 필요가 없다.
# 3천 칸 이상의 영지와 200개 이상의 마을을 가진 영주는 히데요시의 허락을 받으면 기독교 신앙을 가질 수 있다. 그보다 적은 영지를 가진 영주는 팔종·구종(八宗九派)과 같이 개인의 의사에 맡길 수 있다.
# 이코슈(一向宗)가 기독교보다 위험할 수 있다는 말을 들었지만, 이코슈는 영내에 사찰 영역(寺内町)을 설치하여 영주에게 연간 공물을 바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가 국(加賀国) 전체를 이코슈로 만들려고 한다. 토가시 씨(戸賀氏) 영주는 폐번(廃藩)되었고, 이코슈 승려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 혼간지(本願寺) 승려들은 덴마(天馬) 땅에 사찰(덴마 혼간지)을 세우는 것을 허락받았지만, 이런 식의 이코슈 사찰 영역은 결코 허용된 적이 없다.
# 영주가 자기 봉신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것은 혼간지가 사찰 영역을 설치하는 것보다 더 불가능하며, 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자는 처벌받을 수 있다.
# 팔종·구종의 경우처럼, 영주 등이 아닌 하급 신분의 사람이 기독교를 믿는 것은 자유이다.
# 일본인을 중국(대당(大唐)), 남만(南蠻), 그리고 한반도에 팔아넘기는 것은 불합리하므로 일본에서는 인신매매를 금지한다.
# 소와 말을 사고팔고, 도살하여 먹는 것도 수치스러운 일이다.
히데요시는 선교사들을 해치는 자들을 처벌할 것이라고 말하며, 기독교로의 강제 개종은 금지하지만 백성은 자발적으로 기독교를 믿을 자유가 있고, 영주는 히데요시의 허락을 받으면 신자가 될 수 있다고 하여 사실상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다. 이 직후 히데요시는 예수회로부터 나가사키를 빼앗아 천령(天領)으로 만들었다.[180]
1587년 6월 18일(바테렌 추방령 전날) 11개조의 「각서」는 선교사의 노예 무역을 비판하고 있다. 선교사가 조선반도에 일본인을 팔았다고 비난하고 있지만,[61] 조선반도와의 무역은 대마도 소 씨(宗氏)의 독점 상태였으며, 선교사가 처음으로 조선반도를 방문한 것은 1593년이므로 신빙성이 낮다.
11개조의 「각서」에 있는 선교사의 노예 무역 비난에 대해, 역사학자 오카모토 요시토모(岡本良知)는 1555년을 포르투갈 상인이 일본에서 노예를 매매한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최초의 기록으로 보고, 이것이 예수회의 항의로 이어져 1571년 세바스티앙 1세 (포르투갈 왕)(セバスティアン1世)의 일본인 노예 무역 금지 칙허로 이어졌다고 했다. 오카모토는 예수회가 그때까지 노예 무역을 폐지하기 위해 성공하지 못했지만, 모든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책임을 면한다고 주장한다.[9]
16세기에서 17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이베리아 동군연합의 제2대 통치자인 포르투갈 국왕 필리페 2세(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フェリペ3世))는 예수회의 요청에 따라 1571년의 칙허를 재제정하여 일본인 노예 무역을 중단하려고 했지만, 그의 정책은 포르투갈 제국의 지방 엘리트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고, 긴 협상 끝에 예수회의 로비 활동은 실패로 끝났다.[62]
일본에서의 포르투갈의 노예 무역을 문제시했던 선교사는 포르투갈 상인의 노예 구매를 막기 위한 필요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에서 널리 행해지던 영대인신매매를 다시 년공인( )로 하도록 노력이 행해졌다.[74][68] 일부 선교사는 인도적인 관점에서 예속 연수를 정한 단기 소유자 증명서(schedulae)[73]에 서명하여, 더 큰 악인 기간의 정함이 없는 노예의 구매를 막고 일본인의 대우가 영대인신매매에서 년공으로 바뀌도록 개입했다고 알려져 있다.[74][75] 마테우스 데 쿠우로스(マテウス・デ・クウロス) 등의 선교사들에 의해, 인도적 개입이라 해도 관여 자체가 잘못이었다는 비판이 행해지고, 1598년 이후, 선교사의 인도적인 관여에 대해서도 금지되었다.[76] 1598년의 인도적 관여 금지 결정에 대해서는 바테렌 추방령에 의해 일본의 국내법이 노예 무역을 불법으로 한 것도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77] 선교사의 인도적 개입이 끝나는 1598년 이후, 새로 취임한 주교 루이스 데 세르케이라(ルイス・デ・セルケイラ)는 스페인·포르투갈 왕에게 일본인과 조선인의 기간적 예속을 폐지하도록 압력을 가하게 되지만,[85] 포르투갈 상인에 의한 일본인 노예의 무역은 멈추기는커녕 증가했다.[87][52]
일본의 예수회에는 노예 무역 중지에 불가결한 권위와 권력이 부족하고 있다는 것을 순찰사 발리냐노(ヴァリニャーノ)는 반복해서 주장하고 있었다.[93] 선교사들은 질책이나 권고에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교회법이 허용하는 현지의 사회역학에 따르는 길을 찾게 되었다. 노예제와 동등한 일본적 예속, 노예제와는 다르지만 허용할 수 있는 상태, 허용할 수 없는 상태의 3가지 노동 형태를 구별하는[95] 것으로, 선교사들은 현지의 관습에 따르는 것을 묵인하게 되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99]
선교사들은 년공인 (또는 기한 노예)의 세례도 행하는 경우가 있었다. 노예 소유자는 취득 후 6개월 후에 세례를 받게 할 의무가 있었지만, 10세 이상의 노예(년공인을 포함)는 세례를 거부할 수 있었다. 세례는 사회적 포용의 한 형태이며, 세례를 받음으로써 포르투갈 왕실과 교회법의 관할에 복종하고 보호를 받을 수 있었다.[103][104]
4. 2. 덴쇼 15년 6월 19일 추방령
덴쇼 15년 6월 19일(1587년 7월 25일)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바테렌 추방령의 두 번째 포고령을 발표했다. 이 포고령은 5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24]조항 | 내용 |
---|---|
1 | 일본은 신국(神國)인데, 기리시탄(그리스도교) 국가로부터 사술(邪法)을 받는 것은 매우 불가한 일이다. |
2 | 그 나라(기리시탄 국가) 사람들을 가까이하여 문도(門徒)로 삼고, 신사(神社)와 불각(佛閣)을 파괴하는 등 전대미문의 일이 일어났다. 국(國)과 군(郡)의 지행(知行) 등을 사람들에게 내린 것은 당좌(當座)의 일이다. 천하(天下)의 법도(法度)를 지키는 것이 마땅한데, 아랫사람들이 함부로 곡사(曲事)를 저지른다. |
3 | 바테렌(伴天連, 선교사)이 그 지혜와 법을 이용하여 차례차례로 다나(檀那, 불교 신자)를 얻으려 한다면, 위와 같이 불법(佛法)을 파괴하는 일이 일어날 것이다. 그러므로 바테렌은 일본 땅에 두어서는 안 된다. 오늘부터 20일 이내에 준비를 하여 귀국하도록 하라. 그 사이에 아랫사람이 바테렌에게 부당한 일을 신고하는 자가 있으면, 곡사(曲事)로 간주할 것이다. |
4 | 흑선(黑船, 포르투갈 상선)의 일은 상업(商業)에 관한 일이므로 별개의 문제이다. 연월(年月)을 경과하여 여러 가지 매매를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5 | 지금 이후로 불법을 방해하지 않는 자는 상인이 아니더라도 기리시탄 국가와 왕래하는 것을 허락할 것이니, 이를 잘 알도록 하라. |
이 추방령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기독교를 '사법(邪法)'으로 규정하고, 선교사들에게 20일 내에 일본을 떠날 것을 명했다. 그러나 흑선(포르투갈 상선)과의 무역은 계속 허용하고, 일반인의 신앙의 자유는 어느 정도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125]
추방령에는 전날의 '각서'에 있던 노예, 인신매매에 대한 언급이 사라졌는데, 이는 가스파르 코엘료의 반론으로 수정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다카야마 우콘과 같은 유력 기리시탄 다이묘의 저항이 추방령 발포에 영향을 주었다는 설도 있다.[122]
이 추방령은 신국사상과 황국사관의 종교적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천황이나 신사의 권위를 직접적으로 빌리지 않고, 불교 측의 시각에서 세야쿠인 젠슈가 초안을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123]
추방령 발표 약 한 달 후인 1587년 7월 13일,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세 신궁에 주인장(朱印状)을 봉납하며, 바테렌 추방이 '신려대감응(神慮大感應)'에 대한 감사이며, 신불(神佛) 공동의 종교탄압이었다는 견해도 있다.[123]
5. 영향
바테렌 추방령은 일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독교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5. 1. 기독교 탄압과 쇄국 정책의 시작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에 따른 1614년 기독교 금지령 이후 일본에서 기독교는 실질적으로 금지되었다.[154] 임제종 승려 이심숭전이 작성한 「반텐렌 추방지문(伴天連追放之文)」은 기독교를 신도, 유교, 불교의 삼교 통합에 대한 적으로 규정하고, 기독교 금지의 신학적 정당성을 제시했다.[155][156][157]도쿠가와 히데타다는 1616년 「이항 제한령」, 1619년 다시 금교령을 내려 기독교 종교 탄압과 기독교도에 대한 불교로의 강제 개종을 시행했다. 1619년 교토 록조가와라에서 52명이 처형되었고(교토의 대순교), 1622년에는 나가사키 니시자카에서 총 55명이 처형되었다(겐나의 대순교).[159]
시마바라의 난 이후, 1640년 막부는 종문개역을 설치하고, 사찰소속제도(단가 제도)를 통해 종교 탄압을 강화했다. 이는 신장제 금지 등 신앙의 자유를 제한하고, 일련종불수불시파 등에도 탄압을 가했다.
6. 관련 자료 및 논쟁
서구 역사학자들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반(反)기독교 외교 정책이 전통적인 사회 질서를 따르지 않는 반체제 사상으로 간주되었던 기독교로부터 히데요시의 독재 정권을 보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고 주장한다.[23] 스페인 역사학자 호세 에우헤니오 보라오 마테오는 스페인령 필리핀의 스페인인들이 바테렌 추방령을 히데요시의 필리핀 침략 작전의 전조로 이해하고, 스페인인들이 일본의 침략에 대비하고 있었던 것을 스페인 측 자료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107][109] 브릴(출판사)의 일본 기독교사 핸드북도 1587년의 바테렌 추방령부터 1592년 하라다 키우에몬의 필리핀 항복 권고(필리핀 침략 계획), 1596년 바테렌 추방령 갱신을 일련의 흐름으로 기술하고 있다.[162]
1587년 일본에서 온 두 척의 배가 필리핀에 당도했지만, 바테렌 추방령의 적대적인 외교 정책과 일치하지 않아 스페인은 일본의 침략에 대비하게 되었다.[107] 1589년에는 순례자를 자칭하는 일본인 집단이 마닐라 주변을 정찰, 바테렌 추방령을 계기로 한 팽창 정책의 시작이라고 스페인 측은 기록하고 있다.[109] 1591년 하라다 마고시치로가 필리핀 정복 현지 조사를 실시, 침략을 경계하는 스페인과 일본의 상호 불신이 강해졌다.[161]
가장 오래된 일본인의 필리핀 침략 우려 기록은 1586년 평의회 기록이다. 마닐라에서는 왜구가 단순 약탈 이상의 야심을 가지고, "거의 매년 당도하여 루손을 식민지로 만들려고 한다"[105]고 경종을 울렸다.
1592년 6월, 조선 병합 기세일 때 모리가 및 나베시마가 문헌에 따르면, 히데요시는 필리핀뿐만 아니라 "처녀와 같은 대명국을 주벌(誅伐)해야 하는 것은 산의 알을 압도하는 것과 같아야 한다. 다만 대명국뿐만 아니라, 하물며 인도, 남만(동남아시아, 포르투갈, 스페인, 유럽 등)에 대한 침략 계획"을 명확히 했다.[5][163] 히데요시는 선구자들에게 인도 영지를 주고 자유롭게 땅을 획득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164]
1592년 하라다 키우에몬이 마닐라에 당도, 히데요시 친서를 총독에게 전달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필리핀에 항복과 조공을 요구했지만, 필리핀 총독 고메스 페레스 다스마리냐스는 1592년 5월 1일 답장을 보냈고, 도미니코회 수도사 후안 코보가 히데요시에게 전달했다. 코보는 중국인 기독교도 안토니오 로페스와 함께 일본에 왔지만, 조선 침략을 위해 규슈에 건설된 나고야성에서 히데요시를 만났다. 하라다 키우에몬은 이후 제2차 일본 사절단을 개인적으로 담당, 안토니오 로페스는 하라다의 배로 무사히 마닐라에 도착했다.[165]
1593년 6월 1일, 로페스는 일본에서 보고 들은 것에 대해 선서 후 질문을 받았는데, 대부분 일본의 필리핀 공격 계획에 대한 것이었다. 로페스는 히데요시가 하라다 키우에몬에게 정복을 맡겼다고 들었다고 말했다.[166]
로페스는 일본인에게 필리핀 군사력 심문을 받았다고도 말한다. 안토니오 로페스가 필리핀에 4, 5천 명의 스페인인이 있다고 하자 일본인들은 조롱했다. 그들은 섬 방어는 농담이며 100명의 일본인은 2, 300명의 스페인인과 같다고 말했다.[168] 로페스가 만난 사람들은 필리핀 정복 후 하라다 키우에몬이 총독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169]
침략군 규모에 대해 로페스는 하세가와 소진 지휘 아래 10만 명이 파견된다고 들었지만, 로페스가 필리핀에 5, 6천 명 병사밖에 없고 마닐라 경비는 3, 4천 명 이상이라 하자 일본인들은 1만 명으로 충분하다고 말했다. 또한 10척 대형선으로 수송할 병사는 5, 6천 명 이하로 결정했다 알렸다.[170] 로페스는 침략군이 류큐 제도를 경유할 것이라 말했다.[171]
1596년 산펠리페호 사건으로 바테렌 추방령이 갱신되었다.[162] 1597년 2월 처형된 26성인 중 한 명인 마르틴 데 라 아센시온은 필리핀 총독에게 보낸 서한에서 처형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필리핀 침략 계획을 적고 있다. "(히데요시는) 올해는 조선인 때문에 바빠 루손섬에 갈 수 없지만 내년에는 간다"고 했다.[172][173] 마르티노는 "류큐와 타이완을 점령하고 카가얀에 군대를 투입, 마닐라에 쳐들어갈 생각이다"라고 침공 경로를 말했다.[172][173] 바테렌 추방령 갱신으로 스페인령 필리핀에서는 히데요시의 필리핀 침략 우려가 재점화되었다.[174]
1630년 마쓰쿠라 시게마사에 의해 필리핀 침략 계획이, 1637년 아들 마쓰쿠라 카츠이에 대에서도 검토되었다.[175] 미국 해군대학교 리뷰는 "그 후 5년간 필리핀 원정은 고려되지 않았지만, 일본 박해를 피해 온 기독교 난민이 마닐라에 계속 도착하고 일본으로 신부 역류가 계속되었다. 마쓰쿠라 시게마사 아들 마쓰쿠라 카츠이에는 아버지 못지않은 폭군이자 기독교 적이었지만, 카츠이에가 시마바라 다이묘 재임 중 마지막 필리핀 침략 시도에 직면한다"라고 한다.[175]
네덜란드인들은 1637년 필리핀 침략 계획 발안자는 도쿠가와 이에미쓰라 확신했지만,[176] 실제로는 장군이 아닌 사카키바라 요리나오와 바바 토시시게였다. 원정군은 마쓰쿠라 카츠이에 등 다이묘가 장군 대리로 공급해야 했지만, 마쓰쿠라 시게마사 계획의 2배인 1만 명 규모 원정군이 예상되었다.[177] 필리핀 정복 사령관은 마쓰쿠라 카츠이에가 유력했지만, 시마바라의 난으로 계획은 치명타를 받았다.[178]
시마바라의 난 후, 장군 도쿠가와 이에미쓰 자문 기관은 하라성 탈환 노력과 수백 마일을 이동, 마닐라 요새에 대항할 동일 규모 군대와 해군 지원 계획을 비교 검토했다. 필리핀 침공 준비 1만 명 병력은 10만 명, 즉 3분의 1 반란군을 물리치기 위해 하라성에 투입해야 했던 병력이어야 한다는 분석이 이루어졌다.[178]
6. 1. 주요 사료
- 『天正十五年六月十八日付覚』|덴쇼 15년 6월 18일자 각서일본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바테렌 추방령을 발령하기 전날인 1587년(덴쇼 15년) 6월 18일에 작성된 문서이다. 이 문서에는 추방령의 주요 내용이 담겨 있는데, 특히 선교사들이 일본인을 노예로 팔았다는 비난이 포함되어 있다.[61]
- 『吉利支丹伴天連追放令』|기리시탄 바테렌 추방령일본어: 1587년(덴쇼 15년) 6월 19일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발령한 선교사 추방령이다. 이 문서에서 히데요시는 일본을 신국으로 선포하고, 기독교를 邪法으로 규정하며 선교사들에게 20일 내에 일본을 떠날 것을 명했다.
- 『九州御動座記』|규슈어동좌기일본어: 1587년 7월경 오토기슈의 오무라 유키가 기록한 문서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당시 상황을 담고 있다. 이 문서에는 포르투갈인들이 소나 말을 산 채로 가죽을 벗겨 먹었다는 기록과 포르투갈의 노예 무역에 관한 기록이 있다.
- 루이스 프로이스의 『日本史』|일본사일본어: 예수회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가 저술한 일본 역사서이다. 이 책에는 바테렌 추방령 전후의 상황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기독교 정책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6. 2. 논쟁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바테렌 추방령을 내린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종교적 원인:
- 기독교 확산에 대한 우려: 오다 노부나가를 괴롭혔던 일향일揆와 달리, 기독교는 다이묘 계층까지 확산되어 있었다. 히데요시는 기독교도들이 봉기할 경우 심각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127]
- 신도 및 불교와의 갈등: 규슈 지역에서는 기독교로 강제 개종하거나 신사 및 불각을 파괴하는 등의 행위가 있었다. 히데요시는 세야쿠인 젠슈 등으로부터 이러한 사실을 전해 듣고, 불교 세력의 반발을 고려하여 추방령을 내렸다는 설이 있다.
- 정치적 원인:
- 예수회의 영향력 견제: 당시 일본 예수회 준관구장이었던 가스파르 코엘료가 스페인 함대를 자신의 지휘하에 있는 것처럼 과시한 사건이 있었다.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는 코엘료의 경솔한 행동을 비난했지만, 히데요시는 예수회의 정치적 영향력을 경계하게 되었다.[127]
- 중앙 집권 강화: 추방령은 다이묘들의 기독교 신앙을 통제하고 중앙 정부의 권위를 강화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 경제적 원인:
- 일본인 노예 무역 문제: 추방령에는 일본인이 남만으로 팔려 가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이 있다. 히데요시는 규슈를 중심으로 노예 무역이 행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코엘료를 추궁했으며, 추방령을 통해 이를 근절하고자 했다. 그러나 노예 무역 금지가 주된 목적은 아니었으며, 명나라 정복 시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는 견해도 있다.[128]
- 무역 통제: 히데요시는 포르투갈과의 무역을 통제하고, 하카타 등 다른 항구로 무역 거점을 확대하려 했다. 그러나 포르투갈 측이 "하카타만은 수심이 얕다"는 이유로 거절하자, 이에 대한 불만으로 추방령을 내렸다는 설도 있다.
- 외교적 원인:
- 스페인의 침략 우려: 필리핀에서는 왜구의 습격이 있었고, 히데요시의 통일 정권이 필리핀을 침략할 가능성을 우려했다.[105] 바테렌 추방령은 이러한 침략 계획의 발단으로 간주되기도 한다.[107][109]
- 대외 팽창 정책: 히데요시는 명나라 침략을 계획하고 있었고, 이를 위해 포르투갈로부터 군함 2척을 구입하려 했다.[5][6][7] 추방령은 이러한 대외 팽창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기타:
- 개인적인 감정: 히데요시가 아리마의 여성을 데려오라고 명령했을 때, 여성들이 키리시탄이라는 이유로 거부하자 히데요시가 격노하여 추방령을 내렸다는 설도 있다.
이처럼 바테렌 추방령은 종교, 정치, 경제, 외교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다.
7. 현대적 의의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논문
Toyotomi Hideyoshi and the 1587 Edicts Against Christianity
https://www.jstor.or[...]
1973
[2]
서적
The Tokugawa Taikun Diplomacy and Korea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UK
2022-07-04
[3]
논문
The Conversion of Hideyoshi's Daughter Gō
https://nirc.nanzan-[...]
2007
[4]
서적
The Spanish Lake (His the Pacific Since Magellan)
Univ of Minnesota Pr
1979-06-01
[5]
서적
天下一統
小学館
1993
[6]
문서
(정보 부족)
1925
[7]
문서
(정보 부족)
1922
[8]
논문
Slavery in Medieval Japan
https://www.jstor.or[...]
Sophia University
2024-03-14
[9]
서적
Jūroku Seiki Nichiō Kōtsūshi no Kenkyū
Kōbunsō
1936
[10]
논문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https://tufs.repo.ni[...]
東京外国語大学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18
[11]
논문
O Cristianismo no Japão e o Episcopado de D. Luís Cerqueira
Universidade Nova de Lisboa
1998
[12]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13]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14]
서적
The Christian century in Japan, 1549-1650
Carcanet in association with the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The Discoveries Commission, Lisbon, the Fundação Oriente, Lisbon
1993
[15]
간행물
娯楽業者の群 : 社会研究
実業之日本社
1923
[16]
논문
'White women degrading themselves to the lowest depths': European networks of prostitution and colonial anxieties in British India and Ceylon ca. 1880–1914
2003
[17]
서적
Sandakan Brothel No.8: Journey into the History of Lower-class Japanese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18]
서적
日本キリスト教史
1990
[19]
논문
秀吉・家康の神国観とその系譜 : 慶長十八年「伴天連追放之文」を手がかりとして
https://doi.org/10.2[...]
史学会
1992
[20]
서적
日本の近世〈第1巻〉世界史のなかの近世
中央公論新社
1991-07
[21]
서적
日本キリスト教史
1990
[22]
서적
Handbook of Christianity in Japan
(정보 부족)
[23]
서적
The Western world and Japan
CHaddon Craftsmen, Inc
1965
[24]
서적
The Atlantic World and Virginia, 1550-1624
UNC Press Books
2007
[25]
서적
Tratado das Coisas da China (Évora, 1569-1570)
Biblioteca editores Independentes
2010
[26]
논문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https://www.academia[...]
Tesis Doctoral,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17
[27]
논문
千利休切腹の原因およびその後の千利休の死をめぐる言説に関する研究
https://stars.repo.n[...]
桃山学院大学
2024-08-28
[28]
논문
Human Trafficking and Piracy in Early Modern East Asia: Maritime Challenges to the Ming Dynasty Economy, 1370–1565
2023
[29]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30]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31]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32]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33]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34]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35]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36]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37]
서적
Tenshō Ken’ō Shisetsu
Chōbunsha
1991
[38]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39]
서적
Fidalgos in the Far East (1550-1771)
Martinus Nijhoff
1948
[40]
서적
Jinshin Baibai
Iwanami Shinsho
1971
[41]
서적
Zōhyōtachi no Senjō: Chūsei no Yōhei to Doreigari
Asahi Shinbunsha
1995
[42]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43]
서적
Jinshin Baibai
Iwanami Shinsho
1971
[44]
서적
Zōhyōtachi no Senjō: Chūsei no Yōhei to Doreigari
Asahi Shinbunsha
1995
[45]
논문
Slavery in Medieval Japan
2004
[46]
서적
The Portuguese Slave Trade in Early Modern Japan
Brill
2019
[47]
웹사이트
Lúcio de Sousa, The Portuguese Slave Trade in Early Modern Japan. Merchants, Jesuits and Japanese, Chinese, and Korean Slaves
http://journals.open[...]
2021-05-10
[48]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49]
서적
European Slave Trading in Asia, 1500–1850
Ohio University Press
2014
[50]
논문
Beyond Maritime Asia. Ideology, Historiography, and Prospects for a Global History of Slaving in Early-Modern Asia
De Gruyter
2022
[51]
논문
2021
[52]
논문
Suspicion and Repression: Ming China, Tokugawa Japan, and the End of the Japanese-European Slave Trade (1614–1635)
De Gruyter
2022
[53]
논문
Human Trafficking and Piracy in Early Modern East Asia: Maritime Challenges to the Ming Dynasty Economy, 1370–1565
2023
[54]
논문
The Portuguese Slave Trade in Early Modern Japan: Merchants, Jesuits and Japanese, Chinese, and Korean Slaves
2020
[55]
서적
キリシタン・バテレン
至文堂
1955
[56]
서적
イエズス会年報集
同朋舎
1987
[57]
서적
一六・七世紀イエズス会日本報告集
同朋舎
1987
[58]
서적
日本史-キリシタン伝来のころ
平凡社
1963
[59]
서적
完訳フロイス 日本史
中央公論新社
2000
[60]
서적
太閤の手紙
文藝春秋新社
1959
[61]
문서
高麗江日本仁を売遣侯事曲事
1587-06-18
[62]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63]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64]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65]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66]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67]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2017
[68]
서적
Orígenes de la Iglesia Catolica Coreana desde 1566 hasta 1784 según documentos inéditos de la época
Institutum Historicum S.I.
1986
[69]
논문
江戸時代の奉公人制度と日本的雇用慣行
2011-03-31
[70]
논문
江戸時代の奉公人制度と日本的雇用慣行
2011-03-31
[71]
논문
境界を超える女性たちと近代 : 海外日本人娼婦の表象を中心として
https://doi.org/10.1[...]
一橋大学
[72]
서적
徳川時代に於ける人売及人質契約
岩波書店
[73]
서적
Servitutem Levem et Modici Temporis Esse Arbitrantes: Jesuit Schedulae & Japanese Limited-Term Servitude in Gomes Vaz’s De mancipiis Indicis
BPJS
[74]
간행물
Jesuit Arguments for Voluntary Slavery in Japan and Brazil
2019-01-01
[75]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76]
서적
Histoire de la religion chrétienne au Japon – Seconde Partie, Annexes
Charles Douniol
[77]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78]
서적
Kirishitan to Tōitsu Seiken
Iwanami Shoten
[79]
Doctoral Dissertation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80]
서적
Fr. Jerónimo de Jesús: Restaurador de las Misiones del Japón – sus cartas y relaciones (1595-1604)
Collegii S. Bonaventurae
[81]
서적
Jūroku Seiki Nichiō Kōtsūshi no Kenkyū
Kōbunsō
[82]
서적
Chūsei no Shōen to Shakai
Yoshikawa Kōbunkan
[83]
서적
Daikōkai Jidai no Nihonjin Dorei
Chuokoron-Shinsha
[84]
Doctoral Dissertation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85]
Doctoral Dissertation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86]
Doctoral Dissertation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87]
서적
Suspicion and Repression: Ming China, Tokugawa Japan, and the End of the Japanese-European Slave Trade (1614–1635)
De Gruyter
[88]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89]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90]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91]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92]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93]
간행물
Geninka and Slavery: Jesuit Casuistry and Tokugawa Legislation on Japanese Bondage (1590s–1620s)
[94]
간행물
Geninka and Slavery: Jesuit Casuistry and Tokugawa Legislation on Japanese Bondage (1590s–1620s)
[95]
간행물
Geninka and Slavery: Jesuit Casuistry and Tokugawa Legislation on Japanese Bondage (1590s–1620s)
[96]
간행물
Geninka and Slavery: Jesuit Casuistry and Tokugawa Legislation on Japanese Bondage (1590s–1620s)
[97]
간행물
Geninka and Slavery: Jesuit Casuistry and Tokugawa Legislation on Japanese Bondage (1590s–1620s)
[98]
간행물
Geninka and Slavery: Jesuit Casuistry and Tokugawa Legislation on Japanese Bondage (1590s–1620s)
[99]
간행물
Geninka and Slavery: Jesuit Casuistry and Tokugawa Legislation on Japanese Bondage (1590s–1620s)
[100]
기록보관소
Archivo de la Provincia del Santo Rosário
[101]
간행물
Geninka and Slavery: Jesuit Casuistry and Tokugawa Legislation on Japanese Bondage (1590s–1620s)
[102]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103]
서적
Legislação sobre escravos africanos na América portuguesa
Fundación Histórica Tavera/Digibis/Fundación Hernando de Larramendi
[104]
Doctoral Dissertation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105]
서적
Memorial to the Council, 1586
[106]
서적
Visiones de un mundo diferente: Política, literatura de avisos y arte namban
Centro Europeo para la Difusión de las Ciencias Sociales
[107]
간행물
La colonia de japoneses en Manila en el marco de las relaciones de Filipinas y Japón en los siglos XVI y XVII
[108]
간행물
Never Imagine Yourself to be Otherwise: Filipino Image of Japan over the Centuries
[109]
간행물
La colonia de japoneses en Manila en el marco de las relaciones de Filipinas y Japón en los siglos XVI y XVII
[110]
간행물
Never Imagine Yourself to be Otherwise: Filipino Image of Japan over the Centuries
[111]
서적
The Grand Strategy of Philip II
Yale University Press
[112]
서적
Cartas que os Padres e Irmaos da Companhia da Iesus, que andao nos Reynos de lapao escreverao aos da mesma Companhia da India, e Europa, desde anno de 1549 ate 1580. Primeiro Tomo
Evora
[113]
서적
長崎を開いた人―コスメ・デ・トルレスの生涯
中央出版社
[114]
서적
アルメイダ、1564年10月14日付豊後発信書
Cartas que os Padres e Irmaos da Companhia da Iesus, que andao nos Reynos de lapao escreverao aos da mesma Companhia da India, e Europa, desde anno de 1549 ate 1580. Primeiro Tomo
[115]
간행물
Between Kyúshú and the Kinai
[116]
간행물
高山右近領の山間部におけるキリシタン――布教・司牧上の一考察
キリシタン文化研究会
[117]
서적
Cartas que os Padres e Irmaos da Companhia da Iesus, que andao nos Reynos de lapao escreverao aos da mesma Companhia da India, e Europa, desde anno de 1549 ate 1580. Primeiro Tomo
Evora
[118]
서적
Sumario des las Cosas de Japon(1583). Adiciones de l sumario de Japon (1592)
Tokyo
[119]
간행물
日本イエズス会第一回協議会(1580-81)と東インド巡察師ヴァリニャーノの裁決(1582)
吉川弘文館
[120]
문서
御朱印師職古格
伊勢神宮神宮文庫
[121]
문서
高瀬(2013年)
[122]
간행물
「キリシタン禁令」の研究
吉川弘文館
[123]
간행물
天皇を中心とする日本の「神の国」形成と歴史的体験
教文館
[124]
문서
松浦家文書
松浦史料博物館
[125]
웹사이트
太平洋の覇権(3) 日本の「鎖国」
http://www.mclaw.jp/[...]
2011-04-04
[126]
간행물
曲直瀬一溪道三の入信問題に就て
[127]
서적
キリシタン宣教師の軍事計画
岩波書店
[128]
서적
天下人の一級史料―秀吉文書の真実―
柏書房
[129]
서적
Monumenta Nipponica (Slavery in Medieval Japan)
Sophia University
[130]
서적
Monumenta Nipponica: Studies on Japanese Culture, Past and Present, Volume 59, Issues 3-4
https://books.google[...]
Sophia University
2014-02-02
[131]
서적
天正遣欧使節記
雄松堂書店
[132]
서적
Tenshō Ken’ō Shisetsu
Chōbunsha
[133]
서적
Jesuits 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Early Modern Japan
[134]
서적
日本売春史
[135]
서적
海を越えた艶ごと一日中文化交流秘史
新説社
[136]
서적
新訂丸山遊女と唐紅毛人
長崎文献社
[137]
간행물
'White women degrading themselves to the lowest depths': European networks of prostitution and colonial anxieties in British India and Ceylon ca. 1880–1914
[138]
간행물
伴天連追放令に関する一考察
[139]
간행물
豊臣秀吉政権の神国宣言
[140]
간행물
Lessons Learned from Pedro de Gante
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Spanish and Portuguese
[141]
간행물
Franciscan Spirituality and Mission in New Spain, 1524–1599: Conflict Beneath the Sycamore Tree (Luke 19:1–10) by Steven E. Turley (review)
2016-10-01
[142]
서적
Go-Betweens and the Colonization of Brazil : 1500-1600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5-01-01
[143]
서적
The lost paradise: the Jesuit Republic in South America
Seabury Press
1976-01-01
[144]
웹사이트
Bartolome de Las Casas | Biography, Quotes, & Significance
2017-11-03
[145]
서적
Sources of Japanese Tradition, vol. 2, 1600 to 2000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01-01
[146]
웹사이트
Sources of Japanese Tradition: 1600 to 2000
Columbia University Press
[147]
서적
The Christian Century in Japan: 1549-1650
Carcanet Press Ltd.
1951-01-01
[148]
서적
Hideyoshi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01-01
[149]
서적
The Christian Century in Japan: 1549–165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1-01-01
[150]
서적
The Spanish Lake
2000-01-01
[151]
서적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
[152]
Harvnb
[153]
Citation
異国往復書翰集. [[異国日記|増訂異国日記抄]]
雄松堂出版
2005-01-01
[154]
간행물
The English and the Control of Christianity in the Early Edo Period
2012-01-01
[155]
간행물
Misdirected Understandings: Narrative Matrices in the Japanese Politics of Alterity Toward the West
2003-01-01
[156]
서적
キリシタン[[南蛮文学]]入門
教文館
1991-01-01
[157]
간행물
日本及び中国におけるイエズス会の布教方策 : ヴァリニャーノの「適応主義」をめぐって
2005-03-01
[158]
서적
クロニック 戦国全史
講談社
1995-01-01
[159]
서적
Vie du B.Charles Spinola et notice sur les autres martyrs du Japon
H. Goemaere
1868-01-01
[160]
서적
吉利支丹御退治物語
東京堂出版
1639-01-01
[161]
간행물
Never Imagine Yourself to be Otherwise: Filipino Image of Japan over the Centuries
1991-01-01
[162]
서적
Handbook of Christianity in Japan
[163]
Harvnb
[164]
Harvnb
[165]
간행물
Japanese Trade and Residence in the Philippines
1914-01-01
[166]
서적
statement incorporated in report by Governor Gómez Pérez Dasmariñas to the king of Spain on the second embassy to Japan, April–May 1593
1593-05-01
[167]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168]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169]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170]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171]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172]
서적
to Doctor Morga, 28 January 1597
1597-01-28
[173]
간행물
Wars and Rumours of Wars: Japanese Plans to Invade the Philippines, 1593–1637
2016-01-01
[174]
서적
Visiones de un Mundo Diferente Política, literatura de avisos y arte namban
Centro Europeo para la Difusión de las Ciencias Sociales
[175]
간행물
Wars and Rumours of Wars: Japanese Plans to Invade the Philippines, 1593–1637
2016-01-01
[176]
서적
Nihon Rekishi Sōsho, vol. 39, Kanei Jidai
Yoshikawa Kobunkan
[177]
서적
The Company and the Shogun: The Dutch Encounter with Tokugawa Japan
Columbia Univ. Press
[178]
간행물
Wars and Rumours of Wars: Japanese Plans to Invade the Philippines, 1593–1637
[179]
논문
동아시아 국가(일본,중국,한국)의 그리스도교 박해에 대한 비교 연구
[180]
논문
16세기 예수회의 일본선교 연구
[181]
서적
일본사
[182]
서적
일본사
[183]
논문
막부말기 일본 기독교 탄압에 대한 연구
[184]
서적
임진왜란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국립진주박물관
[185]
논문
16세기 예수회의 일본선교 연구
[186]
서적
일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