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모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모산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에 위치한 산으로, 불모산 송신소가 자리 잡고 있다. 불모산 송신소는 디지털TV, FM라디오, 지상파DMB 방송을 송출하며, 창원, 김해, 통영, 거제 등 경상남도와 서부산 지역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불모산은 낙동정맥에 속해 있으며, 한강기맥에서 갈라져 나온 땅끝기맥의 봉우리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시의 지리 - 마산만
    마산만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만으로, 봉암갯벌이 위치하며 수질 및 생태 환경 개선을 통해 도시와 자연의 공존 가능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창원시의 지리 - 주남저수지
    주남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지에서 철새 도래지로 변모하여 생태 관광 명소가 되었으며, 특히 가창오리를 비롯한 철새 관찰과 자연 체험을 위한 생태학습관이 운영되고 자전거 무료 대여 서비스가 제공된다.
  • 경상남도의 산 - 가야산
    가야산은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 걸쳐 있는 1,430m 높이의 산으로,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험준한 산세, 다양한 지형, 풍부한 생태계, 그리고 해인사를 비롯한 문화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 경상남도의 산 - 화악산 (경상도)
    화악산은 경상남도 밀양시와 경상북도 청도군에 걸쳐 있는 산으로, 남산과 철마산이 인근에 위치하며 다양한 등산 코스를 제공한다.
  • 한남금북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남금북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불모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불모산
다른 이름불모산 (佛母山)
높이801.7m
불모산
위치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진해구, 김해시
산맥낙남정맥

2. 불모산 송신소

불모산 송신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불모산에 위치한 송신소이다. 디지털TV, FM라디오, 지상파DMB 방송을 송출하며, 창원시, 김해시, 통영시, 거제시, 함안군, 밀양시, 창녕군, 의령군, 고성군 및 서부산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한다.

디지털TV
가상채널방송국명호출부호물리채널출력가시청권
CH 6-1KNN DTVHLDG-DTVCH 332.5㎾창원, 김해, 통영, 거제,
함안, 밀양, 창녕, 의령, 고성, 서부산
CH 7-1KBS창원 DTV2HLKD-DTVCH 25
CH 9-1KBS창원 DTV1HLAI-DTVCH 22
CH 10-1EBS 1TVHLQL-DTVCH 32
CH 10-2EBS 2TV
CH 11-1MBC경남 창원 DTVHLAP-DTVCH 26
FM라디오
주파수방송국명호출부호출력가시청권
90.9㎒KNN 러브FMHLDG-SFM5㎾창원, 김해, 통영, 거제,
함안, 밀양, 창녕, 의령, 고성, 서부산
91.7㎒KBS창원 제1라디오HLAI-SFM5㎾
93.9㎒KBS창원 음악FMHLAI-FM1㎾
95.5㎒tbn 경남교통방송HLEE-FM1㎾
98.1㎒febc창원극동방송HLDD-FM5㎾
98.9㎒MBC경남 창원 라디오HLAP-SFM3㎾
100.5㎒MBC경남 창원 FM4UHLAP-FM1㎾
102.5㎒KNN 파워FMHLDG-FM1㎾
104.3㎒EBS FMHLQL-FM3㎾
106.1㎒KBS창원 제2라디오(HappyFM)HLKD-SFM3㎾
106.9㎒CBS경남 라디오HLCC-FM3㎾
지상파DMB
방송국명채널목록호출부호채널(주파수)출력가시청권
Busan MBCmyMBC TVHLKU-TDMBCH 12-A
(205.280㎒)
2㎾부산, 김해, 진해, 거제 일부
U-KBSKBS STARHLKB-TDMBCH 12-B
(207.008㎒)
HD KBS STAR
KBS HEART
KBS MUSIC
KNN DMBKNNuHLDG-TDMBCH 12-C
(208.736㎒)
ubc u


2. 1. 개요

2. 2. 방송 송신 시설

함안군, 밀양시, 창녕군, 의령군, 고성군, 서부산7-1KBS창원 DTV2HLKD-DTV259-1KBS창원 DTV1HLAI-DTV2210-1EBS 1TVHLQL-DTV3210-2EBS 2TV11-1MBC경남 창원 DTVHLAP-DTV26



'''FM 라디오'''

주파수방송국명호출부호출력가시청권
90.9㎒KNN 러브FMHLDG-SFM5㎾창원, 김해, 통영, 거제,
함안, 밀양, 창녕, 의령, 고성, 서부산
91.7㎒KBS창원 제1라디오HLAI-SFM5㎾
93.9㎒KBS창원 음악FMHLAI-FM1㎾
95.5㎒tbn 경남교통방송HLEE-FM1㎾
98.1㎒febc창원극동방송HLDD-FM5㎾
98.9㎒MBC경남 창원 라디오HLAP-SFM3㎾
100.5㎒MBC경남 창원 FM4UHLAP-FM1㎾
102.5㎒KNN 파워FMHLDG-FM1㎾
104.3㎒EBS FMHLQL-FM3㎾
106.1㎒KBS창원 제2라디오(HappyFM)HLKD-SFM3㎾
106.9㎒CBS경남 라디오HLCC-FM3㎾



'''지상파 DMB'''

방송국명채널목록호출부호채널(주파수)출력가시청권
Busan MBCmyMBC TVHLKU-TDMBCH 12-A
(205.280㎒)
2㎾부산, 김해, 진해, 거제 일부
U-KBSKBS STARHLKB-TDMBCH 12-B
(207.008㎒)
HD KBS STAR
KBS HEART
KBS MUSIC
KNN DMBKNNuHLDG-TDMBCH 12-C
(208.736㎒)
ubc u


2. 2. 1. 디지털 TV

함안군, 밀양시, 창녕군, 의령군, 고성군, 서부산7-1KBS창원 DTV2HLKD-DTV259-1KBS창원 DTV1HLAI-DTV2210-1EBS 1TVHLQL-DTV3210-2EBS 2TV11-1MBC경남 창원 DTVHLAP-DTV26


2. 2. 2. FM 라디오

함안, 밀양, 창녕, 의령, 고성, 서부산91.7㎒KBS창원 제1라디오HLAI-SFM5㎾93.9㎒KBS창원 음악FMHLAI-FM1㎾95.5㎒tbn 경남교통방송HLEE-FM1㎾98.1㎒febc창원극동방송HLDD-FM5㎾98.9㎒MBC경남 창원 라디오HLAP-SFM3㎾100.5㎒MBC경남 창원 FM4UHLAP-FM1㎾102.5㎒KNN 파워FMHLDG-FM1㎾104.3㎒EBS FMHLQL-FM3㎾106.1㎒KBS창원 제2라디오(HappyFM)HLKD-SFM3㎾106.9㎒CBS경남 라디오HLCC-FM3㎾


2. 2. 3. 지상파 DMB

방송국명채널목록호출부호채널(주파수)출력가시청권
Busan MBCmyMBC TVHLKU-TDMBCH 12-A
(205.280㎒)
2㎾부산, 김해, 진해, 거제 일부
U-KBSKBS STARHLKB-TDMBCH 12-B
(207.008㎒)
HD KBS STAR
KBS HEART
KBS MUSIC
KNN DMBKNNuHLDG-TDMBCH 12-C
(208.736㎒)
ubc u


3. 한국의 산맥

3. 1. 백두대간

3. 2. 기타 산맥

3. 2. 1. 장백정간, 청북정맥, 청남정맥, 해서정맥, 임진북예성남정맥

(소스 내용 없음)

3. 2. 2. 낙동정맥

낙동정맥은 태백산맥에서 남쪽으로 뻗어 부산광역시 다대포해수욕장몰운대에서 끝나는 산줄기로, 총 길이는 약 370km에 달한다. 백두대간 구봉산에서 분기되어 남하하며, 강원도경상북도, 경상남도를 지난다.

낙동정맥은 영남 지방의 동쪽을 가로지르며, 이 지역의 중요한 분수령 역할을 한다. 낙동정맥의 서쪽은 낙동강 유역에 속하며, 동쪽은 동해로 흘러드는 여러 하천들의 유역이 된다.

낙동정맥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산과 고개들이 있다.

백병산, 석병산, 두타산, 청옥산, 고적대, 황장산, 태백산

구봉산, 통고산, 울진 백암산, 주왕산, 포항 내연산, 경주 단석산

울산 가지산, 신불산, 영축산, 금정산, 엄광산, 구덕산, 불모산, 시약산

특히,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이 한반도의 산줄기를 파악하기 위해 제작한 산경표에서 낙동정맥이 주요 산맥으로 강조되었으며,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지리 인식과도 일치한다.

3. 2. 3. 한북정맥

한북정맥은 백두대간의 추가령(楸哥嶺)에서 갈라져 남쪽으로 한강과 임진강의 수계를 가르며 파주의 장명산(長命山)에 이르는 산줄기이다.

한북정맥은 조선시대에 13정맥 중의 하나로 인식되었다. 추가령에서 갈라져 남서쪽으로 뻗어 대성산(大成山, 1,175m)·수피령(水皮嶺)·오성산(五聖山, 1,062m)·백암산(白巖山, 1,110m)·법수령(法首嶺)·광덕산(廣德山, 1,046m)·백운산(白雲山, 904m)·도마치(道馬峙)·국망봉(國望峰, 1,168m)·강씨봉(姜氏峰)·청계산(淸溪山, 849m)·운악산(雲岳山, 935m)·주엽산(注葉山, 489m)·불곡산(佛谷山, 347m)·고봉산(高峰山, 88m) 등을 지나 장명산으로 이어진다.

이 산줄기는 북한의 평강·철원·김화·회양과 남한의 연천·포천·가평·양주·의정부 등 여러 시·군을 지난다.

3. 2. 4. 한남정맥, 한남금북정맥, 금북정맥

한남정맥, 한남금북정맥, 금북정맥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source`에 내용이 없어 요약된 정보만으로는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2. 5. 금남정맥, 금남호남정맥, 호남정맥

금남정맥, 금남호남정맥, 호남정맥은 한국의 산줄기 중 하나로, 중요한 지리적, 생태적 가치를 지닌다.
금남정맥(錦南正脈)은 금남기맥이라고도 불리며,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산줄기이다. 주화산(周火山, 623m)에서 시작하여 계룡산(鷄龍山, 846.5m)을 거쳐 부소산(459m)까지 이어지는 약 1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금남정맥은 금강의 남쪽 울타리 역할을 하며,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중요한 분수령이 된다. 금남정맥에는 계룡산, 대둔산(大屯山, 878.7m) 등 명산들이 포함되어 있다.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은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와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의 경계를 이루는 산줄기로,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 역할을 한다. 장수군의 장안산(長安山, 1,237m)에서 시작하여 주화산까지 이어지는 약 6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금남호남정맥은 금남정맥과 호남정맥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안산, 팔공산(八公山, 1,151m) 등이 주요 산으로 꼽힌다.
호남정맥(湖南正脈)은 금남호남정맥에서 갈라져 나와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가르며, 섬진강과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 탐진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주화산에서 시작하여 광양 백운산(白雲山, 1,222.2m)까지 이어지는 약 462.5km의 산줄기이다. 호남정맥은 호남 지방의 젖줄 역할을 하며, 내장산(內藏山, 763.5m), 무등산(無等山, 1,187m), 조계산(曹溪山, 887.1m) 등 명산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정맥은 한국의 전통적인 산줄기 체계인 산경표(山經表)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단순한 산줄기를 넘어 역사, 문화, 생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각 정맥은 주요 강들의 분수령이 되어 국토의 물길을 형성하고,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며, 지역 간의 경계를 이루는 역할을 한다.

3. 2. 6. 낙남정맥

낙남정맥은 백두대간의 지리산 영신봉에서 김해 동신어산까지 이어지는 산줄기로, 총 길이는 232km에 달한다. 낙남정맥은 섬진강 남쪽, 황강과 남강 동쪽, 낙동강 남쪽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남강, 황강, 동쪽으로는 낙동강, 남쪽으로는 섬진강 유역과 접하고 있다.

낙남정맥은 본래 대한민국의 산경표에 따른 전통적인 산줄기 체계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최근 산악인들 사이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산줄기이다.

낙남정맥의 주요 산으로는 지리산 영신봉, 삼신봉, 구재봉, 여항산, 무학산, 천주산, 용지봉, 불모산, 화개산, 황매산 등이 있다. 주요 고개로는 외곡재, 비재, 여항재, 진고개, 마산고개, 진동고개, 질매재 등이 있다.

신 낙남정맥은 낙동강 하구의 백양산에서 시작하여 금정산, 엄광산, 구덕산을 거쳐 김해의 동신어산까지 이어지는 산줄기이다. 신 낙남정맥은 낙동강 하구의 지형 변화로 인해 새롭게 주목받게 된 산줄기로, 기존 낙남정맥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3. 2. 7. 기타

불모산은 한강기맥에서 갈라져 나온 땅끝기맥의 봉우리 중 하나이다.

4. 경상남도의 산

4. 1. 시군별 주요 산 목록

5. 관련 정보

참조

[1] 서적 한국 300 명산 (300 Korean Mountains) 깊은솔 (Gipeunsol)
[2] 웹사이트 불모산 http://koreasanha.ne[...] 2019-06-12
[3] 웹사이트 Kt불모산중계소 : 네이버 이미지검색 https://search.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