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렌 브라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렌 브라운(Brené Brown)은 휴스턴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교수이자 작가로, 부끄러움, 용기, 진실성, 취약성 등을 연구하며 '전심전력'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텍사스주 샌 안토니오에서 태어나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사회복지학 학위를 취득하고, 휴스턴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브라운은 TED 강연과 저술 활동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이기도 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인간관계, 특히 수치심과 취약성, 그리고 이를 극복하고 온전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전심전력'의 실천에 관한 것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휴스턴 대학교 교수 - 엘리자베스 워런
엘리자베스 워런은 매사추세츠주 상원의원이자 하버드 로스쿨 교수 출신 법학자로, 소비자 보호와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주창하며 소비자금융보호국 설립에 기여했고,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진보적 성향의 정치인이다. - 휴스턴 대학교 교수 - 서대숙
서대숙은 김일성 항일 운동 연구로 북한 연구에 기여한 한국의 정치학자이자 대학교수로, 미국 여러 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하와이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 휴스턴 대학교 동문 - 엘리자베스 워런
엘리자베스 워런은 매사추세츠주 상원의원이자 하버드 로스쿨 교수 출신 법학자로, 소비자 보호와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주창하며 소비자금융보호국 설립에 기여했고,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진보적 성향의 정치인이다. - 휴스턴 대학교 동문 - 하킴 올라주원
하킴 올라주원은 나이지리아 출신으로 휴스턴 로케츠에서 활약하며 NBA 챔피언십 2회 우승, MVP, 최우수 수비 선수상 등을 수상한 NBA 역사상 위대한 센터 중 한 명이며, "드림 셰이크"라는 독창적인 기술과 뛰어난 수비, 통산 블록슛 1위 기록으로 유명하고 은퇴 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어 젊은 선수 훈련에도 기여하고 있다.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동문 - 재니스 조플린
재니스 조플린은 허스키한 보컬과 파워풀한 무대 매너로 1960년대를 대표하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여성 로커로, 빅 브라더 앤 더 홀딩 컴퍼니의 리드 보컬로 활동하며 솔로 활동으로도 성공을 거두었으나 27세의 나이로 사망 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동문 - 월터 크롱카이트
월터 크롱카이트는 1962년부터 1981년까지 CBS 이브닝 뉴스 앵커로 활동하며 "미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사람"으로 불렸고, 20세기 주요 사건들을 보도하며 미국 텔레비전 뉴스의 상징이 된 미국의 방송 저널리스트이다.
브렌 브라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카산드라 브레네이 브라운 |
출생일 | 1965년 11월 18일 |
출생지 |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
직업 | 임상 사회복지사 학자 강연자 |
배우자 | 스티브 앨리 (1994년 결혼) |
웹사이트 | brenebrown.com |
학력 | |
모교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휴스턴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Acompañar: A Grounded Theory of Developing, Maintaining and Assessing Relevance in Professional Helping (동행: 전문적 도움에서 관련성을 개발, 유지 및 평가하는 근거 이론)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2002년 |
박사 지도 교수 | 해당 정보 없음 |
경력 | |
직장 | 휴스턴 대학교 |
연구 분야 | |
분야 | 사회복지 |
세부 분야 | 해당 정보 없음 |
주요 관심사 | 해당 정보 없음 |
주요 저서 | 해당 정보 없음 |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 해당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영향 | 해당 정보 없음 |
영향을 준 인물 | 해당 정보 없음 |
서명 | 해당 정보 없음 |
서명 대체 텍스트 | 해당 정보 없음 |
2. 생애와 교육
브라운은 1995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사회복지학 학사 학위를, 1996년에는 같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7] 이후 2002년 휴스턴 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에서 사회복지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8]
그녀는 휴스턴 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에서 지난 10년간 부끄러움(shame), 용기(courage), 진실됨(authenticity), 약함(vulnerability)과 같은 주제를 연구했다. 연구 초기 5년 동안은 부끄러움과 동감(empathy)에 집중했으며, 이후에는 '전심전력'(wholeheartedness)이라는 개념에 대한 연구로 확장했다.
2. 1. 가족
브라운은 1965년 11월 18일[4] 텍사스주 샌 안토니오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부모는 찰스 아서 브라운과 카산드라 디앤 로저스이며[4], 그녀는 미국 성공회에서 세례를 받았다. 브라운은 4남매 중 장녀이다.[5] 이후 가족과 함께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로 이사했다.[6]현재는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남편 스티브(Steve)와 두 아이 엘렌(Ellen), 찰리(Charlie)와 함께 살고 있다.
2. 2. 종교
브라운은 부모인 찰스 아서 브라운과 카산드라 디앤 로저스에 의해[4] 성공회에서 세례를 받았다.3. 경력
브렌 브라운은 휴스턴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구 교수로 경력을 시작했으며,[10] 취약성, 수치심, 용기, 공감 등 인간의 감정과 관계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 그녀의 연구는 '전심전력'(wholeheartedness)과 같은 독창적인 개념으로 발전했다.
2010년 TEDx 강연 "취약성의 힘"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으면서[11][12][13][14] 대중 강연가로서 명성을 얻었다. 이후 다수의 저서를 출간하여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으며, 대표작으로는 ''Daring Greatly'', ''Atlas of the Heart'' 등이 있다.
2020년부터는 ''우리들의 해방(Unlocking Us)''과 ''리드 투 데어(Dare to Lead)''라는 팟캐스트를 진행하며[22] 대중과의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이 외에도 전문 교육 프로그램 운영, 언론 기고, 다큐멘터리 출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3. 1. 연구 및 교육
브라운의 연구는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부끄러움이나 불안감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되었다. 수년간 수많은 사람들의 경험담과 극복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방향을 설정하였다. 특히 사람들이 기본적인 욕구인 사랑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밝히는 데 집중했다.약 10년간의 연구 끝에, 사랑과 유대감을 성공적으로 형성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이 '전심전력'(wholeheartedness)의 실천임을 발견했다. '전심전력'은 브라운이 처음 정의하고 발전시킨 개념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구체화되었다.
:''진실성과 자기 가치관에 바탕을 둔 삶을 영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불완전함을 받아들이고 우리가 부족함 없는 존재, 사랑, 소속감, 기쁨을 누릴 자격이 있는 존재임을 깨닫는 데 필요한 용기, 동정, 유대감을 발달시키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37]
브라운은 '전심전력'을 실천하기 위해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해야 할 것: 쉬기(rest), 놀기(play), 믿기(trust), 신념(faith), 직관(intuition), 희망(hope), 진실됨(authenticity), 사랑(love), 유대감(belonging), 즐거움(joy), 감사(gratitude), 창의성(creativity) 하지 말아야 할 것: 완벽주의(perfection), 무감각(numb), 확실함(certainty), 지침(exhaustion), 자급자족(self-sufficiency), 가볍게 넘기기(being cool), 나를 끼워 맞춰가는 어울림(fitting in), 판단하기(judgment), 그리고 희소성(scarcity)''[38]
또한 브라운은 용기, 취약성, 수치심, 공감, 리더십과 같은 주제를 연구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인간 관계와 그 작동 방식에 적용했다.[9] 그녀는 모교인 휴스턴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연구 교수로 재직하며 경력을 쌓았다.[10]
3. 2. 대중 강연
브라운은 저명한 연설가로 PBS, NRP, CNN 등 여러 언론 방송에 출연했으며, TED에서 진행한 두 번의 강연은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다.그녀의 2010년 휴스턴 TEDx 강연 "취약성의 힘"은 가장 많이 시청된 TED 강연 5개 중 하나로 꼽힌다. 이 강연은 브라운이 학계의 상대적 무명에서 벗어나 주류의 주목을 받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11][12][13][14] 이 강연에서 브라운은 10년간 진행해 온 수치심 연구를 요약하며 가장 중요한 발견들을 솔직하고 개인적인 방식으로 설명했다.[14] ''뉴욕 타임스''의 레지 우구는 이 강연을 통해 세상이 "사회 심리학의 새로운 스타"를 만나게 되었다고 평가했다.[14]
2010년에는 TEDxKC에서 "무적의 대가"라는 제목의 강연도 진행했다. 이 강연에서 그녀는 어렵고 힘든 감정을 외면하거나 마비시키는 것이 결국 기쁨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까지 무디게 만든다고 설명했다.[16]
2012년에는 "수치심에 귀 기울이기"라는 제목으로 두 번째 TED 강연을 진행했다. 이 강연에서는 첫 번째 강연 이후 자신의 삶의 변화를 이야기하며 수치심과 취약성의 연관성을 설명하고 첫 강연의 주제를 더욱 발전시켰다.[15]
2010년 TEDxKC 강연 "무적의 대가"는 2019년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강연 영상 ''브레네 브라운: 용기의 외침''으로 이어졌다.[17] ''USA 투데이''는 이 강연을 "동기 부여 연설과 스탠드업 코미디 쇼의 혼합"이라고 평가했다.[17] 브라운은 이 강연에서 편안함보다 용기를 선택하는 방법과 이유를 논하며, 용감함을 취약함과 동일시했다. 그녀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태도는 사람들이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타인과 더 깊이 연결되도록 도와 사랑, 기쁨, 소속감을 느끼게 한다.[18]
브라운은 알랭 드 보통의 더 스쿨 오브 라이프[13]와 구글, 월트 디즈니 컴퍼니[14] 등 다양한 기관 및 기업에서 활발하게 강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 3. 저술 활동
브라운은 2021년 기준으로 여섯 권의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출판 연도 |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 비고 |
---|---|---|---|
2007 | 'I Thought It Was Just Me (but it isnt): Telling the Truth About Perfectionism, Inadequacy, and Power'' | <<나만 그렇다고 생각했다(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완벽주의, 불충분, 힘의 진실에 관한 이야기>> | |
2009 | Connections: A 12-Session Psychoeducational Shame-Resilience Curriculum | <<유대감>> | |
2010 | 'The Gifts of Imperfection: Let Go of Who You Think Youre Supposed to Be and Embrace Who You Are'' | <<불완전함의 선물>> |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
2012 | Daring Greatly: How the Courage to Be Vulnerable Transforms the Way We Live, Love, Parent, and Lead | <<마음가면>>, <<진정한 나로 살아갈 용기>> |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
2015 | Rising Strong: The Reckoning, The Rumble, The Revolution |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 |
2017 | Braving the Wilderness: The Quest for True Belonging and the Courage to Stand Alone |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 |
2018 | Dare to Lead: Brave Work. Tough Conversations. Whole Hearts. |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 |
2021 | Atlas of the Heart |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 |
근간 | <<온 마음을 다한: 무너지고, 성장하고, 기쁨을 찾는 영적 모험>> |
브라운은 2013년 3월 오프라 윈프리의 ''수퍼 소울 선데이''에 출연하여 자신의 저서 ''Daring Greatly''에 대해 이야기했다.[19] 이 책의 제목은 1910년 테오도어 루스벨트가 소르본에서 한 연설인 "공화국의 시민"의 한 구절에서 영감을 받았다.[20] 그녀의 2021년 저서 ''Atlas of the Heart''는 독자들이 자신의 감정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 필요한 언어, 즉 감정 어휘력을 넓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9]
또한 브라운은 팀 페리스의 저서 ''타이탄의 도구들''에 조언을 기고했으며, 타라나 버크와 함께 ''You Are Your Best Thing: Vulnerability, Shame Resilience, and the Black Experience''라는 에세이 모음집을 공동 편집했다. 이 책은 흑인 개인이 경험하는 백인 우월주의의 트라우마와 흑인으로서의 사랑 및 삶의 경험에 대해 다룬다.
2024년에 발표한 에세이 "Not Looking Away: Thoughts on the Israel-Hamas War"는 이스라엘 점령지 내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특권적인 시각을 유지하며 "기업 친화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1]
3. 4. 팟캐스트
2020년, 브라운은 팟캐스트 ''우리들의 해방(Unlocking Us)''과 ''리드 투 데어(Dare to Lead)''의 진행을 시작했다.[22] ''우리들의 해방(Unlocking Us)''은 게스트와의 인터뷰와 브라운이 청취자에게 직접 이야기하는 솔로 에피소드를 번갈아 방송한다. 솔로 에피소드에서는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연구를 통해 얻은 교훈을 설명하며, 관련된 다른 사회 과학 연구의 요약을 덧붙인다. 인터뷰 게스트로는 슬픔 전문가 데이비드 케슬러, 가수 앨리샤 키스, 작가 글래논 도일, 미투 운동을 시작한 활동가 타라나 버크 등이 출연했다.[23]2022년, 브라운이 데비 밀만과 인터뷰한 내용은 ''스토리바운드(Storybound)'' 시즌 5 첫 회에 소개되었다.
3. 5. 기타 활동
브라운은 2008년 휴스턴 알코올 및 마약 협의회의 행동 건강 상임학자로 임명되었다. 여러 교육자 상을 받았으며, 뛰어난 대학 교육자 상(The College’s Outstanding Faculty Award)도 수상했다. ''Houston Women Magazine''은 2009년 브라운을 “가장 영향력 있는 50인의 여성”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저명한 연설가로서 PBS, NRP, CNN 등 여러 언론 방송에 출연했으며, TED.com에서는 두 차례 강연을 진행하여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다. 또한 ''Self''나 ''Elle'' 같은 잡지에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브라운은 취약성, 용기, 수치심, 공감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전문 교육 및 인증 프로그램인 "The Daring Way"의 CEO이다.[24] 2019년 개봉한 영화 와인 컨트리에 본인 역할로 출연했으며,[14][25] 2022년에는 그녀의 5부작 다큐멘터리 시리즈인 ''브레네 브라운: 마음의 지도''가 HBO Max를 통해 공개되었다.[26]
4. 주요 연구 및 개념
브렌 브라운은 용기, 취약성, 수치심, 공감, 리더십을 주로 연구하며, 이러한 개념들이 인간 관계와 그 작동 방식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탐구한다.[9] 그녀는 모교인 휴스턴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 경력을 시작했다.[10]
브라운 연구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취약성'으로, 이는 불확실성, 위험, 감정적 노출을 포용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또한 그녀는 '전심전력(wholeheartedness)'이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진정성 있는 삶과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37][38] 그녀의 연구는 사람들이 부끄러움이나 불안감 같은 부정적 감정을 이해하고 극복하며, 사랑과 소속감을 누리는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춘다.
브라운의 연구는 2010년 휴스턴에서 진행된 TEDx 강연 "취약성의 힘"(The Power of Vulnerability)을 통해 학계를 넘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이 강연은 역대 가장 많이 시청된 TED 강연 중 하나로 기록되며[11][12][13][14], 그녀를 사회 심리학 분야의 세계적인 인물로 만들었다.[14] 강연의 성공 이후, 그녀는 "수치심에 귀 기울이기"(Listening to Shame, 2012), "무적의 대가"(The Price of Invincibility, 2010) 등의 후속 강연과 넷플릭스 스페셜 ''브레네 브라운: 용기의 외침''(Brené Brown: The Call to Courage, 2019) 등을 통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대중과 공유해왔다.[15][16][17]
그녀는 다수의 베스트셀러 작가이기도 하다. ''The Gifts of Imperfection''(불완전함의 선물), ''Daring Greatly'', ''Rising Strong'', ''Braving the Wilderness'', ''Dare to Lead'', ''Atlas of the Heart'' 등 그녀의 저서들은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으며, 전 세계 독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9] 특히 ''Daring Greatly''는 2013년 오프라 윈프리의 ''수퍼 소울 선데이'' 쇼에서 소개되기도 했다.[19]
4. 1. 수치심과 취약성
브레네 브라운은 약 십 년간 부끄러움, 수치심, 불안함, 죄책감과 같이 이전에는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들을 연구하여[9] 사람들이 이를 더 잘 이해하도록 기여했다. 그녀는 모교인 휴스턴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며 이 연구 경력을 쌓았다.[10] 2010년에는 사람들이 감정 기복에 현명하게 대처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실천적인 내용과 일화를 담은 ''The Gifts of Imperfection''(불완전함의 선물)을 출판했다. 이 책은 진실성, 자기동정, 극복력 등을 계발하기 위한 10가지 이정표를 제시한다.[37]브라운의 연구는 용기, 취약성, 수치심, 공감,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를 인간 관계와 그 작용 방식에 적용했다.[9] 그녀의 2010년 휴스턴 TEDx 강연 "취약성의 힘"(The Power of Vulnerability)은 가장 많이 시청된 TED 강연 5개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11][12][13][14] 이 강연은 수치심에 대한 그녀의 10년간의 연구를 요약하고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설명하면서, 그녀의 연구가 학계를 넘어 대중적인 주목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14] ''뉴욕 타임스''는 이 강연을 통해 세상이 "사회 심리학의 새로운 스타"를 만났다고 평가했다.[14] 그녀는 이 강연에 이어 2012년 "수치심에 귀 기울이기"(Listening to Shame)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수치심과 취약성의 연관성을 더 깊이 설명했다.[15]
또한 2010년 TEDxKC에서는 "무적의 대가"(The Price of Invincibility)라는 강연을 통해, 어렵고 힘든 감정을 외면하고 마비시키는 것이 결국 기쁨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까지 마비시킨다고 설명했다.[16] 이 강연의 내용은 2019년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강연 영상 ''브레네 브라운: 용기의 외침''(Brené Brown: The Call to Courage)으로 이어졌다.[17] 이 영상에서 브라운은 편안함 대신 용기를 선택하는 방법과 이유를 논하며, 용감함을 취약함과 동일시한다. 그녀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태도는 사람들이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과 더 깊이 연결되어 사랑, 기쁨, 소속감을 경험하게 돕는다.[18]
브라운의 저서 ''Daring Greatly''는 2013년 3월 오프라 윈프리의 ''수퍼 소울 선데이'' 쇼에서 다루어졌으며,[19] 책의 제목은 1910년 테오도어 루스벨트가 소르본에서 한 "공화국의 시민"(Citizenship in a Republic) 연설에서 영감을 받았다.[20] 그녀의 2021년 저서 ''Atlas of the Heart''는 독자들이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표현하는 언어, 즉 감정 어휘력을 확장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9]
타라나 버크와 함께 ''You Are Your Best Thing: Vulnerability, Shame Resilience, and the Black Experience''라는 에세이 모음집을 공동 편집했다. 이 책은 흑인 개인들이 백인 우월주의의 트라우마, 흑인으로서의 사랑과 삶의 경험에 대해 논하는 글들을 담고 있다.
4. 2. 전심전력(Wholeheartedness)
‘전심전력’(wholeheartedness)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에서 출발한다.''진실성과 자기 가치관에 바탕을 둔 삶을 영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불완전함을 받아들이고 우리가 부족함 없는 존재, 사랑, 소속감, 기쁨을 누릴 자격이 있는 존재임을 깨닫는 데 필요한 용기, 동정, 유대감을 발달시키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37]
브렌 브라운은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부끄러움이나 불안감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경험담과 극복 사례를 수집했다. 수년간의 자료 수집, 분석, 해석을 통해 그는 사람들이 느끼는 부정적 감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방향을 설정하게 되었다. 약 10년간의 연구 끝에, 그는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원하는 남에게 사랑받고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을 잘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근본적인 차이를 밝히는 데 집중했다. 그 결과, 잘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이 바로 ‘전심전력’(wholeheartedness)을 실천하는 것임을 발견했다. 브라운이 처음 정의하고 다듬은 ‘전심전력’ 개념을 실천하기 위해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
'' 해야 할 것: 쉬기(rest), 놀기(play), 믿기(trust), 신념(faith), 직관(intuition), 희망(hope), 진실됨(authenticity), 사랑(love), 유대감(belonging), 즐거움(joy), 감사(gratitude), 창의성(creativity) 하지 말아야 할 것: 완벽주의(perfection), 무감각(numb), 확실함(certainty), 지침(exhaustion), 자급자족(self-sufficiency), 가볍게 넘기기(being cool), 나를 끼워 맞춰가는 어울림(fitting in), 판단하기(judgment), 그리고 희소성(scarcity)''[38]
브라운의 약 10년간의 연구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느끼지만 이전에는 누구도 깊이 연구하려 하지 않았던 부끄러움, 수치심, 불안함, 죄책감과 같은 감정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세상에 기여했다. 2010년에는 사람들이 감정 기복에 현명하게 대처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실천적인 내용과 일화를 담은 책 <<불완전함의 선물>>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는 다음과 같은 10가지 이정표를 제시한다.
# 진실성을 계발하라: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에서 벗어나기
# 자기동정을 계발하라: 완벽주의에서 벗어나기
# 극복력을 계발하라: 감정 마비와 무력감에서 벗어나기
# 감사와 기쁨을 계발하라: 어둠에 대한 두려움과 결핍감에서 벗어나기
# 직감을 계발하고 믿음에 의지하라: 확실성에 대한 욕구에서 벗어나기
# 창조성을 계발하라: 비교에서 벗어나기
# 놀이와 휴식을 장려하라: 지위 상징으로서의 피로와 자부심을 위한 생산성에서 벗어나기
# 차분함과 고요함을 계발하라: 생활습관이 된 불안에서 벗어나기
# 의미 있는 일에 전념하라: 자기의심 및 “-해야 한다”에서 벗어나기
# 웃음, 노래, 춤을 즐겨라: “항상 절제된” 멋진 모습에서 벗어나기 [37]
브라운의 2010년 휴스턴 TEDx 강연 "취약성의 힘"은 가장 많이 시청된 TED 강연 5개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이 강연의 성공으로 그녀의 연구는 학계의 비교적 덜 알려진 상태에서 벗어나 대중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11][12][13][14] 이 강연은 "수치심에 대한 브라운의 10년간의 연구를 요약하고, 가장 중요한 발견들을 자기 비하적이고 개인적인 용어로 표현했다."[14] ''뉴욕 타임스''의 레지 우구는 이 강연을 통해 세상에 "사회 심리학의 새로운 스타"가 탄생했다고 평가했다.[14] 그녀는 이 강연에 이어 2012년 "수치심에 귀 기울이기"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첫 강연 이후 자신의 삶의 변화와 수치심, 취약성의 연관성을 설명하며 주제를 더욱 발전시켰다.[15]
또한, 2010년 TEDxKC에서 "무적의 대가"라는 제목의 강연도 진행했다. 이 강연에서 그녀는 어렵고 힘든 감정을 외면하고 마비시키는 것이 결국 취약함을 느끼는 것과 같으며, 이는 기쁨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마저 마비시킨다고 설명했다.[16] 이 강연 내용은 2019년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강연 영상 ''브레네 브라운: 용기의 외침''으로 이어졌다.[17] ''USA 투데이''는 이 강연을 "동기 부여 연설과 스탠드업 코미디 쇼의 혼합"이라고 평했다.[17] 브라운은 이 강연에서 편안함 대신 용기를 선택하는 방법과 이유를 논하며, 용감함을 취약함과 동일시했다. 그녀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태도는 사람들이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타인과 깊이 연결되도록 도와 사랑, 기쁨, 소속감을 느끼게 한다.[18]
브라운은 알랭 드 보통의 더 스쿨 오브 라이프[13], 구글(Google), 디즈니(The Walt Disney Company) 등 다양한 기관 및 기업 행사에서 정기적으로 강연하며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14]
4. 3.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전심전력'(wholeheartedness)은 진실성과 자기 가치관에 바탕을 둔 삶, 불완전함을 받아들이고 자신이 부족함 없는 존재이며 사랑, 소속감, 기쁨을 누릴 자격이 있음을 깨닫는 데 필요한 용기, 동정, 유대감을 기르는 방법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다.[37] 브라운은 수년간의 연구를 통해 사랑과 유대감을 잘 형성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이 바로 '전심전력'의 실천임을 밝혀냈고, 이 개념을 정의하고 다듬었다.'전심전력'을 실천하기 위해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38]
- '''해야 할 것''': 쉬기(rest), 놀기(play), 믿기(trust), 신념(faith), 직관(intuition), 희망(hope), 진실성(authenticity), 사랑(love), 유대감(belonging), 즐거움(joy), 감사(gratitude), 창의성(creativity)
- '''하지 말아야 할 것''': 완벽주의(perfection), 무감각(numb), 확실함(certainty), 지침(exhaustion), 자급자족(self-sufficiency), 가볍게 넘기기(being cool), 나를 끼워 맞춰가는 어울림(fitting in), 판단(judgment), 그리고 희소성(scarcity)
5. 업적 및 수상
2008년 휴스턴 알코올 및 마약 협의회의 행동 건강 상임학자로 임명되었다. 2009년에는 《휴스턴 여성 매거진(Houston Woman Magazine)》에 의해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5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30] 사회 복지 대학원 우수 교수상을 포함한 여러 교육상을 받았다.[31]
저명한 연설가로서 PBS, NPR, CNN 등 여러 언론 매체에 출연했으며, TED에서 진행한 두 번의 강연은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다. 《Self》나 《Elle》 같은 잡지에 글을 기고하기도 하였다.
2016년, 허핑턴 재단(Huffington Foundation)은 브라운의 연구 업적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딴 연구 교수직을 휴스턴 대학교 사회 복지 대학원에 설립하기 위해 4년간 200만달러를 기부하기로 약속했다. 브라운은 이곳에서 근거 이론 방법론과 취약성, 용기, 수치심, 공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 복지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32]
2021년에는 그의 팟캐스트 우리 풀기(Unlocking Us)가 최우수 조언 또는 영감을 주는 팟캐스트 부문에서 아이하트라디오 팟캐스트 어워드를 수상했다.[33] 2022년에는 저서 마음의 지도(Atlas of the Heart)가 최우수 논픽션 부문에서 굿리즈 초이스 어워드를 수상했다.[34]
6. 저서
- Women and Shame: Reaching Out, Speaking Truths, and Building Connectioneng (3C Press, 2005)
- <<나만 그렇다고 생각했다(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완벽주의, 불충분, 힘의 진실에 관한 이야기>> (원제: I Thought It Was Just Me (but it isn't): Telling the Truth About Perfectionism, Inadequacy, and Powereng) (고담/에이버리/펭귄, 2007)
- <<유대감>> (원제: Connections: A 12-Session Psychoeducational Shame-Resilience Curriculumeng) (헤이즐덴, 2009)
- <<불완전함의 선물>> (원제: The Gifts of Imperfection: Let Go of Who You Think You're Supposed to Be and Embrace Who You Areeng) (헤이즐덴, 2010)
- 10주년 기념판 (2020)
- Men, Women, and Worthiness: The Experience of Shame and the Power of Being Enougheng (Sounds True, 2012)
- 대담하게 나아가기 (원제: Daring Greatly: How the Courage to Be Vulnerable Transforms the Way We Live, Love, Parent, and Leadeng) (고담, 2012)
- The Gifts of Imperfect Parenting: Raising Children with Courage, Compassion, and Connectioneng (Sounds True, 2013)
- Rising Strong: The Reckoning, The Rumble, The Revolutioneng (스피겔 & 그라우/랜덤하우스, 2015)
- Rising Strong as a Spiritual Practiceeng (Sounds True, 2017)
- Braving the Wilderness: The Quest for True Belonging and the Courage to Stand Aloneeng (랜덤하우스, 2017)
- Dare to Lead: Brave Work. Tough Conversations. Whole Hearts.eng (랜덤하우스, 2018)
- 마음의 아틀라스 (원제: Atlas of the Hearteng) (랜덤하우스, 2021)
- <<온 마음을 다한: 무너지고, 성장하고, 기쁨을 찾는 영적 모험>> (헤이즐덴, 근간)
'''기타 저술'''
- Feminist Standpoint Theoryeng (S. P. Robbins, P. Chatterjee & E. R. Canda (Eds.), ''Contemporary Human Behavior Theory: A Critical Perspective for Social Work'' (Rev. ed.) 수록) (Allyn and Bacon, 2007)
- Shame Resilience Theoryeng (S. P. Robbins, P. Chatterjee & E. R. Canda (Eds.), ''Contemporary Human Behavior Theory: A Critical Perspective for Social Work'' (Rev. ed.) 수록) (Allyn and Bacon, 2007)
참조
[1]
학위논문
Acompañar: A Grounded Theory of Developing, Maintaining and Assessing Relevance in Professional Helping
University of Houston
[2]
웹사이트
The power of vulnerability
https://www.ted.com/[...]
2010-10-06
[3]
뉴스
Spotify Ends Two Exclusive Shows Amid Podcasting Shakeout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23-01-06
[4]
웹사이트
U.S. Public Records Index
https://familysearch[...]
Family Search
2017-07-11
[5]
웹사이트
About
https://brenebrown.c[...]
2020-12-28
[6]
서적
The Gifts of Imperfection
Hazelden
2010
[7]
웹사이트
Brené Brown
https://www.uh.edu/s[...]
2019-02-27
[8]
웹사이트
How This Leadership Researcher Became the Secret Weapon for Oprah, Pixar, IBM, and Melinda Gates
https://www.inc.com/[...]
2019-01-24
[9]
웹사이트
Oprah and Brené Brown on Cultivating Connection
https://www.oprahdai[...]
2021-12-30
[10]
뉴스
Tiptoeing Out of One's Comfort Zone (and of Course, Back I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1-02-11
[11]
웹사이트
Brené Brown TEDxHouston, The power of vulnerability
https://www.ted.com/[...]
2010-06-01
[12]
웹사이트
The most popular talks of all time
https://www.ted.com/[...]
2021-12-30
[13]
웹사이트
Brené Brown: 'People will find a million reasons to tear your work down'
http://www.theguardi[...]
2021-12-30
[14]
뉴스
Brené Brown Is Rooting for You, Especially Now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2-30
[15]
Youtube
TED talk "Listening to shame" – Brené Brown
http://www.ted.com/t[...]
2012-03
[16]
Youtube
The price of invulnerability: Brené Brown at TEDxKC
https://www.youtube.[...]
2021-12-30
[17]
웹사이트
5 takeaways on vulnerability from Brené Brown's 'The Call To Courage'
https://www.usatoday[...]
2021-12-30
[18]
웹사이트
5 Ways To Be Brave According To Brené Brown's Netflix Special 'The Call To Courage'
https://www.forbes.c[...]
2021-12-30
[19]
웹사이트
Dr. Brené Brown on Daring Greatly
http://www.oprah.com[...]
OWN
2013-11-03
[20]
웹사이트
Brene Brown: How Vulnerability Can Make Our Lives Better
https://www.forbes.c[...]
2013-09-16
[21]
웹사이트
Why Brené Brown's Gospel of Vulnerability Fails the World's Most Vulnerable
https://lithub.com/w[...]
2024-02-21
[22]
웹사이트
Brené Brown Signs Exclusive Podcast Deal With Spotify (Exclusive)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er
2021-10-09
[23]
웹사이트
Brené Brown's Unlocking Us Has Arrived at the Right Time
https://podcastrevie[...]
2021-12-30
[24]
웹사이트
About - The Daring Way
http://thedaringway.[...]
2016-09-20
[25]
웹사이트
Brené Brown Makes an Unexpected and Hilarious Appearance in Wine Country
https://www.oprahdai[...]
2021-12-30
[26]
웹사이트
Stream It Or Skip It: 'Brené Brown: Atlas of the Heart' On HBO Max, Where the Best-Selling Author Teaches Us How to Connect with Each Other (And Ourselves)
https://decider.com/[...]
2022-04-06
[27]
웹사이트
Brené Brown surprises lunchgoers with generous donation
https://www.chron.co[...]
2019-01-24
[28]
웹사이트
Why Brené Brown 'abandoned' the church - and why she went back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7-02-15
[29]
웹사이트
What Being Sober Has Meant to Me
https://brenebrown.c[...]
2020-12-28
[30]
웹사이트
Houston's 50 Most Influential Women for 2009
Houston Women's Magazine
[31]
웹사이트
Brene Brown
http://www.hazelden.[...]
Hazeldon
2014-03-06
[32]
웹사이트
Huffington Foundation Endows Chair for Brené Brown, Social Work Researcher, Author of 'Daring Greatly'
http://www.uh.edu/ne[...]
2016-09-20
[33]
웹사이트
2021 iHeartRadio Podcast Awards: Full List of Winners
https://www.iheart.c[...]
2022-04-20
[34]
웹사이트
Best Nonfiction
https://www.goodread[...]
2022-12-09
[35]
웹사이트
Brené Brown Speaker
http://www.ted.com/s[...]
2015-12-12
[36]
Ted
The 10 most popular TEDx talks
https://www.ted.com/[...]
[37]
서적
브레네 브라운의 책 '불완전함의 선물'에 대한 간략한 설명
http://www.kyobobook[...]
[38]
서적
The Gifts of Imperfection
Hazelden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