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칭(Patronymic)은 아버지 또는 남계 조상의 이름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이름의 한 유형이다. 영어에서 파생된 용어는 'patronym'과 'patronymic'이 있으며, 그리스어 'patēr'(아버지)와 'onyma'(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부칭은 성씨보다 먼저 사용되었으며, 여러 문화권에서 성씨의 기원이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부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슬라브 문화권에서는 부칭이 공식적인 이름의 일부로 사용되며, 러시아어에서는 이름과 부칭을 함께 사용하여 존칭을 나타낸다. 아이슬란드에서는 부칭이 법적으로 성씨를 대신하며, 아랍 문화권,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페르시아, 터키 등에서도 부칭이 사용된다. 이 외에도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부칭의 형태와 사용 방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버지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아버지 - 시부모
    시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를 칭하는 의친의 일종으로, 민법상 친족이자 인척에 해당하며, 전통적인 고부 갈등은 현대 사회에서도 결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 이름 - 미카엘라
    미카엘라는 여러 언어에서 변형되어 사용되는 이름으로, 실존 인물, 가상 인물, 노래 제목, 드라마 제목 등으로 사용되며, 특정 국가에서는 이름날로 기념되기도 한다.
  • 이름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부칭
어원
의미아버지의 이름에서 유래
유형
설명아버지의 이름에 기반한 성씨의 구성 요소
문화적 차이문화마다 다른 형태와 사용법 존재
활용개인 식별 및 가계 정보 제공
역사
기원고대 사회에서 아버지의 중요성 반영
발전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
사용 지역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
사회적 의미
가계 계승가족의 역사와 전통을 나타냄
사회적 연결공동체 내에서 개인의 위치와 관계를 나타냄
문화적 정체성특정 문화권의 구성원임을 나타냄

2. 용어의 기원

일반적인 영어 명사와 형용사는 'patronymic'이지만, 명사로서는 'patronym'과 자유 변이로 함께 존재한다. 'patronym'의 첫 부분은 그리스어 πατήρ (아버지)(속격 πατρός에서 유래, 이에 따라 결합 형태 πατρο-)에서 유래되었으며,[3] 두 번째 부분은 그리스어 ὄνυμα, ὄνομα('이름'의 변형 형태)에서 유래되었다.[4] 'patronymic' 형태는 접미사 -ικός(-ikos)를 추가하여 '~에 속하는'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었다(따라서 '아버지의 이름에 속하는'). 이러한 형태는 헬레니즘 그리스어에서 πατρώνυμος (patrōnymos)와 πατρωνυμικός (patrōnymikos)로 증명되었다.[5] 'patronym' 형태는 1834년에 영어에서 처음 증명되었으며, 이 단어는 프랑스어 'patronyme'에서 영어로 차용되었고, 프랑스어는 이 단어를 직접 그리스어에서 차용했다. 'patronymic'은 1612년에 영어에서 처음 증명되었으며, 더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두 그리스어 단어 모두 라틴어로 들어가 라틴어에서 프랑스어로 들어갔다. 영어 형태 'patronymic'은 프랑스어와 라틴어가 영어에 미치는 상호 영향을 통해 차용되었다.[6]

3. 역사적 배경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부칭은 성씨보다 먼저 사용되었다. 많은 켈트어, 게르만어, 이베리아, 조지아어, 아르메니아어슬라브어에서 성씨는 부칭에서 유래되었다. 예를 들어, 윌슨(윌리엄의 아들), 피츠제럴드(제럴드의 아들), 파월("ap Hywel"에서 유래), 페르난데스, 로드리게스(로데리고의 아들), 안데르손 또는 안데르센(안데르의 아들, 스칸디나비아 형태의 앤드루), 칼센(의 아들), 일리인(일리야의), 페트로프(피터의), 그리고로비치(그리고리, 그레고리의 러시아어 형태의 아들), 스테파노비치(스테판의 아들, 작은 스테판), 맥알리스터("mac Alistair"에서 유래, 알렉산더의 영어식 스코틀랜드어 형태인 알리스테어의 아들을 의미) 및 오코너("Ó Conchobhair"에서 유래, 콘코버의 손자/후손을 의미)와 같다. 과거에 부칭을 사용했던 다른 문화권에서는 아버지의 성을 자녀(와 아내)에게 자신의 성으로 물려주는 더 널리 퍼진 방식으로 전환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성씨가 드물다. 아이슬란드 법은 성씨보다 부칭(그리고 최근에는 모칭)의 사용을 선호한다.

4. 현대적 사용

현대 사회에서 부칭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 아이슬란드에서는 법적으로 부칭 또는 모칭을 성으로 사용해야 한다.[27] 아버지의 이름에 '-son'(아들) 또는 '-dóttir'(딸) 접미사를 붙이며, 논바이너리 사람들은 '-bur'(~의 아이) 접미사를 사용한다.[28]
  • 러시아 및 동유럽에서는 남성의 경우 '-ovich', '-evich', '-ich', 여성의 경우 '-ovna', '-yevna', '-ichna' 등의 접미사를 사용하여 부칭을 만든다.[33][34] 부칭은 공식 문서와 상황에서 사용되는 이름의 일부이며, 이름과 함께 사용하여 상대를 존중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33][34][35]
  • 중동 및 아랍 문화권에서는 개인 이름 뒤에 아버지의 이름을 잇는 계보 표시(나사브)를 사용하거나, 조상의 이름이나 직업 등을 가명으로 사용한다.[3] 이슬람권에서는 부칭을 사용하는 지역이 많지만, 이란이나 튀르키예처럼 성을 사용하는 지역도 있다.[4]
  •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는 아랍식 작명 방식을 따르거나, 부칭을 중간 이름 또는 성으로 사용한다.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에서는 성이 없고, 이름 뒤에 아버지의 이름과 할아버지의 이름을 붙인다. 케냐, 모잠비크, 나이지리아, 소말리아 등에서도 부칭 사용이 나타난다.
  • 아시아의 일부 소수 민족들은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자녀의 이름을 짓는 부칭 작명법을 사용한다.[9][10][11] 몽골에서는 부칭이 성처럼 사용된다. 인도에서는 부칭이 흔하며, 특히 타밀나두, 케랄라 등 남부 지역에서는 카스트 이름을 대신하여 부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2]
  • 동남아시아의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등에서는 아랍식 부칭 작명 시스템을 따르며, 인도네시아에서도 다양한 작명 시스템이 존재한다.

4. 1.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에서는 부칭 또는 모칭이 여전히 성으로 사용되며, 이는 실제로 법에 의해 요구된다. 예외는 소수이다. 거의 모든 경우, 아버지의 이름(보통 소유격)이 "아들"의 경우 ''son''과 "딸"의 경우 ''dóttir''와 함께 사용된다.[27] 예를 들어, 요한나 시구르다르도티르는 "시구르드[ur]의 딸 요한나"를 의미한다. 남성 또는 여성으로 식별하지 않는 사람들 (논바이너리 사람들)은 ''-bur'' 접미사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의 아이''를 의미한다.[28]

4. 2. 러시아 및 동유럽

러시아어에서 남성의 부칭은 -ovich, -evich(-ович, -евич)와 -ich(-ич)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여성의 경우 해당 어미는 -ovna, -yevna(-овна, -евна) 또는 -ichna(-ична)이다.[33][34] 예를 들어, 아버지의 이름이 니콜라이이고 이름이 이반인 남성은 이반 니콜라예비치 또는 "니콜라이의 아들 이반"으로 알려진다. 마찬가지로, 아버지의 이름이 니콜라이이고 이름이 류드밀라라는 여성은 류드밀라 니콜라예브나 또는 "니콜라이의 딸 류드밀라"로 알려진다.

러시아에서 부칭은 이름의 공식적인 부분이며, 모든 공식 문서에 사용되고, 공식적인 자리에서나 친구들 사이에서 상대를 부를 때 사용된다.[33][34] 정식으로 이름을 쓰는 순서는 성, 이름, 부칭 순이다. 예를 들어, 마리야 이오시포브나 주코바라는 여성은 "주코바 마리야 이오시포브나"라고 적힌 명함을 건네줄 것이다. 러시아어에서 이름과 부칭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친한 친구, 가족 구성원 또는 어린이를 제외한 모든 사람을 대하는 중립적이고 올바르며 예의 바른 방식이다. 학생들은 선생님을 이름과 부칭으로 부르는 것이 적절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안나 보리소브나 코필로바라는 선생님은 항상 학생들에게 안나 보리소브나로 불릴 것이다. 공식적인 자리, 직장 동료, 지인 등 많은 상황에서 개인은 이름과 부칭으로 불린다.[33][35] 젊은 개인(50세 미만)이 직장에서 부칭을 생략하는 것이 점점 더 일반화되고 있다.[35]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개인이 애칭으로 불리는 경우 부칭은 사용되지 않는다.[34]

구어체의 비공식적인 대화에서는 부칭의 어미를 축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니콜라예비치는 니콜라이치로, 스테판 이바노비치는 스테판 이바니치 또는 단순히 이바니치로 축약될 수 있으며, 이름은 완전히 생략될 수도 있다. 남성 이름과 달리, 여성이 이름 없이 부칭으로 불리는 경우 부칭은 일반적으로 축약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부칭만 사용하면 연장자 여성에게 친숙한 호칭이다.

우크라이나어에서 여성 부칭은 항상 -івна(-''ivna'') 또는 -ївна(-''yivna'')로 끝난다.[36] 남성 부칭은 항상 -ович(-''ovych'') 또는 -йович(-''yovych'')로 끝난다.[36] 부칭은 전체 이름의 일부이며 공식적인 메시지에서 필수적이다. 존칭으로 사람을 부르거나(이름과 부칭을 사용하여) 공식적인 환경에서 비공식적인 메시지를 강조할 때(이름이나 성 없이 부칭만 사용하여) 흔히 일반적인 대화에서 사용된다.

4. 3. 중동 및 아랍 문화권

아랍인에게는 일본과 같은 확고한 제도로서의 성이 없고, 사담 ''후세인''처럼 개인명의 뒤에 부칭을 잇는 계보 표시('''나사브'''), 빈 라덴처럼 조상명이나 그 통칭을 가명으로 사용하는 경우, 선조의 직업명을 가명으로 하는 경우, 부족·출신지 유래의 형용사를 성처럼 라스트네임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이 많이 보인다. 개인명의 뒤에 아버지의 이름을 잇는 풀네임으로 하는 예는 그다지 많지 않으며, 여러 외국의 퍼스트 네임 + 라스트 네임에 상당하는 표기에서는 퍼스트 네임 뒤에 가명류가 온다.[3]

또한 이슬람권에서는 아랍과 마찬가지로 부칭을 사용하는 지역도 많지만, 현재에는 이란이나 튀르키예처럼 성(부칭에 기초한 것도 많다)을 칭하게 된 지역도 있다.[4]

4. 4. 아프리카

전통적으로 무슬림이며 아랍어를 사용하지 않는 아프리카인, 예를 들어 하우사족과 풀라니족은 일반적으로 아랍식 작명 방식을 따르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7] 이들은 "...의 아들"을 뜻하는 단어나 구절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이브라힘의 아들 아흐메드의 아들 모하메드는 "모하메드 이브라힘 아흐메드"가 되고, 그의 아들 알리는 "알리 모하메드 이브라힘"이 된다.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am )와 에리트레아( 에리트레아ti )에서는 성과 이름이 없고, 단일 이름으로 사람을 지칭한다. 이름 뒤에 아버지의 이름이 오고, 선택적으로 할아버지의 이름이 온다. 예를 들어, 렘렘 멩게샤 아브라하라는 사람은 렘렘(이름), 멩게샤(아버지의 이름), 아브라하(할아버지의 이름)를 갖는다. 할아버지의 이름은 주로 공식 문서에만 사용된다. 여성은 결혼 후에도 자신의 이름, 아버지의 이름, 할아버지의 이름을 유지한다.

일부 케냐 공동체는 과거에 부칭을 사용했지만, 2010년경부터는 아버지의 성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칼렌진어: '아랍'(arap)을 사용하여 '~의 아들'을 의미한다.
  • 키쿠유어: '와'(wa)를 사용하여 '~의'를 의미한다. 일부다처제 때문에 모칭도 사용되었으며, '와'는 자녀가 어느 부인에게서 태어났는지 식별하는 데 사용되었다.
  • 마사이어: '올레'(ole)를 사용하여 '~의 아들'을 의미한다.
  • 메루어: 'mto'를 사용하며 M'으로 줄여 쓴다. 예를 들어, Mkindia의 아들은 M'Mkindia가 된다.


모잠비크의 일부 지역, 특히 잠베지아 주에서는 부칭 사용이 기록되었다.[8]

일부 나이지리아인(특히 북부)은 여전히 부칭을 사용한다. 부칭은 중간 이름, 하이픈으로 연결된 성의 첫 부분, 또는 성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다무 압둘카비루 지브릴이라는 남자는 "아다무"(이름), "압둘카비루"(부칭 중간 이름), "지브릴"(가족 성)을 갖는다.

소말리아인들은 서류상 성으로 부친의 부친의 이름을 사용한다. "ina" 또는 "iña"는 "...의 아들" 또는 "...의 딸"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hmed Mohamed Ali Farah"는 "파라의 아들 알리의 아들 모하메드의 아들 아흐메드"를 의미한다. 여성은 남편의 부칭을 사용하지 않고 자신의 부칭을 유지한다.

줄루족 사이에서 부칭은 식민지 이전 시대에 사용되었다. "ka" 접두사는 아버지의 이름에 붙여졌다. 예를 들어 샤카 카센장아코나는 센장아코나의 아들 샤카를 의미한다. 이러한 관행은 유럽식 성씨 제도의 도입으로 사라졌지만, 여전히 전통 문화 관행의 일부로 남아있다.

4. 5. 아시아

아타얄족은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자녀의 이름을 짓는 부칭을 사용하며, 아들과 딸 모두에게 적용된다. 아미족은 아들의 이름 뒤에 아버지의 이름을 붙이지만, 딸의 이름 뒤에는 어머니의 이름을 붙인다. 시디크족은 부모 중 누구의 이름을 따를지 선택할 수 있다.

튀르크족과 아제르바이잔인은 일함 알리예프처럼 '-oğlu'(oğul, "아들"의 3인칭 소유 형태) 형태의 부칭이 있는 중간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튀르키예어로는 '''올''', 아제르바이잔어로는 '''오글'''로 발음된다.

4. 5. 1. 몽골

몽골인의 이름은 아버지의 이름과 소유격을 나타내는 표지(marker)로 시작하며, 아들과 딸 모두 부칭을 사용한다. 현대 몽골에서도 부칭이 성처럼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 요코즈나 하쿠호(출생명: 뭉크바트 다바자르갈)의 부친은 지그지드 뭉크바트이다.

4. 5. 2. 중국

윈난성, 하니, 징포, 지노, 더룽, , , 묘, 야오 등 여러 소수 민족들은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자녀의 이름을 짓는 부칭 작명법(친자 연결 명칭 시스템)을 사용한다.[9] 역사적으로 나시와 백 역시 이러한 부칭 시스템을 사용했다.[10] 이 방식에서는 아버지 이름의 마지막 한두 음절이 아들의 이름에서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음절이 되고, 아들 이름의 마지막 한두 음절은 다시 손자 이름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음절로 이어진다. 이러한 작명 전통은 티베토-버마어의 전통과 깊은 관련이 있다.[11]

이러한 시스템은 남조, 대리, 그리고 리장 통치자들의 이름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 남조 왕들: 시누뤄(細奴邏)-뤄성(邏盛)-성뤄피(盛邏皮)-피뤄거 (皮邏閣)-거뤄펑(閣邏鳳)-펑자이(鳳迦異)-이무쉰(異牟尋)-쉰거취안(尋閣勸)-취안룽성(勸龍晟)

  • 대리 왕들: 단즈샹(段智祥)-단 샹싱(段祥興)-단 싱즈(段興智)

  • 대리국 섭정들: 가오성타이 (高升泰)-가오 타이밍(高泰明)-가오 밍순(高明順)-가오 순전(高順貞)-가오 전서우(高貞壽)-가오 서우창(高壽昌)

  • 리장 족장들: 아충 아량(阿琮阿良)-아량 아후(阿良阿胡)-아후 아리에(阿胡阿烈)-아리에 아자(阿烈阿甲)-아자 아더(阿甲阿得)-아더 아추(阿得阿初)-아추 아투(阿初阿土)-아투 아티(阿土阿地)-아티 아시(阿地阿習)-아시 아야(阿習阿牙)-아야 아치우(阿牙阿秋)-아치우 아궁(阿秋阿公)-아궁 아무(阿公阿目)-아무 아두(阿目阿都)-아두 아성(阿都阿勝)-아성 아자이 (阿勝阿宅)-아자이 아쓰 (阿宅阿寺)-아쓰 아춘(阿寺阿春)-아춘 아수(阿春阿俗)-아수 아웨이(阿俗阿胃)-아웨이 아후이(阿胃阿揮)-아후이 아주(阿揮阿住)

4. 5. 3. 인도

인도에서는 부칭이 흔하다. 예를 들어 아버지의 이름이 람프라사드 사친 판데이(남성 이름)인 경우, 아들의 이름을 수닐 람프라사드 판데이로 지을 수 있으며, 아들은 다시 산지브 수닐 판데이로 이름을 지을 수 있다. 이처럼 성씨와 달리 부칭은 여러 세대에 걸쳐 내려가지 않는다.[12]

타밀나두, 케랄라의 일부 지역, 그리고 남 카르나타카에서는 부칭이 주를 이룬다. 이는 카스트 이름을 성씨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다른 지역과는 상당히 다른 점이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드라비다 운동이 이름에 카스트를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면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12]

아버지의 전체 이름을 사용하는 대신, 일반적으로 이름 앞에 첫 글자만 이니셜로 붙인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의 이름이 ''니킬레쉬''이고 아버지의 이름이 ''라자라만''이라면, 전체 이름은 ''R. 니킬레쉬''가 된다. 인도 여권 신청과 같이 이니셜을 허용하지 않는 특별한 경우에만 이니셜을 확장하여 이름을 "니킬레쉬 라자라만" 또는 "라자라만 니킬레쉬"로 작성한다. 일부 가족은 고향의 이름, 할아버지의 이름 또는 둘 다를 이니셜로 유지하는 전통을 따른다. 인도 영어 소설가 R. K. 나라얀의 본명은 라시푸람 크리슈나스와미 아야르 나라야나스와미였는데, 작가 친구인 그레이엄 그린의 요청으로 축약되었다. 라시푸람은 지명이고, 크리슈나스와미 아야르는 부칭이다.[12]

타밀나두에서 부칭 명명 방식은 카스트 기반 차별을 근절하기 위한 사회 정의 운동의 영향을 받아 인도의 다른 지역과 크게 다르다. 이 시스템에서 개인은 종종 아버지의 이름을 이니셜 또는 성씨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R. 카르틱"은 카르틱을 나타내며, "R"은 아버지의 이름을 나타낸다. 부칭이 혈통 또는 사회적 지위의 지표 역할을 하는 다른 인도 주와 달리, 타밀나두의 시스템은 각 세대마다 부칭이 변경되도록 하여 영구적인 성씨가 상속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변화는 카스트 표식을 해체하려는 주의 더 광범위한 노력, 20세기에 페리야르 E.V. 라마사미와 같은 인물이 이끈 드라비다 운동의 핵심 이니셔티브를 반영한다.[12]

타밀나두에서 이니셜과 성씨의 사용은 유연하며 개인의 재량에 맡겨져 있다. 예를 들어, 고 M. 카루나니디 총리는 M. 카루나니디로 불리는 것을 선호했는데, 여기서 "M"은 그의 아버지 무투벨의 이름을 나타낸다. 그의 아들 M. K. 스탈린은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이름을 모두 포함하는 반면, 스탈린의 아들은 우다야니디 스탈린으로 불리며 아버지의 이름을 이니셜이 아닌 성씨로 사용한다.[12]

스포츠에서, 크리켓 선수 라비찬드란 아쉬윈은 아버지의 이름이 라비찬드란인데, "R. 아쉬윈" 또는 "라비찬드란 아쉬윈"으로 알려지는 것을 선호한다. 아쉬윈은 아버지의 이름만으로 그를 부르는 것은 부적절하기 때문에, 아버지의 이름과 함께 자신의 이름을 사용한다.[12]

타밀어에서 이름이 들리는 방식에 맞춰 이니셜을 확장하는 추세가 타밀나두에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Pala. 카루피아" 또는 "Pa. 란지트"와 같이 타밀어로 이름에 더 가깝게 발음하기 위해 이름을 음성적으로 확장하기도 한다.[12]

학계와 전문 분야에서, M. 아나두라이와 같은 과학자들은 "마일사미 아나두라이"로 이름을 확장하지만, 그를 아버지의 이름인 마일사미로 부르는 것은 부적절하다. 대신, 그는 주어진 이름인 아나두라이로 불린다.[12]

타밀나두는 카스트 기반 성씨에서 벗어났지만, 명명 시스템은 경직된 혈통 기반 구조로부터 자유로운 개인의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다른 인도 주와 구별된다.[12]

타밀나두에서는 카스트 이름을 성/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지만(금지되지는 않음), 주 밖의 사람들은 이러한 사용에 무관심하다. 락슈미 메논, 실파 셰티 등은 카스트 이름을 포함한 선호하는 이름으로 불린다. 파순폰 무투라말링가 데바르, U.Ve. 스와미나타 아이에르, V.O 치담바람 필라이 등과 같이 카스트가 포함된 오래된 타밀 이름도 언급될 때 완전히 사용된다.[12]

마드라스 고등 법원은 최근 주 전역의 정부 학교 이름에서 공동체 및 카스트 이름을 제거하라고 지시했다. 이 법적 조치는 교육 시스템을 통해 카스트 제도가 영속되지 않도록 보장하여 지난 세기 동안 타밀나두의 이름과 정체성에 대한 접근 방식을 형성한 더 큰 운동과 일치한다.[13]

안드라프라데시와 텔랑가나에서는 명명 패턴이 성, 이름, 카스트 이름 순서로 되어 있지만, 때로는 카스트 이름이 생략되기도 한다. 알루구팔리 수디르 레디와 같은 이름이 나타나면, 알루구팔리는 성이고, 수디르는 이름이며, 레디는 카스트 이름이다. 고르레 수닐 쿠마르와 같은 이름을 발견하면, 고르레는 성이고, 수닐 쿠마르는 이름이다. 여기에서 카스트 이름은 생략된다. 최근, 어떤 사람들은 이름, 카스트 이름, 성 순서로 이름을 쓰고 있다. 때로는 카스트 이름이 여기에서도 생략된다. 사티아나라야나 반디와 같은 이름에서 볼 수 있는데, 사티아나라야나는 이름이고, 반디는 성이다.

마하라슈트라, 카르나타카, 구자라트에서는 힌두 공동체에서 매우 흔한 관례로, 부칭을 중간 이름으로 사용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인물전체 이름설명
사르다르 발라브바이 파텔발라브바이 자베르바이 파텔자베르바이는 그의 아버지의 이름이다.
사친 텐둘카르사친 라메쉬 텐둘카르라메쉬는 그의 아버지의 이름이다.
수닐 가바스카르수닐 마노하르 가바스카르마노하르는 그의 아버지의 이름이다.
로한 가바스카르로한 수닐 가바스카르수닐 가바스카르의 아들이다.
나렌드라 모디나렌드라 다모다르다스 모디다모다르다스는 그의 아버지의 이름이다.



이 시스템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모두에게 적용되지만, 결혼 후 여성은 남편의 이름을 중간 이름으로 사용한다. 그녀의 새로운 중간 이름은 더 이상 부칭이 아니다. 러시아 이름과 유사하지만, 러시아어 부칭에서는 접미사 '-yevich', '-yevna'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한다.

무슬림 이스마일파 피크 교도들은 또한 아버지의 이름과 할아버지의 이름, 그리고 성씨를 사용하는 부칭 중간 이름을 사용한다. "라마잔 라힘 알리 만지"라고 불리는 사람은 아들을 "카림 라마잔 라힘 만지"라고 부를 수 있으며, 그의 손녀는 "자라 카림 라마잔 만지"라고 불릴 수 있다.

싱가포르말레이시아의 인도인, 특히 타밀족 출신들은 종종 부칭 전통을 이어간다. 이는 하나의 이름과 "아들/딸", 그리고 아버지의 이름을 따르는 것을 포함한다.

4. 5. 4. 동남아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에서 민족 말레이인과 인도인은 일반적으로 '이름' + bin/binti 또는 ~의 아들/딸 (자주 SO/DO로 약칭) + '아버지의 이름'의 아랍식 부칭 작명 시스템을 따른다. 비무슬림 원주민인 사라왁인들은 bin/binti 또는 SO/DO 대신에 "자식"을 뜻하는 말레이어 "anak"을 사용하며, 사바 원주민들은 "bin" 또는 "binti"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말레이인이 부칭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태국에서는 성을 채택했고, 인도네시아에서는 일반적으로 둘 다 사용하지 않는다.[1]

싱가포르계 인도인은 s/o(아들) 또는 d/o(딸)의 약자를 사용하고, 말레이시아계 인도인은 일반적으로 각각 말레이어 변형인 "anak lelaki"(약칭 'a/l') 또는 "anak perempuan"(약칭 'a/p')을 사용한다. 어떤 경우에는 개인이 부칭 지시자를 생략하고 사용 편의를 위해 부칭을 약칭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 말레이시아 부장관인 Pathmanaban a/l Kunjamboo는 K. Pathmanaban으로 더 흔히 불렸고, 싱가포르의 베테랑 정치인 Shanmugam Kasiviswanathan과 Suppiah Dhanabalan은 각각 K. Shanmugam과 S. Dhanabalan으로 불렸다. 개인은 Shanmugam과 Dhanabalan의 경우와 같이 법적 이름에 "아들" 또는 "딸"을 포함하지 않기로 선택할 수 있다.[1]

브루나이에서는 군주의 지배 가문이 bin/binti 대신 '이름' + 'ibni' + '아버지의 이름'을 사용한다.[1]

인도네시아에는 다양한 작명 시스템을 가진 여러 민족 집단이 있다. 북수마트라의 바탁족은 모든 자녀에게 가족의 이름을 부여한다. 때로는 가족의 이름 앞에 Huta-, Batu- 등이 붙지만, 대부분 Si-를 사용하며, 예를 들어 Sitanggang, Sihombing, Sibutar-butar, Sinaga 또는 Sitohang이 있다. 가족의 이름은 아버지의 가문에서 유래된다. 예를 들어, 아버지의 이름이 Boggi Sinaga이고 Moetia Siregar와 결혼했다면 모든 자녀는 Sinaga라는 가족의 이름을 받게 된다.[1]

순다에서는 바탁족과 유사한 문화적 규칙이 사용된다. 순다어에 대한 가족 이름은 -Wijaya이지만, 모든 순다인 가족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1]

5. 다양한 문화권의 부칭 체계

여러 문화권에서 부칭은 성씨보다 먼저 사용되었다. 많은 켈트어, 게르만어, 이베리아, 조지아어, 아르메니아어슬라브어에서 성씨는 부칭에서 유래되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윌슨(윌리엄의 아들)
  • 피츠제럴드(제럴드의 아들)
  • 파월(Hywel의 아들)
  • 페르난데스
  • 로드리게스(로데리고의 아들)
  • 안데르손 또는 안데르센(안데르의 아들, 스칸디나비아식 앤드루)
  • 칼센(의 아들)
  • 일리인(일리야의 아들)
  • 페트로프(피터의 아들)
  • 그리고로비치(그리고리, 그레고리의 러시아식 아들)
  • 스테파노비치(스테판의 아들)
  • 맥알리스터(알렉산더의 영어식 스코틀랜드어 알리스테어의 아들)
  • 오코너(콘코버의 손자/후손)


과거에 부칭을 사용했던 다른 문화권에서는 아버지의 성을 자녀에게 물려주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성씨가 드물며, 법적으로 성씨보다 부칭(최근에는 모칭)의 사용을 선호한다.

유럽에서는 부칭이 한때 널리 사용되었지만, 이후 스칸디나비아, 아이슬란드, 그리고 일부 동슬라브족 문화권으로 제한되었다. 잉글랜드에서는 "-son" 또는 "-ing" 접미사로 끝나는 이름은 원래 부칭인 경우가 많았다.

핀란드에서 부칭 사용은 스웨덴의 영향으로 19세기에 하층 계급에서 인기를 얻었으나, 1920년 법으로 성씨가 의무화되었다. 조지아어에서는 아버지 이름 뒤에 ''s''를 붙이고 남성은 ''dze'', 여성은 ''asuli''를 붙여 부칭을 사용했으나, 소련 붕괴 이후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헝가리어에서 부칭은 "-fi" 어미를 사용하여 형성되었으나 현재는 흔하지 않다. 루마니아어에서는 "-escu"와 "-eanu" 어미가 사용되었으며, 많은 현대 루마니아 성씨가 부칭에서 형성되었다.

5. 1. 슬라브 문화권

불가리아어에서 부칭은 남성의 경우 '-ov' / '-ev', 여성의 경우 '-ova' / '-eva'이다. 이는 불가리아어 및 러시아어와 체코어와 같은 일부 다른 슬라브어족 성씨의 어미와 동일하다. 불가리아 공식 문서에서 부칭은 성씨 앞에 온다.

러시아어에서 남성의 부칭은 -ovich, -evich|이탤릭체=예ru와 ''-ich''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여성의 경우 해당 어미는 -ovna, -yevna|이탤릭체=예ru 또는 -ichna|이탤릭체=예ru이다. 예를 들어, 아버지의 이름이 니콜라이이고 이름이 이반인 남성은 이반 니콜라예비치 또는 "니콜라이의 아들 이반"으로 알려진다 (''니콜라예비치''는 부칭). 마찬가지로, 아버지의 이름이 니콜라이이고 이름이 류드밀라라는 여성은 류드밀라 니콜라예브나 또는 "니콜라이의 딸 류드밀라"로 알려진다 (''니콜라예브나''는 부칭).[33][34] 러시아에서 부칭은 공식적인 이름의 일부이며, 모든 공식 문서에 사용되고, 공식적인 자리에서나 친구들 사이에서 상대를 부를 때 사용된다.[33] 정식으로 이름을 쓰는 순서는 성, 이름, 부칭 순이다. 러시아어에서 이름과 부칭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친한 친구, 가족 구성원 또는 어린이를 제외한 모든 사람을 대하는 중립적이고 예의 바른 방식이다.

구어체의 비공식적인 대화에서는 부칭의 어미를 축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니콜라예비치는 니콜라이치로, 스테판 이바노비치는 스테판 이바니치 또는 단순히 이바니치로 축약될 수 있으며, 이름은 완전히 생략될 수도 있다.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에서는 부칭이 남성과 여성 간에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그러나 과거에는 미혼 세르비아 여성의 성이 -eva로 끝났고, 기혼 세르비아 여성의 성은 -ka로 끝났다.

우크라이나어에서 여성 부칭은 항상 -івна(-''ivna'') 또는 -ївна(-''yivna'')로 끝난다.[36] 남성 부칭은 항상 -ович(-''ovych'') 또는 -йович(-''yovych'')로 끝난다.[36] 부칭은 전체 이름의 일부이며 공식적인 메시지에서 필수적이다. 존칭으로 사람을 부르거나 공식적인 환경에서 비공식적인 메시지를 강조할 때 흔히 사용된다.

많은 슬라브족에서는 조상의 이름에 기초한 -vich형 부칭이 남녀의 구별 없이 성으로 정착되어 있다. 한편 러시아 등 일부 문화권에서는 부칭을 미들네임처럼 사용한다. 이것은 평소에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지만, 존경을 담아 부를 때는 "개인 이름·부칭"으로 하는 것이 기본이다.

5. 2. 게르만 및 켈트 문화권

유럽에서는 부칭이 한때 널리 사용되었지만, 이후 스칸디나비아, 아이슬란드, 그리고 일부 동슬라브족 문화권으로 제한되었다.

스코틀랜드 게일어, 아일랜드어, 그리고 맨어에서 "Mac" 형태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들 모두에서 "아들"을 의미한다. "Mc"는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모두에서 자주 사용되는 영어식 표기이다. 아일랜드에서는 "Mag"와 "M'" 형태도 나타난다. "Mac" 접두사는 부칭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며, "Mac Coinnich" 또는 영어식으로 "Mackenzie"로 표기되는 코인네흐/케네스의 아들이 그 예시이다. ''Mac''의 여성형은 ''Nic''인데, 이는 (스코틀랜드 게일어) ''nighean mhic'' 또는 (아일랜드어) ''iníon mhic''에서 축약된 형태로, 둘 다 딸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성씨인 ''Nic Dhòmhnaill''은 "Dòmhnall"(영어로는 도널드) 아들의 딸을 의미하며, ''Mairi Nic Dhòmhnaill'' 또는 메리 맥도날드가 그 예이다.[16]

아일랜드해 북쪽 끝, 얼스터, 맨 섬, 갤러웨이(실제로 아가일까지 북쪽으로)에서 "Mac"은 종종 구어체에서 /k/로 축약되었다. 이로 인해 "Qualtrough"(월터의 아들), "Quayle"(폴의 아들, MacPhail 참조)과 같은 영어식 표기가 생겨났으며, 보통 "C", "K", "Q"로 시작한다. 아일랜드에서는 이러한 축약으로 "Guinness"(Aonghus의 아들, MacAonghusa 참조)와 같은 성씨가 생겨났다. "Mac" 접두사가 붙은 부칭은 보통 "C" 또는 "G"로 시작하고, "O" 접두사가 붙은 성씨는 "H"로 시작한다(예: "Hurley" [Iarlath의 후손, Ua h-Iarfhlatha/O'Hurley] 참조). 구어체 스코틀랜드 게일어에는 여전히 사용되는 개인을 위한 약간 다른 형태의 다른 부칭도 있다(자세한 내용은 스코틀랜드 게일어 개인 이름 지정 시스템 참조).

1536년 연합법 이전에는 웨일스인들은 일반적으로 성씨를 사용하지 않고, 별칭(예: 설리프 사르프가다우, "전투 뱀 설리프"), 부칭(예: 머르빈의 아들 로드리, "머르빈의 아들 로드리"), (훨씬 드물게) 모칭(예: 네스트의 아들 로드리, "네스트의 아들 로드리")을 사용하여 사람들을 식별했다.

P-켈트어군인 웨일스어는 원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사용되는 Q-켈트어군 ''mac'' 대신 ''map'' 또는 ''mab''을 사용했다. 이들은 나중에 현대 웨일스어 ''ap''와 ''ab''로 단순화되었다. 아버지의 이름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mab''/''ab''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지만(예: 이오르베스의 아들 리웰린), 두 가지 형태는 많은 자료에서 임의로 사용되기도 한다.

딸은 ''ferch'' 또는 ''verch''(''merch'', "소녀, 딸"에서 변이)로 표시되었다. ''Angharad verch Owain''은 "오와인의 딸, 앙하라드"가 된다.

연합법 이후, 많은 웨일스 성씨가 아버지 또는 조상의 개인 이름의 변형이 되었다. ''ap'' 또는 ''ab 이우안''은 종종 "Evans"가 되었고, ''ap 리스''는 "Price"가 되었으며, ''ap'' 또는 ''ab 오와인''은 "Bowen"이 되었고, ''ap 하웰''은 "Powell" 또는 "Howell"이 되었다. 이러한 영국화된 세례 및 공식 이름 외에도, 부칭은 특히 웨일스 북부와 서부에서 산업 혁명까지 웨일스에서 흔히 사용되었다. 부칭은 아들의 미들네임으로 아버지의 개인 이름을 사용하여 영어 이름 내에서도 사용되기도 했다.

네덜란드어에서 부칭은 성씨 대신 또는 중간 이름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부칭은 아버지의 이름과 아들의 경우 "-zoon", 딸의 경우 "-dochter"를 붙여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아벨 얀스존 타스만은 "아벨 얀 타스만의 아들"이고, 케나우 시몬스도터 하셀라르는 "케나우, 시몬 하셀라르의 딸"이다. 서면 형태에서, 이러한 접미사는 종종 각각 "-sz."와 "-dr."로 축약되었다. (예: 예룬 코르넬리'''sz'''. "예룬 코르넬리스의 아들", 디르크 야콥스) 접미사 "-s", "-se" 및 "-sen"도 아들에게 흔히 사용되었으며, 딸에게도 자주 사용되었다. 북부 지방에서는 소유격 "-s"가 아들과 딸 모두에게 거의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Tacx" 또는 "Hendrix"와 같이 접미사 -''x'' 역시 ...의 아들 또는 딸을 의미했으며, 현재는 완전한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부칭은 프랑스 침공(1795년)과 그 이후 합병(1810년)까지 네덜란드 연합주에서 흔히 사용되었다. 네덜란드가 프랑스의 한 지방이 되면서, 1811년에 출생, 사망 및 결혼 기록부가 설립되었고, 그 후 나폴레옹 황제는 네덜란드인에게 뚜렷한 성을 등록하고 채택하도록 강요했다.[18]

노르드 관습에서 부칭과 모칭은 아버지의 이름을 소유격 형태로 하여 "~의 아들"을 나타내기 위해 -son(나중에는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및 독일어에서 -søn과 -sen) 접미사를 사용하고, "~의 딸"을 나타내기 위해 -dóttir(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 -dóttir, 스웨덴어와 노르웨이어 -dotter, 덴마크어와 노르웨이어 -datter)를 사용하여 형성되었다. 그 결과로 만들어진 부칭은 일반적으로 성으로 사용되지 않았지만, 사람들을 구별하기 위해 위치나 개인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소위 별칭이 종종 추가되었으며, 결국 일종의 성씨로 발전할 수 있었다. 부칭이 주어진 이름 뒤에 위치하고 성이 뒤따르는 후자의 관행의 몇 가지 근대 초기 예로는, 니콜라스 토롤프센 프리이스(Peder Claussøn Friis, 니콜라스의 줄임말인 Claus를 사용)의 아들인 노르웨이의 페데르 클라우슨 프리이스와 한스 톰센 킹고(Thomas Hansen Kingo)의 아들인 덴마크의 토마스 킹고가 있다.

결국, 대부분의 북유럽 국가들은 이 시스템을 상속된 성씨라는 우세한 "국제적" 표준으로 대체하거나 보완했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에서는 의회가 1923년에 인구 증가와 매 세대마다 새로운 성씨에 대한 혼란을 피할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성씨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사람이 근대 초기에 흔했던 것처럼 성씨 외에 미들네임으로 부칭을 유지하도록 허용한다. 이는 흔한 관행은 아니지만 발생하며, 현대의 예로는 오드힐 그레고리우스도터 로테바튼이 있다. 덴마크 정부는 1856년에 이 관행을 금지했고, 1904년에는 제한된 수의 부칭을 처리하기 위해 규제를 완화했다. 스웨덴에서는 18세기에 아이들이 아버지의 부칭을 유지하고 아내가 남편의 부칭을 성으로 사용하는 관행이 발생했지만, 19세기 후반에 처음으로 널리 퍼졌다. 부칭은 적어도 스웨덴 시골에서는 19세기까지 스웨덴에서 일반적이었다. 19세기 말부터 부칭은 스웨덴에서 점차 덜 흔해졌고 1966년에 폐지되었다. 1982년에는 부칭(및 모칭)을 사용할 권리가 부분적으로 부활했다. 개인(또는 자녀의 부모)은 신청하고 수수료를 지불해야 했다. 2017년 7월 1일부터 스웨덴의 부모는 상속된 성씨 대신 자녀에게 출생 시 부칭/모칭을 자유롭게 부여할 수 있으며, 모든 사람은 마지막 이름을 모칭 또는 부칭으로 변경할 수 있다.[26]

자녀가 혼외 출생하거나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훨씬 더 고귀하거나 유명한 경우, 역사적 예로는 스베인 에스트리드손과 같이 예외적으로 모칭이 사용되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부칭 또는 모칭이 여전히 성으로 사용되며, 이는 실제로 법에 의해 요구되며, 소수의 예외가 있다. 거의 모든 경우, 아버지의 이름(보통 소유격)이 "아들"의 경우 단어 ''son''과 "딸"의 경우 ''dóttir''와 함께 사용된다.[27] 예를 들어, 요한나 시구르다르도티르(즉, "시구르드[ur]의 딸 요한나"). 남성 또는 여성으로 식별하지 않는 사람들(논바이너리 사람들)은 ''-bur'' 접미사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의 아이''를 의미한다.[28]

2022년, 스웨덴 국세청은 고틀란드 여성의 성씨를 고틀란드어 접미사 ''-dotri''(-''dotter'' 대신)를 사용하는 성씨로 변경하려는 신청을 스웨덴 관례를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거부했다. 스톡홀름 행정법원은 항소에서 그녀의 손을 들어주었고,[29] 국세청은 다시 항소 법원에 사건을 가져갔다. 2023년 초, 항소 법원은 마침내 그녀가 고틀란드 성씨를 사용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30]

5. 3. 셈족 및 아랍 문화권

셈족 이름의 역사적 특징은 부칭 사용이다. 고대부터 남성과 여성 모두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름이 지어졌으며, 특정 지역이나 종교에 국한되지 않았다. 17세기와 18세기에 유럽 국가에서 셈족 후손들이 일관된 법적 성을 사용하도록 부칭 명명 방식을 폐지할 것을 요구하는 법을 시행한 이후에야 대부분의 유대인무슬림이 성을 갖게 되었다.

아제르바이잔어에서 부칭은 남성의 경우 ''-oğlu''(때로는 "ogly"로 음역)로, 여성의 경우 ''qızı''(종종 "gizi" 또는 "kizi"로 음역)로 형성된다. 19세기 말~20세기 초까지 부칭은 개인의 전체 이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사용되었다. 즉, ''Sərdar İlyas oğlu''(사르다르, 일야스의 아들)와 ''Mina Nebi qızı''(미나, 나비의 딸)와 같이 소비에트화 이전에는 성이 주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상류층 및 일부 중산층 가족 제외). 1920년대에 아제르바이잔에서 성이 일반적으로 채택된 후에도 부칭은 여전히 전체 이름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즉, ''Sardar Ilyas oğlu Aliyev''(사르다르 일야스 오글루 알리예프)와 같이 사용되었다. 오늘날 아제르바이잔에서는 부칭이 비공식적으로 성을 대신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우 한 단어로 표기된다(예: ''Eldar Mammadoğlu'', ''Sabina Yusifqızı''). 많은 아제르바이잔 성은 또한 페르시아어식 부칭에서 유래했으며, ''-zadeh''로 끝난다(''Kazimzadeh'', ''Mehdizadeh'' 등). 이들은 코카서스 아제르바이잔인과 이란 아제르바이잔인 모두에게서 발견된다. 그러나 전자와 달리 이란의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일반적으로 ''oglu'' / ''qizi'' 형태의 부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아제르바이잔 부칭은 특정 여성형이 없고 아버지의 이름을 반영하지 않는 터키어 성의 ''-oğlu'' 및 그리스어 성의 -ογλού (''-oglou'')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페르시아어에서 부칭은 남성의 경우 접미사 "-pur" پورfa로 끝나고 여성의 경우 "-dokht" دُختfa로 끝나는 이름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샤푸르(왕의 아들)와 시나푸르(시나의 아들)가 있다. 국가에 따라 일부 접미사가 다른 접미사보다 더 흔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란에서는 접미사 "-pur"가 일반적인 반면,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접미사 "-Zadah" زادهfa 또는 "-Zad" زادfa가 일반적이지만, Zadeh는 이란에서도 흔하게 사용된다.

아랍인에게는 일본과 같은 확고한 제도로서의 성이 없고, 사담 ''후세인''처럼 개인 이름 뒤에 부칭을 잇는 계보 표시('''나사브'''), 빈 라덴처럼 조상 이름이나 그 통칭을 가명으로 사용하는 경우, 선조의 직업명을 가명으로 하는 경우, 부족·출신지 유래의 형용사를 성처럼 라스트네임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이 많이 보인다. 개인 이름 뒤에 아버지의 이름을 잇는 풀네임으로 하는 예는 그다지 많지 않으며, 여러 외국의 퍼스트 네임 + 라스트 네임에 상당하는 표기에서는 퍼스트 네임 뒤에 가명류가 온다.

또한 이슬람권에서는 아랍과 마찬가지로 부칭을 사용하는 지역도 많지만, 현재에는 이란이나 튀르키예처럼 성(부칭에 기초한 것도 많다)을 칭하게 된 지역도 있다.

유대인도 옛날에는 성이 없고 부칭이 사용되었다.

5. 4. 기타 문화권

아이슬란드에서는 성씨가 드물다. 아이슬란드 법은 성씨보다 부칭(그리고 최근에는 모칭)의 사용을 선호한다.

아제르바이잔어에서 부칭은 남성의 경우 ''-oğlu''(때로는 "ogly"로 음역)로, 여성의 경우 ''qızı''(종종 "gizi" 또는 "kizi"로 음역)로 형성된다. 19세기 말~20세기 초까지 부칭은 개인의 전체 이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Sərdar İlyas oğlu''(사르다르, 일야스의 아들)와 ''Mina Nebi qızı''(미나, 나비의 딸)와 같이 사용되었다. 소비에트화 이전에는 성이 주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상류층 및 일부 중산층 가족 제외). 1920년대에 아제르바이잔에서 성이 일반적으로 채택된 후에도 부칭은 여전히 전체 이름의 일부로 남아, ''Sardar Ilyas oğlu Aliyev''(사르다르 일야스 오글루 알리예프)와 같이 사용되었다. 오늘날 아제르바이잔에서는 부칭이 비공식적으로 성을 대신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한 단어로 표기된다(예: ''Eldar Mammadoğlu'', ''Sabina Yusifqızı''). 많은 아제르바이잔 성은 페르시아식 부칭에서 유래했으며, ''-zadeh''로 끝난다(''Kazimzadeh'', ''Mehdizadeh'' 등). 이들은 코카서스 아제르바이잔인과 이란 아제르바이잔인 모두에게서 발견된다. 그러나 이란의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일반적으로 ''oglu'' / ''qizi'' 형태의 부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아제르바이잔 부칭은 특정 여성형이 없고 아버지의 이름을 반영하지 않는 터키어 성의 ''-oğlu'' 및 그리스어 성의 -ογλού (''-oglou'')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터키어에서 부계 조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접미사는 ''-oğlu''와 ''-zade''이며, 특정 남성으로부터 조상이 나왔음을 나타낸다. 다른 언어의 많은 부칭과 마찬가지로, 근대 후기 현대사 시대에 법률에 의해 명명 규칙이 공식화되면서 많은 부칭이 성씨로 바뀌었다. 1934년 성씨 혁명 이후 많은 사람들이 ''-oğlu'' 접미사가 있든 없든 직업이나 거주지를 성씨로 선택했는데, ''Elbeyioğlu'', ''Bakkaloğlu'', ''Giritlioğlu''와 ''-zade''를 사용한 ''Beyzade'', ''Mehmedzade'', ''Yusufzade'' 등이 있다.

쿠르드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부칭 및 아보님을 사용하는 세 이름 체계를 사용한다. 즉, 개인의 이름 다음에 아버지의 이름, 그리고 부계 조부의 이름을 변경 없이 사용하며, 이는 성 중립적이다. 이 명명 방식은 이라크 쿠르디스탄 지역의 모든 공식 문서에서 사용된다. 성은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이나 가족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다. 성을 가진 사람들은 대개 출생지, 출신지, 씨족 또는 부족의 이름 등에서 성을 파생한다. 터키, 이란, 시리아의 쿠르드 이름은 각국의 공식 명명 시스템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유럽에서는 부칭이 한때 널리 사용되었지만, 이후 스칸디나비아, 아이슬란드, 그리고 일부 동슬라브족 문화권으로 제한되었다.

잉글랜드에서는 접미사 "-son" 또는 "-ing"으로 끝나는 이름은 원래 부칭인 경우가 많았다. 또한 고대 프랑스어(더 정확히는 노르만어) 접두사 ''fitz''(현대 프랑스어 ''fils''와 동족어로 "아들"을 의미)가 노르만 정복 이후 잉글랜드 귀족 가문과 아일랜드계 앵글로족 가문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피츠제럴드(Fitzgerald)와 피츠휴(Fitzhugh)와 같은 이름이 있다. 특히 "왕의 아들"(''roy'')을 의미하는 이름 ''피츠로이(Fitzroy)''는 사생아 왕족들이 사용하기도 했다.[16]

네덜란드어에서 부칭은 성씨 대신 또는 중간 이름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부칭은 아버지의 이름과 아들의 경우 접미사 "-zoon", 딸의 경우 "-dochter"를 붙여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아벨 얀스존 타스만은 "아벨 얀 타스만의 아들"이고, 케나우 시몬스도터 하셀라르는 "케나우, 시몬 하셀라르의 딸"이다. 서면 형태에서, 이러한 접미사는 종종 "-sz."와 "-dr."로 축약되었다. 예: 예룬 코르넬리'''sz'''. "예룬 코르넬리스의 아들" 또는 디르크 야콥스. 접미사 "-s", "-se" 및 "-sen"도 아들에게 흔히 사용되었으며, 딸에게도 자주 사용되었다. 북부 지방에서는 소유격 "-s"가 아들과 딸 모두에게 거의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Tacx" 또는 "Hendrix"와 같이 접미사 -''x'' 역시 ...의 아들 또는 딸을 의미했으며, 현재는 완전한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부칭은 프랑스 침공(1795년)과 그 이후 합병(1810년)까지 네덜란드 연합주에서 흔히 사용되었다. 1811년 출생, 사망 및 결혼 기록부가 설립되었고, 나폴레옹 황제는 네덜란드인에게 뚜렷한 성을 등록하고 채택하도록 강요했다.[18]

프랑스에서는 ''파트로님''(patronyme)과 ''놈 파트로니미크''(nom patronymique)라는 용어가 오랫동안 성(姓)을 나타내는 데 서로 바꿔 사용되었으며, 이는 아버지로부터 상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파트로님 계보의 전통은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의 일부 캐나다 후손들 사이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아카디아인들의 구전 전통에서 ''마르 아 피에르 아 제라르''(Marc à Pierre à Gérard, 문자 그대로 "제라르의 피에르의 마르")는 "제라르의 손자, 피에르의 아들, 마르"를 의미한다.

이탈리아어는 1975년까지 공식 문서에서 부칭을 나타내기 위해 생존한 아버지의 경우 전치사 ''di'' (영어 ''of'')를, 사망한 아버지의 경우 ''fu'' (영어 ''late'')를 사용했다. 즉, ''마리오 di 조반니 로시''는 마리오 로시가 조반니라는 이름을 가진 생존한 남자의 아들임을 의미했고, ''프란체스코 fu 피에트로 베르디''는 프란체스코 베르디가 피에트로라는 이름을 가진 사망한 남자의 아들임을 의미했다. 아버지의 이름을 알 수 없을 경우, 기관에서는 N.N. (''Nomen nescio'', 라틴어로 "이름을 모름")이라는 공식을 사용하거나 어머니의 이름을 사용하거나 이 부분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었다. 교구 기록은 라틴어로 작성되었으며, 아버지의 이름은 전치사 없이 속격으로 표기되었다. 사망한 아버지의 경우, 입자 ''quondam'' (영어 ''once/formerly'')이 추가되었다. 위의 예시는 ''Marius Johannis Rossi''와 ''Franciscus quondam Petri Verdi''로 번역되었을 것이다. 부칭은 현대 이탈리아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일부는 다양한 성씨의 근원이 되었다. 예를 들어, ''파올로''라는 이름을 가진 남자의 후손들은 부칭 성씨 ''Paolo'', ''Di Paolo'', ''De Paoli'', ''Paoli'', ''Polo'', ''Pagolo'', ''Pagoli'', ''Paolino'', ''Lino'' 등을 얻었을 수 있다.

과거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에서는 발음이 매우 유사했기 때문에 어미 "-ez"와 "-es"가 혼동되는 경향이 있었다. 오늘날 포르투갈어는 "-es"로 완전히 표준화되었고, 스페인어도 "-ez"로 표준화되었지만, "-es"의 고어 형태가 흔히 나타난다. 예를 들어, Pires/Peres와 Pérez는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에서 영어 "Peterson"에 해당하는 현대적인 이름이다.

포르투갈에는 부칭에서 유래되었지만, 여전히 흔하게 사용되면서도 더 이상 부칭의 용법을 나타내지 않는 성씨가 몇몇 있다. 예를 들어, ''Álvares''는 ''Álvaro''의 아들이었고, ''Gonçalves''는 ''Gonçalo''의 아들이었다(이는 누누 알바르스 페레이라, Álvaro의 아들, Gonçalves Pereira, Gonçalo Pereira의 경우였다). 다른 예로는 ''Rodrigues''('Rodrigo의 아들'), ''Nunes''('Nuno의 아들') 및 ''Fernandes''('Fernando의 아들')가 있다. 같은 방식으로, 성씨 Soares는 Soeiro의 아들(라틴어 Suarius)을 의미한다. 라틴어 Suaricius(Suarius의 아들)에서 유래했으며, 라틴어 소유격 접미사 ''-icius/a''는 부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이후 Suáriz, Suárez(둘 다 스페인어), 그리고 결국 Soares(포르투갈어)가 되었다. 또 다른 이론은 이베리아 -ez 스타일 부칭이 라틴어의 영향보다는 게르만(서고트)의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20][21]

스페인 부칭은 포르투갈어와 유사한 패턴을 따른다(예: López: Lope의 아들; Fernández: Fernando의 아들; Martínez: Martín의 아들; Rodríguez: Rodrigo의 아들; Álvarez: Álvaro의 아들). 흔한 어미로는 -ez, -az, -iz, -is, -oz가 있다. 그러나 유사한 어미를 가진 모든 성씨가 반드시 부칭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hávez는 ''Chavo''의 아들이 아니라, "열쇠"를 의미하는 갈리시아어 또는 포르투갈어 ''chaves''에서 유래되었으며, "s"는 영어에서 key/keys의 경우처럼 복수형을 나타낸다.[19] 이러한 종류의 성씨는 카스티야 왕국 밖에서는 드물었다. 자연스러운 철자 변형(예: Giménez 또는 Ximénez 사용) 외에도 각 이베리아 방언에서 현대적인 철자 표준화로 인해 여러 교차된 버전이 나타났다. 카탈루냐어 정치인 Jordi Sànchez(그의 성씨는 스페인어이지만, 스페인어에서 사용되는 날카로운 악센트 대신 카탈루냐어의 특징인 둔한 악센트가 있다) 또는 언론인 Vicenç Sanchis(스페인어의 특징인 ch 이중 자음이 있지만, 카탈루냐어에 더 가까운 방식으로 성씨를 표기한다)를 찾을 수 있다. 스페인어의 라틴 아메리카 방언에서 문자 z와 s가 똑같이 발음되기 때문에 -es로 끝나는 부칭이 아닌 많은 성씨가 -ez로 쓰이게 되었다.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에서, Chávez(우고 차베스), Cortez(알베르토 코르테스) 및 Valdez(넬슨 발데스)의 -ez 철자는 부칭이 아닌, 마누엘 차베스, 에르난 코르테스빅토르 발데스의 이름과 같이 -es로 끝나는 이베리아 스페인어 철자의 변형일 뿐이다. 스페인어의 -z 성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페인어에 미치는 영향을 참조하라.

일부 이베리아 부칭 목록:[20][21][22][23][24][25]

본래 이름카스티야 부칭갈리시아-포르투갈 부칭
ÁlvaroÁlvarezÁlvares, Alves
Antom, Antão, AntónioAntúnezAntunes
Benito, Bento, BieitoBenítezBentes, Bieites, Viéitez
Bermudo, VermudoBermúdez, VermúdezBermudes
BernardoBernárdezBernardes
Diego, DiogoDíaz, Díez, DiéguezDias, Diegues
Domingo, DomingosDomínguezDomingues
Egaz, EgasViegazViegas
Enrique, HenriqueEnríquezHenriques
Ermígio, HermígioErmíguezHermigues
Esteban, EstêvãoEstébanezEsteves, Estévez
FacundoFagúndezFagundes
Fáfila, FávilaFáfez, FáfilazFafes, Fáfilas
Fernão, FernandoFernándezFernandes
Froila, FruelaFróilaz, FruelazFroilas, Fruelas
García, GarciaGarcésGarcês
GeraldoGeráldezGeraldes
Godinho, GodímGodins, GodínezGodins
Gomes1GómezGomes
Gonzalo, GonçaloGonzálezGonçalves
Gutier, Gutierre, Guterre²GutiérrezGuterres
Juan, João
(라틴어 Ioannes에서 유래)
Yáñez, Yanes, IbáñezEanes, Anes
Lope, Lopo1LópezLopes
Marco, MarcosMárquezMarques
Martín, Martim, MartinhoMartínezMartins
Menendo, Mendo, Mem, 1Menéndez, MéndezMendes
Muño, Monio1MuñozMoniz
Nuño, NunoNúñezNunes
Ordoño, OrdonhoOrdóñezOrdonhes
Pelayo, Paio1Peláez, PáezPaes, Pais
Pero, PedroPérez, PírizPeres, Pires
RamiroRamírezRamires
RodrigoRodríguezRodrigues
Ruy, Rui-Roi³RuízRuis, Rois
SanchoSánchezSanches
Suero, Soeiro1SuárezSoares
Tello, TeloTéllezTeles
VarãoVarónVarão
Velasco, VascoVelázquez, VázquezVasques, Vaz
VímaraVimaránezVimaranes, Guimarães
Ximeno, Jimeno, Gimeno, Chemene, Exemeno1Ximénez, Jiménez, Jimenes, Ximenes, Giménez, Gimenes, Chiménez, Chimenes, Seménez, Semenes, Ximenis, Eiximenis, Scimemi, Scimeni, Chimenz, Jimeno, Eiximinis, EximenisXimenes



# 고대 이름으로, 현재 사용되지 않음.

# 고대 이름으로, 현재 사용되지 않음. 독일어 ''Gunther''에 해당함.

# ''Ruy'' 또는 ''Rui''는 ''Rodrigo''의 고대 애칭 형태이다.

핀란드에서 부칭의 사용은 비교적 최근의 스웨덴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공식 문서 외에는 흔하지 않았다.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하층 계급에서 부칭의 사용이 어느 정도 인기를 얻은 것은 19세기에 들어서였다.[31] 1920년 법에 의해 핀란드에서 성씨가 의무화되었다.[32] 역사적으로 부칭은 스웨덴 방식대로 구성되었다. 아버지의 이름에 소유격을 나타내는 접미사 "-n"과 아들을 뜻하는 "poika", 딸을 뜻하는 "tytär"를 결합하는 방식이었다. 예를 들어, Tuomas Abrahaminpoika는 "아브라함의 아들 투오마스"를 의미하고, Martta Heikintytär는 "헤이키의 딸 마르타"를 의미한다.[31]

조지아어에서 부칭은 사용될 경우, 아버지 이름 뒤에 ''s''를 붙이고 남성의 경우 ''dze''를, 여성의 경우 ''asuli''를 붙인다. 예를 들어, 이오시프 스탈린의 원래 이름은 이오세브 베사리오니스 제 유가슈빌리였다. 소련 붕괴 이후, 조지아에서는 러시아 전통으로 부칭이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조지아 성씨는 주로 부칭, 별칭 및 출생지에서 유래한다. 두 가지 흔한 요소인 ''dze''와 ''shvili''는 각각 "아들"과 "자녀"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그리스 성은 조상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기원이 부칭이다. "~의 아들" 또는 더 일반적으로 "~의 후손"을 나타내는 축약 접미사는 Δημήτριος ''Dēmétrios''와 같은 이름으로 시작하여 Dēmētr''ópoulos'' (펠로폰네소스), Dēmētr''ákos'' (라코니아), Dēmētr''éas'' (메세니아 마니 반도), Dēmētr''átos'' (케팔로니아), Dēmētr''ákēs'' (크레테), Dēmētr''iádēs''/Dēmētr''-ídēs'' (폰토스, 소아시아), Dēmētr''éllēs'' (레스보스), Dēmétr''oglou'' (소아시아) (터키 부칭 ''-oğlu''와 동일), 또는 단순히 ''Dēmētríou'' (특히 키프로스에서 흔하며, 이름이 속격)과 같은 부칭 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원리는 직업에서 파생된 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παπάς, ''papás'' "사제"에서 파생된 ''Papadópoulos'', ''Papadákos'', ''Papadéas'', ''Papadátos'', ''Papadákēs'', ''Papadéllēs'', ''Papazoglou'' 등은 모두 "사제의 아들"을 의미한다. 동일한 원칙이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Papanikoláou, Papanikolópoulos'', "사제 니콜라오스의 아들". 딸의 성은 아들의 성과 같지만 ''항상'' 속격으로 활용된다: ''Dēmētropoúlou, Papanikoláou''. 이러한 성 외에도, 실제 부칭은 성 앞에 오는 "중간 이름"으로 공식 문서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Ioánnis Papadópoulos''의 자녀는 ''María Ioánnou Papadopoúlou''와 ''Andréas Ioánnou Papadópoulos''가 될 수 있다(''Ioánnou''는 ''Ioánnis''의 속격이다). 전통적으로 결혼한 여성은 남편의 성을 따랐다. 그러나 현재 그리스의 여성은 원하는 경우 자신의 성을 유지할 수 있다.

헝가리어에서 부칭은 전통적으로 어미 "-fi" (때로는 "-fy" 또는 "-ffy"로 표기)를 사용하여 형성되었다. 이 체계는 더 이상 흔히 사용되지 않지만, "Pálfi"(폴의 아들), "Győrfi", "Bánfi" 또는 산도르 페퇴피(슬라브어 본명인 "Petrovics" 대신 헝가리어 형식을 선택한 유명한 시인)와 같이 현재 흔한 성씨에서 그 흔적을 여전히 찾을 수 있다. 고대 헝가리 시대(10~16세기, 헝가리 역사 참조)에는 성씨가 흔히 사용되지 않았으며, 전체 소유격은 "Péter fia András"("피터의 아들 앤드루")와 같이 표현되었다. 이러한 형태는 그 당시의 헌장 및 법적 문서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헝가리어에서 성은 이름 앞에 온다.

루마니아어에서, 어미 "-escu"와 "-eanu"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Petrescu" (Petre, 즉 '피터'의 아들)와 같다. 많은 현대 루마니아 성씨는 이러한 부칭에서 형성되었다. 덜 흔하게, (접두사 "a-"를 사용하여) 속격 형태로 형성된 모칭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Amariei" (마리아의 (아들/딸))와 같다.

참조

[1] 서적 Theory and Typology of Proper Names Mouton de Gruyter 2007
[2] 서적 Namenforschung Walter de Gruyter 1995
[3] LSJ πατήρ
[4] LSJ ὄνομα
[5] LSJ πατρώνυμος
[5] LSJ πατρωνυμικός
[6] OED Online patronym, n.
[6] OED Online patronymic, n. and adj.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3
[7] 학술지 Child naming and the need for cultural decolonization initiatives Among the Hausa in Northern Nigeria https://doi.org/10.1[...] 2023-10-01
[8] 학술지 My Father’s Name: A Study of Patronymic Naming in Mozambique http://jur.byu.edu/?[...] Brigham Young University 2016-02-05
[9] 웹사이트 父子连名与家支制度 http://www.kepu.net.[...]
[10] 웹사이트 父子连名制 https://www.zgbk.com[...]
[11] 서적 语言与文化 2016
[12] 웹사이트 Discover The Origins And Meanings Of Tamil Last Names https://namesflare.c[...] 2024-09-08
[13] 뉴스 Madras High Court directs removal of community, caste names from government schools in Tamil Nadu https://timesofindia[...] 2024-09-08
[14] 웹사이트 Jastrow, בַּר II 1 https://www.sefaria.[...] 2023-02-13
[15] 서적 The great stem of souls: reconstructing Mandaean history Gorgias Press
[16] 웹사이트 Another Name Question [Archive] – Straight Dope Message Board http://boards.straig[...] Boards.straightdope.com 2013-04-23
[17] 웹사이트 Rootsweb Ancestry.com – Kernow names reepages.history.roo[...]
[18] 웹사이트 Decreet van Naamsaanneming (Napoleon, 18 augustus 1811) http://www.republika[...] 2009-04-29
[19] 웹사이트 16th Century Spanish Names https://www.cs.cmu.e[...] Carnegie Mellon University School of Computer Science 2015-06-30
[20] 웹사이트 Portuguese Names 1350–1450 http://www.s-gabriel[...] The Academy of Saint Gabriel 2015-06-30
[21] 웹사이트 Portuguese Names from the 16th Century http://www.s-gabriel[...] The Academy of Saint Gabriel 2015-06-30
[22] 웹사이트 Nombres y Patronímicos Leoneses, s. X http://www.historiav[...] Historia Viva 2015-06-30
[23] 웹사이트 Spanish Names from the Late 15th Century: Patronymic Surnames http://www.s-gabriel[...] The Academy of Saint Gabriel 2015-06-30
[24] 웹사이트 Spanish Names from the Late 15th Century http://www.s-gabriel[...] The Academy of Saint Gabriel 2015-06-30
[25] 웹사이트 16th Century Spanish Names – Patronymics by Frequency https://www.cs.cmu.e[...] The Academy of Saint Gabriel 2015-06-30
[26] 웹사이트 En ny lag om personnamn http://www.regeringe[...] 2016-04-21
[27] 웹사이트 Lög um mannanöfn http://www.althingi.[...] 2008-04-02
[28] 웹사이트 Island bryder med tradition for son eller dottir https://www.kristeli[...] Kristeligt Dagblad
[29] 웹사이트 Skatteverket: Därför överklagar vi beslutet om gutniska efternamnet https://sverigesradi[...] Sveriges Radio P4 Gotland
[30] 웹사이트 Vändningen: Julia får heta Andersdotri i efternamn https://sverigesradi[...] Sveriges Radio P4 Gotland
[31] 웹사이트 Patronyymit ja matronyymit sukututkimuksissa http://www.genealogi[...] Suomen Sukututkimusseura 2015-08-02
[32] 웹사이트 Sukunimilaki 1920 :: Dokumentit :: Historiakone :: Julkaisut :: Agricola - Suomen historiaverkko https://agricolaverk[...] 2022-12-06
[33] 서적 Russ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10-17
[34] 서적 The Everything Learning Russian Book https://archive.org/[...] Everything Books 2007
[35] 서적 Encyclopaedia of Contemporary Russian Routledge 2007
[36] 서적 Ukrainian:Lonely Planet Phrasebook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02
[37] 서적 Теорія і практика ділового мовлення К.: МАУП 1999
[38] 서적 遠野物語拾遺
[39] 뉴스 鎌倉殿の13人 北条義時ってどんな人? https://www.at-s.com[...] 2022-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