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로스터슈트라세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스터슈트라세역은 1913년 개통된 베를린 지하철 2호선의 역으로,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다. 원래는 분기역으로 계획되었으나, U5 노선 계획 변경으로 인해 섬식 승강장으로 축소되었다. 역 출입구는 야자수 형상을 한 세라믹 타일로 장식되어 있으며, 1975년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80년에는 클로스터터널이 공화국 탈주에 사용되었고, 2021년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은 1882년 개통된 베를린 도심의 주요 교통 허브로, 다양한 노선의 환승역이자 알렉산더 광장과 주요 명소 접근성이 뛰어나며, 역사적으로 전쟁 피해와 분단 등의 변화를 겪고 통일 후 현대화되었다.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은 S반, 지역간 열차, U반이 지나는 역으로, 베를린 장벽 시기에 폐쇄되었다가 재개장했으며,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교통 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다.
  • 미테구의 건축물 - 브란덴부르크 문
    브란덴부르크 문은 베를린에 있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개선문으로, 독일 최초의 그리스 부흥 양식 건축물 중 하나이며, 도리스식 기둥과 사륜전차상으로 장식되어 프로이센의 번영과 독일 통일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미테구의 건축물 - 베벨 광장
    베를린에 있는 베벨 광장은 과거 오페라하우스 광장으로 불렸으나, 독일 사회민주당 창립 멤버의 이름을 따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나치의 책 사르기 사건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복구된 건물들과 함께 광장 활용 방안에 대한 논쟁이 있는 장소이다.
  • 1913년 개업한 철도역 - 달렘도르프역
    달렘도르프역은 1913년에 개통된 역으로, 북부 독일 농가 형태의 건물로 지어졌으며, 화재로 복원되었고, 베를린 지하철 3호선 구간에 위치한다.
  • 1913년 개업한 철도역 - 나주역
    나주역은 1913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KTX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클로스터슈트라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입구
출입구
승강장
승강장
역명클로스터슈트라세
역명 (독일어)U-Bahnhof Klosterstraße
위치베를린 미테구
운영 정보
노선베를린 지하철 2호선
역 코드Ko
승강장1면 2선(섬식)
노선 정보
영업 거리글라이스드라이에크 기점 4.3 km
이전 역메르키셰스 무제움
이전 역 거리0.6
다음 역알렉산더플라츠
다음 역 거리0.6

2. 역사

1913년 7월 1일 슈피텔마르크트-알렉산더플라츠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으며, 분기역으로 계획되어 넓은 승강장과 비대칭 기둥이 설치되었다. 초기 계획은 쇤하우저 알레 방면과 프랑크푸르터 알레 방면으로 분기하는 것이었으나, 프랑크푸르터 알레 방면 노선은 대형 규격인 U5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섬식 승강장으로 축소되었다.[2][3]

역 남부 출입구 방면


역 출입구는 주황, 파랑, 흰색 세라믹 타일로 야자수를 형상화했으며, 페르가몬 박물관이슈타르의 문과 유사한 양식이다. 남부 출입구 대합실 타일은 마욜리카 양식으로 제작되었으며, 동프로이센 카디넨(현재 폴란드 카디니)에서 제작되었다.

1975년 건축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 베를린 750주년을 기념하여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피해 복구 및 박물관 양식으로 재단장되었다. 광고판 대신 베를린 대중교통을 주제로 한 에나멜 패널 22개가 설치되었다. 1985년 과거 쇤베르크 도시 철도에서 운행했던 12호 전동차 전두부가 복원되어 승강장 북쪽 대합실에 설치되었다. 2016년 동독 광업을 기념하기 위한 광차가 설치되었다.[4] 2021년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고, 2023년까지 점자 블록 설치가 예정되어 있다.[5]

2. 1. 클로스터터널

클로스터터널(Klostertunnelde)은 이 역 북쪽에 있는 베를린 U반의 소형 규격과 대형 규격 노선을 연결하는 두 곳 중 하나이다. 1949년 BVG가 서베를린과 동베를린으로 분리되면서, 동베를린 BVG는 소형 규격 노선용 차량 기지를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동베를린 BVG는 대형 규격 노선용 프리드리히스펠데 기지를 이용하기 위해 1951년부터 1952년까지 클로스터슈트라세역에서 북동쪽으로 연결 터널을 건설했다. 이 터널은 기존 U5/U8 노선 간 연결 터널인 바이젠터널(Waisentunnel)과 이어진다.

1952년 2월 16일 베를린 U반 50주년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를린에서 건설된 첫 U반 노선이다. 초기에는 소형 규격과 대형 규격 노선의 급전 방식 차이로 인해 제3궤조가 설치되지 않았다. 소형 규격 차량의 프리드리히스펠데 기지 회송 및 모스크바 지하철 차량 징발에 따른 소형 규격 차량의 E선(현재 U5) 운행에 사용되었다.

1980년 2월에는 이 터널과 바이젠터널이 동독 주민의 공화국탈주 과정에 이용되기도 했다.

독일의 재통일 이후 1993년부터 서베를린의 그루네발트 기지를 다시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 터널의 이용 가치는 감소했다.

3. 인접 철도역

베를린 지하철 2호선 메르키셰스 무제움역알렉산더플라츠역 사이에 위치한다. 룰레벤 방면으로는 메르키셰스 무제움역이, 팡코 방면으로는 알렉산더플라츠역이 인접해 있다.

참조

[1] 서적 Berlins U-Bahnhöfe be.bra Verlag 1996
[2] 뉴스 Mehr als der U-Bahnarchitekt http://www.berliner-[...] Berliner Zeitung 2010-06-23
[3] 사진 Zwei Fotos von Dieter Breitenborn aus der Berliner Zeitung 1981
[4] 서적 Auf den Hunt gekommen 2021-10
[5] 웹인용 Stufenlos verbunden https://unternehmen.[...] Berliner Verkehrsbetriebe 2021-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