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교역 (성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교역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신분당선과 경강선이 지난다. 2011년 신분당선 강남역~정자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6년 경강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2023년에는 KTX가 중부내륙선 충주역 방향으로 운행을 시작했고, 2024년 성남역 개통으로 경강선 역번호가 변경되었다. 2029년에는 경강선 연수역~판교역 구간이 추가 개통될 예정이다. 역은 두 노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 구조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판교테크노밸리, 대형 상업 시설, 주거 공간 등이 역 주변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 부발역
    부발역은 경강선과 중부내륙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2016년 경강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천역과 세종대왕릉역 사이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 세종대왕릉역
    세종대왕릉역은 경기도 여주 능서면에 위치한 경강선 전철역으로, 시민단체의 요구로 영릉역에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역 주변에는 능서초등학교와 세종대왕면 행정복지센터 등의 시설이 있다.
  • 중부내륙선 - 충주역
    충주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중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철도역으로, 1928년 개업 후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전, 2005년 전철화와 2021년, 2024년 중부내륙선 개통을 거치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할 예정이며, 무궁화호와 KTX-이음이 정차하고 주변에 터미널, 축구장,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중부내륙선 - 문경역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문경역은 196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여객 및 화물 영업이 중단된 후, 레일바이크 개업으로 활기를 되찾아 2024년 여객 취급 재개와 함께 현재 위치로 이전한 중부내륙선의 철도역이다.
  • 신분당선의 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신분당선의 역 - 양재역
    양재역은 서울 서초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으로, 1985년 3호선 개통 후 2011년 신분당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12개의 출구를 통해 다양한 시설과 연결된다.
판교역 (성남)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판교역
판교역
주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지하 160
좌표37.394762° N, 127.111137° E
운영사신분당선주식회사, 한국철도공사
노선

[[File:KTX_logo.svg|100x12px|link=KTX]] 중부내륙선
승강장3개
선로3개
구조지하
개업일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
2016년 9월 24일 (경강선)
2023년 12월 28일 (중부내륙선)
노선 정보
신분당선이전 역: 청계산입구역 (신사 방면)
다음 역: 정자역 (광교 방면)
경강선이전 역: 없음 (기점)
다음 역: 성남역 (여주 방면)
중부내륙선 KTX이전 역: 없음 (기점)
다음 역: 부발역 (충주 방면)
한국어 역명
한글판교역
한자板橋驛
로마자 표기Pangyo-yeok
일본어 역명
일본어板橋駅 (はんきょうえき)
로마자 표기Hankyō-eki
주소 (일본어)
소재지일본 경기도성남시분당구
기타 정보
AFC 코드4311
관할신분당선주식회사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경기광주관리역
종별보통역
부역명(판교테크노밸리)
google_map판교역

2. 역사

2. 1. 신분당선

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 강남역~정자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신분당선(주)가 운영하며, 역 번호는 D11이다. 부역명은 판교 테크노밸리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지하 160 (백현동 19-2)에 위치한다.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으며[8],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콩코스 층의 북쪽과 남쪽에 개찰구가 있으며, 승강장 중간에는 경강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 환승 개찰구가 있다. 정자 방면으로 4개의 유치선이 있다.

2. 2. 경강선

2016년 9월 24일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역 ~ 여주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신분당선과의 환승역이 됐다. 2023년 12월 28일에는 경강선 판교역에서 중부내륙선 충주역 방면 KTX 운행이 시작됐다.[11][7] 2024년 3월 30일 성남역 개통으로 경강선 역번호가 K410에서 K409로 변경됐다. 2029년에는 경강선 연수역 ~ 판교역 구간이 추가 개통될 예정이다.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경강선 판교역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지하 160에 있으며, 부역명은 판교 테크노밸리이다.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고,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풀 스크린 타입)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콘코스 층 동쪽과 서쪽에 각각 있다. 다음 역은 성남역이다.

신분당선 환승 개찰구는 개찰구 층과 승강장 층 사이 중간 층계참에 있다. 동쪽 층계참 환승 개찰구는 광교 방면 승강장으로, 서쪽 층계참 환승 개찰구는 신사 방면 승강장으로 연결되므로 방향을 확인해야 한다.

2022년 기준 경강선 판교역의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9,662명(승차 4,826명)이다.

3. 역 구조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에는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경강선 승강장에는 다중 슬라이딩 방식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는 총 4개가 있으며, 모두 신분당선이 관리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소관의 출입구는 없다. 지하 1층에 위치한 대합실(콘코스)은 신분당선한국철도공사가 공동으로 사용하며[8], 고객 서비스 시설,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이 있다. 콘코스 중앙에는 자연 채광을 위한 천창이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양 노선 모두 각각 2곳이 있다.[8]

양 노선 모두 유치선을 보유하고 있다. 심야 시간에는 경강선 열차 2편성이 이 역의 유치선에서 주박하며, 신분당선 열차 2편성은 판교주박기지에서 주박한다.

3. 1. 신분당선 승강장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으며[8],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이다.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전면 스크린 타입)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중간에는 경강선으로 환승할 수 있는 개찰구가 마련되어 있다.

정자 방면으로 4선의 유치선이 있으며, 일부 신분당선 열차는 이 역에서 운행을 시작하거나 마친다. 안내상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사용하지 않는다.

구분행선지
상행-- 신분당선청계산입구 · 양재 · 강남 · 신사 방면
하행정자 · 미금 · 수지구청 · 광교 방면 (일부 열차 당역 종착)



3. 2. 경강선 승강장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위치하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풀 스크린 타입)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 층과 승강장 층 사이의 중간 층계참에 신분당선과의 환승용 개찰구가 있다. 동쪽 층계참은 광교 방면 승강장, 서쪽 층계참은 신사 방면 승강장으로 연결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안내상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없다.

방향노선행선지
상행경강선당역 종착
하행성남 · 경기광주 · 여주 방면



4. 역 주변

판교신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역 주변에는 판교테크노밸리가 조성되어 있다. 이곳에는 카카오 아지트, 카카오 모빌리티, 그레이츠 판교, 판교 테크원타워 등 다수의 IT 기업과 연구소가 밀집하여 한국 경제의 혁신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대형 상업 시설로는 현대백화점 판교점, 롯데마트 판교점, 이마트 판교점, 아브뉴프랑 등이 있어 다양한 쇼핑 및 편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주거 지역으로는 백현동판교동에 걸쳐 백현마을(휴먼시아 1·7·8단지 아파트), 봇들마을, 판교 알파리움(1·2단지 아파트) 등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화랑공원, 보틀 저류지 공원 등 녹지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경부고속도로 판교 나들목이 인접해 있어 고속도로 이용이 편리하다. 역사가 대로변에 있지 않아 시내버스광역버스 등 대부분의 버스를 이용하려면 역 남쪽의 낙생육교 인근 정류장으로 가야 한다. 역 바로 앞 정류장에는 주로 마을버스가 정차한다.

신분당선 본사가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5. 이용객 변동

경강선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6년 9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경강선승차3,3333,3903,9644,5453,6643,9144,826[12]
하차3,3373,4073,9364,5293,6393,8504,836



신분당선의 이용객 수 자료는 공개되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shinbunda[...] Neo Trans Co 2017-01-16
[2] 웹사이트 http://terms.naver.c[...] Doopedia 2017-01-16
[3] 웹사이트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7-01-16
[4] 뉴스 Hyundai preps largest luxury store yet http://koreajoongang[...] 2016-05-01
[5] 뉴스 http://www.thegolfti[...] 2017-08-02
[6] 웹사이트 http://www.munhwa.co[...] 2017-08-02
[7] 뉴스 'KTX 타고 충주~판교 한번에'…직통열차 연말 개통 https://newsis.com/v[...] 뉴시스
[8] 문서 http://www.shinbunda[...]
[9] 웹사이트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2
[10] 문서 전산상으로는 [[장항선]] [[판교역 (서천)|판교역]]과 구분을 위하여 신판교역(新板橋驛)으로 운영중이다.
[11] 뉴스 'KTX 타고 충주~판교 한번에'…직통열차 연말 개통 https://newsis.com/v[...] 뉴시스
[12]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