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타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드타운은 주거 기능이 중심이 되고, 주민들이 다른 도시로 출퇴근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교외와 유사하나, 베드타운은 경제적 기능보다 주거 기능에 집중하며, 농촌이나 반농촌 지역의 형태를 띠기도 한다. 베드타운 형성은 경제적 요인, 교통 발달,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며, 주택 가격 상승, 젠트리피케이션, 통근자의 삶의 질 저하 등의 영향을 미친다. 엑서브는 베드타운 너머의 부유한 통근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도시 - 위성 도시
위성 도시는 대도시 근처에 위치하며, 경제·사회적으로 독립적인 소규모 도시로, 자체적인 고용 기반, 통근 지역, 문화적 요소들을 갖추고 있으며, 베드타운과는 달리 자체적인 경제 기반을 가지고, 다극 도시와는 달리 중심 도시의 영향력 아래에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도심 공동화 및 범죄 발생 가능성 증가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유형별 도시 - 대도시
대도시는 인구 규모와 행정적 지위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는 도시 유형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인구 50만 이상의 시, 일본에서는 도쿄 23구와 정령지정도시, 중국에서는 직할시와 부성급시 등으로 분류되며, 각 국가별 분류 기준과 행정 체계는 상이하다. - 교통 계획 - 접근성
접근성은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정보와 서비스에 차별 없이 접근하도록 보장하는 개념으로, 윤리적 책임, 사회적 형평성, 상업적 이익, 공익적 가치 때문에 중요하며, 물리적 환경, 정보 접근, 서비스 접근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보조 기술과 적응 기술을 통해 구현되지만, 완전한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교통 계획 - 간선급행버스체계
간선급행버스체계(BRT)는 전용 통행로를 확보하여 속달성, 정시성, 수송 능력을 향상시킨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버스전용차로, 전용 도로, 환승 시설, 운영 관리 시스템 등의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세계 최초는 1974년 브라질 쿠리치바에서 시작되었고, 경전철에 비해 저렴하지만 혼잡, 환경 문제, BRT 크립과 같은 비판도 있다.
베드타운 | |
---|---|
정의 | |
정의 | 주거 기능을 위주로 하는 도시 또는 도시의 주변 지역으로, 대부분의 주민이 다른 지역으로 통근하는 곳을 의미한다. |
특징 | |
주 기능 | 주거 기능 위주 |
경제 활동 | 대부분의 주민이 다른 지역으로 통근 |
시설 | 상업 및 업무 시설 부족 |
인구 | 인구 밀도가 비교적 낮음 |
교통 | 교통망이 발달 (주로 대중교통 또는 자가용) |
원인 | |
도시의 교외화 현상 | 도시 중심부의 높은 주거 비용과 혼잡으로 인해 발생 |
교통망 발달 | 도시 외곽 지역으로의 이동이 용이해짐 |
주거 환경 선호 | 쾌적한 주거 환경을 추구하는 경향 |
문제점 | |
교통 혼잡 | 통근 시간대의 교통 혼잡 심화 |
환경 문제 | 자가용 이용 증가로 인한 대기 오염 |
도시 공동화 | 도시 중심부의 공동화 현상 심화 |
사회적 문제 | 지역 간 불균형 심화, 공동체 의식 약화 |
해결 방안 | |
대중교통 확충 | 대중교통 노선 확대 및 서비스 개선 |
자전거 도로 정비 |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
복합 용도 개발 | 주거, 상업, 업무 기능을 갖춘 복합 공간 조성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 지역 주민 간의 교류 및 공동체 의식 강화 |
2. 교외와 베드타운의 구별
교외(suburb)와 베드타운은 비슷해 보이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교외는 인접 도시보다 규모, 인구 밀도, 상업 기능 등이 약한 지역을 폭넓게 가리키는 반면, 베드타운은 주거 기능에 초점을 맞춘 용어이다. 베드타운은 대학촌, 관광촌처럼 경제적 기능을 나타내기도 한다.
교통 발달로 통근자들이 산업 교외(industrial suburb)나 철도 도시(railway town)로 이주하면서 교외의 경제적 기능은 변하기도 한다. 뉴저지주 테터보로나 캘리포니아주 에머리빌처럼 산업 시설이 있는 교외 지역은 주변이 베드타운으로 둘러싸이기도 하지만, 이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대개 그곳에 거주하지 않으므로 베드타운이라고 할 수 없다.
2. 1. 개념
교외와 베드타운은 흔히 비슷하지만,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베드타운은 주거 기능이 중심이 되는 지역을 의미하며, 주민 대부분은 다른 도시로 출퇴근한다. 반면 교외는 중심 도시보다 규모, 인구 밀도, 상업 기능 등이 약한 지역을 말한다.일반적으로 교외 지역은 주요 도시와 가까운 곳에서 발전하며, 자체적으로 일자리가 많을 수도 있고 적을 수도 있다. 베드타운은 주민 대부분이 다른 중심 도시로 출퇴근하기 때문에 지역 내 직업 활동은 미미하다. 베드타운은 중심 도시 인근의 녹지와 분리된 농촌 혹은 반농촌 지역일 수도 있지만, 스프롤 현상이나 연담도시화로 인해 대도시권의 여러 도시와 취락들 사이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이러한 농촌은 사라지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주택지가 철도역 등을 중심으로 도심에서 교외로 자연스럽게 형성되거나, 처음부터 도시로 통근하는 사람들을 위해 계획적으로 조성되는 경우가 많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시재생기구나 주택 공급 공사 등이 주택 공급을 한 교외 역 주변의 일본의 뉴타운이나 주택 단지는, 근로자들이 도시로 통근하고 집에서는 잠만 자는 생활 방식을 만들어냈다. 현재는 도시 회귀 현상으로 인해 교외의 뉴타운이나 공단 단지에서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도 있지만, 자동차 이용 증가로 교외 대규모 쇼핑몰 이용이 늘면서 뉴타운 등의 가장 가까운 역 주변 상업은 부진하다.
일본의 대도시 주변에는 도시 전체 혹은 대부분이 주택지로 이루어진 도시가 많으며, 이러한 도시를 위성 도시 또는 베드타운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관동 대도시권(수도권)의 도쿄도23구 외곽, 주쿄권, 긴키권 등에 이러한 도시가 집중되어 있다. 그 외 대도시권에서도 이러한 베드타운을 볼 수 있다.
2. 2. 기능
교외(suburb)와 베드타운은 비슷한 경우가 많지만, 항상 같지는 않다. 베드타운은 주거 기능에 집중된 지역을 의미하며, 대학촌, 관광촌, 공장도시 등은 경제적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베드타운의 특수한 예시이다. 반면 교외는 인접 도시보다 규모, 인구밀도, 정치적 위상, 상업 기능 등이 작고 약한 지역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용어이다.교통의 발달로 통근자들이 산업 교외(industrial suburb)나 철도 도시(railway town)로 이동하여 거주하면서 교외의 경제적 기능은 변화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뉴저지주의 테터보로나 캘리포니아주의 에머리빌처럼 산업 시설이 남아있는 교외 지역 주변은 베드타운으로 둘러싸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 교외 지역에서 일하는 통근자들은 대개 그곳에 거주하지 않으므로, 이 지역을 베드타운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교외 지역은 주요 도시와 가까운 곳에서 발전하며, 교외 지역 자체에서 일자리가 생길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반면 베드타운은 직업 활동이 미미하고, 대부분의 주민들은 다른 중심 도시로 출퇴근한다. 베드타운은 중심도시 인근의 녹지와 분리된 농촌 혹은 반농촌 지역일 수도 있지만, 스프롤 현상이나 연담도시화로 메트로폴리스 수준의 대도시권에서는 도시와 취락들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져 이러한 농촌은 사라지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주택지가 철도역을 중심으로 도심에서 교외로 뻗어나가는 형태로 형성된 경우가 많다. 처음부터 도시로 통근하는 사람들을 위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주택지도 많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시재생기구나 주택 공급 공사 등이 주택 공급을 한 교외 역전의 일본의 뉴타운이나 일본의 주택 단지는, 근로자들이 도시의 오피스로 출퇴근하고 집에서는 잠만 자는 생활 방식을 만들어냈다. 최근에는 도시 회귀 현상으로 교외의 뉴타운이나 UR공단 단지가 과소화되는 지역도 있지만, 자동차 이용이 늘면서 교외의 대규모 쇼핑몰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아져 뉴타운 등의 역 주변 상업은 부진한 상황이다.
일본의 대도시 주변에는 시역 전체 혹은 대부분이 주택지화된 도시가 많으며, 이러한 도시를 위성 도시 혹은 베드타운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관동 대도시권(수도권)의 도쿄도23구 외곽, 타마 지역, 가나가와현 동부 · 중부, 사이타마현 남부 · 서부 · 동부, 지바현 북서부, 이바라키현 서남부, 주쿄권의 아이치현 외곽, 기후현 남부, 미에현 북부, 긴키권의 오사카부 외곽, 효고현 남부, 교토부 남부, 시가현 서남부, 나라현 북서부, 와카야마현 북부에 이러한 도시들이 집중되어 있다.
그 외 대도시권에서도 삿포로 도시권의 홋카이도이시카리 지방, 센다이 도시권의 미야기현 중남부, 히로시마 도시권의 히로시마현 서남부, 구마모토 도시권의 구마모토현 북동부, 니가타 도시권의 니가타현 북동부, 시즈오카·하마마츠 대도시권의 시즈오카현 중부, 오카야마 도시권의 오카야마현 서남부, 기타큐슈·후쿠오카 대도시권의 후쿠오카현 북서부나 사가현 동부 등에서 베드타운을 볼 수 있다.
2. 3. 지리적 특징
베드타운은 농촌 혹은 반농촌 지역에 위치하며, 중심 도시 인근의 녹지와 분리된 형태인 경우도 있다. 그러나 스프롤 현상이나 연담도시화로 메트로폴리스 수준의 대도시권에서 여러 도시와 취락들 사이의 경계가 사라지면 이러한 농촌은 사라진다.3. 역사
일본에서 메이지 시대 말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고 공장과 주택이 뒤섞이면서 환경 악화, 슬럼 발생 등이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이에 서부의 전원 도시 사상이 소개되면서 환경이 좋은 교외에서의 생활이 재조명되었다. 샐러리맨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주거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철도회사 등이 가까운 농촌을 택지로 개발하기 시작했다.[4] 예를 들어 전원 도시주식 회사(도쿄 급행전철의 전신)나 한큐 전철 등이 분양 주택지를 만들었다. 한큐 전철은 연선 근처 개발을 시작한 회사로, 현재의 이케다시 무로 정에 역전 주택지를 분양하여 오사카시 내에서 대기 오염 등으로 고통받던 샐러리맨들의 이주를 장려했다. 미국의 퍼시픽 전철과 같은 몇몇 교외 철도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택정비공단 등은 주택 공급을 주도했지만, 대부분 교외의 뉴타운이었다. (예: 다마 뉴타운, 고조지 뉴타운 등)
영국에서 시작된 전원 도시는 직장과 주거지를 가깝게 배치하여 양호한 주택지를 계획적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일본의 근교 주택지 대부분은 주택 공급만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근로자들은 혼잡한 전철을 타고 사무실이 있는 도시로 통근하고 집에서는 잠만 자는 생활을 하게 되었다.
홍콩의 경우, 국토가 협소하여 교외에 뉴타운을 조성하거나, 오래된 건축물이나 우범 지대 등으로 전락한 도심 지역을 재개발하여 베드타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췬완 신시진 등 신도시 지역이 실질적인 베드타운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마카오가 홍콩의 베드타운 역할을 일부 담당하고 있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수도권은 서울특별시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는 지역 대부분을 포함한다. 1960년대 산업화와 함께 서울의 인구 집중이 심화되면서, 서울 외곽 지역과 경기도 근교 도시들이 베드타운으로 성장했다. 초기에는 서울시 외곽의 양천, 서초, 송파 등과 인천광역시, 수원시, 성남시 등이 이러한 역할을 했다.[1]1990년대에는 일산신도시, 분당신도시, 산본신도시 등 신도시 건설을 통해 베드타운이 확대되었다. 현재는 경기도 변방과 충청남도 북부 지역까지 베드타운이 확산되고 있다.[1]
서울 근교 베드타운은 형성 과정과 기능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1]
유형 | 해당 지역 |
---|---|
서울 인구 분산 목적 | 분당신도시, 일산신도시, 성남 구시가지, 평촌신도시 등 |
서울 통근권 팽창에 따른 주거지 개발 | 김포시, 파주시 운정신도시, 화성시 동탄신도시, 남양주시, 용인시 등 |
행정기능 분산 목적 | 과천시 |
근대화 및 교통 발달 과정에서 자연 형성 | 의정부시, 안양 구시가지, 부천시, 구리시 |
서울 공업기능 분산 목적 | 안산시, 시흥시 |
서울시 편입 예정지였으나 무산된 곳 | 광명시 |
독자적 생활권에서 서울 통근권 베드타운으로 편입된 곳 | 인천광역시, 수원시 |
3. 2. 일본
메이지 시대 말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일본에서는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고 공장과 주택이 뒤섞이면서 환경 악화와 슬럼 발생 등의 사회 문제가 나타났다. 이에 서부의 전원 도시 사상이 소개되면서 환경이 좋은 교외에서의 생활이 재조명되었다. 샐러리맨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주거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철도회사 등이 가까운 농촌을 택지로 개발하기 시작했다.예를 들어, 전원 도시주식 회사(도쿄 급행전철의 전신)나 한큐 전철 등이 분양 주택지를 만들었다. 특히 한큐 전철은 처음부터 연선 근처 개발을 시작한 회사로, 현재의 이케다시 무로 정에 역전 주택지를 분양하여 오사카시 내에서 대기 오염 등으로 고통받던 샐러리맨들의 이주를 장려했다. 이와 유사한 사례는 미국의 몇몇 교외 철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예: 퍼시픽 전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택정비공단 등이 주택 공급을 주도했지만, 대부분은 교외의 뉴타운이었다. (예: 다마 뉴타운, 고조지 뉴타운 등)
영국에서 시작된 전원 도시는 직장과 주거지를 가깝게 배치하여 양호한 주택지를 계획적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일본의 근교 주택지 대부분은 주택 공급만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근로자들은 혼잡한 전철을 타고 사무실이 있는 도시로 통근하고 집에서는 잠만 자는 생활을 하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주택지가 철도역 등을 중심으로 도심에서 교외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경우가 많으며, 처음부터 도시로 통근하는 사람들을 위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곳도 많다.
주택 공급을 목적으로 한 일본의 근교 주택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택 정비 공단(현 도시재생기구)이나 주택 공급 공사 등이 주택을 공급한 교외 역 주변의 많은 일본의 뉴타운과 일본의 주택 단지는, 직장과 오피스가 있는 도시로 혼잡한 전철을 타고 통근하고 집에서는 잠만 자는 근로자층의 평균적인 모습을 만들어냈다. 현재는 도시 회귀 현상으로 인해 교외 뉴타운이나 UR 공단 단지에서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도 있지만, 전국적으로 자동차 이용이 늘면서 교외 대규모 쇼핑몰 이용이 많아져 뉴타운 등의 역 주변 상업은 부진한 상황이다.
일본의 대도시 주변에는 시 전체 또는 대부분이 주택지로 이루어진 도시가 많으며, 이러한 도시를 위성 도시 또는 베드타운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관동 대도시권(수도권)의 도쿄도23구 외곽, 타마 지역, 가나가와현 동부와 중부, 사이타마현 남부, 서부, 동부, 지바현 북서부, 이바라키현 서남부, 주쿄권의 아이치현 외곽, 기후현 남부, 미에현 북부, 긴키권의 오사카부 외곽, 효고현 남부, 교토부 남부, 시가현 서남부, 나라현 북서부, 와카야마현 북부 등에서 이러한 도시들을 볼 수 있다.
그 외 대도시권에서도 삿포로 도시권의 홋카이도이시카리 지방, 센다이 도시권의 미야기현 중남부, 히로시마 도시권의 히로시마현 서남부, 구마모토 도시권의 구마모토현 북동부, 니가타 도시권의 니가타현 북동부, 시즈오카·하마마츠 대도시권의 시즈오카현 중부, 오카야마 도시권의 오카야마현 서남부, 기타큐슈·후쿠오카 대도시권의 후쿠오카현 북서부나 사가현 동부 등에서도 베드타운을 볼 수 있다.
3. 3. 홍콩
홍콩은 국토가 좁아 교외에 뉴타운을 조성하거나, 오래된 건축물이나 우범 지대 등으로 전락한 도심 지역을 재개발하여 베드타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췬완 신시진 등 신도시 지역이 실질적인 베드타운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마카오가 홍콩의 베드타운 역할을 일부 담당하고 있다.3. 4. 미국
20세기 말 닷컴 버블과 미국 주택 시장 거품으로 인해 캘리포니아 대도시 지역의 주택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인접 카운티에서 교외 지역이 성장했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직장을 가진 근로자들은 오클랜드, 벌링게임, 샌 마테오와 같은 인근 도시로 점점 더 멀리 이사하게 되었다. 임대료와 주택 가격이 계속 상승하면서, 다른 곳에서는 부유층으로 간주될 임차인조차도 더 나은 학교와 편의 시설이 있는 지역에서 주택 소유를 고려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캘리포니아주 트레이시 노동력의 80% 이상이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에서 고용되었다.어떤 경우에는 변화하는 경제 상황으로 인해 통근 도시가 생길 수 있다. 오하이오주 스튜벤빌은 인접한 웨스트버지니아주 위어턴과 함께 1980년대 철강 산업의 붕괴 전까지 독립적인 지역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스튜벤빌 파이크와 파크웨이 웨스트 또한 훨씬 더 큰 도시인 피츠버그로의 접근성을 쉽게 했다. 2013년, 오하이오주 제퍼슨 카운티(스튜벤빌이 위치한 곳)는 더 큰 결합 통계 구역의 일부로 피츠버그 대도시 지역에 추가되었다.[3]
일본의 사철은 부동산 투자와 통근 도시 개발을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거의 전적으로 자동차에 의한 운송 때문에 나타나는 북미 통근 도시와는 매우 다르다.[4]
4. 원인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의 베드타운은 수도권 지역 대부분을 일컫는다. 1960년대 대한민국의 급속한 산업화로 서울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서울 외곽과 근교 도시들이 베드타운으로 성장하였다. 1990년대에는 일산, 분당, 산본 등의 신도시가 건설되었고, 시흥, 남양주, 용인, 화성, 파주, 김포 등지에도 새로운 주택지가 조성되어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의 베드타운이 되었다.
서울 근교 베드타운은 형성 과정과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서울 인구 분산을 위해 의도적으로 조성: 성남 분당신도시, 고양 일산신도시, 안양 평촌신도시 등
- 서울 통근권 팽창으로 주거지로 개발: 김포, 파주 운정신도시, 화성 동탄신도시, 남양주, 용인
- 행정 기능 분산을 위해 조성: 과천
- 근대화 및 교통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 의정부, 안양 구시가지, 부천, 구리
- 서울의 공업 기능 분산을 위해 조성: 안산, 시흥
- 서울시 편입 예정지로 개발되었다가 경기도 베드타운으로 잔류: 광명
- 본래 독자적인 생활권을 지녔으나 서울 통근권 베드타운으로 편입: 인천, 수원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말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도시 인구 집중, 공장과 주택 혼재로 인한 환경 악화, 슬럼 발생 등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전원 도시 사상이 소개되면서 환경이 좋은 교외 생활이 재조명되었고, 샐러리맨 증가에 따라 철도 회사 등이 가까운 농촌 택지 개발을 추진했다. 한큐 전철 등은 분양 주택지를 만들어 오사카시 내 샐러리맨들의 이주를 장려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택정비공단 등은 다마 뉴타운, 고조지 뉴타운 등 교외 뉴타운에 주택을 공급했다.
영국의 전원 도시 이념은 직장과 주거지를 가까이 배치하는 것이었으나, 일본의 근교 주택지는 주택 공급만을 목적으로 하여, 혼잡한 통근 열차를 이용해 도시로 출퇴근하고 집에서는 잠만 자는 근로자층의 평균적인 모습을 만들어냈다.
홍콩은 좁은 국토로 인해 교외에 뉴타운을 조성하거나, 오래된 건축물이나 우범 지대로 전락한 도심 지역을 도시 재개발하여 새로운 아파트를 건설하기도 한다. 홍콩의 베드타운은 췬완 신시진 등 신도시 지역이 실질적인 기능을 하고 있으며, 마카오가 홍콩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기도 한다.
4. 1. 경제적 요인
중심 도시의 높은 주택 가격과 생활비로 인해, 상대적으로 주거 비용이 저렴한 지역으로 이주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베드타운이 형성된다. 1980년대 일본의 국철 네트워크 민영화는 부동산 투자와 통근 도시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의 사철은 주거 및 상업 지역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통근자들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한다.[4]20세기 말 닷컴 버블과 미국 주택 시장 거품은 캘리포니아 대도시 지역의 주택 가격을 폭등시켰고, 이는 인접 카운티의 교외 지역 성장을 촉진했다. 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의 높은 주택 가격으로 인해 캘리포니아주 트레이시 노동력의 80% 이상이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에서 고용되었다.
변화하는 경제 상황 또한 베드타운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오하이오주 스튜벤빌은 1980년대 철강 산업 붕괴 이후 피츠버그와의 접근성이 용이해지면서 피츠버그 대도시 지역에 편입되었다.[3]
4. 2. 교통 발달
철도나 도로 등 교통망이 발달하면 중심 도시와의 접근성이 좋아져 베드타운이 형성되기 쉽다. 일본의 경우, 사철 회사가 부동산 투자와 베드타운 개발을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4] 이들 철도 회사는 기존 및 신규 노선과 역을 따라 새로운 주거 및 상업 지역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기존 및 잠재적 통근자에게 편리한 출퇴근을 제공하기 위해 열차 일정을 조정한다.[4]1980년대까지 일본의 대부분의 국철 네트워크가 민영화되었는데, 영국과는 달리 국철의 궤도, 열차, 역 및 부동산이 모두 민영화 협정에 포함되었다.[4]
미국의 경우, 20세기 말 닷컴 버블과 미국 주택 시장 거품으로 인해 캘리포니아 대도시 지역의 주택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인접 카운티에서 교외 지역의 성장을 촉진했다.
4. 3. 사회적 요인
더 나은 주거 환경이나 교육 환경을 추구하는 수요는 베드타운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통근자가 부유하고 소도시 주택 시장이 도시 주택 시장보다 약할 경우, 베드타운 개발은 지역 주택 가격을 상승시키고 젠트리피케이션과 유사한 과정을 통해 고급 서비스 사업을 유치할 수 있다.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인해 오랜 거주자가 새로운 통근 거주자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는 도시화 지역의 지구 지정 제한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5. 영향
베드타운은 지역 사회와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대한민국의 경우 수도권 대부분 지역이 서울특별시의 베드타운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이는 196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서울의 인구 집중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일본의 경우에도 메이지 시대 말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도시 인구 집중과 공장, 주택 혼재로 인한 환경 악화, 슬럼 발생 등의 사회 문제가 대두되면서 전원 도시 사상이 소개되었고, 샐러리맨 증가에 따라 철도 회사를 중심으로 교외 택지 개발이 이루어졌다.[1]
베드타운은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모두 가지고 있다. 긍정적 영향으로는 주택 공급 확대, 주거 환경 개선, 지역 경제 활성화, 교통망 확충, 도시권 확장 등이 있다. 반면 부정적 영향으로는 장거리 통근으로 인한 피로도 증가, 수면 부족, 스트레스 유발, 지역 주택 가격 상승, 젠트리피케이션, 도시 재정 불균형, 자동차 의존도 심화 등이 있다. 이러한 영향들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고 있다.
5. 1. 긍정적 영향
베드타운은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대한민국 수도권의 경우, 1960년대 산업화와 함께 서울의 인구가 급증하면서 주택 부족 문제가 심각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외곽과 주변 지역에 신도시를 비롯한 대규모 주택지가 조성되면서 주택 공급이 확대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분당, 일산 등 계획적으로 조성된 신도시는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또한 베드타운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베드타운에 상업 시설이 유치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어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베드타운 개발은 교통망 확충과 도시권 확장에도 영향을 준다. 베드타운 주민들의 출퇴근 편의를 위해 도로, 철도 등 교통망이 확충되고, 이는 도시권의 확장을 가져온다. 영국의 경우, 1920년대 메트로폴리탄 철도는 메트로랜드 개발을 통해 런던 중심부에서 교외 지역으로의 이주를 장려했고, 이는 통근 도시의 발전을 촉진했다. 이 과정에서 도로와 대중교통 시스템이 함께 발전하면서 도시권이 확장되었다.[2]
5. 2. 부정적 영향
베드타운은 장거리 통근자들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영국 국립 통계청의 2014년 연구에 따르면, 통근자들은 직장에 통근할 필요가 없는 사람들보다 더 불안하고 불만족하며, 일상 활동에 의미가 없다고 느낀다.또한 베드타운의 개발은 지역 주택 가격을 상승시키고, 젠트리피케이션과 유사한 과정을 통해 고급 서비스 사업을 유치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저렴한 주택을 찾기 어렵게 만들고, 원주민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탈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베드타운은 도시 재정 불균형 문제도 야기한다. 베드타운은 주로 주거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상업 시설이나 기업이 부족하여 세수가 부족하고, 이는 지방 자치 단체의 재정 악화로 이어진다.
자동차 의존도가 심화되는 것도 베드타운의 문제점 중 하나이다. 대중교통 시설이 부족한 베드타운에서는 자가용 이용이 필수적이며, 이는 교통 체증, 대기 오염, 주차난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유발한다.
6. 엑서브 (Exurb)
"엑서브"(exurb)는 1955년 오거스트 콩트 스펙토르스키가 저술한 저서 "엑스버비테스(The Exurbanites)"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교외 지역 너머 도시 지역의 통근 도시인 부유한 지역 사회를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혼성어이다.[6] 그러나 2006년 브루킹스 연구소의 랜드마크 보고서 이후,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교외 지역 너머의 지역, 특히 엑서브 주민들이 통근하는 교외 지역보다 밀도가 낮은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2]
비교적 낮은 인구 밀도의 도시(대개 넓은 부지와 대저택을 특징으로 함)는 심각한 자동차 의존성을 유발한다.
다른 사람들은 지난 40년 동안 오리건주에서 주 고유의 토지 이용법의 결과로 나타난 엑서브 환경이 도시 성장 경계를 엄격하게 설정하여 지역 농업과 지역 사업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경계는 중앙 집중화된 도시에서 더 높은 인구 밀도를 장려하는 동시에 농업, 임업 및 자연 지역으로의 도시 및 교외 확산을 늦추거나 크게 줄이는 역할을 한다.[8]
참조
[1]
웹사이트
Mobilidade: paulistano leva uma hora e meia para ir e voltar do trabalho
https://www.capital.[...]
2021-12-04
[2]
서적
Finding Exurbia: America's Fast-Growing Communities at the Metropolitan Fringe
https://www.brooking[...]
Brookings Institution
2006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obamawhiteho[...]
2014-08-31
[4]
뉴스
Rail privatisation: the UK looks for secrets of Japan’s success
https://www.ft.com/c[...]
2023-08-15
[5]
웹사이트
Commuting and Personal Well-being, 2014
http://www.ons.gov.u[...]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6-05-07
[6]
서적
The Exurbanites
J. B. Lippincott & Co.
[7]
뉴스
In Exurbs, Life Framed by Hours Spent in the Car
https://www.nytimes.[...]
2005-12-18
[8]
뉴스
The Oregon Example: Statewide Planning Works
http://www.newwest.n[...]
2007-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