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키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키부주는 적도에 위치한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로, 지형이 다양하고 에드워드 호수와 키부 호수를 포함한 두 개의 주요 호수가 있다. 이 지역은 화산 토양과 사바나, 열대 우림 등 다양한 식생을 보이며, 기후는 고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19세기 말 벨기에령 콩고의 일부였으며, 1954년 남키부주와 분리되어 북키부주가 되었다. 1990년대 르완다 내전과 콩고 전쟁의 주요 무대가 되어, 잦은 분쟁과 무장 단체의 활동으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와 인권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도 콩고 민주 공화국 군대, 르완다 해방 민주군 등 여러 무장 단체가 활동하고 있으며, 2021년 니라공고 화산 폭발로 대규모 피난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북키부주는 행정 구역상 도시, 테리토리, 족장국 등으로 구성되며, 자급 농업, 광업, 관광 산업이 경제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키부주 - 비룽가 국립공원
    비룽가 국립공원은 콩고 민주 공화국에 위치하며 다양한 생태계와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콩고 내전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무장 세력 활동과 석유 시추 계획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북키부주 - 3월 23일 운동
    3월 23일 운동은 2009년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와 평화 조약을 체결한 국민방위의회 전 구성원들이 2012년 결성한 반군 조직으로, 군대의 열악한 환경과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를 이유로 정부에 반기를 들고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에서 활동하며 정부군과 교전하고 있으며, 2022년 활동을 재개, 주로 투치족으로 구성되어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다는 의혹이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 - 카사이주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 - 루알라바주
    루알라바주는 과거 카탕가주에서 분리되었다가 통합된 주였으며, 현재는 콩고 민주 공화국 내에 위치하여 여러 주 및 앙골라, 잠비아와 국경을 접한다.
북키부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르웬조리 산맥 전경
르웬조리 산맥 전경
위치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
면적59,483 제곱킬로미터
설명키부 호에서 이름을 땀
일반 정보
공식 명칭북키부 주
프랑스어Province du Nord-Kivu
스와힐리어Mkoa wa Kivu Kaskazini
별칭잊혀진 북키부 사람들
행정
수도고마 (최대 도시)
주지사 (군정)페테르 치림와미 (Peter Cirimwami)
인구
총 인구 (2020년)8,147,400 명
순위2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주민북키부인
경제
HDI (2017년)0.440 (낮음)
기타
공용어프랑스어
국어스와힐리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차량 등록 번호판CGO / 19
역사
설치2015년
추가 정보
분쟁북키부 주는 여러 분쟁의 영향을 받아 왔음.
2024년 2월 11일 현재, M23 관련 사건으로 인해 약 170만 명의 국내 실향민이 발생.
인도주의적 위기인도주의적 위기가 심각하며, "잊혀진 북키부 사람들"로 불림.

2. 지리

북키부 주는 적도 부근에 위치하며, 북동쪽에는 비룽가 국립공원이 있다.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 시대에는 마니에마 주, 남키부 주와 합쳐 키부 주였으나, 로랑 카빌라 정권 시대에 분할되었다. 주요 언어는 스와힐리어르완다어 등이다. 니이라공고, 베니, 마시시, 루추루, 루베로, 와리카레의 6개 구역이 설치되어 있다.

북키부 주는 다양한 지형과 기후를 보이는데, 적도에 위치한 북키부 주는 북위 0°58'에서 남위 2°03' 사이, 서경 27°14'에서 동경 29°58' 사이에 걸쳐 있다. 기후는 고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해발 1000m 미만 지역은 평균 23°C, 2000m 지역은 평균 15°C이다. 강우량은 연간 1000mm~2000mm이며, 건조한 시기는 1~2월과 7~8월이다.

2. 1. 지형

적도에 위치한 북키부는 북위 0°58'에서 남위 2°03' 사이, 서경 27°14'에서 동경 29°58' 사이의 위도와 경도에 걸쳐 있다.[17] 지형은 해발 800m 미만에서 5000m가 넘는 봉우리까지 다양하며, 평원, 고원, 산악 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18] 주목할 만한 저지대 지역으로는 에드워드 호수 북쪽에서 남쪽 해안까지 뻗어 있는 셈리키 강과 르윈디-루추루의 충적 평야가 있다. 가파른 카바샤 절벽은 에드워드 호수 서쪽 둑에서 솟아올라 동쪽에 거대한 르웬조리 산맥(5119m)이 자리 잡은 르윈디-루추루 평원으로 뻗어 있다.[17] 더 남쪽으로 가면 평원은 활화산 냠라기라(3056m)와 니라공고 산 (3470m)이 있는 비룽가 산맥으로 이어지는 화산 용암 지대로 합쳐진다.[17]

비룽가 국립공원

2. 2. 수문

이 주는 에드워드 호수와 키부호 두 개의 주요 호수를 포함한다. 에드워드 호수는 면적이 2150km2이고, 이 중 콩고 영토 내 면적은 1630km2이며, 평균 수심은 30m이다.[18] 이 호수는 풍부한 어류 개체군을 지원하여 주변 지역 사회의 중요한 경제적 자원이 된다.[18] 중앙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호수인 키부호는 해발 1460m에 위치하며, 콩고 영토 내 표면적은 2700km2이고 평균 수심은 285m이다. 그러나 에드워드 호수에 비해 어류 다양성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18] 또한, 모코토 호수(은달라하, 루쿨루, 음발루키아, 음빌라)는 바샬리 족장령에 86km2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18] 이 주의 강 시스템에는 루트슈루, 르윈디, 세믈리키, 오소 및 로와 강이 포함된다.[18]

2. 3. 지질

비룽가 국립공원의 광대한 용암류


화산 토양은 최근 용암류에서 파생되었으며, 활화산 인근 지역을 지배한다. 오래된 용암류에서 파생된 화산 토양은 토양 비옥도가 높지만, 최근 퇴적물에서 파생된 화산 토양은 농업에 덜 적합하다.[18] 고마와 루추루 사이의 화산 토양은 비옥하지만 얕아서 농업에 적합하다.[18] 충적토는 셈리키 평원에서 흔히 발견되며, 호수와 강의 퇴적물에서 기원한다. 더 오래되고 부식토가 풍부한 토양은 더 깊고 점토질 기질을 가진 지역에서 발견되며, 유기물이 풍부하다.[18]

2. 4. 식생

셈리키와 루추루의 충적 평야는 주로 사바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키부호 북쪽의 용암 평원에서는 관목경엽수가 자란다.[18] 산림 우림은 주로 루웬조리 산괴와 비룽가 산괴에서 볼 수 있고, 열대 우림은 루베로, 마시시, 와리카레, 베니 지역에 넓게 퍼져 있다.[18]

마시시의 삼림 파괴 지역


인간 행동, 특히 ''유칼립투스 살리냐''와 ''그레빌레아 로부스타''로 구성된 단일 종 농장 설립은 이 지역 식생에 큰 영향을 미쳤다.[19] 이러한 농장은 마을 농장과 함께 비룽가 국립공원 근처 인구의 주요 합법적인 목재 에너지원이 된다.[19] ''아카시아 멜란옥실론''과 같은 다른 종도 재배되며, 종종 지역 주민의 추가 수입을 위해 식량 작물과 함께 심어진다. 약 11,200헥타르에 달하는 이러한 단일 재배 농장은 특히 고마에서 북키부 주민의 목재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9] 2011년, 에코마칼라 프로젝트는 산림 벌채와 산림 황폐화로 인한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지리적으로 통합된 REDD+ 사업으로 시작되었다.[19] 2020년과 2021년 사이에 에코마칼라+는 130만달러의 자금을 확보하여 북키부가 탄소 크레딧 판매를 통해 이익을 얻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첫 번째 주가 되었다.[19]

2. 5. 기후

북키부주의 기후는 고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18] 기온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데, 해발 1000m 미만의 지역은 평균 23°C이고, 2000m 지역은 평균 15°C이다. 강우량은 연간 1000mm~2000mm이며, 건조한 시기는 1~2월과 7~8월이다.[18] 이 지역은 두 개의 우기 (8월 중순~1월 중순, 2월 중순~7월 중순)와 두 개의 짧은 건기를 포함하여 뚜렷한 네 개의 계절을 경험한다.[18] 쾨펜-가이거 기후 분류에 따르면 북키부주는 연평균 기온 18°C, 평균 강수량 363.6mm의 온난한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18]

3. 역사

콩고 자유국 시절, 키부 호수와 루지지 강 유역을 포함한 키부 지역은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 유럽 열강들이 설정한 국경에 따라 콩고 자유국의 영토가 되었다.[1] 1909년에는 영국과 벨기에 간의 키부 국경 분쟁이 발생했지만, 1910년 콩고, 우간다, 르완다의 국경이 확정되면서 키부 지역의 동부는 우간다와 독일령 르완다에 할당되었다.[4]

1912년 3월 28일, 콩고는 22개의 구로 분할되었고, 이때 키부 구가 창설되었다.[5] 1954년까지 키부 구는 남키부 구와 북키부 구로 분할되었다.

1990년대 초 르완다 내전과 Ituri conflict|이투리 분쟁영어의 영향으로 북키부 주는 제1차 콩고 전쟁제2차 콩고 전쟁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 특히 동부는 로랑 콩다가 이끄는 르완다계 콩고 민주 연합 고마파(RCD-G)의 거점으로, 1990년대 후반 제2차 콩고 전쟁 시에는 르완다군에 점령되기도 했다. 콩다는 무기 금수 조치를 위반하고 유엔 안보리의 경제 제재 대상자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90] 소년병 징집을 계속하는 등 반란을 지속했지만, 2000년대 후반에는 조직이 붕괴되었다.

2003년 이후에도 북키부 주에서는 콩고 민주 공화국 군대(FARDC), 르완다 해방 민주군(FDLR), 마이마이 등 여러 무장 단체들이 활동하며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73][74][75] 2017년에는 유엔 콩고 민주 공화국 안정화 임무단(MONUSCO) 기지가 민주 동맹군(ADF)으로 추정되는 세력에게 공격받아 탄자니아, 콩고 등에서 온 PKO 요원 15명 이상이 사망하기도 했다.[91]

2018년에는 정부군, 민병대, 자경단, 반정부 조직 간의 무력 분쟁이 격화되어 많은 사상자와 납치 피해자가 발생했다.[92] 2019년에는 에볼라 출혈열 치료 센터가 무장 세력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94] 2021년에는 유엔 세계 식량 계획(WFP) 차량이 무장 단체의 공격을 받아 이탈리아 대사 등 3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95]

2021년 5월 22일에는 니라공고산이 분화하여 대규모 피난 사태가 발생했다.[96] 일본 NGO 단체인 '나카요시 학원'은 모금 활동을 통해 피난민들에게 물, 식량, 담요 등을 지원하고, 방재 교육을 위한 학교를 설립했다.[96][97]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 사무소(OCHA) 보고에 따르면, 2022년 7월 기준으로 북키부 주를 포함한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에는 약 120개의 반정부 세력이 활동하고 있다.[98] 특히 북키부 주는 2021년 5월 이후 사실상 계엄 상태에 있으며, 이로 인해 민간인 피해가 오히려 증가했다.[99]

3. 1. 키부 국경 분쟁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 유럽 열강들이 아프리카의 영토에 대한 주장을 펼치는 동안 중립 조약에 의해 콩고 자유국의 국경이 정의되었다. 콩고 자유국의 북동부 경계는 1885년에 "탕가니카 호수 북쪽 끝에서 시작하여 동경 30도와 남위 1도 20분 지점에서 끝나는 직선으로 정의되었으며, 더 북쪽으로는 경계가 동경 30도선으로 형성된다."라는 기준으로 정해졌다. 이 기준에 따르면 키부 호수와 루지지 강 양쪽 모두 콩고 자유국에 속하게 되었다.[1]

1909년 6월, 존 메튜엔 쿠트가 영국 우간다 보호령에서 남서쪽으로 이동하여 키부 호수의 부룽구와 루보나에 요새화된 캠프를 건설하면서 키부 국경 분쟁이 시작되었다.[2] 1909년 6월 29일, 쿠트 휘하의 영국군은 루보나 주둔지에서 철수했고, 벨기에군이 그 주둔지를 점령했다.[3] 일련의 사건 이후, 1910년 5월에 콩고, 우간다, 르완다의 경계가 확정되었고, 키부의 동부는 우간다와 독일령 르완다에 할당되었다.[4]

3. 2. 제1차 콩고 전쟁

1996년 10월 중순, 로랑-데지레 카빌라가 이끄는 콩고 해방 민주 세력 연합(AFDL)과 폴 카가메가 이끄는 르완다 애국군(RPA)이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을 무너뜨리기 위해 제1차 콩고 전쟁을 시작하면서, 북키부 주는 격렬한 군사 작전과 인도주의적 위기의 중심지가 되었다.[37] 당시 북키부 주에는 1996년 10월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 추산 717,991명에 달하는 르완다 난민이 있었다.[41] 주요 난민 캠프는 키붐바(194,986명), 카탈레(202,566명), 카힌도(112,875명) 등이었다.[41]

AFDL의 공세를 보여주는 지도


AFDL/RPA 군은 난민 캠프를 공격하여 수많은 인명 피해를 냈다. 1996년 10월 25~26일 밤, 키붐바 캠프에 대한 중포격으로 난민 다수가 사망하고 캠프 병원이 파괴되었다.[42] 카탈레 캠프도 공격받아 파괴되었고, 카힌도 캠프에서는 수백 명의 난민이 처형된 것으로 알려졌다.[42] 유엔 특별 보고관 로베르토 가레톤은 카탈레 캠프에서 143명, 카힌도 캠프에서 100~2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42]

현지 단체들은 희생자들의 대량 매장을 기록했다. 1996년 11월 2일부터 30일까지 키붐바 캠프에서 2,087구, 1996년 11월 30일부터 1997년 1월 26일 사이에 1,919구의 시신이 추가로 매장되었다.[42] 카힌도 캠프에서는 1996년 12월 1일부터 25일까지 281구, 카탈레 캠프에서는 1996년 12월 1일부터 1997년 1월 18일까지 970구의 시신이 매장되었다.[42] DRC 매핑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희생자들이 손이 묶인 채 발견되었고, 시신은 종종 공공 뒷간에서 발견되었다.[42]

AFDL/RPA 군은 니라공고 산과 무궁가 사이에 설치된 검문소에서 난민들을 집단 살해했다. 생존자들은 공원 출구에서 붙잡힌 난민들이 나이와 성별로 분류되었으며, 성인 남성은 체계적으로 처형되었다고 증언했다.[42] 1997년 4월, 키붐바 마을 근처 므와로에서는 AFDL/RPA 군인들이 르완다로 돌아가려는 난민들을 붙잡아 모스크와 이전 농가에 가둔 후 살해했다. 희생자 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수백 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42]

1996년 11월, 마시시 영토는 AFDL과 RPA의 주요 작전 지역이 되면서, 르완다 난민들과 서쪽으로 도주하는 전 FAR/인테라함웨 전투원들을 대상으로 한 추격과 조직적인 폭력이 자행되었다.[43] 1996년 11월 19일, AFDL/RPA 군대에 협력하는 마이마이 전사들이 응구구 마을을 공격하여 수백 명으로 추정되는 난민과 전 FAR/인테라함웨 전투원을 무차별 학살했다.[43] 오소, 카토이 등지에서도 난민 캠프에 대한 대량 살해가 발생했다.[43]

왈리칼레 지역에서도 1996년 11월부터 르완다 난민들이 AFDL/RPA의 진격을 피해 도망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조직적인 공격이 발생했다.[44] 1996년 12월 9일, 홈보 다리에서 수백 명의 난민이 총살되었고, 희생자 중 다수는 여성과 어린이였다.[44] 참부차에서는 병사들이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수백 명의 난민을 로와 강 근처에서 처형했다.[44] 희생자들은 총격 또는 망치와 괭이를 사용한 잔혹한 방법으로 살해되었고, 시신 대부분은 로와 강에 버려졌다.[45]

3. 3. 제2차 콩고 전쟁

제2차 콩고 전쟁로랑데지레 카빌라 대통령과 르완다, 그리고 AFDL 내의 투치족 병사들 간의 관계 악화로 인해 북키부 주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97년 말, 카빌라가 투치족을 소외시키고 카탕가 동맹을 선호한다는 의혹으로 긴장이 고조되었다.[49]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콩고의 천연 자원에 대한 접근을 위해 전쟁 직전 르완다에 군사 지원을 제공했다.[50][51] 1998년 7월, 카빌라는 르완다 애국군(RPA) 병사들에게 콩고 영토에서 철수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는 르완다와 우간다가 카빌라를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반란을 지원하도록 만들었다.[52][53]

1998년 8월 2일, 콩고 민주 공화국 공군(FAC) 내의 반란이 고마에서 발표되었고, 르완다가 지원하는 투치족 중심의 반군 단체인 콩고 민주주의 집결(RCD-고마)가 결성되었다.[54][55][56] 같은 날, 고마는 RCD-고마와 RPA의 손에 넘어갔고, 1998년 8월부터 2001년 1월까지 약 3년 동안 반군의 통제를 받았다.[54]

미한다 난민 캠프의 항공 사진


1999년 2월 25일, RCD-고마와 RPA군은 마시시 준주의 루크웨티에서 45명의 민간인을 학살했다.[54] 이후에도 RCD-고마와 RPA는 마시시 준주와 왈리칼레 준주 등지에서 민간인 학살을 자행했다.[54] 1999년 5월 FAC의 공습은 카리심비의 무코사젱게를 포함한 고마 지역을 목표로 삼았고, 민간인 사상자를 냈다.

이 기간 동안, ALiR(''Armée pour la Libération du Rwanda'')의 구성원들도 왈리칼레 준주와 마시시 준주에서 민간인을 공격했다.[57] 2000년 1월, ALiR군은 왈리칼레 준주의 루크 마을에서 약 100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58]

2002년 11월, 콩고 민주 공화국-고마(RCD-Goma)는 바샬리-모코토 ''그룹망''의 부시무 마을을 공격하여 훈데족을 살해했다.[62] 같은 기간 동안, 훈데족 지도 하의 마이마이군은 같은 지역의 여러 냥가 마을에 방화로 보복하여 추가적인 사상자와 이재민을 발생시켰다.[62]

북키부의 토착 트와족 공동체는 이 기간 동안 불균형적으로 고통을 받았다. 다양한 무장 세력과 협력했다는 혐의를 받은 트와족은 RCD-고마 병사들과 FDLR 양쪽으로부터 반복적인 공격을 받았다.[64]

2001년, 북키부주의 베니와 루베로 지역은 RCD-ML, 마이마이 그룹, UPDF, FDLR 세력 등 여러 파벌이 영토 장악을 위해 싸우면서 격렬한 격전지가 되었다.[66]

3. 4. 콜탄 분쟁

제2차 콩고 전쟁 동안, 천연 자원, 특히 콜탄에 대한 군사적 통제는 르완다의 지원을 받은 반군 단체인 RCD-고마에게 수익성 있는 사업이 되었다.[70] 콜탄 가격 하락으로 르완다 군대의 직접적인 관리는 줄었지만, RCD-고마와 기타 정치 단체의 참여로 콜탄 거래에 대한 기득권은 여전히 높았다.[70] RCD-고마는 콜탄에서 상당한 수입을 얻었지만, 군 관계자와 르완다 당국이 콜탄을 국경 너머로 빼돌리면서 더 많은 이익이 르완다로 흘러 들어갔다.[70]

채석장 근처 고마


2000년 1월부터 10월까지 르완다가 통제하는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 지역에서 콜탄 수출량은 RCD-고마의 기록에 따르면 445 톤을 초과했다.[70] 2000년 말, 이 조직은 수출 독점을 시행하고 다음 두 달 동안 208톤의 콜탄 수출을 선언했다. 르완다로의 공식 및 비밀 이전을 모두 고려하면, 키부 주에서 연간 생산량은 2000년에 1,400~1,700톤에 달했을 가능성이 높다.[70] 추정에 따르면 무역 절정기에 현지 무역 회사(''comptoirs'')로 6000만달러 이상이 흘러 들어갔고, 르완다 군대는 르완다로 수출된 콜탄으로부터 18개월 동안 2.5억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70] 이 이익은 주로 르완다 및 RCD-고마 군 엘리트, 사업가, 그리고 르완다 정부와 연계된 다른 개인들에게 돌아갔다.[70]

르완다 군대의 추출 및 이전 작전은 왈리칼레 및 마시시와 같은 주요 지역에 주둔한 고위 지휘관들이 조직하고 통제했다.[70] 검문소는 광산 지역에 대한 민간인의 접근을 감시하고 제한하기 위해 설치되었고, 주요 도시와 비행장은 항공 또는 도로 운송을 기다리는 콜탄의 비축 기지가 되었다.[70] 새로운 비행장이 건설되었고, 스왈라 익스프레스(Swala Express), 부카부 항공 운송(Bukavu Air Transport), 키부-에어(Kivu-Air)와 같은 계약 회사가 참여한 군용 헬리콥터는 원격 광산 지역에서 콜탄을 르완다로 직접 운송했으며, 여기에서 국영 시설이 광물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다. 반환 항공편은 종종 무기와 장비를 DRC로 다시 운반했다. 이전에 현지 광부들이 현지 무역 회사에 콜탄을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했던 민간 항공편은 군 당국에 의해 중단되어 무역에 대한 통제를 통합했다.[70]

수공업 다이아몬드 광부 근처 루베로


군 통제 광산 지역의 민간인들은 강제 노동에 자주 시달렸고, 심지어 유료 광부들조차 군 관계자에게 훨씬 낮은 가격으로 생산물을 판매해야 했다.[70] 또한, 르완다 군인들은 외국 소유 광산 특허에 대한 사설 경비를 제공하여 보호 대가로 이윤의 일부를 받았다. 일부 콜탄은 현지 무역 회사를 거쳤지만, 대부분은 DRC의 수출 시스템을 우회하여 르완다로 직접 운송되었다.[70]

정부와 관련된 르완다 군 장교 및 기업가들은 그랑 락스 메탈스(Grands Lacs Metals) 및 르완다 메탈스(Rwanda Metals)와 같은 고마 및 부카부의 주요 무역 회사에서 이사 및 주주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70] 이러한 무역 회사들은 르완다 정부의 콩고 데스크와 협력하여 콜탄을 국제 시장에 직접 수출하는 것을 촉진했다. 콜탄 가격의 궁극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군사적 이전은 지속되었으며, 이는 2002년 10월 5일 르완다 메탈스 소유의 콜탄 36톤이 탄자니아에서 압수된 사건에서 알 수 있다.[70] DRC 정부는 르완다 메탈스가 DRC에서 자원을 약탈했다고 비난했지만, 회사는 콜탄이 국내에서 채굴되었다고 주장하며 이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 탄자니아 고등 법원은 이 사건을 기각했지만, 압수된 콜탄의 출처는 불확실하다.[70]

수공업 코발트 광부


RCD-고마는 자체적으로 임명한 행정 권한에도 불구하고 르완다 군대가 행사하는 것과 같은 광산 지역에 대한 광범위한 통제에 필요한 물류 및 군사 자원이 부족했다.[70] 그럼에도 불구하고, RCD-고마는 광산 허가 수수료, 환불 불가 보증금, 수출세, 콜탄 가격과 함께 증가하는 "전쟁 노력세"를 포함한 수많은 세금 및 수수료를 부과하여 콜탄 거래를 이용했다.[70] RCD-고마는 또한 콜탄 수출에 대한 일시적인 독점권을 가진 Société Minière des Grands Lacs(SOMIGL)의 지분 75%를 통제하여 즉각적인 수입 급증을 창출했다.[70] 2000년 12월에 수출된 콜탄 112톤은 110.00000000000001만달러 이상의 세수를 올렸지만, 이 기금은 의료나 교육과 같은 공공 서비스에 할당되지 않았다.[70]

독점은 2001년 4월에 르완다 군대가 RCD-고마의 통제를 무시하고, 무역 회사가 재고를 보유하고, 탄탈 가격이 하락하면서 해체되었다.[70] RCD-고마 관계자의 서한은 르완다 군에 의한 르완다로의 직접적인 콜탄 수출로 인한 수입 손실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월간 수출량은 46톤으로 추정되며, 글로벌 시장에서 최대 2100만달러의 가치를 지닌다.[70] RCD-고마는 또한 캐나다 기반의 금 탐사 및 개발 회사인 Banro Corp 또는 DRC 정부의 법적 소유권을 가진 콜탄 특허를 판매함으로써 권한을 이용했다.[70] 2001년 2월, RCD-고마 위원회는 스위스 회사인 Medival Minerals Ltd.에게 다양한 특허에서 석석 추출에 대한 18개월 계약을 체결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에서는 높은 탄탈 관련 관세를 피하기 위해 콜탄을 종종 석석으로 잘못 표기한다.[70] 이 계약에 따라 위원회는 판매 가격의 20%를 받았고, RCD-고마는 보안을 제공했다.[70]

유엔 몬스코의 군사 개입 여단 소속 탄자니아 대대가 무장 단체의 공격으로부터 민간인을 보호하기 위한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지역 사회와 교류하면서 임무의 민간 인력을 호위하고 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의 푸니아, 킨두, 샤분다, 마시시, 왈리칼레 등 콜탄이 풍부한 지역에 거주하는 민간인들은 잦은 공격을 받았다.[71] 이러한 사건에는 전체 공동체를 대상으로 한 표적 살해와 무차별 공격이 모두 포함되었다. 마을은 초토화되었고, 주민들이 잔혹 행위를 피해 도망치면서 광대한 지역이 황폐화되었다.[72] 예를 들어, 2001년 5월 초, 마시시 지역의 카발레 주민들은 르완다군과 마이마이 민병대 간의 충돌로 인해 숲으로 도망쳐야 했다.[72] 일부 마을 주민들이 돌아오려고 하자 르완다 군인들이 총격을 가해 어린아이를 포함한 여러 민간인을 살해했다.[72]

콜탄 수요는 또한 종종 어린이를 포함하는 강제 노동의 체계적인 사용으로 이어졌다.[72] 보고서에 따르면 2001년 4월 르완다 군인들은 마시시 지역의 광산 작업에서 어린이와 성인에게 강제 노동을 시켰다. 마시시 지역 오소 구역의 룬제 ''그룹망''에 있는 뭄바와 루게셰의 광산 현장은 강제 노동의 현장이 되었으며, 군인들은 폭력을 사용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노동을 강요했다.[72]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사례로, 콜탄 광산의 노동 관행을 조사하기 위해 방문한 콩고 인권 운동가가 구금되어 다른 민간인들과 함께 강제 노동을 했다.[72] 그는 나중에 많은 수의 어린이를 포함해 최대 200명의 민간인이 가혹한 조건에서 노동을 강요받았으며, 종종 칼날과 소총 개머리판으로 위협을 받았다고 전했다.[72]

국내 실향민 (IDPs) in 루추루 영토의 키완자 캠프


콜탄 자원을 둘러싼 분쟁은 또한 광범위한 이주로 이어졌는데, 군대가 마을을 파괴하고 주민들을 집에서 쫓아냈기 때문이다. 2001년 4월과 10월 사이에 RCD-고마 및 르완다 군대가 광산 지역을 장악하려 하면서 마항가 주변의 오소 구역에서 수천 명이 강제로 이주했다.[72] 이주민들은 식량, 쉼터, 위생 시설에 대한 접근이 부적절하여 극심한 어려움에 직면했으며, 그 결과 질병과 기아로 인한 추가 사망자가 발생했다.[72]

어떤 경우에는 주민들이 마항가의 학교와 같은 부적절한 쉼터에 모여 인도적 지원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었다. 이주민 중 다수가 사망했다.[72]

분쟁 기간 동안 몇 건의 표적 살해가 발생했으며, 이는 종종 반대 세력과의 협력 혐의 또는 콜탄 거래와의 단순한 연관성으로 인해 발생했다.[72] 2001년 5월 25일, 마시시의 콜탄 상사에서 일하던 콩고인 직원 사시타 바바오니가 르완다 군인에게 살해당했다. 이전의 위협과 불만에도 불구하고 르완다 당국은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가해자는 책임을 지지 않았다.[72]

또 다른 중요한 사건은 2001년 8월 28일에 발생했는데, 르완다 군인들이 푸니아 근처에서 한 상인을 구금하고 RCD-고마 전투원을 수송하도록 강요한 후, 그를 임시 감옥으로 사용되는 구덩이인 ''지하 감옥''에 구금했다.[72] 그날 밤, 그 상인은 군인들이 마이마이와 협력한 혐의로 다른 6명의 구금자를 처형하는 것을 목격했다.[72]

왈리칼레의 여성과 어린 소녀들


콜탄 채굴과 관련된 폭력과 강제 노동은 여성, 아동 및 기타 취약 계층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72] 많은 어린이들이 위험한 채굴 환경에서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으며, 복종을 강요하기 위해 신체적 폭력이 빈번하게 사용되었다.[72] 여성과 노인은 종종 신속하게 도망갈 수 없었으며, 봉베냐마와 파키리 인근에서 살해된 사례와 같이 표적 폭력의 희생자가 되었다. 이 지역에서 20명의 노인, 여성 및 어린이가 습격으로 살해되었다.[72]

3. 5. 현재 분쟁 상황

2003년 이후에도 북키부 주에서는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 콩고 민주 공화국 군대(FARDC), 르완다 해방 민주군(FDLR), 마이마이 등 여러 무장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73][74][75] 2017년에는 유엔 콩고 민주 공화국 안정화 임무단(MONUSCO) 기지가 민주 동맹군(ADF)으로 추정되는 세력에게 공격받아 탄자니아, 콩고 등에서 온 PKO 요원 15명 이상이 사망했다.[91]

2018년에도 정부군, 민병대, 자경단, 반정부 조직 간의 무력 분쟁이 격화되어 많은 사상자와 납치 피해자가 발생했다.[92] 2019년에는 에볼라 출혈열 치료 센터가 무장 세력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94] 2021년에는 유엔 세계 식량 계획(WFP) 차량이 무장 단체의 공격을 받아 이탈리아 대사 등 3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95]

2021년 5월 22일에는 니라공고산이 분화하여 대규모 피난 사태가 발생했다.[96] 일본 NGO 단체인 '나카요시 학원'은 모금 활동을 통해 피난민들에게 물, 식량, 담요 등을 지원하고, 방재 교육을 위한 학교를 설립했다.[96][97]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 사무소(OCHA) 보고에 따르면, 2022년 7월 기준으로 북키부 주를 포함한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에는 약 120개의 반정부 세력이 활동하고 있다.[98] 특히 북키부 주는 2021년 5월 이후 사실상 계엄 상태에 있으며, 이로 인해 민간인 피해가 오히려 증가했다.[99]

4. 행정 구역

북키부 주는 테리토리, 도시, 족장국 (''collectivités'') 및 섹터, ''groupements'' (구분), 그리고 마을 (''localités'')을 포함하는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8년 키부 주에서 분리된 북키부 주의 변천사[25]
1988년 이전1988년1997년2015년
키부노르-키부노르-키부



북키부 주는 6개의 테리토리와 3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주는 테리토리로 구성되어 있고, 테리토리는 족장국(치프덤)과 섹터로 구성되어 있다. 족장국과 섹터는 마을로 세분되는 ''구룹망''(groupements)으로 나뉜다.

4. 1. 도시


  • '''고마''': 주도이자 최대 도시로, 북키부주의 행정 및 경제 중심지이다.[25] 키부 호수 북쪽 해안과 르완다 국경 근처에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하지만, 니라공고 산의 주기적인 화산 폭발과 지역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26][27][28][29]
  • '''부템보''': 북키부주 북부의 주요 상업 중심지이다.[30] SOMINKI의 광업 활동으로 발전했으며, 농산물 무역 중심지이다.[31] 교통 기반 시설을 통해 동아프리카 국가들과 연결되어 있다.[31]
  • '''베니''': 북동부에 위치하며 면적은 184.24km2, 고도는 약 800m이다.[32] 중요한 도시이지만, 최근 지역 분쟁으로 안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33][29]

4. 2. 테리토리

북키부 주는 6개의 테리토리로 구성되어 있다.[4][20][21] 각 테리토리는 2명의 부영토 행정관의 지원을 받는 영토 행정관이 이끌고 있으며, 이들은 광대하고 외딴 지역이나 시골 지역의 효과적인 통치를 돕는다.[22] 영토 공무원은 내무 및 안보부에서 임명하며 국가 공식 예산의 일부이다.[22] 이들은 주지사의 감독 아래 지역 수준에서 국가 정책을 시행하며, 주지사는 주 내에서 대통령과 부처를 대표한다.[22]

북키부의 테리토리는 다음과 같다:[4][20][21]

  • 베니 영토
  • 루베로 영토
  • 마시시 영토
  • 루투루 영토
  • 니라공고 영토
  • 왈리칼레 영토

4. 3. 족장국 및 섹터

북키부주의 전통적인 통치는 ''집단''이라고 알려진 치프덤과 섹터로 구성된다.[23][4] 이들 실체는 전통적인 형태의 권위를 나타내며, 여기서 지도력은 종종 민족 관습에 의해 결정되고 나중에 국가에 의해 공식화된다.[22] 치프덤의 수장은 "무아미"(최고 관습 족장)의 직함을 가진다.[34][35] 치프덤과 섹터는 마을로 세분되는 ''구룹망''(groupements)으로 나뉜다.[34][36] 마을 촌장과 족장들은 이러한 더 작은 구역 내에서 통치를 관리한다.[34][35]

북키부주의 주목할 만한 치프덤과 섹터는 다음과 같다.

  • 비토 치프덤
  • 바슈 치프덤
  • 와탈링가 치프덤
  • 바샬리 치프덤
  • 바훈데 치프덤
  • 오소 섹터
  • 카토이 섹터
  • 부쿠무 치프덤
  • 비샤 치프덤
  • 바마테 치프덤
  • 바페레 섹터
  • 바스와가 치프덤
  • 베니 섹터
  • 루웬조리 섹터

5. 경제

북키부주의 경제는 농업과 광업이 중심이다. 인구의 90% 이상이 자급 농업에 종사하며, 카사바, 옥수수, 플랜틴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한다.[18] 기름야자, 고무, 등의 산업 작물도 재배하며, 특히 북키부주는 세계 최고 품질의 파파야 생산지 중 하나이다.[18][11][76][77] 가축 사육과 어업도 활발하다.[11][18][78][79]

2014년 루바야 근처 루워보 콜탄 광산


광물 자원도 풍부하여 , , 콜탄 등 다양한 광물이 채굴된다.[11] 특히 비스예 광산은 주석석 생산으로 유명하다.[80] 수공업 채광이 주를 이루지만, 일부 광산에서는 반산업화된 채광도 이루어진다.[80]

북키부주 고마에서 북쪽으로 약 110km 떨어진 미리키


고마 국제공항과 키부 호는 중요한 교통로이며, 도로망은 약 5134km에 이른다.[11] SNEL과 REGIDESO 등이 전력 및 수도 서비스를 제공한다.[82]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사업활동 분야본사
콩고 담배 회사(CTC)/수퍼 매치담배 산업[83][84]고마
ETS 비슈웨카 바니일반 무역[85]고마
메종 M.L무역[18]고마
키부 모터무역[18]고마
ETS 마이 프렌드건설[18]고마
프레미디스 Sarl산업[18]고마/루추루
알파민 비시에 마이닝(ABM)광업 회사[18]고마/왈리칼레
소시에테 미니에르 드 비순주광업 회사[18]고마/마시시
바쁜 벌 콩고(Busy Bee Congo)운송[18]고마
마이 프렌드운송[18]고마
에스코 키부 Sarl농업[18][86]부템보
메종 팔로스 Sarl무역[18]부템보



비룽가 국립공원산악고릴라 등 다양한 야생동물로 유명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관광 산업의 중심지이다.[11][18]

5. 1. 농업

자급 농업은 북키부주의 가장 중요한 경제 활동으로, 인구의 90% 이상이 이에 종사하고 있다.[18] 주요 식량 작물로는 카사바, 옥수수, 플랜틴, 고구마, 땅콩, 얌, 대두, 논 벼, 카우피, 이 있다. 산업 작물로는 기름야자, 고무, , 키니네, 커피, 코코넛, 제충국, 파파야, 코코아 등이 재배된다.[18][11][76] 북키부주는 세계 최고 품질의 파파야 생산지 중 하나이며, 남키부주와 함께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차를 생산하는 유일한 주이다.[77] 농업 활동은 가축, 특히 , , 염소, 돼지, 가금류 사육과 왈리칼레, 베니, 루베로 지역 서부의 풍부한 어류가 서식하는 강에서의 어업으로 확장된다.[11][18][78][79]

5. 2. 광업



북키부주는 광물 매장량이 풍부하다.[11] 이 주는 , , 모나자이트, 주석석, 콜탄, 텅스텐석(산화 텅스텐), 다이아몬드, 파이로클로어, 지르코늄, 석영, 전기석, 백금, 인산염 등 다양한 광물을 여러 지역에 걸쳐 보유하고 있다.[11][18][80][81] 금 매장지는 베니, 루베로, 마시시, 와리카레에 있으며, 은은 니라공고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발견된다. 루추루와 마시시에는 주석석 매장량이 있고, 콜탄은 루베로, 마시시, 와리카레에서 채굴된다.[11] 산업적 응용에 사용되는 파이로클로어는 베니와 루추루에서 채굴되며, SOMIKIVU가 이를 담당한다.[11][80] 와리카레 지역은 비스예 광산의 주석석 생산으로 유명하며 주요 광업 중심지이다.[80]

수공업 채광은 노동 집약적이고 저기술적인 접근 방식으로, 특히 망구레지파, 분야텡게, 카수고와 같은 루베로 지역과 베니의 칸틴 및 마발라코에서 이 부문을 지배한다.[80] 왈리칼레에서는 비시에를 제외하고 수공업 채광이 우세하며, 비시에는 반산업화된 작업이 이루어진다.[80] 남아프리카 공화국캐나다 기업인 MPC와 알파 광산이 관리하는 비시에 광산은 주석석 채굴에 중점을 두고 더욱 산업화된 방식으로의 전환을 보여준다.[80] 콜탄 채굴로 유명한 마시시 영토는 콩고 회사인 소시에테 미니에르 드 비순주 SARL(SMB)이 주도하는 반산업 채광에도 참여한다.[80]

5. 3. 기반 시설

북키부주의 경제 기반 시설은 무역과 일상적인 운영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 서비스와 운송 네트워크가 혼합되어 있다.[11][18][82] 고마 국제공항은 주요 항공 관문이며, 키부 호는 북키부주를 지역 시장과 연결하는 중요한 운송로 역할을 한다. 주의 도로망은 약 5134km에 이르며, 국도, 지방도, 농로가 혼합되어 있지만 유지 보수 문제로 인해 연결이 자주 방해를 받는다.[11] 국영 기업인 SNEL(Société Nationale d'Électricité)과 REGIDESO와 같은 주요 기업이 주로 고마에 전력 및 수도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른 도시 중심지까지 제한적으로 공급한다.[82] 고마 항구와 그 부두는 SNCC(Société Nationale des Chemins de fer du Congo)가 부분적으로 운영하며 강을 이용한 상업을 지원하며, Congo Maji SARL 및 Yme Jibu와 같은 민간 기업은 수도 산업을 통해 공동 수도 및 가정 연결을 통해 보완적인 수자원(물) 서비스를 제공한다.[82]

5. 4. 주요 기업

사업활동 분야본사
콩고 담배 회사(CTC)/수퍼 매치담배 산업[83][84]고마
ETS 비슈웨카 바니일반 무역[85]고마
메종 M.L무역[18]고마
키부 모터무역[18]고마
ETS 마이 프렌드건설[18]고마
프레미디스 Sarl산업[18]고마/루추루
알파민 비시에 마이닝(ABM)광업 회사[18]고마/왈리칼레
소시에테 미니에르 드 비순주광업 회사[18]고마/마시시
바쁜 벌 콩고(Busy Bee Congo)운송[18]고마
마이 프렌드운송[18]고마
에스코 키부 Sarl농업[18][86]부템보
메종 팔로스 Sarl무역[18]부템보


5. 5. 관광

관광 산업은 비룽가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곳은 멸종 위기에 놓인 산악고릴라와 다양한 야생동물로 유명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이다.[11][18] 이 명소는 다양한 자연 보호 구역과 함께 이 지역 관광 산업의 근간을 형성한다.

6. 정치

북키부주의 주 정부는 주지사가 이끌며 여러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다.[87] 주 공무원 편집 및 2009년 01/012/CAB/GP-NK호와 같은 주요 정책은 지방 및 주 정부 구조를 규제한다. 북키부주의 치안은 주 치안 부대가 관리한다.[87]

독립 선거 관리 위원회(CENI)는 고마, 베니, 부템보를 비롯한 북키부주의 6개 지역에 사무소를 설립했다.[87] 고마에 본부를 둔 주 집행 사무국은 직접 선거와 간접 선거의 조직을 보장하기 위해 주 전체의 선거 과정을 조정한다.[87]

사법 거버넌스 구조는 민사 및 군사 사법 시스템을 모두 포괄하는 정의 및 인권 실무 그룹(Groupe Thématique Justice et Droits Humains, GTJDH)의 지원을 받는다.[87] 주 법무부(Provincial Justice Division)는 교도소 관리, 공증 서비스, 그리고 국가 경비대 및 교육 기관(''Garde et de l'Éducation de l'État'')에 대한 감독을 담당한다.[87] 사법 서비스는 고마(Goma)의 항소 법원, 여러 검찰청, 고등 법원, 평화 법원, 상업 법원 및 군사 법원을 통해 분산되어 제공된다.[87]

7. 인권 문제

북키부 주는 분쟁으로 인해 심각한 인권 침해가 발생하고 있는 지역이다.

2007년 10월, 유엔 난민 기구(UNHCR)는 정부군, 르완다 해방 민주군(FDLR) 반군, 로랑 튄다의 세력을 포함한 반군, 그리고 북키부 주 전역에서 무장 단체의 아동병사 징집 등 군수품 및 군대 증강과 관련하여 북키부 주에서 국내 실향민(IDP)이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UNHCR은 2006년 12월 이후 북키부 주에서 37만 명 이상이 실향민이 된 것으로 추정했다.[88] M23 반군이 고마 시를 단기간 점령하면서 "수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으며, 사케 마을은 버려졌다.[89]

2018년에도 정부군, 민병대, 자경단, 반정부 조직이 뒤섞여 무력 분쟁이 격화되었다. 2018년 2월, 콩고군이 관련된 분쟁만으로도 106명이 사망하고 80명이 납치되었다.[92]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 사무소(OCHA)는 2022년 7월 21일 보고에서 북키부 주를 포함한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에서 약 120개의 반정부 세력이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98] 특히 북키부 주는 2021년 5월 6일부터 군과 경찰에 완전한 권한이 부여되어 주 정부가 운영되는 사실상의 계엄 상태이며, 이 조치는 2024년 2월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계엄 상태에도 불구하고 분쟁은 진압되지 않았고, 오히려 2020년 4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민간인 살해가 1,374명이었던 데 반해, 2021년 5월부터 2022년 4월까지는 2,500명 이상으로 악화되었다.[99]

8. 주요 무장 단체

북키부 주에서는 여러 무장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주요 무장 단체는 다음과 같다:


  • 3·23 운동
  • 르완다 해방 민주군
  • 인민 방위 국민 회의
  • 마이마이(콩고)
  • Allied Democratic Forces|민주 동맹군|민주 동맹군영어 (ADF)[98]


1990년대 후반 제2차 콩고 전쟁 시기에는 로랑 콩다가 이끄는 콩고 민주 연합 고마파(RCD-G)의 거점이었으며, 르완다군에 점령되기도 했다. 콩다는 인민 방위 국민 회의를 조직하여 반란을 지속했지만 2000년대 후반에는 조직이 붕괴되었다.[90]

2017년 12월 7일, 민주 동맹군(ADF)으로 추정되는 세력이 유엔 콩고 민주 공화국 안정화 임무단(MONUSCO)의 거점을 습격하여 15명 이상이 사망했다.[91] 2019년 2월 27일에는 부템보의 에볼라 치료 센터가 습격받아 폐쇄되었고, 3월 9일에는 마이마이로 추정되는 무장 세력이 다시 습격하여 경찰관 1명이 사망했다.[94]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 사무소(OCHA)의 2022년 7월 보고에 따르면, 북키부 주를 포함한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에는 약 120개의 반정부 세력이 활동하고 있다.[98]

참조

[1] 웹사이트 RDC: un nouveau gouverneur militaire intérimaire au Nord-Kivu https://www.rfi.fr/f[...] 2023-09-20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3]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6-05-10
[4] 웹사이트 Province du Nord-Kivu https://caid.cd/?pag[...] Cellule d'Analyses des Indicateurs de Développement (CAID) 2024-11-08
[5] 웹사이트 Congo (Dem. Rep.): Provinces, Major Cities & Town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024-02-11
[6] 웹사이트 Province du Nord-Kivu: Plan de Développement Provincial du Nord-Kivu (2019-2023) https://www.plan.gou[...] 2024-11-08
[7] 웹사이트 Sommaire Jo N° 23 https://www.leganet.[...] 2024-11-10
[8] 웹사이트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https://www.leganet.[...] 2024-05-29
[9] 웹사이트 Gorilla Trekking https://gorillatrekk[...] 2023-07-28
[10] 웹사이트 Shaping the Rwenzoris: balancing uplift, erosion, and glaciation https://userpage.fu-[...] Springer 2024-02-13
[11] 웹사이트 Etude de faisabilité de création d'une unité de production de sucre dans la province du nord Kivu à Rutshuru; analyse financière et économique https://www.memoireo[...] Free University of the Great Lakes Countries 2024-11-10
[12] 웹사이트 Au-delà de la stabilisation: Comprendre les dynamiques de conflit dans le Nord et le Sud Kivu en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https://www.internat[...] 2024-11-08
[13] 웹사이트 "Les oubliés du Nord-Kivu": Zoom sur la crise humanitaire dans cette province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au 1er mars 2024 https://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24-11-08
[14]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Conflict in North Kivu https://www.acaps.or[...] ACAPS 2024-11-10
[15] 간행물 COVID-19 Vaccine Perceptions among Ebola-Affected Communities in North Kivu,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2021 2023-05-11
[16] 간행물 Ebola vaccine uptake and attitudes among healthcare workers in North Kivu,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2021 2023-07-25
[17] 웹사이트 Province du Nord-Kivu https://caid.cd/?pag[...] Cellule d'Analyses des Indicateurs de Développement (CAID) 2024-11-08
[18] 웹사이트 Province du Nord-Kivu https://caid.cd/?pag[...] Cellule d'Analyses des Indicateurs de Développement (CAID) 2024-11-08
[19] 웹사이트 Growth, Productivity, Biomass and Carbon Stock in Eucalyptus saligna and Grevillea robusta Plantations in North Kivu,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www.cifor-ic[...] 2024-11-12
[20] 웹사이트 Pauvreté et privations de l'enfant en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Province du Nord-Kivu https://www.unicef.o[...] UNICEF 2024-11-08
[21] 웹사이트 La province du Nord-Kivu en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https://www.regions-[...] 2024-11-08
[22] 간행물 Insecurity and Local Governance in Congo's South Kivu https://opendocs.ids[...] 2024-11-08
[23] 웹사이트 Province du Nord-Kivu: Plan de Développement Provincial du Nord-Kivu (2019-2023) https://www.plan.gou[...] 2024-11-08
[24] 간행물 Le rôle d'un Maire de la ville dans la sécurisation de son entité administrative https://www.nomos-el[...] 2024-11-08
[25] 웹사이트 Insecurity in Goma: Experiences, actors and responses https://riftvalley.n[...] Rift Valley Institute 2024-11-08
[26] 웹사이트 De l'opportunité du développement du tourisme au nord Kivu. Cas de la ville de Goma https://www.memoireo[...] Institut Supérieur de Tourisme de Goma (ISTou-Goma) 2024-11-08
[27] 웹사이트 L'octroi des microcrédits par les institutions de microfinance et l'amélioration des conditions socio-économiques des ménages dans la ville de Goma https://www.memoireo[...] Institut Supérieur de Développement Rural des Grands Lacs (ISDR-GL) 2024-11-08
[28] 간행물 Differences in volcanic risk perception among Goma's population before the Nyiragongo eruption of May 2021, Virunga volcanic province (DR Congo) https://nhess.copern[...] 2023-03-03
[29] 웹사이트 "Les oubliés du Nord-Kivu": Zoom sur la crise humanitaire dans cette province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au 1er mars 2024 https://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24-11-08
[30] 웹사이트 Etude des déterminants du développement du secteur informel en ville de Butembo https://www.memoireo[...] Adventist University of Lukanga 2024-11-08
[31] 웹사이트 Solidarité, famille et développement socio-économique en ville de Butembo https://www.memoireo[...] Catholic University of Graben 2024-11-08
[32] 웹사이트 Etude de la commercialisation du ciment en ville de Beni https://www.memoireo[...] Université du CEPROMAD/Beni 2024-11-08
[33] 웹사이트 Au-delà de la stabilisation: Comprendre les dynamiques de conflit dans le Nord et le Sud Kivu en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https://www.internat[...] 2024-11-08
[34] 웹사이트 Insecurity and Local Governance in Congo's South Kivu https://opendocs.ids[...]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 2024-10-13
[35] 서적 A Microcosm of Militarization: Conflict, governance and armed mobilization in Uvira, South Kivu https://peacerep.org[...] Rift Valley Institute 2024-11-03
[36] 서적 A Microcosm of Militarization: Conflict, governance and armed mobilization in Uvira, South Kivu https://peacerep.org[...] Rift Valley Institute 2016
[37] 웹사이트 First Congo War and AFDL Regime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38] 웹사이트 Letter dated 15 October 2002 from the Secretary-General addressed to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https://www.security[...] 2002-10-16
[39] 웹사이트 Rwanda is the 'Wild West' and should be removed from the mineral supply chain https://canadiandime[...] 2023-09-25
[40] 웹사이트 Blood Minerals: The laundering of DRC's 3T minerals by Rwanda and private entities https://amsterdamand[...] Amsterdam & Partners LLP 2024-04
[41] 웹사이트 First Congo War – Attacks against Hutu refugees –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42] 웹사이트 Attacks against hutu refugees in camps on the Goma to Rutshuru road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43] 웹사이트 Attacks against hutu refugees fleeing across Masisi territory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44] 웹사이트 Attacks against hutu refugees fleeing across Walikale territory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45] 웹사이트 Attacks against hutu refugees fleeing across Walikale territory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46] 웹사이트 Attacks against hutu refugees fleeing across Walikale territory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47] 웹사이트 Attacks against hutu refugees fleeing across Walikale territory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48] 웹사이트 Attacks against hutu refugees fleeing across Walikale territory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49] 웹사이트 The Second Congo War (August 1998–January 2001) https://www.mapping-[...]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50] 웹사이트 Exposing U.S. agents of low intensity warfare in Africa: The policy wonks behind covert warfare and humanitarian fascism https://africanagend[...] 2023-12-17
[51] 웹사이트 America's covert operations in the Great Lakes Region https://l-hora.org/e[...] 2001-08-30
[52] 서적 A New Paradigm of the African State: Fundi wa Afrika https://www.google.c[...] Palgrave Macmillan 2009-01-05
[53] 서적 Democratisation in the Dr Congo from Joseph Mobutu to Joseph Kabila: A Modelled Exploration https://www.google.c[...] AuthorHouse 2019-03-14
[54] 웹사이트 Second Congo War – Attacks on other civilian populations – North Kivu https://www.mapping-[...]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55] 서적 The Tragic State of the Congo: From Decolonization to Dictatorship https://www.google.c[...] Algora Publishing 2005
[56] 서적 Anatomy of Violence: Understanding the Systems of Conflict and Violence in Africa https://www.google.c[...] Taylor & Francis 2016-04-15
[57] 웹사이트 Second Congo War – Attacks on other civilian populations – North Kivu https://www.mapping-[...]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58] 웹사이트 Second Congo War – Attacks on other civilian populations – North Kivu https://www.mapping-[...]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59] 웹사이트 Second Congo War – Attacks on other civilian populations – North Kivu https://www.mapping-[...]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60] 웹사이트 Second Congo War – Attacks on other civilian populations – North Kivu https://www.mapping-[...]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61] 웹사이트 Second Congo War – Attacks on other civilian populations – North Kivu https://www.mapping-[...]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62] 웹사이트 Towards Transition –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63] 웹사이트 Towards Transition –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64] 웹사이트 Towards Transition –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65] 웹사이트 Towards Transition –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66] 웹사이트 Towards Transition –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67] 웹사이트 Towards Transition –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68] 웹사이트 Towards Transition –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69] 웹사이트 Towards Transition – North Kivu http://www.mapping-r[...] DRC Mapping Exercise Report 2009-06-15
[70]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Our brothers who help kill us": Economic exploitation and human rights abuses in the east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3-03-31
[71]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Our brothers who help kill us": Economic exploitation and human rights abuses in the east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3-03-31
[72]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Our brothers who help kill us": Economic exploitation and human rights abuses in the east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3-03-31
[73] 서적 RDC: Biographies des Acteurs de la Troisième République Africa Museum
[74] 뉴스 Congo's Riches, Looted by Renegade Troops https://www.nytimes.[...] 2008-11-16
[75] 간행물 Security Sector Reform in the Congo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6-02-13
[76] 웹사이트 Province du Nord-Kivu: Plan de Développement Provincial du Nord-Kivu (2019-2023) https://www.plan.gou[...] 2024-11-08
[77] 웹사이트 Province du Nord-Kivu: Plan de Développement Provincial du Nord-Kivu (2019-2023) https://www.plan.gou[...] 2024-11-08
[78] 웹사이트 Evidence of coinfection of African swine fever virus genotype X and Porcine parvovirus type 3 at pig farms in the North Kivu province, Eastern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s://assets-eu.re[...] 2024-03-29
[79] 웹사이트 Province du Nord-Kivu: Plan de Développement Provincial du Nord-Kivu (2019-2023) https://www.plan.gou[...] 2024-11-08
[80] 웹사이트 Mineral extraction in the province of Nord-Kivu, DRC: present situation and analysis of environmental questions https://www.wrm.org.[...] World Rainforest Movement 2015-08-10
[81] 웹사이트 Province du Nord-Kivu: Plan de Développement Provincial du Nord-Kivu (2019-2023) https://www.plan.gou[...] 2024-11-08
[82] 웹사이트 North Kivu InfraSAP: Main Report https://documents1.w[...] World Bank 2021-06-10
[83] 웹사이트 Goma: huit véhicules de Supermatch saisis au Rwanda https://www.radiooka[...] 2011-04-18
[84] 웹사이트 Affaire de huit véhicules saisis au Rwanda, Supermatch clame son innocence https://www.radiooka[...] 2011-04-19
[85] 웹사이트 Annuaire/Répertoire/Liste 2018 des entreprises du Nord-Kivu/Goma https://www.congovir[...]
[86] 웹사이트 Esco Kivu {{!}} High quality, organic cocoa, vanilla, cinchona and papain exporters https://www.escokivu[...]
[87] 웹사이트 Province du Nord-Kivu: Plan de Développement Provincial du Nord-Kivu (2019-2023) https://www.plan.gou[...] 2024-11-08
[88] 뉴스 DR Congo: UN agency concerned at military buildup in North Kivu https://www.un.org/a[...] UN News Service 2007-10-05
[89] 뉴스 PHOTOS: Tens Of Thousands Of Civilians Flee Goma http://www.huffingto[...] 2012-11-23
[90] 웹사이트 国連安保理制裁委員会が指定した制裁対象者リスト http://www.mofa.go.j[...] 日本国外務省 2007-06-13
[91] 뉴스 コンゴ民主共和国でPKO要員15人死亡、武装勢力襲撃 https://www.afpbb.co[...] AFP 2017-12-09
[92] 웹사이트 無法地帯、レイプや民族間抗争で数百万人が避難 コンゴ民主共和国 https://www.afpbb.co[...] AFP 2018-04-06
[93] 웹사이트 コンゴで武装勢力とPKO部隊が衝突、エボラ対応活動が一時中断 https://www.afpbb.co[...] AFP 2018-11-18
[94] 웹사이트 武装集団がエボラ治療センター襲撃、警察官1人死亡 コンゴ民主共和国 https://www.afpbb.co[...] AFP 2019-03-10
[95] 웹사이트 コンゴ民主共和国での治安事件に関する情報更新 https://ja.wfp.org/n[...] 国連世界食糧計画 2021-02-22
[96] 웹사이트 松戸のNPO コンゴに「防災学校」設立 災害の備え身に付けて 火山噴火で犠牲者 模型で溶岩からの避難学ぶ: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97] 웹사이트 https://twitter.com/373news_twit/status/1438687282261676033 https://twitter.com/[...]
[98] 웹사이트 Briefing not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 Humanitarian concerns in North Kivu, South Kivu, and Ituri (21 July 2022) https://reliefweb.in[...] 国際連合人道問題調整事務所 2022-07-21
[99] 뉴스 DRC: State of emergency in North Kivu, Ituri comes under scrutiny amid rising attacks https://www.africane[...] 2022-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