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성여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성여객은 1972년 설립된 인천광역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좌석버스 운행, 타 버스 회사와의 차량 교환 등을 거쳐 성장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시내버스 노선 매각, 저상버스 도입, 노선 연장 등을 통해 서비스를 개선했다. 2019년 본점을 이전했고, 2020년에는 790번 시외좌석버스가 준공영제 노선으로 변경되었으며, 시내버스 노선 개편과 현금 없는 버스 시스템을 도입했다. 현재 33번, 36번 간선버스와 790번, 790A번, 790B번 시외좌석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KD운송그룹
    KD운송그룹은 허명회 회장이 설립한 대원여객을 모태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버스 운송 기업 중 하나로 성장하여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자체 사업 부문과 직원 복지를 위한 계열사도 운영하지만, 과거 노선 폐선 논란이나 안전사고 등의 부정적인 면도 존재한다.
  • 197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항철공사
    항철공사는 1972년 지하철 공사로 설립되어 홍콩의 도시 철도 시스템인 MTR을 운영하며, 철도 운영과 부동산 개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해외로도 사업을 확장하는 기업이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 인천 남동구의 교통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광역시에서 성남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46.75km의 제2경인고속도로는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남부를 잇는 중요한 교통축이나, 대형 사고와 교통 정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인천 남동구의 교통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수도권 지역을 순환하는 총연장 128.02km의 고속도로로, 1988년 건설을 시작하여 단계적인 확장과 노선 변경을 거쳐 200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일부 민자 구간은 개방식 요금소를 통해 통행료를 징수하고 경기순환버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부성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부성여객 주식회사
원어Buseong Passenger Co., Ltd.
국가대한민국
장소인천광역시 남동구 수현로 9 (장수동)
창립1972년 1월 24일
인물김태인 (대표이사 사장)
산업운수업
제품시내버스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자본금1,080,000,000원
매출액13,735,237,115원
영업이익-60,357,570원
순이익182,253,728원
자산총액6,441,364,010원
주주 정보
주주권숙일: 14.6%
주주안지헌: 13.4%
주주노재곤: 12.3%
주주송기렬: 12.3%
주주강창진: 11.1%
주주김태인: 10.0%
주주권희진: 9.3%
주주신인철: 8.8%
주주위당은: 4.2%
주주자기주식: 4.2%
기타 정보
종업원 수168명 (2020.12)

2. 주요 연혁

2. 1. 회사 설립 및 성장 (1970년대 ~ 1990년대)


  • 1972년 1월 24일: 회사 설립[1]
  • 1978년 12월 28일: 현 위치인 경기도 인천시 북구 가좌동(현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으로 이전.[2]
  • 1991년: 인천시 좌석버스를 개통하여 공동배차로 운행.[3]
  • 1992년 7월: 계양구 25번 마을버스(효성동-동서식품-대우자동차(현 한국GM)-부평역 노선) 낙찰.[4]
  • 1995년: 계양구 25번 마을버스를 효성운수에 매각.[5]
  • 1998년 10월 19일: 보유했던 좌석버스를 강인여객에 매각. 이 과정에서 강인여객 시내버스 일부 차종을 인수하였지만, 부성여객은 현대자동차 원메이크 업체였기 때문에 강인여객으로부터 받은 대우 시내버스 차량을 제물포버스로 넘기고, 제물포버스의 일부 차량을 받는 방식으로 거래.
  • 1999년 9월: 경인여객 폐업으로 버스 6대를 받았으나, 부성여객은 현대자동차 버스만 보유했기에 제물포버스가 보유했던 현대자동차 버스 6대를 받고, 부성여객이 가져갈 경인여객 버스 6대는 제물포버스가 가져감.

2. 2. 노선 확장 및 서비스 개선 (2000년대 ~ 2010년대)

2000년 3월 26일, 인천시내버스 1차 고정배차제 시행으로 부성여객은 28번, 33번, 36번, 64번 시내버스를 배정받아 운행하였다. 2003년 4월 23일에는 28번 시내버스(당시 연안부두-인천역-만석동-남구청-인천고등학교-주안북부역-가좌동-서구청 노선)를 세원교통에 매각하였다. 같은 해 9월에는 64번 시내버스(당시 연안부두-옥련지구-송도역-인천여자고등학교-선학역-인천터미널-간석5거리 노선)를 도영운수에 매각하였으나, 2004년에 노선이 폐선되었다.

2007년에는 33번과 36번 시내버스에 노약자와 장애인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위해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운행하였다.

2. 3. 최근 동향 (2019년 ~ 현재)


  • 2019년 10월 7일: 본점을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로95번길에서 남동구 수현로로 이전하였다.
  • 2020년 3월 14일: 36번 시내버스의 종점을 숭덕여자고등학교에서 인천대공원(수현마을)으로 변경하였다.
  • 2020년 6월 19일: 790번 시외좌석버스 한정면허 종료와 더불어 노선이 대폭 변경되어 준공영제에 편입, 2020년 8월 1일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20년 8월 1일: 신강교통의 790번 시외좌석버스 노선의 한정면허 종료 선언에 따라 790번이 준공영제 노선으로 편입되어 노선 일부 변경 후 재개통하여 운행하였다.
  • 2020년 10월 27일: 시내버스 노선 개편에 따라 33번, 790번 노선 변경과 790번 부노선이 신설 개통하여 2020년 12월 31일 운행할 예정이다.
  •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대개편으로 33번 노선이 항동7가 버스차고지에서 인하대병원으로 종점 변경, 인천대공원(장수동 버스차고지)으로 기점 변경과 함께 노선이 대폭 변경되었다. 790번 좌석버스의 노선이 변경되었고, 부노선인 790A노선과 790B노선을 신설 개통하였다.
  • 2025년 1월 1일: 인천시내버스의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으로 36번 시내버스 노선을 포함한 보유 노선 전 노선에서 현금 없는 버스를 시행한다.

3. 운행 노선

부성여객은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로, 간선버스와 시외좌석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노선운행 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33번장수동 부성여객 ↔ 인하대병원숭덕여중(숭덕여고), 만수종합시장, 만수역, 남동초교, 서창e편한세상, 남촌농산물시장, 남촌풍림A, 구월아시아드6단지, 길병원, 인천광역시청, 시민공원역, 제물포역, 숭의로터리8 - 1223
36번장수동 부성여객 ↔ 항동7가버스차고지[3]만수주공, 만수역, 모래내시장,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신기시장, 독정이, 인하대병원, 어시장, 연안부두4 - 737
790번인천대공원 ↔ 영흥도만수동, 모래내시장역, 인천시청후문,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선수촌사거리, 남동체육관, 소래포구입구, 월곶, 오이도역, 시화지구, 시화방조제, 방아머리, 대부도, 선재도40 - 504신강교통에서 한정면허 종료로 준공영 편입 노선
790A번인천대공원 ↔ 영흥도인천광역시청 - 인천터미널(롯데백화점) - 방죽사거리 - 소래포구 - 오이도역 - 북동삼거리 - 대부중학교(대부고등학교) - 선재대교 입구 - 선재도1회 운행1[4]
790B번인천대공원 ↔ 영흥도인천광역시청 - 옹진군청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오이도역 - 대부도서관1회 운행1[5]


3. 1. 간선버스

노선운행 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33번장수동 부성여객 ↔ 인하대병원숭덕여중(숭덕여고), 만수종합시장, 만수역, 남동초교, 서창e편한세상, 남촌농산물시장, 남촌풍림A, 구월아시아드6단지, 길병원, 인천광역시청, 시민공원역, 제물포역, 숭의로터리8 - 1223
36번장수동 부성여객 ↔ 항동7가버스차고지[3]만수주공, 만수역, 모래내시장,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신기시장, 독정이, 인하대병원, 어시장, 연안부두4 - 737


3. 2. 시외좌석버스

운행 노선운행 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790번인천대공원 ↔ 영흥도만수동, 모래내시장역, 인천시청후문,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선수촌사거리, 남동체육관, 소래포구입구, 월곶, 오이도역, 시화지구, 시화방조제, 방아머리, 대부도, 선재도40 - 504신강교통에서 한정면허 종료로 준공영 편입 노선
790A번인천대공원 ↔ 영흥도인천광역시청 - 인천터미널(롯데백화점) - 방죽사거리 - 소래포구 - 오이도역 - 북동삼거리 - 대부중학교(대부고등학교) - 선재대교 입구 - 선재도1회 운행1[4]
790B번인천대공원 ↔ 영흥도인천광역시청 - 옹진군청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오이도역 - 대부도서관1회 운행1[5]


4. 과거 운행 노선

28번한국어: 연안부두 - 전통게장길조 앞 - 인천국제여객터미널 - 연안여객터미널 - 라이프쇼핑 앞 - 연안초등학교 - 대양자동차운전전문학원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항운아파트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 비축기지 - 인하대학교 부속병원 - 구)터미널(대우아파트) - 강원연탄 - 신흥시장 - 중구노인복지회관 - 신흥초등학교(송도중학교) - 신포동주민센터 - 동인천 등기소 - 중구청 - 인천역(차이나타운) - 송월시장 - 동일방직 - 만석동주민센터(동구선거관리위원회) - 영풍아파트 - 회도진공원 - 화도고개 - 화평철교 - 동인천역 - 배다리청과물시장 - 인천정보산업고등학교 - 도원동주민센터 - 도원역(인천세무서) - 숭의목공예마을 - 미추홀구청 - 숭의초등학교 - 용현시장 - 독정이고개 - 용일초등학교 - 용남시장 - 석락아파트 - 새안의원 - 신기4거리(국민건강보험 인천남부지사) - 주안남초등학교 - 인천고등학교 체육관(승기4거리) - 인천고등학교 - 석바위시장 - 더월드스테이트아파트 - 광명아파트 - KB국민은행 주안북지점 - 주안역 북부 - 공단시장 - 6공단 입구 - 롯데기공 - 한국폴리텍2대학 남인천캠퍼스 - LS산전 - 한미반도체 - 공단본부 - 공단자동차 - 코스모스화학 - 가재울4거리 - 가좌교회 - 가좌4동 주민센터 - 가좌초등학교 - 가좌주공아파트 - 한신휴아파트 - 범양아파트 - 범양상가 - 미주탕 - 석남중학교 - 쌍마아파트 - 거북시장 - 대은교회 - 석남고가4거리 - 성민병원 - 강남시장 - 신현동 주민센터 - 신현쇼핑 - 이편안한,하늘채아파트 - 가정5거리 - 현광아파트 - 서인천농협 - 인재개발원 - 심곡초등학교 - 대동아파트 - 광명아파트 - 공촌마을 - 연희4거리(반환시: 중앙아파트 - 서인천세무서 - 태영아파트 - 서구보건소 - KT서인천지사 - 심곡극동아파트 - kepco 서인천변전소 - 가정5거리 "이후동일") [1]

64번한국어: 연안부두 - 전통게장길조 앞 - 인천국제여객터미널 - 풍물시장 - 라이프아파트 - 연안부두 어시장 - 라이프쇼핑 - 인천종합수산물센터 - 수협 - 정기무역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항운아파트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 비축기지 - 인하대학교 부속병원 - 현대아이파크 아파트 - 한양2차 아파트 - 정비단지 - ITV경인방송 - 송도채석장 -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 GS자이 아파트 - 원흥아파트 - 백산아파트 - 우성2차 아파트 - 축현초등학교 - 호불사 입구 - 송도재래시장 - 송도역 - 송도영남아파트 - 청학아파트 - KEPCO남인천지사 - 효정아파트 - 동남아파트 - - 연수우체국 - 가천대학교 - 인천여자고등학교 - 선학4거리(연수병원) - 선학역 - 문학경기장 - 신세계백화점(인천터미널) - 이토타워 - 인천지방경찰청 - 중앙공원 - 인천광역시청(인천광역시 교육청) - 주원고개 - 동암역 남광장입구 - 간석오거리역(반환시: 간석5거리 - 경복예식장 "이후동일") [2]

28번은 2000년 3월 26일부터 2003년 4월 말까지 운행 후 세원교통에 매각되었고,[1] 64번은 2000년 3월 26일부터 2003년 9월까지 운행 후 도영운수에 매각되었으며, 2004년에 폐선되었다.[2]

5. 보유 차량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 블루시티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참조

[1] 기타 월-금요일만 운행,공휴일,휴일 운행안함
[2] 기타 월-금요일만 운행,공휴일,휴일 운행안함
[3] 기타 연안부두
[4] 기타 하행 : 영흥도 - 대부도서관 - 오이도역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옹진군청 - 인천광역시청 - 장수동 부성여객
[5] 기타 영흥도 - 대부동행정복지센터 - 오이도역 - 인천터미널(롯데백화점) - 인천광역시청 - 장수동 부성여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