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중부내륙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중부내륙선은 부발에서 문경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99년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포함되어 2024년 11월 30일 충주-문경 구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2021년 12월 부발-충주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3년 12월 판교역까지 연장되었다. 주요 연혁으로는 예비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고시, 노반 공사 착공 등이 있으며, 2021년 12월부터 KTX-이음이 운행하고 있다. 노선은 총 94.307km이며, 11개의 역이 있다. 충주시 구간 노선 선정, 감곡장호원역 위치, 판교역 직통 운행, 설계 속도 등을 둘러싸고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충청북도의 철도 - 충북선
    충북선은 조치원역에서 봉양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화물 수송과 무궁화호 운행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고속화 사업을 통해 KTX-이음 운행을 계획하고 있다.
  • 경상북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경상북도의 철도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중부내륙선 - 충주역
    충주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중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철도역으로, 1928년 개업 후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전, 2005년 전철화와 2021년, 2024년 중부내륙선 개통을 거치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할 예정이며, 무궁화호와 KTX-이음이 정차하고 주변에 터미널, 축구장,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중부내륙선 - 문경역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문경역은 196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여객 및 화물 영업이 중단된 후, 레일바이크 개업으로 활기를 되찾아 2024년 여객 취급 재개와 함께 현재 위치로 이전한 중부내륙선의 철도역이다.
중부내륙선
노선 정보
노선 이름중부내륙선
로마자 표기Jungbunaeryukseon
한자 표기中部內陸線
노선 종류간선철도
중전철
여객/화물
지역 철도
노선 상태건설 중 (부발-문경 구간 운행 중)
노선 지역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운행 정보
기점부발역
종점문경역
역 개수10
개통일부발-충주: 2021년 12월 31일
판교 연장: 2023년 12월 28일
충주-문경: 2024년 11월 30일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차량 기지부발 차량 사업소 (경강선과 공용)
기술 정보
노선 길이94.1km
궤간1,435mm (표준궤)
선로 수단선
전철화 방식교류 25,000V 60Hz 가공강체가선
신호 시스템ATS (ATP)
설계 최고 속도230km/h
지도 정보
중부내륙선 노선도
기타
최고 속도(최대)

2. 연혁

1999년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포함된 중부내륙선은 여러 단계를 거쳐 건설되었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예비타당성 조사가 이루어졌고, 2006년에는 부발~감곡 구간 기본계획이 고시되었다.[9] 2015년 11월 4일, 부발~충주 구간이 착공되었으며[6], 2021년 12월 31일 해당 구간이 개통되었다.[15] 2023년 12월 28일에는 판교역까지 연장 개통되었고[16], 2024년 11월 30일에는 충주~문경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8]

2. 1. 사업 추진

일자내용
1999년 12월 18일국토교통부(당시 건설교통부)의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포함
2002년 3월 ~ 7월예비타당성 조사
2005년 5월 ~ 2006년 12월타당성 및 기본계획 수립
2006년 11월 28일부발 ~ 감곡 구간 기본계획 고시[9]
2006년 12월 ~ 2010년 11월노반 기본설계 시행
2009년 5월 19일기본계획 고시[10]
2011년 3월노반 실시설계 착수
2011년 8월 ~ 2012년 7월타당성 재조사 시행
2012년 9월 ~ 2013년 9월실시설계 재착수
2014년 7월1단계 실시설계 완료
2014년 11월1단계 노반공사 착공
2015년 6월부발 ~ 충주 구간 5공구 노반 착공
2015년 8월부발 ~ 충주 구간 2공구 노반 착공
2015년 11월 4일부발 ~ 충주 구간 착공[11][6]
2016년 1월충주 ~ 문경 구간 턴키 2개 공구 발주
2016년 3월충주 ~ 문경 구간 7, 9공구 노반 실시설계 착수
2016년 4월 29일국토교통부가 광역전철 구간(가칭: 성남여주선)의 역명·노선명·영업거리를 고시. 경강선으로 명명되어 당 노선과는 별개 노선으로 취급됨.[7]
2016년 6월충주 ~ 문경 구간 6, 8공구 실시설계 적격자 선정
2017년 11월 28일실시계획 변경 고시[12]
2018년 5월충주 ~ 문경 구간 7, 9공구 노반 공사 착공
2021년 9월시운전[13]
2021년 11월 17일부발 ~ 충주 구간 철도 노선 지정 및 철도거리표 고시[14]
2021년 12월 31일부발 ~ 충주 구간 개통[15]
2023년 12월 28일판교역 연장 개통[16]
2024년 3월 28일문경역 방향 전차선 가압과 시운전에 들어감[17]
2024년 11월 30일충주 ~ 문경 개통[18][8]


2. 2. 개통 및 운영

3. 노선 정보

4. 역 목록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역간 거리영업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부발Bubal夫鉢0.00.0경강선경기도이천시
아미Ami牙美2.52.5신호장
가남Ganam加南6.59.0여주시
감곡장호원Gamgokjanghowon甘谷長湖院12.221.2충청북도음성군
앙성온천Angseongoncheon仰城溫泉14.635.8충주시
금가Geumga金加11.847.6신호장
충주Chungju忠州8.756.3충북선
살미Salmi乷味10.366.6
수안보온천Suanbooncheon水安堡溫泉8.575.1
연풍Yeonpung延豊6.381.4괴산군
문경Mungyeong聞慶11.392.7문경선경상북도문경시


5. 운행 정보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중부내륙선에 운행하는 정기열차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1]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일반여객화물열차운행총계
부발 - 충주664004



2021년 12월 31일부터 KTX-이음이 이 노선을 하루 4회 운행한다.[2]

6. 논란

2008년 12월부터 노선선정위원회가 현지 조사와 여론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충청북도 충주시 구간에서 당시 국토교통부는 기업도시 경유(제1안, 제3안)를, 충주시충주역 경유(제2안)를 주장하여 노선 선정에 대한 견해 차이로 갈등이 있었다.[19][20] 2009년 3월 2일 충주시민의 지지를 받은 제2안이 최종 확정되어, 기존 충북선 충주역을 경유하게 되었다.[19][20]

2014년 112정거장의 위치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로 위치 선정이 결정된 후, 감곡면 주민설명회에서 "변경될 계획은 없을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이후 장호원읍(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노탑4리) 방면으로 70m 정도 이동을 검토했던 것이 알려지면서 감곡면 주민들과 장호원읍 주민들 간에 역사 위치를 놓고 갈등이 있었다. 철도시설공단의 기존 계획보다 35m가량 감곡면 쪽으로 옮기고, 역사의 규모도 감곡면으로 30m 늘리는 중재안을 양측 주민들이 수용하면서 논란은 해소됐다.[21][22]

충청북도 충주 역세권 개발 추진 위원회는 2020년 1월 13일 국토교통부에 중부내륙철도 개통과 함께 충주역판교역 구간 직통열차 운행을 요구하는 민원을 제기했다.[23]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판교역 직통 운행은 주변 고층 건물과 스크린도어 해체 문제 등으로 불가능하며, 2029년 수서광주선 개통 후에는 수서역이 최종 종착역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24] 2023년 12월 28일 판교역까지 연장 운행이 시작되면서, 기존 일 평균 이용객 274명에서 901명으로 증가했고, 전체 이용객의 83.5%가 판교역에서 승하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21대 총선 충주시 후보였던 김경욱은 중부내륙선의 설계속도가 200km/h이므로 진정한 고속열차는 운행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250km/h로 고속화하고 복선화까지 추진하겠다고 밝혔다.[27] 그러나 중부내륙선의 설계속도는 실제로 200km/h가 아니다. 충주~문경 방면의 곡선 반경은 6공구를 제외하고 전부 평균 2,500m가 넘고, 이천~충주 방면도 평균 3,000m의 곡선반경을 가진다. 중부내륙선은 설계속도가 230km/h로 설계되어, 고속열차가 중부내륙선을 통과하면 충분히 표정속도 200km/h까지는 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28][29]

6. 1. 노선 확정 논란

2008년 12월부터 노선선정위원회는 현지 조사와 여론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충청북도 충주시 구간에서 당시 국토교통부는 기업도시 경유(제1안, 제3안)를 주장하였고, 충주시충주역 경유(제2안)를 주장하여 노선 선정에 대한 견해 차이로 갈등이 있었다.[19][20]

제안노선
제1안장호원 - 노은 (문성) - 주덕 (화곡) - 이류 (만정) - 살미 (세성) - 수안보 (안보)
제2안장호원 - 앙성 (돈산) - 금가 (사암) - 충주역 - 살미 (세성) - 수안보 (안보)
제3안장호원 - 앙성 (돈산) - 이류 (본리) - 이류 (만정) - 살미 (세성) - 수안보 (안보)



2009년 3월 2일 충주시민의 지지를 받은 제2안이 최종 확정되어, 기존 충북선 충주역을 경유하게 되었다.[19][20]

6. 2. 감곡장호원역 위치 논란

2014년 112정거장의 위치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로 위치 선정이 결정된 후, 감곡면 주민설명회에서 "변경될 계획은 없을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이후 장호원읍(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노탑4리) 방면으로 70m 정도 이동을 검토했던 것이 알려지면서 감곡면 주민들과 장호원읍 주민들 간에 역사 위치를 놓고 갈등이 있었다.

철도시설공단의 기존 계획보다 35m가량 감곡면 쪽으로 옮기고, 역사의 규모도 감곡면으로 30m 늘리는 중재안을 양측 주민들이 수용하면서 논란은 해소됐다.[21][22]

6. 3. 판교역 직통 운행 건의

충청북도 충주 역세권 개발 추진 위원회는 2020년 1월 13일 국토교통부에 중부내륙철도 개통과 함께 충주역판교역 구간 직통열차 운행을 요구하는 민원을 제기했다.[23] 추진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역마다 정차하고 경강선, 신분당선, 분당선으로 환승하면 충주와 서울 간 소요 시간이 1시간 40분가량으로, 1시간 30분 정도에 직통으로 갈 수 있는 고속버스보다 늦어져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추진위는 중부내륙철도 충주역- 부발역 구간 운행 속도를 시속 200㎞, 경강선 부발역-판교역 구간은 시속 120㎞로 운행하면 충주역에서 강남역까지 50분대에 이동 가능하며, 직통 운행 횟수는 왕복 70회 이상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23]

하지만 국토교통부는 판교역 직통 운행은 주변 고층 건물과 스크린도어 해체 문제 등으로 불가능하며, 2029년 수서광주선 개통 후에는 수서역이 최종 종착역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부발역이 종착역이므로 판교역으로 가려면 부발역에서 경강선 전동열차로 환승해야 한다고 답변했다.[24]

2023년 12월 28일 판교역까지 연장 운행이 시작되면서, 기존 일 평균 이용객 274명에서 901명으로 증가했고, 전체 이용객의 83.5%가 판교역에서 승하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6. 4. 설계속도 논란

21대 총선 충주시 후보였던 김경욱은 중부내륙선의 설계속도가 200km/h이므로 진정한 고속열차는 운행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250km/h로 고속화하고 복선화까지 추진하겠다고 밝혔다.[27]

그러나 중부내륙선의 설계속도는 실제로 200km/h가 아니다. 충주~문경 방면의 곡선 반경은 6공구를 제외하고 전부 평균 2,500m가 넘고, 이천~충주 방면도 평균 3,000m의 곡선반경을 가진다. 중부내륙선은 설계속도가 230km/h로 설계되어, 고속열차가 중부내륙선을 통과하면 충분히 표정속도 200km/h까지는 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28][29] 국가철도공단 연구보고서에서는 곡선반경이 2,000m만 되어도 설계속도는 230km를 넘어간다고 밝혔으며, 특히 대부분의 곡선반경도 중부내륙선만큼은 설계속도가 고속화되어 있다.[30]

참조

[1] 웹사이트 대선시계와 중부내륙선 철도 http://www.inews365.[...] Chungbuk Ilbo 2016-12-18
[2] 웹사이트 Approval given for next section of Korea's Middle Inland Line https://www.railjour[...] 2022-12-16
[3] 웹사이트 철도기획]부발 차량기지 http://www.mcnews.co[...]
[4] 뉴스 중부내륙철도 충주노선 확정 http://www.kukinews.[...] 국민일보 2009-03-02
[5] 웹사이트 이천~충주 중부내륙선 철도건설 본격 추진 4일 기공식, 1조1,116억원 투입 2019년 완공 http://dongbujungang[...]
[6] 뉴스 중부내륙선 1단계(이천-충주) 기공식…4일 충주역 http://news1.kr/arti[...] 뉴스1 2015-11-03
[7] 간행물 국토교통부에 의한 노선거리 고시(제2016-223호)관보 제18750호 2016년 4월 29일(금) http://gwanbo.moi.go[...] 대한민국 관보 2016-04-29
[8] 웹사이트 중부내륙선 KTX-이음, 30일부터 판교~충주~문경 운행 개시 https://www.inews365[...]
[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499호 http://gwanbo.mois.g[...] 대한민국 관보 2006-11-28
[10]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202호 http://gwanbo.mois.g[...] 대한민국 관보 2009-05-19
[11] 뉴스 중부내륙선 1단계(이천-충주) 기공식…4일 충주역 http://news1.kr/arti[...] 뉴스1 2015-11-03
[1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767호 이천~충주 철도건설사업 실시계획 변경 승인 http://gwanbo.mois.g[...] 대한민국 관보 2017-11-28
[13] Youtube 중부내륙선 KTX-이음 시운전 감곡장호원역 정차 https://www.youtube.[...]
[1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235호 https://gwanbo.go.kr[...] 대한민국 관보 2021-11-17
[15] 뉴스 중부내륙철도 '충주~감곡장호원∼부발' 개통 예정 https://www.ccreview[...] 충청리뷰 2021-12-29
[16] 뉴스 중부내륙선 KTX 충주~판교 연장 개통 https://news.mbccb.c[...] MBC충북 2023-12-28
[17] 뉴스 충주-문경 중부내륙선, 올 10월 개통...전기공급 시작 https://www.redaily.[...] 철도경제 2024-03-27
[18] 뉴스 중부내륙선 충주~문경 구간 개통, 판교에서 문경까지 90분 시대 열려 https://www.etnews.c[...] 전자신문 2024-11-30
[19] 뉴스 중부내륙철도 충주노선 확정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09-03-02
[20]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202호 국토해양부 2009-04
[21] 뉴스 "중부내륙철도 112번 역사 감곡 방면으로 300m 이전 설치하라" http://www.inews365.[...] 충북일보 2014-08-28
[22] 뉴스 "중부내륙철 감곡 역사 갈등 '종지부'"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5-01-10
[23] 뉴스 "중부내륙철도 개통 후 충주역∼판교역 직통열차 운행해야"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1-13
[24] 문서 판교역 직통 운행 건의 답변서 2020-05-28
[25] 뉴스 [단독] “100원 벌려고 1260원 쓰는 바보?”…달릴수록 손해보는 코레일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3-12-14
[26] 뉴스 이종배 의원, 중부내륙선 KTX-이음, 충주~판교 직통열차 개통 후 이용객 3배 이상 증가 https://www.ccdn.co.[...] 충청매일 2024-01-14
[27] 뉴스 [총선 D-9] "4대 실정" vs "마타도어"…충주 김경욱·이종배 '충돌'(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4-06
[28] 보고서 중부내륙선 O천~O경 철도건설 제O공구 노반 실시설계 실시설계보고서 한국철도시설공단 2017-12
[29] 문서 중부내륙선 관련 공구별 곡선반경 건의 답변서 2020-05-29
[30] 보고서 설계속도 수준별 비용 및 효과 분석 연구 한국철도시설공단 2006-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