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고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마고지역은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경원선 철도역이다. 경원선 복원 당시, 민통선 내부에 있는 기존 철원역을 대체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인근 백마고지 전투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2012년 11월 20일에 영업을 시작했다. 지상 1층 규모의 지상역으로, 1면 1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철도중단점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국도, 검문소, 마을회관, 기념탑 등이 위치하며, 안보관광 셔틀버스 코스도 운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원군 (남)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철원군 (남)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역 - 평창역
평창역은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경강선 철도역으로, 2017년 12월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서울 및 강릉 방면 KTX가 운행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역 - 민둥산역
민둥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있는 태백선과 정선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1966년 증산역으로 시작하여 2009년 민둥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정선선의 기점이다. - 2012년 개업한 철도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2012년 개업한 철도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백마고지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백마고지 |
로마자 표기 | Baengmagoji |
한자 표기 | 白馬高地驛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평화로 3591 |
개업일 | 2012년 11월 20일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관리 | 의정부관리역 |
역 등급 | 무배치간이역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1면 1선 |
노선 정보 | |
노선 | 경원선 |
기점 | 용산 기점 94.3 km |
이전 역 | 신탄리 |
이전 역 거리 | 5.6km |
기타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 |
![]() |
2. 연혁
- 2007년 12월: 착공[3]
- 2012년 11월 20일: 영업 개시[3]
- 2014년 4월 14일: 통근열차 11편으로 증편 운행[3]
- 2014년 8월 1일: 평화열차 운행 개시[3]
- 2015년 8월 5일: 경원선 백마고지 ~ 월정리 구간 기공식 개최[3]
- 2016년 6월 17일: 경원선 백마고지 ~ 월정리 구간 공사 중단[3]
- 2018년 7월 1일: 경원선 연천 ~ 백마고지 구간 선로 개량 공사로 인한 운행 일시 중단[3]
- 2018년 12월 2일: 경원선 연천 ~ 백마고지 구간 운행 재개[3]
- 2019년 4월 1일: 경원선 동두천 ~ 연천 전철화 공사로 인한 운행 중단. 일 14회 대체버스 운행.[3]
3. 역 구조
백마고지역은 지상 1층 규모의 지상역으로, 1면 1선의 승강장만 있고 대피선이나 회차 시설은 없다. 승강장 북쪽 끝에는 철도중단점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본선은 승강장을 북쪽으로 조금 벗어난 지점에서 끊긴다. 역 구내에는 대마리 부녀회에서 운영하는 철원군 농특산물 판매장과 간이 식당이 있다.[1]
3. 1. 승강장
4. 역 주변
- 대마사거리: 국도 제3호선과 국도 제87호선이 교차하는 곳으로, 이곳에 민통선 검문소가 있으며, 이곳을 지나 약 2.5km를 더 가면 철원역이 있다.[1]
- 대마리 마을회관[1]
- 대마 보건지소[1]
- 묘장 초등학교[1]
- 백마고지 기념탑[1]
- 철원 노동당사[1]
- 백마 전투 기념비[1]
- 철원군 농특산물 판매장(역사에 병설)[1]
- 우장초등학교[1]
- 안보관광 셔틀버스: 민간인통제구역 내에 있는 제2남침터널과 평화전망대, 월정리역 등을 둘러보는 버스 코스이다.[1] 과거 신탄리역에서도 비슷한 버스가 있었으나 폐지되었다.[1] 이 코스는 도라산역의 DMZ 투어와 마찬가지로 한국인도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1]
5. 논란
역명 선정과 관련된 논란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5. 1. 역명 선정 논란
경원선 복원 당시 기존 철원역이 민통선 내부에 있어 민통선 밖의 철원읍 대마리에 이 역이 대체 신설되었다. 철원의 일부 문학회 회원들과 인근 오대미마을 주민들은 인근에 소설가 이태준의 생가 터가 있는 점에서 역명을 '''이태준역'''으로 하기를 희망했으나,[3] 인근에서 벌어진 백마고지 전투에서 이름을 따와 현재의 역명으로 정해졌다.6. 사진
참조
[1]
text
[2]
웹사이트
https://m.blog.naver[...]
[3]
웹인용
경원선 신설역 `이태준역'으로 하자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07-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